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4493A - 칼륨 채널 및/또는 피질 뉴우런 작용 조절제로서 유용한n-페닐안트라닐산 및/또는 2-벤즈이미다졸론의 유도체 - Google Patents

칼륨 채널 및/또는 피질 뉴우런 작용 조절제로서 유용한n-페닐안트라닐산 및/또는 2-벤즈이미다졸론의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4493A
KR20050074493A KR1020057006856A KR20057006856A KR20050074493A KR 20050074493 A KR20050074493 A KR 20050074493A KR 1020057006856 A KR1020057006856 A KR 1020057006856A KR 20057006856 A KR20057006856 A KR 20057006856A KR 20050074493 A KR20050074493 A KR 20050074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und
alkyl
hydrogen
cyclo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6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버나드 애탈리
애셔 페레츠
Original Assignee
라모트 앳 텔-아비브 유니버시티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모트 앳 텔-아비브 유니버시티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라모트 앳 텔-아비브 유니버시티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74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49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61K31/136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having the amino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benzeneam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841,3-D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4Centrally acting analgesics, e.g. opio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6Antimigrai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8Antiepileptics; Anticonvul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sycholog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압-의존성 칼륨 채널을 통한 칼륨 이온 플럭스의 조절 및/또는 피질 뉴우런 작용의 억제를 통한 질환의 치료에 유용한 화합물,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신경 보호제로서 중추 신경계 또는 말초 신경계 질환의 치료에 유용한 N-페닐안트라닐산 또는 2-벤즈이미다졸론의 유도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칼륨 채널 및/또는 피질 뉴우런 작용 조절제로서 유용한 N-페닐안트라닐산 및/또는 2-벤즈이미다졸론의 유도체 {Derivatives Of N-Phenylanthranlic Acid And 2-Benzimidazolon As Potassium Channel And/Or Cortical Neuron Activity Modulators}
본 발명은 의약 분야, 및 병원균, 특히 전압-의존성 칼륨 채널 및/또는 피질 뉴우런 작용을 통한 칼륨 이온 플럭스와 관련된 병리학적 치료를 위한 N-페닐안트라닐산 및/또는 2-벤즈이미다졸론의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이온 채널은 칼슘, 칼륨, 나트륨 및 염화물을 포함한 이온이 세포를 들어가고 나오도록 조절하는 세포 단백질이다. 이들 채널은 모든 동물 세포에 존재하며, 신경 전달, 근육 수축 및 세포 분리와 같은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이온 채널 중에서, 칼륨 채널이 가장 흔하며 다양하고, 신경, 근육, 샘, 면역, 재생 및 상피 조직과 같은 여러 가지 동물 세포에서 발견된다. 이들 채널은 특정 조건 하에서 칼륨으로 하여금 세포로 들어가고 나오도록 한다. 예를 들면, 이들 채널의 개방시 칼륨 이온의 외향 흐름은 세포 내부를 더욱 네카티브로 만들고 세포에 인가되는 편극 전압을 방해한다. 이들 채널은 이를테면 칼슘 민감성, 전압-게이팅, 제2 메신저, 특이세포 리간드 및 ATP-민감성에 의해 조절된다.
칼륨 채널은 심장박동, 동맥 팽창, 인슐린 분비, 신경 세포의 흥분능력의 조절을 포함한 수많은 생리 과정, 그리고 신장 전해질의 운반 조절과 연관되어 있다. 칼륨 채널은 예상된 구조적 및 기능적 유사성을 기본으로 적어도 8개의 패밀리에 속하는 알파 서브유니트로 이루어져있다(Wei et al., Neuropharmacology 35(7): 805-829 (1997)). 이들 패밀리 중 3개(Kv, eag-관련, 및 KQT)는 6개의 트랜스멤브레인 도메인의 일반 모티프를 공유하고 전압에 의해 일차적으로 게이트된다. 2개의 다른 패밀리, CNG 및 SK/IK는 또한 이러한 모티프를 함유하지만, 시클릭 뉴클레오티드 및 칼슘에 의해 각각 게이트된다. 칼륨 채널 알파 서브유니트의 다른 3개의 패밀리는 트랜스멤브레인 도메인의 다른 패턴을 갖는다. Slo 패밀리 칼륨 채널, 또는 BK 채널은 7개의 트랜스멤브레인 도메인을 갖고(Meera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94(25): 14066-71 (1997)), 전압 및 칼슘 모두에 의해 또는 pH에 의해 게이트된다(Schreiber et al., J. Biol. Chem. 273: 3509-16(1998)). 또 다른 패밀리, 내향성 정류기 칼륨 채널(Kir)은 2개의 트랜스멤브레인 도메인을 함유하는 구조적 패밀리에 속하고, 제8의 기능적으로 다양한 패밀리(TP 또는 "2-기공")은 이러한 내향성 정류기 모티프의 2 탠덤 반복을 함유한다.
칼륨 채널은 통상 4개의 알파 서브유니트로 형성되고, 동종(동일한 알파 서브유니트로 이루어짐) 또는 이종(2 이상의 다른 형태의 알파 서브유니트로 이루어짐)일 수 있다. 또한, Kv, KQT 및 Slo 또는 BK 서브유니트로 이루어진 칼륨 채널은 종종 추가적인, 구조적으로 상이한 보조제 또는 베타, 서브유니트를 함유하는 것으로 종종 밝혀졌다. 이들 서브유니트는 칼륨 채널 자체를 형성하지 않고, 대신 알파 서브유니트에 의해 형성된 채널의 기능적 성질을 변경하도록 보조 서브유니트로서 작용한다. 예를 들면, Kv 베타 서브유니트는 세포질이고 Kv 채널의 표면 발현을 증가시키고 및/또는 채널의 불활성화 동역학을 변경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Heinemann et al., J. Physiol. 493: 625-633 (1996); Shi et al., Neuron 16 (4): 843-852 (1996)). 또 다른 예에서, KQT 패밀리 베타 서브유니트, minK는 일차적으로 활성화 동역학을 변경시킨다(Sanguinetti et al., Nature 384: 80-83 (1996)).
Slo 또는 BK 칼륨 채널은 중추 신경계와 말초신경계 모두에 광범위한 조직에서 발견된 큰 컨덕턴스 칼륨 채널이다. 이들은 신경세포 통합, 근육수축 및 호르몬 분비와 같은 과정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들은 림프구 분화 및 세포 증식, 정모세포 분화 및 정자 운동성과 같은 과정에 또한 포함될 수 있다. Slo 패밀리의 3 알파 서브유니트, 즉 Slol, Slo2 및 Slo3가 클론되었다(Butler et al., Science 261: 221-224 (1993); Schreiber et al., J. Biol. Chem. , 273: 3509-16 (1998); and Joiner et al., Nature Neurosci. 1: 462-469 (1998)). 이들 Slo 패밀리 멤버는 전압이 형성되고 및/또 칼슘 게이트되고, 및/또는 내부 세포 pH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칼륨 채널의 Kv 패밀리의 특정 멤버가 최근 재 명명되었다(Biervert, et al., Science 279: 403-406 (1998)참조). KvLQT1은 KCNQ1으로 재 명명되고, KvLQT1-관련 채널(KvLR1 및 KvLR2)는 각각 KCNQ2 및 KCNQ3으로 재 명명되었다. 최근, KCNQ 서브패밀리의 추가 멤버가 확인되었다. 예를 들면, KCNQ4는 지각 외부 모발 세포에 발현된 채널로서 확인되었다(Kubisch, et al., Cell 96 (3): 437-446 (1999)). KCNQ5 (Kananura et al., Neuroreport 11(9): 2063 (2000)), KCNQ2/3 (Main et al. Mol. Pharmacol. 58: 253-62 (2000), KCNQ3/5 (Wickenden et al. Br. J. Phanna 132: 381 (2001)) 및 KCNQ6 가 또한 최근에 기재되었다.
양성의 가족 신생아 경련("BFNC"), 일종의 특발성 일반화 간질과 연관된 신경계-특이성 칼륨 채널이되는 것으로 밝혀졌다(Leppert, et al., Nature 337: 647-648 (1989) 참조). 이들 채널은 M-전류 채널과 연결되어 있다(Wang, et al., Science 282: 1890-1893 (1998) 참조). 이들 채널과 전류의 발견 및 특징은 이들 전압-의존성(Kv) 칼륨 채널이 서로 다른 환경에서 어떻게 작용하며 그들이 여러 활성화 메카니즘에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아는데 유용한 단서를 제공한다. 이러한 정보는 KCNQ2 및 KCNQ3 칼륨 채널 또는 M-전류의 조절자(modulatro)를 확인하게 되고 치료제로서 이러한 조절자의 용도를 확인하게 된다.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칼륨 채널 오프너는 레티가빈(N-(2-아미노-4-(4-플루오로벤질아미노)-페닐)카르밤산 에틸 에스테르)이다. 레티가빈은 유럽특허 제 554,543호에 제일 먼저 기재되었다. 레티가빈과 관련된 화합물 또한 칼륨 채널 조절자의 용도로 제안되었다(미국 특허출원 10/022,579참조).
레티가빈은 서브유니트 KCNQ2 및 KCNQ3로 이루어진 칼륨 채널에 대해 선택성이 매우 높다. 또한, 레티가빈은 서브유니트 KCNQ2만을 함유하는 동종 멀티채널을 활성화한다. 최저한의 전압-의존성 전류만이 세포에서 측정될 수 있는 데, 이는 KCNQ3 서브유니트로부터 동종 채널만을 발현한다(미국특허 6,472,165 참조).
미국특허 출원 제 10/075,521호에서는 KCNQ 칼륨 채널 조절자로서 2,4-이치환 피리미딘-5-카르복사미드 유도체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미국특허 출원 제10/160,582호에서는 KCNQ 칼륨 채널 조절자로서 신나미드 유도체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 5,565,483호 및 미국특허 출원 10/312,123, 10/075,703 및 10/075,522호에서는 KCNQ 칼륨 채널 조절자로서 3-치환 옥신돌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 5,384,330호에서는 KCNQ 칼륨 채널 조절자로서 1,2,4-트리아미노-벤젠 유도체를 기재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 6,593,349호에서는 KCNQ 칼륨 채널 조절자로서 비스아릴아민 유도체에 대해서 기재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 6,593,349 호에 기재된 화합물의 2 아릴기는 피리딘 유도체와 5-원 헤테로사이클이다.
공지된 KCNQ 칼륨 채널 조절자의 심각한 단점은 이들이 요구되는 복잡한 다단계 합성을 하기가 일반적으로 어렵고, 그리고 어떤 경우에 이들 조절자가 비특이성이거나 심지어 독성이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필요가 널리 인식되어 있으며, 쉽게 구입할 수 있고 합성하기 쉬운 새롭고 효과적인 칼륨 채널 조절자를 갖는 것이 매우 유리하다.
본 발명은 이하 첨부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되지만, 어디까지나 예에 불과하다. 도면을 상세히 참고함에 따라, 나타낸 특정 사항은 실시예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증적으로만 나타내고, 본 발명의 원리와 개념을 가장 유용하고 쉽게 이해될 수 있는 기재를 제공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기본적으로 이해하는 데 필요한 이상으로 상세히 본 발명을 설명하지 않았으며, 당업자에게 분명하게 하는 도면으로 나타낸 결과는 본 발명이 어떻게 실제 실시되는가를 나타냈다.
도면에서,
도1A-1D는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과 1-EBIO(화합물 10)에 의해 유도된 활성화 곡선의 좌향 전환을 나타낸 결과이고,
도2A-2C는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과 1-EBIO(화합물 10)에 의해 유도된 KCNQ2/3 전류의 증가 결과를 나타내고,
도3A-3E는 KCNQ2/3 채널의 탈활성화 공정에 미치는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과 1-EBIO(화합물 10)의 효과를 나타내고,
도4A-4B는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에 의한 뉴우런 작용의 억제를 나타내고,
도5는 어른 쥐의 전기 충격-유발 졸도로부터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의 신경 보호 효과를 입증하는 결과를 나타내고,
도6A-6C는 디클로페낙(화합물 2)에 의한 KCNQ2/3 전류의 증가를 나타내고,
도7A-7C는 KCNQ2/3 전류에 미치는 화합물 6의 효과를 나타내고,
도8A-8B는 화합물 6에 의해 유발된 뉴우런 작용의 억제를 나타내고,
도9A-9C는 자발적 뉴우런 작용에 미치는 화합물 6의 서로 다른 농도의 억제 효과를 나타내고,
도10A-10C는 뉴우런 작용 및 KCNQ2/3 전류에 미치는 화합물 5의 효과를 나타내고,
도11A-11B는 화합물 3에 의해 유발된 KCNQ2/3 전류의 증가를 나타내고,
도12A-12C는 뉴우런 작용 및 KCNQ2/3 전류에 미치는 화합물 4의 효과를 나타내고,
도13은 자발적 뉴우런 작용에 미치는 화합물 9의 효과를 나타내고,
도14A-14D는 KCNQ2/3 채널과 뉴우런 작용에 미치는 화합물 7의 효과를 나타내고,
도15A-15B는 유발되고 자발적인 뉴우런 작용에 미치는 화합물 8의 효과를 나타내고,
도16A-16D는 CHO 세포에 발현된 KCNQ2 및 KCNQ3 동종 채널에 대한 메클로펜남산(화합물1)의 선택도를 나타내고, 그리고
도17은 화합물1-10의 화학 구조식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효과적인 칼륨 채널 조절자, 특히 KCNQ2채널, KCNQ3 채널 및 KCNQ2/3 채널과 같은 전압-의존성 칼륨 채널인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질 뉴우런 작용을 억제하는 데 일반적으로 효과적인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N-페닐안트라닐산 또는 2-벤즈이미다졸론의 유도체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일부는 공지되어 있고 쉽게 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일부는 신규하지만 쉽게 구입할 수 있는 출발물질로부터 수개(통상 1 또는 2)의 고수율 단계로 합성된다.
본 발명의 요지는, 전압-의존성 칼륨 채널을 조절(바람직하게는 개방)하는 방법, N-페닐안트라닐산, N-페닐안트라닐산 유도체, 2-벤즈이미다졸론 및 2-벤즈이미다졸론 유도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의 치료 유효량을 필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화합물은 후술하는 일반식(I) 또는 (II)를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조절된 전압-의존성 칼륨 채널은 KCNQ2 채널, KCNQ3 채널 및/또는 KCNQ2/3 채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요지는, 피부질 뉴우런 작용을 억제하는 방법, N-페닐안트라닐산, N-페닐안아트라닐산 유도체, 2-벤즈이미다졸론 및 2-벤즈이미다졸론 유도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의 치료 유효량을 필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이 화합물은 후술하는 일반식(I) 또는 (II)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요지는, 전압-의존성 칼륨 채널을 조절하고 및/또는 피부질 뉴우런 작용을 억제하는 것이 유리한, 이를테면 중추 신경계 또는 말초 신경계에서 병이나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인데, 상기 의약 조성물은 활성 성분으로서 N-페닐안트라닐산, N-페닐안트라닐산 유도체, 2-벤즈이미다졸론 및 2-벤즈이미다졸론 유도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화합물은 후술하는 일반식(I) 또는 (II)를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조절된 전압-의존성 칼륨 채널은 KCNQ2 채널, KCNQ3 채널 및/또는 KCNQ2/3 채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I) 및 (II)는 다음과 같고 그 염을 포함한다:
(I) (II)
상기 식에서,
Z는 A-G(=K)-X-Y 기이고,
A는 알킬 또는 부재하며,
G는 탄소, 황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K는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부재하며,
Y는 수소, 알킬, 히드록시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잔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Q 및 W 각각은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 산소, 황 및 탄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D는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은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및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및 R1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히드록시알킬, 트리할로알킬, 시클로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지환족, 할로, 히드록시, 알콕시, 아릴옥시, 티오히드록시, 티오알콕시, 티오아릴옥시, 술피닐, 술포닐, 시아노, 니트로, 아미노 및 -NR15R1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한편 R2, R3, R4, R5 및 R6 중 적어도 2개, R7, R8, R9 및 R10 중 적어도 2개 및/또는 R11, R12, R13 및 R14 중 적어도 2개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방향족, 지환족 또는 헤테로지환족 고리를 형성하고,
R15 및 R16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카르보닐 및 술포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15 및 R16은 5-원 또는 6-원 헤테로지환족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인 및/또는 질소가 치환된 경우에, 치환기는 알킬, 시클로알킬 및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일반식(I)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일반식(I)을 가질 때, Y는 히드록시알킬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잔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잔기는 하기 일반식(III)을 갖는다:
[O-(CH2)m]n-OR17 (III)
상기 식에서, m과 n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1∼10의 정수이고, R17은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아릴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R2, R3, R4,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및 트리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 R8, R9 및 R10 각각은 수소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일반식(II)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일반식(II)를 가질 때, 바람직하게는 Q 및 W가 각각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이고, 그리고 D가 산소인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Q가 치환된 질소인 것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 2, 3, 4, 5, 6, 7, 8, 9 및 1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그 염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전압-의존성 칼륨 채널을 조절하는 것 및/또는 피부질 뉴우런 작용을 억제하는 것은 간질, 국소빈혈 발작, 편두통, 운동실조증, 근육경련, 신경통, 알쯔하이머병, 파킨슨씨병, 노환 기억 상실증, 학습 결핍증, 양극성장애병, 삼차신경통, 경련마비, 기분장애병, 정신질환, 뇌종양, 청각 및 시각 상실증, 불안증 및 운동신경세포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병이나 질환의 치료를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은 비강내, 피하, 정맥, 근육내, 비경구, 경구, 국소, 피내, 기관지, 구강, 구강, 설하, 항문 및 점막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더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의 일부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항균제, 산화방지제, 완충제, 장확장성 약물(bulking agent), 항염증제, 항바이러스제, 화학치료제 및 항히스타민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약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의약 조성물은 전압-의존성 칼륨 채널의 변형된 작용과 관련된 병이나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해 포장재에 포장되고, 포장재에 인쇄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병이나 질환은 간질, 국소빈혈 발작, 편두통, 운동실조증, 근육경련, 신경통, 알쯔하이머 질환, 파킨슨씨 질환, 노환 기억 상실증, 학습 결핍증, 양극성장애병, 삼차신경통, 경련마비, 기분장애병, 정신질환, 뇌종양, 청각 및 시각 상실증, 불안증 및 운동 신경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요지는, 하기 일반식(IV)의 신규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제공한다:
(IV)
상기 식에서,
Z는 A-G(=K)-X-Y 기이고,
A는 알킬 또는 부재하며,
G는 탄소, 황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K는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부재하며,
Y는 히드록시알킬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잔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은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및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 R3, R4, R5, R6, R7, R8, R9 및 R10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히드록시알킬, 트리할로알킬, 시클로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지환족, 할로, 히드록시, 알콕시, 아릴옥시, 티오히드록시, 티오알콕시, 티오아릴옥시, 술피닐, 술포닐, 시아노, 니트로, 아미노 및 -NR15R1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한편 R2, R3, R4, R5 및 R6 중 적어도 2개 및/또는 R7, R8, R9 및 R10 중 적어도 2개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방향족, 지환족 또는 헤테로지환족 고리를 형성하고,
R15 및 R1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카르보닐 및 술포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15 및 R16은 5-원 또는 6-원 헤테로지환족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인 및/또는 질소가 치환된 경우에, 치환기는 알킬, 시클로알킬 및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신균 화합물의 폴리알킬렌 글리콜 잔기는 다음 일반식(V)을 갖는다:
[O-(CH2)m]n-OR17 (V)
상기 식에서, m과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10의 정수이고, R17은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아릴이다.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에 대한 또 다른 특징에 따라서, G는 탄소이고, K는 산소이고, R2, R3, R4, R5 및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및 트리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 R8, R9 및 R10 각각은 수소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3, 4, 5, 6, 7, 8 및 9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요지는 활성 성분으로서 일반식(IV)를 갖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화합물 3, 4, 5, 6, 7, 8 및/또는 9 중 어느 하나를 갖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요지는 일반식(IV)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N-페닐안트라닐산 또는 그 유도체를 얻는 것과, N-페닐안트라닐산 또는 그 유도체를 반응성 기를 말단에 갖는 히드록시알킬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과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데, 상기 반응성 기는 N-페닐안트라닐산 또는 그 유도체와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에스테르 결합은 카르복시 에스테르 결합, 카르복시 아미드 결합, 카르복시 티오에스테르 결합, S-카르복시 티오에스테르 결합 및 S-카르복시 아미드 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여기서 반응성 기는 히드록시, 아민 및 티오히드록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N-페닐안트라닐산 또는 그 유도체는 다음 일반식(VI)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VI)
상기 식에서, A, G, K, R1, R2, R3, R4, R5, R6, R7, R8, R9 및 R10은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G는 탄소이고, K는 산소이고, R2, R3, R4,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및 트리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 R8, R9 및 R10은 각각 수소이다.
반응성 기를 말단에 갖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하기 일반식(VII)을 갖는다:
V-[O-(CH2)m]n-OR17 (VII)
상기 식에서,
V는 히드록시, 아민 또는 티오히드록시이고,
m 및 n 각각은 독립적으로 1∼10의 정수이고,
R17은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아릴이다.
본 발명은 칼륨 채널을 조절하고 및/또는 피질 작용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고, 일반적으로 구입가능하며, 및/또는 비교적 쉽게 합성되는 화합물을 제공함으로써 공지된 구성의 단점을 성공적으로 해결한다.
별도로 정의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과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하다. 여기에 기재된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한 방법 및 물질이 본 발명의 시험이나 실제 이용에 사용될 수 있으며, 적당한 방법과 물질은 하기에 설명된다. 분쟁을 대비해서, 특허 정의를 포함하는 특허 명세서는 대조용이다. 그 외에, 물질, 방법 및 실시예는 예증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양호한 실시예의 기술
본 발명은 전압-의존성 칼륨 채널, 특히 KCNQ2 채널, KCNQ3 채널 및 KCNQ2/3 채널을 통해 칼륨 이온 플럭스의 조절에 일반적으로 유용하고 및/또는 피질 뉴우런 작용을 억제하는 데 유용한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원리와 용도는 실시예 및 하기 설명을 참고로 하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기타 실시예도 가능하며 여러가지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문구와 용어는 기재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며,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요지는, 전압-의존성 칼륨 채널을 조절(바람직하게는 개방)하는 방법, N-페닐안트라닐산, N-페닐안트라닐산 유도체, 2-벤즈이미다졸론 및 2-벤즈이미다졸론 유도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의 치료 유효량을 필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유도체"란 용어는 적어도 한 면에서 본래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분자 또는 그 일부를 화학적으로 전환, 개량 또는 변경한 것을 나타낸다.
화합물은 일반식(I) 또는 (II)를 갖는다. 조절된 전압-의존성 칼륨 채널은 바람직하게는 KCNQ2 채널, KCNQ3 채널 및/또는 KCNQ2/3 채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요지는, 피부질 뉴우런 작용을 억제하는 방법, N-페닐안트라닐산, N-페닐안트라닐산 유도체, 2-벤즈이미다졸론, 2-벤즈이미다졸론 유도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의 치료 유효량을 필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이 화합물은 일반식(I) 또는 (II)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요지는, 전압-의존성 칼륨 채널을 조절하고 및/또는 피부질 뉴우런 작용을 억제하는 것이 유리한, 병이나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인데, 상기 의약 조성물은 활성 성분으로서 N-페닐안트라닐산, N-페닐안트라닐산 유도체, 2-벤즈이미다졸론, 2-벤즈이미다졸론 유도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화합물은 일반식(I) 또는 (II)를 갖는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조절된 전압-의존성 칼륨 채널은 KCNQ2 채널, KCNQ3 채널 및/또는 KCNQ2/3 채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I) 및 (II)는 다음과 같고 그 염을 포함한다:
(I) (II)
상기 식에서,
Z는 A-G(=K)-X-Y 기이고,
A는 알킬 또는 부재하며,
G는 탄소, 황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K는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부재하며,
Y는 수소, 알킬, 히드록시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잔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Q 및 W 각각은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 산소, 황 및 탄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D는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은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및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및 R14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히드록시알킬, 트리할로알킬, 시클로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지환족, 할로, 히드록시, 알콕시, 아릴옥시, 티오히드록시, 티오알콕시, 티오아릴옥시, 술피닐, 술포닐, 시아노, 니트로, 아미노 및 -NR15R1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한편 R2, R3, R4, R5 및 R6 중 적어도 2개, R7, R8, R9 및 R10 중 적어도 2개 및/또는 R11, R12, R13 및 R14 중 적어도 2개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방향족, 지환족 또는 헤테로지환족 고리를 형성하고,
R15 및 R1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카르보닐 및 술포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15 및 R16은 5-원 또는 6-원 헤테로지환족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인 및/또는 질소가 치환된 경우에, 치환기는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아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일반식(I)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일반식(I)을 가질 때, Y는 히드록시알킬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잔기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잔기는 하기 일반식(III)을 갖는다:
[O-(CH2)m]n-OR17 (III)
상기 식에서, m과 n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1∼10의 정수이고, R17은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아릴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R2, R3, R4,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및 트리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 R8, R9 및 R10 각각은 수소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일반식(II)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일반식(II)를 가질 때, 바람직하게는 Q 및 W가 각각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이고, 그리고 D가 산소인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Q가 치환된 질소인 것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 1, 2, 3, 4, 5, 6, 7, 8, 9 및 1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그 염도 포함한다:
용어 "방법"이란 화학, 약학, 생물학, 생화학 및 의약 기술의 실시자에 의해 공지된 방법, 수단, 기술 및 과정으로부터 쉽게 개발되거나 알려진 방법, 수단, 기술 및 과정을 포함한 주어진 과업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 수단, 기술 및 과정을 의미하는 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치료" 또는 "예방"이란 본 발명의 화합물이 병리학, 병 또는 질환, 그 징후 또는 그 영향과 관련하여 치료제, 예방약 또는 개선제로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결함성 칼륨 채널 기능에 의한 수많은 병리현상, 병 및 질환이 있다. 기타 칼륨 채널 조절 화합물처럼,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에서 병이나 병리학의 영향을 치료, 경감, 예방, 억제 또는 제한하도록 결함성 칼륨 조절과 관련된 병리학, 병 및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체제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중추 신경계 또는 말초 신경계 질환(국소빈혈 발작, 편두통, 운동실조증, 파킨슨씨병, 양극성장애병, 삼차신경통, 경련마비, 기분장애병, 뇌종양, 정신질환, 근육경련, 신경통, 청각 및 시각 상실증, 알쯔하이머병, 파킨슨씨병, 노환 기억상실증, 학습 결핍증, 공포 및 운동 신경 질환)의 치료와 신경보호제(예, 발작 등의 방지)로서 유용한 화합물,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경련 상태, 예를 들면, 다음 간질 대발작, 간질 경발작, 정신운동성 간질 또는 초점간질의 치료제로서의 용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위식도 역류병 및 위장 운동저하 질환과 같은 질병 상태를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치료에 유용한 기타 병리학 및 병은 이를테면 미국특허 6,348,486; 6,117,900; 6,589,986 및 6,593,349 그리고 미국특허 출원 10/022,579; 10/075,703; 10/075,522; 10/114,148; 10/160,582 및 10/312,123호에 열거되어 있으며, 이들 문헌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하고 있다.
전압 의존성 칼륨 채널이 모든 동물류에서 발견됨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은 원숭이, 개, 고양이, 쥐, 토끼, 가축, 생선 및 가장 중요하게는 인간의 환자에 투여될 때 약학적으로 효과가 있다.
"개방" 및 "활성화"란 KCNQ 채널이 발견되는 세포를 출입하는 이온 플럭스의 증가를 가져오는 화합물에 의한 KCNQ 채널의 부분 또는 완전 활성화를 의미하며,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약제로서 화합물을 배합 및 투여하는 기술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하고 이하 설명하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최신판"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수많은 형태의 투약 형태를 가능하게 하도록 혈뇌장벽을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여러가지 바람직한 경로, 이를테면 국소, 동맥내, 근육내, 피하 및 골수내 주사 뿐만아니라 수막공간내, 직접 심실내, 정맥, 복강내, 비강 또는 눈 주사를 포함한 피하주사, 국소, 경구, 복강내, 피내, 정맥, 비강내, 기관지, 구강, 설하, 항문, 좌제, 근육, 직장, 점막관통, 장 또는 비경구 방출에 의해 치료(치료약, 예방약, 개선제)가 필요한 개인에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를테면 하기 설명하는 바와 같이 데포(depo) 상태로 또는 서방성 제제로 장기에 직접 조성물을 주사함으로써 전신계보다는 국부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치료(또는 약학적) 유효량"이란 병 또는 병의 징후를 예방, 경감 또는 개선하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 필요한 활성 성분의 양을 의미한다. 치료 유효량의 결정은 특히 본 명세서의 기재에 비추어 당업자의 결정 내에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이란 일반식(I) 또는 (II)의 화합물 또는 그 조합물, 및 일반식(I) 또는 (II)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 조합물과 일수화물, 이수화물, 삼수화물, 반수화물, 사수화물 등과 같은 수화물 형태를 포함한 용해된 형태를 의미한다. 이 화합물은 진정한 용매화합물일 수 있거나 단순히 우발적 용매일수 있거나, 또는 용매화합물과 우발적 용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에서 발견된 특수 치환기에 따라 달라지는, 비교적 비독성 산 또는 염기로 제조되는 활성 화합물의 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비교적 산성인 작용을 가질 때, 염기 부가염은 순수한 형태 또는 적당한 불활성 용매 중에서 소망의 염기의 충분량과 상기 화합물의 중성(즉, 비이온화) 형태를 접촉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 부가 염의 예로는 나트륨, 칼륨, 칼슘, 암모늄, 유기 아미노, 또는 마그네슘 염, 또는 유사한 염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비교적 염기성 기능을 함유할 때, 산부가염은 순수한 형태 또는 적당한 불활성 용매 중에서 소망의 염기의 충분량과 상기 중성(즉 비이온화) 형태의 화합물을 접촉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 염의 예로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질산, 탄산, 일수소탄산, 인산, 이수소인산, 황산, 일수소황산, 요오드화수소산, 아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으로부터 유도된 염뿐만아니라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이소부티르산, 말레산, 말론산, 벤조산, 숙신산, 수베르산, 푸마르산, 락트산, 만델산, 프탈산, 벤젠술폰산, p-톨일술폰산, 구연산, 타르타르산, 메탄술폰산 등과 같은 비교적 비독성의 유기산으로부터 유도된 염이 있다. 또한 알길산염과 같은 아미노산의염, 글루쿠론산 또는 갈락투노르산 등과 같은 유기산의 염도 포함된다(Berge et al., "Pharmaceutical Salts",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 1977,66, 1-19 참조).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은 염기나 산 부가염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염기성 및 산성 기능을 모두 갖는다.
화합물의 중성 형태는 염을 염기나 산과 접촉시키고 모 화합물을 공지된 방법으로 분리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재 생성된다. 화합물의 모 형태는 극성 용매에서의 용해도와 같이 특정 물리적 성질에서 여러 염 형태와 다르지만, 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화합물의 모 형태와 동일하다.
염 형태 이외에, 본 발명은 프로드러그 형태인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의 프로드러그는 생체 내의 생리학적 조건 하에서 화학적 변화를 쉽게 일으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공하는 화합물이다. 또한, 프로드러그는 화학적 또는 생화학적 방법으로 생체밖 환경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드러그는 적당한 효소나 화학 약품으로 경피 패취 저장물에 놓이게 될 때 본 발명의 화합물로 서서히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은 수화 형태를 포함한 용매화 형태뿐만아니라 비용매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용매화된 형태는 비용매화 형태와 동일하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이 특정 화합물은 다결정 또는 무정형으로 존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모든 물리적 형태는 본 발명에 의해 고안된 용도와 동일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은 비대칭 탄소 원자(광학 중심) 또는 이중 결합을 가지며; 라세미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및 개별 이성질체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이러한 화합물을 구성하는 1 이상의 원자에서 동위원소의 부자연스러운 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화합물은 트리튬(3H), 요오드-125(125I) 또는 탄소-14(14C)와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로 방사성 라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모든 동위원소 변이는 방사성과 무관하게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이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알킬"이란 용어는 직쇄 및 측쇄 기를 포함한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알킬기는 1∼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숫자 범위를 "1∼20"이라고 할 때, 알킬기가 20 이하의 1, 2, 3 등의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중간 크기의 알킬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1∼4개를 갖는 저급 알킬기이다. 알킬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다. 치환될 때, 치환기의 예로는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지환족, 히드록시, 알콕시, 아릴옥시, 티오히드록시, 티오알콕시, 티오아릴옥시, 시아노, 할로, 카르보닐, 티오카르보닐, O-카르바밀, N-카르바밀, O-티오카르바밀, N-티오카르바밀, C-아미도, N-아미도, C-카르복시, O-카르복시, 니트로, 술폰아미도, 트리할로메탄술폰아미도, 실릴, 구아닐, 구아니디노, 우레이도, 아미노 또는 NRaRb가 있으며, 여기서 Ra 및 Rb는 서록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카르보닐, 술포닐, 트리할로메틸술포닐 및 이들의 조합된 5- 또는 6-원 헤테로시클릭 고리이다.
"시클로알킬기"란 1 이상의 고리가 완전 공액된 파이 전자 시스템을 갖지않는 모든 탄소 단일시클릭 또는 융합된 고리(즉 탄소 원자의 인접 쌍을 공유하는 고리)를 의미한다. 시클로알킬기의 예로는 시클로프로판, 시클로부탄, 시클로펜탄,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산, 시클로헥사디엔, 시클로헵탄, 시클로헵타트리엔 및 아다만탄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클로알킬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다. 치환될 때, 치환기의 예로는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지환족, 히드록시, 알콕시, 아릴옥시, 티오히드록시, 티오알콕시, 티오아릴옥시, 시아노, 할로, 카르보닐, 티오카르보닐, C-카르복시, O-카르복시, O-카르바밀, N-카르바밀, C-아미도, N-아미도, 니트로, 아미노 및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NRaRb가 있다.
"알케닐기"란 2 이상의 탄소 원자와 1 이상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으로 이루어진 알킬기를 의미한다.
"아릴기"란 완전 공액된 파이-전자 시스템을 갖는 모든 탄소 모노시클릭 또는 혼합된 고리 폴리시클릭기(즉, 탄소 원자의 인접 쌍을 공유하는 고리)를 의미한다. 아릴기의 예로는 페닐, 나프탈레닐 및 안트라세닐이 있으나 이들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아릴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다. 치환될 때, 치환기의 예로는 할로, 트리할로메틸, 알킬, 히드록시, 알콕시, 아릴옥시, 티오히드록시, 티오카르보닐, C-카르복시, O-카르복시, O-카르바밀, N-카르바밀, O-티오카르바밀, N-티오카르바밀, C-아미도, N-아미도, 술피닐, 술포닐, 아미노 및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NRaRb가 있다.
"헤테로아릴기"란 이를테면 질소, 산소 및 황과 같은 1 이상의 원자를 고리에 갖고, 또한 완전 공액된 파이 전자 시스템을 갖는 모노시클릭 또는 혼합된 고리(즉, 탄소 원자의 인접 쌍을 공유하는 고리)를 의미한다. 헤테로아릴기의 예로는 피롤, 푸란, 티오펜, 이미다졸, 옥사졸, 티아졸, 피라졸, 피리딘, 피리미딘, 퀴놀린, 이소퀴놀린 및 푸린이 있다. 헤테로아릴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다. 치환될 때, 치환기의 예로는 알킬, 시클로알킬, 할로, 트리할로메틸, 히드록시, 알콕시, 아릴옥시, 티오히드록시, 티오카르보닐, 술폰아미도, C-카르복시, O-카르복시, 술피닐, 술포닐, O-카르바밀, N-카르바밀, O-티오카르바밀, N-티오카르바밀, C-아미도, N-아미도, 아미노 또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NRaRb가 있다.
"헤테로지환족기"란 이를테면 질소, 산소 및 황과 같은 1 이상의 원자를 고리에 갖는 모노시클릭 또는 혼합된 고리를 의미한다. 이 고리는 1 이상의 이중 결합을 가질 수 있다. 헤테로지환족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다. 치환될 때, 치환기의 예로는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할로, 트리할로메틸, 히드록시, 알콕시, 아릴옥시, 티오히드록시, 티오알콕시, 티오아릴옥시, 시아노, 니트로, 카르보닐, 티오카르보닐, C-카르복시, O-카르복시, O-카르바밀, N-카르바밀, O-티오카르바밀, N-티오카르바밀, 술피닐, 술포닐, C-아미도, N-아미도, 아미노 또는 상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NRaRb가 있다.
"히드록시기"란 -OH기를 의미한다.
"아지도기"란 -N=N기를 의미한다.
"알콕시기"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이 -O-알킬과 -O-시클로알킬기 모두를 의미한다.
"아릴옥시기"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이 -O-아릴기와 -O-헤테로아릴기 모두를 의미한다.
"티오히드록시기"란 -SH기를 의미한다.
"티오알콕시기"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이 -S-알킬기와 -S-시클로알킬기를 의미한다.
"티오아릴옥시기"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이 -S-아릴기와 -S-헤테로아릴기 모두를 의미한다.
"카르보닐기"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이 R"이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고리 탄소를 통해 결합) 또는 헤테로지환족(고리 탄소를 통해 결합)인 -C(=O)-R"기를 의미한다.
"알데히드기"란 R"가 수소인 카르보닐기를 의미한다.
"티오카르보닐기"란 R"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C(=S)-R"기를 의미한다.
"C-카르복시기"란 R"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C(=O)-O-R"기를 의미한다.
"O-카르복시기"란 R"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R"C(=O)-O-기를 의미한다.
"카르복시산기"란 R"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C-카르복시기를 의미한다.
"할로기"란 불소, 염소, 브롬 또는 요오드이다.
"트리할로메틸기"란 X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CX기를 의미한다.
"트리할로메탄술포닐기"란 X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바와 같은 X3CS(=O) 2-기를 의미한다.
"술피닐기"란 R"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S(=O)-R"기를 의미한다.
"술포닐기"란 R"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S(=O)2-R"기를 의미한다.
"S-술폰아미도기"란 Ra 및 Rb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S(=O)2-NRaRb기를 의미한다.
"N-술폰아미도기"란 Ra 및 Rb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RaS(=O)2-NRb를 의미한다.
"트리할로메탄술폰아미도기"란 Ra 및 X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X3CS(=O)2NRa-기를 의미한다.
"O-카르바밀기"란 Ra 및 Rb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OC(=O)-NRaRb를 의미한다.
"N-카르바밀기란" Ra 및 Rb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RbOC(=O)-NRa-기를 의미한다.
"O-티오카르바밀기"란 Ra 및 Rb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OC(=S)-NRaRb기를 의미한다.
"N-티오카르바밀기"란 Ra 및 Rb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RbOC(=S)NRa-기를 의미한다.
"아미노기"란 -NH2 기를 의미한다.
"C-아미도기"란 Ra 및 Rb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C(=O)-NRaRb기를 의미한다.
"N-아미도기"란 Ra 및 Rb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RbC(=O)-NRa기를 의미한다.
"4급 암모늄기"란 Ra 및 Rb가 독립적으로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또는 헤테로아릴인 -NHRaRb기를 의미한다.
"우레이도기"란 Ra 및 Rb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고, Rc가 Ra 또는 Rb에 대해서 정의 된 바와 같은 -NRaC(=O)-NRbRc기를 의미한다.
"구아니디노기"란 Ra, Rb 및 Rc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RaNC(=N)-NRbRc기를 의미한다.
"구아닐기"란 Ra 및 Rb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RaRbNC(=N)-기를 의미한다.
"니트로기"란 -NO2기를 의미한다.
"시아노기"란 -C≡N기를 의미한다.
"실릴기"란 R"가 본 명세서에서 정의되는 -Si(R")3기를 의미한다.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일반식(I)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Y는 히드록시알킬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잔기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알킬렌 글리콜 잔기는 하기 일반식(III)을 갖는다:
[O-(CH2)m]n-OR17 (III)
상기 식에서, m과 n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1∼10의 정수이고, R17은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아릴이다. 바람직하게는, G는 탄소이고, K는 산소이고, R2, R3, R4, R5 및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및 트리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 R8, R9 및 R10 각각은 수소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일반식(II)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일반식(II)를 가질 때, 바람직하게는 Q 및 W가 각각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이고, 그리고 D가 산소인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Q가 치환된 질소인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1, 2, 3, 4, 5, 6, 7, 8, 9 및 10 및 그 염을 포함한다:
1 2
메클로펜남산 디클로페낙
본 발명의 또 다른 요지는 본 명세서에서 유용한 신규 화합물을 제공한다. 이들 신규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공유결합된 히드록시알킬과 폴리알킬렌 글리콜 잔기를 갖는 N-페닐안트라닐산의 유도체이다. 히드록시알킬과 폴리알킬렌 글리콜 잔기는 일반적으로 혈뇌장벽을 통과하는 능력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신규 화합물은 다음 일반식(IV)을 가지며, 그 염도 포함한다:
(IV)
상기 식에서,
Z는 A-G(=K)-X-Y 기이고,
A는 알킬 또는 부재하며,
G는 탄소, 황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K는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부재하며,
Y는 히드록시알킬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잔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은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및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 R3, R4, R5, R6, R7, R8, R9 및 R10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히드록시알킬, 트리할로알킬, 시클로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지환족, 할로, 히드록시, 알콕시, 아릴옥시, 티오히드록시, 티오알콕시, 티오아릴옥시, 술피닐, 술포닐, 시아노, 니트로, 아미노 및 -NR15R1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한편 R2, R3, R4, R5 및 R6 중 적어도 2개 및/또는 R7, R8, R9 및 R10 중 적어도 2개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방향족, 지환족 또는 헤테로지환족 고리를 형성하고,
R15 및 R1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카르보닐 및 술포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15 및 R16은 5-원 또는 6-원 헤테로지환족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인 및/또는 질소가 치환된 경우에, 치환기는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아릴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의 폴리알킬렌 글리콜의 잔기는 하기 일반식(V)을 갖는다:
[O-(CH2)m]n-OR17 (V)
상기 식에서, m과 n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1∼10의 정수이고, R17은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아릴이다.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에 대한 또 다른 특징에 따라서, G는 탄소이고, K는 산소이고, R2, R3, R4,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및 트리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 R8, R9 및 R10 각각은 수소이다.
양호한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3, 4, 5, 6, 7, 8 및 9,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요지는 활성 성분으로서 일반식(IV)을 갖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화합물 3, 4, 5, 6, 7, 8 및/또는 9 중 어느 하나를 갖는 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요지는 상술한 신규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N-페닐안트라닐산 또는 그 유도체를 반응성 기를 말단에 갖는 히드록시알킬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과 반응시킴으로써 실시된다. 반응성 기는 N-페닐안트라닐산 또는 그 유도체와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한다.
본 명세서에서 "에스테르 결합"이란 J가 탄소, 황 또는 인, 바람직하게는 탄소이고, L이 산소 또는 황이고, 그리고 M이 산소, 황 또는 질소(상기한 바와 같이 치환 또는 비치환됨)인 J(=L)-M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에스테르 결합은 카르복시 에스테르 결합[-C(=O)-O-], 카르복시 아미드 결합[-C(=O)-NR'-], 카르복시 티오에스테르 결합[-C(=O)-S-], 티오카르보닐 에스테르 결합[-C(=S)-O-], 티오카르보닐 티오에스테르 결합[-C (=S)-S-] 및 티오카르보닐 아미드 결합[-C(=S)-NR'-]이다.
따라서, 반응성 기는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방화 같이, 히드록시, 아미노 또는 티오히드록시이고, 반응성기를 말단에 갖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하기 일반식(VII)을 갖는다:
V-[O-(CH2)m]n-OR17 (VII)
상기 식에서, V는 히드록시, 아민 또는 티오히드록시이고, m 및 n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1∼10의 정수이고, R17은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아릴이다.
출발물질, N-페닐안트라닐산 또는 그 유도체는 바람직하게 다음 일반식(VI)을 갖는다:
(VI)
상기 식에서, A, G, K, R1, R2, R3, R4, R5, R6, R7, R8, R9 및 R10은 상기한 바와 같다.
바람직하게는, 일반식(VI)에서, G는 탄소이고, K는 산소이고, R2, R3, R4, R5 및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또는 트리할로알킬이고, R7, R8, R9 및 R10 각각은 수소이다.
에스테르 결합이 아미드 결합인 경우에, 본 발명의 요지에 따른 방법은 히드록시알킬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을 반응시키기 전에 N-페닐안트라닐산 또는 그 유도체를 상응하는 에스테르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실시예에서 입증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은 본 발명의 이러한 요지의 방법에 의해 쉽고도 효과적으로 합성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 디클로페낙(화합물 2) 및 1-EBIO(화합물 10)과 같은 공지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1-EBIO(화합물 10)은 개방속도와 중간체(IK) 및 작은 컨덕턴스(SK)Ca2+-활성 K+ 채널에 관해 실시된 단일 채널 연구에서 채널의 개방 가능성(Po)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Syme et al. Am. J. Physiol. 278: C570-C581 (2000)참조).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메클로펜남산의 유도체, 주로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의 유도체와 디클로페낙(화합물 2)인 신규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신규 화합물의 예는 화합물 3, 4, 5, 6, 7, 8 및 9이다.
이들 화합물은 CHO 세포에서 헤테로적으로 발현된 KCNQ2/3 채널 복합체의 개방자(opener)이다. 이들 화합물은 또한 피질 뉴우런에서 유발 및 자발적 작용 전위 모두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2가지 주요 작용, 초편극화된 전위와 느린 채널 탈활성화에 대한 KCNQ2/3 채널 활성화의 전압 의존성의 변화를 갖는다. 재조합 KCNQ2/3 채널에 미치는 영향과 유사하게, 화합물 4, 5, 6 및 7은 피질 뉴우런에서 M-전류 활성화의 임계치를, -50mV에서 -70 mV로 약 20 mV 네가티브 변환을 야기한다. 활성화의 KCNQ2/3 임계치의 이러한 좌향 변환의 결과로서, 레스팅 멤브레인 전위의 점진적인 초편극화가 존재한다. 특정 이론에 매이지 않고, 하기 실시예에서 나타낸 데이타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개방 상태에서 KCNQ2/3 채널을 안정화시키거나 밀폐된 채널 구조를 탈안정화시킬 것을 제안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화합물의 채널의 노출은 개방 상태에서 KCNQ2/3 채널의 안정화에 기여하는 탈활성화를 나타내게 된다. 특히, 어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본 발명의 화합물은 초편극화 방향에서 전압 센서 S4 운동의 전압 의존성을 변환함으로서 채널 게이팅을 개선할 수 있다.
기능적인 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에 야기된 전압 의존성의 좌향 변환과 느린 탈활성화는 통상의 레스팅 및 서브임계치 전위에서 사실상의 M-전류 활성화를 가져온다. -60/-50 mV(KCNQ2/3 폭의 10배 이상 증가)의 전위에서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의 경우에, 특별히 KCNQ2/3 채널의 큰 활성화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멤브레인 초편극화를 야기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M-전류(KCNQ2/3)가 불활성화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해 이루어지는 현저한 활성화는 서브 임계치 및 임계치 전위에서 큰 일정 상태의 칼륨 컨덕턴스를 일으켜 뉴우런 화이어링(firing)에 대한 브레이크로서 작용한다. 참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유발되고 자발적인 피질 뉴우런 작용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KCNQ2/3 채널을 활성화시키는 전압 범위는 이들 화합물을 예외적으로 국소빈혈 발작의 치료에 유용하게 만든다.
본 발명의 화합물과 레티가빈으로 나타내지는 성질 사이에 유사성이 있다.
먼저, 본 발명의 화합물과 레티가빈 모두는 KCNQ2/3 채널 활성화의 전압 의존성을 왼쪽으로 전환시키고, 탈활성화 동역학을 감속하고 레스팅 멤브레인 전위를 초편극화시킨다(Tatulian et al. J. Neurosci. 21: 5535-5545 (2001)).
둘째, 본 발명의 화합물이 KCQN2/3 채널에 작용하는 것처럼, 레티가빈은 포지티브 전위에서 KCNQ에 대한 제2 억제 작용을 나타낸다(Tatulian et al. J. Neurosci. 21: 5535-5545 (2001) 참조).
레티가빈과 본 발명의 화합물 사이에 흥미로운 차이점은 KCQN2 채널과 KCQN3 서브유니트를 향한 선택도와 관련이 있다. 한편, 레티가빈이 KCQN3 동종 채널에 미치는 가장 강한 개방자 작용을 하고 있는 반면(Tatulian et al. J. Neurosci. 21: 5535-5545 (2001) 참조), 본 발명의 화합물이 KCQN2 동종 채널에 더욱 강하다.
기능적인 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에 야기된 활성화 곡선의 좌향 변환과 느린 탈활성화는 통상의 레스팅 및 서브임계치 전위에서 사실상의 M-전류 활성화를 가져온다. 또한, M-전류(KCNQ2/3)가 불활성화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해 이루어진 활성화는 서브 임계치 및 임계치 전위에서 큰 일정 상태의 칼륨 컨덕턴스를 가져와서, 뉴우런 화이어링을 저지하는 작용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참으로, 화합물 4, 5, 6, 7 및 8은 유발되고 자발적인 피질 뉴우런 작용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작용하는 전압 범위는 간질, 국소빈혈 발작 및 신경통을 치료하는 데 예외적으로 적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더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의 일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라서,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예를 들면 말초 신경계 또는 중추 신경계에서 전압-의존성 칼륨 채널의 변형된 작용과 관련된 병이나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에 사용하기 위해 포장재에 포장되고, 포장재에 인쇄된다. 이와 같이 명시된 병이나 질환은 특수 의약 조성물이 적합한 병이나 질환의 1 이상이다.
본 명세서에서 "의약 조성물"이라 함은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담체, 부형제, 윤활제, 완충제, 항균제, 장확장성 약물(예, 만니톨), 산화방지제(예, 아스코르브산 또는 나트륨 비설파이트), 항염증제, 항바이러스제, 화학치료제, 항히스타민제 등(그러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포함한 기타 화학 성분과 함께 1 이상의 본 발명의 화합물(활성성분),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그 프로드러그의 제제를 의미한다. 의약 조성물의 목적은 환자에게 화합물을 용이하게 투여하기 위함이다. "활성성분"이라 함은 생물학적 효과를 측정할 수 있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함께 사용하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란 생물체에 큰 자극을 일으키지 않고 투여된 화합물의 성질과 생물학적 작용을 소멸하지않는 희석제 또는 담체를 의미한다. "부형제"란 화합물의 투여를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의약 조성물에 첨가된 불활성 물질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탄산칼슘, 인산칼슘, 각종 당 및 전분, 셀룰로오스 유도체, 젤라틴, 야채유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약물로서 화합물의 투여 및 배합 기술은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하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lishing Co., Easton, PA, 최신판"에 나타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공지 방법, 이를테면 종래의 혼합법, 용해, 과립화, 당의정 제법, 분말화, 유화, 캡슐화, 인트래핑 또는 친액화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 위한 의약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제제로 활성 화합물의 가공을 용이하게 하는 부형제 및 보조제를 포함하는 1 이상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사용하여 종래의 방법으로 배합될 수 있다. 적당한 배합은 선택된 투여 경로에 따라 달라진다.
주사를 위해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수용액, 바람직하게는 Hank's 용액, 링거용액 또는 생리학적 염수 완충제와 같은 생리학적으로 양립하는 완충제로 배합될 수 있다. 점막통과 투여를 위해, 침투할 배리어에 적합한 침투제를 배합물에 사용한다. 이러한 침투제는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해서, 화합물은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활성 화합물을 조합함으로서 쉽게 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환자가 경구 섭취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정제, 알약, 가루, 캡슐, 액체, 겔, 시럽, 슬러리, 현탁액 등으로 배합할 수 있게 한다. 경구 사용을 위한 약학적 제제는 고체 부형제를 사용하고, 임의로는 얻어진 혼합물을 분쇄하고, 필요한 경우 적당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을 가공함으로써 정제나 가루 코어를 얻게된다. 특히 적당한 부형제는 락토스, 수크로스,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을 포함한 당과 같은 충전제, 이를테면 옥수수 전분, 밀가루 전분, 쌀 전분, 감자 전분, 젤라틴, 검 트라가칸트, 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카르보메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오스 제제; 및/또는 폴리비닐피롤리돈(PVP)와 같은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중합체이다. 필요한 경우, 가교된 폴리비닐 피롤리돈, 한천, 또는 알길산 또는 그 염(예, 알길산 나트륨)과 같은 분해제가 첨가될 수 있다.
적당한 코팅이 드래기 코어에 제공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농축된 설탕 용액이 사용될 수 있는 데, 이는 임의로 검아르빅, 활석, 폴리비닐 피롤리돈, 카르보폴 겔, 폴리에틸렌 글리콜, 이산화티탄, 래커 용액 및 적합한 유기 용매나 용매 혼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염료 안료도 활성 화합물 투여 형태의 서로 다른 조합을 특징짓기 위해서 또는 확인을 위한 드래기 코팅 또는 정제에 첨가될 수 있다.
경구 사용될 수 있는 의약 조성물은 젤라틴으로 이루어진 푸시-핏(push-fit) 캡슐 뿐만아니라 글리세롤 또는 소르비톨과 같은 젤라틴과 가소제로 이루어진 연질의 밀봉된 캡슐을 포함한다. 푸시-핏 캡슐은 락토오스와 같은 충전제, 전분과 같은 결합제, 활석 또는 스테아르산 마그네슘과 같은 윤활제 및, 임의로는 안정화제와 함께 활성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연질의 캡슐에서, 활성 화합물은 지방 오일, 액체 파라핀, 또는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적당한 액체에 용해 또는 현탁될 수 있다. 또한, 안정화제가 첨가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모든 배합물은 선택된 투여 경로에 적합한 투여 형태로 되어야 한다.
구강 투여를 위해서, 조성물은 종래의 방법으로 배합된 정제나 로젠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흡입 투여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은 적당한 추진제, 예를 들면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또는 이산화티탄을 사용하여 압축된 팩이나 분무기로부터 에어로졸 분부 형태로 편리하게 분배된다. 압축된 에어로졸의 경우에, 측정된 양을 분배하기 위해 밸브를 제공함으로써 투여 단위가 측정될 수 있다. 흡입기 또는 취입기에 사용하기 위한 젤라틴의 캡슐 및 카트리지는 화합물의 분말 혼합물과 락토오스나 전분과 같은 적당한 분말 베이스를 함유하도록 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제제는 이를테면 큰 알약 주입 또는 연속 주입에 의해 비경구 투여를 위해 배합될 수 있다. 주사를 위한 배합물은 이를테면 앰풀 또는 멀티도오스 용기에 임의로는 첨가된 방부제와 함께 단위 투여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조성물은 오일성 또는 수성 매체 내의 현탁액, 용액 또는 에멀젼으로 될 수 있으며, 현탁제, 안정화제 및/또는 분산제와 같은 배합제를 함유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약학 조성물은 수용액 형태로 활성 제제의 수용액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활성 화합물의 현탁액은 오일상의 적합한 주사 현탁액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친지질성 용매나 매체는 참기름과 같은 지방 오일, 또는 에틸 올레에이트, 트리글리세리드 또는 리포솜과 같은 합성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수성 주사 현탁액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소르비톨 또는 덱스트란과 같은 현탁액의 점도를 증진시키는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임의로는, 현탁액은 고농축 용액을 제조하기 위해 화합물의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적당한 안정화제나 약품을 함유할 수 있다.
한편, 활성 성분은 사용하기 전에 적당한 매체, 이를테면 멸균, 무발열수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분말 형태로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는 또한 이를테면 코코아 버터나 기타 글리세리드와 같은 종래의 좌제 기본물을 사용하여 좌약 또는 정체 관장제와 같은 직장 조성물로 배합될 수 있다.
상기한 배합물 이외에, 본 발명의 제제는 또한 데포 제제와 같은 국부 투여용으로 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지속작용 배합물은 이식(예, 피하 또는 근육) 또는 근육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제제는 적당한 중합체 또는 소수성 물질(예, 허용 오일에서의 에멀젼) 또는 이온 교환 수지와 함께 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거의 용해하지 않는 염과 같은 난용성 유도체로서 배합될 수 있다. 국소 투여용 배합물은 또한 로션, 현탁액, 연고 젤, 크림, 드롭, 액체, 분무 유제 및 분말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당한 의약 조성물은 활성 성분이 의도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효과적인 양으로 함유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특히, "치료 유효량"이란 병 및/또는 그 징후 및/또는 그 작용을 방지, 경감 또는 개선하는 데 효과적인 활성 성분의 양을 의미한다.
치료 유효량의 결정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내용에 비추어 당해 분야의 기술자의 영역 내에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된 어떠한 제제에 대해서, 치료 유효량 또는 투여량은 세포 배양 분석으로부터 초기에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용 형태는 세포 배양에서 결정되는 바와 같이 IC50을 포함하는 순환 농도 범위를 달성하기 위해 동물 모델로 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인간에게 유용한 투여량을 정확히 결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한 화합물의 독성 및 치료 효과는 이를테면 IC50 및 LD50(시험 동물의 50%가 죽는 치사량)를 측정함으로서 세포 배양 또는 실험 동물에서 표준 약학 절차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들 세포 배양 분석과 동물 연구로부터 얻어진 데이타는 인간에게 사용하기 위한 투여량 범위를 계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투여량은 이용된 투여 형태와 이용된 투여 경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정확한 배합, 투여 경로 및 투여량은 환자의 병에 따라 의사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Fingl, et al., 1975, in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Ch. 1P. 1).
투여량과 투여 간격은 최소 유효 농도(MEC)라 불리는 키나제 조절 효과를 유지하는 데 충분한 활성 부분의 플라즈마 레벨을 제공하기 위해 개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MEC는 각 제제에 대해 변하지만, 실험관 데이타로부터 예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키나제의 50∼90% 억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농도는 여기서 기재된 분석을 이용하여 확인될 수 있다. MEC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투여량은 개인 특성 및 투여 경로에 따라 달라진다. HPLC 분석 또는 생물학적 분석이 플라즈마 농도를 결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MEC 값을 이용하여 투여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제제는 시간의 10∼90%, 바람직하게는 30∼90%, 가장 바람직하게는 50∼90% 동안 MEC 이상에서 플라즈마 수준을 유지하는 섭생을 이용하여 투여되어야 한다.
국소 투여 또는 선택 섭취의 경우에, 약품의 효과적인 국소 농도는 플라즈마 농도와 관련이 없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당해 분야에서 공지된 다른 과정이 효과적인 국소 농도를 결정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치료할 병의 반응성과 중증에 따라, 투여는 수일로부터 수주일 동안 지속되는 치료경과로 또는 치료가 실시되거나 질환 상태의 감소가 달성될 때까지 서방성 조성물의 단일 투여로 될 수 있다.
투여할 조성물의 양은 물론 치료할 환자, 고통 정도, 투여 방법, 처방 의사의 판단에 따라 달라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필요한 경우 활성 성분을 함유하는 1 이상의 단위 투여 형태를 함유할 수 있는 FDA 승인 키트와 같은 팩이나 분배 장치에 제공될 수 있다. 팩이나 분배 장치에는 투여 지시서가 제공될 수 있다. 팩이나 분배기에는 또한 약품의 제조, 사용 또는 판매를 규제하는 정부 당국이 제시하는 형태로 용기와 결합된 경고문이 제공되고, 이 경고문에는 조성물의 형태 인간 또는 가축 투여 형태를 당국이 승인하는 것을 반영한다. 이러한 경고문은, 예를 들면 승인된 제품의 삽입 또는 처방 의약에 대한 미국 식약청이 승인한 라벨로 될 수 있다. 양립할 수 있는 약학적 담체에 배합된 본 발명의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제조되어 적절한 용기에 넣어지고 지시된 조건의 치료를 위한 라벨을 붙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칼륨 채널을 개방하거나 피질 뉴우런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조절작용을 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활성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전압-의존성 칼륨 채널 또는 피질 뉴우런의 변형된 작용과 관련된 병이나 질환의 치료,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조절된 칼륨 채널은 KCNQ2 채널 및/또는 KCNQ3 채널 및/또는 KCNQ2/3 채널이다. 본 발명의 의약 조성물에 의해 바람직하게 치료 또는 예방되는 전압-의존성 칼륨 채널 중추 신경계 또는 말초 신경계 시스템의 병 또는 질환은 간질, 국소빈혈 발작, 편두통, 운동실조증, 근육경련, 신경통, 알쯔하이머병, 파킨슨씨병, 노환 기억상실증, 학습 결핍증, 양극성장애병, 삼차신경통, 경련마비, 기분장애병, 뇌종양, 정신질환, 청각 및 시각 상실증, 공포 및 운동 신경세포 질환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전압-의존성 칼륨 채널의 변형된 작용과 관련된 말초 신경계 또는 중추 신경계 병이나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해 포장재에 포장되고, 포장재에 인쇄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장점 및 새로운 특징은 당업자라면 다음 실시예에 의해서 더 분명해지는 데,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추가적으로, 하기 실시예 및 청구범위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여러 요지는 다음 실시예에서 실험적으로 지지한다.
다음 실시예는 상기 기재와 함께 참고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을 예증하지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재료 및 실험 방법
화학적 합성: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 디클로페낙(화합물 2) 및 1-에틸벤즈이미다졸론(1- EBIO, 화합물 10)은 시중에서 입수할 수 있으며, Sigma-Aldrich 사(St. Louis, MO, USA)로부터 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1∼10의 화학적 구조는 도17에 나타냈다.
화합물 7의 합성:
디클로페낙(50mg, 0.17밀리몰)을 무수 디클로메탄(DCM) 및 N-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의 촉매량에 용해시킨 다음, 디에틸렌 글리콜(0.8 ml, 0.85 밀리몰)을 첨가하였다. 이 혼합물을 교반과 동시에 0℃까지 냉각하고, DCM에 용해된 디시클로헥실 카르보디이미드(DCC, 52.6 mg, 0.255 밀리몰)의 용액을 적가하였다. 그 결과 얻어진 현탁액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면서 TLC(용리제로서 EtOAc:헥산의 1:1 혼합물 사용)로 모니터하였다. 그 후, 고체를 여과 제거한 다음 DCM으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감압 하에서 농축한 다음, 실리카 겔로 크로마토그라피하여 순수 생성물(43 mg, 66%)을 얻었다.
1H-NMR (200 MHz, CDC13): δ=7.35(2H,d,J=8); 7.19-7.06(2H,m); 6.99(1H,d,J=8); 6.96(1H,d,J=8.); 6.56(1H,d,J=8); 4.35(2H,m); 3.8(2H,s); 3.65-3.75(4H,m); 3.53-3.57(2H, m)ppm.
화합물 8의 합성
디에틸렌 글리콜 대신에 디에틸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를 사용하여 화합물 7의 상기 방법에 따라 화합물 8을 제조하였다. 생성물은 53%의 수율로 얻어졌다.
1H-NMR (200 MHz, CDC13): δ=7.35(2H,d,J=8); 7.19-7.06(2H,m); 6.99(1H,d,J=8); 6.96(1H,d,J=8.); 6.56(1H,d,J=8); 4.34-4.29(2H,m); 3.85(2H,s); 3.75-3.70(2H,m); 3.61-3.59(2H,m); 3.58-3.50(2H,m)ppm.
화합물 3, 4, 5, 6 및 9의 합성-일반적인 방법
디클로로메탄에 용해된 대응하는 산(메클로펜남산, 디클로테낙 또는 그 유도체)에 N-히드록시 숙신이미드(0.76 밀리몰)와 DCC(0.76 밀리몰)을 첨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TLC(용리제로서 EtOAc:헥산의 1:1 혼합물 사용)로 모니터하면서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에, 혼합물을 여과하고, 용매를 증발시켰다. 조 생성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분리하여 다음과 같은 화합물 3, 4, 5, 6 및 9의 순수 N-히드록시 숙신이미드 에테르 중간체를 얻었다.
화합물 3의 중간체: 수율 90 %. 1H-NMR (200 MHz, CDC13): δ=8.69(1H,s); 8.09-8.14(1H,dd,J=1.7,J=8.6); 7.32-7.37(1H,dt,J=1.8,J=8.5); 7.14-7.28(3H,m); 6.72-6.80(2H,m); 2.9(4H,s); 2.29(3H,s)ppm.
화합물 4의 중간체: 수율 90 %. 1H-NMR (200 MHz, CDC13): δ=8.91(1H,s); 8.10-8.15(1H,dd,J=1.6,J=8.18); 7.33-7.48(5H,m); 7.24(1H,d,J=7.8); 6.80-6.88(1H,dt,J=1.06,J=7.1); 2.9(4H,s)ppm.
화합물 5의 중간체: 수율 100%. 1H-NMR (200 MHz, CDC13): δ=8.6(1H,s); 8.12(1H,dd,J=1.53,J=7.4); 7.32(1H,M); 7.06-7.13(3H,m); 6.66-6.74(2H,m); 2.9(4H,s); 2.32 (3H,s); 2.14(3H,s)ppm.
화합물 6 및 9의 중간체: 수율 89%. 1H-NMR (200 MHZ, CDC13): δ=7.35(3H,d, J=8); 7.18-7.26(1H,m); 6.93-7.07(2H,m); 6.6-6.63(1H,d,J=7.9); 6.2(1H,s); 4.13 (2H,s); 2.84(4H,s)ppm.
화합물 9(1 당량)에 대해서 상응하는 중간체를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에틸렌글리콜아민 또는 2-히드록시에틸)메틸아민 1 ml에 용해시킨 후, 그 혼합물을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TLC(용리제로서 EtOAc:헥산의 1:1 혼합물 사용)로 모니터하면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에,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다음과 같은 화합물 3, 4, 5, 6 및 9를 얻었다:
화합물 3: 수율 55%. 1H-NMR (200MHz, CDC13): δ= 9.31(1H,s); 7.45-7.50 (1H,dd,J=0.6,J=8); 6.99-7.22(5H,m); 6.67-6.94(1H,dt,J=1.8,J=6.5); 3.54-3.74(8H,m); 2.33(3H,s)ppm.
화합물 4: 수율 70%. 1H-NMR (200 MHz, CDC13): δ=9.44(1H,s); 7.46-7.50(1H,dd,J=0.6,J=8); 7.4(2H,d,J=9); 7.16-7.32(5H,m); 7.09(1H,bs); 6.79-6.84 (1H,dt,J=1.8,J=6.5); 3.54-3.73(8H,m)ppm.
화합물 5: 수율 88 %. 1H-NMR (200 MHz, CDC13): δ=9.19(1H,s); 7.41-7.45(1H,dd,J=1.53,J=7.4); 7.14-7.21(2H,m); 7.06-7.13(1H,t,J=); 6.93-6.96 (2H, m); 6.65-6.69(2H,m); 3.6-3.8(8H,m); 2.32(3H,s); 2.20(3H,s)ppm.
화합물 6: 수율 72 %. 1H-NMR (200MHZ, CDC13): δ=7.35(2H,d,J=8); 7.19-7.06(2H,m); 6.99(1H,d,J=8); 6.96(1H,d,J=8.); 6.56(1H,d,J=8); 3.69(2H,s); 3.55-3.49(4H,m)ppm.
화합물 9: 수율 63%. 1H-NMR (200 MHz, CDC13): δ=7.35(2H,d,J=8); 7.19-7.06(2H,m); 6.99(1H,d,J=8); 6.96(1H,d,J=8.); 6.56(1H,d,J=8); 3.78-3.74(2H,m); 3.64-3.57(2H,m); 3.23(2H,s); 2.95(3H,s)ppm.
생물학
CHO 세포 배양 및 트랜스펙션:
CHO (중국 햄스터 난소, Chinese Hamster Ovary) 세포를 2mM 글루타민, 10% 태아 송아지 혈청 및 항생물질로 보충된 둘베코(Dulbecco)의 개량된 이글스 배양액에서 성장시켰다. 간단히 말하면, 24-멀티웰 플레이트에서 폴리-D-리신-코팅 유리 커버슬립(직경 13 mm) 상에 접종된 40,000 세포를 트랜스펙션용 마커로서 pIRES-CD8(0.5㎍) 그리고 KCNQ2 (0.5㎍) 및/또는 KCNQ3(0.5㎍)로 트랜스펙션되었다. 전기생리학적 실험을 위해서, 트랜스펙션된 세포를 트랜스펙션 약 40 시간 후 항-CD8 항체-코팅 비즈법(Jurman et al., 1994)을 이용하여 눈에 보이게하였다. 제조업체의 실험 규정에 따라 리포펙타민(Gibco-BRL) 3.5 ㎕를 사용하여 트랜스펙션을 실시하였다.
뉴우런 피질 배양:
Sprague Dawley 쥐 태아(E18)를 카에세리안 섹션(caesarian section)에 의해 제거하고, 그 피질교세포를 절제하였다. 조직을 파파인(100 U; Sigma, St. Louis, MO)으로 20분 동안 소화시키고, 단일-세포 현탁물로 분쇄한 다음, 24-멀티웰 플레이트의 13 mm 직경 유리 커버슬립에서 보바인 콜라겐형 IV와 100 ㎍/ml 폴리-L-리신의 기질 상에서 40,000 세포/ml의 밀도로 배양하였다. 배양액은 5% 말 혈청(Biological Industries, Beit HaEmek, Israel)을 함유하는 개량된 이글스 배양액, B-27 뉴우런 보충물(Invitrogen, Carlsbad, CA), 100 U/ml 페니실린, 100 ㎍/ml 스트렙토마이신 및 2 mM 글루타민으로 이루어졌다. D-글루코스는 최종 농도 6 g/l로 보정되었다. 빠른 세포 증식을 저지하기 위해서 5일 후에 시토신-1-D-아리비노푸라노시드(5 μM)를 첨가하였다. 모든 배양액을 5% CO2를 함유하는 37℃의 습윤 공기에서 유지하였다.
전기 생리학 실험:
CHO 세포에서의 전류 측정을 위해서, 패치-클램프 기술(Hamill et al., Nature 294: 462-464 (1981))의 전체 세포 구성을 이용하여 트랜스펙션 40 시간 후에 기록을 하였다. Axopatch 200B 패치-클램프 증폭기 (Axon Instruments, Foster City, California, USA)를 사용하여 신호를 증폭하고, 2 kHz에서 샘플링한 다음, 4-폴 Bessel 저통과 필터로 800 Hz에서 필터하였다. pClamp 8.1 소프트웨어 (Axon Instruments, Foster City, California, USA)와 Elonex 펜티엄 III 컴퓨터를 DigiData 1322A 인터페이스(Axon Instruments, Foster City, California, USA)와 함께 사용하여 데이터를 얻었다. 패치 피펫을 붕소실리케이트 유리(Warner Instrument. Corp., Hamden, Connecticut, USA)로부터 2∼5 MΩ의 저항으로 당긴다음, 130 KCl, 1 MgCl2, 5 K2ATP, 5 EGTA, 10 HEPES로 충전(mM)한 후 KOH로 pH 7.4 (290 mOsm)로 조절하였다. 외부 용액은 mM의 양으로 140 NaCl, 4 KCl, 1.8 CaCl2, 1.2 MgCl2, 11 글루코스, 5.5 HEPES를 함유하고, NaOH로 pH 7.4 (310 mOsm)로 조절하였다. 직렬 저항(3-13 MΩ)을 보상하고(75∼90%) 주기적으로 모니터하였다. 쥐 피질 뉴우런의 전류-클램프 측정을 위해 배양한 후, 10∼14일 후에 기록을 하였다. 패치 피펫을 mM의 양으로 135 KCl, 1 K2ATP, 1 MgATP, 2 EGTA, 1.1 CaCl2, 5 글루코스, 10 HEPES로 충전한 후, KOH로 pH 7.4 (315 mOsm)로 조절하였다. 외부 용액은 mM의 양으로 140 NaCl, 4 KCl, 2 CaCl2, 2 MgCl2, 5 글루코스, 10 HEPES를 함유하고, NaOH로 pH 7.4 (325 mOsm)로 조절하였다. 뉴우런 작용 전위를 유발시키기 위해서, 50∼300 pA 전류를 800 ms(스퀘어 펄스)에 대해 세포에 주입하였다. 5 kHz에서 기록을 샘플링하고 2 KHz에서 4-폴 베셀 저통과 필터로 여과하였다. 쥐 피질 뉴우런의 전압-클램프를 측정하기 위해서, 패치 피펫을 mM의 양으로 90 K-아세테이트, 40 KCl, 3 MgCl2, 2 K2ATP, 20 HEPES로 충전한 후, KOH로 pH 7.4 (310∼315 mOsm)로 조절하였다. 외부 용액은 mM의 양으로 120 NaCl, 23 NaHCO3, 3 KCl, 2.5 CaCl2, 1.2 MgCl2, 11 글루코스, 0.0005 테트로도톡신(TTX), 5 HEPES를 함유하고, NaOH로 pH 7.4 (325 mOsm)로 조절하였다.
제노퍼스 난모세포에서의 전류 측정은 "Peretz et al. J. Physiol 545: 751-766 (2002)"에 기재된 대로 실시되었다. 즉, 난모 세포에 cRNA 마이크로주입후 3∼5일 후에 2-전극 전압-클램프 측정을 하였다. 난모세포는 mM의 양으로 96 NaCl, 2 KCl, 1 MgCl2, 0.1 CaCl2 및 5 HEPES를 함유하고 NaOH로 pH 7.4로 적정시킨 개량된 ND96 용액으로 적셨다. Gene Clamp 500 증폭기(Axon Instruments, Foster City, California, USA)를 사용하여 실온(20∼25℃)에서 전체 세포 전류를 기록하였다. 유리 마이크로전극(A-M Systems, Inc. , Carlsborg, Wisconsin, USA)을 3M KCl로 채우고 0.5∼1.5MΩ의 팁저항을 가졌다. 제제의 자극, 데이터 확인 및 분석은 pCLAMP 6.02 소프트웨어(Axon Instruments, Foster City, California, USA) 및 Digidata 1200 인터페이스 (Axon Instruments, Foster City, California, USA)로 접속시킨 586 개인 컴퓨터 Pentium 4를 사용하여 실시되었다. 전류 신호는 0.5 kHz에서 여과되고 2 kHz에서 디지털화되었다.
데이타 분석:
Clampfit 프로그램(pClamp 8.1, Axon Instruments, Foster City, California, USA), Microsoft Excel 98 (Microsoft Corp., Redmond, Washington, USA), Axograph 4.6 (Axon Instruments, Foster City, California, USA) 및 Prism 2.0 (GraphPad, San Diego, California, USA)을 사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하였다. pClamp 8.1 소프트웨어의 Clampfi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리크 섭트랙션(leak subtraction)을 오프-라인으로 실시하였다. KCNQ2/3 채널 탈활성화를 분석하기 위해서, 단일 엑스포넨셜(exponential) 피트를 테일 전류에 가하였다. 코드 컨덕턴스(G)를 하기 식으로 계산하였다:
G=I/(V-Vrev)
I는 펄스 끝에서 측정된 전류 세기이고,
Vrev는 CHO 세포에서 -90 mV 및 제노퍼스 난모세포에서 -98 mV로 가정되는 계산된 역 전위이고,
G는 여러 시험 전압 V에서 측정된 다음, +40 mV에서 계산된 최대 컨덕턴스값 Gmax으로 정상화되었다. 활성화 곡선은 볼츠만 식으로 구하였다:
G/Gmax=1/{1 + exp [(V50 - V)/s]}
상기 식에서, V50 은 전류가 반 활성화되는 전압이고, s는 기울기 요소이다. 모든 데이타는 평균 ± SEM으로 나타냈다. 통계적으로 큰 차이점을 학생의 t-실험으로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 디클로페낙(화합물 2) 및 1-EBIO(화합물 10)으로 실시된 분석
실시예 1
KCNQ2/3 전류에 미치는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 및 1-EBIO(화합물 10)의 효과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 및 1-EBIO(화합물 10)에 의해 유발된 CKNQ2/3 전류의 활성화 전압-의존성에 대한 좌향 변환을 도1A-1D를 참고로 설명한다.
KCNQ2 및 KCNQ3 서브유니트가 여러 발현 시스템에서 동종 채널로서 개별적으로 발현될 때, 이들은 특히 KCNQ3에 대해 비교적 적은 칼륨 전류를 발생한다(Wang et al. Science 282: 1890-1893 (1998) 및 Yang et al. J. Biol. Chem. 273: 19419-19423 (1998)). 그러나, KCNQ3와 공동 발현된 KCNQ2는 전류를 발생하게 되는 데, 그 세기는 2개의 동종 채널의 합보다 약 10배 크고, 그 생물학적 및 약학적 성질은 본래의 M-전류와 매우 유사하다(Main et al. Mol. Pharmacol. 58: 253-262 (2000), Wang et al. Science 282: 1890-1893 (1998) 및 Yang et al. J. Biol. Chem. 273: 19419-19423 (1998)).
CHO 세포는 2개의 대응하는 KCNQ2 및 KCNQ3의 cDNAs로 동일 비율로서 공동 트랜스펙션된 후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 및 1-EBIO(화합물 10)에 노출되어 이들 화합물이 M-전류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1A 및 1B를 참고로 하면, 100μM의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 도1A)와 100 μM 1-EBIO(화합물 10, 도1B)를 외부에서 이용하기 전(왼쪽 패널) 및 후(오른쪽 패널)에 동일한 세포로부터 대표적인 트레이스를 기록하였다. 멤브레인 전위를 10 mV의 증가폭으로 -70 mV에서 +40mV로 15초 펄스 동안 올린 다음, 0.75초 펄스로 -60 mV까지 올려 테일 전류를 형성하였다. 모든 실험의 홀딩 전위는 -85 mV이었다.
대조용(오픈 스퀘어) 및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 도1C) 또는 1-EBIO(화합물 10, 도1D)로 처리된 세포(솔리드 스퀘어)에 대해 전압 단계의 함수로서 정상화된 컨덕턴스(G/Gmax)를 구하였다. 활성화 곡선은 볼츠만식으로 구하였다.
도1A(왼쪽 패널)는 단계 편극소거에 의해 약 -50 mV의 전압 임계치 이상으로 활성화된 KCNQ2/3 전류의 대표적인 트레이스를 나타낸다. 도1A(오른쪽 패널)에 나타낸 100 μM 메클로펜남산을 외부에서 첨가하여 V50 = -19.65 ± 1.85 mV(n = 24)에서 V50 = -42.34 ± 2.08 mV(n = 14)으로 KCNQ2/3 전류 활성화의 전압-의존성에서 현저한 22.7 mV의 좌향 변환을 형성하였다. 볼츠만 피팅 곡선의 기울기는 대조용 및 메클로펜남산(화합물1)에 대해서 각각 s = -9.46 ± 0.41 mV/e배 및 s = -10.50 ± 0.93 mV/e배로 크게 변하지 않았다.
도1B(왼쪽 패널)는 KCNQ2/3 전류 활성화의 전압-의존성에서 100 μM 1-EBIO(화합물 10)에 의해서 야기된 7.9 mV(p<0.005)의 좌향 변환을 V50 = -22.9 ± 1.8 mV로부터 V50 = -30.8 ± 2.8 mV(n = 4)으로 형성한 것을 나타낸다. 볼츠만 피팅 곡선의 기울기는 대조용 및 1-EBIO(화합물 10)에 대해서 각각 s = -10.2 ± 1.1 mV/e배 및 s = -9.5 ± 0.7 mV/e배로 크게 변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 또는 1-EBIO(화합물 10)에 노출될 때, KCNQ2/3 전류는 대조용(도1C 및 1D)에 대해서 약 -60 mV 대 -50 mV의 임계 전압치 이상으로 더욱 초편극화된 전위에서 활성화되었다.
실시예 2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 및 1-EBIO(화합물 10)에 의한 KCNQ2/3 전류 세기의 증가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 및 1-EBIO(화합물 10)에 의한 KCNQ2/3 전류 세기의 증가를 도1A-1D 및 도2A-2C를 참고로 설명한다.
도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KCNQ2/3 전류는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 또는 1-EBIO(화합물 10)의 존재 하에서 증가한다.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 왼쪽 패널) 및 1-EBIO(화합물 10, 오른쪽 패널)의 존재 또는 부재(대조용) 하에서의 트레이스를 기록하였다. 세포를 1.5 초 펄스 동안 -20 mV까지 단계를 올렸다. 이러한 트레인 규정에서, 펄스 간의 간격은 30초이었다.
도2B는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 왼쪽 패널) 또는 1-EBIO(화합물 10, 오른쪽 패널)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서 측정된 전류의 백분율을 나타내는 데, 여기서 대조용은 100%이다.
도2C에서, 전류 세기(nA)는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 왼쪽 패널) 또는 1-EBIO(화합물 10, 오른쪽 패널) 적용에 응답하여 채널 활성 임계치의 네가티브 변환을 강조하기 위해서 초편극화된 전위 범위 (-70 mV 내지 -20 mV)에서 단계 전압에 대해 구하였다.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의 외부 적용 약 1분 내에, KCNQ2/3 전류 세기는 -50 내지 0 mV 사이의 시험 전위 범위를 넘어 크게 증가된 것이 관찰되었다(도1C 및 도2A, 왼쪽 패널).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의 효과는 충분히 역전될 수 있다(데이타 나타나지 않음). 트레인 규정에서, 세포가 -20 mV까지 단계를 올렸을 때,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을 적용하면 대조용과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에 대해서 각각 844 ± 130 pA로부터 1451 ± 164 pA(n = 15)까지 72% 폭으로 전류 세기를 증가시켰다(도2B, 왼쪽 패널).
도1C 및 도2C에 나타낸 정상화된 컨덕턴스-전압 관계(G/Gmax)와 정상화된 전류-전압 관계(I/Imax)로부터,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은 채널 활성화의 전압-의존성에서 좌향 변환을 통해 KCNQ2/3 칼륨 전류를 주로 증가시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 전위가 더 포지티브하게 되고 활성 곡선의 포화값(즉 +20 mV)에 근접함으로써, KCNQ2/3 전류 세기에 미치는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의 효과가 매우 적었다.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의 가장 두드러진 작용은 네가티브 생리학적 관련 전위에서 발휘되었다. -50 mV, -40 mV 및 -30 mV에서,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은 KCNQ2/3 전류 세기를 각각 10배, 5배 및 2.5배로 증가시켰다(도1A, 1C 및 2C, 왼쪽 패널).
마찬가지로,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의 효과보다는 덜 두드러졌을지라도, 100 μM 1-EBIO(화합물 10)을 가하면 -50 mV 내지 -10 mV 사이의 시험 전위 범위에 걸쳐 KCNQ2/3 전류 세기를 즉시 증가시켰다(도1B, 도2A 및 도2B, 오른쪽 패널). 1-EBIO(화합물 10)의 효과는 충분히 역전될 수 있다(데이타 나타나지 않음). 이 트레인 규정에서, 세포가 -30 mV까지 단계를 올렸을 때, 1-EBIO(화합물 10)을 적용하면 대조용과 1-EBIO(화합물 10)에 대해서 각각 945 ± 135 pA(n = 14)로부터 1483 ± 194 pA(n = 14)까지 57% 폭으로 전류 세기를 증가시켰다.
도1D 및 도2C(오른쪽 패널)에 나타낸 정상화된 컨덕턴스-전압 관계(G/Gmax)와 정상화된 전류-전압 관계(I/Imax)로부터, 1-EBIO(화합물 10)은 채널 활성화의 전압-의존성에서 좌향 변환을 통해 KCNQ2/3 칼륨 전류를 주로 증가시켰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시험 전위가 더 포지티브하게 되고 활성 곡선의 포화값에 근접함으로써, KCNQ2/3 전류 세기에 미치는 1-EBIO(화합물 10)의 효과가 더 약해졌다. 도1D는 10 mV의 채널 활성화에 대한 임계치의 좌향 변환을 나타낸다. 그 외에, 도2C(오른쪽 패널)은 1-EBIO(화합물 10)의 가장 두드러진 작용이 네가티브 생리학적 관련 전위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을 나타낸다. 1-EBIO(화합물 10)은 -50 mV 및 -40 mV에서, KCNQ2/3 전류 세기를 각각 10배 및 3배로 증가시켰다.
실시예 3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 및 1-EBIO(화합물 10)이 KCNQ2/3 탈활성화 동역학에 미치는 효과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 및 1-EBIO(화합물 10)에 의한 KCNQ2/3 탈활성화 동역학의 감소를 도3A-3E를 참고로 설명한다.
도3A에서는,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의 이용 전(대조용) 및 후에 세포의 테일 전류를 나타낸다. 프리펄스는 -20 mV인 반면, 테일 전위는 -60 mV이었다.
도3B에서는,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서 테일 전류 붕괴(τdeact)의 엑스포넨셜 피트로부터 얻어지는 시간 상수를 나타낸다.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 및 1-EBIO(화합물 10)가 KCNQ2/3 활성화 동역학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지라도, 이들은 탈활성화 과정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테일 전류 또는 탈활성화의 감소는 개방 상태로부터 밀폐 상태로 채널의 전이를 반영하였다. 도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를 -20 mV까지 감극시킨 다음 -60 mV까지 재편극시켰다. 테일 전류의 감소는 하나의 지수적 기능을 이용하여 피팅되었다. 100μM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의 첨가에 대한 반응으로, 탈활성화에 대한 시간 상수는 τdeact = 79.6 ± 4.5 msec 로부터 τdeact = 167.5 ± 11.6 msec(n=10)까지 약 2배 증가하였다. 그 결과는 도 3B 및 도 3C에 나타낸 것처럼 매우 컸다.
상술한 바와 같이, 1-EBIO(화합물 10)는 KCNQ2/3 활성화 동역학에 크게(p<0.001) 영향을 미쳤다. 테일 전류의 감소는 하나의 지수적 기능을 이용하여 피팅되었다. 100μM 1-EBIO(화합물 10)의 첨가에 대한 반응으로, 탈활성화에 대한 시간 상수는 τdeact = 91.2 ± 8.4 msec 로부터 τdeact = 110.1 ± 9.5 msec(n=14, 도 3E)로 증가하였다. 도 3D에서는 1-EBIO(화합물 10)가 KCNQ2/3 채널의 탈활성화 동역학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4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 및 1-EBIO(화합물 10)에 의한 유발 및 자발적 뉴우런 작용의 억제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 및 1-EBIO(화합물 10)에 의한 유발 및 자발적 뉴우런 작용의 억제를 도4A-4B를 참고로 설명한다.
도4A-4B에서는,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에 의한 뉴우런 작용의 억제를 나타낸다. 도4A에서는, 서로 다른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의 농도를 적용하기 전(제1 열), 적용 도중(제2 및 제3 열) 및 적용 후(제4 및 제5 열)에 유발된 쥐 피질 뉴우런 작용을 나타낸다. 각 컬럼은 서로 다른 뉴우런에 해당한다.
도4B에서는, 10μM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을 적용하기 전, 도중 및 적용 후에 기록된 자발적 작용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 같이, M-전류의 주요 기능중 하나는 뇌에서 뉴우런의 흥분성을 모니터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과 1-EBIO(화합물 10)가 헤테로적으로 발현된 M-전류를 증진시킨다는 것이 분명하다.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과 1-EBIO(화합물 10)가 어떻게 M-전류를 발현하는 뉴우런의 흥분도를 조절하는가가 의문으로 남는다. 이 의문에 대한 대답은, 쥐 피질 뉴우런과 패취 클램프 기술의 전류 클램프 구성의 일차 배양이 이용되었다는 것이다.
먼저,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과 1-EBIO(화합물 10)가 쥐 피질 뉴우런의 유발된 활동 전위 작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가 연구되었다. 도4A에서는 유발된 전위가 5∼20μM의 범위에서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에 의해 가역적으로 억제된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4A의 각 레인은 패취 클램프 기술의 전류-클램프 구성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뉴우런으로부터 기록된다.
둘째, 쥐 피질 뉴우런의 자발적 작용은 10 μM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에 의해 완전하지만 가역적으로 억제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실시예 5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을 이용한 전기 쇼크로 유발된 졸도로부터 생쥐의 보호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이 전기 쇼크 유발 졸도로부터 생쥐를 보호하는 효과를 도5를 참고로 설명한다.
5 그룹의 10 ICR 생쥐 각각에 염수 또는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을 25 mg/kg, 50 mg/kg, 100 mg/kg 및 150 mg/kg의 비율로 복막내 투여하고 30분 후에 전기 쇼크(50 mA, 0.2초 동안, 60 Hz)을 가하였다. 기절하지 않은 생쥐의 상대 비율을 각 투여량에 대해 도5에서 구하였다.
피질 뉴우런에 대한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의 강한 억제 장용 면에서, 전기 쇼크로 기절한 생쥐에서 경련방지 작용을 시험하였다. 염수에 용해된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을 ICR 어른 쥐에게 25 mg/kg∼150 mg/kg의 양으로 복강내(10 ml/kg의 부피로) 복강내 주사하고, 식염수의 경우와 경련방지 작용을 비교하였다. 약품 투여 30분 후, 전기 쇼크(50 ma, 0.2초 동안, 60 Hz)로 기절시켰다. 도5는 50 mg/kg의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이 전기 쇼크로부터 생쥐 50%를 크게 보호하였고 100 mg/kg의 양으로는 충분히 졸도를 방지하였다. 150 mg/kg의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은 생쥐를 안정시켰다.
실시예 6
KCNQ2/3 전류의 전압-의존성 활성화 및 KCNQ2/3 전류의 탈활성화에 미치는 디클로메낙(화합물 2)의 효과
디클로페낙(화합물 2)에 의해 유발된 CKNQ2/3 전류의 활성화 전압 의존성에 대한 좌향 변환을 도6A-6C를 참고로 설명한다.
도 6A-6C에서는, 디클로페낙(화합물 2)에 의해 유발된 KCNQ2/3 전류의 증가를 나타낸다. 도6A에서는, 50 μM 디클로페낙을 주입하기 전 및 후에 기록된 CHO 세포에서 헤테로적으로 발현된 KCNQ2/3의 전체 세포 전류를 나타낸다. 도6A에서, 세포 멤브레인은 -90 mV에서 -50 mV(1초)로 -60 mV(0.75 초)폭으로 단계를 올렸다. 기록은 매 30초 마다 하였다. 도 6B에서는 도6A에서 제공된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디클로페낙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서 제공된 전류의 백분율(대조용은 100%)을 나타낸다. 도6C에서는, 정상화된 컨덕턴스(G/Gmax)가 KCNQ2/3 전류에 대해 대조용(개방 스퀘어) 및 디클로페낙(밀폐된 스퀘어)에 있어서의 전압 단계의 함수으로서 구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6C에서, 50μM 디클로페낙(화합물 2)를 첨가하면 KCNQ2/3 활성화에 있어서 V50 = -30.9 ± 4.1 mV로부터 V50 = -45.4 ± 2.7 mV(n=7, p<0.01)으로 좌향 변환을 유발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6C에서는,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과 마찬가지로, CHO 세포를 디클로페낙(화합물 2)으로 처리하면 KCNQ2/3 채널의 탈활성화 동역학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6A 및 6B에서는, KCNQ2/3 전류 세기가 생리학적 관련 전위에서 디클로페낙(2)에 의해 증가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트레인 규정에서, 세포가 -85 mV에서 -50 mV로 단계를 올릴 때, 디클로페낙(화합물 2)는 전류 세기를 262 ± 26%(n=6)까지 증가시켰다.
디클로페낙(화합물 2)의 효과는 충분히 역전될 수 있다(데이타 나타나지 않음).
일반적으로,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과 디클로페낙(화합물 2)은 하기 실시예 7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KCNQ3 채널 서브유니트 상에서 보다 KCNQ2 상에 미치는 개방자의 더 강한 영향을 가져오는 것으로 보여진다.
실시예 7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 작용의 선택도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과 디클로페낙의 이종 KCNQ2/3 채널에 대한 개방자 특성은 이들 화합물이 서브유니트에 대해 더욱 선택적으로 또는 동일하게 잘 작용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불러일으킨다. 이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서 CHO 세포에 개별적으로 발현된 동종 KCNQ2 및 동종 KCNQ3 채널에 미치는 50 μM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도16A-D에 나타냈다.
도16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메클로펜남산은 대조용 및 메클로펜남산-처리 세포에서 KCNQ2 채널의 활성화 곡선에 있어서 V50 = -23.6 ± 2.2 mV(n=8)로부터 V50 = -50.5 ± 1.4 mV(n=5)으로 -26.9 mV폭의 실제적인 좌향 변환을 유발함에 따라, CKNQ3 채널보다 CKNQ2에 일반적으로 더 강한 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도16 C, 왼쪽 패널, p<0.01). KCNQ3 채널의 활성화 곡선에 대해 메클로펜남산에 의해 야기된 좌향 변환은 각각 대조용 및 메클로펜남산-처리 세포에서 V50 = -39.0 ± 3.5 mV(n = 11)에서 V50 = -54.0 ± 2.0 mV(n=6)으로 더 약해졌다(-15mV)(도16 C, 오른쪽 패널, p<0.01).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은 τdeact = 92.6 ± 3.9 msec 로부터 τdeact = 152.7 ± 4.9 msec(도16A 및 16D, n=8, p<0.001)까지 증가하는 탈활성화의 시간 상수로 KCNQ2 채널 클로져의 속도를 크게 감소시켰다. 대조적으로, KCNQ3 채널의 탈활성화 동역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대조용 및 메클로펜남산-처리 세포에 대해 τdeact = 319.6 ± 40.8 msec 및 τdeact = 317.2 ± 30.2 msec, n=8).
세포가 -85 mV에서 -40 mV로 단계가 올라갈 때(도 16A 및 B; n=8, p < 0.001), KCNQ2 대 KCNQ3 채널에 대한 개방자의 더 강한 작용을 반영하여 50 μM 메클로펜남산을 적용하면 KCNQ2 및 KCNQ3 전류 세기를 각각 240 ± 26% 및 120 ± 4%로 증가시켰다.
흥미롭게는, 동종 KCNQ1 및 이종 KCNQ1/KCNE1 전류는 -50∼0mV의 시험 전위의 범위에 걸쳐 50 μM 디클로페낙 또는 50 μM 메클로펜남산에 의해 증진되지 않았다(데이타 나타나지 않음). 대신에, 두 개방자는 포지티브 전위에서 전류 세기를 감소시켰다(0mV에서 40mV로).
화합물 3-9로 실시된 분석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신규 화합물 3, 4, 5, 6, 7, 8 및 9에 대한 KCNQ2/3 개방 작용을 시험하였다. 화합물 3-9가 시험되었고, KCNQ1/KCNE1 심장 채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선택적인 뇌 특이성을 나타냈다는 것이 중요하다. 그 결과는 나타내지 않았다.
실시예 8
KCNQ2/3 채널과 쥐 피질 뉴우런에 미치는 화합물 6의 효과
CHO 세포에 헤테로적으로 발현된 재조합 KCNQ2/3 칼륨 채널과 쥐 피질 뉴우런에 미치는 화합물 6의 효과를 도7A-7C, 도8A-8B 및 도9A-9C를 참고로 설명한다.
도7A-7C에서, KCNQ2/3 전류에 미치는 화합물 6의 효과를 나타냈다. 도7A에서는 25 μM 화합물 6의 주입 전 및 후에 기록된 전체-세포 전류를 나타낸다. 도7B에서는 도7A에서 제공된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화합물 6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서 제공된 전류의 백분율(대조용은 100%)을 나타낸다. 도7C에서는, 정상화된 컨덕턴스(G/Gmax)가 KCNQ2/3 전류에 대해 대조용(개방 스퀘어) 및 화합물 6(밀폐된 스퀘어)에 있어서의 전압 단계의 함수로서 구해지는 것을 나타낸다.
도8A-8B에서, 화합물 6에 의해 유발된 뉴우런 작용의 억제를 나타낸다. 도8A에서는, 스퀘어 편극소거 전류에 의해 유발되고, 10 μM 화합물 6에 의해서 억제되고 세척후에 회복되는 뉴우런 작용을 나타낸다. 도8A에서 편극 소거 전류는 800 msec 동안 50 pA이었다. 도8B에서는, 램프 규정을 이용하여 화합물 6을 외부에서 주입하기 전, 후에 기록되고 세척후에 회복된 유발된 뉴우런 작용을 나타낸다. 도8B에 나타낸 램프 규정에서, 편극소거 전류는 800 msec 내에 0 pA로부터 300 pA로 증가하였다.
도9A-9C에서는, 화합물 6의 서로 다른 농도에 의한 자발적 뉴우런 작용의 억제를 나타낸다. 도9A에서는 20 μM에 대해서, 도9B에서는 10 μM에 대해서 그리고 도9C에서는 5 μM에 대해서 화합물 6의 첨가 전 후 및 세척 후에 기록된 자발적 작용을 나타낸다.
도7C는 CHO 세포에 발현된 재조합 KCNQ2/3 채널에 미치는 25 μM 화합물 6의 효과를 나타낸다. 메클로펜남산(화합물 1)과 디클로페낙(2)과 마찬가지로, 외부적으로 적용될 때 화합물 6는 KCNQ2/3 활성화의 전압-의존성에서 V50 = -30.9 ± 4.1 mV로부터 V50 = -43.45 ± 2.3 mV(n=7, p < 0.01)까지 약 13 mV의 큰 좌향 변환을 일으켰다.
도7A에서는, 화합물 6이 KCNQ2/3 채널의 탈활성화 동역학을 감소시켰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7A 및 7B에서는, KCNQ2/3 전류 세기가 생리학적으로 관련있는 전위에서 화합물 6에 의해 증가되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트레인 규정에서, 세포가 -85 mV에서 -50 mV로 단계를 올릴 때, 25 μM 화합물 6을 이용하면 전류 세기를 220%(n=10)까지 증가시켰다.
화합물 6의 효과는 역전될 수 있다(데이타 나타나지 않음).
M-전류의 주요 기능중 하나가 뉴우런 스파이킹 방전을 약화시키는 것이므로, 배양된 쥐 피질 뉴우런의 유발 및 자발적 작용 전위 작용에 화합물 6이 어떻게 미치는가를 시험하는 것이다. 패치 클램프 기술의 전류-클램프 구성을 이용함으로써, 스퀘어된 펄스(도8A;50-300 pA, 800 msec) 또는 편극 전류의 램프(도8B; 0-300 pA, 800 msec)에 의해 유발된 뉴우런 작용 전위에 미치는 화합물 6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레스팅 멤브레인 전위는 -60 mV에 근접하였으며, 필요한 경우 DC 전류를 가함으로서 이 수준을 유지하였다. 10 μM 화합물 6의 초융합은 피질 뉴우런에서 유발된 작용 전위의 수를 과감하고도 가역적으로 감소하였다. 1분 내에 10 μM 화합물 6이 외부 초융합 후, 피질 뉴우런은 인터스파이크 간격(도8A, 제2 열)을 넓힘으로서 작용 전위를 흥분시켰다. 개방자 노출 2분 후, 하나의 스파이크만이 동일한 편극소거 전류에 의해서 유발될 수 있었다(도8A, 제 3열). 그러므로, 화합물 6은 유발된 작용 전위의 수를 일정하게 감소시켰다. 화합물을 2분 이내의 시간 동안 세척해 내자 뉴우런은 그들의 초기 스파이킹 작용을 회복하였다(도8A, 제5 열)
도8B에 나타낸 램프 전류로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쥐 피질 뉴우런의 더 높은 밀도의 배양을 이용하여, 자발적 스파이킹 작용을 기록하였다(도 9). 화합물 6은 투여량-의존적으로(5 μM-20 μM) 2분 이내에 자발적 작용 전위를 크게 억제하였다. 화합물 6의 억제 작용은 3 농도 모두에 대해 화합물 6의 세척에 의해 역전될 수 있다.
실시예 9
KCNQ2/3 채널과 쥐 피질 뉴우런에 미치는 화합물 5의 효과
CHO 세포에 헤테로적으로 발현된 재조합 KCNQ2/3 칼륨 채널과 쥐 피질 뉴우런에 미치는 화합물 6의 효과를 도10A-10C를 참고로 설명한다.
도10A-10C에서, 뉴우런 작용과 KCNQ2/3 전류에 미치는 화합물 6의 효과를 나타냈다. 도10A에서는 25 μM 화합물 5의 주입 전후, 및 세척 후에 기록된 유발된 쥐 피질 뉴우런 작용을 나타낸다. 도10B에서는 25 μM 화합물 5의 이용전(상부 패널), 이용후(하부 패널)에 기록된 KCNQ2/3 전류를 나타낸다. 도10B에서는 세포 멤브레인이 -80 mV로부터 -40 mV까지 10 mV의 폭으로 단계가 올라갔다(홀딩 전위 = -90 mV). 도10C에서는, 정상화된 컨덕턴스(G/Gmax)가 대조용(개방 스퀘어) 및 화합물 5(밀폐된 스퀘어)에 대해 전압 단계의 함수로서 구해지는 것을 나타낸다.
도10A-10C으로부터, 화합물 5는 화합물6과 비슷한 KCNQ2/3 칼륨 전류 개방 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10C에서는, 25 μM 화합물 5는 KCNQ2/3 활성화의 전압-의존성에서 V50 = -30.9 ± 4.1 mV로부터 V50 = -38.3 ± 1.9 mV(n=5, p < 0.05)까지 약 8 mV의 큰 좌향 변환을 일으켰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 10B에서, 화합물 5는 KCNQ2/3 채널의 탈활성화 동역학을 감소시켰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15 μM 화합물 5는 -40 및 -50 mV의 생리학적으로 관련있는 전위에서 전류 세기를 증가시켰다는 것을 나타낸다.
도10A에서, 25 μM 화합물 5를 초융합하면 피질 뉴우런에서 유발된 작용 전위의 수를 가역적으로 억제하였다는 것을 또한 나타낸다.
실시예 10
KCNQ2/3 채널에 미치는 화합물 3의 효과
CHO 세포에 헤테로적으로 발현된 재조합 KCNQ2/3 칼륨 채널에 미치는 화합물 3의 효과를 도11A-11B를 참고로 설명한다.
도11A-11B에서는 화합물 3의 존재 하에 KCNQ2/3 전류가 증가하는 것을 나타낸다. 도11A에서는 25 μM 화합물 3의 존재 및 부재(대조용) 하에서 전류를 나타낸다. 도 11A에서, 세포는 -50 mV로 단계가 1.5 초 펄스 동안 올라갔고 펄스 간의 간격은 30초 이었다. 도 11B에서 화합물 3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서 제공된 전류의 백분율(대조용은 100%)을 나타낸다.
도11A-11B에서는 화합물 3이 25 μM에서 강한 KCNQ2/3 칼륨 채널 개방성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 트레인 규정에서, 세포가 -85 mV에서 -50 mV로 단계를 올릴 때, 25 μM 화합물 3을 적용하면 전류 세기를 299 ± 47%(n=6, p < 0.002)까지 증가시켰다.
화합물 3의 효과는 충분히 역전될 수 있었다(데이타 나타나지 않음).
실시예 11
KCNQ2/3 채널과 쥐 피질 뉴우런에 미치는 화합물 4의 효과
CHO 세포에 헤테로적으로 발현된 재조합 KCNQ2/3 칼륨 채널과 쥐 피질 뉴우런에 미치는 화합물 4의 효과를 도12A-12C를 참고로 설명한다.
도12A-12C에서는, 뉴우런 작용과 KCNQ2/3 전류에 미치는 화합물 4의 효과를 나타냈다. 도12A에서는 50 μM 화합물 4의 주입 전(왼쪽 패널) 및 후(오른쪽 패널)에 기록된 12A KCNQ2/3 전류를 나타낸다. 세포 멤브레인은 -80 mV로부터 -40 mV까지 10 mV의 폭으로 단계가 올라갔다(홀딩 전위 = -90 mV). 도12B에서는 20 μM 화합물 4의 부가 전후 및 세척 후에 기록된 자발적 피질 뉴우런 작용을 나타낸다. 도12D에서는, 정상화된 컨덕턴스(G/Gmax)가 대조용(개방 스퀘어) 및 화합물 4(밀폐된 스퀘어)에 대해 전압 단계의 함수로서 구해지는 것을 나타낸다.
도12A-12C로부터, 화합물 4는 강한 KCNQ2/3 채널 개방자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도12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CHO 세포가 -85 mV에서 -50 mV 및 -40 mV까지 단계가 올라갈 때, 50 μM 화합물 4는 화합물 3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4배 및 1.5배 이상으로 전류 세기를 증가시켰다.
도 12B에서, 쥐 피질 뉴우런에 적용될 때, 25 μM 화합물 4는 자발적 스파이킹 작용을 크게 억제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2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 4의 효과는 충분히 역전될 수 있었다.
실시예 12
KCNQ2/3 채널과 쥐 피질 뉴우런에 미치는 화합물 9의 효과
쥐 피질 뉴우런에 미치는 화합물 9의 효과를 도13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13에서, 20 μM 화합물 9에 의해 조절된 바와같은 자발적 뉴우런 작용(작용 전위)를 나타낸다.
도1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분자와는 대조적으로, 화합물 9의 20 μM 는 피질 뉴우런의 유발 및 자발적 스파이킹 작용에 억제 작용을 나타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분자와는 대조적으로, 화합물 9는 CHO 세포에서 헤테로적으로 발현된 재조합 KCNQ2/3 채널에 오직 1주일 개방자 작용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화합물 9가 KCNQ2/3 채널을 포함하지 않는 메카니즘을 통해 뉴우런 억제작용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13
KCNQ2/3 채널과 쥐 피질 뉴우런에 미치는 화합물 7의 효과
CHO 세포에 헤테로적으로 발현된 재조합 KCNQ2/3 칼륨 채널에 미치는 화합물 7의 효과를 도14A-14D를 참고로 설명한다.
도14A-14D에서는 KCNQ2/3 채널과 뉴우런 작용에 미치는 20 μM 화합물 7의 효과를 나타낸다. 도 14A에서, 20 μM 화합물 7의 주입 전후에 기록된 KCNQ2/3 전체 세포 전류를 나타낸다. 도14B에서, 도14A에서 제공된 실험으로부터 얻어진 화합물 7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서 제공된 전류의 백분율(대조용은 100%)을 나타낸다. 도14C에서는, KCNQ2/3 전류의 정상화된 컨덕턴스(G/Gmax)가 대조용(개방 스퀘어) 및 화합물 7(밀폐된 스퀘어)에 대해 전압 단계의 함수로서 구해지는 것을 나타낸다. 도14D에서는, 20 μM 화합물 7에 의한 자발적 뉴우런 작용(작용 전위)의 조절을 나타낸다.
도14는 KCNQ2/3 채널에 미치는 화합물 7의 효과를 나타낸다. 상술한 화합물 6 및 5와 마찬가지로, 화합물 7은 전압 의존성 활성화 곡선에서 현저한 좌향 변환을 갖는 큰 KCNQ2/3 채널 개방자이다. 이러한 효과는 트레인 규정에 의해 결정된 바와 같이 채널 세기의 큰 증가를 가져왔다(도14A 및 14B). 마찬가지로, 20 μM 화합물 7은 피질 뉴우런의 유발 및 자발적 스파이킹 작용에 매우 강한 억제 작용을 나타냈다(도 14D). 이러한 효과는 충분히 역전될 수 있었다.
실시예 14
KCNQ2/3 채널과 쥐 피질 뉴우런에 미치는 화합물 7의 효과
CHO 세포에 헤테로적으로 발현된 재조합 KCNQ2/3 칼륨 채널과 쥐 피질 뉴우런에 미치는 화합물 8의 효과를 도15A-15B를 참고로 설명한다.
도15A-15B에서는, 화합물 8에 의해 조절되는 유발 및 자발적 뉴우런 작용을 나타낸다. 도15A에서는, 10 μM 화합물 8을 적용하기 전, 도중 및 후에 기록된 유발된 쥐 피질 뉴우런 작용을 나타낸다. 15B에서는, 5 μM 화합물 8에 의해 조절되는 자발적 뉴우런 작용(작용 전위)을 나타낸다.
도15A-15B는 화합물 8의 저농도가 피질 뉴우런의 유발 및 자발적 스파이킹 작용에 대한 강한 억제 작용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상술한 화합물 9처럼, 화합물 8은 CHO 세포에 헤테로적으로 발현된 재조합 KCNQ2/3 칼륨 채널의 약한 개방자 작용만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화합물 8이 KCNQ2/3 채널을 포함하지 않는 메카니즘을 통해 뉴우런 억제 작용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개별적인 실시예로 기재된 본 발명의 특징은 단일 실시예와 조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일 실시예에 기재된 본 발명의 여러 특징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어떠한 적당한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을지라도, 당업자라면 수많은 대체, 개량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청구범위의 정신과 넓은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대체, 개량 및 변경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한 모든 공보, 특허 및 특허출원은 개별적인 공보, 특허 또는 특허 출원이 본 발명에서 참고로 하는 정도로 명세서에 도입하였다. 그 외에, 본 출원서에 언급한 참고 문헌의 인용 또는 확인은 본 발명에 대한 공지 기술이 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64)

  1. N-페닐안트라닐산, N-페닐안트라닐산 유도체, 2-벤즈이미다졸론 및 2-벤즈이미다졸론 유도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의 치료 유효량을 필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전압-의존성 칼륨 채널을 조절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I) 또는 (II),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인 방법:
    (I) (II)
    상기 식에서,
    Z는 A-G(=K)-X-Y 기이고,
    A는 알킬 또는 부재하며,
    G는 탄소, 황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K는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부재하며,
    Y는 수소, 알킬, 히드록시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잔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Q 및 W는 가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 산소, 황 및 탄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D는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은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및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및 R1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히드록시알킬, 트리할로알킬, 시클로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지환족, 할로, 히드록시, 알콕시, 아릴옥시, 티오히드록시, 티오알콕시, 티오아릴옥시, 술피닐, 술포닐, 시아노, 니트로, 아미노 및 -NR15R1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한편 R2, R3, R4, R5 및 R6 중 적어도 2개, R7, R8, R9 및 R10 중 적어도 2개 및/또는 R11, R12, R13 및 R14 중 적어도 2개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방향족, 지환족 또는 헤테로지환족 고리를 형성하고,
    R15 및 R16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카르보닐 및 술포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15 및 R16은 5-원 또는 6-원 헤테로지환족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인 및/또는 질소가 치환된 경우에, 치환기는 알킬, 시클로알킬 및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일반식(I)을 갖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Y가 히드록시알킬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잔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글리콜 잔기가 다음 일반식(III)을 갖는 방법:
    [O-(CH2)m]n-OR17 (III)
    상기 식에서, m과 n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1∼10의 정수이고, R17은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아릴이다.
  6. 제 3 항에 있어서, G가 탄소이고, K가 산소이며, R2, R3, R4,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및 트리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 R8, R9 및 R10 각각이 수소인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일반식(II)을 갖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Q 및 W가 각각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이고, 그리고 D가 산소인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Q가 각각 치환된 질소인 방법.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 화합물 1, 2, 3, 4, 5, 6, 7, 8, 9 및 10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된 전압-의존성 칼륨 채널이 KCNQ2 채널 및/또는 KCNQ3 채널 및/또는 KCNQ2/3 채널을 포함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전압-의존성 칼륨 채널을 조절하는 것이 간질, 국소빈혈 발작, 편두통, 운동실조증, 근육경련, 신경통, 알쯔하이머병, 파킨슨씨병, 노환 기억 상실증, 학습 결핍증, 양극성장애병, 삼차신경통, 경련마비, 기분장애병, 정신질환, 뇌종양, 청각 및 시각 상실증, 불안증 및 운동신경세포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병이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것인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가 비강내, 피하, 정맥, 근육내, 비경구, 경구, 국소, 피내, 기관지, 구강, 구강, 설하, 항문 및 점막으로 이루어지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더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의 일부를 형성하는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 조성물이 항균제, 산화방지제, 완충제, 장확장성 약물, 항염증제, 항바이러스제, 화학치료제 및 항히스타민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약제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N-페닐안트라닐산, N-페닐안아트라닐산 유도체, 2-벤즈이미다졸론 및 2-벤즈이미다졸론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의 치료 유효량을 필요 환자에게 투여하여 피질 뉴우런 작용을 억제하는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I) 또는 (II),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인 방법:
    (I) (II)
    상기 식에서,
    Z는 A-G(=K)-X-Y 기이고,
    A는 알킬 또는 부재하며,
    G는 탄소, 황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K는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부재하며,
    Y는 수소, 알킬, 히드록시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잔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Q 및 W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 산소, 황 및 탄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D는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은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및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및 R14 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히드록시알킬, 트리할로알킬, 시클로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지환족, 할로, 히드록시, 알콕시, 아릴옥시, 티오히드록시, 티오알콕시, 티오아릴옥시, 술피닐, 술포닐, 시아노, 니트로, 아미노 및 -NR15R1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한편 R2, R3, R4, R5 및 R6 중 적어도 2개, R7, R8, R9 및 R10 중 적어도 2개 및/또는 R11, R12, R13 및 R14 중 적어도 2개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방향족, 지환족 또는 헤테로지환족 고리를 형성하고,
    R15 및 R1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카르보닐 및 술포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15 및 R16은 5-원 또는 6-원 헤테로지환족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인 및/또는 질소가 치환된 경우에, 치환기는 알킬, 시클로알킬 및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일반식(I)을 갖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Y가 히드록시알킬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잔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글리콜 잔기가 다음 일반식(III)을 갖는 방법:
    [O-(CH2)m]n-OR17 (III)
    상기 식에서, m과 n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1∼10의 정수이고, R17은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아릴이다.
  21. 제 18 항에 있어서, G가 탄소이고, K가 산소이며, R2, R3, R4,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및 트리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 R8, R9 및 R10 각각이 수소인 방법.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일반식(II)을 갖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Q 및 W가 각각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이고, 그리고 D가 산소인 방법.
  24. 제 22 항에 있어서, Q가 각각 치환된 질소인 방법.
  25.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 화합물 1, 2, 3, 4, 5, 6, 7, 8, 9 및 10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26.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피질 뉴우런 작용을 억제하는 것이 간질, 국소빈혈 발작, 편두통, 운동실조증, 근육경련, 신경통, 알쯔하이머병, 파킨슨씨병, 노환 기억 상실증, 학습 결핍증, 양극성장애병, 삼차신경통, 경련마비, 기분장애병, 정신질환, 뇌종양, 청각 및 시각 상실증, 불안증 및 운동신경세포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병이나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것인 방법.
  2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가 비강내, 피하, 정맥, 근육내, 비경구, 경구, 국소, 피내, 기관지, 구강, 구강, 설하, 항문 및 점막으로 이루어지는 방법.
  2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더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의 일부를 형성하는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의약 조성물이 항균제, 산화방지제, 완충제, 장확장성 약물, 항염증제, 항바이러스제, 화학치료제 및 항히스타민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약제를 더 포함하는 방법.
  30. 활성 성분으로서 N-페닐안트라닐산, N-페닐안트라닐산 유도체, 2-벤즈이미다졸론 및 2-벤즈이미다졸론 유도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을 포함하고, 전압-의존성 칼륨 채널을 조절하는 것 및/또는 피부질 뉴우런 작용을 억제하는 것이 유리한, 병이나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의약 조성물.
  31. 제 30 항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I) 또는 (II)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더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I) (II)
    상기 식에서,
    Z는 A-G(=K)-X-Y 기이고,
    A는 알킬 또는 부재하며,
    G는 탄소, 황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K는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부재하며,
    Y는 수소, 알킬, 히드록시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잔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Q 및 W 각각은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 산소, 황 및 탄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D는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은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및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 R3, R4, R5, R6, R7, R8, R9, R10, R11, R12, R13 및 R1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히드록시알킬, 트리할로알킬, 시클로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지환족, 할로, 히드록시, 알콕시, 아릴옥시, 티오히드록시, 티오알콕시, 티오아릴옥시, 술피닐, 술포닐, 시아노, 니트로, 아미노 및 -NR15R1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한편 R2, R3, R4, R5 및 R6 중 적어도 2개, R7, R8, R9 및 R10 중 적어도 2개 및/또는 R11, R12, R13 및 R14 중 적어도 2개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방향족, 지환족 또는 헤테로지환족 고리를 형성하고,
    R15 및 R16은 각각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카르보닐 및 술포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15 및 R16은 5-원 또는 6-원 헤테로지환족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인 및/또는 질소가 치환된 경우에, 치환기는 알킬, 시클로알킬 및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일반식(I)을 갖는 의약 조성물.
  33. 제 32 항에 있어서, Y가 히드록시알킬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잔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의약 조성물.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렌 글리콜 잔기가 다음 일반식(III)을 갖는 의약 조성물:
    [O-(CH2)m]n-OR17 (III)
    상기 식에서, m과 n의 각각은 독립적으로 1∼10의 정수이고, R17은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아릴이다.
  35. 제 32 항에 있어서, G가 탄소이고, K가 산소이며, R2, R3, R4,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및 트리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7, R8, R9 및 R10 각각이 수소인 의약 조성물.
  36.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일반식(II)을 갖는 의약 조성물.
  37. 제 36 항에 있어서, Q 및 W가 각각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이고, 그리고 D가 산소인 의약 조성물.
  38. 제 37 항에 있어서, Q가 각각 치환된 질소인 의약 조성물.
  39.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하기 화합물 1, 2, 3, 4, 5, 6, 7, 8, 9 및 10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의약 조성물:
  40.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의존성 칼륨 채널이 KCNQ2 채널 및/또는 KCNQ3 채널 및/또는 KCNQ2/3 채널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4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병이나 질환이 간질, 국소빈혈 발작, 편두통, 운동실조증, 근육경련, 신경통, 알쯔하이머병, 파킨슨씨병, 노환 기억 상실증, 학습 결핍증, 양극성장애병, 삼차신경통, 경련마비, 기분장애병, 정신질환, 뇌종양, 청각 및 시각 상실증, 불안증 및 운동신경세포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의약 조성물.
  42. 제 30 항에 있어서, 전압-의존성 칼륨 채널 및/또는 피질 뉴우런의 변형된 작용과 관련된 병이나 질환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사용하기 위해 상기 포장재 안이나 위에 인쇄하고 포장재에 포장된 의약 조성물.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병이나 질환이 간질, 국소빈혈 발작, 편두통, 운동실조증, 근육경련, 신경통, 알쯔하이머병, 파킨슨씨병, 노환 기억 상실증, 학습 결핍증, 양극성장애병, 삼차신경통, 경련마비, 기분장애병, 정신질환, 뇌종양, 청각 및 시각 상실증, 불안증 및 운동신경세포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의약 조성물.
  44. 제 43 항에 있어서, 항균제, 산화방지제, 완충제, 장확장성 약물, 항염증제, 항바이러스제, 화학치료제 및 항히스타민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약제를 더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45. N-페닐안트라닐산 또는 그 유도체 및 히드록시알킬 잔기 또는 그에 공유결합된 폴리알킬렌 글리콜 잔기,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하는 화합물.
  46. 제 45 항에 있어서, 하기 일반식(IV)의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
    (IV)
    상기 식에서,
    Z는 A-G(=K)-X-Y 기이고,
    A는 알킬 또는 부재하며,
    G는 탄소, 황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K는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X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질소,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부재하며,
    Y는 히드록시알킬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잔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은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및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 R3, R4, R5, R6, R7, R8,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히드록시알킬, 트리할로알킬, 시클로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지환족, 할로, 히드록시, 알콕시, 아릴옥시, 티오히드록시, 티오알콕시, 티오아릴옥시, 술피닐, 술포닐, 시아노, 니트로, 아미노 및 -NR15R1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한편 R2, R3, R4, R5 및 R6 중 적어도 2개 및/또는 R7, R8, R9 및 R10 중 적어도 2개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방향족, 지환족 또는 헤테로지환족 고리를 형성하고,
    R15 및 R1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카르보닐 및 술포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15 및 R16은 5-원 또는 6-원 헤테로지환족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인 및/또는 질소가 치환된 경우에, 치환기는 알킬, 시클로알킬 및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47. 제 46 항에 있어서, 폴리알킬렌 글리콜 잔기가 다음 일반식(V)을 갖는 화합물:
    [O-(CH2)m]n-OR17 (V)
    상기 식에서, m과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10의 정수이고, R17은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아릴이다.
  48. 제 47 항에 있어서, G가 탄소이고, K가 산소이고, R2, R3, R4, R5 및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및 트리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그리고 R7, R8, R9 및 R10 각각이 수소인 화합물.
  49. 하기 화합물 3, 4, 5, 6, 7, 8 및 9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50. 활성 성분으로서 제 45항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51. 활성 성분으로서 제 46항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52. 제 51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으로서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 3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53. 제 51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으로서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 4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54. 제 51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으로서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 5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55. 제 51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으로서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 6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56. 제 51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으로서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 7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57. 제 51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으로서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 8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58. 제 51 항에 있어서, 활성 성분으로서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 9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 염을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59. N-페닐안트라닐산 또는 그 유도체를 얻는 단계; 그리고
    N-페닐안트라닐산 또는 그 유도체를 반응성 기를 말단에 갖는 히드록시알킬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응성 기가 N-페닐안트라닐산 또는 그 유도체와 에스테르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제45항의 화합물을 합성하는 방법.
  60.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결합이 카르복시 에스테르 결합, 카르복시 아미드 결합, 카르복시 티오에스테르 결합, S-카르복시 에스테르 결합, S-카르복시 티오에스테르 결합 및 S-카르복시 아미드 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61. 제 59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성 기가 히드록시, 아민 및 티오히드록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62. 제 59 항에 있어서, N-페닐안트라닐산 또는 그 유도체가 다음 일반식(VI)을 갖는 방법:
    (VI)
    상기 식에서,
    A는 알킬 또는 부재하며,
    G는 탄소, 황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인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상기 인이 치환될 때 치환기는 알킬, 시클로알킬 및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K는 산소 및 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은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및 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 R3, R4, R5, R6, R7, R8, R9 및 R10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히드록시알킬, 트리할로알킬, 시클로알킬, 알케닐, 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지환족, 할로, 히드록시, 알콕시, 아릴옥시, 티오히드록시, 티오알콕시, 티오아릴옥시, 술피닐, 술포닐, 시아노, 니트로, 아미노 및 -NR15R1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한편 R2, R3, R4, R5 및 R6 중 적어도 2개 및/또는 R7, R8, R9 및 R10 중 적어도 2개는 5-원 또는 6-원 방향족, 헤테로방향족, 지환족 또는 헤테로지환족 고리를 형성하고,
    R15 및 R16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아릴, 카르보닐 및 술포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15 및 R16은 5-원 또는 6-원 헤테로지환족 고리를 형성한다.
  63. 제 62 항에 있어서, G가 탄소이고, K가 산소이고, R2, R3, R4, R5 및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할로 및 트리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그리고 R7, R8, R9 및 R10 각각이 수소인 방법.
  64. 제 59 항에 있어서, 반응성 기를 말단에 갖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이 하기 일반식(VII)을 갖는 방법:
    V-[O-(CH2)m]n-OR17 (VII)
    상기 식에서,
    V는 히드록시, 아민 또는 티오히드록시이고,
    m 및 n은 각각 독립적으로 1∼10의 정수이고,
    R17은 수소, 알킬, 시클로알킬 또는 아릴이다.
KR1020057006856A 2002-10-21 2003-10-21 칼륨 채널 및/또는 피질 뉴우런 작용 조절제로서 유용한n-페닐안트라닐산 및/또는 2-벤즈이미다졸론의 유도체 KR200500744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41952502P 2002-10-21 2002-10-21
US60/419,525 2002-10-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493A true KR20050074493A (ko) 2005-07-18

Family

ID=32108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6856A KR20050074493A (ko) 2002-10-21 2003-10-21 칼륨 채널 및/또는 피질 뉴우런 작용 조절제로서 유용한n-페닐안트라닐산 및/또는 2-벤즈이미다졸론의 유도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553932A2 (ko)
JP (1) JP2006513154A (ko)
KR (1) KR20050074493A (ko)
AU (1) AU2003272068A1 (ko)
CA (1) CA2503075A1 (ko)
WO (1) WO200403503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32866B2 (en) 2002-10-21 2009-12-15 Ramot At Tel Aviv University Derivatives of N-phenylanthranilic acid and 2-benzimidazolone as potassium channel and/or neuron activity modulators
CN101868443A (zh) * 2007-09-20 2010-10-20 特拉维夫大学拉莫特有限公司 N-苯基邻氨基苯甲酸衍生物及其用途
GB0723794D0 (en) 2007-12-05 2008-01-16 Lectus Therapeutics Ltd Potassium ion channel modulators and uses thereof
GB0813403D0 (en) * 2008-07-22 2008-08-27 Lectus Therapeutics Ltd Potassium ion channel modulators & uses thereof
JP7448472B2 (ja) * 2017-10-09 2024-03-12 ラモット・アット・テル・アビブ・ユニバーシテイ・リミテッド カリウムイオンチャネル及びtrpv1チャネルのモジュレーター、並びにその使用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32189A (ko) * 1973-07-20 1975-03-28
JPS5095285A (ko) * 1973-12-26 1975-07-29
JPH05132431A (ja) * 1990-03-28 1993-05-28 Nippon Oil & Fats Co Ltd 高分子化薬剤およびその製造法
US5565483A (en) * 1995-06-07 1996-10-15 Bristol-Myers Squibb Company 3-substituted oxindole derivatives as potassium channel modulators
ITMI962356A1 (it) * 1996-11-13 1998-05-13 Uni Degli Studi Di Brescia D I Uso di composti derivati da molecole ad attivita' antinfiammatoria di tipo non steroideo per la prevenzione e il trattamento di
ATE344791T1 (de) * 1997-07-01 2006-11-15 Warner Lambert Co 2-(4-brom or 4-iod phenylamino)benzoesäurederivate und ihre anwendung als mek-inhibitoren
US6291442B1 (en) * 1998-02-03 2001-09-18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Pharmacological modulators of voltage-gated potassium ion channels
WO2000034248A1 (en) * 1998-12-04 2000-06-15 Neurosearch A/S New benzimidazolone-, benzoxazolone-, or benzothiazolone derivatives as ion channel modulating agents
US6472165B1 (en) * 1999-08-03 2002-10-29 Arzneimittelwerk Dresden Gmbh Modulatory binding site in potassium channels for screening and finding new active ingredients
US6713454B1 (en) * 1999-09-13 2004-03-30 Nobex Corporation Prodrugs of etoposide and etoposide analogs
US6413507B1 (en) * 1999-12-23 2002-07-02 Shearwater Corporation Hydrolytically degradable carbamate derivatives of poly (ethylene glycol)
JP2003530437A (ja) * 2000-04-13 2003-10-14 マヨ ファウンデーション フォー メディカル エデュケーション アンド リサーチ Aβ42低下物質
US6429223B1 (en) * 2000-06-23 2002-08-06 Medinox, Inc. Modified forms of pharmacologically active agents and uses therefor
US6348486B1 (en) * 2000-10-17 2002-02-19 American Home Products Corporation Methods for modulating bladder function
GB0026838D0 (en) * 2000-11-02 2000-12-20 Glaxo Group Ltd Treatment method
US6593349B2 (en) * 2001-03-19 2003-07-15 Icagen, Inc. Bisarylamines as potassium channel openers
CN101868443A (zh) * 2007-09-20 2010-10-20 特拉维夫大学拉莫特有限公司 N-苯基邻氨基苯甲酸衍生物及其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3272068A1 (en) 2004-05-04
AU2003272068A8 (en) 2004-05-04
WO2004035037A2 (en) 2004-04-29
JP2006513154A (ja) 2006-04-20
WO2004035037A3 (en) 2004-06-03
CA2503075A1 (en) 2004-04-29
EP1553932A2 (en) 200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78357B2 (en) Derivatives of N-phenylanthranilic acid and 2-benzimidazolone as potassium channel and/or neuron activity modulators
ES2729424T3 (es) Inhibidores de Rho cinasa
ES2564352T3 (es) Derivados de tranilcipromina como inhibidores de la histona-desmetilasa LSD1 y/o LSD2
ES2338539T3 (es) Pirazolamidas para uso en el tratamiento del dolor.
ES2580108T3 (es) Compuestos de isoquinolina
CN101820848B (zh) 抑制n-酰基乙醇胺水解性酸酰胺酶的组合物和方法
WO2018204765A1 (en) Methods of treating epilepsy and kcnq2 related conditions
JP2016147893A (ja) プロテアソーム活性を向上させる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CN101868443A (zh) N-苯基邻氨基苯甲酸衍生物及其用途
EP1381602A1 (en) Heterocyclyldicarbamides as caspase inhibitors
BRPI0608907A2 (pt) método de modulação de sistema de proteìna cinase ativada por estresse
KR100252605B1 (ko) 세포 유착저해제인 3-알킬옥시-, 아릴옥시-, 또는 아릴알킬옥시벤조(b)티오펜-2-카르복스아미드류
CN1994298A (zh) 氨基甲酸酯天冬氨酸特异性半胱氨酸蛋白酶抑制剂及其用途
KR20080070749A (ko) 개폐 이온 통로를 조절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JP2008501768A (ja) 新規の化合物及びテトラヒドロピリドチオフェンの使用
EP3630759A1 (fr) Composés inhibiteurs des canaux ioniques pour le traitement du cancer
ES2782357T3 (es) Inhibidores de IRE 1 alfa
EP2681209B1 (en) Compound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pain and other disorders
Volodina et al. Thiophene-2-carboxamide derivatives of anthraquinone: A new potent antitumor chemotype
ES2355421T3 (es) Agente preventivo o terapéutico para enfermedades asociadas con el virus herpes.
ES2288803B1 (es) Derivados de benzo(d)isotiazoles como inhibidores de las histonas desacetilasas.
CN108191770B (zh) 2,3-二氮杂萘酮或2,3-二氮杂萘酚衍生物及其用途
KR20050074493A (ko) 칼륨 채널 및/또는 피질 뉴우런 작용 조절제로서 유용한n-페닐안트라닐산 및/또는 2-벤즈이미다졸론의 유도체
JP2019522650A (ja) 4−(5−(4,7−ジメチルベンゾフラン−2−イル)−1,2,4−オキサジアゾール−3−イル)安息香酸の結晶形態及びそれらの調製方法
US11427531B2 (en) Modulators of potassium ion and TRPV1 channels and use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