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2537A - 조명용 유기 발광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조명용 유기 발광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2537A
KR20050062537A KR1020057002599A KR20057002599A KR20050062537A KR 20050062537 A KR20050062537 A KR 20050062537A KR 1020057002599 A KR1020057002599 A KR 1020057002599A KR 20057002599 A KR20057002599 A KR 20057002599A KR 20050062537 A KR20050062537 A KR 200500625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evice
region
organic light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2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0771B1 (ko
Inventor
마이클 해크
마이클 루 민-하오
에스. 위버 마이클
Original Assignee
유니버샬 디스플레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버샬 디스플레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버샬 디스플레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62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2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7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3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 H10K59/3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comprising red-green-blue [RGB] subpix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54Screens on or from which an image or pattern is formed, picked-up, converted, or stored; Luminescent coatings on vessels
    • H01J1/62Luminescent screens; Selection of materials for luminescent coatings on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5/00Planar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Landscapes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유기 발광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이 디바이스는 복수의 영역을 가지며, 각 영역은 서로 다른 광 스펙트럼을 방출하도록 적용되는 유기 방출층을 가진다. 영역은 조합하여 조명 목적을 위해 적합한 광을 방출한다. 각 영역의 면적은 디바이스가 동일한 크기의 영역을 가지는 기타 대등한 디바이스 보다 효율적이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 영역은 적어도 약 4의 형상비를 가질 수 있다. 소정의 주어진 영역의 모든 부분은 동일한 전류에서 구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명용 유기 발광 디바이스{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FOR ILLUMINATION}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디바이스의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유기 발광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조명원에 관한 것이다.
총 U.S. 전기 에너지 생산의 20% 이상이 발광 용도로 소비된다는 주지의 사실에서, 새로운 보다 높은 성능의 조명원의 도입에 의해 현저한 절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절감은 특히, 널리 사용되지만 매우 에너지 비효율적인 백열 광원에 비해 개선된 에너지 효율을 제공하는 소정의 대안 광원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예로서, 주거용, 상용 및 산업용 섹터에서 발광에 사용되는 에너지가 U.S.에서 5%만큼 작게 절감될 수 있다면, 연간 1억 달러 이상이 절약될 수 있다.
한 가지 대안적 광원은 Overview of High Brightness LED's and the Progress Towards High Power LED Illumination(Intertech conference, October 2001)에 기술된 바와 같이 무기 발광 다이오드(LED)이다.
Doughty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851,063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무기 발광 디바이스로 백색 광원을 달성하기 위한 시도가 이루어져 왔다.
유기 발광 디바이스(OLED)는 다수의 이유 때문에 점증적으로 바람직해지고 있다. 이런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 중 다수는 비교적 저가이며, 그래서, 유기 발광 디바이스는 무기 LED 보다 비용적 장점에 대한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 부가적으로, 그 유연성 같은 유기 재료의 고유한 특성은 이들이 가요성 기판상의 제조 같은 특정 응용분야에 매우 적합하게 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LED에 사용되는 무기 발광 재료를 조율하는 것이 보다 곤란할 수 있는 반면에, 유기 발광층이 광을 방출하는 파장은 일반적으로 적절한 도핑제로 쉽게 조율될 수 있다.
OLED는 디바이스를 가로질러 전압이 인가될 때, 광을 방출하는 얇은 유기막을 사용한다. OLED는 평판 패널 디스플레이, 조명 및 백라이팅 같은 응용분야를 위해 점증적으로 유망한 기술이 되고 있다. OLED 구성은 이중 헤테로구조, 단일 헤테로구조 및 단일 층을 포함하며, 광범위하게 다양한 유기 재료가 OLED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표적인 OLED 재료 및 구성은 본 명세서에서 그 전문을 참조하고 있는 미국 특허 제5,707,745호, 제5,703,436호, 제5,834,893호, 제5,844,363호, 제6,097,147호 및 제6,303,238호에 기술되어 있다.
하나 이상의 투명 전극이 유기 광-전자 디바이스에 유용할 수 있다. 예로서, OLED 디바이스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통해 광을 방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광 방출이 디바이스의 저면으로부터만, 즉, 단지 디바이스의 기판측을 통해서만 방출되는 OLED에 대해, 인듐 주석 산화물(ITO) 같은 투명 아노드 재료가 저면 전극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런 디바이스의 상단 전극은 투명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캐소드인 상단 전극은 높은 전기 도전성을 가지는 두꺼운 반사성 금속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투명 또는 상단 방출 OLED에 대하여, 미국 특허 제5,703,436호 및 제5,707,745호에 기술된 바와 같은 투명 캐소드가 사용될 수 있다. 저면 방출 OLED와 달리, 상단 방출 OLED는 광이 기판을 통해서가 아니라 디바이스의 상단으로만 방출되도록 불투명 및/또는 반사성 기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완전 투명 OLED는 상단 및 저면 양자 모두로 방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시, 용어 "유기 재료"는 광-전자 디바이스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폴리머 및 소 분자 유기 재료를 포함한다. 폴리머는 반복 구조 유닛의 사슬을 포함하는 유기 재료이다. 소분자 유기 재료는 실질적으로 모든 다른 유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스트립형 구성을 가지는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확산기를 가지는 도 1의 디바이스의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형광 청색 스펙트럼, 형광 녹색 스펙트럼 및 형광 적색 스펙트럼의 조합에 기초하여 산출된 합성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인광 청색 스펙트럼, 인광 녹색 스펙트럼 및 인광 적색 스펙트럼의 조합에 기초하여 산출된 합성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형광 청색 스펙트럼, 인광 녹색 스펙트럼 및 인광 적색 스펙트럼의 조합에 기초하여 산출된 합성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인광 청색 스펙트럼 및 형광 적색 스펙트럼의 조합에 기초하여 산출된 합성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도면.
유기 발광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이 디바이스는 복수의 영역을 가지며, 각 영역은 서로 다른 스펙트럼의 광을 방출하도록 적용된 유기 방출층을 가진다. 이 영역은 조합하여 조명 목적에 적합한 광을 방출한다. 각 영역의 면적은 디바이스가 동일한 크기의 영역을 가지는 기타 대등한 디바이스 보다 효율적이도록 선택될 수 있다. 영역은 적어도 약 4의 형상비를 가질 수 있다. 소정의 주어진 영역의 모든 부분은 동일 전류에서 구동될 수 있다.
유기 발광 디바이스(OLED)의 몇몇 특징은 그들을 종래의 백열 광원, 형광 광원 및 기타 광원의 대용품으로서의 조명 용도에 특히 적합하게 할 수 있다. 일부 특정 응용 분야는 백라이트, 내부 신호계, 내부 조명, 외부 조명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OLED는 이런 응용분야를 위한 다른 신흥 기술, 즉, 무기 LED 보다 우월할 수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인광 OLED는 높은 내부 및 외부 양자 효율을 가질 수 있다. 적절히 활용시, 이 효율은 종래의 백열 전구 보다 높은, 아마도 궁극적으로는 종래의 형광 전구에 비견할 만한 높은 입력대 출력 효율(wall-plug efficiency)로 변환될 수 있다. OLED를 사용하여 10 내지 10,000cd/m2 이상의 범위의 넓은 범위의 강도가 얻어질 수 있으며, 그래서, 깜박임 없이 넓은 동적 범위의 조명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OLED는 수 볼트 만큼 낮은 구동 전압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단순하고 효율적인 드라이버가 OLED 디바이스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OLED는 백열 및 형광 전구 같은 종래의 광원 보다 우월한 형상 팩터 및 컬러 관련 고려사항을 가질 수 있다. OLED는 매우 얇고, 경량이며 유연한 시트로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는 이들이 새로운 방식으로 새로운 장소에 설치될 수 있게 하고, 보다 쉽게 운반 및 저장될 수 있게 한다. OLED는 큰 면적에 걸쳐 균일할 수 있는 확산, 램버타인(Lambertain) 방출을 제공하여, 유해한 형광 전구 보다 쾌적한 광을 제공한다. OLED는 점광원인 무기 LED와는 대조적으로 넓은 방출 면적을 제공할 수 있다. 큰 면적에 걸쳐 광을 제공함으로써, OLED는 종래의 전구에 비교시 음영형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로서, 전체 벽 또는 천장이 광을 방출할 수 있다. 투명 OLED는 예로서, 역시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윈도우를 생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이런 윈도우는 예로서, 주간에 실제 윈도우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어두워진 이후 광원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OLED는 일반적으로 넓은 방출 스펙트럼을 가지며, 이는 백색광을 달성하기를 시도할 때 바람직하다. OLED를 사용하는 광원은 양호한 CIE 및 CRI 백색이 얻어질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조율가능한 컬러 성분을 가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OLED 방출 스펙트럼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광원은 맞춤화된 무드 조명을 형성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율될 수 있다. 예로서, 사용자가 예로서, 청색 또는 적색 색조를 가지는 광을 생성하도록 광의 각 성분의 양을 증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도록 다이얼 같은 제어부가 제공될 수 있다. 제어부는 또한 사용자가 광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온-오프, 색조 제어 및/또는 강도 설정은 또한 음성 제어될 수도 있다.
OLED는 그들이 근본적으로 백열 및 형광 전구와 유사한 제조 비용을 가질 수 있도록 저가의 재료로 제조된다. OLED가 박막 고상 구조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은 종래의 전구 보다 보다 강해지고, 진동 내성적이며, 안전해질 수 있다.
조명 기술 평가시 일반적으로 고려되는 인자는 제조의 용이성, 유효 수명, 전력 효율 및 광원의 품질을 포함한다. 이들 인자 중 다수는 중대한 비용 관계를 갖는다. 제조의 용이성 및 유효 수명은 광원을 구매 및 교체 또는 유지하는 비용에 영향을 미친다. 전력 효율은 전원 동작 비용에 영향을 미친다. 광원의 품질은 특정 응용분야에서의 사용을 위한 적합성에 영향을 미친다. 품질의 일부 양태는 본 기술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정량화될 수 있다. 예로서, CIE("Commission Internationale d'Eclairage")는 광의 컬러의 인지된 2-좌표 척도이다. 이상적인 백색광은 (0.33, 0.33)의 CIE를 갖는다. 백색 광원에 대하여, CRI("Color Rendering Index")는 주광에 비견할만한 기준 소스에 의해 조명될 때 동일 대상물의 컬러에 비교된, 그 광원에 의해 조명될 때 대상물이 받는 컬러 시프트의 인지된 척도이다. CRI값 범위는 0 내지 100이며, 100은 어떠한 컬러 시프트도 없는 것을 나타낸다. 밝은 태양광은 100의 CRI를 가질 수 있다. 형광 전구는 60-99의 CRI를 가지고, 수은 램프는 거의 50이며, 고압 소듐 램프는 약 20의 CRI를 가질 수 있다. 예로서, 가정 또는 사무실 조명을 위해 사용되는 램프는 일반적으로 매우 엄격한 CIE 및 CRI 요구조건을 충족하여야만 하는 반면에, 예로서, 거리 조명을 위해 사용되는 램프는 보다 관대한 CIE 및 CRI 요구조건을 받을 수 있다.
종래의 광원에 의해 형성된 표준에 기초하여, 종래의 조명을 위해 사용되는 OLED를 위한 목표는 바람직하게는 약 (0.33, 0.33)의 CIE, 바람직하게는 75 보다 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0 보다 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85 보다 큰,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0 보다 큰 CRI, 바람직하게는 약 50lm/W 보다 큰 발광 효율, 약 800cd/m2의 휘도 및/또는 20,000 시간 동작 수명을 포함한다.
그 전문이 참조로 포함되어 있는 Thompso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6,303,23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인광 OLED 기술은 매우 효율적인 OLED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인광 OLED에서, 여기자(exciton)의 거의 100%가 광으로 변환될 수 있는 반면에, 형광 OLED에서는 단지 약 25%의 여기자가 광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런 기술을 사용하여 100%에 근접하는 내부 발광 효율이 가능하며, 그 전문이 참조로 포함되어 있는 Adachi 등의 "High Efficiency Organic Electrophosphorescent Devices with tri[2-phenylpyridine]Ir Doped Into Electron Transporting Materials(J. App. Phys. 90권 10호 5048-51, 2001년 11월("Adachi"))"에 보고된 바와 같은 녹색 OLED에 대하여 예시되어 있다. 이 높은 내부 양자 효율로 인해, 인광 OLED는 전력 효율이 인자인 조명 용도에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형광 OLED로 얻을 수 있는 효율은 일반적으로 종래의 조명 기술의 효율과 경쟁할 수 없으며, 그들을 다수의 응용분야에 대하여 부적합해지게 한다. 그러나, 형광 OLED가 조명을 조명에 사용할 수 있는 상황이 있을 수 있다.
적어도 3개의 주요 인자가 OLED의 순 효율을 결정한다. 내부 양자 효율, 외부 양자 효율 및 구동 전압. 내부 양자 효율은 광을 방출하지 않는 메카니즘에 의해 붕괴되는 것에 반하여, 여기자를 형성하고 그 후 광을 방출하도록 조합하는 OLED의 방출층내의 전하 캐리어의 분율의 척도이다. 인광 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100%에 근접한 내부 양자 효율을 가능하게 한다. 외부 양자 효율은 디바이스에 의해 관찰자에게 방출되는 방출층에 의해 방출된 광의 분율의 척도이다. 외부 양자 효율은 광자가 도파, 흡광 및 기타 인자에 의해 소실되기 때문에 감소될 수 있다. 개선된 아웃커플링(outcoupling)이 외부 양자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외부 양자 효율의 일 목표는 Adachi에 의해 예시된 거의 18% 외부 양자 효율로부터 약 2의 팩터인 약 40%이다. 텍스쳐된 인터페이스 및 표면, 회절 광학 요소, 주름형 또는 조면형 인터페이스/표면, 형성된 디바이스 및 렌즈, 렌즈와 조합한 저 굴절 지수 기판 및 고굴절 기수 기판 같은 단순 광학 요소를 포함하는 다양한 기술이 개선된 외부 양자 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기술은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디바이스에서 보다 조명을 위해 사용되는 디바이스에서 매우 보다 장점을 갖도록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렌즈는 디스플레이에 사용될 때 이미지를 왜곡시키지만, 조명 응용 분야에 대해서는 이미지 왜곡은 논외의 대상이다. 구동 전압은 방출된 광자의 에너지 보다 큰 OLED의 소정의 전압 강하가 실질적으로 낭비되는 전력을 나타내기 때문에 중요하다. 구동 전압은 도핑 수송층 및 전하 캐리어의 주입을 향상시키는 층 같은 특정 기술의 사용을 통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결과적이 광원의 CRI 및 CIE에 의해 측정될 때, 양호한 품질을 달성하기 위해 줄무늬 구조가 사용된다. 줄무늬 구조는 또한 조명 응용분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백색광 같은 원하는 CRI 및 CIE 결과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별 컬러 성분 각각의 최적화를 가능하게 한다. 예로서, 각 컬러의 내부 양자 효율, 외부 양자 효율 및 구동 전압을 개별적으로 최적화하도록 서로 다른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백색광을 방출하도록 적용된 고효율 광원을 생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줄무늬 구조를 가지는 디바이스(100)를 도시한다. 기판(110)상에 제조된 제1 영역(120)은 광의 제1 스펙트럼을 방출하도록 적용되는 방출층을 가지는 OLED를 포함한다. 제1 영역(120)의 OLED는 본 기술에 공지된 소정의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된 본 기술에 공지된 소정의 적절한 OLED일 수 있다. 예로서, 단층, 단일 헤테로구조 및 이중 헤테로 구조 OLED가 사용될 수 있다. 블로킹층 및 전하 캐리어의 주입을 향상시키는 층 같은 특징부가 사용될 수 있다. 인광 OLED의 사용은 효율이 인자인 응용분야를 위해 적합하다. 그 전문이 참조로 포함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6,337,10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유기 기상 증착(OPVD)은 그 두드러진 낮은 비용으로 인해 영역(120)의 OLED를 제조하기 위한 한가지 방법이다. 제2 영역(130) 및 제3 영역(140)은 각각 광의 제2 및 제3 스펙트럼을 방출하도록 적용될 수 있으며, 제1 영역(120)의 것들과 유사한 특징부를 가질 수 있다. 영역(120, 130, 140)의 길이(폭(125, 135, 145)에 수직인 치수)는 클 수 있으며, 디바이스(100)의 원하는 크기 및 제조 기술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예로서, 디바이스(100)가 6인치 기판을 처리하도록 설계된 장비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경우, 6인치에 달하는 길이가 사용될 수 있다. 2피트 천정 패널을 위해, 적절한 장비를 사용하여 2피트에 달하는 길이가 사용될 수 있다. 보다 큰 길이도 사용될 수 있다.
제1 영역(120)의 폭(125), 제2 영역(130)의 폭(135) 및 제3 영역(140)의 폭(145)은 다수의 고려사항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한가지 고려사항은 비용이다. 일반적으로, 보다 넓은 영역이 제조가 용이하며 저렴하다. 약 0.5mm을 넘는 폭에 대하여, 복잡한 정렬 없이, 비교적 저가의 샤도우 마스킹 기술이 디바이스 제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넓은 줄무늬는 또한 그 전문이 참조로 포함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6,294,39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스탬핑 또는 그 전문이 참조로 포함되어 있는 2001년 9월 4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제60/317,21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패터닝 노즐을 통한 유기 기상 제트 증착(OVJD) 같은 다른 기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영역(120, 130, 14)을 서로 분리시키는 거리는 사용되는 패터닝 기술의 비용 및 제한을 고려하여 가능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비용과 달성되는 높은 충전 인자 사이에 절충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여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서로 다른 도핑제를 가지거나 서로 다른 재료일 수 있는 유기 방출층을 제외하면, 각 영역은 동일한 재료, 동일한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제조된다.
폭은 피치에 관련되며, 이는 줄무늬 같은 형상부의 중심간 간격이다. 피치는 광이 관찰자에게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결정하는 인자이다. 관찰자가 얼마나 멀리 있는지 및 확산기가 사용되는지 여부 같은 다른 인자와 조합하여, 피치는 광이 관찰자에게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결정한다. 서로 다른 영역이 서로 다른 컬러를 방출하는 경우에, 각 영역에 대한 눈에 의해 경계설정된 각도는 개별 컬러 성분이 식별될수 있는지 여부에 영향을 주는 인자이다. 벽상에 배치되도록 설계된 내부 조명 같은 일부 응용분야에 대해, 관찰자가 개별 컬러 성분을 해상할 수 없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그래서 작은 피치가 필요할 수 있다. 균일하게 나타나기 위해 광원을 위해 필요한 피치는 응용분야에 의해 변한다. 예로서, 경기장 조명을 위해서는 매우 큰 피치가 사용될 수 있는 반면에 내부 조명을 위해서는 보다 작은 피치가 필요할 수 있다. 다른 응용분야에 대하여, 광원이 광원을 보는 관찰자에게 나타나는 방식은 중요하지 않을 수 있다. 예로서, 산업적 설정에서, 광이 조명되는 대상물에 도달하는 시간까지 충분히 확산하는 한, 광원을 보는 관찰자가 개별 컬러 성분을 해상할 수 있는지 여부는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상황에서, 제조 비용을 경제화하기 위해, 보다 큰 폭 및 피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조명 목적에 적합한 광은 응용분야에 의존하지만,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스펙트럼을 방출하는 서로 다른 영역으로부터 발생하는 광이 조명된 대상물 또는 면적을 관찰하는 관찰자에게 명백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일부 응용 분야에 대하여, 광원 자체를 보는 관찰자가 개별 컬러 성분을 구별할 수 없는 보다 엄격한 요구조건이 있을 수 있다.
줄무늬 형상이 사용되든 그렇지 않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로서 4대 1 이상의 큰 형상비로 제조될 수 있다. 형상비는 디바이스의 패널의 가장 작은 치수에 대한 단일 발광 영역의 가장 큰 치수의 비율이다. 예로서, 폭 보다 네 배 긴 줄무늬는 4 대 1의 형상비를 가진다. 정사각형은 1 대 1의 형상비를 가진다. 큰 형상비의 사용은 큰 형상비를 가지는 영역을 구비한 디바이스가 디스플레이 같은 보다 작은 형상비를 가지는 디바이스 보다 제조가 저렴하고, 보다 적은 상호접속부를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포함하여 다수의 이유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직사각형 및 정사각형 이외의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큰 형상비는 또한 OVJD에 의한 긴 줄무늬의 증착 같은 특정 제조 기술의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으며, 여기서, 줄무늬는 노즐이 유기 재료를 배출하는 동안 기판에 대해 제트 노즐을 이동시킴으로써 기판상에 줄무늬가 효과적으로 "인쇄"된다.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단색 디스플레이에 대해 1:1의 형상비, 완전 컬러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약 3:1의 형상비를 가지며, 여기서, 각 3개 컬러 화소가 1:1의 형상비를 가질 수 있지만, 각각 약 3:1의 형상비를 가지는 세 개의 별개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약 3 대 1 보다 큰 형상비는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에 부적합하며, 그 이유는 큰 형상비가 일 방향으로의 디스플레이 해상도와 간섭하기 때문이다.
큰 피치에서도, 관찰자에 대해 균일한 컬러를 갖도록 나타나는 광은 확산기를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선 2'를 가로지른 디바이스(100)의 단면을 도시하며, 이는 관찰자에게 도달하기 이전에 광이 확산기를 통과하도록 영역(120, 130 및 140) 위에 배치된 확산기(210)를 갖는다. 확산기(210)를 통과하는 광은 영역(120, 130, 140)에 의해 방출된 광의 개별 스펙트럼이 혼합되고, 관찰자에 대해 구별불가해지도록 확산된다. 도 2에 특정하게 예시된 것 이외의 확산기를 사용하는 실시예가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확산기(210)는 영역(120, 130, 140)이 접촉할 수 있다. 광은 기판(110)을 통해, 그 후, 기판(110) 아래에 배치된 확산기를 통해 관찰자에게 방출될 수 있다. 기판(110)은 그 자체가 확산기가 될 수 있다.
확산기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감소된 외부 양자 효율, 잉여 비용을 수반하며, 확산기가 통합되는 경우 여분의 제조 단계를 수반할 수 있다. 확산기의 장점은 균일하게 나타나는 광이 보다 큰 피치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광이 균일하게 나타나는지 여부는 피치 및 눈에 의해 유지되는 각도를 포함하는 특정 응용분야에 관련된 다수의 인자에 의존할 수 있다. 보다 낮은 제조 비용 및 보다 높은 산출량 같이, 보다 큰 피치가 유리할 수 있다.
폭(125, 135, 145)은 동일할 필요는 없다. 영역(120, 130, 140)이 각각 서로 다른 광 스펙트럼을 방출하도록 적용되며, 서로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각 영역이 서로 다른 강도로 광을 방출하게 하거나, 서로 다른 구동 전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로서, 일 영역은 특히 낮은 구동 전류(그리고, 대응하여, 보다 낮은 강도)가 사용되지 않는 한 짧은 동작 수명을 갖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컬러로부터 높은 강도를 획득하는 것이 곤란하지만, 다른 컬러로부터는 높은 강도를 획득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할 수 있다. 그러나, 원하는 전체 스펙트럼을 달성하기 위해서, 특정 광속(luminous flux)(영역에 의해 방출되는 광의 총량)이 각 영역으로부터 필요할 수 있다. 각 영역의 광속은 영역의 폭을 선택함으로써, 광의 강도(단위 면적 당 광량) 또는 구동 전류를 변경하지 않고 조절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교적 낮은 강도를 보상하기 위해, 가장 큰 폭이 강도 또는 수명에 관하여 "가장 약한" 컬러에 대응하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영역에 비해, 일 영역의 구동 전류를 낮추기 위해 비교적 보다 큰 효율 이득이 존재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디바이스의 효율 및/또는 수명은 서로 다른 폭의 영역을 사용함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영역(120, 130, 140)의 OLED를 구동하는 양호한 모드는 상전류 소스로부터의 DC 모드 및 AC 모드를 포함한다. 이들 구동 모드는 수명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가 조명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주어진 영역의 모든 부분은 동일 전류 밀도로 구동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과는 달리, 이미지를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나머지와는 반대로 디바이스의 일 부분에서 보다 강렬하게 예로서, 적색 같은 하나의 색상을 방출할 필요가 없다. 결과적으로, 어드레싱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단순한 제어 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유기 광원의 효율은 시간에 따라 감소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색상은 서로 다른 속도로 열화할 수 있다. 이런 열화는 OLED에 의해 생성되는 개별 컬러 성분을 가지는 백색광의 컬러가 시간에 걸쳐 시프트하게("서로 다른 컬러 에이징")할 수 있다. 그 전문이 참조로 포함되어 있는 2002년 8월 16일자로 출원된 계류중인 특허 출원(대리인 문서 번호 10020/23101)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영역에 검광기가 통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의 영역상에 또는 부근에 배치된 상업적으로 입수할 수 있는 외부적 검광기 같은 각 컬러 성분의 강도를 감시하기 위한 다른 방법도 사용될 수 있으며, "외부적"의 의미는 영역의 일체부로서 제조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원하는 컬러가 시간에 걸쳐 유지될 수 있다. 이 감시는 디바이스(100)내의 각 컬러에 대하여 1회 수행될 수 있거나, 다수의 줄무늬가 동일한 컬러를 방출하는 경우에도 디바이스(100)의 각 개별 줄무늬에 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런 감시는 현저히 개선된 수명을 가지는 디바이스(100)를 초래할 수 있다.
디바이스(100)는 각각 적색, 녹색 및 청색을 방출하도록 적용되는 영역(120, 130, 140)을 사용하여 백색광을 방출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적색, 황색 및 청색을 각각 방출하도록 적용되는 영역 같은 다른 조합이 가능하다. 부가적으로, 3개 이상 또는 미만의 영역이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백색광을 방출하는 디바이스(100)는 청색 및 황색광을 각각 방출하는 단 두 개의 서로 다른 영역만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시, 용어 "적색", "황색", "녹색", "청색" 및 기타 컬러는 엄격히 한정되지 않는 파장의 넓은 범위를 지칭하는 의미로 매우 넓게 사용된다. 예로서, "적색" 및 "황색"은 중첩할 수 있으며, 양자 모두 오렌지의 다양한 색조를 포함할 수 있다.
폭(125, 135, 145) 및 각 컬러의 구동 전류는 또한 원하는 컬러의 광을 달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조명을 위한 일 양호한 실시예가 약 (0.33, 0.33)의 CIE 및 바람직하게는 약 7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80 이상,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약 8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0 이상의 CRI를 가지는 광을 방출하지만, 다소 옅은 색조를 가지는 무드 조명 또는 장식적 조명 같은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디바이스(100)의 서로 다른 영역(120, 130, 140)을 각각 개별 어드레싱 함으로써, 3개 영역에 의해 방출되는 컬러의 혼합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컬러의 전체 범위가 얻어질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디바이스(100)의 원하는 폭을 달성하기 위해, 영역(120, 130, 140)은 다수회 반복될 수 있다.
무기 발광 다이오드(LED)는 조명 목적에 적합할 수 있다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 Doughty의 미국 특허 제5,851,063호 참조. OLED는 다수의 관점에서 무기 LED 보다 우월하며, 서로 다른 유형의 디바이스의 사용시, 서로 다른 고려사항이 고려되어야만 한다. 무기 LED는 일반적으로, 개별 배선되어야만 하는 인산형 디바이스이며, 개별 디바이스의 크기로 인해 얻을 수 있는 충전 인자에 대한 현저한 제한을 가진다. 이들 제한은 또한 작고, 근접하게 이격된, 서로 다른 컬러를 방출하는 영역을 달성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오버헤드 조명 같은 특정 응용분야를 위해 무기 LED 기술과 함께 확산기를 사용하는 것을 피하기 곤란하거나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LED가 경성 배선 형성되기 때문에, 매트릭스 어드레싱 같은 특정 양호한 어드레싱 체계를 사용하는 것이 곤란할 수 있다. 또한, 무기 LED는 점광원이며, 다수의 조명 응용분야에 일반적으로 적합한 램버타인 방출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확산기, 앵글링(angling) 및/또는 소정의 다른 부가적인 조치가 필요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OLED는 특히, 가요성 플라스틱 기판 또는 금속 포일상에 설치시, 양호한 형상 인자를 제공하는 박막 디바이스이다. OLED는 낮은 전압으로 높은 전력 효율을 가지는 밝고, 컬러풀한 램버타인 방출기이다. OLED는 보다 낮은 비용으로, LED 보다 양호한 해상도 및 높은 충전 인자를 초래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패턴화될 수 있다. 예로서, OLED는 서로 매우 근접하게 이격 배치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를 초과, 보다 바람직하게는 70%를 초과하는 충전 인자가 달성될 수 있다. 이들 충전 인자는 실제 광을 방출하며, 조명시, 관찰자에게 나타나는 표면 영역의 비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렌즈 같은 광학 요소의 사용에 대한 필요성을 피할 수 있는 면적의 비율을 나타낸다. 이들 충전 인자는 저면 방출 디바이스에서 달성될 수 있다. 저면 방출 디바이스를 위한 50% 충전 인자는 실용적이지 못하며, 저면 방출 디스플레이를 위한 70%의 충전 인자는 수평 및 수직 방향 양자 모두의 화소 사이의 공간에 대한, 그리고, 상호접속부에 대한 필요성으로 인해, 달성할 수 없는 것으로 믿어진다. 그러나, 응용분야에 따라, 보다 낮은 충전 인자가 조명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서로 다른 컬러를 방출하는 OLED는 높은 충전 인자(그리고, 보다 낮은 피치)로 쉽게 근접 배치될 수 있으며, 그래서, 확산기를 사용하지 않고 백색광이 달성될 수 있다. OLED는 다수의 관점에서 무기 LED의 개별 배선 보다 우월한, 그 전문이 참조로 포함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6,407,408호에 개시된 것 같은 통합 버스 라인을 통해 제어될 수 있다. OLED는 무기 LED의 점 소스 방출에 대조적으로, 넓은 면적으로부터 광을 방출하며, 그래서, 무기 LED에 의해 방출되는 광을 분산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학 요소가 OLED에는 필요하지 않다. 게다가, 통상 OLED는 무기 LED 보다 넓은 방출 스펙트럼을 가지며, 이는 바람직하게 OLED가 갖는 더 높은 CRI 값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예로서, 본 발명의 도 3과 관련된 3개 영역 유기 디바이스에 대하여 약 98의 CRI가 산출되는 반면에, 그 전문이 참조로 포함되어 있는 Doughty 등에 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851,063호에 개시된 예는 4개 무기 LED 디바이스에 대하여 약 96.0, 그리고, 3개 무기 LED 디바이스에 대하여 약 86.3의 CRI를 개시한다.
가요성 OLED 및 OVPD 기술과 연계한 단순한 디바이스 구조(상술된 바와 같이)로, 현저히 보다 높은 처리량, 롤-투-롤(R/R) 처리는 OLED가 또한 조명 응용분야에서 제조 견지로부터 비용 효율적이게 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백색광을 방출할 수 있는 OLED 구조체는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구조체는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로 달성될 수 있는 최적화의 유형을 가능하게 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이전에 개시된 OLED 구조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및/또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획득할 수 있는 우월한 CIE 및 CRI값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실험
도1의 줄무늬형 구조를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백색 조명원 위에 패턴화된 필터가 배치되었다. 필터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교번적인 줄무늬로 광을 분할하였다. 0.5mm 넓이의 줄무늬를 가지는 필터는 균일한 회색으로 나타난 광을 초래하였으며, 개별 컬러 성분은 동일 방내의 관찰자에 의해 해상될 수 없었다. 5mm 폭 줄무늬를 가지는 필터에서, 동일 방내의 관찰자는개별 적색, 녹색 및 청색 줄무늬를 쉽게 구별할 수 있었다. 확산기가 5mm 넓이 줄무늬를 가지는 필터 위에 배치되었을 때, 광은 다시 한번 균일하게 회색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OLED를 위한 공지된 스펙트럼이 얻어졌다. 특히, 하기의 OLED 방출 재료에 대하여 스펙트럼이 얻어졌다.
NPD 형광 청색 4,4'-bis[N-(1-napthyl)-N-phenyl-amino]biphenyl
BAlq 형광 청색 aluminum(III)bis(2-methyl-8-quinolinato)4-
phenylphenolate
ppy7 인광 청색 Bis{2[2,4-difluor-5-trifluoromethylphenyl]-
pyridinato}Ir(III)acetylacelonate
Alq 형광 녹색 tris-(8-hydroxyquinoline)aluminum
BOIr 인광 녹색 Bis(2-phenylbenzoxazole)Iridium Acetylacetonate
PQ14 인광 녹색 Bis[(phenyl)-3methylquinolinato](acetoacetato)
Iridium (III)
PQ5 인광 적색 Bis[2-(m-mthoxyphenyl)quinolato](acetylacetonato)
Iridium(III)
도 3은 형광 청색(NPD) 스펙트럼(320), 형광 녹색(Alq) 스펙트럼(330) 및 인광 적색(PQ14) 스펙트럼(340)의 조합에 기초하여 산출된 합성 스펙트럼(310)을 도시한다. 청색, 녹색 및 적색 스펙트럼은 합성 스펙트럼(310)의 31%, 45% 및 24%를 각각 담당한다. 플롯 350은 육안으로 검출될 수 있는 광의 파장의 척도인 포토픽 영역을 도시한다. 합성 스펙트럼(310)은 98의 CRI 및 (0.345, 0.349)의 CIE를 갖는다.
도 4는 형광 청색(NPD) 스펙트럼(420), 인광 녹색(BOIr) 스펙트럼(430) 및 인광 적색(PQ14) 스펙트럼(440)의 조합에 기초하여 산출된 합성 스펙트럼(410)을 도시한다. 청색, 녹색 및 적색 스펙트럼은 합성 스펙트럼(410)의 36%, 31% 및 33%를 각각 담당한다. 플롯 450은 육안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광의 파장의 척도인 포토픽 영역을 도시한다. 합성 스펙트럼(410)은 94의 CRI 및 (0.343, 0.330)의 CIE를 갖는다.
도 5는 인광 청색(ppy7) 스펙트럼(520), 인광 녹색(BOIr) 스펙트럼(530) 및 인광 적색(PQ5) 스펙트럼(540)의 조합에 기초하여 산출된 합성 스펙트럼(510)을 도시한다. 청색, 녹색 및 적색 스펙트럼은 합성 스펙트럼(510)의 35%, 22% 및 43%를 각각 담당한다. 플롯 550은 육안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파장의 척도인 포토픽 영역을 도시한다. 합성 스펙트럼(510)은 85의 CRI 및 (0.313, 0.386)의 CIE를 갖는다.
도 6은 형광 청색 스팩트럼(620) 및 인광 적색 스펙트럼(640)에 기초하여 산출된 합성 스펙트럼(610)을 도시한다. 청색 및 적색 스펙트럼은 합성 스펙트럼(610)의 56% 및 44%를 각각 담당한다. 플롯 650은 육안에 의해 검출될 수 있는 파장의 척도인 포토픽 영역을 도시한다. 합성 스펙트럼(610)은 80의 CRI 및 (0.371, 0.392)의 CIE를 갖는다.
도 3 내지 도 6의 예는 오늘날 가용한 유기 방출 재료를 사용하는 다양한 OLED 디바이스로부터 방출 스펙트럼을 조합하여 백색광의 현저한 CIE 및 CRI값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 새로운 유기 방출 재료, 특히, 인광 재료의 현저한 개발이 현재 이루어지고 있다. 새로운 재료가 가용해질 때, 보다 양호한 CRI 및 CIE 값이 얻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소정의 경우에, 현재 가용한 재료에 기초한 산출로부터 얻어진 CIE 및 CRI 값은 모든 인광 디바이스에 대하여 85의 CRI 및 (0.313, 0.386)의 CIE 같이 현저하다. 이 산출은 98의 CRI 및 (0.33±0.02, 0.33±0.02)의 CIE를 가지는 백색광을 획득하도록 3개의 서로 다른 OLED를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물론, 바람직하게는 85,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5 보다 큰 CRI 같은 보다 낮은 CRI값은 쉽게 달성될 수 있다. 보다 높은 CRI가 일반적으로 보다 바람직하지만, 85 이상의 CRI가 일반적으로 조명을 위해 양호한 것으로 간주되며, 그래서, 이는 보다 양호한 효율, 감소된 제조 비용 또는 방출 재료의 보다 넓은 선택 같은 다른 장점을 획득하기 위해 위에 예시된 극도로 높은 98 보다 낮은 CRI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유사하게, 이 산출은 적어도 80의 CRI 및 (0.33±0.04, 0.33±0.07)의 CIE를 가지는 백색광을 획득하도록 두 개의 서로 다른 OLED로부터의 스펙트럼을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2개 스팩트럼 디바이스는 CRI 및 CIE 값이 허용할만 하기 때문에, 조명 응용분야에 유용할 수 있으며, 2-컬러 디바이스는 3-컬러 디바이스 보다 낮은 제조 비용을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정 예 및 양호한 실시예에 관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 및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본 기술의 숙련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은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예 및 양호한 실시예로부터의 변형을 포함한다. 일부 특정 실시예가 설명 및 개별 청구되어있지만, 본 명세서에 설명 및 청구된 실시예의 다양한 특징은 조합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33)

  1. 유기 발광 디바이스에 있어서,
    서로 다른 광 스펙트럼을 방출하도록 적용된 유기 방출층을 각각 가지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은 조합하여 조명 목적에 적합한 광을 방출하며,
    각 영역의 면적은 상기 디바이스가 같은 크기의 영역을 가지는 다른 대등한 디바이스 보다 효율적이도록 선택되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3개의 서로 다른 광 스펙트럼을 방출하도록 적용된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영역에 의해 방출된 스펙트럼은 조합하여 적어도 80의 CRI를 갖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에 의해 방출된 스펙트럼은 조합하여 적어도 95의 CRI와 (0.33±0.02, 0.33±0.02)의 CIE를 갖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에 의해 방출된 스펙트럼은 조합하여 적어도 98의 CRI를 갖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2개의 서로 다른 광 스펙트럼을 방출하도록 적용된 영역이 존재하고, 상기 영역에 의해 방출된 광은 조합하여 적어도 80의 CRI와, (0.33±0.04, 0.33±0.07)의 CIE를 갖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모든 영역에 의해 방출된 스펙트럼의 조합은 확산기를 사용하지 않고 관찰자에게 백색으로 나타나는 광을 초래하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 부근에 배치된 확산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의 상대 면적은 최저 기대 수명을 가지는 영역의 수명을 향상시키도록 선택되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의 상대 면적은 최소 효율 영역의 광속(luminous-flux)을 향상시키도록 선택되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제1 스펙트럼은 적색이고, 상기 광의 제2 스펙트럼은 녹색이며, 상기 광의 제3 스펙트럼은 청색인 유기 발광 디바이스.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은 각 영역의 유기 방출층이 디바이스 효율을 최적화하도록 선택된 전류에서 구동될 때, 상기 영역에 의해 방출된 스펙트럼의 조합이 적어도 95의 CRI 및 (0.33±0.02, 0.33±0.02)의 CIE를 가지는 광을 초래하도록 하는 면적을 가지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의 소정의 서로 다른 에이징(aging)을 보정하기 위해 각 영역을 통과하는 전류를 개별 제어하도록 적용되는 컬러 보정 회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보정 회로는 서로 다른 영역과 통합된 검광기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보정 회로는 서로 다른 영역 외부의 검광기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15. 제 1 항에 있어서, 각 영역은 상전류 소스로부터 DC 모드로 구동되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조명을 제공하도록 적용되는 광원에 통합되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층 중 적어도 하나는 인광성인 유기 발광 디바이스.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의해 방출된 광은 음성 명령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투명한 유기 발광 디바이스.
  20.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방출된 광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21.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방출된 광의 색조를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22.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 기상 제트 증착이 상기 유기 발광 디바이스의 유기층을 증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23. 제 1 항에 있어서, 각 영역은 각 영역의 유기 방출층을 제외하면 동일 재료 및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제조되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저면 방출 디바이스이고, 디바이스의 표면적의 적어도 50%가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표면적의 적어도 70%가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26. 유기 발광 디바이스에 있어서,
    (a) 광의 제1 스펙트럼을 방출하도록 적용되는 유기 방출층을 가지는 제1 영역,
    (b) 광의 제2 스펙트럼을 방출하도록 적용되는 유기 방출층을 가지는 제2 영역,
    (c) 광의 제3 스펙트럼을 방출하도록 적용되는 유기 방출층을 가지는 제3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은 조합하여 조명 목적에 적합한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27. 유기 발광 디바이스에 있어서,
    (a) 광의 제1 스펙트럼을 방출하도록 적용되는 유기 발광층을 가지는 제1 영역,
    (b) 광의 제2 스펙트럼을 방출하도록 적용되는 유기 발광층을 가지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은 조합하여 조명 목적에 적합한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영역에 의해 방출된 스펙트럼의 조합은 적어도 80의 CRI 및 (0.33±0.04, 0.33±0.07)의 CIE를 가지는 광을 초래하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29.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제1 스펙트럼은 청색이고, 상기 광의 제2 스펙트럼은 황색인 유기 발광 디바이스.
  30. 유기 발광 디바이스에 있어서,
    각각 서로 다른 광 스펙트럼을 방출하도록 적용되는 유기 방출층을 가지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은 조합하여 조명 목적을 위해 적합한 광을 방출하며,
    상기 영역은 적어도 4 대 1의 형상비를 가지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31. 유기 발광 디바이스에 있어서,
    각각 서로 다른 광 스펙트럼을 방출하도록 적용되는 유기 방출층을 가지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은 조합하여 조명 목적을 위해 적합한 광을 방출하며,
    소정의 주어진 영역의 모든 부분은 모두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류 밀도에서 구동되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32. 유기 발광 디바이스에 있어서,
    각각 서로 다른 광 스펙트럼을 방출하도록 적용되는 유기 방출층을 가지는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영역은 조합하여 조명 목적을 위해 적합한 광을 방출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저면 방출 디바이스이며, 상기 디바이스의 표면적의 적어도 70%가 광을 방출하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33. 각각 서로 다른 광 스펙트럼을 방출하도록 적용되는 유기 방출층을 가지는, 기판상에 배치된 복수의 영역과,
    상기 복수의 영역 각각으로부터 출력된 상대적 광을 조절하기 위해 기판상에 배치된 수단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KR1020057002599A 2002-08-16 2003-08-18 조명용 유기 발광 디바이스 KR101100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219,759 2002-08-16
US10/219,759 US7663300B2 (en) 2002-08-16 2002-08-16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for illumination
PCT/US2003/025863 WO2004017678A2 (en) 2002-08-16 2003-08-18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for illumin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2537A true KR20050062537A (ko) 2005-06-23
KR101100771B1 KR101100771B1 (ko) 2012-01-02

Family

ID=31714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2599A KR101100771B1 (ko) 2002-08-16 2003-08-18 조명용 유기 발광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663300B2 (ko)
EP (2) EP1576854B1 (ko)
JP (2) JP4712382B2 (ko)
KR (1) KR101100771B1 (ko)
CN (2) CN101662860A (ko)
AU (1) AU2003263901A1 (ko)
WO (1) WO200401767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7907B2 (en) 2012-12-07 2017-10-03 Lg Display Co., Ltd. Lighting apparatus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15788B2 (ja) * 2002-09-17 2008-07-09 日本放送協会 有機発光材料、有機発光素子およびこ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
JP4531342B2 (ja) * 2003-03-17 2010-08-25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白色有機発光素子および発光装置
DE102004053735A1 (de) * 2004-11-06 2006-05-11 Saurer Gmbh & Co. Kg Garnsensor
TW200634801A (en) * 2004-11-17 2006-10-01 Hitachi Maxell Optical information-recording medium
US9041851B2 (en) * 2005-11-15 2015-05-26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Organic electronic detectors and methods of fabrication
US7498603B2 (en) * 2006-12-06 2009-03-03 General Electric Company Color tunable illumination source and method for controlled illumination
US20080137008A1 (en) * 2006-12-06 2008-06-12 General Electric Company Color tunable oled illumination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ed display illumination
US7652280B2 (en) 2007-04-11 2010-01-26 General Electric Company Light-emitting device and article
US7898176B2 (en) * 2007-09-28 2011-03-01 General Electric Company Fluidic thermal management article and method
US7742673B2 (en) 2007-09-28 2010-06-22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al mangement article having thermal wave guide
US8058802B2 (en) * 2007-09-28 2011-11-15 General Electric Company Thermal management article and method
WO2009101579A1 (en) * 2008-02-13 2009-08-20 Philips Intellectual Property & Standards Gmbh Lighting device with variable beam characteristics
TW201010157A (en) * 2008-06-26 2010-03-01 Du Po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uminaires
KR20110033249A (ko) * 2008-06-26 2011-03-30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유기 발광 다이오드 조명기구
TW201014452A (en) * 2008-08-19 2010-04-01 Plextronics Inc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devices
WO2010022105A2 (en) * 2008-08-19 2010-02-25 Plextronics, Inc.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products
WO2010022102A2 (en) * 2008-08-19 2010-02-25 Plextronics, Inc. User configurable mosaic light emitting apparatus
WO2010022104A2 (en) 2008-08-19 2010-02-25 Plextronics, Inc.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systems
US8827488B2 (en) 2008-10-01 2014-09-09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LED display architecture
US20100225252A1 (en) 2008-10-01 2010-09-09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Novel amoled display architecture
US9385167B2 (en) 2008-10-01 2016-07-05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LED display architecture
US20100244735A1 (en) * 2009-03-26 2010-09-30 Energy Focus, Inc. Lighting Device Supplying Temporally Appropriate Light
WO2011001350A1 (en) * 2009-07-01 2011-01-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 V. Light emitting device based on oleds
TW201117652A (en) * 2009-08-24 2011-05-16 Du Pont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uminaires
JP2013502742A (ja) * 2009-08-24 2013-01-24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有機発光ダイオード照明器具
JP5779581B2 (ja) * 2009-08-24 2015-09-16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E.I.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有機発光ダイオード照明器具
CN102484218A (zh) * 2009-08-24 2012-05-30 E.I.内穆尔杜邦公司 有机发光二极管灯具
CN102484214A (zh) * 2009-08-24 2012-05-30 E.I.内穆尔杜邦公司 有机发光二极管灯具
JP5726877B2 (ja) * 2009-08-24 2015-06-03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E.I.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有機発光ダイオード照明器具
US8674343B2 (en) 2009-10-29 2014-03-1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having white light emission
US20110260141A1 (en) * 2009-10-29 2011-10-27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uminaires
US20110260603A1 (en) * 2009-10-29 2011-10-27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Organic light-emitting diode luminaires
EP2494624A4 (en) * 2009-10-29 2014-01-08 Du Pont LIGHT PANELS WITH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US10581020B2 (en) 2011-02-08 2020-03-03 Vitro Flat Glass Llc Light extracting substrate f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US8334545B2 (en) * 2010-03-24 2012-12-1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LED display architecture
US8564001B2 (en) * 2010-05-21 2013-10-22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lighting panel
US9698140B2 (en) 2011-01-12 2017-07-04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LED lighting device with short tolerant structure
CN106847863B (zh) 2011-01-12 2021-01-01 环球展览公司 具有短路容许结构的oled照明装置
CN104039731B (zh) 2012-01-10 2017-06-06 Vitro可变资本股份有限公司 具有低薄膜电阻、光滑表面和/或低热发射率的涂覆的玻璃
GB201200823D0 (en) * 2012-01-18 2012-02-29 Cambridge Display Tech Ltd Electroluminescence
BE1020676A3 (fr) * 2012-05-08 2014-03-04 Agc Glass Europe Dispositif photonique organique.
TW201349608A (zh) * 2012-05-28 2013-12-01 Ultimate Image Corp 有機發光二極體平面照明裝置
US9420662B2 (en) 2012-09-05 2016-08-16 Pioneer Corporation Light-emitting device
US8957579B2 (en) 2012-09-14 2015-02-17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Low image sticking OLED display
US9312503B2 (en) * 2014-05-13 2016-04-12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Green light iridium (III) complex and a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US9936560B2 (en) * 2014-06-26 2018-04-03 Nec Lighting, Ltd. Organic EL panel control device, light source device, organic EL panel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6527696B2 (ja) * 2014-12-25 2019-06-05 株式会社カネカ 照明付き鏡
US10263050B2 (en) 2015-09-18 2019-04-16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Hybrid display
US9818804B2 (en) * 2015-09-18 2017-11-14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Hybrid display
WO2017058759A1 (en) * 2015-10-01 2017-04-06 Ipm Products Manufacturing, Inc Insect control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JP6282328B2 (ja) * 2016-09-26 2018-02-2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装置
KR102369676B1 (ko) 2017-04-10 2022-03-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제조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0745A (en) * 1896-11-03 Island
US5356673A (en) * 1991-03-18 1994-10-18 Jet Process Corporation Eva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gas jet deposition of thin film materials
US5294870A (en) * 1991-12-30 1994-03-15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multicolor image display device
US5707745A (en) 1994-12-13 1998-01-13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Multicol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US5703436A (en) * 1994-12-13 1997-12-30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Transparent contacts for organic devices
US5844363A (en) * 1997-01-23 1998-12-01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 Vacuum deposited, non-polymeric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US5851063A (en) * 1996-10-28 1998-12-22 General Electric Company Light-emitting diode white light source
US5834893A (en) * 1996-12-23 1998-11-10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High efficiency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with light directing structures
US6441943B1 (en) * 1997-04-02 2002-08-27 Gentex Corporation Indicators and illuminators using a semiconductor radiation emitter package
US6303238B1 (en) * 1997-12-01 2001-10-16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OLEDs doped with phosphorescent compounds
US6165554A (en) * 1997-11-12 2000-12-26 Jet Process Corporation Method for hydrogen atom assisted jet vapor deposition for parylene N and other polymeric thin films
US6337102B1 (en) * 1997-11-17 2002-01-08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Low pressure vapor phase deposition of organic thin films
JP2000036386A (ja) * 1998-07-16 2000-02-02 Alps Electric Co Ltd 白色発光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0043497A (ja) * 1998-08-04 2000-02-15 Fujix:Kk 電飾装置
US6097147A (en) * 1998-09-14 2000-08-01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Structure for high efficiency electroluminescent device
US6384529B2 (en) * 1998-11-18 2002-05-07 Eastman Kodak Company Full color active matrix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having an integrated shadow mask
JP2000231992A (ja) * 1999-02-09 2000-08-22 Stanley Electric Co Ltd 面光源装置
US6498592B1 (en) * 1999-02-16 2002-12-24 Sarnoff Corp. Display tile structure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materials
US6680569B2 (en) * 1999-02-18 2004-01-20 Lumileds Lighting U.S. Llc Red-deficiency compensating phosphor light emitting device
US6351069B1 (en) * 1999-02-18 2002-02-26 Lumileds Lighting, U.S., Llc Red-deficiency-compensating phosphor LED
US6366025B1 (en) 1999-02-26 2002-04-02 Sanyo Electric Co., Lt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apparatus
JP3670923B2 (ja) * 1999-02-26 2005-07-13 三洋電機株式会社 カラー有機el表示装置
US6584439B1 (en) * 1999-05-21 2003-06-24 Winbond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voice controlled devices
US6366017B1 (en) * 1999-07-14 2002-04-02 Agilent Technologies, Inc/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with distributed bragg reflector
TW468283B (en) * 1999-10-12 2001-12-11 Semiconductor Energy Lab EL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6294398B1 (en) * 1999-11-23 2001-09-25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Method for patterning devices
TW480727B (en) * 2000-01-11 2002-03-2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ro Semiconductor display device
JP4145495B2 (ja) * 2000-01-11 2008-09-0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表示装置、コンピュータ、ビデオカメラ、デジタルカメラ、ゴーグル型ディスプレイ、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音響再生装置、ゲーム機器、携帯情報端末、及び画像再生装置
US6700322B1 (en) 2000-01-27 2004-03-02 General Electric Company Light source with organic layer and photoluminescent layer
JP2001313172A (ja) * 2000-02-25 2001-11-09 Seiko Epson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白色光源、及びその製造方法
JP4406490B2 (ja) * 2000-03-14 2010-01-27 株式会社朝日ラバー 発光ダイオード
US6661029B1 (en) * 2000-03-31 2003-12-09 General Electric Company Color tunable organic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
US6580224B2 (en) 2000-06-05 2003-06-17 Kabushiki Kaisha Toshiba Backlight for color liquid crystal,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 element for backlight of color liquid crystal device
JP4939697B2 (ja) * 2000-06-05 2012-05-30 株式会社東芝 カラー液晶用バックライト、カラー液晶表示装置、およびカラー液晶バックライト用el発光素子
US6838819B2 (en) * 2000-06-19 2005-01-04 Lg Electronics Inc. Full color organic EL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riving circuit thereof
JP2002043633A (ja) * 2000-07-25 2002-02-08 Stanley Electric Co Ltd 白色発光ダイオ−ド
US6515314B1 (en) * 2000-11-16 2003-02-04 General Electric Company Light-emitting device with organic layer doped with photoluminescent material
JP2002164170A (ja) 2000-11-27 2002-06-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白色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パネル
JP2002184581A (ja) 2000-12-13 2002-06-28 Sanyo Electric Co Ltd 有機発光素子
US6703780B2 (en) * 2001-01-16 2004-03-09 General Electric Company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a ceramic output coupl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407408B1 (en) * 2001-03-12 2002-06-18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Method for patterning devices
DE10145492B4 (de) * 2001-09-14 2004-11-11 Novaled Gmbh Elektrolumineszente Lichtemissionseinrichtung, insbesondere als Weißlichtquelle
US6680578B2 (en) * 2001-09-19 2004-01-20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ight source
US6863997B2 (en) * 2001-12-28 2005-03-08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White light emitting OLEDs from combined monomer and aggregate emission
US6869695B2 (en) * 2001-12-28 2005-03-22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White light emitting OLEDs from combined monomer and aggregate emission
JP2003288984A (ja) * 2002-03-27 2003-10-10 Nippon Seiki Co Ltd 有機elパネル
US20030184218A1 (en) 2002-03-28 2003-10-02 Randolph C. Brost Displaying selected images using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US6690120B2 (en) 2002-05-10 2004-02-10 Frank Joseph Oskorep Year-round decorative lights with selectable holiday color schemes
CA2427559A1 (en) * 2002-05-15 2003-11-15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White color light emitting device
JP2003330392A (ja) * 2002-05-17 2003-11-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照光ユニット
US6885025B2 (en) 2003-07-10 2005-04-26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structures for obtaining chromaticity stability
US7211823B2 (en) 2003-07-10 2007-05-01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structure for obtaining chromaticity stabilit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7907B2 (en) 2012-12-07 2017-10-03 Lg Display Co., Ltd. Lighting apparatus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17678A3 (en) 2005-10-06
EP1576854B1 (en) 2014-07-02
US7663300B2 (en) 2010-02-16
KR101100771B1 (ko) 2012-01-02
CN101662860A (zh) 2010-03-03
US8100734B2 (en) 2012-01-24
AU2003263901A1 (en) 2004-03-03
WO2004017678A2 (en) 2004-02-26
JP2010272886A (ja) 2010-12-02
EP2610887A3 (en) 2014-10-01
AU2003263901A8 (en) 2004-03-03
JP5241783B2 (ja) 2013-07-17
CN100533636C (zh) 2009-08-26
EP2610887A2 (en) 2013-07-03
EP2610887B1 (en) 2019-04-17
CN1754242A (zh) 2006-03-29
EP1576854A2 (en) 2005-09-21
JP4712382B2 (ja) 2011-06-29
US20070029906A1 (en) 2007-02-08
US20040032205A1 (en) 2004-02-19
JP2006504231A (ja) 2006-02-02
EP1576854A4 (en) 201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771B1 (ko) 조명용 유기 발광 디바이스
US8866416B2 (en) Illumination source using LEDs and OLEDs
JP2020123592A (ja) 長寿命および低消費電力のrgbw oledディスプレイ
Gu et al. A metal-free, full-color stacke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KR20110063087A (ko) 유기 발광 장치
JP2008530810A (ja) パターニングされた発光層厚を持つoled装置
JP2003187978A (ja) 白色光投射可能な有機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27941A (ko) 유기 전계 발광원
Jiang et al. Fabrication of color tunabl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by an alignment free mask patterning method
US10839734B2 (en) OLED color tuning by driving mode variation
US9016894B2 (en) Color mixing using the reflective properties of OLEDs
KR101877195B1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의 구동 방법
JP3786023B2 (ja) 有機el素子
JP2004127602A (ja) 発光素子
JP5857006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及び照明装置
US10038167B2 (en) Thick-ETL OLEDs with sub-ITO grids with improved outcoupling
US9018660B2 (en) Lighting devices
US20110241046A1 (en) Light Emitting Device Having Peripheral Emissive Region
WO2018124240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照明装置、ディスプレイ装置
D'Andrade et al. White phosphorescent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for display applications
CN115241252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070025891A (ko) 백색 형광막을 이용한 백색 발광용 무기 전계발광소자, 백색 발광 장치 및 조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