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8770A - 연료전지용 개질기,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연료전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용 개질기,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연료전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8770A
KR20050108770A KR1020040033823A KR20040033823A KR20050108770A KR 20050108770 A KR20050108770 A KR 20050108770A KR 1020040033823 A KR1020040033823 A KR 1020040033823A KR 20040033823 A KR20040033823 A KR 20040033823A KR 20050108770 A KR20050108770 A KR 20050108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ormer
fuel cell
aluminum
reaction substrate
catalys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6255B1 (ko
Inventor
이종기
박진
김주용
한지성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3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6255B1/ko
Priority to US11/123,894 priority patent/US7740669B2/en
Priority to JP2005140387A priority patent/JP2005327732A/ja
Priority to CNB2005100688474A priority patent/CN100346520C/zh
Publication of KR20050108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7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6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62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3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 C01B3/34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 C01B3/38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using cataly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B01J19/248Reactors comprising multiple separated flow channels
    • B01J19/249Plate-type re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62Treatment of gaseous reactants or gaseous residues, e.g.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B01J2219/2401Reactors comprising multiple separate flow channels
    • B01J2219/245Plate-type reactors
    • B01J2219/2451Geometry of the reactor
    • B01J2219/2453Plates arranged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B01J2219/2401Reactors comprising multiple separate flow channels
    • B01J2219/245Plate-type reactors
    • B01J2219/2451Geometry of the reactor
    • B01J2219/2456Geometry of the plates
    • B01J2219/2458Flat plates, i.e. plates which are not corrugated or otherwise structured, e.g. plates with cylindrical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24Stationary reactors without moving elements inside
    • B01J2219/2401Reactors comprising multiple separate flow channels
    • B01J2219/245Plate-type reactors
    • B01J2219/2476Construction materials
    • B01J2219/2477Construction materials of the catalysts
    • B01J2219/2479Catalysts coated on the surface of plates 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01J23/42Platin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01J23/46Ruthenium, rhodium, osmium or iridium
    • B01J23/462Ruthe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2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4Iron group metals
    • B01J23/745Ir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4Iron group metals
    • B01J23/75Coba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6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 B01J23/8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combined with metals, oxides or hydroxides provided for in groups B01J23/02 - B01J23/36 with zinc, cadmium or mercu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2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 B01J37/0215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2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 B01J37/0215Coating
    • B01J37/0225Coating of metal substrates
    • B01J37/0226Oxidation of the substrate, e.g. anod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2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 B01J37/0238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via the gaseous phase-subli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05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 C01B2203/0227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containing a catalytic reforming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6Integration with other chemical processes
    • C01B2203/066Integration with other chemical processes with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0Catalysts for performing the hydrogen forming reactions
    • C01B2203/1005Arrangement or shape of catalyst
    • C01B2203/1011Packed bed of catalytic structures, e.g. particles, packing elements
    • C01B2203/1017Packed bed of catalytic structures, e.g. particles, pack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0Catalysts for performing the hydrogen forming reactions
    • C01B2203/1041Composition of the catalyst
    • C01B2203/1047Group VIII metal catalys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0Catalysts for performing the hydrogen forming reactions
    • C01B2203/1041Composition of the catalyst
    • C01B2203/1076Copper or zinc-based cataly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2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using catalysts, e.g. selective cataly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45Catalytic device ma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개질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로 채널 및 상기 유로 채널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 기공을 포함하는 반응 기판 몸체; 및 상기 반응 기판 몸체의 유로 채널에 형성된 촉매층을 포함하는 반응 기판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개질기,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개질기는 유로 채널에 미세 기공이 형성된 반응 기판을 포함하여 활성비표면적이 크며, 증착법으로 촉매층을 형성시키므로, 개질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연료전지용 개질기,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REFORMER FOR FUEL CELL SYSTEM,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FUEL CELL SYSTEM COMPRISING THE SAME}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개질기,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활성표면적이 큰 반응 기판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개질기와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일반적으로, 연료 전지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천연가스 등 탄화수소 계열의 유기연료 내에 함유되어 있는 수소를 연료로 하여 일어나는 전기화학 반응에 의하여 화학에너지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화시키는 발전 시스템이다. 유기 연료의 높은 비에너지(specific energy)(예를 들어 메탄올의 비에너지는 6232wh/kg임) 때문에 유기 연료를 사용하는 연료 전지는 설치상 또는 휴대상 모두 극도로 매력적이다.
이러한 연료 전지는 사용하는 전해질의 종류에 따라, 150~200℃ 부근에서 작동하는 인산형 연료전지, 600~700℃의 고온에서 작동하는 용융탄산염 형 연료전지, 1000℃ 이상의 고온에서 작동하는 고체 산화물형 연료전지, 상온 내지 100℃ 이하에서 작동하는 고분자 전해질형 및 알칼리형 연료전지 등으로 분류되며, 이들 각각의 연료전지는 근본적으로 같은 원리에 의해 작동하나, 연료의 종류, 운전 온도, 촉매 및 전해질이 서로 다르다.
이 중에서 근래에 개발되고 있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ce Fuel Cell: PEMFC)는, 다른 연료 전지에 비하여 출력 특성이 탁월하고 작동 온도가 낮을 뿐더러 빠른 시동 및 응답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메탄올, 에탄올 또는 천연 가스 등을 개질하여 만들어진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여 자동차와 같은 이동용 전원은 물론, 주택, 공공건물과 같은 분산용 전원 및 전자기기용과 같은 소형 전원 등 그 응용 범위가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가 기본적으로 시스템의 구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스택(stack)이라 불리는 연료 전지 본체(이하, 편의상 스택이라 칭한다.), 연료 탱크 및 이 연료 탱크로부터 상기 스택으로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연료 펌프 등이 필요하다. 그리고,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스택으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연료를 개질하여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고 그 수소 가스를 스택으로 공급하는 개질기(reformer)가 더욱 포함된다. 따라서,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는 연료 펌프의 펌핑력에 의해 연료 탱크에 저장된 연료를 개질기로 공급하고, 개질기가 연료를 개질하여 수소 가스를 발생시키며, 스택이 수소 가스와 산소를 전기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해 내게 된다.
한편, 연료 전지는 액상의 메탄올 연료를 직접 스택에 공급할 수 있는 직접 메탄올형 연료 전지(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직접 메탄올형 연료 방식의 연료 전지는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 전지와 달리, 개질기가 배제된다.
상기와 같은 연료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전기를 실질적으로 발생시키는 스택은 전극-전해질 합성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와 바이폴라 플레이트(Bipolar Plate)로 이루어진 단위 셀이 수 개 내지 수 십 개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전극-전해질 합성체는 전해질막을 사이에 두고 애노드 전극(일명, "연료극" 또는 "산화전극"이라고 한다)과 캐소드 전극(일명, "공기극" 또는 "환원전극"이라고 한다)이 부착된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바이폴라 플레이트는 연료 전지의 반응에 필요한 수소 가스와 산소가 공급되는 통로의 역할과 각 전극-전해질 합성체의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을 직렬로 연결시켜 주는 전도체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따라서, 바이폴라 플레이트에 의해 애노드 전극에는 수소 가스가 공급되는 반면, 캐소드 전극에는 산소가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애노드 전극에서는 수소 가스의 전기 화학적인 산화 반응이 일어나고, 캐소드 전극에서는 산소의 전기 화학적인 환원이 반응이 일어나며 이때 생성되는 전자의 이동으로 인해 전기와 열 그리고 물을 함께 얻을 수 있다.
전술한 바 있는 개질기는 수소를 함유한 연료와 물을 개질하여 스택의 전기 생성에 필요한 수소 가스로 전환할 뿐만 아니라, 연료 전지를 피독시켜 수명을 단축시키는 일산화탄소와 같은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개질기를 요하는 모바일용 연료전지의 경우, 개질기의 크기가 매우 작아, 연료가 통과하는 유로채널의 폭이나 깊이는 수십 마이크로미터 내지 수십 밀리미터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기존의 슬러리 주입법 또는 직접 코팅법으로는 정밀한 촉매층의 형성이 어려우며, 비표면적이 작아서, 충분한 개질 효과를 얻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응기판의 몸체에 형성된 유로 채널의 표면에 미세 기공을 형성시킴으로써, 활성 비표면적을 크게 한 연료전지용 개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개질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개질기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로 채널 및 상기 유로 채널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 기공을 포함하는 반응 기판 몸체; 및 상기 반응 기판 몸체의 유로 채널에 형성된 촉매층을 포함하는 반응 기판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개질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반응 기판 몸체에 유로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응기판 몸체의 유로채널 표면을 양극산화(애노다이징)하여 나노크기의 기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기공이 형성된 유로채널에 촉매층을 형성시켜 반응 기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반응 기판을 다수 적층하고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개질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연료와 물이 혼합된 혼합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 상기 혼합연료를 개질하여 수소 기체를 발생시키며, 상기 연료전지용 개질기를 포함하는 개질부; 상기 개질부로부터 공급되는 수소 기체가 외부 공기와 전기 화학적인 반응을 일으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스택; 및 외부 공기를 상기 스택 및 개질부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개질기에 포함되는 반응 기판의 일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I-I선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개질기에 포함되는 반응기판이 상기 도 1 및 도 2의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개질기는 유로 채널(11) 및 상기 유로 채널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 기공(12)을 포함하는 반응 기판 몸체(13)와 상기 반응 기판 몸체의 유로 채널(11) 및 상기 미세 기공(12)의 내부에 형성된 촉매층(14)을 포함하는 반응 기판(10)을 포함한다.
특히,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반응 기판(10)은 미세 기공(12) 내에도 촉매층(14)이 형성되므로, 활성 비표면적이 크고, 적은 양의 촉매로도 우수한 반응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반응 기판의 유로 채널(11)에 형성된 상기 미세 기공(12)은 직경이 10 내지 1000 nm인 것이 바람직하며, 30 내지 500 nm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미세 기공의 직경이 10 nm 미만인 경우에는 기공 내부까지 촉매를 균일하게 증착하기 어려우며, 1000 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면적 증대효과가 현저히 감소한다.
또한, 상기 미세 기공(12)은 깊이가 50 nm 내지 3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nm 내지 1 ㎛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100 내지 500 n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미세 기공의 깊이가 50 nm 미만인 경우에는 기공의 직경이 10 nm 이하로 될 수 있으며, 3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판의 기계적 강도가 약해진다.
상기 유로 채널(11)의 표면에 존재하는 미세 기공(12)의 밀도는 1×105 내지 1×1010 개/m2인 것이 바람직하며, 1×106 내지 1×109 개/m 2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미세 기공의 밀도가 1×105 개/m2 미만인 경우에는 활성 표면적 증가의 효과가 미미하며, 1×1010 개/m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공의 크기가 10 nm 이하가 된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개질기에 사용되는 상기 반응 기판의 몸체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알루미늄 합금은 알루미늄-망간, 알루미늄-마그네슘, 알루미늄-구리-마그네슘,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콘, 알루미늄-실리콘, 또는 알루미늄-구리-실리콘 합금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 기판 몸체는 표면에 양극산화(애노다이징) 처리에 의해 생긴 산화금속층(15)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산화알루미늄(aluminum oxide)을 포함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양극산화된 산화알루미늄(anodized aluminum oxide : AAO)을 포함한다. 상기 산화금속층의 두께는 상기 미세기공의 깊이와 대략 일치한다. 따라서, 상기 산화금속층의 두께는 50 nm 내지 3 ㎛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 nm 내지 1 ㎛인 것이 더 바람직하며, 100 내지 500 n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산화금속층의 두께가 50 nm 미만인 경우에는 기공의 직경이 10 nm 이하로 되며, 3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판의 기계적 강도가 약해진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개질기에 포함되는 반응 기판이 포함하는 상기 촉매층은 백금(Pt), 루테늄(Ru), 구리(Cu), 구리/산화아연(Cu/ZnO), 철(Fe) 또는 니켈(Ni)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촉매를 포함한다.
상기 촉매를 포함하는 촉매층은 두께가 5 nm 내지 10 ㎛인 것이 바람직하며, 10 nm 내지 5 ㎛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촉매층의 두께가 5 nm 미만인 경우에는 개질효과가 충분하지 못하며, 10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개질효과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아, 촉매의 낭비를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개질기는 상기 반응 기판을 다수 포함하며, 이들을 적층한 형태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용 개질기의 제조방법은 반응 기판 몸체에 유로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응기판 몸체의 유로채널 표면을 양극산화(애노다이징)하여 나노크기의 기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기공이 형성된 유로채널에 촉매층을 형성시켜 반응 기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반응 기판을 다수 적층하고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반응 기판 몸체는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알루미늄 합금은 알루미늄-망간, 알루미늄-마그네슘, 알루미늄-구리-마그네슘,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콘, 알루미늄-실리콘, 또는 알루미늄-구리-실리콘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재질로 이루어진 반응 기판 몸체에 유체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도록 유로 채널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유로채널의 형성 방법은 특정 방법에 국한되지 아니하며, 통상적인 유로채널 형성 방법으로 형성시킬 수 있고, 상기 유로 채널의 단면, 형태, 폭 또는 깊이 등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밀리미터 이하의 폭 또는 깊이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반응기판 몸체에 상기와 같이 유로 채널을 형성시킨 후에, 유로채널 표면을 양극산화(애노다이징)하여 미세 기공을 형성시킨다. 양극산화 기법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을 산성 전해액에 노출시킨 후, 전압을 걸어 표면을 산화시키는 방법으로서, 양극을 통해 전해액 중에 알루미늄을 통과시키면, 우선 표면에 금속산화물 층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산화물(Al2O3)의 얇은 층이 생긴다. 이 때, 전압이 충분히 크면, 전해액의 침식작용과 함께, 얇은 피막이 파괴되면서, 상당한 양의 열을 발생시키고, 이 열은 더욱 전해액에 의한 침식을 조장하여 다공성의 피막이 형성된다.
상기 유로 채널에 형성된 미세 기공의 크기와 깊이 및 밀도는 전류 인가 시간을 변화하는 방법으로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전류 인가 시간이 길어지면 기공의 크기 및 깊이가 증가하며, 전류 인가 시간이 짧으면 크기 및 깊이가 감소한다. 또한, 전류 인가 시간이 짧으면 기공의 밀도가 증가하며, 전류 인가 시간이 길어지면 기공의 밀도가 감소한다.
상기 전해액에 사용되는 산물질로는 옥살산, 황산, 또는 크롬산 등이 바람직하다.
반응 기판 몸체의 유로채널에만 미세 기공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유로 채널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반응 기판 몸체의 표면에 내산성을 가지면서 양극산화 후에 제거가 용이한 부도체로 먼저 코팅을 한 후에 유로 채널이 형성된 부분을 양극산화하고, 상기 코팅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팅물질로는 에폭시 또는 실리콘고무 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양극산화법으로 유로채널 표면에 미세기공을 형성시킨 반응 기판 몸체의 유로채널에 촉매층을 형성시킨다. 이 때, 상기 촉매층은 증착법을 이용하여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스퍼터링, 열화학증착법(Thermal CVD), 플라즈마강화 화학증착법(Plasma Enhanced CVD; PECVD), 열증발법 또는 전자선(e-beam)증발법 등에서 선택되는 증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방법 중에서 2가지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촉매층은 백금(Pt), 루테늄(Ru), 구리(Cu), 구리/산화아연(Cu/ZnO), 철(Fe) 또는 니켈(Ni) 등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촉매를 사용하여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된 반응 기판을 다수 적층하고 조립하여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개질기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적층 및 조립과정은 통상적인 개질기 제조방법에 따른다.
도 3은 본 발명의 연료전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연료전지 시스템(100)은 연료와 물이 혼합된 혼합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110); 상기 혼합연료를 개질하여 수소 기체를 발생시키며, 상기 연료전지용 개질기를 포함하는 개질부(120); 상기 개질부로부터 공급되는 수소 기체가 외부 공기와 전기 화학적인 반응을 일으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스택(130); 외부 공기를 상기 개질부(120) 및 스택(130)으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140)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순도 99%의 알루미늄 금속판을 반응 기판 몸체로 하여, 상기 몸체의 일면에 폭 0.8 mm, 깊이 0.8 mm인 유로 채널을 형성하였다. 유로채널의 형태는 도 1과 같다. 상기 유로 채널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 반응 기판 몸체의 표면에 에폭시 수지를 코팅하였다. 상기 반응 기판 몸체를 옥살산(H2C2O4) 수용액(5 중량% 농도)에 침지하고, 30 ℃의 온도에서 AC 60 V의 전압을 걸어 양극산화 처리하였다. 이 때, 전류밀도는 3 A/dm2이 되도록 하였으며, 처리시간은 40분으로 하였다.
상기 양극산화처리가 끝난 후, 에폭시 수지 코팅을 제거하고, 전자주사현미경(SEM)을 이용하여 유로 채널에 형성된 미세 기공을 관찰하였으며, 이 때 형성된 기공의 깊이 및 금속산화물층의 두께는 평균 2 ㎛였다.
상기 미세기공이 형성된 반응 기판 몸체의 유로채널에 백금(Pt)을 스퍼터링하여 촉매층을 형성시켰다. 이 때 형성된 백금층의 두께는 1 ㎛였다.
상기 촉매층이 형성된 반응 기판을 적층하고 조립하여 연료전지용 개질기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1.2 중량%의 망간(Mn)을 포함하는 알루미늄-망간 합금을 반응 기판 몸체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기판을 제조하고, 연료전지용 개질기를 제조하였다.
양극산화처리가 끝난 후, 에폭시 수지 코팅을 제거하고, 전자주사현미경(SEM)을 이용하여 유로 채널에 형성된 미세 기공을 관찰하였으며, 이 때 형성된 기공의 깊이 및 금속산화물층의 두께는 평균 0.8 ㎛였다.
비교예 1
반응 기판 몸체의 유로 채널에 미세 기공을 형성시키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기판을 제조하고, 연료전지용 개질기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백금 촉매를 슬러리 코팅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기판을 제조하고, 연료전지용 개질기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에 따라 제조된 연료전지용 개질기에 대하여 개질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H2(부피%) 74.842 74.688 74.535 74.542
CO2(부피%) 25.012 25.064 25.047 25.102
CO (부피%) 0.146 0.158 0.418 0.356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2에 따라 제조된 개질기를 통과한 개질기체는 비교예 1, 2에 따라 제조된 개질기를 통과한 개질기체에 비해 수소기체의 함량이 높고, 일산화탄소의 함량이 낮아 그 효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개질기는 유로 채널에 미세 기공이 형성된 반응 기판을 포함하여 활성비표면적이 크며, 증착법으로 촉매층을 형성시키므로, 개질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연료전지용 개질기에 포함되는 반응 기판의 일 예를 사시도.
도 2는 상기 반응기판의 유로채널의 단면을 나타낸 모식적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연료전지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Claims (24)

  1. 유로 채널 및 상기 유로 채널의 표면에 형성된 미세 기공을 포함하는 반응 기판 몸체; 및
    상기 반응 기판 몸체의 유로 채널 및 미세 기공 내에 형성된 촉매층을 포함하는 반응 기판
    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개질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기공은 직경이 10 내지 1000 nm인 연료전지용 개질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기공은 직경이 30 내지 500 nm인 연료전지용 개질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기공은 깊이가 50 nm 내지 3 ㎛인 연료전지용 개질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기공은 깊이가 100 nm 내지 1 ㎛인 연료전지용 개질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기공의 밀도는 1×105 내지 1×1010 개/m2인 연료전지용 개질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기공의 밀도는 1×106 내지 1×109 개/m2인 연료전지용 개질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기판 몸체는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개질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합금은 알루미늄-망간, 알루미늄-마그네슘, 알루미늄-구리-마그네슘,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콘, 알루미늄-실리콘, 및 알루미늄-구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금인 연료전지용 개질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기판 몸체는 표면에 산화금속층을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개질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금속층은 산화알루미늄(aluminum oxide:AO), 및 양극산화된 산화알루미늄(anodized aluminum oxide:AAO)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연료전지용 개질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금속층은 두께가 50 nm 내지 3 ㎛인 연료전지용 개질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금속층은 두께가 100 nm 내지 1 ㎛인 연료전지용 개질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은 백금(Pt), 루테늄(Ru), 구리(Cu), 구리/산화아연(Cu/ZnO), 철(Fe) 및 니켈(N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개질기용 촉매를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개질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은 두께가 5 nm 내지 10 ㎛인 연료 전지 개질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은 두께가 10 nm 내지 5 ㎛인 연료 전지 개질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기는 상기 반응 기판을 적층식으로 다수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개질기.
  18. 반응 기판 몸체에 유로채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반응기판 몸체의 유로채널 표면을 양극산화(애노다이징)하여 나노크기의 기공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기공이 형성된 유로채널에 촉매층을 형성시켜 반응 기판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반응 기판을 다수 적층하고 조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개질기의 제조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 기판 몸체는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개질기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합금은 알루미늄-망간, 알루미늄-마그네슘, 알루미늄-구리-마그네슘, 알루미늄-마그네슘-실리콘, 알루미늄-실리콘, 및 알루미늄-구리-실리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합금인 연료전지용 개질기의 제조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개질기용 촉매층은 증착법으로 형성시키는 것인 연료전지용 개질기의 제조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증착방법은 스퍼터링, 열화학증착법(thermal CVD), 플라즈마강화 화학증착법(plasma enhanced CVD:PECVD), 열증발법 및 전자선(e-beam)증발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증착법을 사용하는 것인 연료전지용 개질기의 제조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층은 백금(Pt), 루테늄(Ru), 구리(Cu), 구리/산화아연(Cu/ZnO), 철(Fe) 및 니켈(N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개질기용 촉매를 사용하여 형성시키는 것인 연료전지용 개질기의 제조방법.
  24. 연료와 물이 혼합된 혼합연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부;
    상기 혼합연료를 개질하여 수소 기체를 발생시키며,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연료전지용 개질기를 포함하는 개질부;
    상기 개질부로부터 공급되는 수소 기체가 외부 공기와 전기 화학적인 반응을 일으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스택; 및
    외부 공기를 상기 스택 및 개질부로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KR10-2004-0033823A 2004-05-13 2004-05-13 연료전지용 개질기,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연료전지 시스템 KR100536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823A KR100536255B1 (ko) 2004-05-13 2004-05-13 연료전지용 개질기,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연료전지 시스템
US11/123,894 US7740669B2 (en) 2004-05-13 2005-05-09 Reformer for fuel cell system, fabrication method therefor, and fuel cell system comprising the same
JP2005140387A JP2005327732A (ja) 2004-05-13 2005-05-12 燃料電池用改質器、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燃料電池システム
CNB2005100688474A CN100346520C (zh) 2004-05-13 2005-05-12 燃料电池***的重整器及其制造方法以及包含它的燃料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823A KR100536255B1 (ko) 2004-05-13 2004-05-13 연료전지용 개질기,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연료전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770A true KR20050108770A (ko) 2005-11-17
KR100536255B1 KR100536255B1 (ko) 2005-12-12

Family

ID=35307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823A KR100536255B1 (ko) 2004-05-13 2004-05-13 연료전지용 개질기,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연료전지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740669B2 (ko)
JP (1) JP2005327732A (ko)
KR (1) KR100536255B1 (ko)
CN (1) CN100346520C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309B1 (ko) * 2005-01-21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열 및 물질전달 특성이 우수한 연료가스 개질반응 촉매용담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91438B1 (ko) * 2005-11-08 2007-03-09 삼성전기주식회사 박막형 개질 기의 촉매 형성방법
KR100696622B1 (ko) * 2005-10-19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마이크로 개질 반응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755608B1 (ko) * 2006-04-19 2007-09-06 삼성전기주식회사 마이크로 유로 내의 촉매 충전방법
KR100823809B1 (ko) * 2006-11-02 2008-04-2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01108B1 (ko) * 2012-12-10 2014-05-30 한국가스공사 합성가스 제조용 삼중개질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삼중개질반응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0385A (ko) * 2005-01-05 2006-07-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 시스템, 개질기, 반응 기판 및 그 반응 기판의제조 방법
KR101223627B1 (ko) * 2006-02-03 2013-01-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개질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20388B1 (ko) * 2006-02-18 2013-10-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탄화수소 개질 촉매,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연료처리장치
DE102007062033A1 (de) * 2007-12-21 2009-06-25 Robert Bosch Gmbh Brennstoffzelle, Strömungsfeldplatt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trömungsfeldplatte
CN105126931B (zh) * 2015-08-19 2017-12-29 哈尔滨工业大学 甲醇水蒸气重整制氢体系催化剂的担载方法
CN106892403A (zh) * 2015-12-18 2017-06-27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高温燃料电池重整制氢反应器
CN106910928A (zh) * 2015-12-18 2017-06-30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高温甲醇内重整燃料电池
CN113594515A (zh) * 2021-07-29 2021-11-02 上海空间电源研究所 一种一体化高温甲酸燃料电池
CN114505028A (zh) * 2022-02-16 2022-05-17 佛山仙湖实验室 多孔型热反应器及一体化抛物槽式太阳能热化学反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8754A (ja) * 1986-12-19 1988-07-01 Mitsubishi Electric Corp 内部改質形燃料電池
JP2002301381A (ja) 2001-04-05 2002-10-15 Ebara Corp 担持触媒及び改質装置
US6766817B2 (en) * 2001-07-25 2004-07-27 Tubarc Technologies, Llc Fluid conduction utilizing a reversible unsaturated siphon with tubarc porosity action
JP2003132906A (ja) * 2001-10-24 2003-05-09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用単セル及び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US7077643B2 (en) * 2001-11-07 2006-07-18 Battelle Memorial Institute Microcombustors, microreformers, and methods for combusting and for reforming fluids
JP3796179B2 (ja) 2002-01-22 2006-07-12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反応器
JP2003265949A (ja) 2002-03-15 2003-09-24 Casio Comput Co Ltd 微小流路構成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99985B2 (ja) 2002-04-11 2007-03-2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微小反応炉構成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346859A (ja) * 2002-05-23 2003-12-05 Nissan Motor Co Ltd 一酸化炭素除去装置
KR20060080385A (ko) * 2005-01-05 2006-07-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 전지 시스템, 개질기, 반응 기판 및 그 반응 기판의제조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309B1 (ko) * 2005-01-21 200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열 및 물질전달 특성이 우수한 연료가스 개질반응 촉매용담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696622B1 (ko) * 2005-10-19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마이크로 개질 반응기 및 그 제조방법
KR100691438B1 (ko) * 2005-11-08 2007-03-09 삼성전기주식회사 박막형 개질 기의 촉매 형성방법
KR100755608B1 (ko) * 2006-04-19 2007-09-06 삼성전기주식회사 마이크로 유로 내의 촉매 충전방법
KR100823809B1 (ko) * 2006-11-02 2008-04-2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01108B1 (ko) * 2012-12-10 2014-05-30 한국가스공사 합성가스 제조용 삼중개질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삼중개질반응시스템
WO2014092426A1 (ko) * 2012-12-10 2014-06-19 한국가스공사 합성가스 제조용 삼중개질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삼중개질반응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327732A (ja) 2005-11-24
CN100346520C (zh) 2007-10-31
CN1697227A (zh) 2005-11-16
US20050252002A1 (en) 2005-11-17
US7740669B2 (en) 2010-06-22
KR100536255B1 (ko) 2005-12-12
US20060080833A9 (en) 200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0669B2 (en) Reformer for fuel cell system, fabrication method therefor, and fuel cell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8323848B2 (en)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preparation method, and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JP4565644B2 (ja) 燃料電池用高分子電解質膜,膜−電極アセンブリー,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膜−電極アセンブリーの製造方法
JP4637007B2 (ja) 燃料電池用金属セパレ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01004A (ko) 연료전지용 촉매 및 이를 포함하는 저가습 막전극 집합체
TW201025711A (en) Membrane-electrode assembly (MEA) struc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JP2001351642A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JP2007109624A (ja) 燃料電池の筐体及び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JP2006012816A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その製造方法及びこれを含む燃料電池
JP3932549B2 (ja) 燃料電池用電解質膜
KR20050103648A (ko) 연료전지용 촉매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연료전지 시스템
JP5115681B2 (ja) 燃料電池用電解質膜及び燃料電池用電解質膜の製造方法
KR20060001536A (ko) 연료 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KR100612233B1 (ko)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전지
US20100291415A1 (en) Methods for increasing carbon monoxide tolerance in fuel cells
JP4760041B2 (ja) 燃料電池用電解質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404363B2 (ja) 燃料電池用セパレータ
JP2007073347A (ja) 燃料電池
KR100570765B1 (ko) 연료 전지용 바이폴라 플레이트,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 전지
KR101093708B1 (ko) 연료전지용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WO2004047211A1 (fr) Ensemble electrode a membrane pour piles a combustibl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2002134120A (ja) 燃料電池用電極とこれを用いる燃料電池
KR20060103631A (ko) 연료전지용 개질 반응기 및 그 제조방법
JP2005302610A (ja) 燃料電池及び燃料電池用金属製拡散層の製造方法
JP2005310705A (ja) 燃料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