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8880A - 기포생성기능을 가지는 음료수 병 - Google Patents

기포생성기능을 가지는 음료수 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8880A
KR20050058880A KR1020030090876A KR20030090876A KR20050058880A KR 20050058880 A KR20050058880 A KR 20050058880A KR 1020030090876 A KR1020030090876 A KR 1020030090876A KR 20030090876 A KR20030090876 A KR 20030090876A KR 20050058880 A KR20050058880 A KR 20050058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main body
bottle
bubble generating
gener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0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공종일
Original Assignee
공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종일 filed Critical 공종일
Priority to KR1020030090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8880A/ko
Publication of KR20050058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88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65D85/7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with means specially adapted for effervescing the liquids, e.g. for forming bubbles or beer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 본체의 하단부에 기포생성부재를 구비하여 음용 후, 또는 본체를 흔들 때 마다 기포가 발생하도록하여 시각적으로 신선함과 청량감을 느낄 수 있도록하는 기포생성 기능을 가지는 음료수용 병에 관한 것으로, 음료가 담아지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수용공간의 하단부에 중앙의 평활면과 이 평활면으로부터 외단으로 연장된 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이들 각각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격벽; 상기 격벽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상단이 본체와 연결됨과 아울러 내부에 설치공간을 갖는 커버; 상기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면과 이 상면과 측벽을 연결하는 경사부 각각에 다수의 침투공이 형성된 기포생성부재;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기포생성기능을 가지는 음료수 병{beverage bottle having function for bubble production}
본 발명은 기포 생성 기능을 가지는 음료수 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병 본체의 하단부에 기포생성부재를 구비하여 음용 후, 또는 본체를 흔들 때마다 기포가 발생하도록하여 시각적으로 신선함과 청량감을 느낄 수 있도록하는 기포생성 기능을 가지는 음료수용 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음료는 용기 즉, 합성수지 또는 유리병 등에 담아진 상태로 유통, 판매된다. 이러한 음료수 중 특히 콜라나 사이다와 같은 탄산음료는 무해한 식용 탄산가스가 포함되어 음용시 입안을 자극함과 아울러 시각적으로 시원함을 느끼도록하고 있다.
다시 말해, 이러한 탄산음료는 생산 과정에서 소정의 압력으로 탄산가스를 주입한 상태에서 마개로 개방부를 막아 탄산가스의 유출을 방지함과 아울러 마개를 개방하는 순간 그 압력차로 인해 기포가 발생하도록 하여 시각적으로 청량감을 느끼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탄산음료는 기포 발생량이 극히 제한되어 연속 반복적인 기포 발생이 어렵고, 따라서 잔여한 음료의 섭취시에는 섭취 의욕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탄산음료용으로 탄산가스를 자극하여 지속적으로 기포가 발생하도록하는 용기가 개발되고 있다. 예컨데, 음료를 따라 마시는 과정에서 바닥이 평활면인 종래의 컵으로는 음료를 따르는 과정에서만 압력차로 인하여 기포가 발생하고, 음용시에는 기포가 발생하지 않게됨으로써, 시각적으로 섭취 의욕이 저하됨에 따라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컵 바닥에 요철부를 두어 음용시 탄산가스를 자극하여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컵은 탄산음로에만 제한되어 다른 음료는 별다른 소용이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탄산음료가 아닌 다른 음료의 경우에는 음료가 가지는 고유의 색깔이외에는 시각적으로 별다른 특징이 없어 음용시 시원함을 느끼기 어렵고, 이들 음료가 담아지는 용기 또한 별다른 장치가 없어 혹한기 시각적으로 신선함이나 청량감을 느끼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병본체의 하단부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두고, 이 공간에 기포발생부재를 설치하여 음용 후, 공간에 유입된 공기가 음료수에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여 시각적으로 청량감 및 신선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기포생성기능을 가지는 음료수병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 바닥에 충진된 공기가 압력차에 의해 강제로 음료에 주입되도록하여 연속 반복적으로 기포가 발생하도록함으로써, 탄산가스의 포함 유무에 관계없이 신선하고, 청량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기포발생기능을 가지는 음료수병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정 용량으로 이루어진 휴대용 혹은 대형 생수통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한 즉, 범용성이 우수하며 간단한 구조로 기포를 생성할 수 있는 음료수병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포를 생성하는 기포 생성부재를 맥반석으로 제작하여 인체에 유익한 물질이 음료에 포함되도록하여 음용자의 이롭게 할 수 있는 음료수병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음료가 담아지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수용공간의 하단부에 중앙의 평활면과 이 평활면으로부터 외단으로 연장된 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이들 각각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격벽; 상기 격벽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상단이 본체와 연결됨과 아울러 내부에 설치공간을 갖는 커버; 상기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면과 이 상면과 측벽을 연결하는 경사부 각각에 다수의 침투공이 형성된 기포생성부재;로 구성된 기술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 병의 일측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 병의 전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음료수 병(1)은 합성수지 및 유리 등 재질에 관계없이 적용될 수 있으며, 적당한 용량으로 제작되어 휴대할 수 있거나 혹은 정수기에 설치되는 대형 생수통 등 그 용량에도 구애됨이 없다. 물론, 상기한 병(1)은 투명체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음료수 병(1)은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음료가 담아지는 수용공간(11)을 가지는 본체(10)와, 상기 수용공간(11)의 하단부에 설치되는 격벽(20)과, 상기 격벽(20)의 하단 즉 본체(10)의 하단부를 밀폐하며 그 내부에 설치공간(13)을 가지는 커버(12)와, 상기 커버(12)의 설치공간(13)에 설치되는 기포생성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체의 합성수지 및 유리로 적당한 용량 예를 들어 ㎖, 혹은 ℓ 단위로 성형됨이 바람직하고, 상부측 개방부는 뚜껑(2)에 의해 막아지며, 표면에는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인쇄층이 갖추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마련된 수용공간(11)의 하단부에는 격벽(20)이 설치되는데, 이 격벽(20)은 음료가 그 하부측에 다시 말해, 커버(12) 내측의 공기층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중앙의 평활면(21)을 중심으로 외단이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사면(22)으로 구성되며, 여기에는 다수의 구멍(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멍(23)은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며, 경사면(22)의 경우 하단으로부터 상단의 구멍(23)이 점차 작아지는 구성으로, 이는 경사면(22)을 따라 흐르는 음료가 공기층의 외측으로부터 내부로 채워지도록 하여 공기가 음료에 용이하게 침투되도록 한다. 물론 이러한 구성은 효과적으로 기포가 발생하도록 하기 위함으로 다른 실예 예컨데, 동일한 크기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커버(12)는 격벽(20)의 하부측에 조립되며, 내부에 설치공간(13)을 두어 여기에 기포생성부재(30)가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20)는 그 상단이 본체(10)의 하단에 기밀을 유지한 상태로 조립되도록 하되, 나사 혹은 끼워맞춤방식 또는 융착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기포생성부재(30)는 백반석을 구워 만든 것으로, 대략 마름모꼴로 구성되며, 평단면은 원형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기포생성부재(30)의 상부 즉 상면(31)과 이 상면(31)과 연이어진 경사부(32) 각각에는 상기 격벽(20)과 마찬가지로 다수개의 공기 침투공(33)이 형성되며, 이 경사부(32)의 하단으로 연장된 측벽(34)은 일정한 높이를 가지고, 커버(12)의 내측에 안착됨으로써, 그 내부에 공간에 공기가 충진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격벽(20)와 기포생성부재(30) 사이에는 공기가 잔류하는 공기 잔류공간(40)이 형성되어 이를 통해 공기 음료에 침투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 음료수병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음료수병(1)은 격벽(20)이 설치된 본체(10)의 하단부에, 그 내측에 기포생성부재(30)가 갖추어진 커버(12)를 조립하되, 이때 기포생성부재(30)와 격벽(20) 사이에는 공기 잔류공간(40)이 형성된 상태이고, 커버(12)와 본체(10)의 연결부위는 기밀을 유지하여 음료의 유출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10)의 내부에 음료 즉 생수, 청량음료, 탄산음료, 또는 과일음료 등을 담고 마개(10a)로 그 내부를 밀폐하여 이동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음료는 제조과정 혹은, 음용자가 직접 충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병(1)에 담아진 음료를 음용하는 경우, 먼저 음용자는 마개(10a)를 개방하여 본체(10)를 기울이며 음료를 음용하게 되는데, 이때 음료가 채워지지 않은 공간을 통해, 기포생성부재(30)의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 충진된다.
음용 후, 음용자가 본체(10)를 세우게 되면 음료는 순간적으로 공기를 차단함과 아울러, 격벽(20)을 따라 흐르면서 커버(12)측으로 유입되어 커버(12)의 외측으로부터 내측 그리고, 저부측에서 상부측으로 점차 채워지게 된다.
다시 말해, 음료는 격벽(20)의 경사면(22)과 그리고 저부의 구멍(23)이 상부보다 크게 구성되어 상부 즉 평활면(21) 보다는 순간적으로 많은 량이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되는 음료는 내부 공기를 상부측으로 밀어낸다.
이와 같이 기포발생부재(30)의 내측공간에 충진된 공기는 상부로 이동하여 1차 침투공을 빠져나가면서 유속이 빨라진 상태로 잔류공간(40)에 위치하게 되고, 이 과정이 연속되면서 공기는 다시 격벽(20)에 형성된 구멍(23)을 통해 음료에 침투하게 된다.
음료에 침투한 공기는 침투공(33)과 구멍(23)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며 압력 즉 유속이 빨라져 음료의 표면장력에 영향을 주고, 그에 따라 기포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기포발생 현상은 음료를 완전히 마실 때까지 연속,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기포생성부재를 구성하는 맥반석의 유익한 성분을 음료에 효과적으로 포함시켜 음용자의 인체에 도움을 주는 동시에, 음료에 다량의 공기가 연속적으로 포함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것이다.
첨부되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이 휴대용이 아닌 대용량 예를 들어 정수기에 설치되는 생수통에 적용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예는 생수통(10a)의 상단부에 평활면(21a)과 경사면(22a)으로 구성된 격벽(20a)을 설치하되, 이 격벽(20a)에 다수개의 구멍(23a)이 형성됨과 아울러, 이 격벽(20a)과 연이어 커버(12a)가 설치된 구성이다.
상기 커버(12a)는 생수통(10a)에 끼워맞춤 혹은 일체로 성형되는 구성으로, 그 내측에 기포생성부재(30a)가 설치된다. 상기 기포생성부재(30a)는 생수통(10a)의 설치 즉, 정수기에 뒤집어 올려 놓았을 때, 격벽(20a)과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연결부재(30b)에 의해 커버(12a)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정수기에 설치되어 생수를 음용하는 과정에서 기포가 발생하도록 하여 항상 신선함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본체의 하단부에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공간을 두고, 이 공간에 기포생성부재를 설치하여 음용 후, 공간에 유입된 공기가 음료수에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기포가 발생되도록 하여 시각적으로 청량감 및 신선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소정 용량으로 이루어진 휴대용 혹은 대형 생수통에 관계없이 적용이 가능한 즉, 범용성이 우수한 발명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포를 생성하는 기포 생성부재를 맥반석으로 제작하여 인체에 유익한 물질이 음료에 포함되도록하여 음용자의 이롭게 할 수 있는 음료수병이다. 또, 본 발명의 음료수병에 담아진 음료는 음용 과정에서 다량의 공기가 음료에 포함되게 됨으로써, 인체에 건강에 유익한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 병의 일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수 전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 확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병 10 : 본체
20 : 바닥 22 : 경사면
23 : 기포 유입공 30 : 기포생성부재
31 : 상판 32 : 경사부
33 : 기포 발생공

Claims (3)

  1. 음료가 담아지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수용공간의 하단부에 중앙의 평활면과 이 평활면으로부터 외단으로 연장된 경사면으로 구성되며, 이들 각각에 다수개의 구멍이 형성된 격벽;
    상기 격벽의 하부측에 위치하며 상단이 본체와 연결됨과 아울러 내부에 설치공간을 갖는 커버;
    상기 커버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면과 이 상면과 측벽을 연결하는 경사부 각각에 다수의 침투공이 형성된 기포생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포생성 기능을 가지는 음료수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형성된 구멍은 경사면 하방으로 상부측 구멍이 점차 작아지는 것을 포함하는 기포생성 기능을 가지는 음료수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생성부재는 평활의 상면 외단에 소정의 경사각으로 연장되는 경사부를 두고, 이 경사부의 외단으로 하방측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그 내측에 공기가 충진되도록 측벽이 갖추어진 것을 포함하는 기포생성 기능을 가지는 음료수병.
KR1020030090876A 2003-12-12 2003-12-12 기포생성기능을 가지는 음료수 병 KR200500588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876A KR20050058880A (ko) 2003-12-12 2003-12-12 기포생성기능을 가지는 음료수 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876A KR20050058880A (ko) 2003-12-12 2003-12-12 기포생성기능을 가지는 음료수 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880A true KR20050058880A (ko) 2005-06-17

Family

ID=37252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0876A KR20050058880A (ko) 2003-12-12 2003-12-12 기포생성기능을 가지는 음료수 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888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0646A1 (en) * 2008-10-27 2010-05-06 Jeong-Min Lee Bottle ca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50646A1 (en) * 2008-10-27 2010-05-06 Jeong-Min Lee Bottle ca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2014A (en) Beverage drinking device capable of making ice cream floats
US4186215A (en) Beverage carbonation arrangement
CN104870330B (zh) 饮料容器盖
AU731341B2 (en) Method of producing a frothed liquid
US8800801B2 (en) Liquid-dispensing compartmented lid
CN101310651A (zh) 起沫酒杯
CA2501793C (en) Two compartments beverage bottle
CN1053403A (zh) 充气饮料罐
CN1107627C (zh) 能单独盛装流动物并在需要时允许流动物混合的容器
KR102419800B1 (ko) 아이스 음료 용기를 위한 보조 음료 용기
US20040256401A1 (en) Beverage container attachment
KR20050058880A (ko) 기포생성기능을 가지는 음료수 병
KR100418409B1 (ko) 탄산음료용기의 탄산 방출 방지용 보존마개
JPH11507612A (ja) 泡発生装置を備えた加圧液体用容器
JP3771038B2 (ja) 飲料注出具及び飲料用容器
KR200193447Y1 (ko) 탄산음료용 컵
KR200256428Y1 (ko) 드라이 아이스가 내장된 음료용 컵
KR101842629B1 (ko) 탄산음료 용기용 홀더
KR200282192Y1 (ko) 서로 다른 음료수를 함께 담을 수 있는 병
JP3190237B2 (ja) カーボネータ
CN212667972U (zh) 带有隔板的容器
KR200285751Y1 (ko) 병 또는 음료 용기 입구부에 조립되는 완충부재 및 이완충부재가 조립된 용기
KR20240001141U (ko) 탄산 방출 방지용 캔 캡
KR200311192Y1 (ko) 컵 겸용 병마개
KR200424670Y1 (ko) 누출방지캡이 장착된 가스 누출 방지용 용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