KR20060022730A -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2730A
KR20060022730A KR1020060018199A KR20060018199A KR20060022730A KR 20060022730 A KR20060022730 A KR 20060022730A KR 1020060018199 A KR1020060018199 A KR 1020060018199A KR 20060018199 A KR20060018199 A KR 20060018199A KR 20060022730 A KR20060022730 A KR 200600227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sludge
filtration
screen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8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남
Original Assignee
정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영남 filed Critical 정영남
Priority to KR1020060018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2730A/ko
Publication of KR20060022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7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6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drum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2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 B01D33/64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drying by compres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2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animal husbandr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2Fluid flow cond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1/00General aspects of water treatment
    • C02F2301/04Flow arrangements
    • C02F2301/043Treatment of partial or bypass strea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외부로부터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 유입관과, 유입된 폐수가 유출되는 폐수 이송관과, 유입된 폐수가 일정 수위를 넘었을 때 일정 수위를 넘는 폐수를 오버플로우 되어 흘러나가는 유량 조정조와; 상기 유량조정조로부터 오버 플로우되어 유입되는 폐수가 저장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의 폐수를 상기 유량 조정조로 이송시키는 이송펌프와; 주위에 여과 홀이 뚫려 있는 원통형상으로 된 여과 스크린과, 상기 여과 스크린의 한쪽에 부착되며 그 중심에는 상기 폐수 이송관이 관통하는 관통구가 상기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는 상기 여과 스크린으로 들어온 폐수가 일정 양을 넘었을 때 오버 플로우되어 빠져 나가도록 하는 유출구가 형성된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과 반대쪽으로는 상기 여과 스크린 내의 슬러지가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폐수 여과부와; 상기 여과 스크린의 상기 유출구를 통하여 흘러나오는 폐수를 상기 저장조로 흘러들어가게 하는 리턴 통로와; 상기 폐수 여과부의 슬러지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슬러지를 압착 탈수하고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압착 탈수부를 포함한다.
폐수, 하수, 스크린, 분리, 압착, 슬러지, 오수

Description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screen apparatus which removes sludge from wastewater}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린장치의 사시도.
도2와 도3은 도1에 따른 스크린장치를 정면과 평면에서 바라본 부분 단면도.
도4는 도1에 따른 스크린장치의 여과스크린의 종단면도와 횡단면도.
도5는 부분 확대 단면도.
도6은 회전손잡이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7은 도1은 압착탈수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8a와 도8b는 여과스크린의 단면도와 부분 확대도.
도9와 도10은 종래기술에 따른 스크린장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스크린장치, 10:유량조절부,
30:여과스크린부, 50:압착탈수부,
110:저장조, 120:유량조정조,
130:폐수유입구, 140:폐수이송관,
310:케이싱, 320:여과스크린,
323:안내격판 330:청소용브러쉬,
345:분사노즐, 510:회전스크류
530:하우징, 535:압착통
본 발명은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농도가 다르거나 유입되는 폐수의 량이 변동되어도 안정적으로 오수와 슬러지를 분리할 수 있는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뇨, 하수, 축산물 폐수 등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폐수 속에서 오수와 슬러지를 분리하여서, 오수는 생화학적 처리를 통하여 정화하고, 슬러지는 농축 건조한 후에 소각 처리하거나 매립 등으로 처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폐수를 오수와 슬러지로 분리하는 장치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의 상부에는 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관(730)이 호스고정기(750)의 유입부에 연결 설치되며, 하부 중앙에 배수구를 구비한 외통(720)이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외통(720)의 내측에는 모터(M)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스크린장치(710)의 외주면 전 둘레에 다수의 물빠짐용 통공(713)이 형성되며, 내부연에는 찌꺼기 배출용 스크류콘베이어(711)가 형성되는 스크린장치(710)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치는 폐수 수거용 탱크로리에서 배출되는 관을 상기 호스고정기(750)에 연결하여서 폐수를 투입시키면, 투입되는 폐수의 양이 증대되는 경우에 슬러지배출구를 통하여 잉여의 오수가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투입되는 폐수의 성상과 폐수량에 대처할 수 없게 되므로 효율적인 슬러지를 분리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다른 성상의 폐수가 유입되거나, 유입되는 폐수의 량이 변동이 있어도 적응할 수 있고,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반복적으로 처리하여 슬러지가 배출되는 부분으로 오수가 넘쳐 흘러가는 것을 최대로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슬러지를 2차 함축하여 오수를 분리하는 과정이 하나의 장치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스크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상기 목적은 외부로부터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 유입관과, 유입된 폐수가 유출되는 폐수 이송관과, 유입된 폐수가 일정 수위를 넘었을 때 일정 수위를 넘는 폐수를 오버플로우 되어 흘러나가는 바이패스 관이 연결된 유량 조정조와; 상기 유량 조정조로부터 오버 플로우되는 폐수가 유입되어 저장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의 폐수를 상기 유량 조정조로 이송시키는 이송펌프와; 주위에 여과 홀이 뚫려 있는 원통형상으로 된 여과 스크린과, 상기 여과 스크린의 한쪽에 부착되며 그 중심에는 상기 폐수 이송관이 관통하는 관통구가 상기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는 상기 여과 스크린으로 들어온 폐수가 일정 양을 넘었을 때 오버 플로우되어 빠져 나가도록 하는 유출구가 형성된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과 반대쪽으로는 상기 여과 스크린 내의 슬러지가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폐수 여과부와; 상기 여과 스크린의 상기 유출구를 통하여 흘러나오는 폐수를 상기 저장조로 흘러들어가게 하는 리턴 통로와; 상기 폐수 여과부의 슬러지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슬러지를 압착 탈수하고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압착 탈수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에서 유량 조정조와 저장조는 유량조정조로부터 오버 플로우되는 폐수가 저장조로 들어가도록 바이패스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는 일측에는 외부에서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 유입구(130)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입된 폐수가 이동하는 폐수 이송관이 형성되는 박스(BOX) 형상의 저장조, 상부가 개방되어 오버플러워(overflow)되면서 상기 폐수 유입구에서 유입되는 폐수를 일정높이로 유지하게 하고 하부를 통하여 상기 폐수이송관으로 연통되며 상기 저장조의 내부에 장착되는 유량조정조, 상기 유량조정조에서 오버플러워 되어서 넘치는 폐수를 상기 유량조정조의 상부로 공급하는 폐수이송펌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저장조와 유량조정조에 의하여 상기 폐수이송관으로 이송되는 폐수의 유량이 조절되는 유량조정부와; 중공부가 형성되는 박스(BOX) 형상의 케이싱, 상기 케이싱 내부에 안착되어서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며 외주면에는 다수의 여과공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이고 일측에는 상기 폐수이송관에서 폐수가 유입되고 타측에서는 슬러지를 배출하는 1차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면에는 슬러지를 이송하는 다수의 안내격판이 형성되는 여과스크린, 상기 여과스크린 상부에 안착되어 상기 여과스크린의 회전에 따라 상기 여과공에 삽입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청소용 브러쉬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량조정부에서 유입되는 폐수에서 오수는 상기 여과스크린의 여과공을 통하여 배출되고, 슬러지는 상기 여과스크린의 1차 배출구로 이동시켜서 오수와 슬러지를 1차 분리하는 여과스크린부와; 회전스크류의 회전 에 의하여 상기 1차 배출구에서 유입되는 슬러지를 압착 이동시키면서 수분이 함유된 슬러지에서 오수를 2차 분리하는 압착탈수부로 구성되어, 상기 여과스크린부에서 1차로 슬러지를 분리하고, 분리된 슬러지는 상기 압착탈수부에서 2차로 압착되어 오수와 슬러지를 분리한다.
여과스크린의 여과공을 통과하는 오수와 압착탈수부에서 발생하는 오수는 합쳐져 다음 단계의 처리장치로 배출된다.
상기 폐수이송관과 연결되는 상기 여과스크린의 측면에는 원호 형상의 장홀이 한 쌍으로 형성되어서, 상기 여과스크린에 수용되는 폐수가 오버 플러워(over flow)되면, 오버플러우 되는 폐수는 상기 저장조로 이동한다. 따라서, 여과 스크린의 여과공이 막히게 되더라도 유입되는 폐수는 저장조로 리턴되므로, 여과공을 통과하지 않은 폐수의 방출은 없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내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한 투시창이 추가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여과스크린은 외주면에 다수의 여과공이 형성된 원통형상이고 내부에는 안내격판이 장착된 원통 스크린과 상기 원통스크린의 일측부위에는 부분적인 링(Ring) 형상의 링크가 나선형상으로 연결된 형상이고, 연결되는 상기 링크와 링크 사이의 틈으로 오수가 하부로 흘러내리는 링크스크린으로 구성된다.
상기 원통스크린의 일측부위에는 원호형상의 링크가 연결되어 원통형상을 이루는 링크스크린;으로 구성되고, 상기 폐수이송관의 단부에는 "T"자형으로 분기되 는 T자관이 장착되어서, 상기 폐수이송관으로 이송된 폐수가 상기 T자관의 양단부로 분출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압착 탈수부는 상기 1차 배출구와 연통되고, 하부에는 오수가 낙하할 수 있는 탈수공이 다수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는 내측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지는 깔때기 형상의 압착통; 및 상기 하우징에 안착되어서 상기 1차배출구에서 공급되는 슬러지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회전스크류;로 구성되어 상기 회전스크류에 의하여 이송되는 슬러지가 상기 압착통에 의하여 일정압력으로 압착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2는 부분 절단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 부호 1로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장치는 유량조정부(10), 여과스크린부(30) 및 압착탈수부(50)로 구성된다.
상기 유량 조정부를 구성하는 유량 조정조(110)는 외부에서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유입구(130)가 일측에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입된 폐수가 이동하는 폐수이송관(140)이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어 일정량을 넘는 폐수는 개방부를 통하여 오버플러워(over flow)된다. 유량 조정조(110) 아래에는 저장조가 위치하는데, 유량 조정조로부터 오버 플로우되는 폐수는 바이패스관(170)을 통하여 저장조(120)로 흘러들어가 저장된다. 따라서, 유입되는 폐수는 유량 조정조(110)에 의하여 상기 폐수 이송관(140)으로 이송되는 폐수의 유량이 조정된다.
상기 여과스크린부(30)는 외주면에 복수의 여과공(321)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여과스크린(320)에 의하여 상기 유량조정조(110)에서 폐수 이송관(140)을 통해 유입되는 폐수에서 오수는 상기 여과공(321)을 통하여 배출되고, 슬러지는 1차배출구(380)로 이동시켜서 오수와 슬러지를 1차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압착탈수부(50)는 회전스크류(51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1차배출구(380)에서 유입되는 슬러지를 압착 이동시키면서 수분이 함유된 슬러지에서 오수를 2차로 분리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량조정부(10)는 박스 형상의 저장조(110)가 구비된다. 상기 저장조(120) 내부 공간에는 상부가 개방된 유량조정조(110)가 장착되는데, 상기 유량조정조(110)의 개방된 상부에서는 상기 폐수유입구(130)에서 유입되는 폐수가 흘러내리게 되고, 하부에는 폐수이송관(140)이 연통되어서 유입된 폐수를 상기 여과스크린부(30)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유량 조정조(110)에 공급되는 폐수의 량이 과다한 경우에는 잉여의 폐수가 바이패스관(170)을 통하여 상기 저장조(120)의 하부로 흘러내려서 고이게 되고, 이렇게 고인 폐수는 폐수이송펌프(150)에 의하여 상기 유량조정조(110)에 재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유량 조정조(110)와 연결되는 상기 폐수이송관(140)에는 일정이하의 유량이 항상 공급되게 된다. 즉 상기 폐수이송관(140)으로 이송되는 폐수의 수압은 상기 유량 조정조(110)에 의하여 일정 압력이하로 조정되게 되고, 상기 폐수 유입구(130)에서 과다하게 공급되는 폐수는 상기 저장조(120)에 일시 저장되었다가 상기 폐수 이송펌프(150) 에 의하여 상기 유량 조정조(110)의 상부로 반복적으로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폐수 이송관(140)으로 이송되는 폐수의 유량은 트로틀 밸브(160)에 의하여 단속(斷續)될 수 있고, 상기 저장조(120)에서 과도하게 폐수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하부로 침전되는 슬러지를 제외하고 상부에 위치하는 오수는 오수배출구(410)를 통하여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일정 유량 이하로 이송되는 폐수는 상기 폐수이송관(140)을 통하여 상기 여과스크린부(30)의 여과스크린(320) 내부로 공급되어서 오수와 슬러지로 분리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폐수는 하수, 축산물 폐수, 분뇨 등을 의미하고, 이와 같은 폐수는 슬러지와 액체상태의 오수로 구분된다. 분리된 오수는 생화학적으로 수처리되고, 슬러지는 건조하여 소각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처리된다.
상기 폐수이송관(140)과 연결되는 상기 여과스크린(320)의 측면에는 여과스크린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여과스크린부에 수용되는 폐수가 오버플러워(over flow)되도록 유출구(3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여과스크린(320)에 수용되는 폐수가 여과 스크린의 여과공이 막혀 미처 처리되지 못하하여 일정 수위를 넘게 되었을 때는 유출구(325)를 통하여 오버플러우(over flow)되어 통로(180)을 걸쳐 저장조(120)로 리턴된다. 상기 여과스크린(320)이 회전함에 따라 유출구(325)도 회전하므로, 유출구(325)는 장홀 형태가 바람직하다. 특히 장홀은 직선형태가 아니라 원호(圓弧)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장홀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도7과 도2 참조).
상기 여과스크린부(30)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박스(BOX) 형상의 케이싱(310) 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310) 내부에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여과스크린(320)이 안착된다. 상기 여과스크린(32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서, 다수의 여과공(321)이 형성되고 내부면에는 다수의 안내격판(323)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스크린(320)에 형성된 다수의 여과공(321)을 통해서 오수는 하측방향으로 자유낙하 하게 되고, 상기 여과공(321)을 통과하지 못하는 슬러지는 상기 여과스크린(320)의 내부에 잔존하게 된다. 이렇게 잔존하는 슬러지는 상기 여과스크린(320)이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안내격판(323)에 의하여 전방으로 이송하게 된다.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상기 안내격판(323)은 상기 여과스크린(320)의 중심축과 경사지게 형성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또한 하부로 낙하되는 오수는 오수 배출관(4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여과공(321)에는 불순물에 의하여 막히게 되고, 막힌 상기 여과공(321)으로는 오수가 통과할 수 없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상기 여과공(321)을 세척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세척과정은 상기 케이싱(310)에 구비되는 한 쌍의 투명한 투시창(370)에 의하여 관찰 할 수 있고, 상기 투시창(370)은 힌지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여과스크린(320)의 상부에는 청소용브러쉬(330)가 장착되어서 상기 여과스크린(32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청소용브러쉬(330)는 상기 여과스크린(320)의 전체 외주면을 세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청소용브러쉬(330)는 케이싱(310)의 외부면에 장착된 회전손잡이(350)와 연결되어 있어서, 사용자는 상기 회전손잡이(350)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청소용브러쉬(330)의 상하 이동을 조절 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매립된 스프링(355)에 의하여 상기 청소용 브러쉬(330)에 일정한 탄성력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여과스크린(320)의 상부에는 분사관(340)이 장착되는데, 상기 분사관(340)의 하측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다수의 분사노즐(345)이 형성되어 상기 분사관(340)으로 공급되는 용수를 하방으로 분사하여서 상기 여과스크린(320)을 세척하게 된다. 상기 분사관(340)에 공급되는 용수는 차단밸브(161)에 의하여 또한 단속할 수 있다.
상기 여과스크린(320)으로 폐수를 공급하는 상기 폐수이송관(140)의 단부에는 T자관(360)이 장착되는데, 상기 T자관(360)은 상기 여과스크린(320)으로 공급되는 폐수가 지관을 통하여서 안정적으로 공급되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폐수이송관(140)과 연결되는 상기 여과스크린(320)의 측면에는 원호 형상의 장홀(325)이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여과스크린(320)에 수용되는 폐수가 상기 장홀(325)을 통하여서 오버플러워(over flow)되는 데, 상기 여과스크린(320)이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장홀(325)도 회전되므로, 상기 장홀(325)은 직선형태가 아니라 원호(圓弧)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장홀(325)에서 오버플러워 되는 폐수는 상기 저장조(110)로 이동된다.(도7과 도2 참조)
상기 여과스크린부(30)에서 일차로 여과된 슬러지는 상기 압착탈수부(50)에서 압착하여서 2차로 탈수되는데, 상기 압착탈수부(50)는 상기 1차배출구(380)와 연통되고, 하부에는 오수가 낙하할 수 있는 탈수공(531)이 다수 개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하우징(530)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530)의 전방에는 내측으로 일정각도 로 경사지는 깔때기 형상의 압착통(535)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30)에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스크류(510)가 안착되어서 상기 1차배출구(380)에서 공급되는 슬러지를 전방으로 이송시킨다. 이송되는 슬러지는 단면적이 감소되는 상기 압착통(535)에서 압착되어 잔존하는 오수는 상기 탈수공(531)을 통하여 하부로 낙하하고, 낙하되는 오수는 상기 오수배출구(4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여과스크린은 도8a와 8b와 같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일측에는 상기 여과공(321)과 안내격판(323)이 형성된 원통스크린(320a)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부분적인 링(Ring) 형상의 링크(329)가 링크축(326)에 의하여 나선형상으로 연결된 원통형상이고, 연결되는 상기 링크(329)와 링크(329) 사이의 틈으로 오수가 하부로 흘러내리는 링크스크린(320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원통스크린(320a)에서는 여과공(321)에 의하여 오수가 하부로 배출되고, 슬러지는 상기 안내격판(323)에 의하여 이동되며, 상기 링크스크린(320b)에서는 상기 링크(329)와 링크(329) 사이의 공간에 의하여 오수가 낙하하고, 나선형상으로 연결된 상기 링크(329)에 의하여 슬러지가 전방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서로 다른 성상의 폐수가 유입되거나, 유입되는 폐수의 량이 변동이 있어도 유량조정조에 의하여 유량을 분배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여과스크린에 과다하게 흘러가는 폐수를 조절할 수 있어서, 효과적으로 슬러지를 분리할 수 있고, 또한 여과스크린의 여과공이 막히게 되더라도 처리되지 못한 폐수를 유량조정조로 리턴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여과스크린부로부터 여과되지 않고 유출되는 폐수의 발생을 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경하여 실시있다..

Claims (4)

  1. 외부로부터 폐수가 유입되는 폐수 유입관과, 유입된 폐수가 유출되는 폐수 이송관과, 유입된 폐수가 일정 수위를 넘었을 때 일정 수위를 넘는 폐수를 오버플로우 되어 흘러나가는 유량 조정조와;
    상기 유량조정조로부터 오버 플로우되어 유입되는 폐수가 저장되는 저장조와;
    상기 저장조의 폐수를 상기 유량 조정조로 이송시키는 이송펌프와;
    주위에 여과 홀이 뚫려 있는 원통형상으로 된 여과 스크린과, 상기 여과 스크린의 한쪽에 부착되며 그 중심에는 상기 폐수 이송관이 관통하는 관통구가 상기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는 상기 여과 스크린으로 들어온 폐수가 일정 양을 넘었을 때 오버 플로우되어 빠져 나가도록 하는 유출구가 형성된 측면판과, 상기 측면판과 반대쪽으로는 상기 여과 스크린 내의 슬러지가 배출되는 슬러지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폐수 여과부와;
    상기 여과 스크린의 상기 유출구를 통하여 흘러나오는 폐수를 상기 저장조로 흘러들어가게 하는 리턴 통로와;
    상기 폐수 여과부의 슬러지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슬러지를 압착 탈수하고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하는 압착 탈수부를 포함하는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정조로부터 오버 플로우되는 폐수는 바이패스 통로를 걸쳐 상기 저장조로 유입되는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스크린의 측면에는 형성된 유출구는 원호 형상으된 장홀로 구성되어 상기 여과스크린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여과스크린부에 수용되는 폐수가 오버플러우(over flow)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홀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
KR1020060018199A 2006-02-24 2006-02-24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 KR200600227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199A KR20060022730A (ko) 2006-02-24 2006-02-24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18199A KR20060022730A (ko) 2006-02-24 2006-02-24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410A Division KR100593293B1 (ko) 2004-03-31 2004-03-31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730A true KR20060022730A (ko) 2006-03-10

Family

ID=37129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8199A KR20060022730A (ko) 2006-02-24 2006-02-24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27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9981B1 (ko) 드럼스크린 협잡물 처리장치
KR101436281B1 (ko) 우수 처리 장치
KR100557985B1 (ko) 오폐수 및 하수 여과장치
KR100593293B1 (ko)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
KR100928559B1 (ko) 분뇨와 축산폐수 및 하수 처리용 다단 스크린장치
KR101244211B1 (ko) 하수 및 오폐수용 협잡물 처리기
EA024103B1 (ru) Шнековый пресс
KR101261437B1 (ko) 스크린 자동세척기능을 향상시킨 협잡물 종합처리기
KR100949076B1 (ko) 여과수단
KR200364682Y1 (ko)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
KR102012018B1 (ko) 목욕탕 목욕수 여과장치
KR20050080074A (ko)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KR200406764Y1 (ko) 일체형 스크린 및 원통형 모래제거기
US6334951B1 (en) Reverse osmosis water treatment system with tube connecting unit
KR101466765B1 (ko) 여과지의 역세척수 배출 방법 및 장치
KR100762981B1 (ko) 도수로의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2114600B1 (ko) 유량제어 및 내진 성능을 강화한 스마트 자동제어 비점오염 저감 시설
KR20060022730A (ko) 폐수의 슬러지 분리장치
KR200436035Y1 (ko) 생활하수의 슬러지 처리장치
KR100921785B1 (ko) 오수 여과장치
KR102521780B1 (ko) 이중 원추형 드럼스크린 장치
KR100762416B1 (ko) 침전상등수용 여과장치
JP4002095B2 (ja) 沈砂池の集砂装置
KR200206446Y1 (ko) 오수정화장치
KR101884307B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역세시스템이 구비된 침지형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