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4474A - 전기변색소자용 다공성 무기박막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기변색소자용 다공성 무기박막 및 그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4474A
KR20050014474A KR1020030053120A KR20030053120A KR20050014474A KR 20050014474 A KR20050014474 A KR 20050014474A KR 1020030053120 A KR1020030053120 A KR 1020030053120A KR 20030053120 A KR20030053120 A KR 20030053120A KR 20050014474 A KR20050014474 A KR 20050014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inorganic thin
polymer particles
monomer
electrochrom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9928B1 (ko
Inventor
박노형
조석호
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30053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9928B1/ko
Publication of KR20050014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44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9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99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2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1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 G02F1/151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hromic material, e.g. by the electrodeposited material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G02F1/15165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36Micro- or nanomateri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 크기의 고분자 입자를 제조한 후 이를 이용하여 다공성의 무기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마이크로에멀젼 중합법을 이용하여 나노 크기의 고분자입자를 제조한 후, 이 입자를 함유한 무기박막을 형성한 다음, 적당한 방법으로 고분자 입자를 제거하여 다공성의 무기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나노 크기의 고분자 입자를 이용한 다공성 무기박막의 제조는 고분자 입자의 크기 조절이 용이하여 다양한 크기의 기공을 가지는 무기박막을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전기변색소자의 측면에서 보면 다공성 박막을 형성함으로써, 금속이온의 삽입/제거가 용이하고 전해질과의 접촉면적이 극대화되어 전기변색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전기변색소자용으로서 높은 색밀도 및 빠른 응답속도를 이루는데 유용한 기술이다.

Description

전기변색소자용 다공성 무기박막 및 그 제조방법{Porous inorganic thin film for electrochromic device and preparation thereof}
본 발명은 나노 크기의 고분자 입자를 이용하여 다공성을 가지는 무기박막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기변색소자용 다공성 무기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변색소자용 무기박막은 텅스텐 옥사이드, 니켈 옥사이드, 바나듐 옥사이드 등의 금속 산화물 무기박막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무기박막의 제조에는 졸-겔법, 스퍼터링법, 화학증착법, 전기화학 증착법 등이 널리 이용된다. 좋은 전기변색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무기박막의 조건은 선행 연구에 의해 알려진 바와 같이, 결정화도가 낮은 비정질(또는 약간의 폴리크리스탈)이고 비교적 많은기공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상기의 방법을 이용하면 비교적 균일한 무기박막을 제조하는데는 유리하다는 장점은 가지고 있으나, 사용 용도에 따른 최적의 형태를 이루는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의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경우는 무기박막의 밀도가 높게 되어 표면적이 상당히 작아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구동시의 이온과의 접촉면적의 저하를 초래한다. 그 결과 응답속도 및 전기변색 능력의 저하라는 단점을 수반하게 된다. 또한, 열처리 조건과 같은 제조 조건에 따라 미세 구조 및 결정화도에 차이가 많이 일어나므로, 대형화 및 양산화 조건의 확립에 큰 제약이 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 방법의 단점을 개량하기 위한 것으로, 나노 크기의 고분자 입자를 이용하여 결정화도가 낮고 다공성을 가지는 전기변색소자용 무기박막의 제조를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교적 단순한 공정으로 안정한 무기박막을 제조하여 향상된 성능을 지닌 전기변색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 크기의 기공을 가지는 다공성 무기박막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다공성의 실리카 무기박막의 형태를 나타내는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마이크로에멀젼 중합법에 의해 나노 크기의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b) 제조된 고분자 입자를 기판에 도포하는 단계; c) 고분자 입자가 도포된 기판 상에 무기박막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d) 무기박막에 포함된 고분자 입자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용 다공성 무기박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전기변색 소자용 무기박막의 제조시에 사용되는 고분자 입자의 중합방법은 마이크로에멀젼 중합법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에서는 유화제인 계면활성제, 보조유화제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단량체를 첨가하여 마이크로에멀젼을 제조하고 유화중합하여 10 내지 100 nm의 고분자 입자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한다.
마이크로에멀젼은 둘 이상의 비혼화성 액체 및 계면활성제의 열역학적으로 안정한 투명한 분산액을 의미한다. 특히, 마이크로에멀젼은 일반적으로 단일상 조성물을 자발적으로 자기-응집(self-assembling)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10 내지 100 nm의 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가시광선 파장보다 더 짧은 물 또는 오일 영역(domain)을 함유하기 때문에 투명하다. 마이크로에멀젼은 오일에 비해 일반적으로 높은 농도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고, 당해 시스템을 원심분리에 의해 분리할 수 없으며, 오일 및 물 영역 사이의 초-저 계면장력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분자 입자는 선형으로 폴리옥시에틸렌 사슬을 가지는 모든 고분자 종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고분자의 제조에 이용되는 단량체는 라디칼 개시에 의하여 중합 가능한 아크릴 혹은 비닐 단량체로서, 최소 하나 이상의 단량체에는 폴리옥시에틸렌 사슬을 포함하여야 한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고분자 입자는 아크릴 또는 비닐기를 가지는 단량체와 폴리옥시에틸렌 사슬을 가지는 단량체의 공중합체이다. 상기 단량체의 바람직한 조성은 반응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아크릴 또는 비닐기를 가지는 단량체 5 내지 20중량% 및 폴리옥시에틸렌 사슬을 가지는 단량체 0.1 내지 1 중량%이다.
상기 폴리옥시에틸렌계 단량체의 조성이 너무 적으면 고분자 입자의 크기가 커지고 기재에 처리할 때 기재에 대한 부착 특성이 낮아지게 되며, 너무 많으면 혼합 단량체의 물에 대한 용해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중합 과정에서 수상에 녹는 올리고머가 증가하여 계의 점도가 증가하게 되므로 상기 조성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아크릴 또는 비닐기를 가지는 단량체는 마이크로에멀젼 중합 및 라디칼 중합이 가능한 소수성의 단량체로서,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및 부틸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옥시에틸렌 사슬을 가지는 단량체는 아크릴기 또는 비닐기를 가지는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하고 폴리옥시에틸렌 사슬과 아크릴기를 동시에 포함하는 단량체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메틸에테르이며, 바람직하게는 평균 분자량이 300 내지 1,0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화제는 계면활성능력이 뛰어난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성의 친수기를 가진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모두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이온성을 지니는 소듐라우릴설페이트를 사용한다. 그리고 마이크로에멀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조유화제로서 탄소사슬이 5개 이상의 알코올류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1-펜탄올, 세틸알콜, 옥타데칸올 등을 사용한다.
상기 b) 단계에서 고분자 입자의 도포는 다양한 코팅법을 이용하여 가능하고, 바람직하게는 딥코팅법, 스핀코팅법 등을 이용한다.
상기 c) 단계에서 무기박막을 형성시키는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무기박막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졸-겔법, 스퍼터법, 전기화학법 또는 화학적증착법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졸-겔법이나 스퍼터링법을 이용한다.
상기 d) 단계에서 용매추출법 또는 연소제거법을 통하여 고분자 입자를 완전히 제거하여 무기박막을 기공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분자 입자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용매추출법은 경우에 따라 무기박막에 손상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연소제거법의 경우가 더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무기박막은 상기 방법에 따라 제조되어 10 내지 100 n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nm의 기공을 가지며 낮은 결정화도를 가지는 200 내지 400 nm 두께의 금속 산화물계 무기박막이며, 바람직하게는 전기변색소자용으로 이용가능한 무기박막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전기변색 소자용 다공성 무기박막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용 다공성 무기박막은 먼저 마이크로에멀젼 중합법을 이용하여 10 내지 100 nm의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고, 이 입자를 함유하는 무기박막을 형성시킨 다음, 다양한 방법을 통해 고분자입자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아크릴 또는 비닐기를 가지는 단량체 및 폴리옥시에틸렌 사슬을가지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마이크로에멀젼 중합법에 의해 중합하여 고분자 라텍스를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고분자 입자를 투명유리전극(이하 'ITO 유리'로 명명)에 도포하는 단계; 고분자 입자가 도포된 기판 상에 무기박막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고분자 입자 제거단계의 4단계를 거쳐서 제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전기변색소자용 무기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은 구체적으로 전체 대비비로 1 내지 5 중량%의 계면활성제와 0.1 내지 0.3 중량%의 보조유화제가 녹아 있는 수용액에 아크릴 또는 비닐기를 함유한 단량체 및 폴리옥시에틸렌 사슬을 함유한 아크릴계 단량체를 마이크로에멀젼 중합을 통해 공중합하는 1단계; 제조된 고분자 입자를 딥코딩이나 스핀코팅으로 ITO 유리에 도포하는 2단계; 처리된 기판 위에 졸-겔법이나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무기박막을 형성시키는 3단계; 및 연소제거법을 이용하여 무기박막에 함유된 고분자 입자를 제거하는 4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의 고분자 입자의 제조방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소듐라우릴설페이트가 반응물 전체 중량비로 1 내지 5 중량% 및 보조유화제인 1-펜탄올 0.1 내지 0.3 중량%가 녹아있는 수용액을 상온에서 300 rpm으로 교반하면서 5 내지 20 중량%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0.1 내지 1 중량%의 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 혼합 단량체를 첨가하여 마이크로에멀젼을 제조한다. 마이크로에멀젼이 안정화되면 70℃로 승온시킨 다음, 물의 양에 대하여 중량비로 1%의 수용성 개시제인 포타슘퍼설페이트 첨가하여 5시간 동안 마이크로에멀젼 중합을 수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무기박막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무기박막에 고분자 입자의 크기와 동일한 기공이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다공성의 무기박막의 형태를 나타내는 전자현미경 사진으로, 다공성의 무기박막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나노 크기의 고분자 입자의 제조
기계식 교반기, 온도조절장치, 질소공급장치 및 냉각기를 장착한 반응기에 78.4 g의 물을 첨가하고,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인 소듐라우릴 설페이트(SLS) 1.4 g과 보조유화제인 1-펜탄올 0.2 g을 첨가하고, 300 rpm으로 교반하면서 용해시켰다. 이 수용액에 1.0 g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와 0.1 g의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PEGMA)의 혼합 단량체를 첨가하여 마이크로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안정한 마이크로에멀젼이 형성된 후 온도를 70℃로 가열하였다. 온도가 안정된 후, 물 10 g에 0.1 g의 포타슘퍼설페이트(KPS)가 녹아 있는 수용액을 첨가하였다. 이때 질소를 충분히 공급하여 반응기 내의 산소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1시간 후 9.0 g의 MMA를 1시간에 거쳐 천천히 적하하였다. 5시간 동안 70℃에서 마이크로에멀젼중합을 수행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방법에 따라 다음의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몇 종의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였으며, 각각의 입자크기 측정 결과는 표 1과 같다. 여기서 입자크기는 광산란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값이다.
Sample MMA(g) PEGMA(g) KPS(g) SLS(g) 1-pentane(g) 입자크기(nm)
NP-1 5 0 0.1 1.4 0.2 32
NP-2 5 0.1 0.1 1.4 0.2 21
NP-3 5 0.5 0.1 1.4 0.2 15
NP-4 10 0 0.1 1.4 0.2 83
NP-5 10 0.1 0.1 1.4 0.2 74
NP-6 10 0.5 0.1 1.4 0.2 58
표 1에 따르면, MMA의 첨가량이 적을수록 그리고 PEGMA의 첨가량은 많을수록 제조된 입자의 크기가 작아짐을 알 수 있다. 입자크기가 10 내지 20 nm 정도까지는 일반적인 스퍼터법에 의해 제조된 박막보다는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이는 입자의 크기가 작을수록 표면적이 극대화되어 전기를 가했을 때 금속이온의 삽입/탈착이 용이해져서 응답속도 및 색밀도 등의 전기변색특성이 향상됨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제조된 고분자 라텍스를 딥코팅을 이용하여 ITO 유리에 코팅한 후, 70℃에서 1시간 동안 열풍 건조시켜서 나노 크기의 고분자 입자가 처리된 ITO 유리 기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다공성 실리카 무기박막의 제조
6.26 g 테트라에톡시실란을 45 g 에탄올과 혼합 교반한 후, 10 g의 에탄올, 0.5 g의 초순수와 0.5 g의 염산으로 이루어진 혼합액을 첨가하여 실리카 졸-겔 전구액을 제조하였다. 이 전구액을 고분자 입자 처리된 기재 위에 2회 딥코팅한 후, 70℃에서 서서히 건조시킨 다음, 450℃에서 실리카 박막을 열처리하면서 고분자 입자를 연소시켜 제거하였다. 열중량 감소측정에 의하면, 제조된 고분자 입자는 410℃에서 99.8% 연소되어 제거되었다. 이때 제조된 무기박막의 두께는 약 200 nm이었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과 2를 통해 제조된 다공성의 실리카 무기박막의 형태를 살펴보기 위해서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표면 모폴로지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기박막에 다수의 나노 크기의 기공들이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 다공성 텅스텐 옥사이드 무기박막의 제조
다공성의 텅스텐 옥사이드 무기박막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스퍼터법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나노 크기의 고분자 입자로 처리된 ITO 유리 위에 라디오 주파수(RF) 마그네트론 스퍼터를 이용하여 텅스텐 옥사이드 박막을 성장시켰다. 이때 조건은 공정압력 10 mTorr, RF 파워 100 W로 알곤 분위기하에서 50분간 성장시켰다. 이렇게 제조된 무기박막의 두께는 약 250 nm이었다. 그 후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을 통하여 다공성의 텅스텐 옥사이드 무기박막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과 3를 통해 제조된 다공성의 텅스텐 옥사이드 무기박막의 전기변색소자로서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전기광학 효과를 포텐쇼스태트/갈바노스태트(Potentiostat/Galvanostat)와 레이져 투과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여기서 착색효율은 소색상태에서 완전히 변색될 때까지 면적당 투입된 전하량의 역수로, 이 값이 크다는 것은 적은 전하로 색이 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응답속도는 완전변색과 소색시 걸리는 시간이다.
기존 Sputter법 본 발명 방법
착색효율 (㎠/C) 35.2 42.56
투과도 (%) 90~24.5 (ΔT=65.5) 92.5~22.5 (ΔT=70)
응답속도 (초) 8.5 (착색)3 (소색) 7 (착색)2 (소색)
표 2에 의하면, 본 발명 방법에 따라 제조된 다공성 무기박막은 기존의 Sputter법을 이용한 경우보다 착색/소색간의 색의 변화가 크고, 빠르며,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나노 크기의 고분자 입자를 이용한 전기변색소자용 다공성 무기박막의 제조법은 표면적의 확대를 통한 응답속도의 개선 및 우수한 색밀도 효과 등으로 전기변색소자인 스마트윈도우나 저급 디스플레이에의 응용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9)

  1. a) 마이크로에멀젼 중합법에 의해 나노 크기의 고분자 입자를 제조하는 단계;
    b) 제조된 고분자 입자를 기판에 도포하는 단계;
    c) 고분자 입자가 도포된 기판 상에 무기박막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d) 무기박막에 포함된 고분자 입자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기변색소자용 다공성 무기박막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단량체를 첨가하여 마이크로에멀젼을 제조하고 유화중합하여 10 내지 100 nm의 고분자 입자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용 다공성 무기박막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가 반응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아크릴 또는 비닐기를 가지는 단량체 5 내지 20 중량% 및 폴리옥시에틸렌 사슬을 가지는 단량체 0.1 내지 1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용 다공성 무기박막의 제조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 또는 비닐기를 가지는 단량체가 마이크로에멀젼중합이 가능한 소수성의 단량체로서, 메타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및 부틸메타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용 다공성 무기박막의 제조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옥시에틸렌 사슬을 가지는 단량체가 아크릴기 또는 비닐기를 가지는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하고 폴리옥시에틸렌 사슬과 아크릴기를 동시에 포함하는 단량체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 메틸에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용 다공성 무기박막의 제조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이온성을 지니는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성의 친수기를 가지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용 다공성 무기박막의 제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졸-겔법, 스퍼터법, 전기화학법 또는 화학적증착법에 의해 무기박막을 형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용 다공성 무기박막의 제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용매추출법 또는 연소제거법을 통하여 고분자 입자를 완전히 제거하여 무기박막을 기공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소자용 다공성 무기박막의 제조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되는 10 내지 100 nm의 기공을 갖는 다공성 무기박막.
KR1020030053120A 2003-07-31 2003-07-31 전기변색소자용 다공성 무기박막 및 그 제조방법 KR1005499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120A KR100549928B1 (ko) 2003-07-31 2003-07-31 전기변색소자용 다공성 무기박막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120A KR100549928B1 (ko) 2003-07-31 2003-07-31 전기변색소자용 다공성 무기박막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4474A true KR20050014474A (ko) 2005-02-07
KR100549928B1 KR100549928B1 (ko) 2006-02-06

Family

ID=37225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120A KR100549928B1 (ko) 2003-07-31 2003-07-31 전기변색소자용 다공성 무기박막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99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669B1 (ko) * 2009-12-04 2011-07-01 광주과학기술원 다공성 유기물 박막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유기물 박막
WO2012023724A2 (ko) * 2010-08-20 2012-02-23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홀을 가지는 다공성 박막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28148B1 (ko) * 2011-11-17 2013-11-1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다공성 실리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이차전지
KR101367694B1 (ko) * 2011-11-08 2014-03-03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스피어를 이용한 질화갈륨 나노구조체 형성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90567B (zh) * 2019-05-15 2021-08-17 浙江工商大学 一种碳纳米材料@金属纳米粒子/共聚物混合基质渗透汽化膜及其制备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5669B1 (ko) * 2009-12-04 2011-07-01 광주과학기술원 다공성 유기물 박막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다공성 유기물 박막
WO2012023724A2 (ko) * 2010-08-20 2012-02-23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홀을 가지는 다공성 박막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2023724A3 (ko) * 2010-08-20 2012-05-24 서강대학교산학협력단 홀을 가지는 다공성 박막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3079989A (zh) * 2010-08-20 2013-05-01 西江大学校产学协力团 有孔可渗透薄膜及其制备方法
US8753526B2 (en) 2010-08-20 2014-06-17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Foundation Sogang University Porous thin film having holes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101367694B1 (ko) * 2011-11-08 2014-03-03 국립대학법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나노스피어를 이용한 질화갈륨 나노구조체 형성방법
KR101328148B1 (ko) * 2011-11-17 2013-11-1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다공성 실리콘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한 이차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49928B1 (ko) 2006-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arton Free-radical polymerization in inverse microemulsions
Zhang et al. From water‐soluble cdte nanocrystals to fluorescent nanocrystal–polymer transparent composites using polymerizable surfactants
Antonietti et al. Polymerization in microemulsions—a new approach to ultrafine, highly functionalized polymer dispersions
Yan et al. Capturing nanoscopic length scales and structures by polymerization in microemulsions
KR101768296B1 (ko) 표면 제조 방법
WO2005047573A2 (en) Nanocrystal/sol-gel nanocomposites
Lee et al. A simple method for creating nanoporous block-copolymer thin films
Poulain et al. Nanoparticles from vesicle polymerization: Characterization and kinetic study
KR20030046554A (ko) 코어-쉘 구조의 불소계 발수발유성 코팅제의 제조 방법
Chang et al. Kinetics and mechanism of emulsifier‐free emulsion polymerization. II. Styrene/water soluble comonomer (sodium methallyl sulfonate) system
Bennett et al. Synthesis of porous hydrogel structures by polymerizing the continuous phase of a microemulsion
KR100549928B1 (ko) 전기변색소자용 다공성 무기박막 및 그 제조방법
Chernikova et al. Emulsifier-free polymerization of n-butyl acrylate involving trithiocarbonates based on oligomer acrylic acid
Hunter et al. Shape-shifting thermoresponsive block copolymer nano-objects
Tsitsilianis et al. Stimuli responsive associative polyampholytes based on ABCBA pentablock terpolymer architecture
Wu et al. Synthesis of soap-free emulsion with high solid content by differential dripping RAFT polymerization-induced self-assembly
US6218468B1 (en) Preparation of an aqueous polymer dispersion by the free radical aqueous emulsion polymerization method
Gan et al. Styrene polymerization in oil‐in‐water microemulsions: kinetics of polymerization
Mineeva et al. Synthesis of Amphiphilic Copolymers of Acrylic Acid and Styrene with the Desired Microstructure and Their Properties
KR20070097742A (ko) 염화비닐계 수지 제조용 분산제 및 이를 이용한 염화비닐계수지의 제조 방법
Chieng et al. Formation of microporous polymeric materials by microemulsion polymerization of methyl methacrylate and 2‐hydroxyethyl methacrylate
Li et al. Doubly thermo-responsive polymers and their two-step phase transition behavior: A review
Candau Microemulsion polymerization
Xu et al. Polymerization-pH tailored RAFT-mediated polymerization-induced self-assembly for ice recrystallization inhibiting the investigation
Qiu et al. pH sensitive amphiphilic conetworks based on end-group cross-linking of polydimethylsiloxane pentablock copolymer and polymethylhydrosiloxa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