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9929A - Elevator system having no machineroom - Google Patents

Elevator system having no machinero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9929A
KR20050019929A KR10-2005-7001413A KR20057001413A KR20050019929A KR 20050019929 A KR20050019929 A KR 20050019929A KR 20057001413 A KR20057001413 A KR 20057001413A KR 20050019929 A KR20050019929 A KR 200500199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pulley
elevator system
pair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14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789518B1 (en
Inventor
이시이다까시
가와사끼간
아사미이꾸오
다까사와사또시
후지무라슈운
Original Assignee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엘리베이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57001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518B1/en
Publication of KR20050019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99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518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로 저부의 피트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고, 유지보수 작업이 케이지의 상부에서 집중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케이지측 활차와 케이지측 가이드 레일이 케이지의 무게 중심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케이지(10)의 상방에 배치되는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 및 케이지측 가이드 레일(11L)의 후방에 배치되는 견인 활차(17)를 구비한다. 상기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는, 그 각각의 회전 각도가 견인 활차의 회전축에 평행하게 연장되거나 견인 활차의 회전축의 방향 각도에 접근한 방향 각도로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pit height of the elevator hoisting bottom, maintenance work can be carried out intensively at the top of the cage, and the cage side pulley and the cage side guide rail ar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ge. And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The elevator system having no machine room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disposed above the cage 10 and a pulley pulley 17 disposed behind the cage side guide rails 11L. .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are disposed such that their respective rotation angles extend in parallel with the rotational axis of the towing pulley or at a direction angle approaching the direction angle of the rotational axis of the towing pulley.

Description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ELEVATOR SYSTEM HAVING NO MACHINEROOM}Elevator system without machine room {ELEVATOR SYSTEM HAVING NO MACHINEROOM}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로(昇降路;shaft) 위에 기계실(machineroom)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system that does not have a machineroom on an elevator shaft.

건물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일조권에 관한 법률을 준수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승강로 위에 기계실을 갖지 않는 다양한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개발되어 제안되어 왔다. Various elevator systems have been developed and proposed that do not have a machine room on the elevator hoistway in order to make efficient use of the space in the building and to observe the law on sunshine.

도5및 도6에 도시된 종래의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케이지(cage;승강기의 타는 곳)(1)가 수직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좌측 벽면(2L)의 상부에 구동 장치(3)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구동 장치(3)에 의해 구동되는 견인 활차(4)의 주위에는 다수의 소직경 로프로 이루어진 호이스트 로프(hoist rope)(5)가 감긴다. In the elevator system without the conventional machine room shown in Figs. 5 and 6, the drive device is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ft wall surface 2L of the elevator hoistway 2 in which the cage 1 moves vertically. (3) is fixedly installed. A hoist rope 5 made of a plurality of small diameter ropes is wound around the traction pulley 4 driven by the drive device 3.

상기 호이스트 로프(5) 중, 견인 활차(4)로부터 케이지(1)측으로 현수되는 부분은, 케이지(1)의 좌측 측벽(1a)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5a)과, 케이지(1)의 아래에 장착되어 이를 지지하는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b, 1c)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분(5b), 및 케이지(1)의 우측 측벽(1d)을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정상부(top)에 배치된 히치(hitch;연결장치)(6)에 고정되는 부분(5c)을 포함한다. 따라서, 케이지(1)는 2:1 로우핑(roping) 배치로 현가(懸架;suspend)되어 있다. The portion of the hoist rope 5 suspended from the pulley pulley 4 toward the cage 1 side includes a portion 5a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left side wall 1a of the cage 1 and the cage 1. A portion 5b extending horizontally between a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b and 1c which are mounted below and supporting it, and extends upward along the right side wall 1d of the cage 1 to And a portion 5c fixed to a hitch 6 arranged on the top. Thus, the cage 1 is suspended in a 2: 1 roping arrangement.

호이스트 로프(5) 중 상기 케이지(1)의 좌측 측벽(1a)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5a)은 90도의 비틀림 각도로 꼬인다. The portion 5a of the hoist rope 5 extending downward along the left side wall 1a of the cage 1 is twisted at a twist angle of 90 degrees.

마찬가지로, 호이스트 로프(5) 중, 견인 활차(4)로부터 균형추(7) 측으로 현수되는 부분은, 균형추(7)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균형추를 지지하고 있는 균형추측 활차(7a)를 향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 및 상기 균형추측 활차(7a)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정상부에 설치된 도시되지 않은 히치(hitch)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균형추(7)는 2:1 로우핑 배치로 현가되어 있다. Similarly, the portion of the hoist rope 5 suspended from the pulley pulley 4 toward the counterweight 7 side is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unterweight 7 toward the counterweight side pulley 7a supporting the counterweight. It consists of a portion extending downward and a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balance guess pulley 7a and fixed to an unshown hitch installed at the top of the elevator hoistway. This counterweight 7 is suspended in a 2: 1 rowing arrangement.

도5 및 도6에 도시된 종래의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케이지(1)를 지지하는 케이지측 활차(1b, 1c)가 케이지(1)의 하부에 배치되므로, 케이지측 활차(1b, 1c)를 점검하는 작업자를 위한 공간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저부에 배치된 피트(pit)에 확보되어야 한다. 따라서, 피트의 충분한 높이가 요구된다. In the elevator system without the conventional machine room shown in Figs. 5 and 6, the cage side pulleys 1b and 1c for supporting the cage 1 are disposed below the cage 1, so that the cage side pulley 1b, Space for the operator to check 1c) is to be ensured at a pit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hoistway. Therefore, a sufficient height of the pit is required.

케이지(1)의 좌우 측벽(1a, 1d)을 따라서 호이스트 로프(5)가 연장되기 위해서는,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b, 1c)가 케이지(1)의 좌우 측벽(1a, 1d)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케이지(1)의 좌우 방향(도어의 개폐 방향)의 치수 "W1"을 확보하려면,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단면의 좌우 방향 치수 "L"이 증가되어야 한다. In order for the hoist rope 5 to extend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1a and 1d of the cage 1, a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b and 1c protrud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1a and 1d of the cage 1. To be arranged.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the dimension "W1"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door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of the cage 1,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dimension "L" of the cross section of the elevator hoistway 2 must be increased.

다시 말하면,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단면의 좌우 방향 치수 "L"이 일정한 값으로 정해지면, 케이지(1)의 좌우 방향 치수 "W1"이 감소되어야 한다. In other words, if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dimension "L" of the cross section of the elevator hoistway 2 is set to a constant value,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dimension "W1" of the cage 1 should be reduced.

구동 장치(3), 견인 활차(4), 및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측벽의 정상부에 배치된 제어 장치(8)의 유지보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최상부 위치까지 상승된 케이지(1)의 상부에 올라가 있는 작업자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The maintenance of the drive device 3, the traction pulley 4, and the control device 8 arranged at the top of the side wall of the elevator hoist 2 is carried out by the cage 1 lifted to the top position of the elevator hoist 2. It must be carried out by an operator on top.

한편, 케이지측 활차(1b, 1c)의 유지보수는 케이지(1)를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최하부 위치까지 하강시켜 피트 내의 작업자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On the other hand, maintenance of the cage side pulleys 1b and 1c must be performed by the operator in the pit by lowering the cage 1 to the lowest position of the elevator hoistway 2.

따라서, 종래의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작업자가 건물의 최상층과 최하층 사이를 오르내려야 하기 때문에 유지보수 작업이 효율적으로 수행되지 않는다. Thus, in an elevator system that does not have a conventional machine room, maintenance work is not performed efficiently because the operator must move up and down between the top and bottom floors of the building.

견인 활차(4)의 회전축은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좌측 측벽(2L)에 수직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도6에 도시하듯이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케이지측 활차(1b, 1c)는 견인 활차(4)의 전방(도6에서의 하부)에 배치되어야 하며, 균형추측 활차(7a)는 견인 활차(4)의 후방(도6에서의 상부)에 배치되어야 한다. The axis of rotation of the pulley pulley 4 extends perpendicular to the left side wall 2L of the elevator hoistway 2. Therefore, when viewed vertically from the top as shown in FIG. 6, the cage side pulleys 1b and 1c should be disposed in front of the towing pulley 4 (lower in FIG. 6), and the counterweight pulley 7a is towed. It should be placed behind the pulley 4 (upper in FIG. 6).

이러한 구조는,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b, 1c)가 케이지(1)의 하부에서 배치될 수 있는 위치를 제한한다. 따라서,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호이스트 로프(5)가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b, 1c)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분(5b)을 케이지(1)의 무게 중심(center of gravity)(G)에 일치시키기가 어렵다. This structure limits the position where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b and 1c can b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cage 1. Therefore,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the center of gravity (G) of the cage 1 is the portion 5b in which the hoist rope 5 extends horizontally between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b and 1c. ) Is difficult to match.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도1의 주요 부분을 확대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도3은 도1에 도시된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n elevator system without the machine room shown in FIG.

도4는 견인 활차와 케이지측 활차의 위치를 개략 도시하는 정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positions of the pulley and the cage side pulley.

도5는 종래의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개략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5 is a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conventional machine room.

도6은 도5에 도시된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평면도이다.FIG. 6 is a plan view of an elevator system without the machine room shown in FIG.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상기 결점들을 해결하는,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저부에 있는 피트의 높이가 감소될 수 있고, 유지보수 작업이 케이지의 상부에서 집중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케이지의 폭에 대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단면의 좌우 방향 치수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호이스트 로프의 일부가 케이지의 무게 중심과 중첩되도록 호이스트 로프를 케이지 주위에 감을 수 있다.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which solves the above drawbacks of conventional elevator systems. In the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height of the pit 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hoistway can be reduced, and maintenance work can be carried out intensively at the top of the cage. With respect to the width of the cage, the lateral dimension of the cross section of the elevator hoistway can be reduced. In addition, the hoist rope can be wound around the cage such that a portion of the hoist rope overlaps wit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ge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수직 이동하는 케이지와, 상기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가이드 레일 중 하나의 후방 근방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 구동되는 견인 활차와, 상기 견인 활차를 회전 구동하도록 상기 견인 활차의 후방에 배치되는 구동 장치와, 상기 구동 장치의 하방에서 전후 한쌍의 균형추측(counterweight-side)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승강로 내를 수직 이동하는 균형추와, 상기 견인 활차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연장되거나 상기 견인 활차의 회전축의 방향 각도에 접근한 방향 각도로 연장되는 회전축의 주위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케이지를 현가하는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 및 상기 견인 활차 주위에 감기며 그 제1 부분은 상기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를 통해서 상기 케이지를 현가하고 그 제2 부분은 상기 균형추를 현가하는 복수의 로프로 이루어지는 호이스트 로프를 포함한다.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in a rear vicinity of a cage guided by a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guide rails and vertically moved inside an elevator hoistway, and by one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guide rails. A pulley pulley that is rotationally driven about a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direction, a drive device disposed behind the pulley pulley so as to drive the pulley pulley rotationally, and a pair of counterweight-side guides before and after the driver. A counterweight that is guided by rails to vertically move in the hoistway, and rotates about a rotation axis extending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towing pulley or extending in a direction angle approaching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towing pulley; A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suspending the cage, and the towing pulley main It is wound on to the first part of the suspension to the cage through the pair of right and left cage-side sheave and the second portion comprises a hoist rope composed of a plurality of rope suspension to the balance weight.

"전후 방향"이라는 용어는 케이지 도어의 개폐 방향(좌우 방향)에 대해 수직한 방향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도어 개폐 방향에 수직한 방향에 대해 어느 정도 경사진 각도를 이루는 경우도 포함한다. The term "front and rear direction" is not limited to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cage door, and includes a case where the angle is inclined to some extent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oor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 as necessary.

상기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에서는, 케이지측 활차가 케이지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저부에 유지보수 작업을 위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피트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In an elevator that does not have the machine room, the cage side pulley is arranged at the top of the cage,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secure a space for maintenance work 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hoistway, thereby reducing the pit height.

또한, 케이지의 상부에 올라선 작업자는, 견인 활차 및 케이지측 활차뿐 아니라, 견인 활차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 및 이 구동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를 집중적으로 유지보수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건물의 최상층과 최하층 사이를 오르내릴 필요가 없고, 효과적인 유지보수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or who climbs on the top of the cage can intensively maintain not only the traction pulley and the cage side pulley, but also a driving device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traction pulley, and 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device. . Thus, the worker does not have to climb up and down between the top floor and the bottom floor of the building, and effective maintenance work can be performed.

호이스트 로프가 케이지의 좌우 측벽을 따라서 연장되지 않으므로,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가 케이지의 좌우 측벽으로부터 돌출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수평 단면 치수가 일정한 값으로 정해질 때, 케이지를 위해 보다 큰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즉, 케이지의 수평 단면 치수가 일정한 값으로 정해질 때,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수평 단면 치수가 감소된다. Since the hoist rope does not extend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cage,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do not need to protrude from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cage. Therefore, whe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elevator hoisting is set to a constant value, a larger space can be secured for the cage. That is, whe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cage is set to a constant value,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elevator hoistway is reduced.

또한, 케이지의 하방에 케이지측 활차 및 호이스트 로프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저부에 배치되는 버퍼가 케이지의 저면의 중심 위치에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age side pulley and the hoist rope do not exist below the cage, a buffer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hoistway can be arranged to face the center position of the bottom of the cage.

견인 활차는 좌우 케이지측 가이드 레일 중 하나의 후방에 배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 구동된다. 따라서, 견인 활차는 그 위치가 케이지측 가이드 레일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므로 비교적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호이스트 로프는,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 사이에서 연장되는 부분이 케이지의 무게 중심과 겹치도록 감길 수 있다. The towing pulley is disposed at the rear of one of the left and right cage side guide rails, and is driven to rotate about a rotating shaft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us, the pulley can be arranged relatively freely because its position is not limited by the cage side guide rail. As a result, the hoist rope can be wound so that portions extending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s of cage side pulleys overlap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ge.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케이지측 가이드 레일은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정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In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cage side guide rail can extend to the top of the elevator hoistway.

견인 활차가 케이지측 가이드 레일 중 하나의 후방에 배치되고 구동 장치가 견인 활차의 후방에 배치되므로, 좌우 한쌍의 가이드 레일은 케이지가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최상부 위치까지 완전히 상승될 수 있도록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정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As the towing pulley is located behind one of the cage side guide rails and the drive unit is located behind the towing pulley, a pair of left and right guide rails extend to the top of the elevator hoist so that the cage can be fully raised to the top of the elevator hoistway. Can be.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호이스트 로프는 각각 4 내지 6 mm의 직경을 갖는 다수의 로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hoist rope can consist of a plurality of ropes each having a diameter of 4 to 6 mm.

호이스트 로프의 로프들의 각 직경이 4 mm 내지 6 mm 의 범위에 있기 때문에, 견인 활차, 케이지측 활차, 및 균형추측 활차의 각 외경은 200 mm 내지 250 mm의 범위로 억제될 수 있다. Since each diameter of the ropes of the hoist rope is in the range of 4 mm to 6 mm, each outer diameter of the towing pulley, cage side pulley, and counterweight pulley can be suppressed in the range of 200 mm to 250 mm.

따라서, 견인 활차와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는 엘리베이터 승강로에 비교적 자유롭게 배치될 수 있으며, 호이스트 로프는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상기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 사이에서 연장되는 그 부분이 케이지의 무게 중심과 겹치도록 보다 쉽게 감길 수 있다. Thus, the towing pulley and the left and right pairs of cage side pulleys can be disposed relatively freely in the elevator hoistway, and the hoist rope overlap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ge with its portion extending between the left and right pairs of cage side pulleys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It can be wound more easily.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견인 활차의 회전축과 케이지측 활차의 회전축은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상호 0도 내지 45도의 각도로 연장될 수 있다. In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axis of rotation of the pulley and the cage-side pulley may extend at an angle of 0 degrees to 45 degrees from the top when viewed vertically.

견인 활차의 회전축과 케이지측 활차의 회전축 사이의 각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도의 범위에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5도의 범위에 있다. The angle between the rotational axis of the pulley and the cage-side pulley is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0 to 30 degrees, and most preferably in the range of 0 to 15 degrees.

즉, 상기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호이스트 로프 중, 케이지측 활차들 중 하나와 견인 활차 사이에서 연장되는 부분의 비틀림 각도가 감소될 수 있다. That is, in an elevator system without the machine room, the torsion angle of the portion of the hoist rope extending between one of the cage side pulleys and the towing pulley can be reduced.

따라서, 케이지가 최상부 위치로 상승되어 견인 활차와 케이지측 활차 사이의 수직 공간이 감소될 때에도, 견인 활차와 케이지측 활차의 로프 홈에 대한 호이스트 로프의 경사각은 작게 유지될 수 있다. Thus, even when the cage is raised to the top position and the vertical space between the pulley and cage side pulley is reduced,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hoist rope with respect to the rope groove of the pulley and cage side pulley can be kept small.

그 결과, 호이스트 로프가 다수의 로프로 이루어질 때에도, 비틀린 선들로 이루어진 로프와 각 활차의 로프 홈 사이의 접촉에 의한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As a result, even when the hoist rope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ropes, generation of noise and vibration due to contact between the rope of the twisted lines and the rope groove of each pulley can be prevented.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는 케이지의 좌우 측벽의 근방에 배치될 수 있다. In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may be arranged near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cage.

즉, 상기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좌우 케이지측 활차 중 하나는 견인 활차의 바로 아래에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될 수 있다. That is, in an elevator system without the machine room, one of the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may be disposed directly below or near the pulley pulley.

견인 활차와 케이지측 활차 사이에 전환(diverting) 활차가 개재될 필요가 없으므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정상부와 케이지 사이의 수직 공간, 즉 상부 간극(top clearance)이 작아질 수 있다. Since a diverging pulley does not need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towing pulley and the cage side pulley, the vertical space, ie top clearance, between the top of the elevator hoistway and the cage can be reduced.

견인 활차에 대한 호이스트 로프의 감아올리는 각도를 크게 취할 수 있으므로, 호이스트 로프는 견인 활차에 대해 확실하게 마찰 결합될 수 있다. Since the hoist rope's reel angle with respect to the towing pulley can be taken large, the hoist rope can be reliably frictionally engaged to the towing pulley.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는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케이지의 수직 투영형상(projection)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In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invention, a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can be arranged inside the vertical projection of the cage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즉, 상기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케이지의 측벽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측 벽면에 접근하여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수평 단면 치수가 일정하게 정해질 때, 케이지를 위해 보다 큰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That is, in an elevator system without the machine room, a larger space can be secured for the cage when the side wall of the cage approache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elevator hoist and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elevator hoist is constant.

다시말해, 케이지의 수평 단면 치수가 일정한 값으로 정해질 때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수평 단면 치수가 감소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elevator hoistway can be reduced when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dimension of the cage is set to a constant value.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는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케이지의 무게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In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can be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ge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케이지의 무게 중심은 케이지에 승객이 타고 있지 않을 때 설계상 가정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ge is the position assumed by design when no passenger is in the cage.

즉, 상기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케이지의 무게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가 배치되므로, 케이지에 작용하는 중력과 케이지를 상승시키는 힘이 수평방향으로 크게 오프셋되지 않는다. That is, in the elevator system without the machine room, a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ar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ge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so that the gravity acting on the cage and the force for raising the cage are greatly increas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Not offset.

따라서, 케이지는 경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현가될 수 있으며, 진동 없이 원활하게 수직 이동될 수 있다. Therefore, the cage can be stably suspended without inclination and can be moved vertically smoothly without vibration.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구동 장치는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그 적어도 일부가 케이지와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drive device can be arranged such that at least part thereof overlaps the cage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즉, 상기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구동 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케이지 위에 위치되므로, 견인 활차를 회전 구동하는데 필요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That is, in an elevator system without the machine room, since at least a part of the drive device is located above the cage, the space required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pulley can be secured.

케이지의 좌우 측벽 중 구동 장치가 배치된 측벽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내표면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수평 단면의 치수가 일정하게 정해질 때 케이지를 위해 보다 큰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Since the side walls on which the drive device is disposed among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cage can approach the inner surface of the elevator hoisting, a larger space can be secured for the cage whe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elevator hoisting is constant.

즉, 케이지의 수평 단면 치수가 일정한 값으로 정해질 때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수평 단면의 치수가 감소될 수 있다. That is, the dimension of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elevator shaft can be reduced when the horizontal cross sectional dimension of the cage is set to a constant value.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 견인 활차는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그 적어도 일부가 케이지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towing pulley can be arranged such that at least part thereof overlaps with the cage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즉, 상기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견인 활차에 필요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견인 활차가 좌우 케이지측 활차 중 하나의 바로 위에 또는 그 근방에 배치될 수도 있다. That is, in an elevator system without the machine room, not only the space required for the pulley can be secured, but also the tow pulley may be disposed directly on or near one of the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견인 활차와 케이지측 활차 사이에 전환 활차가 개재될 필요가 없으므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정상부와 케이지 사이의 수직 공간, 즉 상부 간극이 감소될 수 있다. Since the switching pulley does not need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towing pulley and the cage side pulley, the vertical space, ie the upper gap, between the top of the elevator system and the cage can be reduced.

또한, 견인 활차에 대한 호이스트 로프의 감김 각도를 크게 취할 수 있으므로, 호이스트 로프가 견인 활차에 대해 확실하게 마찰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inding angle of the hoist rope with respect to the pulley can be taken large, the hoist rope can be reliably frictionally engaged with respect to the pulley.

도1 내지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1 to 4,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이하의 설명에서는, 케이지의 도어가 개폐되는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지칭하고, 승객이 케이지로부터 나가는 방향을 전방으로 지칭하며, 승객이 케이지 내로 들어가는 방향을 후방으로 지칭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oor of the cage is opened and closed is referred to as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ssenger exits from the cage is referred to as the front,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passenger enters the cage is referred to as the rear.

동일한 구조와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Parts having the same structure and func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건물의 엘리베이터 승강로(2) 내에서 수직 이동하도록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가이드 레일(11L, 11R)에 의해 안내되는 케이지(10)를 구비한다. The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1 to 4 has a cage (guided by a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guide rails 11L and 11R for vertical movement in the elevator hoistway 2 of the building) 10).

케이지(10)의 앞면에 배치되는 좌우 한쌍의 도어(12L, 12R)는 좌우 방향으로 개폐된다. The pair of left and right doors 12L and 12R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age 10 are opened and cl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케이지(10)를 지지하는 케이지 프레임은, 케이지(10) 위에서 좌우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상부 빔(beam)(13), 및 상기 상부 빔(13)의 좌우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좌우 한쌍의 수직 빔(14L, 14R)을 구비한다. The cage frame supporting the cage 10 includes an upper beam 13 extending horizontall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cage 10,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vertical lines connected to left and right ends of the upper beam 13, respectively. Beams 14L and 14R.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지(10)와 상부 빔(13) 사이의 수직 갭에는 활차 지지 빔(15)이 배치된다. 활차 지지 빔(15)은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상부 빔(13)과 교차하도록 수평 평면에서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다. 상기 활차 지지 빔(15)은 케이지(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3, a pulley support beam 15 is disposed in the vertical gap between the cage 10 and the upper beam 13. The pulley support beam 15 is incli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in the horizontal plane so as to intersect the upper beam 13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The pulley support beam 15 is spaced upwardly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cage 10.

활차 지지 빔(15)은, 그 종방향 중심 부분의 상면이 상부 빔(13)의 종방향 중심 부분의 하면에 밀착하도록 상부 빔(13)에 연결된다. 따라서, 케이지(10)를 상승시키기 위해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에 작용하는 힘은, 활차 지지 빔(15)으로부터 상부 빔(13)과 좌우 한쌍의 수직 빔(14L, 14R)을 통해서 케이지(10)에 전달될 수 있다. The pulley support beam 15 is connected to the upper beam 13 such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 center portion of the upper beam 13. Therefore, the force acting on the left and right pair of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to raise the cage 10 is from the pulley support beam 15 and the upper beam 13 and the left and right pair of vertical beams 14L and 14R. It can be delivered to the cage 10 through.

상기 활차 지지 빔(15)의 양 단부의 상면에는,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브래킷(15a)이 각각 배치된다. On the upper surfaces of both ends of the pulley support beam 15, brackets 15a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are disposed.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의 회전축보다 낮은 레벨에 활차 지지 빔(15)이 배치될 수 있으므로, 케이지 프레임의 상부 빔(13)은 케이지(10)의 상면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Since the pulley support beam 15 may be disposed at a level lower than the axis of rotation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pulleys 16L and 16R, the upper beam 13 of the cage frame may be disposed clos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ge 10. have.

따라서, 케이지(10)가 최상 위치까지 상승했을 때,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정상부와 케이지(10)의 최상부 사이의 수직 공간, 즉 상부 간극이 감소될 수 있다. Thus, when the cage 10 is raised to the uppermost position, the vertical space, ie, the upper gap, between the top of the elevator hoistway and the top of the cage 10 can be reduced.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의 케이지 측 가이드 레일(11L)의 후방에는, 전후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는 견인 활차(17)가 배치된다. As shown in Fig. 3, at the rear of the cage-side guide rail 11L on the left side, a pulley pulley 17 that rotates around a rotation axis extending horizontally in the front-rear direction is disposed.

견인 활차(17)의 후방에는, 견인 활차(17)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18)가 배치된다. 상기 구동 장치(18)는 견인 활차(17)와 동축을 이룬다. Behind the traction pulley 17, a drive device 18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traction pulley 17 is disposed. The drive device 18 is coaxial with the pulley 17.

구동 장치(18)의 아래에는,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좌측 벽면(2L)을 따라서 수직 이동하는 균형추(19)를 안내하기 위한 전후 한쌍의 균형추측 가이드 레일(19f, 19r)이 배치된다. Under the drive device 18, a pair of front and rear balance estimation guide rails 19f and 19r for guiding the balance weight 19 vertically moving along the left wall 2L of the elevator hoistway 2 are disposed.

구동 장치(18)는 전후 한쌍의 균형추측 가이드 레일(19f, 19r)의 상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는 지지 베이스(21) 상에 고정 장착된다.The drive device 18 is fixedly mounted on the support base 21 extending between the upper end portions of the pair of front and rear balance guessing guide rails 19f and 19r.

좌측의 케이지 측 가이드 레일(11L)이 견인 활차(17), 구동 장치(18) 및 지지 베이스(21)와 간섭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정상부까지 연장될 수 있으므로, 케이지(10)는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정상부까지 상승될 수 있다. Since the cage-side guide rail 11L on the left side can extend to the top of the elevator hoistway 2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towing pulley 17, the drive unit 18, and the support base 21, the cage 10 is an elevator. It can be raised to the top of the hoistway 2.

견인 활차(17)에는 그 각각이 예를 들어 5mm의 외경을 갖는 상호 평행한 여덟개의 로프로 이루어지는 호이스트 로프(5)가 감긴다. The pulley pulley 17 is wound with a hoist rope 5 consisting of eight mutually parallel ropes each having an outer diameter of, for example, 5 mm.

호이스트 로프(5)의 제1 부분은, 견인 활차(17)로부터 좌측 케이지측 활차(16L)로 하방 연장되는 부분(5a)과, 케이지(10)를 매달고 있는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분(5b), 및 우측 케이지측 활차(16R)로부터 상방 연장되어 우측 히치(6R)에 고정되는 부분(5c)을 구비한다. 따라서, 케이지(1)는 2:1 로우핑 배치로 현가되어 있다. The first portion of the hoist rope 5 includes a portion 5a extending downward from the pulley pulley 17 to the left cage side pulley 16L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6L hanging from the cage 10. A portion 5b extending horizontally between the 16Rs and a portion 5c extending upward from the right cage side pulley 16R and fixed to the right hitch 6R are provided. Thus, the cage 1 is suspended in a 2: 1 rowing arrangement.

호이스트 로프(5)의 제2 부분은, 견인 활차(17)로부터 견인 활차(17)의 하방에 배치된 균형추(19)를 향하여 현수되는 부분(5d)과, 균형추(19)를 매달고 있는 전후 한쌍의 균형추측 활차(19a, 19b)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분(5e), 및 후방 균형추측 활차(19b)에 감긴 후에 상방으로 연장되어 지지 베이스(21)에 의해 지지된 좌측 히치(6L)에 고정되는 부분(5f)을 구비한다. 균형추(19)는 2:1 로우핑 배치로 현가되어 있다. The 2nd part of the hoist rope 5 is the part 5d suspended from the towing pulley 17 toward the counterweight 19 arrange | positioned under the towing pulley 17, and the front and rear couple which hangs the balance weight 19. The horizontally extending portion 5e between the balance guess pulleys 19a and 19b, and the left hitch 6L extending upward after being wound around the rear balance guess pulley 19b and supported by the support base 21. The part 5f to be fixed is provided. The counterweight 19 is suspended in a 2: 1 rowing arrangement.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는 위에서 보았을 때 케이지(10)의 무게 중심(G)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된다. As shown in Fig. 3,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are symmetrically dispose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G of the cage 10 as viewed from above.

즉, 호이스트 로프(5)의 부분 중,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부분(5b)이,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케이지(10)의 무게 중심(G)의 상부를 통과하도록,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가 배치된다. That is, the part 5b which extends horizontally between a pair of right and left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among the parts of the hoist rope 5 of the center of gravity G of the cage 10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A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are disposed so as to pass through the upper portion.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가이드 레일(11L, 11R)은 케이지(10)의 무게 중심(G)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guide rails 11L and 11R are symmetrically dispos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G of the cage 10.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케이지에 작용하는 중력과 케이지를 상승시키는 힘이 수평방향으로 크게 오프셋되지 않으므로, 케이지는 경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현가될 수 있으며 진동 없이 원활하게 수직 이동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gravity acting on the cage and the force for raising the cage are not greatly offse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cage can be stably suspended without tilting and can be vertically moved smoothly without vibr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호이스트 로프(5)는, 그 각각이 예를 들어 5 mm의 외경을 갖는 가는 직경의 로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의 각 외경은 200 내지 250 mm 정도로 작을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와 상부 빔(13)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상부 빔(13)과 활차 지지 빔(15) 사이의 각도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e hoist rope 5 consists of narrow diameter ropes, each of which has an outer diameter of, for example, 5 mm. Therefore, each outer diameter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may be as small as 200 to 250 mm, thereby preventing interference between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and the upper beam 13. Can be. As shown in Fig. 3,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the angle between the upper beam 13 and the pulley support beam 15 can be made smaller.

따라서,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견인 활차(17)의 회전축과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의 회전축 사이의 각도 θ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the angle θ between the rotation shaft of the pulley pulley 17 and the rotation shafts of the pair of right and left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can be made smaller.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호이스트 로프(5) 중, 견인 활차(17)와 좌측 케이지측 활차(16L) 사이에서 연장되는 부분(5a)의 비틀림 각도가 가능한 한 적게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지(10)가 최상 위치까지 상승하여 견인 활차(17)와 좌측 케이지측 활차(16L) 사이의 수직 공간이 감소된 때에도, 견인 활차(17) 및 좌측 케이지측 활차(16L)의 외주면에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는 로프 홈이 연장되는 방향과, 각 로프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도 어긋남이 적게 억제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torsion angle of the part 5a which extends between the pulley pulley 17 and the left cage side pulley 16L of the hoist rope 5 can be suppressed as little as possible. Thus, even when the cage 10 is raised to the uppermost position and the vertical space between the pulley pulley 17 and the left cage side pulley 16L is reduce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pulley pulley 17 and the left cage side pulley 16L are not present. The angular shift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concave rope grooves extend and in the direction in which each rope extends can be suppressed less.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로프는 견인 활차(17)의 로프 홈으로부터 좌측 케이지측 활차(16L)를 향하여 항상 수직 하방으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며, 좌측 케이지측 활차(16L)의 위치에 따라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약간 경사져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견인 활차(17)의 로프 홈의 벽면과 각각의 로프 사이에는 마찰이 발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로프 홈이 연장되는 방향과 각 로프가 연장되는 방향의 각도 어긋남이 적게 억제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rope does not always extend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rope groove of the towing pulley 17 toward the left cage side pulley 16L, an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left cage side pulley 16L,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is slightly inclined to extend downward. Thus, friction occurs between each rope and the wall surface of the rope groove of the pulley pulley 17. However, in the elevator system without the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shift betwe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ope grooves extend and the direction in which each rope extends can be suppressed to a lesser extent.

그 결과, 비틀린 선들로 구성되는 각 로프와 각 활차의 로프 홈 사이의 접촉에 의해 초래되는 소음 및 진동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호이스트 로프(5)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occurrence of noise and vibration caused by contact between each rope consisting of twisted lines and the rope groove of each pulley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durability of the hoist rope 5 can be improved.

또한, 평탄한 가요성의 로프 또는 벨트를 사용하여 견인 활차와 케이지측 활차를 그 회전축이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한 종래의 엘리베이터에 비교하면,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와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레일(11L, 11R)을 케이지(10)의 무게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하는데 있어서, 구동 장치, 견인 활차, 케이지측 활차, 가이드 레일 등의 위치가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내부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정해진다. In addition, compared to a conventional elevator in which the pulley and cage side pulleys are arranged using parallel flexible ropes or belts so that their rotation axes are parallel,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and the pair of right and left cages In arranging the rails 11L and 11R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ge 10, the positions of the driving device, the pulley, the cage side pulley, the guide rail, and the like are determined relatively freely inside the elevator hoisting path 2. .

즉, 견인 활차(17)와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가 전술한 바와 같이 배치되므로, 다른 구성요소들의 배치는 엘리베이터 승강로(2) 및 케이지(10)의 단면 형상에 따라 비교적 자유롭게 정해질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traction pulley 17 and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are arranged as described above, the arrangement of the other components is relatively free depending 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elevator hoistway 2 and the cage 10. Can be decided.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는 케이지(10)의 좌우 측벽(10L, 10R) 근처에서 케이지(10)의 상부에 배치된다. As shown in Fig. 4, a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are disposed above the cage 10 near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10L and 10R of the cage 10.

따라서,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작업 공간을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저부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엘리베이터 승강로 저부의 피트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work space for maintaining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does not need to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hoistway, the pit height of the bottom of the hoistway can be reduced.

또한, 케이지(10)의 하방에는 케이지측 활차 및 호이스트 로프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저부에 설치되는 버퍼를 케이지(10)의 저면의 중심위치에 대향하여 배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age side pulley and the hoist rope do not exist below the cage 10, a buffer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elevator hoistway can be disposed opposite the center position of the bottom of the cage 10.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16L, 16R), 견인 활차(17), 구동 장치(18), 및 상기 구동 장치(18)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정상부에 설치된 제어 장치(8)의 유지보수는 케이지(10)의 상부에서 집중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건물의 최상층과 최하층 사이를 오르내릴 필요가 없고,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유지보수 작업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Holding of a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16L and 16R, a traction pulley 17, a drive device 18, and a control device 8 provided at the top of an elevator hoistway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rive device 18. Maintenance can be performed intensively at the top of the cage 10. Thus, the operator does not have to climb up and down between the top floor and the bottom floor of the building, and the maintenance work of the elevator system without the machine room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호이스트 로프(5)가 케이지(10)의 좌우 측벽(10L, 10R)을 따라서 연장되지 않으므로, 케이지(10)의 좌우 방향 치수는 케이지(10)의 좌측 측벽(10L)이 견인 활차(17)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치수(W2)로 증가될 수 있다.Since the hoist rope 5 does not extend along the left and right sidewalls 10L and 10R of the cage 10, the left and right lateral dimensions of the cage 10 are defined by the left sidewall 10L of the cage 10 of the pulley pulley 17. It can be increased to the dimension W2 to be located below.

따라서,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수평 단면의 치수가 일정한 값으로 정해질 때 케이지(10)를 위해 보다 큰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dimension of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elevator hoisting is set to a constant value, a larger space can be secured for the cage 10.

즉, 케이지(10)의 수평 단면의 치수가 일정한 값으로 정해질 때,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수평 단면의 치수가 감소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dimension of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cage 10 is set to a constant value, the dimension of the horizontal cross section of the elevator hoistway can be reduced.

좌측 케이지측 활차(16L)가 견인 활차(17)의 바로 아래에 위치되므로, 견인 활차(17)에 대한 호이스트 로프(5)의 감김 각도를 180도 정도로 크게 취할 수 있다. 따라서, 호이스트 로프(5)가 견인 활차(17)에 대해 확실하게 마찰 결합될 수 있다. Since the left cage side pulley 16L is located directly under the pulley pulley 17, the winding angle of the hoist rope 5 with respect to the pulley pulley 17 can be made large by about 180 degrees. Thus, the hoist rope 5 can be reliably frictionally engaged with respect to the pulley 17.

이상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가지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One embodiment of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견인 활차(17) 및 구동 장치(18)가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좌측 측벽(2L)을 따라서 배치되었으나,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우측 측벽(2R)을 따라서 배치될 수도 있다. 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pulley pulley 17 and the driving device 18 are disposed along the left side wall 2L of the elevator hoistway 2, but along the right side wall 2R of the elevator hoistway 2. It may be arranged.

상기 실시예에서는, 위에서 수직 방향으로 보았을 때, 견인 활차(17) 및 구동 장치(18)의 일부가 케이지(10)와 겹치고 있다. 그러나, 견인 활차(17) 및 구동 장치(18)는 엘리베이터 승강로(2)의 좌측 측벽(2L)과 케이지(10)의 좌측 측벽(10L) 사이의 공간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when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above, a part of the pulley pulley 17 and the drive device 18 overlap the cage 10. However, the pulley pulley 17 and the drive device 18 may be arranged to be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left side wall 2L of the elevator hoistway 2 and the left side wall 10L of the cage 10.

이상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승강로 저부의 피트 높이를 감소시킬 수 있고, 유지보수 작업이 케이지의 상부에서 집중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케이지의 폭에 대해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단면의 좌우 방향 치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호이스트 로프(5)는 위에서 수직 방향으로 보았을 때 그 일부가 케이지의 무게 중심과 중첩되도록 감길 수 있는 개량된,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한다. As is appar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pit height of the elevator hoisting bottom, maintenance work can be carried out intensively at the top of the cage,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elevator hoisting with respect to the width of the cage The hoist rope 5 provides an improved, machine-less elevator system that can reduce the lateral dimension and the hoist rope 5 can be wound so that part thereof overlaps wit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ge when viewe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above.

Claims (9)

기계실을 갖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이며,It is an elevator system without a machine room,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가이드 레일에 안내되어 엘리베이터 승강로 내를 수직 이동하는 케이지와, A cage guided by a pair of right and left cage side guide rails to vertically move inside the elevator hoistway; 상기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가이드 레일 중 하나의 후방 근방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 주위로 회전 구동되는 견인 활차와, A pulley pulley disposed in the rear vicinity of one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guide rails and rotationally driven around a rotation axis extending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견인 활차를 회전 구동하도록 견인 활차의 후방에 배치되는 구동 장치와, A drive devic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towing pulley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towing pulley; 상기 구동 장치의 하방에서 전후 한쌍의 균형추측(counterweight-side) 가이드 레일에 의해 안내되어 승강로 내를 수직 이동하는 균형추와,A counterweight which is guided by a pair of counterweight-side guide rails before and after the drive device and moves vertically in the hoistway; 상기 견인 활차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연장되거나 견인 활차의 회전축의 방향 각도에 접근한 방향 각도로 연장되는 회전축의 주위로 회전할 수 있고 케이지를 현가(懸架;suspend)하는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 및 A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that can rotate about a rotation axis extending in parallel with the rotation axis of the towing pulley or extending at a direction angle approaching the direction angle of the rotation shaft of the towing pulley and suspending the cage; 상기 견인 활차 주위에 감기며 그 제1 부분은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를 통해서 케이지를 현가하고 그 제2 부분은 균형추를 현가하는 복수의 로프로 이루어지는 호이스트 로프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An elevator system, comprising a hoist rope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ropes wound around the towing pulley and the first portion suspended from the cage through a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and the second portion suspended from the counterwe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측 가이드 레일은 상기 엘리베이터 승강로의 정상부까지 연장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The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age side guide rail extends to the top of the elevator hoistw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 로프는 각각 4 내지 6 mm의 직경을 갖는 복수의 로프로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elevator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hoist rope consists of a plurality of ropes each having a diameter of 4 to 6 mm.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활차의 회전축과 케이지측 활차의 회전축은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상호 0 내지 45도의 각도로 연장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The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axis of rotation of the pulley and the cage side pulley extend at an angle of 0 to 45 degrees from each other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는 케이지의 좌우 측벽의 근방에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are disposed near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cag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는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케이지의 수직 투영형상의 내측에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are disposed inside the vertical projection shape of the cage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한쌍의 케이지측 활차는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케이지의 무게 중심에 대해 대칭으로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pair of left and right cage side pulleys are dispos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age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그 적어도 일부가 케이지와 겹치도록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8.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the preceding claims, wherein the drive device is arrang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overlaps the cage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활차는 위에서 수직으로 보았을 때 그 적어도 일부가 케이지와 겹치도록 배치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The elevator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wing pulley is arrang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overlaps the cage when viewed vertically from above.
KR1020057001413A 2002-09-24 2003-09-24 Elevator system having no machineroom KR1007895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7001413A KR100789518B1 (en) 2002-09-24 2003-09-24 Elevator system having no machinero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77871 2002-09-24
KR1020057001413A KR100789518B1 (en) 2002-09-24 2003-09-24 Elevator system having no machinero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929A true KR20050019929A (en) 2005-03-03
KR100789518B1 KR100789518B1 (en) 2007-12-28

Family

ID=4162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1413A KR100789518B1 (en) 2002-09-24 2003-09-24 Elevator system having no machinero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951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764B1 (en) * 2022-02-18 2022-09-01 주식회사 동남엘리베이터서비스 Installaiton structure of machine roomless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33215A1 (en) * 1982-09-20 1984-03-23 Roussel Uclaf NOVEL DERIVATIVES OF C-HOMO 9-OXAERGOLINE, THEIR SALTS, PREPARATION METHOD AND PREPARATION INTERMEDIATES, MEDICAMENT APPLICATION AND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JP3152034B2 (en) * 1993-10-28 2001-04-03 三菱電機株式会社 Traction sheave type elevator device
DE69841498D1 (en) * 1998-12-21 2010-03-25 Mitsubishi Electric Corp LIFT
JP2002167137A (en) * 2000-11-29 2002-06-11 Toshiba Corp Elevator
ES2209675T3 (en) * 2001-01-04 2006-02-16 Wittur Ag CABLE LIFT WITHOUT GEAR WITH A MOTOR PULLEY DRIVE WITH DOUBLE EMBRACED COUNTERPOLE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8764B1 (en) * 2022-02-18 2022-09-01 주식회사 동남엘리베이터서비스 Installaiton structure of machine roomless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9518B1 (en) 2007-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3631B2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JP4350988B2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JP4401069B2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JP4771586B2 (en) elevator
EP1551746B1 (en) Elevator system having no machineroom
US8172041B2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US7562745B2 (en) Elevator with an operation space in a center of a machine room
KR100965162B1 (en) Elevator
KR100789518B1 (en) Elevator system having no machineroom
JP6432926B1 (en) Elevator equipment
KR100871361B1 (en) Machineroom-less elevator
JPH11139718A (en) Main rope deflection stopping device for elevator
EP1700813A1 (en) Elevat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