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8797A - Method for using power saving mode in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Method for using power saving mode in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8797A
KR20050058797A KR1020030090774A KR20030090774A KR20050058797A KR 20050058797 A KR20050058797 A KR 20050058797A KR 1020030090774 A KR1020030090774 A KR 1020030090774A KR 20030090774 A KR20030090774 A KR 20030090774A KR 20050058797 A KR20050058797 A KR 20050058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aving
terminal
saving mode
mobile communic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07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창화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0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8797A/en
Publication of KR20050058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8797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절전 모드를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를 충전할 수 없는 상황에서 배터리의 사용을 최저로 하기 위해서 사용자에 의해 절전 모드로 설정하면, 사용자는 단말기에서 발신 번호와 문자 메시지의 확인만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절전 모드는 슬롯 사이클 인덱스 값을 6 이상으로 하여, 배터리의 전원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절전 모드가 설정되면, 이러한 설정 상태를 교환기에 통보하며, 착신 신호의 발생 시에 단말기의 전원이 꺼져있는 상태임을 상대방에게 통보해주지만 사용자는 발신 번호를 시간차가 거의 없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절전 모드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단문 문자 메시지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절전 모드에서는 발신 번의 확인과 단문 문자 메시지 서비스의 이용만을 가능하게 함에 따라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어 단말기의 사용 시간을 늘릴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mplementing a power saving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when the power saving mode is set by the user to minimize the use of the battery in a situation in which the terminal cannot be charged, the user may call the terminal with a calling number and a letter. It is about a method of only checking the message. In the power saving mode, the slot cycle index value is 6 or more, thereby saving battery power. When the power saving mode is 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notifies the exchange of this setting state and notifies the other party that the terminal is turned off when an incoming signal occurs, but the user can check the calling number with little time difference. . In addition, in the power saving mode, a general short text message service may be used. Therefore, in the power saving mode, only the identification of the calling time and the use of the short text message service are enabled, thereby minimizing the consumption of the battery, thereby increasing the use time of the terminal.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절전 모드 구현 방법{Method for using power saving mode in mobile phone} How to implement power saving mod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for using power saving mode in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절전 모드 구현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절전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통화 연결의 요구 시에 상대방에게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었음을 통보해주고, 사용자는 발신 번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절전 모드 상태에서는 일반적인 SMS의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mplementing a power saving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notifies the other party that the terminal is powered off when a call connection is requested in a state where the power saving mode is set by the user, and allows the user to check the calling number. .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thod for enabling the use of a general SMS in a power saving mode.

이동통신기술에 있어서, 단말기의 소형 경량화와 함께 대기 및 통화 시간의 증대 노력은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다. 단말기의 대기 및 통화 가능 시간은 배터리의 충전 전하량과 단말기의 소비 전력에 의하여 크게 좌우되는데, 전자의 경우에는 단말기의 소형 경량화를 고려하여야 하며, 후자의 경우에는 단말기의 기능성을 함께 고려하여야만 한다.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efforts to increase standby and talk time along with miniaturization and weight reduction of terminals have been continuously made. The standby and talkable time of the terminal largely depend on the amount of charge charge of the battery and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terminal. In the former case, the weight reduction of the terminal should be considered, and in the latter case, the functionality of the terminal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다시 말해서, 단말기의 기능 향상을 위해서는 어느 정도의 소비 전력 증가를 감수하여야만 하는데, 이는 동일한 배터리 조건에서 단말기의 대기 및 통화 가능 시간의 감소로 이어진다. In other words, in order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a certain amount of power consumption must be increased, which leads to a decrease in standby and talk time of the terminal under the same battery condition.

따라서, 동일한 동작 환경에서 배터리의 전력 소비가 최소화되도록 단말기를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기술이 연구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연구 노력의 결과로 단말기에는 절전 기능이 부여되었다. Therefore, a technology for efficiently operating a terminal to minimize battery power consumption in the same operating environment has been studi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effort, a power saving function has been given to a terminal.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의 절전 기능은 사용자에 의한 절전 모드의 선택 여부에 전적으로 의존하였다. 상술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절전 모드가 선택되면 별도의 해제 이전까지 절전 모드가 상시 유지되며, 절전 모드에서는 소비 전력의 최소화를 위하여 각종 기능의 제한이 수행되었다. According to the prior art, the power saving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pends entirely on whether the user selects the power saving mode. In detail, when the power saving mode is selected by the user, the power saving mode is always maintained until a separate release, and in the power saving mode, various functions are limited in order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또한, 단말기의 절전 기능 외에, 배터리의 완전 방전이 되어 전원이 자동으로 오프되거나 배터리의 충전이 불가능한 상황에 있을 경우에 사용자가 단말기의 사용 시간을 늘리기 위해 전원을 오프시켰을 때에, 종래의 기술에서는 통화를 시도한 상대방의 전화 번호를 사용자에 의해 단말기의 전원이 켜지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발신 번호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단말기의 전원을 켜야만 확인할 수 있으므로, 배터리의 사용을 최소화하면서 발신 번호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없다는 제한점을 갖게 된다. In addition to the power saving function of the terminal, when the user turns off the power in order to increase the use time of the terminal when the battery is completely discharged and the power is automatically turned off or when the battery cannot be charged, the conventional technology uses a call. Attempts to check the phone number of the attempted party when the terminal is powered on. In order to check the calling number, the terminal can be checked by turning on the power. Therefore,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calling number cannot be checked in real time while minimizing the use of a battery.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절전 모드로 설정되면 이를 교환기에 통보하여 사용자는 통화를 요구한 발신자의 번호와 일반적인 문자 메시지의 확인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when the terminal is set to the power saving mode by the user, the user is notified to the exchange so that the user can call the caller's number and the general text message. Its purpose is to provide a way to do this.

사용자의 소정의 입력을 통해 단말기를 절전 모드로 설정되면, 절전 모드로 설정된 상태를 해당 교환기에 통보해 준다. 이 상태에서 상기 단말기와 통화를 시도하는 상대방이 있을 경우에 교환기는 발신자에게 통화 불가 상태임을 통보해 주는데 즉, 발신자에게 상기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어 있음을 알리는 음성 메시지를 송출해 준다. 또한 교환기는 절전 모드로 설정된 단말기에 통화를 시도한 발신자의 전화 번호를 송출해 주어 사용자가 발신 번호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 외에 절전 모드로 설정된 단말기는 일반적인 문자 메시지 서비스가 가능하여 상대방이 전송한 문자 메시지를 사용자가 바로 확인할 수 있다. When the terminal is set to the power saving mode through a predetermined input of the user, the terminal is notified of the state of the power saving mode. In this state, when there is a counterpart attempting to talk with the terminal, the exchange notifies the caller that the call is in a disabled state, that is, sends a voice message to the caller indicating that the terminal is powered off. In addition, the exchange sends the caller's telephone number to the terminal set to the power saving mode so that the user can check the calling number. In addition, the terminal set to the power saving mode can provide a general text message service, the user can immediately check the text message sent by the other party.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of all,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은 제 1 및 제 2 이동통신단말기(HP1, HP2)와, 다수의 이동통신 기지국(10A, 10B), 이동통신 중계국(20A, 20B), 이동통신 제어국(30), 이동통신 교환기(40)로 구성된다.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first and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P1 and HP2, a plurality of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s 10A and 10B, mobile communication relay stations 20A and 20B, and a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station 30. It consists of a mobile communication switch 40.

제 1 이동통신단말기(HP1)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절전 모드로 설정된 상태를 갖는 단말기이며, 제 2 이동통신단말기(HP2)는 음성 통화 및 음성이나 문자 메시지로 절전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제 1 이동통신단말기(HP1)와 통신을 하고자하는 단말기로 상정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 1 이동통신단말기(HP1)는 절전 모드로 설정된 상태를 이동통신 기지국(10A) 등을 거쳐 이동통신 교환기(40)에 통보해 준다.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P1 is a terminal having a power saving mode set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P2 is set to a power saving mode by voice call and voice or text message. 1 It is assumed to be a terminal to communicate with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P1).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P1 notifies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 40 of the state set to the power saving mode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10A or the like.

이동통신 기지국(10A, 10B)(Base station Transcevier: BTS)은 제 1 이동통신단말기(HP1)와 제 2 이동통신단말기(HP2)의 이동 위치 부근에 다수개가 분포적으로 설치되고서, 해당 제 1 및 제 2 이동통신단말기(HP1)(HP2)가 이동하면서 음성 통화 및 음성이나 문자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상대방측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으로 정합하여 음성 및 문자 데이터의 무선 송수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Base station transceivers (BTSs) are distributed in the vicinity of moving positions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P1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P2. And wirelessly matching with the other party'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as to transmit voice calls and voice or text messages while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P1 and HP2 move to perform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voice and text data.

이동통신 중계국(20A, 20B)은 각각의 이동통신 기지국(10A, 10B)과 이동통신 제어국(30)간을 중계하여 연결하기 위한 것이고, 이동통신 제어국(30)은 각각의 이동통신 중계국(20A, 20B)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10A, 10B)의 정합 기능과, 각 기지국 셀간의 핸드오프 처리, 호접속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The mobile communication relay stations 20A and 20B are for relaying and connecting the respectiv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s 10A and 10B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station 30,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control station 30 is connected to each mobile communication relay station ( Through the 20A and 20B, the matching func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s 10A and 10B, handoff processing between each base station cell, and call connection control are performed.

또한, 이동통신 교환기(40)는 최종적으로 제 1 이동통신단말기(HP1)에서 절전 모드 상태를 통보 받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 1 이동통신단말기(HP1)과 음성 통화를 하고자 하는 제 2 이동통신단말기(HP2)의 시도가 있을 경우에 제 2 이동통신단말기(HP2)에게 통화를 할 수 없다는 음성 메시지를 송출하며, 제 2 이동통신단말기(HP2)의 전화 번호를 제 1 이동통신단말기(HP1)로 송출하여 제 1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가 발신 번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해준다. In addition, the mobile communication switch 40 is finally notified of the power saving mode state by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P1.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is an attempt by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P2 to make a voice call with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P1, the voice message indicating that the call cannot be made to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P2. And transmits the phone number of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P2 to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P1 so that the user of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confirm the calling number.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절전 모드가 사용되는 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The power saving mode is used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 모드로 설정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과정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 to a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우선, 도 1에서 제 1 이동통신단말기(HP1)를 도 2의 수신 단말기로 지정하고, 제 2 이동통신단말기(HP2)를 발신 단말기로 지정한다. 수신 단말기에서 사용자는 배터리를 충전할 수 없는 상황이나 배터리의 가용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을 때에 배터리의 소모량을 줄여 단말기의 사용 시간을 연장하기 위해 소정의 키입력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절전 모드를 설정한다(100). First, in FIG. 1, the first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P1 is designated as the receiving terminal of FIG. 2, and the seco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P2 is designated as the calling terminal. In the receiving terminal, the user sets the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 predetermined key input to extend the use time of the terminal by reducing the battery consumption when the battery cannot be charged or when the available time of the battery is short. 100.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는 절전 모드는 슬롯 싸이클 인덱스(Slot Cycle Index: SCI)의 값을 6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을 말한다. 슬롯 싸이클 인덱스의 값에 따라 단말기와 기지국간의 주기적인 교신의 수준을 말하는 것이다. 따라서, 슬롯 싸이클 인덱스의 값에 따라 단말기의 설정 상태가 변하게 된다. The power saving mode that can be set by the user refers to setting the slot cycle index (SCI) to 6 or more. It refers to the level of periodic communication between the terminal and the base station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slot cycle index. Therefore, the setting state of the terminal is changed according to the value of the slot cycle index.

도 3의 테이블을 참조하면, 슬롯 싸이클 인덱스의 값이 1~2 정도이면, 단말기가 이동중이거나 이동통신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지역에 있을 경우에 기지국과 위치 정보를 자주 주고 받아야 한다. 1~2 정도의 슬롯 싸이클 인덱스를 갖는 슬롯 모드(Slotted Mode)는 도 4의 윗 부분의 펄스 파형에서 약 5.12 sec인 짧은 주기로 기지국과 교신을 한다. 슬롯 모드에서는 일반적인 음성 통화 및 음성이나 문자 메시지를 주고 받아야 하므로, 기지국과 이와 같은 짧은 주기로 정보를 주고 받는다. 따라서, 단말기의 배터리의 소비 전력도 많아 지게 된다. Referring to the table of FIG. 3, when the slot cycle index value is about 1 to 2, when the terminal is moving or in an area where mobile communication is not smoothly performed, the base station frequently exchanges location information with the base station. Slot mode having a slot cycle index of about 1 to 2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in a short period of about 5.12 sec in the pulse waveform of the upper part of FIG. In slot mode, since a general voice call and voice or text message must be exchanged, information is exchanged with a base station in such a short period. Therefor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of the terminal also increases.

본 발명에 의해 설정되는 절전 모드는 도 3의 테이블에서와 같이 슬롯 싸이클 인덱스의 값으로 6~7 정도의 값을 갖는다. 절전 모드는 도 4의 아랫 부분에 있는 펄스 파형의 주기로 기지국과 통신을 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슬롯 모드와는 달리 도 4의 펄스 파형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보다 긴 주기로 기지국과 교신을 한다. 따라서, 절전 모드에서는 슬롯 모드에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음성 통화 및 음성 또는 문자 메시지의 송수신이 모두 수행되지 않고, 보다 제한적인 동작으로 발신 번호의 확인과 문자 메시지의 송수신 동작만이 수행된다. 이로써, 배터리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The power saving mode set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alue of about 6 to 7 as a slot cycle index as shown in the table of FIG. 3. The power saving mode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in the period of the pulse waveform in the lower part of Figure 4, which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in a longer period as shown in the pulse waveform of Figure 4, unlike the slot mode. Therefore, in the power saving mode, all of the general voice call and voice or text message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the slot mode are not performed, and only the verification of the calling number and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he text message are performed in a more limited operation. As a result, battery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사용자에 의해 상기의 절전 모드로 설정되면, 수신 단말기는 해당 교환기에 절전 모드로 설정된 상태를 통보한다(101). 수신 단말기의 설정 상태를 통보 받은 교환기는 수신 단말기에 착신되는 신호에 대해 수반되는 동작을 제어한다. 교환기는 발신 단말기가 상기 수신 단말기와 음성 통화를 시도하고자 하면(102), 교환기는 시도되는 음성 통화 신호를 수신 단말기에 전달해 주지 않고, 발신 단말기에 수신 단말기와의 통화가 불가능하다는 상태 메시지를 통보한다(103). 즉, 교환기는 이 메시지는 수신 단말기의 전원이 오프되어있다는 음성 메시지를 발신 단말기에 송출한다. 발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송출되는 음성 메시지를 확인한 후에, 수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음성 메시지를 남길 수 있다.When the user enters the above power saving mode, the receiving terminal notifies the corresponding exchange of the state set to the power saving mode (101). The exchange, notified of the setting state of the receiving terminal, controls the accompanying operation on the signal received at the receiving terminal. If the calling terminal attempts to make a voice call with the receiving terminal (102), the exchange does not transmit the attempted voice call sig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and notifies the calling terminal of the status message that the call with the receiving terminal is impossible. (103). That is, the exchange sends a voice message to the calling terminal that the message is that the receiving terminal is powered off. The user of the calling terminal may leave the voice message to the user of the receiving terminal after confirming the transmitted voice message.

교환기는 통화를 시도한 발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를 저장하여, 이를 수신 단말기에 송출해 준다(104). 교환기는 시간차 없이 실시간으로 발신 번호를 수신 단말기에 송출해 주어 발신 단말기의 화면 상에 표시해 준다. 따라서, 발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화면 상에 표시된 발신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S105). The exchange stores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alling terminal that attempted the call and sends it to the receiving terminal (104). The exchange sends the calling number to the receiving terminal in real time without time lag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of the calling terminal. Therefore, the user of the calling terminal can check the calling number displayed on the screen (S105).

발신 단말기가 음성 통화를 시도하는 상기의 경우와는 달리 수신 단말기에 일반적인 문자 메시지의 전송을 시도하면(106), 교환기는 발신 단말기가 전송하려는 문자 메시지를 수신 단말기에 바로 전송해 준다(107). 수신 단말기는 교환기가 전송해 주는 문자 메시지를 받아, 사용자가 전송받은 문자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108). 절전 모드에서의 문자 메시지의 송수신은 슬롯 모드와 같은 일반적인 대기 상태에서의 동작 상태와 동일하게 이루어 진다. Unlike the above case in which the calling terminal attempts to make a voice call, when the sender attempts to transmit a general text message to the receiving terminal (106), the exchange immediately transmits the text message to be sent by the calling terminal to the receiving terminal (107). The receiving terminal receives the text message transmitted by the exchange, and checks the text message received by the user (108).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text messages in the power saving mode i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normal standby state such as the slot mod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정신이 여기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다양한 변화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와 변형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게 됨은 첨부된 청구 범위를 통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possible. 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through the appended claims that such changes and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절전 모드가 설정되면, 기지국과 긴 주기로 교신을 하게 된다. 단말기는 이렇게 절전 모드로 설정된 상태를 교환기에 통보해 주어 음성 통화는 이루어지지 않고, 절전 모드 상태의 단말기에 착신되는 번호만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일반적인 문자 메시지의 송수신 동작은 가능하게 하여, 배터리의 소모량을 최소화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통신 불가능 지역에 있어 배터리의 사용량이 많을 경우에 단말기의 사용 시간을 늘리는 효과를 갖는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wer saving mode is set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at a long cycle. The terminal notifies the exchange of the state set to the power saving mode so that the user can check only the number that is received at the terminal in the power saving mode without making a voice call.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transmit and receive a general text message, thereby minimizing the consumption of the battery,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se time of the terminal when the battery can not be charged or when the battery usage is large in a communication impossible area.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 모드로 설정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과정 흐름도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et to a power saving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롯 모드 인덱스와 그에 따른 모드를 갖는 테이블이다.3 is a table having a slot mode index and a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슬롯 모드와 절전 모드의 신호 발생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4 is an exemplary view for explaining signal generation control of a slot mode and a power save m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사용자가 절전 모드를 설정하면, 이를 교환기에 통지하는 제 1단계,A first step of notifying the exchange when the user sets a power saving mode, 교환기로부터 통화 시도자의 발신 번호를 수신하면, 이를 화면에 표시하는 제 2단계A second step of receiving the caller's calling number from the exchange, and displaying it on the screen;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절전 모드 구현 방법.Method of implementing a power saving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 제 1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step is 슬롯 모드 인덱스의 값을 6 이상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절전 모드 구현 방법.And setting a value of the slot mode index to 6 or mor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절전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상대방으로부터 문자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를 화면에 표시해주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절전 모드 구현 방법.If the text message is received from the other party in the state set to the power saving mod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laying on the screen power saving mode implementation method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이동통신단말기의 절전 모드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있어서,In the system for controlling the power saving mod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단말기로부터 절전 모드가 설정되었음을 통보받는 제 1단계,A first step of being notified by the terminal that a power saving mode is set; 절전 모드로 설정된 단말기에 통화를 시도하는 상대방에게 통화 불가 메시지를 송출하는 제 2단계, A second step of sending a non-call message to the other party attempting to talk to the terminal set to the power saving mode; 상대방으로부터 상기 단말기로의 문자 메시지 전송 요구를 받으면, 해당 문자 메시지를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3단계Receiving a text message transmission request from the other party to the terminal; transmitting the text message to the terminal;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절전 모드 구현 방법.Method of implementing a power saving mod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KR1020030090774A 2003-12-12 2003-12-12 Method for using power saving mode in mobile phone KR2005005879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774A KR20050058797A (en) 2003-12-12 2003-12-12 Method for using power saving mode in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0774A KR20050058797A (en) 2003-12-12 2003-12-12 Method for using power saving mode in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8797A true KR20050058797A (en) 2005-06-17

Family

ID=37252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0774A KR20050058797A (en) 2003-12-12 2003-12-12 Method for using power saving mode in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8797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0477B2 (en) 2006-12-07 2012-04-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ultra power-saving mode in mobile st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0477B2 (en) 2006-12-07 2012-04-0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providing ultra power-saving mode in mobile st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8665A (en) Wireless terminal with auxilary desktop unit
US5109400A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registration and two way radio
US6108531A (en) Terminal equipment providing payment data in a cellular radio system
GB9909275D0 (en) Reconfigurable communications network
US6212375B1 (e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residential base carrier inactivation after line failure or line in use
EP2523438B1 (en) Mobile terminal
KR20050058797A (en) Method for using power saving mode in mobile phone
KR100678243B1 (en) Wireless connection method and system
KR20030080494A (en) Method for transmitting character messag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0236578A (en) Portable telephone system
JPS58209239A (en) Mobile body communicating method
KR100303310B1 (en) Method for indicating receipt of a message and automatic recalling to stored telephone numbers
JP2000101506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external cable interface and infrared ray interface
JPH10224859A (en) Digital cordless telephone system, digital telephone system and telephone set
KR20040051673A (en) Method for automatic informing a call-drop reason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936217B1 (en) Method for notifying call connection failure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43340A (en) Method for alarming an emergency cal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486537B1 (en) State transmiss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ing short message
KR20050057762A (en) Method for managing messenger program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26518B1 (en) State Information Service Method For Mobile Subscriber
JPH09163457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JP2735066B2 (en) Telephone equipment
JP3541803B2 (en) Wireless telephone terminal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64147B1 (en) Method for presenting status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by using light emitting diode
JPH0364133A (en) Portable radio telephone terminal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