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90804A - 복합촬영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dsc 렌즈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복합촬영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dsc 렌즈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90804A
KR20050090804A KR1020040016055A KR20040016055A KR20050090804A KR 20050090804 A KR20050090804 A KR 20050090804A KR 1020040016055 A KR1020040016055 A KR 1020040016055A KR 20040016055 A KR20040016055 A KR 20040016055A KR 20050090804 A KR20050090804 A KR 20050090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sc
lens
unit
dvc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귀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6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90804A/ko
Priority to US11/062,623 priority patent/US7362968B2/en
Priority to EP05101753A priority patent/EP1575277A1/en
Priority to JP2005068193A priority patent/JP2005260970A/ja
Priority to CNB2005100535816A priority patent/CN100367774C/zh
Publication of KR20050090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080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6Bodies for containing both motion-picture camera and still-pictur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복합촬영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DSC 렌즈 제어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촬영장치는,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DSC 렌즈의 위치를 확인하는 렌즈위치 확인부, 및 렌즈위치 확인부에 의해 DSC 렌즈가 오픈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DSC 렌즈를 클로우즈상태로 전환시키는 전환부를 포함한다. 이로써, DSC 렌즈가 오픈 상태에서 복합촬영장치의 전원이 차단된 후에 DVC 모드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DSC 렌즈를 효율적으로 클로우즈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게 되어 DSC 렌즈가 오픈 상태인 채로 DVC 촬영모드를 사용하거나, 촬영모드를 DSC 모드로 전환한 후에 DSC 렌즈를 클로우즈시킨 후 다시 DVC 모드로 전환하여야 하였던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복합촬영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DSC 렌즈 제어방법{Composition camera and DSC len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촬영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DSC(Digital Still Camera) 렌즈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DSC 렌즈가 오픈(open) 상태로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 DSC 렌즈를 클로우즈(close)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복합촬영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DSC 렌즈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스틸 카메라(DSC)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영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하드디스크 또는 메모리카드와 같은 기록매체에 저장한다. 즉, 촬영된 영상을 필름에 기록하지 않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하드디스크, 메모리카드 등의 기록매체에 저장하며, 저장된 영상을 컴퓨터 등의 디지털 기기에 전송하는 경우에도 스캐너 등에 의한 디지털변환없이 직접적인 전송이 가능하다. 특히, DSC는 퍼스털 컴퓨터와의 호환성이 높아 컴퓨터에 전송된 영상을 편집 및 수정하기 용이하다. 또한, DSC는 일반 카메라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어 휴대가 간편하다. 이와 같은 DSC는 렌즈장치, 메모리장치, 신호변조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등을 구비하며, 영상을 기록하는 기록매체의 용량의 제한성으로 인해 정지영상을 촬영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즉, DSC는 일반적으로 제한된 시간 이내의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나, 장시간의 촬영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러한 DSC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촬영되는 피사체의 동영상을 자기테이프 또는 하드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에 기록하고, 기록된 동영상을 재생하는 장치인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 DVC)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DVC는 렌즈장치, 신호변환장치, 촬영된 동영상을 기록/재생하는 데크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등을 구비한다. 또한, DVC는 마이크장치 및 스피커장치를 구비하며, 장착된 기록매체에 1시간 이상의 동영상의 저장이 가능하다. 물론, DVC를 이용하여 정지영상의 촬영도 가능하나, 상술한 DSC에 비해 화질이 떨어지므로 주로 동영상을 촬영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DVC는 DSC보다 많은 기능과 복잡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부피가 상대적으로 크고 고가인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런데, 지금까지는 상술한 바와 같은 DSC 및 DVC의 각각의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제품을 모두 구입하여야 하였다. 따라서, 소비자에게는 경제적인 부담이 많아지게 되며, 구입 후에도 DSC 및 DVC의 모든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두 제품을 모두 휴대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개발된 것이, DSC 및 DVC를 하나의 케이스에 일체화한 DSC 일체형 DVC이며, '디지털 카메라/캠코더', 복합촬영장치, 또는 약칭하여 '듀오캠(DUOCAM)'이라 일컬어진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복합촬영장치의 경우, DSC 렌즈가 오픈 상태에서 복합촬영장치의 전원이 차단된 후 DVC 모드에서 전원이 인가되면, 복합촬영장치가 DVC 모드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DSC 렌즈는 오픈 상태로 유지되므로, DSC 렌즈를 클로우즈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복합촬영장치의 DSC 렌즈가 오픈 상태에서 복합촬영장치의 전원이 차단된 후에 DVC 모드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DSC 렌즈를 클로우즈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복합촬영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DSC 렌즈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촬영장치의 일 실시예는, DSC 및 DVC가 결합된 복합촬영장치에 있어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DSC 렌즈의 위치를 확인하는 렌즈위치 확인부, 및 렌즈위치 확인부에 의해 상기 DSC 렌즈가 오픈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DSC 렌즈를 클로우즈상태로 전환시키는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합촬영장치는 상기 DSC 및 상기 DVC 중의 사용되는 모드를 판단하는 사용모드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환부는 상기 사용모드 판단부에 의해 상기 DVC의 사용모드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DSC 렌즈를 클로우즈상태로 전환시킨다.
이때, 상기 전환부는 상기 사용모드 판단부에 의해 상기 DVC의 사용모드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DSC 및 상기 DSC 렌즈에 인가되는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촬영장치는, (a) DSC 및 DVC가 결합된 복합촬영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DSC 렌즈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DSC 렌즈가 오픈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DSC 렌즈를 클로우즈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DSC 렌즈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DSC 렌즈 제어방법은, (c) 상기 DSC 또는 상기 DVC의 사용되는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b) 단계는 상기 (c) 단계에 의해 상기 DVC의 사용모드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DSC 렌즈를 클로우즈상태로 전환시킨다.
이때, 상기 DSC 렌즈 제어방법은, (d) 상기 (c) 단계에 의해 상기 DVC의 사용모드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DSC 및 상기 렌즈에 인가되는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복합촬영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DSC 및 DVC가 결합된 복합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DSC의 사용모드에서 DSC 렌즈의 오픈/클로우즈 상태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DVC의 사용모드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저장부를 통해 상기 DSC 렌즈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부, 및 상기 상태판단부에 의해 상기 DSC 렌즈가 오픈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DSC 렌즈를 클로우즈 상태로 전환시키는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저장부는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환부는 상기 DSC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DSC 렌즈를 클로우즈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촬영장치는, (a) DSC 및 DVC가 결합된 복합촬영장치의 DSC 사용모드에서 DSC 렌즈의 오픈/클로우즈 상태를 저장하는 단계, (b) DVC 사용모드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a) 단계에 의해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DSC 렌즈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 의해 상기 DSC 렌즈가 오픈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DSC 렌즈를 클로우즈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DSC 렌즈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a) 단계는 EEPROM에 상기 DSC 렌즈의 오픈/클로우즈 상태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DSC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DSC 렌즈를 클로우즈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복합촬영장치는 DSC 렌즈가 오픈 상태에서 전원이 차단된 후 DVC 모드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DSC 렌즈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촬영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DSC 렌즈 제어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촬영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복합촬영장치는 DVC(Digital Video Camera) 촬상부(110), DVC 신호처리부(120), DSC(Digital Still Camera) 촬상부(130), DSC 신호처리부(140), DSC CODEC(COrder/DECoder)(145), 마이크(150), 영상신호처리부(160), 디스플레이부(170), VCR(Video Cassette Recorder)부(180), 메모리카드(Memory Card)(190), PC 인터페이스부(200), 제어부(210), 조작부(220), 플래쉬메모리(Flash Memory)(230), 및 시스템 버스(240)를 구비한다.
DVC 촬상부(110)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광전변환하고, 변환된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를 수행한다. DVC 촬상부(110)는 동영상과 정지영상 모두 촬상가능하다. 하지만, DVC 촬상부(110)로 촬상한 정지영상은 후술할 DSC 촬상부(130)로 촬상한 정지영상에 비해 화질이 떨어진다. 따라서, DVC 촬상부(110)는 주로 동영상을 촬상하는데 사용된다.
DVC 촬상부(110)는 DVC 렌즈부(111), DVC 렌즈구동부(113), DVC CCD(Charge Coupled Device)(115), 및 DVC CDS/AGC/ADC(Correlated Double Sampler/Auto Gain Controller/Analaog-to-Digital converter)(117)를 구비한다.
DVC 렌즈구동부(113)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DVC 렌즈부(111)를 구동시킨다. 구체적으로, DVC 렌즈구동부(113)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DVC 렌즈부(111)를 줌-인/줌-아웃(zoom-in/zoom-out)시키고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며, DVC 렌즈부(111)에 마련된 조리개(미도시)의 개폐량을 조절한다.
DVC CCD(115)는 DVC 렌즈부(111)를 통해 입사되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즉, 피사체의 광학상은 DVC 렌즈부(111)에 의해 DVC CCD(115)의 광학면상에 상이 맺혀지며, DVC CCD(115)는 감광면상에 결상된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바꾸어 수평과 수직의 주사에 의해 1차원의 전기신호의 형태로 출력한다.
DVC CDS/AGC/ADC(117)는 CDS(상관이중 샘플러)를 사용하여 DVC CCD(115)에서 출력되는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고, AGC(자동이득제어부)를 사용하여 신호의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이득을 조정하고, ADC를 사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DVC 신호처리부(120)는 DVC 촬상부(110)로부터 인가받은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를 하여 영상신호처리부(160)로 인가한다. 구체적으로, DVC 신호처리부(120)는 인가되는 신호에 대해 휘도(Y)신호와 크로미넌스(C)신호로 분리하고, 이득조정, 윤곽보정 및 AWB(Auto White Balance) 등을 수행하며, 해상도를 변경한다.
마이크(15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음향을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영상신호처리부(160)는 DVC 신호처리부(120)에서 신호처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70)에 인가한다. 이때, 영상신호처리부(160)는 조작부(2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촬영명령'을 제어부(210)로부터 전달받으며, 수신된 촬영명령에 대응하여 DVC 신호처리부(120)의 출력신호를 DV 포맷의 신호로 압축한다.
또한, 영상신호처리부(160)는 마이크(150)의 출력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를 PCM 포맷의 신호로 압축한다. 영상신호처리부(160)는 기록대상이 되는 압축된 신호들을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VCR부(180)로 인가한다.
한편, 복합촬영장치가 'VCR 재생'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영상신호처리부(160)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재생대상이 되는 압축된 영상신호를 VCR부(180)로부터 인가받는다. 그리고, 영상신호처리부(160)는 인가받은 압축된 영상신호를 신장하여 디스플레이부(170)에 인가한다.
DSC 촬상부(130)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광전변환하고, 변환된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과정을 수행한다. DSC 촬상부(130)는 동영상과 정지영상 모두 촬상 가능하다. 하지만, DSC 촬상부(110)로 촬상한 동영상의 데이터용량은 전술한 DVC 촬상부(110)로 촬상한 동영상의 데이터용량 보다 훨씬 크다. 그 결과, 동영상 데이터를 기록매체에 기록시 많은 저장공간이 소요되므로, 장시간동안 동영상 촬영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DSC 촬상부(130)는 주로 정지영상을 촬상하는데 사용된다.
DSC 촬상부(130)는 DSC 렌즈부(131), DSC 렌즈구동부(133), DSC CCD(135) 및 DSC CDS/AGC/ADC(137)를 구비한다.
DSC 렌즈구동부(133)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DSC 렌즈부(131)를 구동시킨다. 구체적으로, DSC 렌즈구동부(133)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DSC 렌즈부(131)를 줌-인/줌-아웃(zoom-in/zoom-out)시키고 초점을 자동으로 조절하며, DSC 렌즈부(131)에 마련된 조리개(미도시)의 개폐량을 조절한다. DSC 렌즈의 줌-인은 촬영되는 피사체를 확대촬영하기 위한 상태이며, DSC 렌즈의 줌-아웃은 촬영되는 피사체를 그대로 촬영하기 위한 상태이다. 복합촬영장치의 DSC 촬상부(130)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기 위한 DSC 렌즈의 줌-인/줌-아웃 상태를 통합하여 'DSC 렌즈 오픈(open) 상태'라고 일컬으며, DSC 촬상부(130)를 이용한 피사체의 촬영을 차단한 상태를 'DSC 렌즈 클로우즈(close) 상태'라고 일컫는다.
DSC CCD(135)는 DSC 렌즈부(131)를 통해 입사되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한다.
DSC CDS/AGC/ADC(137)는 CDS를 사용하여 DSC CCD(135)의 출력되는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고, AGC를 사용하여 신호의 레벨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이득을 조정하고, ADC를 사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DSC 신호처리부(140)는 DSC 촬상부(130)로부터 인가받은 신호에 대해 소정의 신호처리를 한다. 구체적으로, DSC 신호처리부(140)는 인가되는 신호에 대해 휘도(Y)신호와 크로미넌스(C)신호로 분리하고, 이득조정, 윤곽보정 및 AWB 등을 수행하며, 해상도를 변경한다.
DSC CODEC(145)은 DSC 신호처리부(140)에서 신호처리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70)에 인가한다.
이때, DSC CODEC(145)은 조작부(22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촬영명령'을 제어부(210)로부터 전달받으면, DSC 신호처리부(140)의 출력신호를 JPEG 포맷의 신호로 압축한다. 그리고, 압축된 신호를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카드(190)에 기록한다.
한편, 복합촬영장치가 '메모리카드 재생'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DSC CODEC(145)은 제어부(210)의 제어에 따라 재생대상이 되는 압축된 영상신호를 메모리카드(190)로부터 인가받는다. 그리고, DSC CODEC(145)은 인가받은 압축된 영상신호를 신장하여 디스플레이부(170)에 인가한다.
디스플레이부(170)는 영상신호처리부(160)와 DSC CODEC(145)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170)는 OSD(On Screen Display)부(171), NTSC/PAL(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Phase Alternation Line) 인코더(173) 및 LCD(Liquid Crystal Display)(175)를 구비한다.
OSD부(171)에는 OSD문자와 GUI(Graphic User Interface)환경의 구축에 필요한 메뉴화면과 같은 GUI데이터 등이 저장된다. 그리고, OSD부(171)는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영상신호처리부(160)와 DSC CODEC(145)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OSD문자나 GUI데이터를 조합할 수 있다.
NTSC/PAL 인코더(173)는 OSD부(171)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NTSC방식이나 PAL방식의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LCD(175)와 외부장치인 TV로 인가한다.
LCD(175)는 NTSC/PAL 인코더(241)로부터 인가받은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이다.
VCR부(180)는 영상신호처리부(16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영상신호를 독출하여 영상신호처리부(160)로 인가한다. VCR부(180)는 VCR 데크부(181)와 VCR 테이프(183)를 구비한다.
VCR 테이프(183)는 영상신호가 기록되는 자기 기록매체로서, VCR 데크부(181)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VCR 데크부(181)는 영상신호처리부(160)로부터 인가받은 영상신호를 VCR 테이프(183)에 기록하거나, VCR 테이프(183)에 기록된 영상신호를 독출하여 영상신호처리부(160)로 인가한다.
메모리카드(190)는 DSC CODEC(145)으로부터 인가받은 영상신호가 기록되는 기록매체로서, 복합촬영장치에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다.
PC 인터페이스부(200)는 외부장치인 PC 또는 프린터와 인터페이싱을 수행한다.
제어부(210)는 조작부(22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조작명령에 따라 복합촬영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210)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DVC 촬상부(110)와 DSC 촬싱부(130)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촬상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제어한다. 제어부(210)는 메인제어부(211) 및 DSC 제어부(213)를 구비한다.
메인제어부(211)는 조작부(220)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명령을 입력받으며, 그에 따라 DVC 렌즈구동부(113), DVC 신호처리부(120), 영상신호처리부(160), OSD부(171), VCR 데크부(181) 및 PC 인터페이스부(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그리고, 메인제어부(211)는 DSC 제어부(312)의 제어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메인제어부(211)는 복합촬영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DVC 촬상부(110) 및 DSC 촬상부(130) 중의 사용되는 모드를 판단하는 사용모드 판단부(211a)를 구비한다. 사용모드 판단부(211a)는 복합촬영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이 인가된 초기상태에서 복합촬영장치가 DVC 촬영모드에 있는지 또는 DSC 촬영모드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DSC 제어부(213)는 메인제어부(211)의 제어에 따라, DSC 렌즈구동부(133), DSC 신호처리부(140), DSC CODEC(145)의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DSC 제어부(213)는 렌즈위치 확인부(213a) 및 전환부(213b)를 구비한다.
렌즈위치 확인부(213a)는 복합촬영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DSC 렌즈의 위치를 확인한다. 즉, 복합촬영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렌즈위치 확인부(213a)는 DSC 렌즈가 줌-인 상태에 있는지 또는 줌-아웃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 경우, DSC 렌즈의 위치가 줌-인 상태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렌즈위치 확인부(213a)는 DSC 렌즈가 오픈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DSC 렌즈의 위치가 줌-아웃 상태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DSC 렌즈부(131)를 통해 DSC 렌즈가 오픈 상태에 있는지 클로우즈 상태에 있는지를 확인한다. DSC 렌즈의 오픈 상태 및 클로우즈 상태는 DSC 렌즈부(131)의 조리개의 개폐를 통해 확인될 수 있다.
전환부(213b)는 렌즈위치 확인부(213a)에 의해 DSC 렌즈가 오픈(open) 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DSC 렌즈를 클로우즈(close) 상태로 전환시킨다. 여기서, 전환부(213b)는 사용모드 판단부(211a)에 의해 복합촬영장치의 사용모드가 DVC 촬영모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DSC 렌즈를 클로우즈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일반적으로 복합촬영장치가 DSC 촬영모드로 사용되는 경우에 DSC 렌즈부(131)는 DSC 렌즈를 줌-인 상태로 위치시키므로, 이 경우 전환부(213b)는 DSC 렌즈구동부(133)를 통해 DSC 렌즈를 줌-아웃 상태로 전환시킨 후 DSC 렌즈를 클로우즈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렌즈위치 확인부(213a)에 의해 DSC 렌즈위 위치가 줌-아웃 상태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전환부(213a)는 DSC 렌즈의 위치를 줌-아웃 상태로 유지하면서 DSC 렌즈를 클로우즈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래쉬메모리(230)는 메인제어부(230)에서 필요한 부팅 프로그램 등 장치의 동작에 필요한 시스템 프로그램, 및 전원이 꺼져도 보관되어야 할 중요한 데이터와 응용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조작부(220)는 복합촬영장치의 기능선택 및 동작제어와 관련된 조작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이다.
도 2는 도 1의 복합촬영장치에 의한 DSC 렌즈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도 1의 복합촬영장치에 의한 DSC 렌즈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복합촬영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S201), DSC 제어부(213)의 렌즈위치 확인부(213a)는 DSC 렌즈부(131) 또는 DSC 렌즈구동부(133)를 통하여 DSC 렌즈의 위치를 확인한다(S203). 이 경우, 렌즈위치 확인부(213a)는 DSC 렌즈의 위치가 줌-인 상태에 있는지 또는 줌-아웃 상태에 있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DSC 렌즈의 위치가 줌-인 상태에 있는 경우에 렌즈위치 확인부(213a)는 DSC 렌즈가 오픈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며, DSC 렌즈가 줌-아웃 상태에 있는 경우에 렌즈위치 확인부(213a)는 DSC 렌즈부(131)를 통하여 DSC 렌즈의 조리개가 오픈 되었는지 클로우즈 되었는지를 판단함으로써 DSC 렌즈의 오픈/클로우즈 상태를 확인한다.
렌즈위치 확인부(213a)에 의해 DSC 렌즈가 오픈상태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S205), 사용모드 판단부(211a)는 복합촬영장치의 사용모드가 DVC 촬영모드인지 또는 DSC 촬영모드인지를 판단한다(S207). 여기서, 렌즈위치 확인부(213a)에 DSC 렌즈가 오픈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사용모드 판단부(211a)가 복합촬영장치의 사용모드를 판단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사용모드 판단부(211a)에 의해 복합촬영장치의 사용모드가 먼저 판단된 후에 렌즈위치 확인부(213a)에 의한 DSC 렌즈의 위치가 확인되는 과정으로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사용모드 판단부(211a)에 의해 복합촬영장치의 사용모드가 DVC 촬영모드인 것으로 판단되면(S209), DSC 제어부(213)의 전환부(213b)는 DSC 촬상부(13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며(S211), DSC 렌즈구동부(133)를 제어하여 DSC 렌즈를 클로우즈 상태로 전환시킨다(S213). 또한, 전환부(213b)는 DSC 렌즈가 클로우즈된 후에는 DSC 촬상부(130)의 전원을 오프(OFF) 상태로 차단하여 복합촬영장치의 전원이 절약되도록 한다(S215).
복합촬영장치에 전원이 인가된 후, DSC 렌즈가 오픈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사용모드 판단부(211a)에 의해 복합촬영장치의 사용모드가 DVC 촬영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경우 즉, DSC 촬영모드로 판단된 경우에는 DSC 촬상부(130)로 인가되는 전원을 유지하여 DSC 촬상부(130)에 의한 영상의 촬영이 진행되도록 한다(S217).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촬영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복합촬영장치는 DVC 촬상부(110), DVC 신호처리부(120), DSC 촬상부(130), DSC 신호처리부(140), DSC CODEC(145), 마이크(150), 영상신호처리부(160), 디스플레이부(170), VCR부(180), 메모리카드(190), PC 인터페이스부(200), 제어부(210), 조작부(220), 플래쉬메모리(230),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235)및 시스템 버스(240)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촬영장치의 실시예에서 상기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였으며, 그 동작 및 작용은 상기한 바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메인제어부(211)는 상태판단부(211b) 및 전환부(211c)를 구비한다. 상태판단부(211b)는 DVC의 사용모드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에 EEPROM(235)를 검색하며, EEPROM(235)에 저장된 정보에 따라 DSC 렌즈의 오픈/클로우즈 상태를 판단한다.
전환부(211c)는 상태판단부(211b)에 의해 DSC 렌즈가 오픈 상태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DSC 렌즈를 클로우즈 상태로 전환시킨다.
EEPROM(235)은 복합촬영장치가 DSC 촬영모드로 사용되는 경우에 DSC 렌즈의 오픈/클로우즈 상태 및 DSC 렌즈의 줌-인/줌-아웃 상태를 저장한다. 즉, DSC 촬영모드에서 사용자가 DSC 렌즈를 줌-인/줌-아웃 전환하거나, 복합촬영장치의 촬영모드를 DVC 촬영모드로 전환하는 경우의 DSC 렌즈의 줌-인/줌-아웃 상태 및 오픈/클로우즈 상태를 저장한다.
도 4는 도 3의 복합촬영장치에 의한 DSC 렌즈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복합촬영장치의 동작 및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메인제어부(211)는 복합촬영장치의 DSC 촬영모드에서 DSC 렌즈가 줌-인/줌-아웃 전환되는 경우 또는 DSC 촬영모드에서 DVC 촬영모드로 전환되는 경우에 DSC 렌즈의 줌-인/줌-아웃 상태 및 DSC 렌즈의 오픈/클로우즈 상태를 EEPROM(235)에 저장시킨다(S401). DSC 렌즈가 줌-인 상태인 경우, 메인제어부(211)는 DSC 렌즈를 오픈 상태인 것으로 인식하며, DSC 렌즈가 줌-아웃 상태인 경우에는 DSC 렌즈부(131)를 통해 DSC 렌즈의 오픈/클로우즈 상태를 판단한다.
복합촬영장치의 전원이 오프(OFF)된 후, DVC 촬영모드에서 전원이 재인가되면(S403), 상태판단부(211b)는 EEPROM(235)에 저장된 DSC 렌즈의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DSC 렌즈의 현재의 상태를 판단한다(S405). 즉, 복합촬영장치의 전원이 오프되기 전에 DSC 렌즈가 줌-인 상태로 저장되었으면, 상태판단부(211b)는 DSC 렌즈의 현재 상태는 오픈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복합촬영장치의 전원이 오프되기 전에 DSC 렌즈가 줌-아웃 상태인 경우에도 EEPROM(235)에 저장된 DSC 렌즈의 상태가 클로우즈 상태인 경우, 상태판단부(211b)는 현재의 DSC 렌즈의 상태는 클로우즈 상태인 것으로 판단한다.
상태판단부(211b)에 의해 DSC 렌즈의 상태가 오픈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S407), 전환부(211c)는 DSC 촬상부(130)에 전원을 인가하여(S409) DSC 렌즈를 클로우즈 상태로 전환시키며(S411), DSC 렌즈가 클로우즈 상태로 전환된 후에 다시 DSC 촬상부(130)로 인가되는 전원을 오프상태로 전환시켜 DSC 촬상부(130)로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한다(S413).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복합촬영장치는 DSC 렌즈가 오픈 상태에서 복합촬영장치의 전원이 차단된 후에 DVC 모드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DSC 렌즈를 효율적으로 클로우즈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합촬영장치는, DSC 렌즈가 오픈 상태에서 복합촬영장치의 전원이 차단된 후에 DVC 모드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DSC 렌즈를 효율적으로 클로우즈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게 되어 DSC 렌즈가 오픈 상태인 채로 DVC 촬영모드를 사용하거나, 촬영모드를 DSC 모드로 전환한 후에 DSC 렌즈를 클로우즈시킨 후 다시 DVC 모드로 전환하여야 하였던 사용자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촬영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복합촬영장치에 의한 DSC 렌즈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촬영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그리고
도 4는 도 3의 복합촬영장치에 의한 DSC 렌즈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DVC 촬상부 120 : DVC 신호처리부
130 : DSC 촬상부 140 : DSC 신호처리부
150 : 마이크 211 : 메인제어부
211a : 사용모드 판단부 211b : 상태판단부
211c : 전환부 213a : 렌즈위치 확인부
235 : 저장부

Claims (12)

  1. DSC(Digital Still Camera) 및 DVC(Digital Video Camera)가 결합된 복합촬영장치에 있어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DSC 렌즈의 위치를 확인하는 렌즈위치 확인부; 및
    상기 렌즈위치 확인부에 의해 상기 DSC 렌즈가 오픈(open)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DSC 렌즈를 클로우즈(close)상태로 전환시키는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SC 및 상기 DVC 중의 사용되는 모드를 판단하는 사용모드 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환부는 상기 사용모드 판단부에 의해 상기 DVC의 사용모드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DSC 렌즈를 클로우즈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모드 판단부에 의해 상기 DVC의 사용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전환부는 상기 DSC 및 상기 DSC 렌즈에 인가되는 전원을 오프(off)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
  4. (a) DSC 및 DVC가 결합된 복합촬영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DSC 렌즈의 위치를 확인하는 단계; 및
    (b) 상기 DSC 렌즈가 오픈상태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DSC 렌즈를 클로우즈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의 DSC 렌즈 제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c) 상기 DSC 또는 상기 DVC의 사용되는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c) 단계에 의해 상기 DVC의 사용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b) 단계는 상기 DSC 렌즈를 클로우즈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의 DSC 렌즈 제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d) 상기 (c) 단계에 의해 상기 DVC의 사용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DSC 및 상기 렌즈에 인가되는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의 DSC 렌즈 제어방법.
  7. DSC 및 DVC가 결합된 복합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DSC의 사용모드에서 DSC 렌즈의 오픈/클로우즈 상태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DVC의 사용모드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저장부를 통해 상기 DSC 렌즈의 상태를 판단하는 상태판단부; 및
    상기 상태판단부에 의해 상기 DSC 렌즈가 오픈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DSC 렌즈를 클로우즈 상태로 전환시키는 전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부는 상기 DSC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DSC 렌즈를 클로우즈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
  10. (a) DSC 및 DVC가 결합된 복합촬영장치의 DSC 사용모드에서 DSC 렌즈의 오픈/클로우즈 상태를 저장하는 단계;
    (b) DVC 사용모드에서 전원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a) 단계에 의해 저장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DSC 렌즈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 의해 상기 DSC 렌즈가 오픈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DSC 렌즈를 클로우즈 상태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의 DSC 렌즈 제어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EEPROM에 상기 DSC 렌즈의 오픈/클로우즈 상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의 DSC 렌즈 제어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DSC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DSC 렌즈를 클로우즈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촬영장치의 DSC 렌즈 제어방법.
KR1020040016055A 2004-03-10 2004-03-10 복합촬영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dsc 렌즈 제어방법 KR20050090804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055A KR20050090804A (ko) 2004-03-10 2004-03-10 복합촬영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dsc 렌즈 제어방법
US11/062,623 US7362968B2 (en) 2004-03-10 2005-02-23 Combination camera and DSC len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EP05101753A EP1575277A1 (en) 2004-03-10 2005-03-07 Camcorder
JP2005068193A JP2005260970A (ja) 2004-03-10 2005-03-10 複合撮影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dscレンズ制御方法
CNB2005100535816A CN100367774C (zh) 2004-03-10 2005-03-10 组合摄像机和使用组合摄像机的数码相机镜头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6055A KR20050090804A (ko) 2004-03-10 2004-03-10 복합촬영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dsc 렌즈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0804A true KR20050090804A (ko) 2005-09-14

Family

ID=34825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055A KR20050090804A (ko) 2004-03-10 2004-03-10 복합촬영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dsc 렌즈 제어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362968B2 (ko)
EP (1) EP1575277A1 (ko)
JP (1) JP2005260970A (ko)
KR (1) KR20050090804A (ko)
CN (1) CN10036777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20169B2 (en) * 2005-01-31 2011-04-05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Proximity of shared image devices
US20060221197A1 (en) * 2005-03-30 2006-10-05 Jung Edward K Image transformation estimator of an imaging device
US20060187228A1 (en) * 2005-01-31 2006-08-24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Sharing including peripheral shared image device
US9325781B2 (en) 2005-01-31 2016-04-26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Audio sharing
US8606383B2 (en) 2005-01-31 2013-12-10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Audio sharing
US9082456B2 (en) 2005-01-31 2015-07-14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hared image device designation
US20070236505A1 (en) * 2005-01-31 2007-10-11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Resampling of transformed shared image techniques
US20060187227A1 (en) * 2005-01-31 2006-08-24 Jung Edward K Storage aspects for imaging device
US20060171603A1 (en) * 2005-01-31 2006-08-03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Resampling of transformed shared image techniques
US20060170956A1 (en) * 2005-01-31 2006-08-03 Jung Edward K Shared image devices
US20060285150A1 (en) * 2005-01-31 2006-12-21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Regional proximity for shared image device(s)
US8902320B2 (en) 2005-01-31 2014-12-02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hared image device synchronization or designation
US20060190968A1 (en) * 2005-01-31 2006-08-24 Searete Llc, A Limited Corporation Of The State Of The State Of Delaware Sharing between shared audio devices
US9489717B2 (en) 2005-01-31 2016-11-08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hared image device
US7876357B2 (en) * 2005-01-31 2011-01-25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Estimating shared image device operational capabilities or resources
US9124729B2 (en) 2005-01-31 2015-09-01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hared image device synchronization or designation
US9910341B2 (en) 2005-01-31 2018-03-06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hared image device designation
US20060174203A1 (en) 2005-01-31 2006-08-03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Viewfinder for shared image device
US20060173972A1 (en) * 2005-01-31 2006-08-03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Audio sharing
US9076208B2 (en) * 2006-02-28 2015-07-07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Imagery processing
US9093121B2 (en) 2006-02-28 2015-07-28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Data management of an audio data stream
US8233042B2 (en) * 2005-10-31 2012-07-31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Preservation and/or degradation of a video/audio data stream
US20070098348A1 (en) * 2005-10-31 2007-05-03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Degradation/preservation management of captured data
US9967424B2 (en) 2005-06-02 2018-05-08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Data storage usage protocol
US8072501B2 (en) * 2005-10-31 2011-12-06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Preservation and/or degradation of a video/audio data stream
US9451200B2 (en) 2005-06-02 2016-09-20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torage access technique for captured data
US20070222865A1 (en) 2006-03-15 2007-09-27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Enhanced video/still image correlation
US9942511B2 (en) 2005-10-31 2018-04-10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Preservation/degradation of video/audio aspects of a data stream
US9167195B2 (en) * 2005-10-31 2015-10-20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Preservation/degradation of video/audio aspects of a data stream
US9621749B2 (en) 2005-06-02 2017-04-11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apturing selected image objects
US9819490B2 (en) 2005-05-04 2017-11-14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Regional proximity for shared image device(s)
US7872675B2 (en) * 2005-06-02 2011-01-18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aved-image management
US8681225B2 (en) * 2005-06-02 2014-03-25 Royce A. Levien Storage access technique for captured data
US7782365B2 (en) * 2005-06-02 2010-08-24 Searete Llc Enhanced video/still image correlation
US9001215B2 (en) 2005-06-02 2015-04-07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Estimating shared image device operational capabilities or resources
US8964054B2 (en) * 2006-08-18 2015-02-24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apturing selected image objects
US8253821B2 (en) * 2005-10-31 2012-08-28 The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Degradation/preservation management of captured data
US9191611B2 (en) * 2005-06-02 2015-11-17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Conditional alteration of a saved image
US10003762B2 (en) 2005-04-26 2018-06-19 Invention Science Fund I, Llc Shared image devices
US20060269090A1 (en) * 2005-05-27 2006-11-30 Roman Sapiejewski Supra-aural headphone noise reducing
US20060274153A1 (en) * 2005-06-02 2006-12-07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Third party storage of captured data
US20070203595A1 (en) * 2006-02-28 2007-08-30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Data management of an audio data stream
US20070120980A1 (en) * 2005-10-31 2007-05-31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Preservation/degradation of video/audio aspects of a data stream
WO2007053703A2 (en) * 2005-11-01 2007-05-10 Searete Llc Enhanced video/still image correlation
US8347199B2 (en) * 2009-01-21 2013-01-01 Cisco Technology, Inc. Enhanced error detection in multilink serdes channels
KR101932086B1 (ko) * 2012-09-28 2019-03-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제어 방법 및 휴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03687A1 (de) 1986-02-06 1987-08-13 Dom Sicherheitstechnik Aus schliesszylinder und zugehoerigem flachschluessel bestehende schliesseinrichtung
US6096969A (en) * 1994-11-22 2000-08-01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adapted to use solar battery
JP3624037B2 (ja) * 1995-12-28 2005-02-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入力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KR970048888A (ko) * 1995-12-11 1997-07-29 이대원 사진 촬영 정보 기록/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JP2852223B2 (ja) 1995-12-28 1999-01-27 三星電子株式会社 スチルカメラ一体型ビデオカメラ
KR100261601B1 (ko) 1997-12-11 2000-07-15 이중구 초기줌위치설정이가능한카메라및그제어방법
JP2003037757A (ja) * 2001-07-25 2003-02-07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撮像装置
KR100826243B1 (ko) 2002-11-20 2008-04-2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각 조정이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040099874A (ko) 2003-05-20 2004-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촬영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75277A1 (en) 2005-09-14
US7362968B2 (en) 2008-04-22
US20050200708A1 (en) 2005-09-15
CN100367774C (zh) 2008-02-06
CN1668079A (zh) 2005-09-14
JP2005260970A (ja) 200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62968B2 (en) Combination camera and DSC lens control method using the same
US7526195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having two display panel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4035543B2 (ja) 撮像装置
KR101357776B1 (ko) 설정정보 변경이 용이한 촬영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334336B2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KR20080103740A (ko) 통합 단자를 갖는 영상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4041504B2 (ja) 複合撮影装置及びそれを利用した音響記録方法
JP4565276B2 (ja) カメラ及びそのモード切換方法
JP4948011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US2006015261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digital images
KR20050090798A (ko) 촬영장치의 모드선택 스위치
KR20050090807A (ko) 촬영모드 및 출력모드에 따라 영상신호의 출력경로 및출력방식을 제어할 수 있는 복합촬영장치 및 그출력제어방법
JP4637032B2 (ja) 画像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3534995B2 (ja) デジタルカメラ
KR101042637B1 (ko) 영상의 특수효과 처리가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 특수효과처리방법
US20060023083A1 (en) Method of controlling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for efficient reproduction opera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JP2003046850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KR100708473B1 (ko) 부분 화면 편집이 가능한 촬영장치 및 그 부분 화면편집방법
KR20050090806A (ko) 하나의 줌스위치로 다양한 조작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복합촬영장치 및 그 동작제어방법
KR20050066308A (ko) 동영상파일 리스트에 표시되는 축소영상을 생성하는휴대용 복합장치 및 축소영상 생성방법
KR20060003937A (ko) 영상촬상장치
KR20050090799A (ko) 복합촬영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음향기록방법
JP2005020191A (ja) 撮像装置
JPH11187293A (ja) 電子スチル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