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0983A -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call list for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call list for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0983A
KR20050050983A KR1020030084656A KR20030084656A KR20050050983A KR 20050050983 A KR20050050983 A KR 20050050983A KR 1020030084656 A KR1020030084656 A KR 1020030084656A KR 20030084656 A KR20030084656 A KR 20030084656A KR 20050050983 A KR20050050983 A KR 20050050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list
date
call
incoming
outgo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46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승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4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50983A/en
Publication of KR20050050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0983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을 날짜별로 기록저장하고 표시하는 것으로, 이동통신 무선신호를 착신과 발신에 의하여 송수신 처리하는 송수신부; 상기 송수신부와 접속되고 통신신호를 처리하며 착신과 발신 정보를 시간 단위로 구분하고 날짜별로 분리 기록저장되도록 제어와 감시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어 착신과 발신과 운용을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어 운용정보를 표시하며 착신과 발신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어 휴대단말기 운용정보와 프로그램을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메모리;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어 통화목록을 착신별 발신별 날짜별 시간별로 분류하여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통화목록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또한, 휴대단말기가 통신을 하는 경우에 착신과 발신에 의한 통화목록 정보를 시간과 날짜별로 구분하여 기록저장하고 한달 이상 된 정보는 삭제하는 기록과정; 기록과정의 통화목록을 검색하는 경우 날짜별로 검색할 것인지 판단하는 검색과정; 검색과정에서 판단하여 날짜별로 검색하는 경우에 표시부 달력의 날짜를 선택하면 해당 날짜의 통화목록이 착신과 발신으로 분리표시되는 날짜과정; 상기 과정에서 표시부에 표시되는 통화목록을 검색하여 확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특징에 의하여, 착신과 발신 통화를 시간을 포함하여 날짜별로 분류 관리하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cords and stores a call list of a mobile terminal for each date, and displays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obile communication radio signal by incoming and outgoing; A control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processes a communication signal, separates incoming and outgoing information by time unit, and controls and monitors to separately record and store by date; A key input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input a control command for incoming, outgoing, and operating; A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display operation information and to display incoming and outgoing information; A memor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for recording, storing and outputting portable terminal operation information and a program; And a call list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records, stores, records, and outputs the call list by time of call by date of call by call. Also, when the mobile terminal communicates, Recording and storing call list information by time and date, and deleting information older than one month; A search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o search by date when searching a call list of a recording process; In the case of searching by date determined by the searching process, if the date of the display calendar is selected, the call process of the corresponding date is displayed separately from the incoming and outgoing date process; In the above process, the call lis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searched for and confirmed, and the incoming and outgoing calls are classified and managed by date including time.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장치 및 방법{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CALL LIST FOR MOBILE PHONE}Call lis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CALL LIST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을 표시하는 것으로, 특히, 날짜별로 통화목록을 기록저장하고 표시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displaying a call list of a mobi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call list of a mobile terminal for recording and storing a call list by date.

휴대단말기는 가입되고 등록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영역 안을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선택된 상대방과 즉시 무선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직접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즉시 통신하는 것이다. The portable terminal communicates freely with the selected counterpart while moving freely within the service area of the subscribed and registered mobile communication system.

상기 통신장비는 다양한 부가기능 또는 부가서비스, 일 예로, 계산기, 게임, 메시지, 메모, 달력 등등의 다양한 부가서비스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 통신한 목록을 기록저장하고 출력하여 표시하는 통화목록 보기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The communication equipment is developed and provided with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or additional services, for example, a calculator, a game, a message, a memo, a calendar, and the like, and in particular, records, stores, outputs and displays a recently communicated list. Call list viewing service is provided.

상기 통화목록 보기 서비스는 통화 시간 순서, 발신 시간 순서, 착신 시간 순서 등으로 분류하여 표시하고 있으나, 통화된 날짜를 확인하려면, 검색하여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The call list view service is classified and displayed in order of call time, call order, call order, etc. However, in order to check the date of the call, there was an inconvenience of searching and checking each call.

따라서, 사용자가 지정한 날자 단위로 통화목록을 구분하여 표시하도록 하는 방법의 개발 필요가 있다.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method of displaying the call list by the date unit specified by the user.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call lis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방법 순서도 이다. Attached to explain the prior art, FIG. 1 is a functional diagram of a call list display apparatu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FIG. 2 is a flowchart of a call list display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상기 도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장치는, 안테나와 접속하여 이동통신용 통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송수신부(10)와; 상기 송수신부(10)와 접속하여 송수신신호 처리와 착발신에 의한 통화목록을 분리 검출과 기록저장과 출력 표시와 휴대단말기 전체의 운용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제어부(20)와; 상기 제어부(20)에 접속하고 휴대단말기에 다이얼링 신호를 입력하거나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부(30)와; 상기 제어부(20)에 접속하고 휴대단말기의 운용상태 정보와 착발신에 의한 통화목록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40)와; 상기 제어부(20)에 접속하고 휴대단말기의 운용정보와 운용프로그램과 착발신에 의한 통화목록 정보를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메모리부(50)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Referring to FIG. 1, a call list display apparatu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cludes a transceiver 1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mobile communication signal by connecting to an antenna; A control unit 20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0 to control and monitor a transmission / reception signal processing and a call list by incoming / outgoing detection, record storage, output display, and operation of the entire portable terminal; A key input unit 3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 for inputting a dialing signal or a control command to the mobile terminal; A display unit 4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 to display operation state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call list information by incoming / outgoing calls; The memory unit 5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 and records and stores and output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e operation program and the call list information by the call.

상기와 같은 구성의 휴대단말기는 키입력부(30)로부터 인가되는 다이얼링 제어명령 또는 통화 제어명령 등의 신호에 의하여 제어부(20)와 송수신부(10) 및 해당 통신기능부를 통하여 통신하며, 상기와 같은 통신 또는 통화는 착신과 발신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하여 통화목록이 상기 메모리부(50)에 기록저장된다.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communicates with the control unit 20,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0, and the corresponding communication function unit by a signal such as a dialing control command or a call control command applied from the key input unit 30. The communication or call is divided into incoming and outgoing calls, and a call list is recorded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5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

상기 키입력부(3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부(50)에 기록저장된 통화목록을 검색하고자 하는 제어명령이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20)는 착신과 발신을 구분하여 시간별 우선순위로 표시부(40)에 표시한다. When a control command for retrieving the call list recorded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50 is applied by a control command applied from the key input unit 30, the control unit 20 distinguishes incoming and outgoing calls in order of priority by time.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part 40.

따라서, 최근 통화목록을 시간별 우선순위와 착신 및 발신을 구분하여 표시부에 표시한다. Therefore, the list of recent calls is displayed on the display by dividing the priority and incoming and outgoing by hour.

이하,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call list display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착신과 발신이 이루어지는지를 판단하고(S10), 상기 판단(S10)에서 착신과 발신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착신과 발신을 시간별로 메모리부의 할당된 영역에 기록저장한다(S2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incoming and outgoing is made by using the mobile terminal (S10), and when the incoming and outgoing is made in the determination (S10), the incoming and outgoing time is recorded and stored in the allocated area of the memory unit (S20).

상기와 같이 기록저장된 착신과 발신에 의한 통화목록을 검색하고자 하는지 판단하고(S30), 상기 판단(S30)에서 통화목록을 검색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는 시간별 우선순위로 착신과 발신을 구분하여 해당 표시부(40)에 출력하여 표시하며(S40), 상기와 같이 표시부(40)에 표시된 통화목록을 검색하여 확인한다(S50). If it is determined whether to search the call list by the incoming and outgoing call record stored as described above (S30),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call list is searched in the determination (S30), the display unit by distinguishing the incoming and outgoing by priority per hour Output to 40 and display (S40), and check the call lis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0 as described above (S50).

따라서,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는, 착신과 발신을 시간에 의한 우선순위 기준으로 구분하여 표시한다. Therefore, the display of the call list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displays the incoming and outgoing calls separately based on priority based on time.

그러나, 통화목록을 날짜별로 구분하여 특정 날짜에 통화한 목록을 구분 표시하지 못하는 사용상 불편한 문제가 있다. However, there is an inconvenient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display a list of calls on a specific date by dividing the call list by date.

또한, 통화목록을 날자 별로 구분 확인하기 위하여서는 기록저장된 통화목록을 모두 검색하여야 하므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identify the call list by date, there is a problem that requires a lot of time since the call list must be searched for all the recorded call lists.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기록저장되는 통화목록을 날짜별로 구분 관리하므로, 하루동안에 착발신되는 통화목록을 용이하게 확인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ll list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 mobile terminal to easily check the call list that is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by date, so that the call list that is sent and received during the day.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무선신호를 착신과 발신에 의하여 송수신 처리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송수신부와 접속되고 통신신호를 처리하며 착신과 발신 정보를 시간 단위로 구분하고 날짜별로 분리 기록저장되도록 제어와 감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어 착신과 발신과 운용을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어 운용정보를 표시하며 착신과 발신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어 휴대단말기 운용정보와 프로그램을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메모리와;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어 통화목록을 착신별 발신별 날짜별 시간별로 분류하여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통화목록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radio signal by incoming and outgoing;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unit, processing a communication signal, and controlling and monitoring the incoming and outgoing information by time unit and separately recording and storing each date; A key input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input a control command for incoming, outgoing, and operating; A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display operation information and to display incoming and outgoing information; A memor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for recording, storing and outputting portable terminal operation information and a program; The call lis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includes a call list unit for storing, storing, and outputting a call list by time of each call by date.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가 통신을 하는 경우에 착신과 발신에 의한 통화목록 정보를 시간과 날짜별로 구분하여 기록저장하고 한달 이상 된 정보는 삭제하는 기록과정과; 상기 기록과정의 통화목록을 검색하는 경우 날짜별로 검색할 것인지 판단하는 검색과정과; 상기 검색과정에서 판단하여 날짜별로 검색하는 경우에 표시부 달력의 날짜를 선택하면 해당 날짜의 통화목록이 착신과 발신으로 분리표시되는 날짜과정과; 상기 과정에서 표시부에 표시되는 통화목록을 검색하여 확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evise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when the mobile terminal communicates, records and stores the call list information by incoming and outgoing by time and date to record and delete the information more than a month Process; A search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o search by date when searching the call list of the recording process; A date process in which a call list of the corresponding date is separately displayed as an incoming and outgoing call when the date of the display unit calendar is selected in the case of searching by date determined by the searching process; In the above process, the call lis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searched for and confirmed.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call lis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장치 기능 구성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방법 순서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 메뉴구성 설명도 이다. 3 is a functio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call list display apparatu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displaying a call lis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The call list display menu configu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illustrated.

상기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장치는, 이동통신 무선신호를 착신과 발신에 의하여 송수신 처리하는 송수신부(100)와, Referring to FIG. 3, the call list display apparatus of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unit 10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radio signals by incoming and outgoing;

상기 송수신부(100)와 접속되고 통신신호를 처리하며 착신과 발신 정보를 시간 단위로 구분하고 날짜별로 분리 기록저장되도록 제어와 감시하는 것으로, 메모리부(140)로부터 운용정보와 프로그램을 읽어 휴대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고, 키입력부(120)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착신과 발신을 하며, 상기 착신과 발신 정보를 시간과 날짜로 분류하여 통화목록부(150)에 기록저장하고, 상기 분류된 통화목록을 표시부(130)에 출력하도록 제어와 감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부(110)와, The mobil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100 to process a communication signal, and to control and monitor the incoming and outgoing information by time unit and to separately record and store by date, and read operation information and a program from the memory unit 140. To control the function of the call, and the incoming and outgoing by the control command applied from the key input unit 120, the incoming and outgoing information is classified and stored in the call list unit 150 by time and date, the classified A control unit 110 configured to control and monitor a call list to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130;

상기 제어부(110)와 접속되어 착신과 발신과 운용을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부(120)와, A key input unit 12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10 and inputting a control command for incoming, outgoing, and operating;

상기 제어부(110)와 접속되어 운용정보를 표시하며 착신과 발신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130)와, A display unit 13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10 to display operation information and to display incoming and outgoing information;

상기 제어부(110)와 접속되어 휴대단말기 운용정보와 프로그램을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메모리(140)와, A memory 140 connected to the controller 110 for recording and storing and outputting portable terminal operation information and programs;

상기 제어부(140)와 접속되어 통화목록을 착신별 발신별 날짜별 시간별로 분류하여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제어부(140)로부터 인가되는 착신과 발신정보를 각각 시간과 날짜로 분류하여 기록저장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분류된 통화목록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통화목록부(15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40 to record and store the call list classified by time by date by incoming and outgoing, and records and stores the incoming and outgoing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control unit 140 by time and date, respectively And a call list unit 150 configured to output a call list classified by the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call list display apparatus of a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휴대단말기는, 메모리부(140)로부터 각종 운용정보를 읽고 해당 운용 프로그램을 읽어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로 동작하며, 동작 및 운용상태의 필요한 정보와 상기 제어부(110)의 제어에 의하여 통화목록 등이 상기 표시부(130)에 표시된다. The mobile terminal reads various operation information from the memory unit 140 and reads the operation program and operates as a mobile terminal for mobile communication, and the call list is controlled by the necessary information of the operation and operation state and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10. I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상기 키입력부(120)로부터 제어부(110)에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착신에 의한 통신을 하거나, 발신을 위한 다이얼링 신호를 입력하며, 기타 필요한 제어신호 또는 제어명령을 입력한다. In response to a control command applied from the key input unit 120 to the control unit 110, an incoming call is communicated, a dialing signal for transmission is input, and other necessary control signals or control commands are input.

상기와 같이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통신을 하는 경우, 상기 송수신부(100)를 통하여 이동통신의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고, 상기 제어부(110)는 착신과 발신에 의한 발신자 번호와 통신시작 시간 및 통화지속 시간 등의 다양한 정보를 통신이 이루어지는 날짜별, 시간별, 착신별, 발신별로 각각 분류하여 상기 통화목록부(150)에 기록저장한다. In case of communicating by the control command input as described above, the radio signal of the mobile communication is transmitted and received through the transceiver 100, and the controller 110 is a caller number and communication start time and call by incoming and outgoing call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duration, is classified by date, time, incoming and outgoing communication, and stored in the call list unit 150.

상기 휴대단말기로 착신 및 발신 통화를 하는 경우, 해당 통화가 발생된 날자, 시간, 착신 및 발신의 분류를 포함하는 해당 정보가 상기 제어부(110)에 의하여 디지털 처리되고 상기 통화목록부(150)에 기록저장된다. In the case of making an incoming and outgoing call with the mobile terminal,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cluding the date, time, incoming and outgoing classification of the call is digitally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10, and the call list unit 150 is processed. Record is stored.

상기와 같이 기록저장된 통화목록을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첨부된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키입력부(120)는, 일 예로, 휴대단말기에 기록저장된 각종 운용정보를 관리하는 휴대폰관리 메뉴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메뉴에 의하여 표시되는 다양한 메뉴 중에서 통화목록 보기 메뉴를 선택한다(①). When the call list is recorded and stored as described above, the key input unit 12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For example, the key input unit 120 includes a mobile phone management menu for managing various operation information recorded and stored in the mobile terminal. The call list view menu is selected from various menus displayed by the selected menu (①).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통화목록 보기 메뉴가 선택되면, 하부 메뉴로서, 일 예로, 날짜별 통화목록, 마지막 통화목록, 착신된 통화목록, 발신한 통화목록이 표시된다(②). When the call list view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is selected as described above, as a submenu, for example, a call list by date, a last call list, an incoming call list, and an outgoing call list are displayed (②).

상기와 같이 표시되는 휴대단말기의 메뉴 중에서, 일 예로, 날짜별 통화목록의 메뉴가 선택되면, 표시부에는 달력이 표시되고, 상기 표시되는 달력 중에서 특정 날짜를 지정하여 선택한다(③). In the menu of the mobile terminal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for example, when a menu of call list by date is selected, a calenda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a specific date is designated and selected from the displayed calendars (③).

상기와 같이 선택된 날짜에 통화한 목록이 착신통화목록과 발신통화목록으로 분류되어 표시되므로(④),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ist of calls on the selected date is classified and displayed as the incoming call list and the outgoing call list (④), so that it can be easily checked.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날짜별 착신과 발신의 통화목록을 용이하게 확인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 configuration easily checks the call list of incoming and outgoing by date.

이하,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Figure 4, a call list display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휴대단말기(UE)가 통신을 하는 경우에 착신과 발신에 의한 통화목록 정보를 시간과 날짜별로 구분하여 기록저장하고 한달 이상 된 정보는 삭제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가 통신의 착발신을 하는지 판단하는 과정(S100); 상기 과정(S100)에서 통신의 착발신을 하는 경우에 각각 통화 날자와 시간과 착신과 발신으로 구분된 통화목록 정보를 기록저장하는 과정(S110); 상기 과정(S110)에서 기록된 통화목록 정보에 한달 이상 된 기록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20); 상기 과정(S120)에서 한달 이상 된 정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는 해당 정보를 삭제하는 과정(S130)으로 이루어진 기록과정과, The process of determining whether the mobile terminal makes and receives communication by storing and storing the call list information by incoming and outgoing by time and date when the mobile terminal (UE) communicates and deleting the information that is more than one month. S100); Recording and storing call list information divided into call date and time, incoming and outgoing, respectively, when the incoming and outgoing communication is performed in step S100;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record of at least one month in the call lis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step S110;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more than one month of information in the process (S120) and the recording process consisting of the process of deleting the information (S130),

상기 기록과정의 통화목록을 검색하는 경우 날짜별로 검색할 것인지 판단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단말기에 기록저장된 통화목록을 검색하는 해당 메뉴(MENU)가 선택되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40); 상기 과정(S140)에서 통화목록을 검색하는 메뉴가 선택되어 입력되는 경우에 날짜별 검색 메뉴가 선택되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S150)으로 이루어진 검색과정과, Determining whether to search by date when searching the call list of the recording process, and determining whether a corresponding menu (MENU) for searching the call list recorded and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is selected and input (S140); In the process (S140), when the menu for searching the call list is selected and entered, the search process consisting of the step (S150) of determining whether the search menu by date is selected and entered,

상기 검색과정에서 판단하여 날짜별로 검색하는 경우에 표시부 달력의 날짜를 선택하면 해당 날짜의 통화목록이 착신과 발신으로 분리표시되는 것으로, 상기 기록저장된 통화목록을 날짜별로 분류 표시하기 위하여 휴대단말기의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달력의 해당 날짜를 선택하는 과정(S160); 상기 과정(S160)에서 선택된 날짜의 통화목록을 착신과 발신으로 분류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S170)으로 이루어진 날짜과정과, If the date of the display unit calendar is selected in the search process and the search is performed by date, the call list of the corresponding date is displayed separately from the incoming and outgoing call. The display unit of the mobile terminal for classifying and displaying the recorded call list by date Selecting a corresponding date of a calendar displayed at 130 (S160); A date process comprising a process of classifying the call list of the date selected in the process (S160) as an incoming and outgoing and displaying it on the display unit (S170);

상기 과정에서 표시부(130)에 표시되는 통화목록을 검색하여 확인하는 과정(S180)과, In step S180 of searching and confirming the call lis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상기 검색과정에서 날짜별 검색을 하지 않는 경우(S150), 통화목록을 착신과 발신과 시간별로 검색하는 각각의 메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S190)과, In the case of not searching by date in the search process (S150), the process of selecting one of the respective menus to search the call list by incoming and outgoing time (S190),

상기 과정(S190)에서 선택된 메뉴의 통화목록을 분류하여 표시부(130)에 출력 표시하고 상기 확인과정(S180)으로 진행하는 과정(S200)으로 이루어진다. In step S190, the call list of the selected menu is classifi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and the process proceeds to the checking step S180 (S200).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displaying a call list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 휴대단말기가 통신에 의한 착신과 발신을 하는 경우(S100), 상기 통신에 의한 착신 또는 발신이 이루어지는 날짜, 시간, 착신과 발신의 구분 등과 같은 통화정보를 각각 분류하여 통화목록부(150)에 각각 기록저장한다(S110). When the mobile terminal receives and transmits the call (S100), the call list unit 150 classifies the call information such as the date, time, the distinction between the incoming and the outgoing call, etc. Each record is stored (S110).

상기 휴대단말기는 상기와 같이 기록저장된 통화목록 정보가 한달 전부터 기록저장되어 있는 것이 있는지를 판단하고(S120), 상기 판단(S120)에서 한달 전부터 기록저장되어 있던 것이 있으면 삭제한다(S130). The portab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call list information recorded and stored as described above has been stored for a month (S120), and if there is a record stored for one month in the determination (S120) (S130).

즉, 통화목록을 한 달간 기록저장하여 보관 관리하고 한 달이 경과하면 삭제하는 것으로, 상기 한 달의 날짜 기준은 설계자에 의하여 설정되는 것으로, 30일 또는 31일로 고정 설정할 수 있으나, 달력에 의하여 다음달 동일한 날짜 다음날이 되면 한 달이 된 것으로 판단하고 지우는 방법 등등이 있으며, 또한, 해당 메모리 용량에 따라서 보관하는 날짜가 길어지는 동시에 날짜별 관리하는 통화목록의 숫자를 제한하거나 늘릴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call list is stored for one month, stored and managed and deleted after one month. The date basis of the month is set by the designer, and may be fixed to 30 days or 31 days, but the following month is set by the calendar. If the next day after the same date is determined to be one month, and the like, there are ways to delete, etc. Also, depending on the memory capacity, the storage date is longer, and the number of call lists managed by date can be limited or increased.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을 검색하고자 하는 경우, 즉, 통화목록을 검색하는 메뉴(MENU)가 선택되어 입력되면(S140), 해당 다수의 하부 메뉴 중에서 날짜별 검색 메뉴가 선택되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고(S150), 상기 판단(S150)에서 날짜별 검색 메뉴가 선택되어 입력되면, 휴대단말기의 표시부(130)에 달력이 표시되고, 상기 표시되는 달력의 날짜를 지정 선택하여 입력한다(S160). When the call list of the mobile terminal is to be searched, that is, when a menu for searching the call list is selected and input (S140), it is determined whether a search menu for each date is selected and input from among a plurality of sub-menus. In operation S150, when a search menu for each date is selected and input in the determination S150, a calenda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elected date of the displayed calendar is selected and input (S160). .

상기 과정(S160)에서 선택되어 입력되는 날짜의 통화목록을 착신과 발신으로 분류하여 표시하고(S170), 상기와 같이 표시된 날짜별 통화목록을 검색하여 확인한다(S180). The call list of the date selected and input in the process (S160) is classified and displayed as incoming and outgoing (S170), and the searched and confirmed call list by date is displayed (S180).

상기 검색과정(S150)에서 통화목록을 날짜별로 검색하지 않는 경우에, 착신통화, 발신통화, 마지막 통화한 목록을 검색하는 해당 메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고(S190), 상기 선택된 메뉴의 해당 통화목록을 표시부(130)에 표시한다(S200)하며, 상기와 같이 표시된 통화목록을 검색 확인한다(S180). If the call list is not searched by date in the search process (S150), select one of the corresponding menus for searching the incoming call, the outgoing call, and the last call list (S190), and select the corresponding call list of the selected menu.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30 (S200), and checks the call list displayed as described above (S180).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에 의하여 통화가 이루어지는 착신 및 발신을 날짜별로 분류하여 기록저장하고 표시하므로, 날짜별 통화목록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coming and outgoing calls made by the mobile terminal is classified and stored by date and display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manage the call list by date.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착신과 발신 통화를 시간을 포함하여 날짜별로 분류 관리하는 산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an industrial use effect of classifying and managing incoming and outgoing calls of the mobile terminal by date, including time.

또한, 통화내역을 날짜별로 관리하므로, 지정된 날짜에 의한 하루동안의 통화목록을 신속하게 확인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all history is managed by date, there is a convenient effect of using it to quickly check the call list for one day by a specified date.

도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장치 기능 구성도, 1 is a functional diagram of a call list display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방법 순서도,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list display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장치 기능 구성도, 3 is a functional diagram of a call list display devic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방법 순서도,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all list display method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 메뉴구성 설명도. 5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call list display menu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 송수신부 110 : 제어부100: transceiver 110: control unit

120 : 키입력부 130 : 표시부120: key input unit 130: display unit

140 : 메모리부 150 : 통화목록부140: memory unit 150: call list unit

Claims (8)

이동통신 무선신호를 착신과 발신에 의하여 송수신 처리하는 송수신부와, A trans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obile communication radio signals by incoming and outgoing; 상기 송수신부와 접속되고 통신신호를 처리하며 착신과 발신 정보를 시간 단위로 구분하고 날짜별로 분리 기록저장되도록 제어와 감시하는 제어부와, A control unit which is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 reception unit, processes a communication signal, controls and monitors incoming and outgoing information by time unit, and separately records and stores by date;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어 착신과 발신과 운용을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키입력부와, A key input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and inputting a control command for incoming, outgoing, and operating;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어 운용정보를 표시하며 착신과 발신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A display unit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display operation information and to display incoming and outgoing information;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어 휴대단말기 운용정보와 프로그램을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메모리와, A memor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for recording and storing and outputting portable terminal operation information and programs; 상기 제어부와 접속되어 통화목록을 착신별 발신별 날짜별 시간별로 분류하여 기록저장하고 출력하는 통화목록부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장치. And a call list unit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to store a call list, record, store, and output the call list by time of call by call.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운용정보와 프로그램을 읽어 휴대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고,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제어명령에 의하여 착신과 발신을 하며, 상기 착신과 발신 정보를 시간과 날짜로 분류하여 상기 통화목록부에 기록저장하고, 상기 분류된 통화목록을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와 감시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장치. Read the operation information and the program from the memory unit to control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incoming and outgoing by the control command applied from the key input unit, the incoming and outgoing information is classified by time and date the call list unit And storing and storing the same in a call list and outputting the classified call list to a display unit.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목록부는,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all list unit,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착신과 발신정보를 각각 시간과 날짜로 분류하여 기록저장하고 해당 제어신호에 의하여 분류된 통화목록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장치. Call list display device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record and store the incoming and outgoing information applied from the controller by time and date, respectively, and to output a call list classified by the control signal. 휴대단말기가 통신을 하는 경우에 착신과 발신에 의한 통화목록 정보를 시간과 날짜별로 구분하여 기록저장하고 한달 이상 된 정보는 삭제하는 기록과정과, When the mobile terminal communicates, the recording process records and stores the call list information by incoming and outgoing by time and date, and deletes the information older than one month; 상기 기록과정의 통화목록을 검색하는 경우 날짜별로 검색할 것인지 판단하는 검색과정과, A search process for determining whether to search by date when searching the call list of the recording process; 상기 검색과정에서 판단하여 날짜별로 검색하는 경우에 표시부 달력의 날짜를 선택하면 해당 날짜의 통화목록이 착신과 발신으로 분리표시되는 날짜과정과, In the case of searching by date determined by the search process, if the date of the display calendar is selected, the call process of the corresponding date is displayed in the call list and the incoming and outgoing call, 상기 과정에서 표시부에 표시되는 통화목록을 검색하여 확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방법. Call list display method of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step of searching for and confirm the call list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the process.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과정에서 날짜별 검색을 하지 않는 경우는,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arch is not performed by date in the search process. 통화목록을 착신과 발신과 시간별로 검색하는 각각의 메뉴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과정과, Selecting one of the menus to search the call list by incoming, outgoing, and time; 상기 과정에서 선택된 메뉴의 통화목록을 분류하여 표시부에 출력 표시하고 상기 확인과정으로 진행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방법. And classifying the call list of the selected menu in the process, outputting the display to the display unit, and proceeding to the checking process.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recording process, 휴대단말기가 통신의 착발신을 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Judging whether the mobile terminal makes and receives communication; 상기 과정에서 통신의 착발신을 하는 경우에 각각 통화 날자와 시간과 착신과 발신으로 구분된 통화목록 정보를 기록저장하는 과정과, In the process of the incoming and outgoing communication, the process of recording and storing the call list information divided into the call date and time and the incoming and outgoing, respectively; 상기 과정에서 기록된 통화목록 정보에 한달 이상 된 기록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record of more than one month in the call list information recorded in the above process; 상기 과정에서 한달 이상 된 정보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는 해당 정보를 삭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방법. If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more than one month of information in the process, the call list display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cess consisting of deleting the information.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arching process comprises: 상기 휴대단말기에 기록저장된 통화목록을 검색하는 메뉴가 선택되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Determining whether a menu for searching a call list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is selected and input; 상기 과정에서 통화목록을 검색하는 메뉴가 선택되어 입력되는 경우에 날짜별 검색 메뉴가 선택되어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방법. And determining whether a search menu by date is selected when a menu for searching a call list is selected and input in the process.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날짜과정은,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ate course, 상기 기록저장된 통화목록을 날짜별로 분류 표시하기 위하여 휴대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달력 날짜를 선택하는 과정과, Selecting a calendar date displayed on a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to display the recorded call list classified by date; 상기 과정에서 선택된 날짜의 통화목록을 착신과 발신으로 분류하여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통화목록 표시방법.And displaying the call list on the display unit by classifying the call list of the selected date into the incoming and outgoing call.
KR1020030084656A 2003-11-26 2003-11-26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call list for mobile phone KR2005005098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656A KR20050050983A (en) 2003-11-26 2003-11-26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call list for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4656A KR20050050983A (en) 2003-11-26 2003-11-26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call list for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0983A true KR20050050983A (en) 2005-06-01

Family

ID=38666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4656A KR20050050983A (en) 2003-11-26 2003-11-26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call list for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50983A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792B1 (en) * 2007-05-04 2014-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s for managing user data in communication terminal
KR101403427B1 (en) * 2007-07-27 201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Media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broadcast program
KR101629607B1 (en) * 2015-05-29 2016-06-1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Server for providing group calling ser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792B1 (en) * 2007-05-04 2014-06-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s for managing user data in communication terminal
KR101403427B1 (en) * 2007-07-27 201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Media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mitting broadcast program
KR101629607B1 (en) * 2015-05-29 2016-06-1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Server for providing group calling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3996B1 (en) Advanced transfering method of short message in digital portable telephone
KR100747452B1 (en) Methods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multimedia message for mobile phone
KR20050055360A (en) Method for display recent call list i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KR10043890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menu in a mobile system
US6889039B2 (en) Memory management terminal and method for handling acoustic samples
KR100308663B1 (en) Message transmitting method of digital portable phone terminal
US82710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unregistered phone number in mobile terminal
KR20050050983A (en) Method and apparatus of displaying call list for mobile phone
KR100312316B1 (en) Short message service controling apparatus and method of digital portable terminal equipment
KR20040044824A (en) Method for setting prefix number automatically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plementing the same
KR100724405B1 (en) Method for representing status of mobile communication device by using phone-book
AU3682099A (en) Mobile telephon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0803695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d same
KR20000004578A (en) Telephone number book management method of cellular radio terminal using computer
KR20070034308A (en) Outgoing processing method of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phonebook function
KR100762631B1 (en) Method for storing key input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KR100557114B1 (en) Mobile terminal having memo function of telephone number and memo method there of
KR100506282B1 (en) Telephone number editing method using the short message
KR100661562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call history automatic storing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therefore
KR101014220B1 (en) method for storing and searching call history of the receipt or transmission
KR100677353B1 (en) A method and a apparatus of searching telephone number for mobile phone
KR100533036B1 (en) Method of operating macro key button for mobile phone
KR20000056155A (en) Searching and displaying method of saving user message in digital portable telephone terminal
KR20070087464A (en) Dialing method and mobile station device by user configurable call pattern display
KR100549421B1 (en) Method for making a phone call in carnavig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