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1355A - A portable terminal device - Google Patents

A portable terminal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1355A
KR20060011355A KR1020040060166A KR20040060166A KR20060011355A KR 20060011355 A KR20060011355 A KR 20060011355A KR 1020040060166 A KR1020040060166 A KR 1020040060166A KR 20040060166 A KR20040060166 A KR 20040060166A KR 20060011355 A KR20060011355 A KR 20060011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ortable terminal
terminal device
gripping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016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나경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0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11355A/en
Publication of KR20060011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135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Abstract

휴대성과 조작성 및 사용상의 편리성을 증대시킨 휴대 단말장치가 개시된다. 휴대 단말장치는 소정의 너비와 두께로 형성되는 본체, 본체의 소정 부분에 형성되는 표시부, 본체의 소정 부분에 형성되는 입력부 및 본체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고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파지부를 구비한다. 또한, 휴대 단말장치의 파지부는 본체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고 본체의 너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1 조인트를 구비한 제1 파지부와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2 조인트를 구비한 제2 파지부를 구비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Disclosed are a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increased portability, operability, and convenience in use.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ncludes a main body formed in a predetermined width and thickness, a display part formed in a predetermined part of the main body, an input part formed in a predetermined part of the main body, and a grip part which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and is rotatab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It is provided. In addition, the gripping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can be inserted into the main body and the first gripping portion having the first joint to be rotat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second joint having the second joint to be rotatabl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ain body.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having a grip.

Description

휴대 단말장치{A PORTABLE TERMINAL DEVICE} Portable terminal device {A PORTABLE TERMINAL DEVICE}             

도1은 종래의 휴대 단말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of use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device.

도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3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장치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a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5A shows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b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5B shows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c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제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 5C shows a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6 shows a fif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410, 510, 610 : 본체 420, 520, 620 : 표시부410, 510, 610: main body 420, 520, 620: display unit

430, 530, 630 : 입력부 440, 540 : 파지부430, 530, 630: input unit 440, 540: gripping unit

640 : 제1 파지부 650 : 제2 파지부640: first gripper 650: second gripper

460, 560 : 마이크로 폰
460, 560: microphone

본 발명은 휴대 단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장치의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독립된 파지부를 갖는 휴대 단말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an independent gripping por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use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휴대 단말장치들, 예를 들면 모바일 폰(mobile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ocket PC(personal computer)는 공통적으로 표시장치라는 공통점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다. 즉, 초기의 흑백 표시장치에서 칼라 표시장치로 발전하고 최근에는 표시장치의 크기 및 선명도에 있어서도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Commonly used portable terminal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Pocket PCs (personal computers), are generally developed around commonalities of display devices. In other words, the development from the early black and white display device to the color display device has recently been progressing in the size and clarity of the display device.

표시장치의 표시부 크기의 증가는 보다 많은 데이터의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크기가 증가하는 추세이나, 표시부의 크기의 증가는 휴대 단말장치의 전체적인 크기의 증가를 유발하기 때문에 휴대의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Increasing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of the display device tends to increase its size because more data can be represented, but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causes an increase in the overall size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causing inconvenience to carry. do.

도1은 종래의 휴대 단말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of use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device.

도1을 참고하면, 일예로 휴대 단말장치 중 PDA나 Pocket PC의 경우에는 가로의 길이가 12㎝를 넘는 경우에는 성인이 한 손으로 잡고 사용하기에 불편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Referring to FIG. 1,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DA or a Pocket PC among portable terminal devices, when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device exceeds 12 cm, an adult may be uncomfortable to use it with one hand.

도2는 일본 공개특허 2002-132384에 개시된 발명으로 휴대 단말장치의 사용 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한 파지부를 제시한다.Fig. 2 is a invention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2-132384, which presents a gripper for the convenience of use of a portable terminal device.

도2를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장치는 본체(210), 표시부(220), 파지부(230) 및 조작 스위치(240)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2,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 main body 210, a display unit 220, a grip unit 230, and an operation switch 240.

파지부(230)는 본체의 주평면과 평행한 상태에서 내부에 형성되는 회전 지지기구에 의해 주평면의 하방으로 90°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 상태에 따라 이를테면, 보행시 또는 서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파지부(230)의 위치를 선택한 상태에서 터치 핀(touch pin)으로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소정 역할을 수행하는 조작 스위치(240)를 파지부(230)에 설치함으로써 엄지손가락으로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The gripping portion 230 is formed to be rotated 90 ° below the main plane by a rotation support mechanism formed therein in a state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main body. Therefore, according to the use state,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input data with a touch pin in a state where the position of the gripper 230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in walking or standing. In addition, by installing the operation switch 240 to the predetermined portion 230 to perform a predetermined role can be conveniently operated with the thumb.

그러나 상기 일본 공개특허 2002-132384에 개시된 발명에 따르면 파지부(230)가 본체(210)의 외부에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파지부 자체가 차지하는 부피로 인하여 전체적인 휴대 단말장치의 부피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2-132384, since the grip portion 230 is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10, the volume of the overall portable terminal device is increased due to the volume occupied by the grip portion itself. There is a problem.

도3은 일본 공개특허 2001-331237에 개시된 발명으로 휴대 단말장치의 파지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3 illustrates a method for solving the problem of gripping a portable terminal device with the invention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331237.

도3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 단말장치는 표시부(320)를 포함한 표시 유닛(310)과 입력부(370)를 포함한 조작 유닛(340)이 개패 가능하게 연결된 휴대 단말장치에 있어서, 조작 유닛의 소정 위치에 회동 가능한 파지부(360)를 설치하여 한 손으로 휴대 단말장치를 파지하기에 편리한 구조로 형성하고 파지한 손의 엄지손가락의 이동범위 내에 입력 키들(380, 390)을 더 포함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을 도모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a portable terminal device in which a display unit 310 including a display unit 320 and an operation unit 340 including an input unit 370 are opened and closed. The rotatable grip part 360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o form a convenient structure for holding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with one hand, and further includes input keys 380 and 390 within a moving range of the thumb of the held hand. Formation aims at convenience of use.                         

그러나 상기 일본 공개특허 2001-331237에 개시된 발명에 따르면 개패 가능하게 형성된 휴대 단말장치의 파지에는 편리하나, 단평면으로 형성되는 휴대 단말장치를 일정한 평면상에 놓은 상태로 사용 시에는 표시부를 표시되는 데이터 정보를 확인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331237, it is convenient for gripping a portable terminal device that is formed to be openable, but th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when the mobile terminal device formed in a single plane is placed on a predetermined plane. There is a problem that is difficult to verify information.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보행 시 또는 서있는 상태에서 사용이 편리하도록 파지부를 형성한 휴대 단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a gripping portion for convenient use when walking or standing.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파지부에 마이크로 폰을 장착하여 음성 데이터를 입력시 사용이 보다 편리한 휴대 단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device which is more convenient to use when inputting voice data by attaching a microphone to the gripping portion.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상기 파지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하여 음성 데이터를 입력시 및 휴대 단말장치의 미 사용 상태에서 이동과 보관에 보다 편리한 휴대 단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 thir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device which is formed to be rotatable so as to be more convenient for movement and storage when inputting voice data and in an unused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파지부를 하나의 지지대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일정한 평면상에 세워놓은 상태에서 사용함으로 사용상의 편리성을 보다 강화시킨 휴대 단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 fourth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device which is further enhanced in convenience of use by being used in a state where it is placed on a predetermined plane by forming a structure that can be used as a suppor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의 너비와 두께로 형성되는 본 체, 본체의 소정 부분에 형성되는 표시부, 본체의 소정 부분에 형성되는 입력부 및 본체의 하부 측면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고,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파지부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an be inserted into the body formed in a predetermined width and thickness, the display portion form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the input portion form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A gripping portion is formed to be rotatab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또한, 파지부는 본체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고, 본체의 너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본체와 체결하는 제1 조인트를 포함하는 제1 파지부,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제1 파지부와 체결하는 제2 조인트를 포함하는 제2 파지부로 형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gripping portion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the first gripping portion including a first joint for fastening with the main body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fastening with the first gripping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ain body It may be formed as a second gripping portion including a second joint.

또한, 파지부에는 마이크로 폰을 더 구비하는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gripping portion can be formed in a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microphon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장치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장치는 본체(410), 표시부(420), 입력부(430, 여기서 430은 430a, 430b, 430c, 430d, 430e, 430f 전체를 지칭한다) 및 파지부(440, 여기서 440은 440a 및 440b를 지칭한다)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4,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410, a display unit 420, an input unit 430 (where 430 refers to all of 430a, 430b, 430c, 430d, 430e, and 430f) and a gripper. (440, where 440 refers to 440a and 440b).

본체(410)는 하기하는 표시부 및 입력부를 포함되기 위해 소정의 너비와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본체(410)의 하부 측면에는 하기하는 파지부(440)가 삽입 가능하도록 홈이 형성된다.The main body 41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thickness to include a display unit and an input unit described below. In addition, a groove is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410 to be inserted into the grip portion 440 to be described below.

표시부(420)는 본체(410)의 전면에 형성되고, 화면 표시기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하여 터치 패널(touch panel)로 형성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display unit 42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410, and is generally formed as a touch panel in order to serve as a screen display and receive data from a user.

입력부(430)는 본체(410)의 소정 부분에 형성된다. 일예로 입력부(430)는 표시부(420)가 형성되는 본체의 전면 하단 또는 본체의 측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해당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에게는 선택적으로 입력부(43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The input unit 43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410. For example, the input unit 430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on which the display unit 420 is formed or on the side of the main bod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osition of the input unit 430 can be selectively changed.

파지부(440)는 휴대 단말장치의 본체(410)를 파지하여 사용하는데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파지부(44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gripping portion 44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for convenience in gripping and using the main body 410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Referring to the use state of the gripping portion 440 is as follows.

파지부(440)는 본체(410)의 하부 측면의 양단에 형성한다. 파지부(440)는 휴대 단말장치를 미사용 시 본체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휴대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기 위하여 각각의 파지부(440a, 440b)의 길이는 본체의 너비의 2분지 1을 초과하지 않는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 단말장치의 사용 시에는 상기 홈으로부터 파지부(440)를 본체(410)의 하부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파지부(440a, 440b)와 본체(410)가 결합되는 부분에 회동 가능한 조인트들(450a, 450b)로 체결한다. 또한, 파지부(440)를 파지한 상태로 휴대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엄지손가락의 움직임 범위 내에 입력부(430)를 형성함으로써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The grip portion 440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side of the body 410. The gripper 440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whe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s not used,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of carrying. In addition, in order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the lengths of the respective grip parts 440a and 440b are preferably formed to have a length not exceeding one half of the width of the main body. Whe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s used, joints rotatable to portions where the respective grip parts 440a and 440b and the main body 410 are coupled to rotate the grip part 440 from the groove toward the low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410. Fasten with (450a, 450b). In addi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s used while the gripping unit 440 is held, the user may conveniently input data in the gripping state by forming the input unit 430 within the movement range of the thumb.

또한, 파지부(440)의 소정 위치에 마이크로 폰(460a, 460b)을 더 포함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이동 전화기능 및 녹음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 하다.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o perform a mobile phone function and a recording function by forming a structure further including the microphones (460a, 460b)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grip portion 440.

도5a, 도5b 및 도5c는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제2 내지 제4 실시예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이해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5A, 5B and 5C are diagrams respectively showing preferred second to fourth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the same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5a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제2 실시예는 본체(510), 표시부(520), 입력부(530, 여기서 530은 530a 내지 530f를 모두를 지칭한다) 및 파지부(540a)를 구비한다.Referring to FIG. 5A,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510, a display unit 520, an input unit 530 (where 530 refers to all of 530a to 530f) and a gripper 540a. .

본체(510), 표시부(520) 및 입력부(530)는 도4에 도시된 본체(410), 표시부(420) 및 입력부(430)와 각각 동일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main body 510, the display unit 520, and the input unit 530 are the same as the main body 410, the display unit 420, and the input unit 430 illustrated in FIG. 4,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파지부(540)는 본체(510)의 하부 측면의 일측에 형성함으로써 한 손으로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입력부(530) 및 터치 패널(520)을 통하여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기에 편리한 구조로 형성한다. 파지부(540a)는 휴대 단말장치를 미사용 시 본체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휴대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휴대 단말장치의 사용 시에는 상기 홈으로부터 파지부(540)를 본체(510)의 하부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하여 파지부(540)와 본체(510)가 결합되는 부분에 회동 가능하도록 조인트(550a)로 체결한다. 또한, 파지부(540)를 파지한 상태로 휴대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엄지손가락의 움직임 범위 내에 입력부(530)를 형성함으로써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The gripper 54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510 to allow the user to input data through the input unit 530 and the touch panel 520 with the other hand while holding the gripper with one hand. Form in a convenient structure. The gripper 540a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i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whe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s not in use,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of carrying. Whe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s used, the joint 550a is rotatable in a portion where the grip part 540 and the main body 510 are coupled to rotate the grip part 540 from the groove toward the low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510. Tighten. In addi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s used while the gripping unit 540 is held, the user may conveniently input data in the gripping state by forming the input unit 530 within the movement range of the thumb.

도5b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제3 실시예는 도5a에 도시된 바와 비교하여 파지부(540a)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요소로 형성되고 동일한 구성요소 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Referring to FIG. 5B, a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the same components except for the holding portion 540a, and the same components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shown in FIG. 5A.

파지부(540b)는 도5a와 대응되는 본체(510)의 하부 측면의 타측에 형성함으로써 한 손으로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입력부(530) 및 터치 패널(520)을 통하여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기에 편리한 구조로 형성한다. The gripper 540b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510 corresponding to FIG. 5A,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gripper with one hand while the user grips the input unit 530 and the touch panel 520 with the other hand. It has a convenient structure for entering data.

도5c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제4 실시예는 도5a에 도시된 바와 비교하여 파지부(540a)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구성요소로 형성된다.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Referring to FIG. 5C, the four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f the same components except for the grip portion 540a as compared to that shown in FIG. 5A. Identical components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파지부(540c)는 본체(510)의 하부 측면의 중앙에 형성함으로써 한 손으로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입력부(530) 및 터치 패널(520)을 통하여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하기에 편리한 구조로 형성한다. 또한, 본체의 하부 측면의 중앙에 형성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휴대 단말장치의 파지가 가능하다.The gripper 540c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510 so that the user can input data through the input unit 530 and the touch panel 520 with the other hand while holding the gripper with one hand. Form in a convenient structure. In addition, by forming in the center of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it is possible to hold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more stably.

또한, 도5a 내지 도5c에 도시된 각각의 실시예에 도시된 각각의 파지부(540a, 540b, 540c)의 소정 위치에 마이크로 폰(460a, 460b)을 더 포함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이동 전화기능 및 녹음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mobile telephone function and the microphone 460a and 460b are further form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of the respective grip portions 540a, 540b and 540c shown in the respective embodiments shown in FIGS. 5A to 5C.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recording function.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6 shows a fifth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휴대 단말장치는 본체(610), 표시부(620), 입력부(630, 여기서 630은 630a 내지 630f 전체를 지칭한다), 제1 파지부들(640a, 640b) 및 제2 파지부들(650a, 650b)을 구비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610, a display unit 620, an input unit 630 (where 630 refers to the entirety of 630a to 630f), and first holding parts 640a and 640b. And second gripping portions 650a and 650b.

본체(610)는 하기하는 표시부(620) 및 입력부(630)를 포함되기 위해 소정의 너비와 두께로 형성된다. 또한 본체(610)의 하부 측면에는 하기하는 제1 파지부들 (640a, 640b) 및 제2 파지부들(650a, 650b)이 삽입 가능하도록 홈이 형성된다.The main body 61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thickness to include the display unit 620 and the input unit 630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In addition, a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610 to insert the first holding parts 640a and 640b and the second holding parts 650a and 650b described below.

표시부(620)는 본체(610)의 전면에 형성되고, 화면 표시기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사용자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하여 터치 패널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The display unit 62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610 and is generally formed as a touch panel to serve as a screen display and to receive data from a user.

입력부(630)는 본체(610)의 소정 부분에 형성된다. 일실시예로 표시부(620)가 형성되는 본체의 전면의 하단 또는 본체의 두께부분인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해당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에게는 선택적으로 입력부(630)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음은 자명한 사항이다.The input unit 63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610. In one embodiment, the display unit 620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on which the display unit 620 is formed or on the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osition of the input unit 630 can be selectively changed.

파지부는 제1 파지부(640, 여기서 640은 640a와 640b 모두를 지칭한다)와 제2 파지부(650, 여기서 650은 650a와 650b 모두를 지칭하다)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파지부(640, 650)는 휴대 단말장치의 본체(610)를 파지하여 사용하는데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소정의 길이와 갖도록 형성된다. The gripping portion is comprised of a first gripping portion (640, where 640 refers to both 640a and 640b) and a second gripping portion (650 where both 650a and 650b refer).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ortions 640 and 650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for convenience in gripping and using the main body 610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제1 및 제2 파지부(640, 650)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use states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ers 640 and 650 are as follows.

제1 파지부(640)는 본체(610)의 하부 측면의 양단에 형성한다. 제1 파지부(640)는 휴대 단말장치를 미사용 시 본체의 하부 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어 휴대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휴대 단말장치의 사용 시에는 상기 홈으로부터 파지부(640)를 본체(610)의 하부 방향 즉, 휴대 단말장치의 너비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하여 제1 파지부(640)와 본체(610)가 결합되는 부분에 회동 가능한 제1 조인트들(660a, 660b)로 체결한다. 또한, 제1 파지부(640)를 파지한 상태로 휴대 단말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엄지손가락의 움직임 범위 내에 입력부(630)를 형성함으로 써 파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The first gripping portion 640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lower side of the body 610. The first gripper 640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whe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s not in use,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of carrying. Whe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s used, the first gripper 640 and the main body 610 are coupled to rotate the grip part 640 from the groove in the low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610, that i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obile terminal device. It is fastened to the part by the 1st joints 660a and 660b which can be rotated. In addi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is used while the first gripper 640 is gripped, the user may conveniently input data in the gripped state by forming the input unit 630 within the movement range of the thumb.

제2 파지부(650)는 제1 파지부(640)의 하부와 연결된 구조로 형성한다. 제1 파지부(640)와 결합되는 부분에 회동 가능한 제2 조인트들(670a, 670b)로 체결한다. 제2 조인트들(670a, 670b)은 제1 파지부(640)가 회동하는 방향과 수직 방향 즉, 휴대 단말장치의 두께 방향으로 제2 파지부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제1 파지부(640)에 체결되는 제1 조인트들(660a, 660b)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체결된다. The second gripper 650 is formed in a structur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gripper 640. The second joints 670a and 670b which are rotatable to the portion engaged with the first gripping portion 640 are fastened. The second joints 670a and 670b are fastened to the first gripper 640 to rotate the second grippe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gripper 640 rotates, that is,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The first joints 660a and 660b are faste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상호 연결된 제1 파지부(640a)와 제2 파지부(650a) 및 제1 파지부(640b)와 제2 파지부(650b)의 각각의 길이의 합은 본체(610)의 하부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기 위하여 본체(610)의 너비의 2분지 1을 초과하지 않도록 형성한다.Preferably, the sum of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arts 640a and 650a and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arts 640b and 650b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s lower than the body 610. In order to be inserted into the formed groove is formed so as not to exceed two-quarters of the width of the main body 610.

또한, 선택적으로 제1 파지부(640) 또는 제2 파지부(650)의 소정 위치에 마이크로 폰을 더 구비한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이동 전화의 기능 또는 녹음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by selectively forming a microphon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first gripper 640 or the second gripper 650,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mobile phone function or a recording function. Do.

또한, 제1 파지부(640)의 회동 범위는 본체의 하부 측면에서 하부 방향으로 0~90°의 범위를 갖도록 형성하고, 제2 파지부(650)의 회동 범위는 제1 파지부(640)의 회동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회동하고 본체(610)의 하부 측면에 형성되는 모서리들과 제2 파지부(650)가 서로 접하는 범위를 갖도록 형성한다. In addition, the rotation range of the first gripper 640 is formed to have a range of 0 to 90 ° from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rotation range of the second gripper 650 is the first gripper 640. Rotat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and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rners and the second gripping portion 650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610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또한, 제2 파지부(650)는 본체(610)를 파지하기 위한 목적 외에도 본체(61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체(610)의 너비와 수직 방향으로 제2 파지부(650)를 소정 각도로 회동시킴으로써 일정한 평면상에 휴대 단말장치를 세워놓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장치에 데이터를 입력 또는 출력할 수 있다. 즉, 파지부를 제1 파지부(640)와 제2 파지부(650)로 구성함으로써 파지부의 운동 자유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어 휴대 기기의 사용의 편리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gripping portion 650 may also serve as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main body 610 in addition to the purpose of holding the main body 610. That is, by rotating the second gripping portion 650 at a predetermined angl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idth of the main body 610, data can be input or output to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while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s placed on a predetermined plane. That is, by configuring the gripping portion with the first gripping portion 640 and the second gripping portion 650, the freedom of movement of the gripping portion can be further increased, which can further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of the portable devic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I can understand that you can.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 단말장치에 독립된 파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이동 중 및 서있는 상태에서 휴대 기기를 통하여 데이터를 입력 및 출력하데 있어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an independent gripping por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t can be conveniently used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through the portable device while moving and standing.

또한, 표시부의 크기의 증가로 인하여 휴대 단말장치의 크기가 증가하여 발생하는 파지시의 문제점을 방지 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 problem in gripping caused by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due to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display.

또한, 파지부에 마이크로 폰을 장착하여 소정의 각도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마이크로 폰의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동 전화기능 및 녹음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에 보다 편리하다.In addition, since the microphone can be used in a state where the microphone is mounted at the grip part and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t is more convenient to perform a function such as a mobile phone function and a recording.

또한, 파지부를 다단으로 구성함으로써 휴대 단말장치를 일정한 평면상에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편리하게 휴대 단말장치의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can be supported on a predetermined plane by constructing the holding unit in multiple stages, the portable terminal apparatus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Claims (11)

소정의 너비와 두께로 형성되는 본체; A main body formed to a predetermined width and thickness; 상기 본체의 소정 부분에 형성되는 표시부; A display unit form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의 소정 부분에 형성되는 입력부; 및 An input unit form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상기 본체의 하부 측면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고,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파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장치.And a gripping portion which is inserted into an inner side of a lower side of the main body and is formed to be rotatable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ripping portion 상기 본체의 하부 양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장치.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ripping portion 상기 본체의 하부 양단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장치.A portable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one side of both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ripping portion 상기 본체의 하부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장치.Portable terminal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lower center of the main body. 제2 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The body of claim 2, wherein the body 상기 파지부와 인접한 부분에 상기 파지부를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이 가능하 도록 상기 파지부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입력 키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장치.And a input key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from the holding portion so as to be operable in a state in which the holding portion is held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holding portion. 제2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The holding par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4, wherein the gripping portion 상기 파지부의 소정 위치에 마이크로 폰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장치.And a microphon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gripping portion.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는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gripping portion 상기 본체의 하부 측면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본체 너비의 2분지 1 이하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장치.And a length equal to or less than two quarters of the width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소정의 너비와 두께로 형성되는 본체; A main body formed to a predetermined width and thickness; 상기 본체의 소정 부분에 형성되는 표시부; A display unit form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의 소정 부분에 형성되는 입력부; An input unit formed o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main body; 상기 본체의 내측으로 삽입 가능하고, 상기 본체의 너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와 체결되는 제1 조인트를 포함한 제1 파지부; 및 A first gripping portion insertable into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first joint fastened to the main body to be rotatable in a width direction of the main body; And 상기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제1 파지부와 체결되는 제2 조인트를 포함한 제2 파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장치.And a second gripping portion including a second joint fastened to the first gripping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main body.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파지부 및 제2 파지부는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holding portion and the second holding portion 상기 본체의 하부 양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장치.The portable terminal device is formed on both ends of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body is 상기 제1 및 제2 파지부들을 파지한 상태에서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파지부들과 인접한 부분에 입력 키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장치.And an input key in a portion adjacent to the gripping parts so as to be operated while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arts are held. 제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제1 파지부와 제2 파지부 중 어느 한 부분에 마이크로 폰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장치.The portable terminal device further comprises a microphone i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gripping parts.
KR1020040060166A 2004-07-30 2004-07-30 A portable terminal device KR2006001135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166A KR20060011355A (en) 2004-07-30 2004-07-30 A portable termin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0166A KR20060011355A (en) 2004-07-30 2004-07-30 A portable terminal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1355A true KR20060011355A (en) 2006-02-03

Family

ID=3712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166A KR20060011355A (en) 2004-07-30 2004-07-30 A portable terminal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11355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6933B2 (en) Portable folding type cradle
US20060135225A1 (en) Handheld electronic data processing device
KR20080064424A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EP1950937A2 (en) Portable apparatus
JP2007306615A (en) Hingeless mobile station
JP2022066795A (en) Information device system and input apparatus
KR20050084187A (en) Radio terminal with two-way hinge
JP2002196860A (en) Portable and folding type data input device equipped with conical hinge means to be use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JP2009267490A (en) Expansion apparatus
JP3463392B2 (en) Electronics
JP2010065801A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provided with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JP2002341998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character input device
KR20060011355A (en) A portable terminal device
WO2003058422A9 (en) Electronic display
JP2002215265A (en) Portable information processor
US7324643B2 (en) Invisible double function hinge construction
JPH1139058A (en) Pen input type electronic unit
JP2004007188A (en) Electronic apparatus
KR101217552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multi-display panel
JP4957791B2 (en) Electronics
JP2001358811A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equipment
US20050195576A1 (en) Housing assembly for an electronic device
JP3655869B2 (en)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JP2009159419A (en) Electronic device
KR100652812B1 (en) Folder- type hinge device and personal portable device using the hing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