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0735A - 광파이버 케이블 분배 프레임 - Google Patents

광파이버 케이블 분배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10735A
KR20060010735A KR1020057018455A KR20057018455A KR20060010735A KR 20060010735 A KR20060010735 A KR 20060010735A KR 1020057018455 A KR1020057018455 A KR 1020057018455A KR 20057018455 A KR20057018455 A KR 20057018455A KR 20060010735 A KR20060010735 A KR 20060010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distribution
fiber
array
distribution group
bl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8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필립 알프레드 바커
존 케리
크리스토퍼 찰스 테일러
Original Assignee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0307394A external-priority patent/GB0307394D0/en
Priority claimed from GB0322490A external-priority patent/GB0322490D0/en
Application filed by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filed Critical 브리티쉬 텔리커뮤니케이션즈 파블릭 리미티드 캄퍼니
Publication of KR20060010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7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59Ducts; Conduits; Hollow tubes for air blown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 G02B6/4478Bending relief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02B6/52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using fluid, e.g. ai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용 분배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인입 케이블의 광파이버에 연결되고 제 2 유연분배체군을 경유하여 제 1 유연분배체군에서 종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유연분배체군은 결합된 블로운 파이버를 통신용 교환기 또는 라우터의 설비 내에서 경로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연속적인 블로운 파이버 유닛이 상기 결합된 블로운 파이버 튜브를 통해 연장한다. 블로운 파이버 튜브 유연성 모듈(14)은 패치 패널(11)을 가지며, 여기에는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널(11)의 상부에는 한 세트의 굴곡 제어 날개(bend control vane) 또는 맨드릴(mandrel)(24)이 있으며, 상기 패널의 커넥터 사이트의 각각에 하나씩 대응한다. 패치 튜브는 상기 모듈의 후면에 있는 개구를 아래로 통과하여 밖으로 나간다.

Description

광파이버 케이블 분배 프레임{OPTICAL FIBER CABLE DISTRIBUTION FRAME}
본 발명은 통신용 교환국 또는 라우터 설비와 이와 같은 설비에서 연결을 생성하고 연결을 재 경로 설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통신용 교환국 빌딩은, 보통 장비랙에 설치되고 케이블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또한 외부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된 교환기와 같은 아주 다양한 대량의 장비를 수용한다. 통신 네트워크의 트렁크 부분은 오늘날 대부분 모두 광파이버이다. 점진적으로, 광파이버 사용은 FTTK(fiber-to-the-kerb), FTTC(fiber-to-the-cabinet), 심지어 FTTP(fiber-to-the-premises)까지 가입자망으로 확장한다. 결국, 사실상 현대의 모든 전화 교환국 설비는 유선 회선보다는 광파이버 회선이 상당 부분을 포함한다. 광파이버는 굴곡과 당김(strain)에 민감하기 때문에, 교환국 설비 내에서 광 상호연결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환국 또는 라우터 빌딩 내의 광파이버 설비의 주요 기능 중 하나는 특정 장비 세트로부터 파이버, 예컨대 외부 통신 네트워크로부터의 인입 케이블까지 파이버를 관리하고 경로 설정하는 것이다. 광파이버가 네트워크에서 더욱 많이 그리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면서, 그와 같은 파이버의 경로 설정 및 패치는 특히 교환국 내에서 점차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 주된 문제는 장비의 양적 증가와 필요한 순 연결 숫자이다. 이들 문제는 교환국 내의 성장, 갱신, 변경에 의해 악화되며, 결과적으로 새로운 장비 또는 시스템의 상호연결이 필요하다. 인입 케이블의 물리적인 위치는 거의 변하지 않지만, 케이블이 추가될 수 있고 새로운 장비나 시스템이 기존 것과 다른 위치에 거의 틀림없이 존재할 것이고, 어떤 경우든 보통 이동이나 다른 연결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교환국 빌딩 내에서 파이버 경로 설정하는 현재의 방법은 OFR(Optical Fiber Rack)에 의해 달성되며, 이것은 교환국 빌딩 내에서 케이블이 경로 설정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연결 또는 유연분배점으로서 역할을 한다. OFR은 수백 개의 개별 연결된 파이버를 수용할 수 있지만 완전히 찼을 때는, 종종 있는 경우처럼, OFR에서 심각한 혼잡이 일어난다. 케이블 경로의 재 경로설정이 필요한 이러한 경우에 개별 파이버를 식별하고, 위치 확인하고, 격리시키는 것이 종종 곤란하기 때문에, 작업에 시간이 낭비되고 일을 복잡하게 한다. 파이버의 과밀로부터 발생하는 또 다른 문제는 파이버가 근접한 다른 파이버를 가로질러 경로설정되는 것이며, 그리하여 합해진 무게가 OFR의 바닥 부근에 위치한 파이버를 압박하고, 광 손실의 증가에 따른 회선 고장의 위험과 심지어 파이버 절단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이 문제는 광 손실의 증가에 더욱 민감한 경향이 있는 고속 전송 시스템이 도입되면서 한층 더 중요하게 된다.
광파이버 케이블링의 설치 및 관리, OFR과 같은 케이블의 경로 설정 및 지지 구조체는 통신용 교환국 시스템의 설치 및 케이블의 전체 비용, 시간 및 노력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한다. 교환국 장비를 상호 연결하거나, 또는 인입 케이블을 교환 국 장비의 랙에 연결하는 현재의 방법은 일반적으로 커넥터 또는 스플라이스에 의해, 또는 두 개의 조합에 의해 종단 간에 연결되는 몇 개의 길이를 갖는 광파이버를 포함한다. 상기 인입 케이블로부터 장비랙까지 파이버에 의해 취해진 경로는, 특히 상기 목적지 장비랙이 인입 케이블에서 물리적으로 멀리 떨어진 경우, 예를 들어 장비가 교환국 빌딩내에서 인입 케이블로부터 분리된 층에 설치된 경우에는 아주 많은 수의 연결 및 스플라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방법은 흔히 알려져 있고, 예컨대 디. 브루어(D. Brewer) 등에 의해 1995년 발표된 Modular Optical Plant for Access Network: Operational Aspects(Proc. EFOC & N(Technology and Infrastructure)의 164 - 167 페이지에 기술되어 있다.
커넥터 또는 스플라이스를 사용하여 파이버 경로를 생성하는 기존의 방법에 관련된 문제는 파이버 종단의 결합에 내재하는 섬세한 성질에서 발생하며, 이는 전문적인 장비와 전문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을 소모한다. 연결과 스플라이싱은 또한 상기 연결점의 품질에 관계없이 광 손실을 피할 수 없다. 다른 문제도 일어날 수 있으며: 예컨대, 저장된 파이버는 상기 스플라이스의 어느 한쪽을 마모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파이버 권선수를 감소시키고 그리하여 나중에 다시 스플라이스 할 기회를 감소시킨다.
제 1 측면으로, 본 발명은 통신용 교환기 설비 내에서 광파이버를 경로설정하는 유연분배체군(flexibility suite)을 제공하며, 상기 유연분배체군은, 제 1 세트의 도관을 포함하는 제 1 유연분배점과 제 2 세트의 도관을 포함하는 제 2 유연 분배점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세트의 각 도관은 제 1 종단이 제 1 어레이에 배치되고 제 2 종단이 제 2 어레이에 배치되고, 제 2 세트의 각 도관은 제 1 종단이 제 3 어레이에 배치되고 제 2 종단이 제 4 어레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연분배체군은, 상기 제 2 및 제 3 어레이에서 종단이 상호 연결되는 도관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 1 어레이의 임의의 도관의 종단과 상기 제 4 어레이의 임의의 도관의 종단 사이에 연속적인 경로가 형성되도록, 관 모양의 상호연결 수단에 의해 상기 제 2 어레이의 도관 종단과 상기 제 3 어레이의 도관 종단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은 교환국 세팅에서 블로운 파이버(blown fibre)의 사용을 용이하게 한다. 이 구성은 또한 상기 제 2 및 제 3 어레이 사이에 만들어진 "패치"의 선택을 단순히 변경함으로써 기존 부분 경로를 다시 사용하여 새로운 경로의 제공을 용이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제 2 세트의 도관은 양방향(double-ended) 커넥터의 구멍에 의해 형성될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세트의 도관은 양방향 커넥터의 구멍에 의해 종종 형성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는 유연분배체군 사이에, 교환기 또는 라우터에 그리고 패치 튜브로서 사용되는 튜브에 대해 또는 그 내부에 밀봉 그립을 제공하는 압착-고정 커넥터이다. 이와 같은 커넥터는 튜브 경로의 신속한 커미셔닝(commissioning) 및 재-커미셔닝(re-commissioning)을 용이하게 한다.
제 2 측면으로, 본 발명은, 통신용 교환기 및 라우터와, 제 1 측면에 의한 제 1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유연분배체군과, 제 2 어레이와 제 3 어레이 사이의 상호연결을 경유하여 제 1 어레이로부터 제 4 어레이까지의 각 유연분배체군을 통해 규정되는 서브-경로와, 상기 제 2 유연분배체군(들) 또는 이들 중 하나의 제 1 어레이와 상호연결되는 상기 제 1 유연분배체군의 상기 제 4 어레이와, 상기 제 2 유연분배체군 또는 상기 제 2 유연분배체군 중 최종 유연분배체군의 제 4 어레이와 상기 교환기 또는 라우터 사이에 제공되는 관 모양의 경로, 관 모양의 상호연결 수단에 의해 선행하는 제 2 유연분배체군의 제 4 어레이와 상호연결되는 후속하는 제 2 유연분배체군 각각의 제 1 어레이와, 있다면, 직렬로 상호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 유연분배체군과 상기 교환기 또는 라우터 사이에 블로운 파이버 부재(blown-fibre member)의 설치를 위한 사실상 연속적인 경로를 제공하는 다른 제 2 유연분배체군을 포함하고, 상기 교환기 및 라우터는 상기 사실상 연속적인 경로를 따라 연장하는 연속적인 블로-파이버 부재의 광파이버를 경유하여 외부 통신용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설치시스템에 진입하는 광파이버 케이블의 광파이버까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제 3 측면으로, 본 발명은, 통신용 교환기 또는 라우터 설비에서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진입하는 인입 케이블의 광파이버와 통신용 교환기 또는 라우터 사이에 연결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다양한 길이의 블로운 파이버 튜브를 설치하는 단계, 제 1 유연분배체군으로부터 제 2 유연분배체군을 경유하여 상기 통신용 교환기까지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다양한 길이의 블로운 파이버 튜브의 종단을 결합하는 단계, 그 다음 상기 통신용 교환기와 상기 인입 케이블의 광파이버 사이에 광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결합된 블로운 파이버 튜브에 의해 형성 된 상기 경로를 통해 연속적인 블로운 파이버 유닛을 블로잉에 의해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유연분배체군은 상기 결합된 블로운 파이버 튜브를 상기 설비 내에서 경로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제 4 측면으로, 본 발명은, 제 1 통신용 교환기 또는 라우터와 제 1 유연분배체군 사이의 연결로부터 제 1 통신용 교환기 또는 라우터와 상기 제 1 유연분배체군 사이에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 통신용 교환기 또는 라우터 설비에서 기존 연결을 다시 경로 설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제 1 통신용 교환기와 제 1 유연분배체군 사이의 연결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유연분배체군에서 제 2 유연분배체군을 경유하여 상기 제 2 통신용 교환기까지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다양한 길이의 블로운 파이버 튜브의 종단을 결합하는 단계, 그 후에 상기 결합된 블로운 파이버 튜브에 의해 형성된 상기 경로를 통해 블로잉에 의해 연속적인 블로운 파이버 유닛을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유연분배체군은 상기 결합된 블로운 파이버 튜브를 상기 설비 내에서 경로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종래 방법에 따라 배치된 광파이버 케이블을 사용하는 교환기 설치의 개략도이고,
도 2A 및 2B는 종래의 방법에 따라 광파이버 케이블을 사용하여 인입 케이블 과 목적지 장비랙 사이의 경로를 재 경로설정하는 기존의 방법을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국 설비의 개략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라 인입 케이블과 목적지 장비랙 사이의 경로를 다시 경로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교환국 설비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국 설비의 추가적인 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7은 블로운 파이버 유연성 튜브 모듈(BFTFM)을 도시하고, 도 7A 내지 7F는 1-, 2-, 3-, 4-, 5-, 6-모듈 설치의 구성을 각각 도시하며,
도 8은 블로운 파이버 튜브에 의해 부분적으로 채워진 도 7에 도시된 형태의 BFTFM 슈트를 도시하고, 상기 BFTFM 내 및 사이에 패치 튜브에 의해 취해진 경로의 모습을 도시하며,
도 9A 내지 도 9E는 도 3에서 도시된 형태의 교환국 설비의 전형적인 설치 순서를 도시하며,
도 10은 현재의 방법에 따라 교환국에서의 케이블 전개의 실례를 도시하고,
도 11 내지 11D는 BFTFM에서 포지티브 튜브 굴곡 관리의 사용을 예시하고,
도 12는 BFTFM 내의 패치 수단의 확대한 모습을 도시하고,
도 13은 상기 패치 수단의 더욱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이고,
도 14는 도 13의 패치 수단과 함께 사용된 튜브 커넥터의 상세도이고,
도 15는 BFTFM에 장착된 도 13의 패치 수단의 또 다른 모습이다.
도 1은 인입 케이블(5)에 연결된 교환국 빌딩 내의 특정 장비랙(2)의 현재 교환국 설비의 전형적인 레이아웃을 도시한다. 확실히 하자면, "인입 케이블"은 예컨대 외부 통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해 상기 교환국에 진입하는 임의의 케이블을 포함한다.
인입 케이블(5)은 일반적으로 내부 케이블(1c)에 대한 스플라이스(10f)에 의해서 케이블 챔버 조인트(CCJ)(8)에서 종단된다. 상기 CCJ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보통은 장비랙(20)과 같은 건물 내에 위치한다. 상기 CCJ는 상기 교환국 내의 광파이버 경로설정을 위한 상기 교환국의 "회선 측"을 나타낸다. 상기 장비랙은 상기 교환국 내의 경로설정을 위한 "장비 측"을 나타낸다.
내부 케이블(1c)은 CCJ에서 한쪽 끝이 인입 케이블에 연결되고, 다른 쪽은 OFR(Optical Flexibility Rack)과 같은 회선 측 유연분배점에 연결된다.
유연분배점은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주로 사용자가 한 포인트를 선택하여 교환국 내 임의의 다른 포인트에, 예를 들면 임의의 교환국 장비로부터 다른 교환국 장비로, 또는 인입 케이블에서/인입 케이블로 연결하도록 허용하는 접속 또는 분배점으로서 역할을 한다. 유연분배점은 또한 일반적으로 대용량 광파이버 인입 케이블과 내부 케이블(단일 광파이버 또는 많은 광파이버를 포함할 수 있음)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안전한 보관을 위해 스플라이스 트레이에서 인입 케이블을 종단하고, 각 개별 광파이버에 용이한 액세스를 제공하고 테스트 포인트로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우리는 당면한 목적을 위해 회선 측 광파이버를 장비 측에 연결하는 그것들의 능력에 대해서만 관심이 있다. 일반적으로, 교환기 내에서 광 파이버의 경로설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어도 2개의 유연분배점이, 더욱 흔하게는 나란히 쌍으로, 하나는 회선 측에 다른 하나는 장비 측에 사용된다. 이와 같은 유연분배점의 그룹들이 이 명세서에서는 유연분배체군(flexibility suite)이라고 일컬어진다.
확실히 하자면, 본 명세서에서 "유연분배점" 과 "유연분배체군"은 광파이버 케이블을 위한 OFR 과 OFR 슈트, 그리고 BFTFM(Blown Fibre Tube Flexibility Modules) 및 BFTFM 슈트(이하, 도 3과 관련하여 계속 설명됨)에 대한 포괄적인 지침이다.
OFR 슈트(4a ~ 4d)는 광파이버가 회선 측 유연분배점에서 종단하는 것을 허용하고 장비 측 유연분배점이 하나의 광파이버 또는 광파이버 쌍에 전용인 스플라이스 트레이에서 서로 연결되도록 허용한다. 광파이버 점퍼(3a, 3b)는 보통 하나의 슈트를 구성하는 OFR 쌍 사이에 연결된다. 또 다른 광파이버 케이블(1b)이 장비 측 OFR(4c)을 다음 회선 측 OFR(4b)에 연결한다. 도 1에서 첫 OFR 슈트(4c 및 4d로 구성됨)는 CCJ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최종 슈트(4a 및 4b로 구성됨)는 목적지 장비랙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실제 교환기에서, 다수의 OFR 슈트가 광케이블을 분배 및 라우팅하는데; "최종 OFR 슈트"(4a 및 4b로 구성됨)는 목적지 장비랙(2)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슈트가 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은 2쌍의 OFR(즉 2개의 슈트)을 포함하는 가장 기본적인 레이아웃을 도시한다. 실제에 있어서, 교환국사의 레이아웃과 광파이버 케이블 경로의 복잡도와 길이에 따라 임의의 수량의 OFR 슈트가 장비랙에 대한 광파이 버 케이블 경로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은 광파이버 케이블 경로에서 스플라이스 또는 연결의 개수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기본적인 구성에 대해서, 최소한 6개의 스플라이스(10a ~ 10f)가 필요하다.
도 2A 및 2B는 현재의 실례에 따르면 종래의 광파이버 케이블 설치에서 광 경로가 어떻게 제 1 장비랙(2)으로부터 제 2 장비랙(12)까지 다시 경로설정 되는지를 설명한다.
도 2A에 도시된 설치에서, 하나의 광 경로가 인입 케이블(5)을 기존 장비랙(2)에 연결한다. 인입 케이블(5)과 장비랙(2) 사이에는 6개의 스플라이스(10a ~ 10f)가 있다. 다른 위치의 새로운 장비(12)로 광 경로를 다시 경로설정하기 위해, OFR의 스플라이스(10e)는 기존의 경로에서 절단되어야만 할 것이다. 기존 경로의 다른 스플라이스(10a ~ 10d)는 필요하다면 절단될 수 있다. 도 2B는 2개의 OFR 슈트(4)를 통한 새로운 장비랙(12)으로의 광 경로를 보여준다. 5개의 새로운 스플라이스(10h ~ 10l)가 CCJ(8)에 인접한 회선 측 OFR(4d)로부터 새로운 광 경로를 생성하도록 만들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플라이싱은 시간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상당한 전문 기술을 요구하는 고비용의 절차이다. 각 스플라이스는 필연적으로 신호 감쇠를 초래하고 새로운 스플라이스의 생성은 광경로에 불량한 연결점(joint)의 위험을 반드시 내포한다. 과거의 광경로에서 사용된 케이블은 제거될 수 있고 만일 재사용에 적합하지 않다면, 일반적인 것이지만, 폐기될 것이다. 또는 그대로 남겨질 것이며, 따라서 교환기 내에 과밀의 문제를 더욱 가중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연결되어야 하는 OFR을 연결하 는 별도의 다양한 길이의 광파이버(도 1에서 1a, 3a, 1b, 3b, 1c) 대신에, BFU(Blown Fibre Unit)가 OFR(4)부터 장비랙(2)까지 연결되어 인입 케이블(5)과 장비랙(2) 사이의 연결을 유효하게 한다.
인입 케이블(5)은 도 1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보통의 방법으로 제 1 회선 측 OFR(4)에서 종단한다. 내부 케이블(1)은 CCJ에서 인입 케이블에 접속되고 종래의 회선 측 OFR(4)에 보관된 스플라이스 트레이에서 다른 종단이 도 1과 관련하여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접속된다. 회선 측 OFR(4)로부터, 다양한 길이의 BFT(Blown Fibre Tube) 또는 그것들의 여러 묶음(16)이 BFT를 위한 다수의 유연분배점을 경유하여 장비랙(2)에 연결되며, 이하 BTTFM(Blown Fibre Tube Flexibility Modules)라고 지칭할 것이다. 이들 BFTFM는 일반적으로 단일 튜브와 압착-고정(push-fit) 커넥터를 구비한다. 적당한 압착-고정 커넥터가 존 게스트(John Guest)사로부터 구할 수 있다. 도 1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BFTFM은 교환국 내에서 다양한 길이의 광파이버 덕트를 경로설정하고 연결함으로써 임의의 지점에서 임의의 다른 지점까지 블로 광파이버(blown fibre) 설치 경로의 생성을 허용하는 유연분배점이다. OFR과 같이, BFTFM은 회선 측(14b)에 하나 장비 측(14a)에 하나씩 쌍으로 또는 슈트로 아주 흔히 사용될 것이다. 내부 케이블(1)이 스플라이스 되는 OFR(4)이 유연분배체군의 절반을 구성하고, 슈트의 다른 절반은 장비 측의 BFTFM(14c)이다. 우리는 이 유연분배체군을 제 1 유연분배체군이라고 할 것이다. 제 1 유연분배체군과 교환기/라우터 사이의 블로 광파이버 경로 내에 하나 이상의 다른 유연분배체군이 있을 것이며 이것들은 제 2 유연분배체 군라고 할 것이다.
상술한 제 1 유연분배체군의 구성에 대한 대안으로서, 제 1 유연분배체군이 2개의 BFTFM을 포함할 수도 있다(하나의 OFR과 하나의 BFTFM에 반대임). 제 1 유연분배체군에서 OFR의 주된 기능은 예를 들어 광파이버를 144개까지 포함할 수 있는 인입 케이블(5)을 수용하고 이 케이블의 개별 광파이버에 대해 분기 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인입 케이블의 개별 광파이버는 예컨대 CCJ(8)에서 또는 CCJ와 제 1 유연분배체군 사이의 임의의 지점에서 분기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예컨대 144개 까지의 개별 광파이버를 처리를 위해 제 1 유연분배체군에 브리지 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것은 보통은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를 설명하기 위해, 제 1 유연분배체군은 OFR-BFTFM 쌍인 것으로서 설명될 것이며, 이것은 가능한 유일한 구성이 아님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BFT(16a, 16b)는 상기 장비랙의 경로를 따라 하나의 장비 측 BFTFM과 다음 회선 측 BFTFM 사이에 설치될 것이다. 상기 경로는 유연분배체군(14c와 4, 14a와 14b) 내에 BF 패치 튜브를 설치함으로써 완성되며, 따라서 완성된 BFT가 OFR(4)과 장비랙 사이에 생성되어, BFU(Blown Fibre Unit)를 수용할 준비가 된다. 그 다음에 BFU는 상기 경로의 한쪽 또는 다른 쪽 끝에서 즉, 장비랙(2)로부터 또는 첫 번째 OFR(4)로부터 블로잉(blow) 하여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설명에서, 유럽 특허 EP-B-052170에서 개괄적으로 설명된 EPFU(Enhanced Performance Fibre Unit)가 사용된다. 패치 튜브로서 사용된 BFT 또는 덕트는 전형적으로 1.5 내지 5mm 범위의 내부 구멍 지름을 가지며, 더욱 일반적으로는 2.0 과 4mm 사이, 특별한 경우에는 2.5 내지 3.5mm의 지름을 갖는다. 특히 바람직한 구멍 지름은 2.5mm이고, 이 구멍 크기를 갖는 튜브는 4mm의 외부 지름을 갖도록 용이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물론, 원형의 내부 단면의 사용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고, 원형의 외부 단면의 사용도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이것들이 종종 사용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파이버 유닛은 단일 광파이버를 포함할 것이지만, 더 높은 광파이버 개수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 종종 광파이버 유닛은 예컨대 2, 4, 8과 같은 짝수의 광파이버를 포함하면 더욱 안정하게 만들어질 수 있으나, 홀수 광파이버 개수도 사용될 수 있다. 다중 광파이버를 갖는 광파이버 유닛의 사용은 예컨대 다중 광파이버가 같은 목적지 랙에서 종단되고 및/또는 동일한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도 3은 단지 2개의 유연분배체군이 사용되고 있는 것을 도시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출발점에서부터 목적 지점까지 물리적 거리, 건물 배치, 및 경로에 따라 추가적인 유연분배체군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하실에 CCJ(8)가 위치하고, 1층에 제 1 유연분배체군(4)이 있고, 2층에 장비랙(2)이 있는 경우라면, 설치는 다음과 같을 것이다:
1. CCJ(8)를 설치한다.
2. 인입 케이블(5)을 상기 CCJ에서 종단한다.
3. 상기 CCJ와 제 1 유연분배체군의 OFR 사이에 내부 케이블(1)을 설치한다.
4. 상기 CCJ에서 인입 케이블(5)의 모든 광파이버를 내부 케이블(1)에 연결한다.
5. 내부 케이블(1)로부터의 모든 광파이버를 OFR(4)에서 종단한다.
6. 제 1 유연분배체군의 BFTFM(14c)의 장비 측으로부터 2층의 회선 측 BFTFM(14b)까지 BFT(16b)를 설치한다.
7. 2층 장비랙(2)에서 2층 BFTFM(14a)의 장비 측까지 BFT(16a)를 설치한다.
8. BF 패치 튜브(17a, 17b)를 사용하여 상기 유연분배체군의 BFT 경로를 패치하며, 일반적으로 적절한 길이로 절단한다. "패치 튜브"는 일반적으로 상기 BFTFM의 장비 측의 BFT와 상기 BFTFM의 회선 측의 BFT 사이에 "패치"를 제공하는 짧은 다양한 길이의 튜브이다.
9. BFU를 설치한다. 임의의 중간 지점에서의 블로잉도 가능하지만 보통 장비랙(2)이나 또는 OFR(4)로부터 블로잉이 수행될 것이다.
10. OFR에서 내부 케이블(1)을 설치된 BFU에 연결한다.
11. 상기 장비랙에서 장비랙(2)의 피그테일(pigtail)을 상기 설치된 BFU에 연결한다(물론 상기 장비 피그테일이 커넥터화되면 - 즉, 커넥터를 가지면, 상기 BFU가 미리-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이 유용하고, 그리하여 BFU의 커넥터가 피그테일의 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광학 장비를 외부 네트워크에 상호 연결하기 위해 단일의 연속적인 길이의 BFU를 사용하는 주된 장점은 손실을 발생시키는 스플라이스 및/또는 커넥터의 제거라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명확할 것이다. 이것들의 제거는 또한 신뢰성에서의 약점을 제거한다. 도 3에서 도시된 기본 구성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구성에서 6개의 스플라이스에 비해, CCJ와 장비랙 사이에 광파이버당 단지 3개의 스플라이스 (10a, 10b, 10c)가 있다. 고비용의 세밀한 연결 및 커넥터 연결이 현저히 감소함에 따라 시간 및 비용 절감이 달성된다.
도 4A 및 4B는 인입 케이블(5)을 기존 장비랙(2)에 연결하는 광 경로가 본 발명에 따라 어떻게 새로운 장비랙(12)으로 변경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도 4A는 2개의 유연분배체군(14)를 경유해서 인입 케이블(5)과 기존 장비랙(2) 사이 있는 광 경로를 도시한다. 도 4B는 기존 광 경로에서 어떻게 단지 2개의 스플라이스(10a, 10b)만이 절단되어야 하는지를 도시하며, 이는 5개의 절단을 필요로 하는 종래의 방법하에서 동등한 경우에 비해 유리하다(도 2 참조). 스플라이스가 절단된 후(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광파이버가 절단됨) 블로 광파이버는 제거된다. 그 다음 상기 경로는 유연분배체군(14d와 14e, 14c와 4) 사이의 BFT(16)와, 슈트 내의 유연분배점 사이의 단일 튜브 BFT 패치 리드(patch leads)(17c, 17d)를 사용하여 다시 구성된다. 그 다음 BFU는 도 3에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경로의 어느 한쪽으로부터 즉 새로운 장비랙(12)으로부터 또는 OFR(4)로부터 블로잉하여 설치된다. 단지 2개의 새로운 스플라이스(10c, 10d)가 OFR과 새로운 장비랙에서 만들어진다.
무거운 케이블의 설치가 필요한 종래 기술에 비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재 경로설정의 유연성과 사용자 친화성임을 알 수 있다.
도 5 및 6은 도 3에서 기술된 배치의 개량을 도시하며, 필요한 스플라이스의 수를 더욱 감소시키는 본 발명의 실시예이다.
도 5에서, CCJ(8)와 스플라이스는 제거된다. 인입 케이블(5)은 대신 회선 측 OFR(4)의 BFU(설치된 경우)에 직접 연결된다. 이 배치에서, 인입 케이블과 교환기/라우터 사이에는 광파이버당 단지 2개의 스플라이스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다음은 인입 케이블이 건물의 지하에 진입하고 제 1 유연분배체군(4)이 1층에 설치되고 상기 장비랙이 2층에 위치하는 경우에 이러한 설치를 생성하기 위해 취해질 수 있는 전형적인 단계들이다.
1. 인입 케이블(5)을 케이블 챔버로부터 제 1 유연분배체군(4)의 OFR까지 경로 설정한다.
2. 인입 케이블(5)의 모든 광파이버를 OFR(4)에서 종단한다. 제 1 유연분배체군의 1층 BFTFM(14c)의 장비 측으로부터 2층의 회선 측 BFTFM(14b)까지 BFT(16a)를 설치한다.
3. 장비랙(2)에서 1층 BFTFM(14a)의 장비 측까지 BFT를 설치한다.
4. BF 패치 튜브(17a, 17b)를 사용하여 모든 BFTFM을 통과하는 BFT 경로를 제공한다. 보통 적절한 길이로 절단한다.
5. BFU를 설치한다. 블로잉은 일반적으로 장비랙 또는 첫 번째 OFR로부터 수행될 것이다.
6. OFR에서, 인입 케이블(5)을 상기 설치된 BFU에 연결한다.
7. 장비랙에서 장비랙(2)의 피그테일을 상기 설치된 BFU 또는 BFU에 커넥터가 구비된 경우 상기 BFU 커넥터를 상기 피그테일 커넥터에 연결한다.
도 6의 배치는 OFR(4)에서 하나의 스플라이스만으로 장비랙(2)과 인입 케이 블(5) 사이의 연결을 허용한다. 이 경우에, BFT는 장비랙으로부터 장비랙(14a)에 가장 근접한 BFTFM의 장비 측에 직접 설치된다. BFU는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방식으로 설치된다. 예를 들어, 다음은 인입 케이블이 건물의 지하에 진입하고 제 1 유연분배체군(4)이 1층에 설치되고 상기 장비랙이 2층에 위치하는 경우에 이러한 설치를 생성하기 위해 취해질 수 있는 전형적인 단계들이다.
1. 인입 케이블(5)을 케이블 챔버로부터 제 1 유연분배체군의 OFR(4)까지 경로 설정한다.
2. 인입 케이블(5)의 모든 광파이버를 OFR(4)에서 종단한다.
3. 제 1 유연분배체군(14c)의 1층 BFTFM의 장비 측으로부터 2층의 회선 측 BFTFM까지 BFT(16b)를 설치한다.
4. 장비랙(2)으로부터 2층 BFTFM(14a)의 장비 측까지 BFT(16a)를 설치한다.
5. BF 패치 튜브(17a, 17b)를 사용하여 모든 BFTFM을 통과하는 BFT 경로를 패치한다. 보통 적절한 길이로 절단한다.
6. 교환기 또는 라우터의 장비랙으로부터 블로잉하여 미리 커넥터가 구비된 BFU를 설치한다.
7. OFR에서 인입 케이블(5)을 상기 BFU에 연결한다.
도 7은 BFTFM(14)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것은 커넥터가 도시되지 않은 패치 패널(11)을 가지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패치 패널(11)에 도시된 구멍 각각에 양쪽 나사(double-ended) 형태(도 14에 도시된 예와 같이)로 보통 제공된다. 패치 패널(11)의 위에는 한 세트의 굴곡 제어 날개(bend control vane) 또는 맨드릴(mandrel)(24)이 도시되어 있으며, 패치 패널(11) 상의 커넥터 사이트 각각에 대응한다. 상기 맨드릴은 좌측으로부터 상기 BFTFM에 접근하는 튜브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튜브는 다음에 패치 패널(11) 상의 커넥터 사이트에 도달하도록 아래로 구부려진다. 이들 튜브는 패치 튜브일 수 있고 또는 선행 사이트에서 오거나 또는 다음 사이트로 진행하는 튜브일 수 있다. 상기 커넥터의 다른 종단은 패치 패널(11)에 고정되었을 때 아래를 향하고 튜브(보통 패치 튜브)는 이들 커넥터와 짝을 이루고, 그 다음에는 다른 BFTFM(보통은 동일한 슈트의 다른 부분을 제공하는 것)의 커넥터에 연결된다. 도 7에 도시된 배치는 도 7B에 도시된 것처럼 짝을 이루는 BFTFM과 함께 사용되는 것을 의도한다. 이러한 구성에서, 패치 튜브는 보통 BFTFM의 후면의 개구(99)를 통해 아래로 통과한다. 보통 '77'로 도시된 3면 구조의 굴곡면은 상기 슈트의 2개의 BFTFM을 결합하는 패치 튜브를 위한 굴곡 맨드릴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종단부(76, 78)는 또 다른 굴곡된 가이드 맨드릴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 패치 튜브의 어떤 측면 제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굴곡 관리 맨드릴(bend management mandrel)(24)이 특정 크기의 패치 패널에 맞는 단위 구조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굴곡 관리 맨드릴 또는 이들 조립체가 어느 한쪽 종단에 고정될 수 있으면, 즉 슈트의 좌측으로부터 또는 우측으로부터 튜브를 수용할 수 있다면 바람직하다. 굴곡 맨드릴장치 또는 조립체는 좌측 또는 우측 양쪽으로부터 튜브를 수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즉, 도 7에서 조립체(24)의 좌측 부분은 도시된 것과 같을 수 있지만, 우측 부분은 우측으로 굽은 맨드릴 또는 날개(vane)을 가질 수 있다(예로서, 좌측의 거울상). 분명히, 이와 같은 배치는 맨드릴의 좌측 반은 좌측으로 굽고 우측 반은 우측으로 굽는 대칭일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1/3과 2/3, 또는 1/5과 4/5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것은, 교체의 용이함을 위해서, BFTFM이 현재 교환국에서 사용되는 기존 OFR이나 다른 일반적인 분배 랙과 대략 같은 면적 및 공간을 점유하는 것이다. 따라서 영국 BT의 교환국에서는, BFTFM이 대략 너비가 1000cm, 깊이가 400cm, 높이가 830cm가 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러한 BFTFM의 설치는 도 7F에 도시된 것처럼 회선 측과 장비 측에 각각 3개의 모듈이 높이 적재되어 전체 높이는 2500cm가 될 것이 예상된다. 물론 설치 장소의 특별한 사정에 따라 BFTFM을 크기조정하거나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간략히 언급된 바와 같이, BFTFM은 최적의 BFU 설치를 위해 포지티브 튜브 굴곡 관리(예로서 맨드릴(24))를 병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기술에 대한 추가적인 설명은 도 10 및 11의 설명에서 제공되지만, 간단히 말해서 이것은 설치된 광파이버가 최소 허용가능한 굴곡 지름보다 적게 굴곡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도와준다. 도 7A 내지 7F는 도 7의 BFTFM을 단일 모듈부터 6-모듈 설치까지 BFTFM 내에 가능한 설치 구성을 도시한다. 단일 BFTFM이 유연분배점으로서 사용될 수 있지만, 다중-모듈이 바람직하고(예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슈트를 제공하기 위해) 그것들의 모듈화는 확장을 위한 사용 및 범위에서의 유연성을 허용한다.
도 7A는 단일 모듈 BFTFM을 도시한다. 각각 좌측 또는 우측으로부터 케이블 진입을 허용하는 2개 버젼이 이용가능하다. 도시된 예는 케이블이 좌측으로부터 진입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와 같은 단일 유닛은 OFR 같은 유연분배점의 후면에 장착되어 유연분배체군의 제 1 빌딩 블록 특히 상기 CCJ 또는 인입 케이블에 가장 인접한 슈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B는 2개의 BFTFM 모듈이 등을 맞대고 설치되어 회선 측과 장비 측을 갖는 유연분배체군를 만드는 것을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2개의 모듈이 회선 측과 장비 측에 유연성을 제공하는데 최적이다.
도 7C는 도 7B의 구성의 상부에 추가적인 BFTFM 모듈이 설치된 것을 도시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예를 들면 회선 측 모듈에 비해서 장비 측 모듈에 대한 일정치 않은 증가가 있는 경우에 필요할 것이다.
도 7D는 상기 슈트의 한쪽 종단으로부터 측면으로 추가적인 설치가 수행될 수 있음을 도시한다. 이 경우에 케이블이 좌측 측면으로부터 진입하므로, 추가적인 모듈은 우측으로 추가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E 및 7F는 BFTFM의 사용의 증가에 대한 잠재성을 설명하기 위해 5개 및 6개 모듈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8의 우측 도면은 부분적으로 블로 광파이버 패치 튜브(blown fibre patch tube(17)가 채워진 한 슈트의 BFTFM(14)의 또 다른 모습을 도시한다. 이것은 3단 높이의 회선 측 및 장비 측 모듈이다. 다른 부분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BFTFM은 사용자가 교환기 내의 포인트 사이에 연결을 만들도록 허용하는 연결이나 분배 기능을 수행한다. BFTFM은 패치 튜브 커넥터(13)를 구비하는 패치 패널(11) 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패치 튜브의 종단은 리시버에 압착 삽입되어 연결 경로를 한정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패치 패널은 그리드 또는 매트릭스 형태 또는 배열로 가로 19개 깊이 14개의 튜브 커넥터를 구비한다.
BFTFM 쌍의 패치 패널(도 3에서 14a 및14b와 같은) 교환국 내에서 광파이버 연결을 경로설정하거나 재 경로설정하는데 있어서 상당한 범위 및 유연성을 허용한다. 관련된 튜브 커넥터에 튜브의 끝을 삽입하여 튜브 경로가 만들어진 후, 다음에 소스(예컨대 인입 케이블(5))로부터 목적지(예컨대 장비랙(2))까지 경로를 따라 - 또는 반대 방향으로 - BFTFM(들)을 경유해서 광파이버가 블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파이버 연결은 상기 튜브 경로로부터 파이버를 철거하고 관련 BFTFM의 튜브 커넥터로부터 튜브를 뽑아버리면 쉽게 제거되고 및/또는 다시 방향 설정될 수 있으며, 그 다음 필요하다면 상기 단계를 반복함으로써 새로운 소스로부터 새로운 목적지까지 경로를 생성한다.
도 8의 좌측에 도시된 개략도는 BFTFM 슈트(같은 도면의 우측에 도시되고 위에서 설명함)의 측면 모습을 도시하며, 각 BFTFM 상에 배치된 패치 패널 사이에 튜브 패치의 상세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패치 튜브는 커넥터(13)의 아래로 나가는 것을 볼 수 있다. 더 낮은 수준의 조립체 상의 슈트에서, 패치 튜브는 슈트의 전면과 후면(또는 도시된 것처럼 좌측과 우측)을 연결한다. 또한 상부 우측 BFTFM은 패치 튜브를 사용하여 중간 좌측 BFTFM과 상호 연결된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BFTFM의 중간층 각각은 스택의 최하위층에 연결된다. 명백한 것은 도면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일반적으로 훨씬 조밀한 패치 튜브 연결이 현실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패치 튜브(17)의 경로는 도면에서 다른 레벨의 BFTFM들 사이에 그려질 수 있다.
도 9는 일반적인 형태의 OFR을 사용하는 상기 도 6에서 기술된 설치를 위한 전형적인 설치 순서를 도시한다. 다음 단계는 도면과 관계없이 번호부여에 따른다.
제 1 유연분배체군(도 3의 4 및 14c) 설치하기
1. OFR(4)(도면에서는 잘 보이도록 후면 커버가 제거됨)을 설치한다. 인입 케이블(5)을 설치하고 그 파이버들을 스플라이스 트레이에서, 바람직하게는 단일-회로로, 종단한다. 케이블은 위 또는 아래로부터 진입할 수 있다.
2. OFR의 후면에 인접하여 하나의 BFTFM(14c)을 설치한다. 각 BFTFM은 일반적으로 384개의 개별 BF 튜브와 동일한 4x96개의 파이버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다. 제 2 및 제 3 BFTFM이 상기 유연분배체군에 추가되어 전형적으로 1152개의 개별 BF 튜브를 수용한다.
3. 버티컬 케이블 트레이(vertical cable tray)(20), 맨드릴 어댑터(mandrel adapter)(22) 및 내측 굴곡 맨드릴(internal bend mandrel)(24)을 설치한다. 상기 맨드릴은 파이버 튜브 굴곡이 과도하게 굴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제어한다. 이 경우에 케이블은 위로 경로 설정한다.
이어서 제 2 유연분배체군(도 3에서 14a 및 14b) 설치하기
4. 교환국 바닥에 버티컬 케이블 트레이(26), 지지프레임 세로대(28) 및 프레임 스트랩(30)을 설치한다.
5. 외측 굴곡 맨드릴(outer bend mandrel)(32)과 회선 측 BFTFM(14b)을 추가한다.
6. 제 2 버티컬 케이블 트레이(26), 장비 측 BFTFM(14a), 맨드릴 어댑터 및 내측 굴곡 맨드릴을 설치한다.
제 2 유연분배체군은 이제 BF 튜브를 수용할 준비가 되었다. 도시된 상기 설비는 패치 튜브를 384개까지 수용할 수 있다.
BF 튜브 설치하기
7. BF 튜브(16)의 끝은 BFTFM(14)의 에지의 레벨로 절단된다. 포함된 각 튜브는 그 굴곡 반지름이 제어되도록 플라스틱 튜브 맨드릴 위로 경로 설정된다. 그 다음 튜브는 적절한 길이로 절단되어 패치 패널의 적절한 구멍으로 차례로 위치되는 압착 고정식 칸막이 부속품(push-fit bulkhead fittings)에 끼워진다.
8. 상기 버티컬 케이블 트레이와의 인터페이스 설치 - 상향
9. 상기 버티컬 케이블 트레이와의 인터페이스 설치 - 하향
이제 통신용 교환기의 환경에서 포지티브 굴곡 관리의 사용을 설명하는데 도움을 주는 도 10 및 11을 보자. 상술한 바와 같이, 이 기술은 최소의 허용가능한 굴곡 반지름보다 더 작은 반지름으로 파이버를 굽힐 때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광파이버를 너무 심하게 구부리는 것은 심각한 광 손실 및/또는 물리적인 손상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광파이버의 다발은 그 구성 파이버들보다 더 큰 최소 허용 가능한 굴곡 반지름을 갖는다. 광파이버 굴곡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것은(단순히 파이버가 유연분배체군 사이에서 스스로의 경로를 찾도록 허용하는 것에 반대로) 블로우 파이버 설치 및/또는 최적 파이버 성능을 방해하는 정도의 반지름으로 광파이버가 꼬이거나 구부려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파이버는 소정의 경로 내에 한정될 수 있고, 또는 단순히 최소 허용 가능한 굴곡 한계의 또는 가까운 이상적인 반지름을 그리는 커브를 따라 안내될 수 있다.
이 광파이버의 특성은 대형 통신용 교환국에서 특별한 문제이다. 예로서, BT는 현재 영연방 전체로서 4000개 이상의 교환국을 가지며, 이중 일부인 200개가 20,000 이상의 고객에게 각각 서비스를 제공한다. 가장 큰 교환국은 복수 층을 가지며, 수백개의 장비랙과 엄청나게 많은 파이버 및 구리선 케이블이 교환국 건물 주변에 그리고 전체에 설치되어 있다. 시간이 흐르면서, 교환국은 더욱 심하게 혼잡해지고 장비, 고객 요구 등에 따라 변화하고, 케이블의 경로설정과 종단을 다시 할 필요가 있다. 케이블의 경로가 통제되지 않으면 광파이버의 성능을 악화시킨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점퍼 케이블이 다시 사용된다면 잘라내고 다시 연결되어야 한다 - 아주 종종 양쪽 사이에 용이하게 도달하기에는 너무 짧을 수 있으며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소 굴곡 반지름 치수를 준수하기 위해 팽팽하게 늘려야만 한다. 이것은 물론 파이버와 회선 성능에 영향을 미치지만, 교환 국에서 대응하는 고객들의 요구의 변화때문에 교환국에서 흔히 일어나는 일이며, 예로서, 케이블 경로 변경을 요구하는 장비 업그레이드 및 교환국을 점령하는 케이블 수의 증가가 있다.
도 11은 위에서 도 9와 관련하여 설명된 BFTFM을 도시하며, 포지티브 튜브 굴곡 관리의 기술이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설명한다. 도 11A 및 11B는 전형적인 BFTFM 설치에 있어서 케이블 굴곡이 제어되고 관리될 수 있는 곳(40)을 도시한다.
튜브 굴곡 관리장치는 굴곡된 가이드나 맨드릴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 (예컨대 도 9의 24) - 그 주위나 그것에는 튜브가 감긴다. 굴곡의 정도는 사용되는 케이블의 정확한 형태에 의존하지만 영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반지름이 대략 50mm이다.
도 11C 및 도 11D는 도 9와 관련하여 설명한 형태의 BFTFM에서 튜브(16)가 어디에서 그리고 어떻게 포지티브 튜브 굴곡 관리되는지 도시한다. 굴곡 제어 맨드릴(24)는 적당한 반지름의 커브의 주위로 제어된 방식으로 가이드 되는 것을 허용하여, 과도하게 팽팽한 케이블 경로설정을 방지한다.
도 12는 BFTFM에서 포지티브 튜브 굴곡 관리의 한 응용의 상세를 제공한다.도면의 우측에는 패치 패널(11) 상의 패치 유닛의 실시예를 확대한 모습이다. 파이버 굴곡 반지름을 제어하는 다른 수단은 굴곡 제한 튜브의 사용(또는 통상의 튜브 위에 굴곡-제한 부츠); 튜브 외장재의 선택(즉, 더 뻣뻣하거나 더 단단한 재료를 사용함); 및 과도한 굴곡을 방해할 수 있는 두께(즉 패치를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길이에서 과도한 굴곡을 나타내는 반지름으로 굴곡될 가능성이 훨씬 적은 벽 두께를 사용하여) 등을 포함한다. 이것들은 도 10에 도시된 과굴곡의 형태를 방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도 13은 BFTFM에 장착된 것처럼, 본 발명의 패치 유닛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유닛은 2개의 주요 부분으로 구성되며, 하나는 상기 모듈에 삽입되는(또는 존재하는) BFT(17)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커넥터 몸체(19)이고, 다른 것은 상기 몸체에 끼워진 튜브 커넥터(13)이다. 상기 커넥터 몸체는 BFT와 파이버의 과굴곡을 방지하도록 형태를 갖고 가이드(15)로서 기능하는 채널을 포함한다. 도 12에 도시된 패치 유닛의 경우처럼, BFT는 튜브 커넥터(13)에 압착 고정된다. 상기 튜브 커넥터는 커넥터 몸체(19)에 고정되고, 2개의 수용부(21) 중 하나만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튜브 커넥터는 상기 패치 유닛의 나머지로부터 고정되지 않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14에 더욱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BFTFM에 설치될 때, 상기 패치 유닛은 상기 패치 패널 상에 매트릭스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2개의 BFTFM 사이에 관모양의 경로를 생성하는 것을 허용함으로써, 교환국의 광범위한 환경에서, 인입 케이블(5)과 목적지 장비랙(2) 사이에 관모양의 경로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패치 유닛의 또 다른 모습이 도 15에 도시되어 있으며, 패치 유닛이 BFTFM 상에 장착된 것을 도시하고, 그 경로의 일부가 BFT(17)에 의해서 튜브 커넥터(13)을 통해서 취해진다. 도 8과 관련하여 예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튜브는 패치 패널상에서 압착-고정 구성으로 연결된다. 압착-고정 커넥터가 사용에 매우 편리하지만, 예컨대 상기 튜브를 패치 패널에 영구적으 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고정 및 봉합하는 것이 비록 본 발명이 잠재적으로 제공하는 재 경로설정의 유연성과 타협이 필요하지만 사용될 수 있는 것처럼, 클램프 커넥터나 스크루 커넥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5는 패치 유닛이 BFTFM의 패치 패널에 마련된 위치에 장착된 패치 유닛을 도시하며, 그 아암(25)은 위에 튜브 커넥터(13)는 아래에 있다. 도 8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패치 유닛(하나의 패치 패널에 가로 19개 깊이 14개) 266개까지 설명중인 BFTFM의 실시예에 수용될 수 있다. 궁극적으로 인입 케이블(5) 또는 장비랙(2)으로부터/까지 리드(lead)하는 BFT는 케넥터 아암 사이의 커넥터 몸체에 놓이도록 위치된다. 가이드(15)로서 작용하는 채널은 BFT를 튜브 커넥터(13)에 인도하고 케이블 과굴곡을 방지한다. BFT는 상기 채널(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종단에 위치한 튜브 커넥터(13)의 수용부(21) 상에 압착 고정된다. 상기 커넥터 유닛의 반대쪽 상의 다른 튜브 커넥터는 또 다른 길이의 BFT를 동시에 또는 별개로 수용하여 BFTFM으로부터 관 모양의 경로를 계속한다.
전술한 내용은 주로 교환국을 외부 통신용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장비랙과 인입 케이블 사이에 본 발명에 의해 만들어진 연결에 관한 것이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이 교환국 내외의 임의의 다른 시작점과 임의의 목적지를 연결하는데 유사한 효과와 장점을 갖고 적용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통신용 교환국 건물의 환경에서 구체적인 설명이 이루어졌지만, 본 발명에 따른 블로운 파이버 기술이 종래의 커넥터를 구비한 및/또는 스플라이스를 구비한 광파이버 또 는 현재의 BFT 관리 관행을 대신하여 본 발명이 사용될 수 있는 임의 다른 환경에서 응용될 수 있음은 분명하다. 특히, 본 발명은 LAN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이 새롭게 케이블이 설치되는 경우에 한정되거나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이미 설치된 경우에 한정되지 않음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광경로의 재 경로설정에 관한 본 발명의 진보성이 인정되는 측면은 특히 종래의 설치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진보성 있는 방법을 그러한 종래의 설치환경으로 점진적으로 이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의 이점은 이와 같은 응용에서도 인정될 수 있다.

Claims (22)

  1. 통신용 교환기 설비 내에서 광파이버를 경로설정하는 유연분배체군(flexibility suite)에 있어서,
    상기 유연분배체군은,
    제 1 세트의 도관을 포함하는 제 1 유연분배점(flexibility point)과 제 2 세트의 도관을 포함하는 제 2 유연분배점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세트의 각 도관은 제 1 종단이 제 1 어레이에 배치되고 제 2 종단이 제 2 어레이에 배치되고,
    제 2 세트의 각 도관은 제 1 종단이 제 3 어레이에 배치되고 제 2 종단이 제 4 어레이에 배치되며,
    상기 유연분배체군은,
    상기 제 2 및 제 3 어레이에서 종단이 상호 연결되는 도관을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 1 어레이의 임의의 도관의 종단과 상기 제 4 어레이의 임의의 도관의 종단 사이에 연속적인 경로가 형성되도록, 상호연결용 관에 의해 상기 제 2 어레이의 도관 종단과 상기 제 3 어레이의 도관 종단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분배체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결용 관은 상기 제 2 및 제 3 어레이에 존재하고 또한 도관 종단 을 상호 연결하며, 상기 상호연결용 관에 의해 취해진 경로를 제어하는 수단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분배체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 3 및 제 4 어레이의 도관의 종단 각각에는 각 도관의 종단을 상호연결용 관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분배체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어레이의 각 커넥터는 양방향(double-ended) 커넥터의 한 종단에 의해 제공되고, 각 커넥터의 다른 종단은 상기 제 4 어레이의 대응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며, 상기 커넥터의 구멍들은 상기 제 2 세트의 도관들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분배체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어레이의 도관의 종단 각각에는 또한 각각의 도관의 종단을 상호연결용 관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분배체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어레이의 각 커넥터는 양방향(double-ended) 커넥터의 한 종단에 의해 제공되고, 상기 커넥터의 다른 종단은 상기 제 1 어레이의 대응하는 커넥터를 제공하고, 상기 커넥터의 구멍들은 상기 제 1 세트의 도관들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분배체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의 구멍들과 상기 상호연결용 관은 지름이 1.5 mm 와 5 m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분배체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들은 지름이 2 mm 와 4 m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분배체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어레이 또는 제 1 및 제 4 어레이는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분배체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나란한 배치는 서로 별개의 2개의 패널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연분배체군.
  11. 통신용 교환기 또는 라우터 설비에 있어서,
    통신용 교환기 및 라우터,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제 1 및 적어도 하나의 제 2 유연분배체군,
    제 2 어레이와 제 3 어레이 사이의 상호연결을 경유하여 제 1 어레이로부터 제 4 어레이까지의 각 유연분배체군을 통해 규정되는 서브-경로,
    상기 제 2 유연분배체군 또는 이들 중 하나의 제 1 어레이와 상호연결되는 상기 제 1 유연분배체군의 상기 제 4 어레이,
    상기 제 2 유연분배체군 또는 상기 제 2 유연분배체군 중 최종 유연분배체군의 제 4 어레이와 상기 교환기 또는 라우터 사이에 제공되는 관 모양의 경로,
    다른 제 2 유연분배체군이 있다면, 상호연결용 관에 의해 선행하는 제 2 유연분배체군의 제 4 어레이와 상호연결되는 후속하는 제 2 유연분배체군 각각의 제 1 어레이와 직렬로 상호연결됨으로써, 상기 제 1 유연분배체군과 상기 교환기 또는 라우터 사이에 블로운 파이버 부재(blown-fibre member)의 설치를 위한 사실상 연속적인 경로가 제공되고,
    상기 교환기 및 라우터는 상기 사실상 연속적인 경로를 따라 연장하는 연속적인 블로-파이버 부재의 광파이버를 경유하여, 외부 통신용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설치시스템에 진입하는 광파이버 케이블의 광파이버까지 광학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 설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운-파이버 부재의 광파이버는 상기 인입 케이블의 파이버와 이음(splicing)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운 파이버 부재의 광파이버는 상기 인입 케이블과 블로운-파이버 부재 사이의 광 경로 내에 있는 케이블의 파이버 또는 파이버 유닛과 이음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14. 제 1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제 2 유연분배체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통신용 교환기는 제 1 및 제 2 유연분배체군을 통해 하나 이상의 인입 케이블의 광파이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운-파이버 튜브의 굴곡 반지름을 제어하기 위한 굴곡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비.
  17. 통신용 교환기 또는 라우터 설비에서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진입하는 인입 케이블의 광파이버와 통신용 교환기 또는 라우터 사이에 연결을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가닥의 블로운 파이버 튜브를 설치하는 단계,
    제 1 유연분배체군으로부터 제 2 유연분배체군을 경유하여 상기 통신용 교환기까지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가닥의 블로운 파이버 튜브의 종단을 결합하는 단계,
    상기 통신용 교환기와 상기 인입 케이블의 광파이버 사이에 광 경로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결합된 블로운 파이버 튜브에 의해 형성된 상기 경로를 통해 연속적인 블로운 파이버 유닛을 블로잉(blowing)에 의해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유연분배체군은 결합된 블로운 파이버 튜브를 상기 설비 내에서 경로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생성 방법.
  18. 제 2 통신용 교환기 또는 라우터와 상기 제 1 유연분배체군 사이에 연결을 생성하기 위해, 제 1 통신용 교환기 또는 라우터와 제 1 유연분배체군 사이의 연결로부터 통신용 교환기 또는 라우터 설비에서 기존 연결을 다시 경로 설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통신용 교환기와 제 1 유연분배체군 사이의 연결을 절단하는 단계,
    상기 제 1 유연분배체군에서 제 2 유연분배체군을 경유하여 상기 제 2 통신용 교환기까지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복수 가닥의 블로운 파이버 튜브의 종 단을 결합하는 단계,
    그 후에 상기 결합된 블로운 파이버 튜브에 의해 형성된 상기 경로를 통해 블로잉에 의해 연속적인 블로운 파이버 유닛을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유연분배체군은 결합된 블로운 파이버 튜브를 상기 설비 내에서 경로 설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이로써, 제 2 통신용 교환기 또는 라우터와 상기 인입 케이블의 광섬유 사이에 광경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로 재설정 방법.
  19. 제 17 항 또는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연분배체군은 서로 근접하여 위치한 회선 측 광유연분배점과 장비 측 블로운 파이버 튜브 유연분배점을 포함하고, 제 2 유연분배체군은 서로 근접하여 위치한 회선 측 블로운 파이버 유연분배점과 장비 측 블로운 파이버 유연분배점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유연분배체군에서 상기 통신용 교환기까지의 경로는, 상기 제 1 유연분배체군의 장비 측 블로운 파이버 유연분배점으로부터 상기 제 2 유연분배체군의 회선 측 블로운 파이버 유연분배점까지 블로운 파이버 튜브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제 2 유연분배체군의 장비 측 블로운 파이버 유연분배점으로부터 상기 통신용 교환기까지 블로운 파이버 튜브를 설치하는 단계, 및 유연분배체군의 상기 회선 측 유연분배점과 상기 장비 측 유연분배점을 상호연결하는 단계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 17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인 블로운 파이버 유닛은 상기 통신용 교환기를 수용하는 장비 랙(rack)으로부터 블로잉에 의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7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인 블로운 파이버 유닛은 미리 커넥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7 항 내지 제 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인 블로운 파이버 유닛은 상기 제 1 유연분배체군의 회선 측 광 유연분배점으로부터 블로잉에 의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57018455A 2003-03-31 2004-03-31 광파이버 케이블 분배 프레임 KR200600107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307394.7 2003-03-31
GB0307394A GB0307394D0 (en) 2003-03-31 2003-03-31 Telephone exchange cabling
GB0322490.4 2003-09-25
GB0322490A GB0322490D0 (en) 2003-09-25 2003-09-25 Exchange cabl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735A true KR20060010735A (ko) 2006-02-02

Family

ID=3229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8455A KR20060010735A (ko) 2003-03-31 2004-03-31 광파이버 케이블 분배 프레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20060188209A1 (ko)
EP (1) EP1609012B1 (ko)
JP (1) JP4515449B2 (ko)
KR (1) KR20060010735A (ko)
AU (1) AU2004226635B2 (ko)
CA (1) CA2519804A1 (ko)
GB (1) GB2402280B (ko)
WO (1) WO20040883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45452A1 (ja) * 2003-11-05 2005-05-19 Advantest Corporation 試験装置及びケーブルガイドユニット
PL2084564T3 (pl) * 2006-11-17 2017-12-29 Prysmian Cables & Systems Limited Sposób instalacji jednostki światłowodu
US20100079248A1 (en) * 2008-09-29 2010-04-01 Johannes Ian Greveling Optical fiber connector assembly with wire-based RFID antenna
TW201038166A (en) * 2008-11-14 2010-10-16 Corning Inc Equipment cabinet having improved space utilization
US8410909B2 (en) 2010-07-09 2013-04-02 Corning Incorporated Cables and connector assemblies employing a furcation tube(s) for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equipped connector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EP2726928A1 (en) 2011-06-30 2014-05-07 Corning Cable Systems LLC Fiber optic equipment assemblies employing non-u-width-sized housings and related methods
CN103257423B (zh) * 2013-05-28 2016-12-28 贵州省邮电规划设计院有限公司 多网融合分光分纤箱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67981D1 (en) 1982-11-08 1987-01-15 British Telecomm Optical fibre transmission lines
GB8815894D0 (en) * 1988-07-04 1988-08-10 Bicc Plc Connecting device
JPH03249706A (ja) * 1990-02-28 1991-11-07 Sumitomo Electric Ind Ltd ケーブルの空気圧送布設用繰り出し装置および布設方法
AU7813391A (en) * 1990-06-04 1991-12-05 Bicc Public Limited Company Termination system for optical fibres
CZ282486B6 (cs) * 1991-07-01 1997-07-16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Optická vlákna
KR960705243A (ko) * 1993-09-10 1996-10-09 데이비드 어니스트 오스본 광 파이버 관리 시스템(optical fibre management system)
TW232757B (en) * 1994-01-21 1994-10-21 Adc Telecommunications Inc High-density fiber distribution frame
GB2292466B (en) * 1994-08-15 1997-09-10 Pirelli General Plc Guiding optical fibres in ducts
WO1996024081A1 (en) * 1995-01-30 1996-08-08 The Whitaker Corporation Pedestal and holders for fiber optic cable
US5535298A (en) * 1995-01-30 1996-07-09 The Whitaker Corporation Pedestal for fiber optic cable
DE19518022A1 (de) * 1995-05-17 1996-11-21 Sel Alcatel Ag Gestelleinsatz mit Schublade
SE513869C2 (sv) * 1999-03-11 2000-11-20 Ericsson Telefon Ab L M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att installlera optofibrer
US6363198B1 (en) * 2000-03-07 2002-03-26 Sumitomo Electric Lightwave Corp. Optical fiber cable distribution shelf with cable management system
JP3847533B2 (ja) * 2000-07-05 2006-11-22 株式会社フジクラ 光配線盤および光モジュール
WO2002057833A1 (en) * 2001-01-17 2002-07-25 Uecomm Limited A method of routing fibre optic core and a fibre optic core distribution network produced thereby
DE10113528A1 (de) * 2001-03-20 2002-09-26 Reichle & De Massari Ag Wetzik Kabelführungsmodul und Verwendung desselben
JP2003015003A (ja) * 2001-06-29 2003-01-15 Sumitomo Electric Ind Ltd 集合住宅への光ファイバケーブル配線方法
JP3902016B2 (ja) * 2002-01-24 2007-04-04 株式会社フジクラ 光配線盤及び光接続ユニット
US6764221B1 (en) * 2002-12-30 2004-07-20 Corning Calde Systems Llc Flexible, multi-fiber fiber optic jumper
KR100601949B1 (ko) * 2004-04-07 2006-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KR100624419B1 (ko) * 2004-04-07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373069B2 (en) * 2005-07-15 2008-05-13 Daniel Otoniel Lazo Fiber optic te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402280A (en) 2004-12-01
WO2004088382A1 (en) 2004-10-14
CA2519804A1 (en) 2004-10-14
AU2004226635B2 (en) 2010-04-29
US20080013884A1 (en) 2008-01-17
US8837893B2 (en) 2014-09-16
US20060188209A1 (en) 2006-08-24
GB0407334D0 (en) 2004-05-05
AU2004226635A1 (en) 2004-10-14
GB2402280B (en) 2007-09-26
JP4515449B2 (ja) 2010-07-28
EP1609012A1 (en) 2005-12-28
EP1609012B1 (en) 2017-01-04
JP2006522355A (ja) 200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079144C (en) Switching assembly for glass fibre cables of the telecommunication and data technology
US6009225A (en) Fiber optic drop splice closure and related methods
US9482840B2 (en) Port mapping for series connected fiber optic terminals
US20190072736A1 (en) High density distribution frame with an integrated splicing compartment
US8655135B2 (en) Exchange cabling method and apparatus
US20200310066A1 (en) Fiber optic network architecture using high fiber-count fiber optic connectors
US8837893B2 (en) Exchange cabling
WO2011130472A2 (en) Port mapping in fiber optic network devices
US8842958B2 (en) Exchange cabling storage apparatus
CN1768287B (zh) 光缆配线架
JP3847752B2 (ja) 光ファイバ分岐分配方法及び収納トレイ
CN115867843A (zh) 电信设备
KR101165060B1 (ko) 무여장 처리 광분배반의 구조
AU2015204389A1 (en) Port mapping for series connected fiber optic terminals
JP2001221964A (ja) 光ファイバ接続替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1011

Effective date: 20120824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