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5439A -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5439A
KR20050095439A KR1020040020844A KR20040020844A KR20050095439A KR 20050095439 A KR20050095439 A KR 20050095439A KR 1020040020844 A KR1020040020844 A KR 1020040020844A KR 20040020844 A KR20040020844 A KR 20040020844A KR 20050095439 A KR20050095439 A KR 20050095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hook
support
catching
hook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8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병조
김영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0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5439A/en
Publication of KR20050095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439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10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 A63H33/108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by means of additional non-adhesive elements with hole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마련된 스탠드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부의 판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스탠드부의 일측이 수용되는 스탠드지지수용부와; 상기 스탠드지지수용부와 상기 스탠드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부와, 상기 스탠드지지수용부와 상기 스탠드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후크부와 걸림 및 걸림해제가능한 걸림부를 가지고, 상기 스탠드부와 상기 베이스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상기 걸림부에 걸린 상기 후크부를 지지 및 지지철회가능하도록 상기 걸림부와 함께 마련되어, 상기 후크부가 상기 걸림부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후크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베이스부와 스탠드부를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이스부와 스탠드부가 외부충격에 의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having a display unit on which an image is formed, a base unit supporting the display unit, and a stand unit provided between the base unit and the display unit, the recess being formed on a plate surface of the base unit, A stand support accommodation part in which one side of the stand part is accommodated; At least one hook portion provided in any one of the stand support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stand portion, and a hook portion provided at another one of the stand support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stand portion, the hook portion and the hook portion that can be engaged and released; A coupling part for coupling a stand part and the base part; And a hook support member provided with the catching portion to support and support retractable hook portion caught by the catching portion, to prevent the hook portion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atching portion arbitrarily. As a result, a display device capable of easily combining and detaching the base part and the stand part and preventing the base part and the stand part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by an external impact is provided.

또한, 베이스부와 스탠드부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한 구조가 간소화됨에 따라 제조코스트가 절감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the structure for coupling and detaching the base unit and the stand unit is simplifi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display apparatus having a reduced manufacturing cost.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apparatus}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와, 디스플레이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마련되는 스탠드부재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lay device having an improved coupling structure between a base part supporting a display part and a stand member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part and the base part.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장치란 TV나 컴퓨터용 모니터를 통틀어 일컫는 말로써, 일반적으로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및 PDP(PLASMA DISPLAY PANEL) 등을 이용하여 화상을 형성한다.In general, a display device is a general term for a TV or a computer monitor, and generally forms an image using a CHO (CATHODE RAY TUBE),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a PDP (PLASMA DISPLAY PANEL), or the like.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의 한 예로 LCD 모니터는, LCD 패널을 가지고 화상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와, 디스플레이부와 베이스부 사이에 마련된 스탠드부를 포함한다.As an example of such a display device, an LCD monitor includes a display unit having an LCD panel to form an image, a base unit supporting the display unit, and a stand unit provided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the base unit.

그러나, LCD모니터의 경우, 운반을 위한 포장시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된 스탠드부와 베이스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는 포장부피가 커지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16585호에는 베이스부와 스탠드부를 상호 분리가능하게 마련하여 운반 시 포장부피를 줄일 수 있는 LCD모니터가 개시되어 있다. 참고로, 이 공보에서는 디스플레이부와 베이스부와 스탠드부를 각각 모니터와 스탠드베이스와 스탠드포스트로 명명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LCD monitor, the packaging volume is increased when the stand portion and base portion combined with the display por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for packaging for transportation. Disclosed is an LCD monitor that can be detachably provided to reduce packaging volume during transport. For reference, the publication names the display portion, the base portion, and the stand portion as the monitor, stand base, and standpost, respectively.

한국등록실용신안 제0316585호에 개시된 LCD모니터는 스탠드베이스와, 스탠드베이스에 결합되는 스탠드포스트와, 스탠드포스트에 지지되는 모니터를 포함하며, 스탠드포스트와 스탠드베이스는 상호 분리가능하도록 스프링을 이용하여 결합된다. 이 때, 스프링의 하단부는 스탠드베이스에 마련된 고정핀에 고정되고, 스프링의 상단부는 스탠드포스트의 내주면에 마련된 고정핀에 고정된다.The LCD monitor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316585 includes a stand base, a stand post coupled to the stand base, and a monitor supported on the stand post, and the stand post and the stand base are coupled by using a spring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do. At this time, the lower end of the spring is fixed to the fixing pin provided on the stand base, the upper end of the spring is fixed to the fixing pin provid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tand post.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LCD모니터에 있어서는, 스탠드베이스와 스탠드포스트를 결합시키기 위해 스프링의 양단부를 각각 고정핀에 고정시켜야 하므로 조립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이 구조에서는 스탠드베이스와 스탠드포스트의 연결을 위해서 스프링이 필요하므로 제조코스트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By the way, in the conventional LCD monitor, both ends of the spring must be fixed to the fixing pins in order to couple the stand base and the stand post, so that the assembly work is cumbersome, and in this structure, the spring is connected to the stand base and the stand pos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raised because it is necessary.

이에 제조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도록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스탠드부와 베이스부를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면 바람직 할 것이다. It would be desirable to be able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can be easily combined and separated from the stand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while having a simple structur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더욱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임의로 베이스부와 스탠드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더욱 바람직 할 것이다.Furthermore, it would be more desirable if the base portion and the stand portion could be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by an external impac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도록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스탠드부와 베이스부를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can be easily combined and separated from the stand portion and the base portion while having a simple structur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또한, 임의로 베이스부와 스탠드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o provide a display device that can be prevented from separating the base portion and the stand portion arbitrarily.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화상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마련된 스탠드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판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스탠드부의 일측이 수용되는 스탠드지지수용부와; 상기 스탠드지지수용부와 상기 스탠드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부와, 상기 스탠드지지수용부와 상기 스탠드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후크부와 걸림 및 걸림해제가능한 걸림부를 가지고, 상기 스탠드부와 상기 베이스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와; 상기 걸림부에 걸린 상기 후크부를 지지 및 지지철회가능하도록 상기 걸림부와 함께 마련되어, 상기 후크부가 상기 걸림부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후크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unit on which an image is formed, a base unit supporting the display unit, and a stand unit provided between the base unit and the display unit. It is formed recessed, the stand support receiving portion is accommodated on one side of the stand; At least one hook portion provided in any one of the stand support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stand portion, and a hook portion provided at another one of the stand support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stand portion, the hook portion and the hook portion that can be engaged and released; A coupling part for coupling a stand part and the base part; And a hook support member provided with the catching portion to support and support retractable hook portion caught by the catching portion, to prevent the hook portion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atching portion arbitrarily.

여기서, 상기 후크부는 상기 스탠드부의 전방 하단부영역에 형성된 제1후크부와, 상기 스탠드부의 후방 하단부영역에 한 쌍으로 형성된 제2후크부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후크부에 대응하여 상기 스탠드지지수용부에 형성된 제1걸림부와, 상기 제2후크부에 대응하여 상기 스탠드지지수용부에 한 쌍으로 형성된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hook portion includes a first hook portion formed in the front lower end region of the stand portion, and a second hook portion formed in a pair in the rear lower end region of the stand portion, and the locking portion corresponds to the first hook por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rst catching portion formed in the support accommodating portion and a second catching portion formed in pairs in the stand support accommoda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hook portion.

또한, 상기 후크지지부재는 상기 제1걸림부와 함께 상기 스탠드지지수용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걸림부와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제1걸림부에 걸린 제1후크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hook support member is provided with the first catching portion and provided in the stand support receiving portion, an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catching portion to support the first hook portion caught in the first catching portion. It is preferred to include a support which is present.

한편, 상기 후크지지부재와 상기 스탠드지지수용부의 바닥면을 구획하는 바닥절취부를 더 포함하면, 상기 후크지지부재가 상기 스탠드지지수용부의 바닥면에 대해 약간의 탄성을 가지고 제1후크부를 지지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상기 제1후크부를 지지하는 위치 및 지지를 철회하는 위치간을 원활하게 탄성적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hook support member and the bottom cut portion for partition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stand support receiving portion further comprises, the hook support member can support the first hook portion with a slight elasticity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and support accommodation portion. Since it is possible to smoothly and elastically flow between the position for supporting the first hook portion and the position for withdrawing the support.

그리고, 상기 제1후크부는 상기 스탠드지지수용부의 바닥면에 대해 기립배치되는 측면에 접촉되는 제1접촉부분과, 상기 제1접촉부분으로부터 절곡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부에 걸리는 제1걸림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후크지지부재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접촉지지부분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부분의 하단부영역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hook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ontact portion contacting a side surface of the stand support receiving portion, which is standing up with respect to a bottom surface of the stand support accommodation portion, and a first catching portion bent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to be caught by the first catching portion. The support part of the hook support member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for supporting the first contact support part, and a second support part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part to support a lower end area of the first catching par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 중에서 LCD 모니터를 한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an LCD monitor as an examp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방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베이스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방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베이스부와 스탠드부가 상호 분리된 상태에서 베이스부의 배면 일부영역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방 결합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방 결합사시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따른 베이스부와 스탠드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부의 배면 일부영역 확대도이다.1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part of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FIG. 1, FIG. 3 is a front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FIG. 1, and FIG. 4 is FIG. 3. 5 is an enlarged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front combin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FIG. 7 and 8 are enlarged partial rear views of the base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part and the stand part are coupl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FIG. 6.

본 발명에 따른 LCD 모니터(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와, 디스플레이부(1)를 지지하는 베이스부(4)와, 디스플레이부(1)와 베이스부(4) 사이에 마련되는 스탠드부(7)를 포함하며, 디스플레이부(1)와 스탠드부(7)는 지지브래킷(3)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스탠드부(7)와 베이스부(4)는 결합부에 의해 상호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결합부는 후술할 스탠드부(7)에 마련된 제1 및 제2후크부(42,52)와, 각 후크부(42,52)가 걸릴 수 있도록 베이스부(4)에 마련된 제1 및 제2걸림부(31,32)와, 제1걸림부(31)와 함께 제1후크부(42)를 지지하는 후크지지부재(34)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LCD moni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1, a base unit 4 supporting the display unit 1, a display unit 1 and a base unit 4. The display unit 1 and the stand portion 7 are connected by a support bracket 3, and the stand portion 7 and the base portion 4 are coupled to each other. It is coupled to each other by a part. Here, the coupling part includes first and second hook parts 42 and 52 provided in the stand part 7 to be described later, and first and second provided in the base part 4 so that the hook parts 42 and 52 can be caught. And a hook supporting member 34 supporting the first hook portion 42 together with the locking portions 31 and 32 and the first locking portion 31.

디스플레이부(1)는 화상이 형성되는 LCD패널(미도시)과, LCD패널의 전방 및 후방에 마련되어 LCD패널의 전방 및 후방을 지지하는 전방케이싱(미도시) 및 후방케이싱(2)으로 구성된다.The display unit 1 is composed of an LCD panel (not shown) in which an image is formed, and a front casing (not shown) and a rear casing 2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LCD panel to support the front and rear of the LCD panel. .

지지브래킷(3)의 일측은 디스플레이부(1)의 후방커버(9)에 고정결합되고, 타측은 스탠드부(7)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지지브래킷(3)의 일측에 형성된 스크루공(10)을 통해 후방커버(9)에 형성된 체결공(미도시)에 체결되는 스크루(11)에 의해 지지브래킷(3)의 일측은 후방커버(9)에 고정되고, 지지브래킷(3)의 타측은 스탠드부(7)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됨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대로 스탠드부(7)에 대해 디스플레이부(1)를 회동시킬 수 있게 된다.One side of the support bracket 3 is fixedly coupled to the rear cover 9 of the display unit 1, and the other side thereof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tand unit 7. That is, one side of the support bracket (3) by the screw 11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rear cover 9 through the screw hole (10)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bracket (3) It is fixed to (9), the other side of the support bracket 3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tand portion 7 so that the user can rotate the display unit 1 with respect to the stand portion 7 as desired.

베이스부(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설치면 위에 안착되어 디스플레이부(1)를 지지하며, 상부에는 일측이 지지브래킷(3)에 결합된 스탠드부(7)의 타측을 일부수용하여 지지하는 스탠드장착부(5)가 마련되어 있고, 배면에는 베이스부(4)의 지지력을 보강하는 격자형상의 보강리브(6)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리브(6)는 격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으나, 베이스부(4)의 지지력을 보강할 수 있는 형상이면 이외에도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s shown in FIG. 1, the base part 4 is mounted on a predetermined installation surface to support the display part 1, and one side of the base part 4 supports the other side of the stand part 7 coupled to the support bracket 3. The stand mounting part 5 which accommodates and supports a part is provided, and the grid | lattice reinforcement rib 6 which reinforces the supporting force of the base part 4 is provided in the back surface. Here, as shown in FIG. 3, the reinforcing rib 6 is provided in a lattice shape, but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o the shape capable of reinforcing the supporting force of the base part 4.

스탠드장착부(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부(7)의 타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형상에 대응하여 베이스부(4)의 상부 판면으로부터 함몰형성되어, 스탠드부(7)의 타측이 스탠드장착부(5)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상향개구(20)와, 상향개구(20)와 마주보게 배치되는 바닥면(21)과, 바닥면(21)에 대해 기립배치되는 복수의 측면을 가진다. 여기서 복수의 측면은 후술할 스탠드부(7)의 전방면과 접촉되는 제1측면(22)과, 스탠드부(7)의 후방면과 접촉되는 제2측면(23)과, 스탠드부(7)의 양 측면과 각각 접촉되는 한 쌍의 제3측면(24)으로 구성된다.1 and 2, the stand mounting portion 5 is recessed from the upper plate surface of the base portion 4 corresponding to the shape so that the other side of the stand portion 7 can be inserted, the stand portion 7 On the other side of the upper opening 20 to form a passag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stand mounting portion 5, the bottom surface 21 facing the upward opening 20 and the bottom surface 21 It has a plurality of sides that are standing up against. Here, the plurality of side surfaces may include a first side surface 22 in contact with a front surface of the stand portion 7, a second side surface 23 in contact with a rear surface of the stand portion 7, and a stand portion 7. It consists of a pair of third side surfaces 24, which are in contact with both sides of, respectively.

그리고 이러한 스탠드장착부(5) 내부에는, 후술할 스탠드부(7)의 제1후크부(42)가 걸림가능한 제1걸림부(31)와, 후술할 스탠드부(7)의 한 쌍의 제2후크부(52)가 각각 걸림가능한 한 쌍의 제2걸림부(32)가 이격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Inside the stand mounting portion 5, a pair of second pairs of the first catching portion 31 to which the first hook portion 42 of the stand portion 7 to be described later can be caught and the stand portion 7 to be described later will be described. A pair of second locking portions 32 to which the hook portions 52 can be engaged are provided at intervals.

제1걸림부(31)는 제1측면(22)과 바닥면(21)의 경계영역에 인접하도록 바닥면(21)에 절취형성되어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제1걸림부(31)와 인접하게 제1측면(22)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제1걸림부(31)를 향해 제1후크부(42)를 안내하는 한 쌍의 제1안내턱(25)이 마련되어 있고, 이 제1걸림부(31)에 걸리는 제1후크부(42)를 제1측면(22)과 함께 지지하는 후크지지부재(34)가 제1걸림부(31)와 인접하게 바닥면(21)에 마련되어 있다.The first catching portion 31 is cut off on the bottom surface 21 so as to be adjacent to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first side surface 22 and the bottom surface 21. As shown in FIG. A pair of first guide jaws 25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irst side 22 adjacent to the 31 and guide the first hook portion 42 toward the first locking portion 31. A hook supporting member 34 for supporting the first hook portion 42, which is caught by the first locking portion 31, together with the first side surface 22,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21 adjacent to the first locking portion 31. It is prepared.

여기서, 제1후크부(42)가 제1걸림부(31)를 향해 접근할 때 한 쌍의 제1안내턱(25) 사이에 제1후크부(42)가 개재된 상태에서 제1측면(22)을 따라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제1걸림부(31)에 걸리도록 한 쌍의 제1안내턱(25)은 제1후크부(42)가 개재될 수 있을 정도의 이격간격을 두고 제1측면(22)에 마련되어 있다.Here, when the first hook portion 42 approaches the first locking portion 31, the first hook portion 42 is interposed between the pair of first guide jaws 25. The first guide jaw 25 of the pair of first guide jaws 25 may be spaced apart so that the first hook portion 42 may be interposed so that the first hooking jaw may finally be caught by the first hooking portion 31. It is provided in 22.

후크지지부재(34)는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지지부재(34)의 둘레영역을 따라 스탠드장착부(5)의 바닥면(21)에 형성된 바닥절취부인 바닥절취구간(37)에 의해 스탠드장착부(5)의 바닥면(21)에 대해 소정 유동가능한 약간의 탄성을 가지게 됨에 따라 제1후크부(42)가 원활하게 제1걸림부(31)에 걸림 및 걸림해제될 수 있도록 지지할 뿐만 아니라, 제1후크부(42)가 제1걸림부(31)에 걸려있는 상태에서는 제1후크부(42)가 임의로 제1걸림부(3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1후크부(42)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As shown in FIGS. 4 and 7, the hook support member 34 is a floor cutout section 37 which is a bottom cutout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21 of the stand mounting part 5 along the circumferential region of the hook support member 34. The first hook portion 42 can be smoothly caught and released by the first hooking portion 31 as it has a slight elasticity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21 of the stand mounting portion 5). In addition to supporting the first hook portion 42, the first hook portion 42 does not freely detach from the first hook portion 31 in a state where the first hook portion 42 is caught by the first locking portion 31. The support 42 is elastically supported.

이러한 후크지지부재(34)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후크부(42)가 제1걸림부(31)에 걸림유지되고 있을 때, 후술할 제1후크부(42)의 제1접촉부분(42a) 후방면을 접촉지지하여 제1측면(22)과 함께 임의로 제1후크부(42)가 제1걸림부(3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제1지지부(35)와, 후술할 제1후크부(42)의 제1걸림부분(42b)을 하측에서 접촉지지하는 제2지지부(36)를 갖는다.As shown in FIG. 7, the hook supporting member 34 has a first hook portion 4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hen the first hook portion 42 is held by the first locking portion 31. A first support portion 35 for supporting the rea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42a so that the first hook portion 42 is not detached from the first catching portion 31 together with the first side surface 2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has the 2nd support part 36 which supports the 1st latching part 42b of the 1st hook part 42 from the lower side.

각 제2걸림부(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측면(23)과 바닥면(21)의 경계선 영역에 인접하도록 바닥면(21)에 절취형성되어 있으며, 이 각 제2걸림부(32)와 인접하게 제2측면(23)으로부터 돌출형성된 각 제2걸림부(32)를 향해 각 제2후크부(52)를 안내하는 제2안내턱(26)이 한 쌍으로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제2후크부(52)가 각각 제2걸림부(32)를 향해 접근할 때 각 제2후크부(52)는 각 제2안내턱(26)을 따라 미끄럼이동하다가 최종적으로 각 제2걸림부(32)에 걸리도록 제2안내턱(26)의 상부면은 스탠드장착부(5)의 바닥면(21)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each second catching portion 32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21 so as to be adjacent to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second side surface 23 and the bottom surface 21, and each of the second catching portions 32 is formed. A pair of second guide jaws 26 for guiding each second hook portion 52 toward each second catching portion 32 protruding from the second side surface 23 adjacent to the catching portion 32 is provided. have. Here, when the pair of second hook portions 52 approach the second catching portions 32, the respective second hook portions 52 slide along the second guide jaw 26 and finally each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guide jaw 26 is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21 of the stand mounting portion 5 so as to be caught by the second locking portion 32.

스탠드부(7)는 전방 및 후방커버(8,9)로 구성되며, 전방커버(8)의 하부영역에는 제1후크부(42)가 연장 형성되어 있고, 후방커버(9)의 하부영역에는 한 쌍의 제2후크부(52)가 형성되어 있다.The stand portion 7 is composed of front and rear covers 8 and 9, and a first hook portion 42 extends in a lower region of the front cover 8, and a lower region of the rear cover 9. A pair of second hook portions 52 are formed.

제1후크부(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커버(8)의 하부영역에 마련되어 제1걸림부(31)에 걸림 및 걸림해제가능하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후크부(42)는 제1후크부(42)가 제1걸림부(31)에 걸리게 되었을 때 스탠드장착부(5)의 제1측면(22)과 후크지지부재(34)의 제1지지부(35) 사이에 개재되는 제1접촉부분(42a)과, 제1접촉부분(42a)으로부터 절곡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제1걸림부(31)로 삽입되어 제2지지부(36)의 상측에서 제2지지부(36)에 접촉하는 제1걸림부분(42b)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hook portion 42 is provid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front cover 8 to be able to engage and release the first catching portion 31, as shown in FIGS. 7 and 8. Similarly, the first hook portion 42 is formed of the first side 22 of the stand mounting portion 5 and the hook support member 34 when the first hook portion 42 is caught by the first locking portion 31.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portion 35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 are bent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 to be substantially inserted into the first catching portion 31 so as to be positioned above the second support portion 36. And a first catching portion 42b in contact with the second support portion 36.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제1후크부(42)의 둘레영역을 따라 전방커버(8)의 하부영역에 형성된 제1절취구간(41)에 의해 제1후크부(42) 자체가 약간의 탄성을 가지게 됨에 따라 제1후크부(42)가 약간의 탄성을 가지고 원활하게 제1걸림부(31)에 걸림 및 걸림해제로 동작될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first hook portion 42 itself is slightly elastic by the first cutting section 41 form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front cover 8 along the circumferential region of the first hook portion 42 shown in FIG. 3. As the first hook portion 42 has a slight elasticity it can be operated to smoothly catch and release the first catching portion 31.

제2후크부(52)는 제2걸림부(32)의 위치에 대응하여 후방커버(9)의 하부영역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마련되어 도 2의 제2걸림부(32)에 각각 걸림 및 걸림해제가능하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2후크부(52)는 제2후크부(52)가 제2걸림부(32)에 걸리게 되었을 때, 제2측면(23)에 접촉되는 제2접촉부분(52a)과, 제2접촉부분(52a)으로부터 절곡형성되어 실질적으로 제2걸림부(32)로 삽입되어 걸리게 되는 제2걸림부분(52b)을 포함한다.The second hook portions 52 are provided in pairs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wer region of the rear cover 9 to correspond to the positions of the second locking portions 32, respectively, to the second locking portions 32 of FIG. 2. 1 and 2, each second hook portion 52 has a second side surface when the second hook portion 52 is caught by the second locking portion 32. A second contact portion 52a in contact with 23 and a second catching portion 52b that is bent from the second contact portion 52a and is inserted into and caught by the second catching portion 32 substantially. .

여기서, 각 제2후크부(52)의 둘레영역을 따라 후방커버(9)의 하부영역에 형성된 도 3의 제2절취구간(51)에 의해 제2후크부(52) 자체가 약간의 탄성을 가지게 됨에 따라 제2후크부(52)가 약간의 탄성을 가지고 원활하게 제2걸림부(32)에 걸림 및 걸림해제로 동작될 수 있는 것이다.Here, the second hook portion 52 itself is slightly elastic by the second cutting section 51 of FIG. 3 form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rear cover 9 along the circumferential region of each second hook portion 52. As the second hook portion 52 has a slight elasticity, the second hook portion 52 may be smoothly operated by the second hook portion 32.

이러한 구성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베이스부(4)와 스탠드부(7)의 결합방법 및 분리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the display device having such a configuration, a coupling method and a separation method of the base portion 4 and the stand portion 7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되어 있는 베이스부(4)와 스탠드부(7)를 도 5 및 도 6처럼 결합시키는 경우, 스탠드부(7)의 전방커버(8)가 스탠드장착부(5)의 제1측면(22)을 향하고 스탠드부(7)의 후방커버(9)가 스탠드장착부(5)의 제2측면(23)을 향하도록 스탠드부(7)를 스탠드장착부(5)에 삽입시키는데, 각 제2후크부(52)의 제2걸림부분(52b)이 제2측면(23)의 각 제2안내턱(26)에 접촉되면 약간의 가압력을 주어 각 제2후크부(52)의 제2걸림부분(52b)이 약간 뒤로 밀리게 한 다음 각 제2후크부(52)의 제2걸림부분(52b)을 각 제2안내턱(26)을 타고 미끄럼이동되도록 한다. 이에 각 제2안내턱(26)을 미끄럼이동하던 각 제2후크부(52)의 제2걸림부분(52b)은 최종적으로 제2걸림부(32)에 도달하였을 때는 제2안내턱(26)이 없어지기 때문에 제2안내턱(26)에 의해 약간 뒤로 밀렸던 각 제2후크부(52)의 제2걸림부분(52b)은 탄성적으로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제2걸림부(32)로 삽입됨에 따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걸림부(32)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각 제2후크부(52)의 제2접촉부분(52a)은 제2측면(23)에 접촉된 상태이다.As shown in FIGS. 1 and 3, when the separated base part 4 and the stand part 7 are combined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front cover 8 of the stand part 7 is a stand mounting part. Stand portion 7 faces the first side 22 of 5 and the rear cover 9 of the stand portion 7 faces the second side 23 of the stand mount 5. When the second catching portion 52b of each second hook portion 52 contacts each second guide jaw 26 of the second side 23, a slight pressing force is applied to each second hook portion ( The second locking portion 52b of the 52 is pushed slightly back, and then the second locking portion 52b of each second hook portion 52 is slid through the second guide jaw 26. Accordingly, when the second catching portion 52b of each second hook portion 52 sliding the second guide jaw 26 finally reaches the second catching portion 32, the second guide jaw 26 is formed. Since the second catching portion 52b of each second hook portion 52 pushed back slightly by the second guide jaw 26 is elastically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o the second catching portion 32. As it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cking portion 32 as shown in Figure 7 and 8 will be caught. At this time, the second contact portion 52a of each second hook portion 52 is in contact with the second side surface 23.

제1후크부(42)도 마찬가지로 제1후크부(42)의 제1걸림부분(42b) 일부를 후크지지부재(34)의 제2지지부(36) 위에 위치시킨 다음 제1후크부(42)의 제1걸림부분(42b)이 한 쌍의 제1안내턱(25)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제1측면(22)에 접촉되면 약간의 가압력을 주어 제1후크부(42)의 제1걸림부분(42b)이 약간 뒤로 밀리게 한 다음 제1후크부(42)의 제1걸림부분(42b)을 한 쌍의 제1안내턱(25) 사이에서 제1측면(22)을 따라 미끄럼이동되도록 한다. 이에 한 쌍의 제1안내턱(25) 사이에서 제1측면(22)을 따라 미끄럼이동하던 제1후크부(42)의 제1걸림부분(42b)은 최종적으로 제1걸림부(31)에 도달하였을 때는 제1측면(22)이 없어지기 때문에 제1측면(22)에 의해 약간 뒤로 밀렸던 제1후크부(42)의 제1걸림부분(42b)은 탄성적으로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제1걸림부(31)에 삽입됨에 따라 제1걸림부(31)에 걸리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제1후크부(42)의 제1접촉부분(42a)은 제1측면(22)과 후크지지부재(34)의 제1지지부(35) 사이에 개재된 상태이고 제1후크부(42)의 제1걸림부분(42b)은 후크지지부재(34)의 제2지지부(36) 상측에 배치되어 제1걸림부(31)로 삽입된 상태이다.Similarly, the first hook portion 42 is positioned with a portion of the first catching portion 42b of the first hook portion 42 on the second support portion 36 of the hook supporting member 34, and then the first hook portion 42 is disposed. Of the first hook portion 42b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side 22 in a state interposed between the pair of first guide jaw 25 to give a slight pressing force to the first hook of the first hook portion 42 The portion 42b is pushed back slightly so that the first locking portion 42b of the first hook portion 42 is slid along the first side 22 between the pair of first guide jaws 25. do. Accordingly, the first locking portion 42b of the first hook portion 42 sliding along the first side surface 22 between the pair of first guide jaws 25 is finally connected to the first locking portion 31. When the first side 22 is removed, the first engaging portion 42b of the first hook portion 42, which is slightly pushed back by the first side 22, is elastically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s it is inserted into the first catching part 31, the first catching part 31 is caught. At this time,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 of the first hook portion 42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side surface 22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35 of the hook support member 34 and the first hook portion 42. The first catching portion 42b of)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supporting portion 36 of the hook supporting member 34 and inserted into the first catching portion 31.

이처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후크부(42)의 제1접촉부분(42a)은 제1측면(22)과 후크지지부재(34)의 제1지지부(35) 사이에 개재되어 제1지지부(35)에 의해 후방영역이 지지되고, 제1후크부(42)의 제1걸림부분(42b)은 베이스부(4)의 배면과 후크지지부재(34)의 제2지지부(36) 사이에 개재되어 제2지지부(36)에 의해 하방영역이 지지됨에 따라 외부충격에도 제1후크부(42)가 제1걸림부(31)로부터 이탈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충격으로 인해 스탠드부(7)와 베이스부(4)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As shown in FIGS. 7 and 8, the first contact portion 42a of the first hook portion 42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side portion 22 and the first support portion 35 of the hook support member 34. The rear region is supported by the first support part 35, and the first locking part 42b of the first hook part 42 has a rear surface of the base part 4 and a second support part of the hook support member 34. Since the lower region is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part 36 interposed between the 36 parts, the first hook part 42 is not separated from the first catching part 31 even in the external impact, so that the stand part is caused by the external shock. It is possible to prevent (7) and the base portion 4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이와는 반대로, 수리를 위해 또는 포장을 위해 스탠드부(7)와 베이스부(4)를 분리하고자 할 때는 사용자는 후크지지부재(34)를 하향이동시켜 즉 밑으로 당겨서, 제1후크부(42)의 제1걸림부분(42b)이 베이스부(4)의 배면과 후크지지부재(34)의 제2지지부(36) 사이에서 유동할 수 있는 공간 및 제1후크부(42)의 제1접촉부분(42a)이 제1측면(22)과 후크지지부재(34)의 제1지지부(35) 사이에 유동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 후, 제1걸림부(31)로부터 제1후크부(42)를 분리시키고 스탠드부(7)를 약간 전방으로 당겨 제2후크부(52)를 제2걸림부(32)로부터 분리시키면 스탠드부(7)와 베이스부(4)의 분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On the contrary, when the stand portion 7 and the base portion 4 are to be separated for repair or packaging, the user moves the hook support member 34 downwardly, that is, pulls it downward, so that the first hook portion 42 Of the first hook portion 42b and the first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hook portion 42 and the space that can flow between the back of the base portion 4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36 of the hook support member 34 The first hook portion 42 from the first catching portion 31 is secured after a space for allowing 42a to flow between the first side 22 and the first supporting portion 35 of the hook supporting member 34. ) And the stand part 7 is pulled slightly forward to separate the second hook part 52 from the second catching part 32, thereby easily separating the stand part 7 and the base part 4.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는, 베이스부(4)와 스탠드부(7)를 결합시키는 구조가 간소화되어 제조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리 또는 포장을 위해 베이스부(4)와 스탠드부(7)를 분리시키고자 할 때 사용자가 간편하게 분리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베이스부(4)와 스탠드부(7)의 결합작업 역시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base portion 4 and the stand portion 7 are combined is simplifie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as well as the base portion 4 for repair or packaging. When the stand portion 7 is to be separated, the user can easily perform the separation operation, and the base portion 4 and the stand portion 7 can also be easily combined.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탠드부(7)와 베이스부(4)의 결합동작을 나누어서 설명하였으나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스탠드부(7)와 베이스부(4)를 결합시킬 때는 스탠드부(7)를 베이스부(4)의 스탠드장착부(5)에 삽입하여 하향가압 하면 전술한 일련의 결합동작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Meanwhi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operation of combining the stand part 7 and the base part 4 has been divided and described. However, when the user combines the stand part 7 and the base part 4, the stand part 7 may be replaced. Insertion into the stand mounting portion (5) of the base portion (4) is to be combined by the above-described series of coupling operation when pressed downward.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스탠드부(7)에 후크부(42,52)가 형성되고 스탠드지지수용부(5)에 걸림부(31,32)가 마련되어 있으나, 스탠드지지수용부에 후크부를 마련하고 스탠드부에 걸림부를 마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hook portions 42 and 52 are formed in the stand portion 7, and the hook portions 31 and 32 are provided in the stand support accommodation portion 5, but the hook portions are provided in the stand support accommodation portion. Of cours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ocking portion in the stand portion.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LCD 모니터를 한 예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using an LCD monitor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display devices.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부와 스탠드부를 간편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이스부와 스탠드부가 외부충격에 의해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capable of easily coupling and detaching the base part and the stand part, as well as preventing the base part and the stand part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by an external impact.

또한, 베이스부와 스탠드부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한 구조가 간소화됨에 따라 제조코스트가 절감된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In addition, as a structure for coupling and detaching the base unit and the stand unit is simplified, a display apparatus having a reduced manufacturing cost is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방 분해사시도,1 is a rear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베이스부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a base part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FIG. 1;

도 3은 도 1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방 분해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ront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FIG.

도 4는 도 3에 따른 베이스부와 스탠드부가 상호 분리된 상태에서 베이스부의 배면 일부영역 확대도,4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part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part and the stand part according to FIG. 3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후방 결합사시도,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전방 결합사시도,6 is a perspective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FIG. 5;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따른 베이스부와 스탠드부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부의 배면 일부영역 확대도이다.7 and 8 are enlarged partial rear views of the base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base portion and the stand por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FIG. 6.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디스플레이부 2 : 후방케이싱1 display unit 2 rear casing

3 : 지지브래킷 4 : 베이스부3: support bracket 4: base part

5 : 스태드장착부 6 : 보강리브5: stad mounting part 6: reinforcing rib

7 : 스탠드부 8 : 전방커버7: stand portion 8: front cover

9 : 후방커버 10 : 스크루공9: rear cover 10: screw hole

11 : 스크루 20 : 상향개구 11: screw 20: upward opening

21 : 바닥면 22 : 제1측면21: bottom surface 22: first side

23 : 제2측면 24 : 제3측면23: second side 24: third side

25 : 제1안내턱 26 : 제2안내턱25: the first guide jaw 26: the second guide jaw

31 : 제1걸림부 32 : 제2걸림부31: first catching part 32: second catching part

34 : 후크지지부재 35 : 제1지지부34: hook supporting member 35: first support

36 : 제2지지부 37 : 바닥절취구간36: second support portion 37: floor cutting section

41 : 제1절취구간 42 : 제1후크부41: first cutting section 42: first hook portion

42a : 제1접촉부분 42b : 제1걸림부분42a: first contact portion 42b: first catch portion

51 : 제2절취구간 52 : 제2후크부51: second cutting section 52: second hook portion

52a : 제2접촉부분 52b : 제2걸림부분52a: second contact portion 52b: second catch portion

Claims (5)

화상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디스플레이부 사이에 마련된 스탠드부를 구비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A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unit on which an image is formed, a base unit supporting the display unit, and a stand unit provided between the base unit and the display unit. 상기 베이스부의 판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스탠드부의 일측이 수용되는 스탠드지지수용부와;A stand support accommodating part formed in the plate surface of the base part and accommodating one side of the stand part; 상기 스탠드지지수용부와 상기 스탠드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부와, 상기 스탠드지지수용부와 상기 스탠드부 중 다른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후크부와 걸림 및 걸림해제가능한 걸림부를 가지고, 상기 스탠드부와 상기 베이스부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와;At least one hook portion provided in any one of the stand support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stand portion, and a hook portion provided at another one of the stand support accommodation portion and the stand portion, the hook portion and the hook portion that can be engaged and released; A coupling part for coupling a stand part and the base part; 상기 걸림부에 걸린 상기 후크부를 지지 및 지지철회가능하도록 상기 걸림부와 함께 마련되어, 상기 후크부가 상기 걸림부로부터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후크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And a hook support member provided with the catching portion to support and retract the hook portion caught in the catching portion, and to prevent the hook portion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catch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후크부는 상기 스탠드부의 전방 하단부영역에 형성된 제1후크부와, 상기 스탠드부의 후방 하단부영역에 한 쌍으로 형성된 제2후크부를 포함하며,The hook portion includes a first hook portion formed in the front lower end region of the stand portion, and a second hook portion formed in a pair in the rear lower end region of the stand portion,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후크부에 대응하여 상기 스탠드지지수용부에 형성된 제1걸림부와, 상기 제2후크부에 대응하여 상기 스탠드지지수용부에 한 쌍으로 형성된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The locking portion includes a first locking portion formed in the stand support accommodation porti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first hook portion, and a second locking portion formed in a pair in the stand support accommodation portion in correspondence with the second hook portion. Display device.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후크지지부재는 상기 제1걸림부와 함께 상기 스탠드지지수용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걸림부와 소정의 이격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제1걸림부에 걸린 제1후크부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The hook supporting member is provided with the first catching part and is provided in the stand support receiving part, and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catching part to support the first hook part caught by the first catching part. Display device comprising a.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후크지지부재와 상기 스탠드지지수용부의 바닥면을 구획하는 바닥절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And a bottom cutout for partitioning a bottom surface of the hook support member and the stand support accommodation portion. 제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제1후크부는 상기 스탠드지지수용부의 바닥면에 대해 기립배치되는 측면에 접촉되는 제1접촉부분과, 상기 제1접촉부분으로부터 절곡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부에 걸리는 제1걸림부분을 포함하며,The first hook portion includes a first contact portion in contact with a side of the stand support receiving portion standing up with respect to the bottom surface, and a first catching portion bent from the first contact portion to be caught by the first catching portion, , 상기 후크지지부재의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접촉지지부분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와, 상기 제1지지부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부분의 하단부영역을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The support part of the hook support member includes a first support part supporting the first contact support part, and a second support part formed in a transvers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support part to support a lower end area of the first catching part.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040020844A 2004-03-26 2004-03-26 Display apparatus KR2005009543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844A KR20050095439A (en) 2004-03-26 2004-03-26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844A KR20050095439A (en) 2004-03-26 2004-03-26 Display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439A true KR20050095439A (en) 2005-09-29

Family

ID=37275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844A KR20050095439A (en) 2004-03-26 2004-03-26 Display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95439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2922A2 (en) * 2009-06-04 2010-03-25 You Jae Sun Flat panel display device, moni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7940206A (en) * 2017-12-18 2018-04-20 杨玉嫦 Display bas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2922A2 (en) * 2009-06-04 2010-03-25 You Jae Sun Flat panel display device, moni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10032922A3 (en) * 2009-06-04 2010-08-05 You Jae Sun Flat panel display device, monit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7940206A (en) * 2017-12-18 2018-04-20 杨玉嫦 Display b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324B1 (en) Display apparatus
US11378098B2 (en) Telescopic fan cage and apparatus case therewith
US10638624B2 (en) Display device
KR20110054091A (en) Image display device
US20070072485A1 (en) Battery latch mechanism
KR20050020427A (en) Computer
US8059395B2 (en) Mount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US20060087596A1 (en) Display device
US20090213540A1 (en) Fixing apparatus for functional module
JP2020061540A (en) Cable management assembly
US7237854B2 (en) Computer enclosure incorporating mounting apparatus for disk drives
KR100676325B1 (en) Display apparatus
KR20050118570A (en) Installation equipment for display
US7518855B2 (en) Display apparatus with detachable base support
KR20050095439A (en) Display apparatus
US6233026B1 (en) Monitor comprising snap engaging bottom shield
US20060209522A1 (en) Fastener and display of portable computer using the same
JP4788733B2 (en) Image display device
US20060156930A1 (en) Fixing mechanism for storage device
KR100522957B1 (en) Stand device for lcd monitor
CN111501295B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0658837B1 (en) A supporting apparatus for a display monitor
KR200346081Y1 (en) Display
KR101597833B1 (en) A display apparatus
WO2012081401A1 (e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