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5887A -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 - Google Patents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5887A
KR20050075887A KR1020040003259A KR20040003259A KR20050075887A KR 20050075887 A KR20050075887 A KR 20050075887A KR 1020040003259 A KR1020040003259 A KR 1020040003259A KR 20040003259 A KR20040003259 A KR 20040003259A KR 20050075887 A KR20050075887 A KR 20050075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sink
aluminum
heating
tub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3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삼
김국희
Original Assignee
김중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삼 filed Critical 김중삼
Priority to KR1020040003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5887A/ko
Priority to PCT/KR2005/000048 priority patent/WO2005068914A1/en
Publication of KR20050075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887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12Means to prevent freezing of lavat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22Details
    • F24D3/127Mechanical connections between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Semiconductors Or Solid Stat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난방효율이 우수하고 시공이 편리하며 안전성을 우수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는, 외면에 결합리브(114)가 돌출형성되고 하단이 안쪽으로 굴곡된 제1지지리브(112) 및 외면에 상기 결합리브와 대응하는 결합홈(118)이 요입형성되고 하단이 안쪽으로 굴곡된 제2지지리브(116)가 양측 단부에 아래쪽으로 굴곡형성된 알루미늄판(110) 및 상기 알루미늄판의 저면에 상기 지지리브들과 나란하게 설치된 다수의 알루미늄관(130)을 가지고, 상기 결합리브 및 결합홈에 의하여 차례로 다수 개 연결될 수 있는 방열판(100)과; 상기 알루미늄관에 양단이 돌출되도록 삽입되는 직선동관(142)들 및 상기 직선동관들의 서로 인접하는 돌출부에 양단이 차례로 삽입되는 곡선동관(146)들에 의하여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되는 동파이프(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HEAT PANEL ASSEMBLY FOR HEATING}
본 발명은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난방효율이 우수하고 시공이 편리하며 안전성이 우수한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온수보일러를 이용한 일반적인 옥내 난방방법으로서, 옥내의 바닥에 동파이프나 합성수지 파이프와 같은 온수파이프를 매설하여, 상기 온수파이프를 통해 순환하는 온수의 열에 의해 바닥을 가열시켜 옥내를 난방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옥내의 바닥에 단열재를 깔고 그 위에 지지수단을 이용하여 온수파이프를 지그재그형으로 배치한 다음, 자갈이나 모래 등의 세골재로 공간을 채우고 그 위에 모르타르 시공을 한 후 장판지 등으로 마감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옥내 난방시공방법에 있어서는, 열이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된 온수파이프와 접촉하고 있는 상부의 모르타르층을 통해 바닥면에 전달되므로 실질적인 방열면적은 온수파이프에 접촉되는 면적뿐이다. 따라서, 방열면적이 좁고 온수파이프를 통해 모르타르층으로 전달되는 열전도도가 낮아 난방효율이 저하되며, 특히 온수파이프로 합성수지재 파이프를 채용할 경우 난방효율은 더욱 저하된다. 이러한 난방효율의 저하는 난방연료의 소비량 증대를 야기한다. 더욱이, 온수파이프의 지그재그 피치가 대략 30∼50cm 정도로 상당히 크기 때문에 바닥면에 균일하게 열이 전도되지 않아, 온수파이프가 지나는 곳은 뜨겁고 온수파이프가 지나가지 않는 곳은 차가운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온수파이프 상부의 모르타르층 두께를 크게 할 경우 난방효율은 더욱 저하된다. 또한, 난방시공공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세골재를 채우거나 모르타르시공을 수행해야 하므로, 난방시공작업이 복잡하고 시공기간이 늘어나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온수파이프의 상부에 도금강판으로 된 방열판을 적층하거나, 예컨대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4241호에서와 같이 덮개로 덮이는 요입홈이 형성된 방열판을 채용하여 상기 요입홈에 난방호스와 같은 온수파이프를 배치함으로써, 모르타르시공 등을 배제할 수 있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들에 있어서는, 방열판으로 도금강판이 사용됨으로써 중량이 무겁고, 알루미늄에 비해 열전도율, 내부식성 및 내약품성이 저하되며, 방열판과 온수파이프가 독립적으로 제작되어 일체화되지 못하므로 열전달이 제대로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휨이나 뒤틀림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후자와 같이, 합성수지재 난방호스가 적용된 경우, 난방효율은 더욱 저하되고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전자의 경우 방열판 및 온수파이프를 용접하여야 하므로, 전문적인 기술을 가진 숙련자가 아니면 시공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방열판의 수평면 유지가 곤란하고, 시공면적에 맞게 각종 부재가 현장에서 절단 및 조립작업이 수행되어야 하므로 시공비, 시공시간 및 인건비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 바닥상에 방열판이 놓이는 복잡한 구조의 패널이 시공되어야 하므로, 시공비 및 시공시간이 증가하고, 온수파이프의 지그재그 배치가 힘들 뿐만 아니라 규격화가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난방효율이 우수하고 시공이 편리하며 안전성이 우수한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은, 외면에 결합리브가 돌출형성되고 하단이 안쪽으로 굴곡된 제1지지리브 및 외면에 상기 결합리브와 대응하는 결합홈이 요입형성되고 하단이 안쪽으로 굴곡된 제2지지리브가 양측 단부에 아래쪽으로 굴곡형성된 알루미늄판 및 상기 알루미늄판의 저면에 상기 지지리브들과 나란하게 설치된 다수의 알루미늄관을 가지고, 상기 결합리브 및 결합홈에 의하여 차례로 다수 개 연결될 수 있는 방열판과; 상기 알루미늄관에 양단이 돌출되도록 삽입되는 직선동관들 및 상기 직선동관들의 서로 인접하는 돌출부에 양단이 차례로 삽입되는 곡선동관들에 의하여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되는 동파이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알루미늄판과 알루미늄관은 압출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판과 알루미늄관은 별도로 제조되고, 상기 알루미늄관의 외주면 일측에는 결합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가 알루미늄판의 저면에 용접에 의해 부착되거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알루미늄관이 알루미늄판의 저면에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판은 알루미늄재 플레이트와 알루미늄재 제1지지리브 및 알루미늄재 제2지지리브로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 양쪽에 제1지지리브 및 제2지지리브가 용접에 의해 일체적으로 접합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곡선동관들중 적어도 한 쪽에 배치된 곡선동관들은 방열판 밖으로 돌출되고, 이 곡선동관들은 일단이 방열판의 길이방향 끝단에 연결되고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연장방열판으로 덮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방열판의 일단에는 아래쪽으로 단차가 진 연결부가 굴곡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상기 알루미늄판의 길이방향 끝단 및 알루미늄관의 길이방향 끝단 사이에는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됨으로써 연장방열판이 방열판들에 간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장방열판의 타단에는 하단이 안쪽으로 굴곡된 제3지지리브가 아래쪽으로 굴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장방열판의 저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알루미늄관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판 및 연장방열판의 저면에는 이들의 보강을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보강비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판의 저면에는 폴리우레탄폼이 설치된다. 연장방열판이 방열판에 연결된 경우에는, 방열판의 저면과 연장방열판의 저면에 걸쳐 폴리우레탄폼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폴리우레탄폼은 지지리브들의 하단에 안쪽으로 굴곡된 부분들에 의하여 파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선동관의 외주면은 알루미늄관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전체적으로 확관되고, 알루미늄관 밖으로 돌출된 부분은 곡선동관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확관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는 다수 개가 차례로 연결될 수 있는 방열판(100)과, 상기 방열판(100)의 저면에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되는 동파이프(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방열판(100)은 알루미늄판(110)과, 상기 알루미늄판(110)의 저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알루미늄관(130)을 구비한다. 여기서는 알루미늄판(110)의 저면에 4개의 알루미늄관(130)이 형성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판(110)의 양측 단부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제1지지리브(112) 및 제2지지리브(116)가 아래로 굴곡형성된다. 제1지지리브(112)의 외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리브(114)가 돌출형성되고, 제1지지리브(112)의 하단은 안쪽으로 굴곡된다. 또한, 제2지지리브(116)의 외면에는 상기 결합리브(114)와 대응하는 결합홈(118)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형성되고, 제2지지리브(116)의 하단은 안쪽으로 굴곡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방열판의 결합홈(118)에 다른 방열판의 결합리브(114)를 삽입하는 방법으로 다수의 방열판(100)을 차례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리브(112) 및 제2지지리브(116)의 하단에 안쪽으로 굴곡된 부분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판(100)의 저면에 설치되는 폴리우레탄폼(160)을 파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 폴리우레탄폼(160)은 아래쪽으로 열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열재의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아래쪽으로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음재의 기능도 하게 된다.
그리고, 알루미늄판(110)의 저면에는 그 강도를 보강함으로써 알루미늄판(110)의 평탄도를 평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보강비드(120)가 형성되고, 이 보강비드(120)는 알루미늄판(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관(130)은 상기 지지리브들(112, 116)과 나란하게 설치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판(110)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경우 압출에 의하여 방열판(100)을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알루미늄판(110)과 알루미늄관(130)은 별도로 제조되어 조립될 수 있는데, 그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관(130)의 외주면 일측에 알루미늄판(110)의 저면에 스폿용접과 같은 용접에 의해 부착되거나, 여기서 미도시되었지만 스크류와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알루미늄판(110)에 체결될 수 있는 결합부(13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 경우에도 알루미늄판(110)과 알루미늄관(130)은 각각 압출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판(1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재 플레이트(110a)와 알루미늄재 제1지지리브(112) 및 알루미늄재 제2지지리브(116)로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플레이트(110a)의 저면 양쪽에 제1지지리브(112) 및 제2지지리브(116)가 스폿용접과 같은 용접에 의해 일체적으로 접합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제1지지리브(112) 및 제2지지리브(116)는 각각 압출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고, 플레이트(110a)의 저면에 적어도 하나의 보강비드(12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파이프(140)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관(130)에 양단이 돌출되도록 삽입되는 직선동관(142)들 및 상기 직선동관(142)들의 양단의 서로 인접하는 단부에 양단이 차례로 삽입되는 곡선동관(146)들을 구비함으로써, 지그재그형으로 손쉽게 배열될 수 있다. 최외측 직선동관(142)들에는 입구동관(152) 및 출구동관(154)이 연결되며, 입구동관(152) 및 출구동관(154)은 여기서는 미도시되었으나, 방열판(100)에 연결되는 별도의 방열판으로 덮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동파이프(140) 내부를 흐르는 온수의 열이 알루미늄판(110) 쪽으로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직선동관(142)의 손상시 온수가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직선동관(142)의 외주면이 알루미늄관(130)의 내주면에 일체적으로 밀착된다. 즉, 알루미늄관(130)에 삽입된 직선동관(142)을, 예컨대 공기실린더에 의하여 진퇴하는 확관볼을 이용하여 직선동관(142)의 외주면이 알루미늄관(13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직선동관(142)을 전체적으로 확관시킨 후, 알루미늄관(130) 밖으로 돌출된 직선동관(142)의 양단을 확관부(144)로 형성하면 된다. 따라서, 곡선동관(146)의 양단은 상기 직선동관(142)들 양단의 서로 인접하는 확관부(144)에 손쉽게 연결될 수 있고, 누설을 방지하기 위하여 직선동관(142)과 곡선동관(146)의 연결부는, 예컨대 시임용접 등으로 누설방지처리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에 따르면, 방열판(100), 동파이프(140) 및 폴리우레탄폼(160)이 미리 조립된 채 유니트화될 수 있으며, 이 유니트를 시공현장의 바닥, 벽체, 베란다 등에 그대로 설치하고, 필요한 경우 난방면적에 맞게 다른 유니트 및 곡선동관(146)을 더 연결하는 방법으로 난방시공할 수 있다. 따라서, 규격화된 유니트에 의하여 숙련된 작업자가 아니더라도 누구나 간단하게 난방시공할 수 있으며, 미리 조립하여 유니트화하지 않더라도 간단하게 구성된 각 부품들을 시공현장에서 손쉽게 조립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손쉽게 난방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에 의하여 난방시공이 이루어진 경우, 동파이프(140)의 직선동관(142)은 그 외주면이 알루미늄관(130)의 내주면에 전체적으로 밀착되어 있고, 동파이프(140)의 곡선동관(146)은 알루미늄판(110)(또는 플레이트(110a))과 접촉하고 있으므로, 동파이프(140) 내부를 흐르는 온수의 열이 동파이프(140)를 통해 알루미늄판(110)으로 열전달되는 효율 및 상기 알루미늄판(110)으로부터 바닥으로 열전달되는 효율이 향상되어 난방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난방에 소요되는 연료의 소비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직선동관(142)이 알루미늄관(130)에 의하여 견고하게 보호되고 있으므로, 동파이프(140)의 손상, 변형 등이 발생할 우려가 없고, 또한 직선동관(142)이 알루미늄관(130)에 수밀구조로 밀착되어 있으므로, 직선동관(142)이 손상되어 온수가 누설된다 하더라도 온수의 누설이 알루미늄관(130)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하며, 여기서 실시예 1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는, 다수 개가 차례로 연결될 수 있는 방열판(100)과, 상기 방열판(100)의 저면에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되는 동파이프(140)와, 일단이 상기 방열판(100)의 길이방향 끝단에 연결되는 알루미늄재 연장방열판(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알루미늄판(110)의 저면에 2개의 알루미늄관(130, 130)이 설치된 방열판(100) 2개가 서로 연결되고, 이 방열판(100)들의 길이방향 일단에 연장방열판(170)이 연결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의 경우, 동파이프(140)의 곡선동관(146)들중 어느 한 쪽에 배치된 곡선동관(146)들은 방열판(100)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부분이 연장방열판(170)으로 덮인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방열판(170)의 일단에는 아래쪽으로 단차가 진 연결부(172)가 굴곡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루미늄판(110)의 길이방향 끝단 및 알루미늄관(130)의 길이방향 끝단 사이에는 상기 연결부(172)가 삽입되는 삽입홈(122)이 형성됨으로써, 연장방열판(170)이 방열판(100)들에 간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방열판(100)과 연장방열판(170)의 상면은 동일한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방열판(170)의 타단에는 하단이 안쪽으로 굴곡된 제3지지리브(174)가 아래쪽으로 굴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폴리우레탄폼(160)은 방열판(100)의 저면 및 연장방열판(170)의 저면에 걸쳐 설치되며, 상기 제3지지리브(174) 하단의 굴곡된 부분은 제1 및 제2지지리브(116)와 함께 폴리우레탄폼(160)을 파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도 9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방열판(170)의 저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알루미늄관(178)이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방열판(17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연장방열판(170)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비드(17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3>
도 1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에 대하여 설명하며, 여기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한 부분은 동일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는, 다수 개가 차례로 연결될 수 있는 방열판(100)과, 상기 방열판(100)의 저면에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되는 동파이프(140)와, 일단이 상기 방열판(1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알루미늄재 연장방열판(170, 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는 알루미늄판(110)의 저면에 2개의 알루미늄관(130, 130)이 설치된 방열판(100) 2개가 서로 연결되고, 이 방열판(100)들의 길이방향 양단에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연장방열판(170)들이 차례로 연결된 것이 예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의 경우, 동파이프(140)의 곡선동관(146)들이 모두 방열판(100) 밖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부분이 연장방열판(170)들로 덮인다. 즉,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연장방열판(170)의 일단에는 아래쪽으로 단차가 진 연결부(172)가 굴곡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알루미늄판(110)의 길이방향 양단 및 각 알루미늄관(130)의 길이방향 양단 사이에는 상기 연결부(172)가 삽입되는 삽입홈(122)(도 12 참조)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연장방열판(170)들이 방열판(100)들의 길이방향 양단에 간단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방열판(100)과 연장방열판(170)들의 상면은 동일한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방열판(100)들의 저면 및 연장방열판(170)들의 저면에 걸쳐 폴리우레탄폼(160)이 설치되며, 이 경우 지지리브들(112, 116, 174, 174)이 사방에 배치되어 폴리우레탄폼(160)을 파지하게 되므로, 폴리우레탄폼(160)을 더욱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다른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에 의하면, 방열판(100)이 열전도도가 우수한 알루미늄재로 이루어짐으로써 난방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난방효율이 향상되므로, 고효율 난방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난방연료의 소비량을 종래에 비하여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고, 특히 방열판(100)을 압출공법에 의하여 손쉽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의 제조원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와 알루미늄 소재에 의하여 경량화를 이룸으로써 재료비 절약과 함께 물류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량화는 건물의 하중도 줄일 수 있으므로, 대략 20층 건물의 경우 1층 정도를 더 추가할 수 있고 생활공간을 크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알루미늄관(130)에 의하여 동파이프(140)가 견고하게 보호되므로 동파이프(140)의 손상, 변형 등이 발생할 우려가 없고, 충격이나 사고에 의해 직선동관(142)이 터져 온수가 누설된다 하더라도 온수의 누설이 알루미늄관(130)에 의하여 차단될 수 있으므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보강비드(120, 176) 뿐만 아니라 알루미늄관(130, 178) 자체가 보강재의 기능을 함으로써 강도가 우수하고 이에 따라 평탄도 유지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부품들을 미리 조립하여 유니트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쉽게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고 모르타르 시공을 요하지 않으므로 시공비, 시공시간 및 인건비를 줄일 수 있고, 바닥이나 베란다 뿐만 아니라 벽체, 천정 등에도 손쉽게 시공할 수 있는 등 시공성이 우수하다.
또한, 유해전자파나 수막파차단효과에 의해 유해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할 수 있고, 철거나 리모델링시 손쉽게 해체할 수 있으며, 해체한 경우 폴리우레탄폼(160)만을 제거하고 나머지는 재활용할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를 구성하는 방열판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를 구성하는 방열판들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를 구성하는 방열판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를 구성하는 방열판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Ⅵ-Ⅵ선 단면도로서, 동파이프의 배열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의 저면에 폴리우레탄폼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에 2에 따른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연장방열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연장방열판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의 방열판과 연장방열판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방열판, 110 : 알루미늄판,
110a : 플레이트, 112 : 제1지지리브,
114 : 결합리브, 116 : 제2지지리브,
118 : 결합홈, 120, 176 : 보강비드,
122 : 삽입홈, 130, 178 : 알루미늄관,
132 : 결합부, 140 : 동파이프,
142 : 직선동관, 144 : 확관부,
146 : 곡선동관, 160 : 폴리우레탄폼,
170 : 연장방열판, 172 : 연결부,
174 : 제3지지리브

Claims (13)

  1. 외면에 결합리브(114)가 돌출형성되고 하단이 안쪽으로 굴곡된 제1지지리브(112) 및 외면에 상기 결합리브와 대응하는 결합홈(118)이 요입형성되고 하단이 안쪽으로 굴곡된 제2지지리브(116)가 양측 단부에 아래쪽으로 굴곡형성된 알루미늄판(110) 및 상기 알루미늄판의 저면에 상기 지지리브들과 나란하게 설치된 다수의 알루미늄관(130)을 가지고, 상기 결합리브 및 결합홈에 의하여 차례로 다수 개 연결될 수 있는 방열판(100)과;
    상기 알루미늄관에 양단이 돌출되도록 삽입되는 직선동관(142)들 및 상기 직선동관들의 서로 인접하는 돌출부에 양단이 차례로 삽입되는 곡선동관(146)들에 의하여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되는 동파이프(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100)의 저면에는 폴리우레탄폼(160)이 설치되고, 상기 폴리우레탄폼은 지지리브들의 하단에 안쪽으로 굴곡된 부분들에 의하여 파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동관(142)은 전체적으로 확관되어 그 외주면이 알루미늄관(13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동관(142)의 알루미늄관(130) 밖으로 돌출된 부분은 곡선동관(146)의 단부가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는 확관부(144)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판(110)과 알루미늄관(130)은 압출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판(110)과 알루미늄관(130)은 별도로 제조되고, 상기 알루미늄관의 외주면 일측에는 결합부(132)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가 알루미늄판의 저면에 용접에 의해 부착되거나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되어, 알루미늄관이 알루미늄판의 저면에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판(110)은, 알루미늄재 플레이트(110a)와 알루미늄재 제1지지리브(112) 및 알루미늄재 제2지지리브(116)로 별도로 제조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저면 양쪽에 제1지지리브 및 제2지지리브가 용접에 의해 일체적으로 접합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
  8. 제 1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100)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비드(1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동관(146)들중 적어도 한 쪽에 배치된 곡선동관들은 방열판(100) 밖으로 돌출되고, 이 곡선동관들은 일단이 방열판의 길이방향 끝단에 연결되고 알루미늄으로 형성된 연장방열판(170)으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방열판(170)의 일단에는 아래쪽으로 단차가 진 연결부(172)가 굴곡형성되고, 이와 대응하여 상기 알루미늄판(110)의 길이방향 끝단 및 알루미늄관(130)의 길이방향 끝단 사이에는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삽입홈(122)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방열판의 타단에는 하단이 안쪽으로 굴곡된 제3지지리브(174)가 아래쪽으로 굴곡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100) 및 연장연결판(170)의 저면에 걸쳐 폴리우레탄폼(160)이 설치되고, 상기 폴리우레탄폼은 지지리브들의 하단에 안쪽으로 굴곡된 부분들에 의하여 파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
  12. 제 9 항 내지 제 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방열판(170)의 저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알루미늄관(178)이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
  13. 제 9 항 내지 제 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100) 및 연장방열판(170)의 저면에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보강비드(120, 176)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
KR1020040003259A 2004-01-16 2004-01-16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 KR2005007588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259A KR20050075887A (ko) 2004-01-16 2004-01-16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
PCT/KR2005/000048 WO2005068914A1 (en) 2004-01-16 2005-01-07 Heat panel assembly for heat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3259A KR20050075887A (ko) 2004-01-16 2004-01-16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887A true KR20050075887A (ko) 2005-07-25

Family

ID=34793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3259A KR20050075887A (ko) 2004-01-16 2004-01-16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50075887A (ko)
WO (1) WO20050689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22582A1 (en) * 2005-09-14 2007-03-22 Uponor, Inc. Radiant heating system and method
ITTV20060079A1 (it) * 2006-05-17 2007-11-18 Termotecniche Fraccaro O T F S Procedimento per la realizzazione di pannelli radianti.
NL1036940C2 (nl) * 2009-05-11 2010-11-15 Hilckmann Installatietechniek B V Wandelement , wand en werkwijze voor het fabriceren van een wandelement.
KR20140090490A (ko) * 2013-01-09 2014-07-17 정병태 난방용 조립식 마루
ES2716889B2 (es) * 2017-12-15 2020-01-29 Proyectopia S L Estructura modular para la construcción de edificaciones
US20210347958A1 (en) 2019-06-27 2021-11-11 Moxietec, Llc Polymer foam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polymer foams
EP3990248A1 (en) 2019-06-27 2022-05-04 Moxietec, LLC Polymer foam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polymer foam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217Y1 (ko) * 1994-03-17 1997-07-31 김기 건식 온돌용 띠형 단일체 압출재의 조립식 온돌판
JPH08285297A (ja) * 1995-04-11 1996-11-01 Kanto Kogyo Kk 床暖房パネル
KR200159445Y1 (ko) * 1997-02-18 1999-10-15 박진수 보일러용 온수x-l파이프에 알루미늄방열판을 붙인 조립식 온돌 판넬
KR20030037896A (ko) * 2001-11-07 2003-05-16 신두철 온돌 난방 시공용 패널 및 그 패널을 이용한 온돌난방구조
JP2003322349A (ja) * 2002-04-25 2003-11-14 Sewon:Kk 床暖房パネル及び床暖房パネルの製造方法及び床暖房パネルを使用した暖房システム
KR200325331Y1 (ko) * 2003-05-30 2003-09-02 주식회사 동성열기 난방배관용 판넬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68914A1 (en) 200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7286B2 (en) Absorber for a pipe construction or sewer construction and pipe or sewer configuration provided with the absorber
CA2737743C (en) Prefabricated heat-insulation panel with two hot water flow paths
KR100712826B1 (ko) 플로링보드를 이용한 바닥 난방용 온수 순환마루
WO1988002091A1 (en) Flexible hose heat exchanger construction
KR20050075887A (ko) 난방용 방열판 조립체
KR20140037701A (ko) 난방용 조립식 열전달패널
KR100989517B1 (ko) 히트 파이프 설치용 확장패널 및 이를 이용한 히팅장치
KR100917447B1 (ko) 온돌 구조체
KR101465681B1 (ko) 난방용 온수판넬
KR101164871B1 (ko) 온수 마루용 보드 및 상기 보드를 구비하는 온수 마루
KR200351874Y1 (ko) 조립식 온수난방 시스템.
KR200415190Y1 (ko) 온돌 난방용 조립식패널
KR101597155B1 (ko) 강재단위패널이 일체형으로 만들어진 보온 물탱크 및 그 시공 방법
KR100651184B1 (ko) 배관 블록 및 건식 난방 시스템
KR102400313B1 (ko) 냉온수를 이용한 냉난방 패널
KR102579066B1 (ko) 조립식 난방패널 구조체
KR200325331Y1 (ko) 난방배관용 판넬 조립체
KR200484577Y1 (ko) 방열특성이 향상된 온수패널
KR100766709B1 (ko) 건식 난방시스템의 2매 상판 시공구조 및 방법
KR20110006808A (ko) 냉난방용 패널의 조립체
KR101702634B1 (ko) 온수마루
JPH1082013A (ja) 融雪パネル及び融雪構造
KR101315124B1 (ko) 난방용 조립식 패널
KR20140042560A (ko) 축열 구조체
KR102013339B1 (ko) 건식 온돌 바닥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