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4831A -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4831A
KR20050024831A KR1020030061716A KR20030061716A KR20050024831A KR 20050024831 A KR20050024831 A KR 20050024831A KR 1020030061716 A KR1020030061716 A KR 1020030061716A KR 20030061716 A KR20030061716 A KR 20030061716A KR 20050024831 A KR20050024831 A KR 200500248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ammatory effect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inflammatory
juj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1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주
김정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30061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24831A/ko
Publication of KR20050024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483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루근, 대추 및 황백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항염, 항자극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과루근, 대추 및 황백의 추출물은 세포독성, 알러지 유발 가능성 등의 면에서 피부에 안전할 뿐 아니라, COX-2 경로의 염증 유발 에이코사노이드(eicosanoid)인 PGE2의 생성을 억제하는 등 항염 효과가 우수하여, 이 생약 추출물을 화장품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함유시키는 것에 의하여 우수한 항염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S CONTAINING NATURAL HERB EXTRACT HAVING ANTI-INFLAMMATORY EFFECT}
본 발명은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루근, 대추 및 황백의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항염, 항자극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의 미화 및 청결을 위해 사용되는 제품이지만, 그 조성으로는 피부 보호 목적과는 상이한 성분들이 제품 형성을 위해 불가피하게 포함된다. 이러한 성분들의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방부제, 향료, 자외선 차단제, 색소 뿐 아니라, 그밖의 효능, 효과를 부여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성분들이 여기에 포함되는데, 이들 성분은 일반적으로 피부에 염증이나, 뾰루지, 부종 등 각종 부작용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ibach ,H. I., Contact Dermatitis, 6, 369-404, 1980). 또한, 체내로부터 배출되는 피지 및 땀, 화장품 성분 중의 지방산, 고급 알콜, 단백질 성분 등이 피부상에 존재하는 피부 상재균에 의해 독성이 강한 물질로 분해되어 이들에 의해 피부 염증이 유발될 수도 있으며, 태양으로부터 나오는 자외선에 의해서도 피부 염증이 유발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염증 반응은 붉어짐(feeling of redness), 따끔거림(prickling feeling), 화끈거림(burning, hotness), 팽윤(swelling), 조직의 변화와 같은 5 가지 현상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해로운 주위 환경, 즉 세균과 같은 외부 이물질의 침입과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생체를 보호하려는 생리적인 반응이다. 이러한 염증 현상은 여러 종류의 다형핵 백혈구(PMNs)와 면역 물질의 많은 증가를 초래하며, 이처럼 증가된 세포들은 염증성 세포 산물인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 분해효소와 사이토카인 (Cytokine) 등을 분비함으로써 치료 및 방어를 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작용은 인접해 있는 조직 세포와 비세포 성분들에 해로운 손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따라서, 적절한 조건 하에서는 염증 초기 상태가 지난 후 정상 기능을 되찾게 되지만, 염증을 자극하는 자극제가 없어지지 않거나 계속해서 만들어질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만성 염증이 일어나게 되어 더욱 더 심각한 조직의 손상을 가져온다.
염증 생성 과정의 핵심 물질은 자극에 의해 활성화된 포스포리파아제 A2 (phospholipase A2, PLA2)라는 효소에 의해 세포막 지질로부터 전환된 아라키돈산 (arachidonic acid)으로, 아라키돈산은 다시 싸이클로옥시게나아제 (cyclooxygenase, 이하 "COX"로 약칭) 또는 리폭시게나아제(lipooxygenase)의 2 가지 경로를 거쳐 염증 매개체인 프로스타글란딘류(prostaglandins), 류코트리엔류 (leukotrienes)로 대사되어 다양한 염증 반응을 매개한다(Thomas. R., Rev. Physiol. Biochem. Pharmacol., 100, 1984).
최근, 피부 자극 및 염증의 생성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로는 신경세포에서 분비되는 물질 P (Substance P) 등의 신경 펩타이드나 자극에 의해 조직이나 혈장에서 활성화되는 브라디키닌과 같은 키닌(kinins) 등에 의해, 또는 COX 경로에 의해 형성된 다양한 사이토카인 및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이하 "PGE2"로 약칭) 등이 부종 형성과 혈관 확장에 관여하여 염증과 통증의 원인이 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항염제로서는 물질 P를 비롯한 신경 펩타이드 길항제, 브라디키닌 길항제, COX 억제제 등이 제시되어 왔으나, 지금까지 알려진 항염제는 피부에 대한 안전성 면에서나, 제품에 포함시킬 때의 안정성 면에서 대부분 문제점을 안고 있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에서는 항염 효과와 피부 안전성, 화장료 배합시 안정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항염물질을 탐색 연구하였으며, 기존의 항염물질에 비해 항염효과가 뛰어나면서 피부에 안전한 생약 추출물을 화장료에 적용하여 얻어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과루근, 대추 및 황백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과루근, 대추 및 황백의 추출물을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과루근, 대추 및 황백을 1:2: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3-부틸렌글리콜, 정제수, 알콜,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항염 효과와 피부 안전성, 화장료 배합시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고 화장료에 쓸 수 있는 항염 물질을 탐색 연구하고자, 황백, 괴화, 작약, 삼백초, 음양곽, 당귀, 맥문동, 지모, 대추, 송이버섯, 쑥, 제비꽃, 오이, 죽순, 과루근, 백반, 당근 등의 천연식물 추출물들에 대해 피부 안전성, 항염 효과 등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피부에 가장 안전하면서도 효과적인 과루근, 대추 및 황백 추출물을 화장료에 적용할 경우 기존의 항염물질에 비해 항염효과가 뛰어나면서도 피부에 안전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서 포함되는 생약 추출물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 보면, 먼저 과루근(瓜蔞根;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은 박과의 덩굴성 다년초로서 뿌리에 많은 녹말, 스티그마스테롤, β-시토스테롤, 사포닌, 염기성 단백질인 트리코산틴이 있다. 씨 기름의 지방산은 불포화 지방산 67%, 포화지방산 30%로 되어 있으며, 불포화 지방산의 대부분은 엘라에오스테아르산의 입체이성체로 생각되는 트리코산이다. 약리실험 결과 항암작용을 나타내며 적리균을 비롯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억균작용을 나타낸다. 얼굴빛을 빛나게 하고 손과 발의 주름을 펴며, 피부점막에 자윤을 공급하고 각질제거를 원활히 도와주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대추(jujube; Zizyphus jujuba Miller)는 갈매나무목 갈매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과실에는 단백질, 당류, 유기산, 점액질, 비타민 A, B2, C와 칼륨, 칼슘, 인 등의 무기질과 비타민 B, 당분 등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자양강장 이뇨제(滋養强壯 利尿劑)로서 진정 및 수렴 작용과 함께 보중익기(補中益氣)하며, 얼굴색을 좋게 하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항산화 및 노화 예방 효과가 있으며, 피부 각질 제거 및 항알러지 효과도 있다고 되어 있다.
황백(黃柏; Phellodendri Cortex)은 황백나무(황경피나무; Phellodendron amurense Ruprcht(운향과)) 또는 그 밖의 동속식물의 주피를 벗겨낸 줄기껍질로서, 자연생의 줄기 일부의 껍질을 벗기거나 또는 벌목에 의해 껍질을 완전히 벗겨 그대로 음건시킨 것이다. 황백의 성분으로는 껍질 성분으로서 알칼로이드계 성분, 고미성 물질, 스테로이드계 성분 등, 과실 성분으로서 정유, 미르센(myrcene), 지방유 등, 잎 성분으로서 펠라빈, 펠라틴, 펠로덴드로시드, 아무레신 등이 있다. 황백의 주성분인 베르베린(berberine)은 항세균 작용과 살균 작용, 항균 작용과 더불어 종양세포에도 작용하여 그 생활기능을 저지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또한 항산화와 노화예방 효과도 있으며 피부 면역력을 강화시키는 효능도 있다고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먼저 본 발명에 사용된 생약을 추출하는데, 과루근, 대추 및 황백을 각각 1:2: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3-부틸렌글리콜, 정제수,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콜,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 후에는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한다. 생약의 혼합 비율이 위의 비율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화장료에 적용시 저온에서 침전물이 생기는 등 안정성에 문제가 있고, 화장료의 색상 조절이 좋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다.
이와 같이 제조된 생약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w/w),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w/w)의 비율로 포함된다. 생약 추출물 함량이 0.001% 보다 적게 포함되는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실질적인 항염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반면 생약 추출물 농도가 3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생약의 향취를 마스킹(masking)하기 어렵고, 오히려 피부에 좋지 않은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원가 상승에 따른 효능 대비 경제적 가치도 떨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이들 실시예 등은 본 발명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 생약 추출물의 제조
과루근, 대추 및 황백 생약을 물로 세척한 후 잘게 세절하여 1:2:4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한약재 복합물 1 ㎏ 당 부틸렌글리콜 5 ㎏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5 내지 7 일간 추출한 다음, 추출물을 0.5 ㎛ 크기의 필터로 1 차 여과하고 이온교환수지를 통과시켰다. 이후 다시 3 ㎛ 필터로 여과하고, 이를 통과한 추출물을 또 다시 0.2 ㎛ 필터로 여과하여 최종 생약 추출물을 얻었다(회수율 58.3%).
효과 시험예 1: PGE 2 생성 억제 효과 시험
생약 추출물의 COX-2 활성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 실험을 실시하였다(참고문헌: Jeffrey, K. H., Anglea, S. W., Zoe, S., and Rhia C. M. Intracellular Measurement of Prostaglandin E2: Effect of Anti-inflammatory Drugs on Cyclooxygenase Activity and Prostanoid Expression, Analytical Biochemistry, 1999, 271, 18-28).
사람의 표피 조직에서 분리한 섬유아세포를 수 차례 계대 배양한 후, 96-웰 플레이트에 1×105 개씩 넣고 24 시간 배양하였다. FBS가 포함되지 않은 배지로 교체하여 2 시간 배양하여, 평가하고자 하는 원료인 생약 추출물을 하기 표 1에 나타낸 농도로 처리하고, 이때 인도메타신(indomethacin)도 비교군으로 함께 처리하여 1 시간 동안 배양한 후, 자극원으로 칼슘 이오노포어 A23187(Calcium ionophore A23187)과 아라키돈산을 50 mM 농도로 처리하여 37 ℃에서 5 분간 배양하였다.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dodecyltrimethylammonium bromide)를 최종 농도 0.25%로 10 분간 처리하여 세포를 용혈시키고, 상층액을 적당량 취하여 PGE2의 양을 효소면역분석법(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을 이용하여 정량함으로써 생약추출물의 프로스타글란딘 억제 효과를 판단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낸다.
시 료 농도 (%) PGE2(pg/웰) PGE2증가 억제율 (%)
음성대조군 21
양성대조군(+아라키돈산) 240 219
양성대조군(+인도메타신) 35 14 93.6
생약 추출물 0.01 165 144 34.2
0.1 122 101 53.9
0.5 165 144 34.2
표 1에서 보듯이, 생약 추출물은 최고 53.9%까지의 높은 프로스타글란딘 (PGE2) 억제율을 나타내어, COX-2 효소의 유도 작용 또는 활성 억제를 통한 항염 효능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효과 시험예 2: 항염 효과 시험
생약 추출물의 항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이용한 평가법(A. Crummey, G. P. Harper, E. A. Boyle and F. R. Mangan. Inhibition of arachidonic acid-induced ear edema as a model for assessing topical anti-inflammatory compound. Agents and Actions, 1987, 20: 69-76)을 이용하였다.
마우스(hairless mouse) 35 마리를 각 7 마리씩 나누고, 시료 적용 전 양쪽 귀를 에탄올로 깨끗이 세척한 후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생약 추출물 0.5% 또는 1.0%를 처리하는 시료군과 인도메타신(indomethacin) 1.0%를 처리하는 비교군, 그리고 아라키돈산만을 처리하는 대조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여 마우스의 귀 두께 평균치를 측정하였다. 생약 추출물을 처리하는 시료군과 인도메타신을 처리하는 비교군은 시료 20 ㎕를, 대조군에는 에탄올 20 ㎕를 1 일 1 회씩 4 일간 지속적으로 도포하였다. 마지막으로 도포하고 1 시간 경과 후, 좌측에는 에탄올을, 우측 귀에는 아라키돈산을 2 ㎎/ear씩 도포하고, 도포 1 시간 후 귀의 부종 (edema) 정도를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양쪽 귀에 대하여 3 회씩 반복 측정하였다. 처리군의 좌측 귀는 시료 자체에 의한 염증 유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항염 효과는 아라키돈산만을 처리한 대조군을 기준으로 부종 억제 정도를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시 료 농도(%) 귀두께(㎛) 억제율(%)
시료 처리 전 시료 처리 후
시료군 생약 추출물 1.0 352 550 17.5
비교군 인도메타신 1.0 357 497 41.7
대조군 아라키돈산 2 ㎎/ear 333 573
억제율(%)=(A-B)/A×100
A: 대조군 귀의 평균 두께 변화
(아라키돈산 처리 귀의 두께-아라키돈산 비처리 귀의 두께)
B: 시료 도포군 귀의 평균 두께 변화
(시료 처리 귀의 두께-시료 비처리 귀의 두께)
표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 1.0% 시료는 17.5%의 염증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수치는 의약품 성분으로서 항염 효과가 매우 우수한 물질인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대비 약 42% 정도의 항염 효과로, 항염 물질로 사용되고 있는 마치현 추출물의 염증 억제율 20.5% 보다는 다소 낮으나 사용하기에는 충분한 정도로 사료된다. 또한, 부종 증가율로 유의차 검증시, 생약 추출물은 아라키돈산과 99%의 유의차를 갖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효과 시험예 3: 세포독성 시험
화장품에 사용되는 원료로서 1차 안전성을 검증하고자, 본 발명의 생약 추출물에 대하여 V79-4세포(차이니스 햄스터, 폐조직 섬유 아세포의 연속 세포주)을 배양하여 MTT 시험을 하는 방법(참고문헌: Mossman T.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 cytotoxicity assays. Journal of Immunological Methods, 65, 55-63)을 수행하여 세포독성을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시료 aIC50(%,W/V)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SLS) 0.005
스쿠알란 0.05
생약 추출물 5.0
aIC50: Inhibitory Concentration 50, 50%의 세포를 사멸시키는 농도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의 IC50 값은 5.0으로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에 비하여 1000 배 이상 세포독성이 낮을 뿐 아니라, 안전성이 우수한 유용성 원료인 스쿠알란보다 100 배 낮은 세포독성을 나타내어, 그 안전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효과 시험예 4: 알러지 평가(LLNA)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의 알러지 유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으로서, 운반 매개물로 아세톤:올리브 오일(4:1)을 사용하는 실험법을 택하였다(참고문헌: Kimber I(1990): Identification of contact allergens using the murine local lymph node assay, J. Appl. Toxicol., 10(3), 173-180). 즉, 생약 추출물을 20%, 40% 및 60% 용액으로 제조하여 마우스(Balb/c)의 양쪽 귀에 50 ㎕씩 3 일간 발라준 후, 쥐로부터 이개임파절(auricular lymph node)을 분리하였다. 임파절을 분쇄하여 단일세포 상태로 만들고 방사성 동위원소(3H-티미딘)를 첨가하여 24 시간 배양한 다음, 세포의 증폭도[cpm]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시료 림프절?세포(107?세포/㎖) cpm(평균) 증폭도
아세톤:올리브오일(4:1) 1.89 1440 운반매개물
생약 추출물?20% 2.01 1666 1.2
생약 추출물?40% 1.71 1253 0.9
생약 추출물?60% 1.88 1223 0.8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은 최고 증폭도(S.I.)가 3 이하로서 알러지 유발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 시험예 5: 인체에 대한 1차 자극성 시험(폐쇄 첩포)
생약 추출물 1.0%,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1.0% 및 에탄올 10%를 함유한 시료와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1.0% 용액, 에탄올 10% 용액의 안전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인체 첩포 시험(human patch test)을 통해 인체에 대한 1 차 자극시험을 행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CTFA 가이드라인(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20036, 1991)에 따라 실시하였다. 즉, 핀 챔버(Finn Chamber)에 시료 및 용액 20 ㎕를 적하한 후, 이것을 시험 부위인 인체의 등에 얹어 테이프로 고정시켰다. 이어서 24 시간 동안 첩포한 후 첩포를 제거하고, 다시 4 시간 경과한 다음 시험 부위의 피부 반응을 다음 기준에 따라 판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판정 기준>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 오름
자극도=[{(±)수×1}+{(+)수×2}+{(++)수×3}]/피시험자 수
시료 피검자수 판정결과 자극도
++ + ± -
생약 추출물(1.0%),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1%) 및 에탄올(10%) 50 - - 5 45 0.10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1%) 50 2 8 12 28 0.68
에탄올(10%) 50 - - 10 40 0.20
표 5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 1.0%는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 1.0%와 에탄올 10%의 자극을 크게 완화시켜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전술한 항염 효과 실험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의 뛰어난 염증 완화 효과에 기인된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효과 시험예들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은 항염 효과가 뛰어나고 피부에 안전한 성분임을 알 수 있다.
다음은, 항염 및 항자극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에 안전한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을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한 예를 보여준다.
실시예 1: 화장수 제조
다음 표 6의 처방을 가지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w/w)
글리세린디프로필렌글리콜히아루론산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폴리에틸렌올레일에틸에탄올방부제향료색소생약 추출물정제수 5.03.00.50.10.15.00.15적량적량0.001100이 되도록 첨가
실시예 2: 에센스 제조
다음 표 7의 처방을 가지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w/w)
세토스테아릴알콜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밀납스쿠알란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디메틸실록산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카르복시폴리머트리에탄올아민방부제향료색소생약 추출물정제수 1.01.00.55.03.00.30.58.04.00.20.220.25적량적량적량0.01100이 되도록 첨가
실시예 3: 로션 제조
다음 표 8의 처방을 가지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로션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w/w)
세토스테아릴알콜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밀납스테아린산유동파라핀스쿠알란마카데미아 오일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디메틸실록산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베타인카르복시폴리머트리에탄올아민방부제향료색소생약 추출물정제수 0.81.00.50.57.05.03.02.00.30.51.24.04.04.00.120.150.25적량적량5.0100이 되도록 첨가
실시예 4: 크림 제조
다음 표 9의 처방을 가지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크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w/w)
세토스테아릴알콜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밀납유동파라핀스쿠알란이소세틸옥타노에이트정제 호호바유디메틸실록산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모노스테아린산폴리에틸렌글리콜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베타인잔탄검트리에탄올아민방부제향료색소생약 추출물정제수 3.01.51.50.58.07.04.04.00.31.01.26.04.04.00.060.100.25적량적량10.0100이 되도록 첨가
실시예 5: 젤의 제조
다음 표 10의 처방을 가지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젤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w/w)
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에탄올폴리옥시에틸렌경화피마자유카르복시폴리머트리에탄올아민방부제향료색소생약 추출물정제수 4.04.0100.10.300.30적량적량적량20.0100이 되도록 첨가
실시예 6: 연고의 제조
다음 표 11의 처방을 가지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연고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중량%(w/w)
세토스테아릴알콜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린산스테아린산밀납스쿠알란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모노스테아린산소르비탄폴리솔베이트 80글리세린프로필렌글리콜향료색소생약추출물바세린 2.02.01.04.07.03.01.03,05.04.0적량적량30.0100이 되도록 첨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약 추출물은 세포독성, 알러지 유발 가능성 등의 면에서 피부에 안전할 뿐 아니라, COX-2 경로의 염증 유발 에이코사노이드(eicosanoid)인 PGE2의 생성을 억제하는 등 항염 효과가 우수하여, 이 생약 추출물을 화장품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함유시키는 것에 의하여 우수한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과루근, 대추 및 황백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과루근, 대추 및 황백의 추출물을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30.0 중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과루근, 대추 및 황백을 1:2:4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1,3-부틸렌글리콜, 정제수, 알콜,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것인 화장료 조성물.
KR1020030061716A 2003-09-04 2003-09-04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0500248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716A KR20050024831A (ko) 2003-09-04 2003-09-04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1716A KR20050024831A (ko) 2003-09-04 2003-09-04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4831A true KR20050024831A (ko) 2005-03-11

Family

ID=37231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1716A KR20050024831A (ko) 2003-09-04 2003-09-04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2483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670B1 (ko) * 2006-02-22 2007-05-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황백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ⅳ형 알레르기 및 염증치료용 조성물
KR100879032B1 (ko) * 2007-05-09 2009-01-15 (주)한스킨 천연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있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15160B1 (ko) * 2006-07-04 2013-10-08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림노시트러스 리토랠리스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용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670B1 (ko) * 2006-02-22 2007-05-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황백 및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ⅳ형 알레르기 및 염증치료용 조성물
KR101315160B1 (ko) * 2006-07-04 2013-10-08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림노시트러스 리토랠리스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용조성물
KR100879032B1 (ko) * 2007-05-09 2009-01-15 (주)한스킨 천연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있는 항균, 항산화 및 항염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undir et al. Ethnomedicinal uses, phytochemistry and dermatological effects of Hippophae rhamnoides L.: A review
Lall et al. Are plants used for skin care in South Africa fully explored?
Kole et al. Cosmetic potential of herbal extracts
KR20070079596A (ko) 피부질환 치료 보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05726391B (zh) 一种铁皮石斛沐浴露
KR20120000880A (ko)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82292A (ko) 아토피 및 여드름 피부에 효능을 보이는 황칠나무 추출물
KR20190124947A (ko) 강황 추출물과 동백 오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Calabrese et al. Hormesis: Wound healing and keratinocytes
KR20180101124A (ko) 마유 및 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97160B1 (ko)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10787119A (zh) 一种抗菌护肤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210018388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00089409A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001031A (ko) 하고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9742B1 (ko) 천연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52560B1 (ko) 봉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4502139B (zh) 富含2,5-二甲酰基呋喃的***辣木种子提取物、其获得方法及其在化妆品组合物中的用途
KR20110085543A (ko)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50024831A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20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60099225A (ko)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증제 및 이의 용도
KR20020044267A (ko) 복분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치료용 화장품 조성물
KR100954984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효과를 갖는 화장료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