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8720A -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8720A
KR20050108720A KR1020040033744A KR20040033744A KR20050108720A KR 20050108720 A KR20050108720 A KR 20050108720A KR 1020040033744 A KR1020040033744 A KR 1020040033744A KR 20040033744 A KR20040033744 A KR 20040033744A KR 20050108720 A KR20050108720 A KR 20050108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osmetic composition
skin
mixed herb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3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동일
김경동
전영민
이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생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생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생화장품
Priority to KR1020040033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08720A/ko
Publication of KR20050108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872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궁, 건지황, 향부자, 백출, 승마, 인삼, 황백, 정향, 목향, 및 고삼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그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피부 수분 함량을 증가시키고, 피부 수분 증발량을 감소시키며, 피부 탄력을 증강시킬 뿐 아니라, 열 안정성 및 광 안정성이 매우 우수함으로, 피부 보습력 및 탄력 증강용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HERBAL MIXTURE EXTRACT}
본 발명은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궁, 건지황, 향부자, 백출, 승마, 인삼, 황백, 정향, 목향, 및 고삼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우리 몸에 있어서, 몸 부피의 약 16%를 차지하고 있는 피부는 외부 환경과 직접 접해 있으면서 우리 몸 안으로 침입하려는 다양한 유해 인자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중요한 보호막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피부는 연령의 증가에 따라, 또는 자외선, 외부 오염 물질, 및 스트레스에 의해 차츰 손상을 입게 되며, 이러한 외부 손상 요인들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자체 기능이 지속적인 자극에 의해 약화됨으로써, 세포 보호 및 증식 능력이 떨어지게 되어, 피부가 거칠어지고 주름이 생기는 피부 노화 현상이 촉진 되게 된다.
이러한 노화 현상은 주로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의 절단과 저분자화, 섬유아세포의 콜라겐(collagen) 생성 부진 등으로 인하여 피부 각질 층 및 진피 층의 수분 보유 능력이 감소하고, 엘라스틴(elastine) 섬유 조직의 약화에 의해 피부 탄력이 감소함으로 나타난다.
각질층의 수분 보유능력은 건강한 피부 상태를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인자로서 건조하고 거친 피부는 대부분 각질층의 수분 부족의 결과로 나타난다. 따라서 종래에는 각질층의 수분 보유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습제를 사용하여 왔으며, 주로 수용성 고분자(미국 특허 제 4,146,649호)와 다가알콜류(미국 특허 제 4,829,092호)를 그 원료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수용성 고분자는 피부에서 건조되고 나면 얇은 피막을 형성하여 피부에 부자유함을 주고, 다가알콜류는 주변환경에서 지속적으로 수분을 취하려는 경향이 있어 끈적임이 있고 건조한 날에는 피부에 존재하는 수분을 오히려 빼앗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부 탄력 증강을 위하여 콜라겐을 첨가한 화장료 또는 수렴제 등이 사용되었으나, 이들은 일시적으로 혈관을 수축시키는 국소적인 효과가 있을 뿐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동물, 식물, 미생물 등으로부터 얻은 생리 활성 물질을 화장료에 도입하여 피부 자체의 고유 방어 기능을 유지시킴으로서 보습력과 탄력을 증강시키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의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다. 특히, 엘라스틴에 특이적으로 작용하는 프로테아제인 엘라스타제 저해 작용을 갖는 물질에 대한 탐색이나(일본특허공개공보 평 9-87137호), 히알루론산을 분해하는 히알루로니다제 활성 억제 물질에 대한 연구(일본특허공개공보 평 2-11520호) 등이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화장료들은 대부분 그 효능이 미진하거나, 다량 또는 장기간 사용에 따른 부작용의 위험이 있으며, 고온, 일광에 대한 안정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부작용이 적고 안정한 생리 활성 물질을 함유한 피부 보습 및 탄력 증강용 화장료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이 적고 피부 보습 및 탄력 증강에 효과적인 생약 추출물에 대해 연구하던 중, 10 여종의 생약 추출물의 혼합물에서 피부 보습 및 탄력 증강에 효과가 있음은 물론, 고온 및 일광에 대한 안정성이 뛰어남을 확인하고, 이를 화장료에 도입하여 노화 방지에 효과적인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의 보습력 및 탄력 증강 효과가 우수하여 노화 방지에 효과적이며, 안정성이 뛰어난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천궁, 건지황, 향부자, 백출, 승마, 인삼, 황백, 정향, 목향, 및 고삼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그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및 피부 탄력 증강에 유용한 조성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유하는 각각의 생약 성분이 어떠한 작용을 나타내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천궁(川芎, Cnidium officinale)은 산형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 동의 치료에서 그 근경을 그대로 또는 열탕에 데쳐 말린 것을 사용하며 보혈, 강장, 진정 및 피부 면역력 증강에 효과가 있다.
지황(地黃, Rehmannia glutinosa)은 중국이 원산지인 다년생 초본으로서, 그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는데, 자연 그대로의 것을 생지황(生地黃), 건조시킨 것을 건지황(乾地黃)이라 한다. 건지황은 신장 및 간장의 기능을 도와주며 피를 맑게 해주는 평혈제로 쓰이며 생지황은 피부 각화 예방에 효과적이다.
향부자(香附子, Cyperus rotundus)는 다년생 초본인 향부자의 근경을 건조한 것으로, 항산화 기능과 혈액순환촉진의 효과가 있다.
백출(白朮, Atractyloides japonica)은 삽주 뿌리라고도 하며, 피부 사이의 풍을 낫게 하고 땀을 그치게 하며 비장을 돕고 위장을 강하게 하여 속을 온화하게 한다. 피부 자양에 효과가 있다.
승마(升麻, Cimicifuga dahurica)는 뿌리가 굵고 자줏빛을 띤 미나리아재비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그 뿌리는 항염, 면역 증강 효과로 해열제, 해독제 등으로 쓰인다.
인삼(人蔘, Panax ginseng)은 간의 콜레스테롤 대사를 촉진하여 간장보호 작용을 하며, 생체 내에서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는 등 다양한 효능이 있다.
황백(黃柏, Phellodendron amurense)은 갈잎큰키나무, 황벽나무, 피나무 등의 나무 껍질을 말하며, 항염, 항산화 및 수렴작용에 효과가 있다.
정향(丁香, Eugenia caryophllus)은 정향나무 꽃망울이 질 때 따서 건조시킨 것으로, 구토, 위장 허약 등에 사용된다.
목향(木香, Inula heleninm)은 당목향의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항균 효과가 있으며 기를 잘 돌게 하고 아픔을 멈추며 비를 튼튼하게 하고 위의 기능을 좋게 한다.
고삼(苦蔘, Sophora angustifolia)은 콩과의 다년초로 그 뿌리를 민간약으로 사용하여 왔으며, 항균 및 노화 완화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생약 건조 중량으로 천궁 1~10 중량부, 건지황 1~10 중량부, 향부자 1~10 중량부, 백출 1~10 중량부, 승마 1~10 중량부, 인삼 1~10 중량부, 황백 1~10 중량부, 정향 1~10 중량부, 목향 1~10 중량부, 및 고삼 1~10 중량부를 포함하며, 각각의 생약 성분이 모두 동일한 중량으로 사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조성비는 각각의 생약 성분이 갖는 유효 용량과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찾아낸 것이며, 그 비율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피부 보습력과 탄력 증강의 효과가 떨어지거나 부작용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건조한 천궁, 건지황, 향부자, 백출, 승마, 인삼, 황백, 정향, 목향, 및 고삼을 적당량의 추출 용매에 적절한 온도에서 일정 시간 침적시켜 여과, 농축한 후 혼합한다.
상기 추출 용매로는 물(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부틸렌글리콜 수용액을 사용한다. 추출 용매의 양은 생약 건조 중량의 3 ~ 10 배, 바람직하게는 5 ~ 8배이다.
상기 침적 온도는 20 ~ 50℃ 이며, 40℃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제품의 부패, 변색 및 변취의 예방에 가장 효과적이다.
상기 침적 시간은 1 ~ 10 일간이며, 바람직하게는 7 일이다.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그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피부 수분함량을 증가시키며, 수분 증발량을 감소시키고, 피부 탄력을 증강 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고온과 일광에 대한 변색 정도가 매우 낮아 열안정성 및 광안정성이 매우 우수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 및 탄력 증강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3 내지 50 중량 % 함유될 수 있으며, 효능과 물적 안정성을 모두 고려할 때 0.3 내지 20 중량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로션, 아이크림,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엣센스, 팩 등 피부 외용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 외에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1 종 이상의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부틸렌글리콜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 한 혼합 추출물의 제조.
건조한 천궁, 건지황, 향부자, 백출, 승마, 인삼, 황백, 정향, 목향, 고삼을 각각 1 kg을 취하여 생약 건조 중량의 5 ~ 8 배의 30 중량% 부틸렌글리콜 수용액에 약 40℃ 에서 7 일간 침적시켰다.
각각의 생약 추출물을 여과, 농축시킨 후 혼합하였다.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1)에서 얻어진 혼합 생약 추출물을 5 중량%로 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1)에서 얻어진 혼합 생약 추출물을 10 중량%로 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1)에서 얻어진 혼합 생약 추출물을 15 중량%로 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의 1)에서 얻어진 혼합 생약 추출물을 20 중량%로 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1) 에탄올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 한 혼합 추출물의 제조.
30 중량% 부틸렌글리콜 수용액 대신 30 중량%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1)에서 얻어진 혼합 생약 추출물을 20 중량%로 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1) 글리세린 수용액을 추출 용매로 한 혼합 추출물의 제조.
30 중량% 부틸렌글리콜 수용액 대신 30 중량% 글리세린 수용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1)에서 얻어진 혼합 생약 추출물을 20 중량%로 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넣지 않고 통상의 방법으로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 6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비는 하기 표 1에서 나타내었다
(단위: 중량%)
원료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혼합 추출물 - 5 10 15 20 20 20
폴리옥시에틸렌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및 오일유 5.0 5.0 5.0 5.0 5.0 5.0 5.0
폴리솔베이트 60 0.2 0.2 0.2 0.2 0.2 0.2 0.2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5 0.5 0.5 0.5 0.5 0.5 0.5
세틸알코올 0.4 0.4 0.4 0.4 0.4 0.4 0.4
스쿠알란 5.0 5.0 5.0 5.0 5.0 5.0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4.0 4.0 4.0 4.0 4.0 4.0
알란토인 0.2 0.2 0.2 0.2 0.2 0.2 0.2
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5.0
디포타슘 글리시리제이트 0.05 0.05 0.05 0.05 0.05 0.05 0.05
카보머 0.2 0.2 0.2 0.2 0.2 0.2 0.2
트리에탄올아민 0.2 0.2 0.2 0.2 0.2 0.2 0.2
보존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착색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착향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실험예 1> 피부 보습력 증강 효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력 증강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 수분 보유능 측정
20 세에서 55 세의 연령대로 구성된 30 명의 건강한 여성을 피실험자(평균 연령 35.3세)로 하였다. 23℃, 상대습도 49 %의 항온 항습실에서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각 화장료 조성물을 피실험자의 하박 안쪽에 일정량 (0.03g/16㎠)을 도포하고, 도포 전, 도포 1시간 후, 도포 2시간 후의 피부 수분 함량을 수분 함량 측정기 (Corneometer CM820 Courage-Khazaka, Koln,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단위: μS/cm)
구분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도포전 50 50 50 50 50 50 50
도포 1시간후 72 78 82 85 89 88 89
도포 2시간후 61 62 65 69 71 70 70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혼합 생약 추출물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피실험자의 피부 수분 함량이 증가되었다.
2. 수분 증발량 측정
상기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실험자에게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각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후, 2 분 간격으로 10 분 동안 수분증발량측정기 (TEWA meter, Koln, Germany)를 사용하여 피부의 수분 증발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단위: %)
구 분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2분후 6.5 6.5 6.5 6.5 6.5 6.5 6.5
4분후 13.7 13.4 13.4 13.1 12.8 12.9 12.8
6분후 24.0 23.6 23.2 22.8 21.5 21.8 21.7
8분후 32.5 30.3 29.4 28.2 27.6 27.9 27.8
10분후 37.2 36.3 35.4 33.2 32.6 32.9 32.8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혼합 생약 추출물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피실험자의 피부 수분 증발량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피부의 수분 함량을 높이고, 수분증발량을 감소시키므로서 이를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의 보습 효과를 향상시키며, 이의 함유량이 증가할 수록 보습 효과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피부 탄력 증강 효과
20 세에서 55 세의 연령대로 구성된 30 명의 건강한 여성(평균 연령 35.3세)을 피실험자로 하였다. 23 ℃, 상대습도 49 %의 항온항습실에서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각 화장료 조성물을 피실험자의 눈가에 일정량 (0.03 g/16 ㎠)을 12 주 동안 도포 하였다.
이때, 피실험자를 A, B, C, D, E, F군의 6개 군으로 나누어 A군의 눈가의 왼쪽에는 비교예, 눈가의 오른쪽에는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고, B군의 눈가의 왼쪽에는 비교예, 눈가의 오른쪽에는 실시예 2, C군의 눈가의 왼쪽에는 비교예, 눈가의 오른쪽에는 실시예 3, D군의 눈가의 왼쪽에는 비교예, 눈가의 오른쪽에는 실시예 4, E군의 눈가의 왼쪽에는 비교예, 눈가의 오른쪽에는 실시예 5, F군의 눈가의 왼쪽에는 비교예, 눈가의 오른쪽에는 실시예 6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였다. 그 후, 피부 탄력 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각 군의 피부 탄력을 측정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 분 피부 탄력 개선도(%)
비교예 23
실시예 1 35
실시예 2 38
실시예 3 43
실시예 4 46
실시예 5 44
실시예 6 45
표 4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혼합 추출물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피실험자의 피부 탄력 개선도가 증가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 증강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물성 안정도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이 화장료 조성물에 도입될 때 어느 정도의 안정성을 갖는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상온, 40 ℃ 및 일광에 대해 화장료 성분의 물성 측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변색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 분 비교예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상온 30일 - 30일 - 30일 - 30일 - 30일 - 30일 - 30일 -
40도 30일 - 30일 - 30일 - 30일 - 30일 - 30일 - 30일 -
일광 25일 + 25일 + 25일 + 23일 + 22일 + 21일 + 22일 +
- 변색 없음 + 변색 미약 ++ 변색 보통 +++ 변색 심함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온과 40 ℃에서 매우 안정하며, 일광에서는 3주 정도 경과 후에 무시될 정도의 변색이 관찰되기는 하나, 더 이상의 변색 진행은 없었다. 또한, 비교예에 비하여 변색 정도의 차이가 거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열안정성 및 광안정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제제예 1>
실시예 1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유연 화장수의 제제예는 다음 표 6과 같다.
원료 함량(중량%)
혼합 생약 추출물 10.00
1,3-부틸렌글리콜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알란토인 0.1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5
시트릭애씨드 0.01
소듐시트레이트 0.02
글리세레스-26 1.00
알부틴 2.0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0
에탄올 30.00
보존제 미량
착색제 미량
착향제 미량
정제수 잔량
<제제예 2>
실시예 1의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크림의 제제예는 다음 표 7과 같다.
원료 함량(중량%)
혼합 생약 추출물 10.0
1,3-부틸렌 글리콜 7.0
글리세린 1.0
D-판테놀 0.1
식물 추출물 3.2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3
PEG-40 스테아레이트 1.2
스테아릭애씨드 2.0
폴리소르베이트 60 1.5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1.5
세테아릴알코올 3.0
미네랄오일 4.0
스쿠알란 3.8
카르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2.8
식물성 오일 1.8
디메치콘 0.4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미량
알란토인 미량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미량
토코페릴아세테이트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적량
보존제 적량
착향제 적량
정제수 잔량
본 발명의 혼합 생약 추출물은 그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피부 수분 함량을 증가시키고, 피부 수분 증발량을 감소시키며, 피부 탄력을 증강시킬 뿐 아니라, 열 안정성 및 광 안정성이 매우 우수함으로, 피부 보습력 및 탄력 증강용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다.

Claims (7)

  1. 생약 건조 중량비로, 천궁 1~10 중량부, 건지황 1~10 중량부, 향부자 1~10 중량부, 백출 1~10 중량부, 승마 1~10 중량부, 인삼 1~10 중량부, 황백 1~10 중량부, 정향 1~10 중량부, 목향 1~10 중량부, 및 고삼 1~10 중량부로 구성된 혼합 생약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3 내지 5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3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생약 건조 중량비로, 천궁 1~10 중량부, 건지황 1~10 중량부, 향부자 1~10 중량부, 백출 1~10 중량부, 승마 1~10 중량부, 인삼 1~10 중량부, 황백 1~10 중량부, 정향 1~10 중량부, 목향 1~10 중량부, 및 고삼 1~10 중량부로 구성된 혼합 생약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탄력 증강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3 내지 5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증강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생약 추출물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3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탄력 증강용 화장료 조성물
  7. 천궁, 건지황, 향부자, 백출, 승마, 인삼, 황백, 정향, 목향, 및 고삼을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 용매 생약 건조 중량의 3 ~ 10 배의 양에 20 ~ 50℃에서 침적시킨 후 여과, 농축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 생약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20040033744A 2004-05-13 2004-05-13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501087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744A KR20050108720A (ko) 2004-05-13 2004-05-13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3744A KR20050108720A (ko) 2004-05-13 2004-05-13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8720A true KR20050108720A (ko) 2005-11-17

Family

ID=37284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3744A KR20050108720A (ko) 2004-05-13 2004-05-13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087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5093A1 (ja) * 2007-07-02 2009-01-08 Kobayashi Pharmaceutical Co., Ltd. 肌新陳代謝促進剤
US11672753B2 (en) 2017-11-28 2023-06-13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sebum control and pore minimiz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05093A1 (ja) * 2007-07-02 2009-01-08 Kobayashi Pharmaceutical Co., Ltd. 肌新陳代謝促進剤
JP2009013086A (ja) * 2007-07-02 2009-01-22 Kobayashi Pharmaceut Co Ltd 肌新陳代謝促進剤
US11672753B2 (en) 2017-11-28 2023-06-13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sition for sebum control and pore minimiz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733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문제성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151009B1 (ko) 비타민c를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KR100975135B1 (ko)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한방 복합 약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5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142541B1 (ko) 효소처리를 이용한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KR101078888B1 (ko) 조직배양한 에키네시아 부정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001287B1 (ko) 하이드록시 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레스베라트롤 포접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20237B1 (ko) 항산화 및 보습 활성을 나타내는 복합 생약 추출물을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40227204A1 (en) Skin compositions containing hydrocortisone
KR102543552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515418B1 (ko) 천연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056756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00166683A1 (en) Composition of external preparation for uv-protection comprising rehmannia glutinosa extracts
KR20170136911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937187B1 (ko) 복분자주 제조 후 잔사로부터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1269993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9793A (ko) 화장료 조성물
KR102573375B1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515501B1 (ko) 천연식물을 이용한 입술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415993B1 (ko) 옹기를 구비하는 추출기로부터 추출된 황기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7338842B2 (ja) しわ改善用組成物およびしわ改善用皮膚化粧料
KR20050108720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6933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541686B1 (ko) 화장료 조성물
KR20170137546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