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6132Y1 -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6132Y1
KR200496132Y1 KR2020210001327U KR20210001327U KR200496132Y1 KR 200496132 Y1 KR200496132 Y1 KR 200496132Y1 KR 2020210001327 U KR2020210001327 U KR 2020210001327U KR 20210001327 U KR20210001327 U KR 20210001327U KR 200496132 Y1 KR200496132 Y1 KR 2004961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disposed
body part
insertion groov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13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2636U (ko
Inventor
송승용
Original Assignee
송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승용 filed Critical 송승용
Priority to KR20202100013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6132Y1/ko
Publication of KR202200026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26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61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613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8Heat-insulating handles
    • F16B2001/0035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가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는, 외면에 배치된 제1 삽입홈과, 내면에 배치된 제2 삽입홈이 구비된 제1 바디부를 포함하고, 제2 삽입홈은, 수용 공간과, 수용 공간과 내면을 연결하는 개구를 포함하며, 수용 공간에는 자석이 배치된다.

Description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Handle assembly for cookware}
본 고안은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음식조리시 사용하는 다양한 도구가 사용되며, 음식조리 중이거나, 음식조리가 완료된 후 음식조리시 가한 열에 의해서 조리기구를 사람의 손으로 직접 잡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된다.
이를 위해서, 냄비용 손잡이 장갑 등이 제시되었으나, 냄비용 손잡이 장갑의 경우 사용자가 장갑을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과 한 쌍으로 제작된 손잡이 장갑 중 하나를 분실하여 찾기 어렵고, 보관이 불편하며, 마찰력이 높지 않아 조리기구를 놓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관이 용이하며, 다수의 구성이 하나로 조립되어 분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는, 외면에 배치된 제1 삽입홈과 내면에 배치된 제2 삽입홈이 구비된 제1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삽입홈은, 수용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내면을 연결하는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공간에는 자석이 배치된다.
상기 수용 공간의 제1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개구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지고, 상기 자석의 일부는 상기 개구에 의해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삽입홈에는 네임텍이 삽입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네임텍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부의 내면은, 패턴 영역과 비패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 영역은 돌출부와 함몰부가 반복된 패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는, 자석을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자석의 자기력을 통하여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체결되는 걸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되 제1 자석을 포함하는 제1 바디부와, 상기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되 제2 자석을 포함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의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는,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의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바디부의 일단과 체결되도록 구성된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되 걸이홈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은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에는 철로 이루어진 구슬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부의 내면은, 패턴 영역과 비패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 영역은 돌출부와 함몰부가 반복된 패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는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있는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에 의하면, 실리콘의 특성을 이용하여 열전도율을 낮추어 가열된 조리기구를 손쉽게 잡고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수의 구성이 자성을 통하여 손쉽게 결합되어 분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보관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조리기구와 접촉하는 면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여 마찰력을 높일 수 있게 되어 조리기구와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의 제1 바디부의 일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의 제1 바디부의 타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의 걸이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의 걸이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의 걸이부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의 제1 바디부의 일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의 제1 바디부의 타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3의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B-B'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의 걸이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의 걸이부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의 걸이부의 정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100)는, 바디부(10)와 바디부(10)의 일측에 배치된 걸이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10)는 제1 바디부(11)와, 제1 바디부(11)와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된 제2 바디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바디부(11) 및 제2 바디부(13) 각각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바디부(11)와 제2 바디부(13)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바디부(11)와 제2 바디부(13)는 서로 체결 및 분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부(11)와 제2 바디부(13)는 자기력(magnetic force)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 바디부(11)와 제2 바디부(13)는 자석(MG)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부(11)와 제2 바디부(13)는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자기력에 의해 체결되어 바디부(10)를 구성할 수 있고, 또한, 바디부(10) 외력에 의해서 제1 바디부(11)와 제2 바디부(13)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되 제1 자석을 포함하는 제1 바디부(11)와,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되 제2 자석을 포함하는 제2 바디부(13)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의 자기력에 의하여 제1 바디부(11)와 제2 바디부(13)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걸이부(30)는,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의 자기력에 의하여 바디부(10)의 일단과 체결되도록 구성된 제1 부분(31)과, 제1 부분(31)과 연결되되 걸이홈(HH)을 포함하는 제2 부분(33)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바디부(10)는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의 중공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바디부(11)와 제2 바디부(13)는 각각 조리기구를 잡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냄비의 손잡이를 잡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제1 바디부(11)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바디부(11)의 평면 형상은 타원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바디부(11)의 단면 형상은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홈(H)이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바디부(11)는 외면(OS)과 내면(IS)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바디부(11)의 외면(OS)에는 네임텍부(NTP)가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바디부(11)의 내면(IS)에는 제2 삽입홈(IH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삽입홈(IH2)은 자석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곳으로 제1 바디부(11)의 내면(IS) 일단과 타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삽입홈(IH2)의 위치 및 개수는 제1 바디부(11)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2 삽입홈(IH2)은 자석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SS) 및 수용 공간(SS)과 내면(IS)을 연결하는 개구(OP)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수용 공간(SS)의 길이(D1)는 6mm 내지 8mm일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개구(OP)의 길이(D1-1)는 2mm 내지 3mm일 수 있다. 이와 같이 개구(OP)의 길이(D1-1)가 수용 공간(SS)의 길이(D1)의 길이보다 작게 이루어져 수용 공간(SS)내에 배치된 자석(MG)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바디부(11) 및 제2 바디부(13)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자석(MG) 삽입시에 개구(OP)의 길이(D1-1)는 일시적으로 확장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자석(MG)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SS)은 외부로 발산되는 자기력의 약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면(BS)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닥면(BS)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수용 공간(SS)까지의 길이(D2)는 0.7mm 내지 0.9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자석(MG)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SS)은 외부로 발산되는 자기력의 약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측면(SDS)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측면(SDS)에서 제2 방향(X축 방향)으로 수용 공간(SS)까지의 길이(D3)는 1mm 내지 1.1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자석(MG)은 원기둥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 기둥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네임텍부(NTP)는 제1 바디부(11)의 외면(OS)의 중심에 배치되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네임텍부(NTP)는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된 제1 홈(IH1)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홈(IH1)에는 네임텍(NT)이 삽입될 수 있다. 네임텍(NT)은 외면에 문자 및 기호 등이 기입될 수 있는 금속재질, 플라스틱재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네임텍(NT)은 실리콘 재질, 우레탄 재질, 고무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네임텍부(NTP)는 제1 홈(IH1)에 배치되는 서포트 프레임(SP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SPP)이 더 포함되는 경우, 네임텍(NT)은 서포트 프레임(SP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서포트 프레임(SPP)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되, 양 끝단은 제1 방향(X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 바디부(11)에 삽입 고정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네임텍부(NTP)는 제1 바디부(11)의 외면(OS)에서 돌출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네임텍부(NTP)를 손쉽게 잡을 수 있게 된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제1 홈(IH1)의 길이(D4)는 0.45mm 내지 0.53mm일 수 있으며,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제1 홈(IH1)의 길이(D5)는 32.7mm 내지 33.2mm일 수 있고,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제1 홈(IH1)의 길이(D7)는 3.7mm 내지 4mm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네임텍부(NTP)의 길이(D6)는 37.6mm 내지 38mm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방향(Z축 방향)으로 네임텍부(NTP)의 길이(D8)는 7.6mm 내지 8mm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바디부(11)의 내면(IS)은 패턴 영역(PTA)과 비패턴 영역(NPTA)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 영역(PTA)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돌출부(PP)와 함몰부(DP)가 반복된 패턴이 배치된 영역을 의미하며, 비패턴 영역(NPTA)은 냄비 등의 조리기구의 잡기 위하여 제1 바디부(11)가 용이하게 접히기 위하여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을 의미한다.
몇몇 실시예에서 패턴 영역(PTA)의 두께는 비패턴 영역(NPTA)의 두께보다 두껍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예에서 비패턴 영역(NPTA)은 제1 바디부(1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제3 방향(Z축 방향) 및 제3 방향(Z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고, 몇몇 실시예에서 비패턴 영역(NPTA)은 제1 바디부(1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제2 방향(Y축 방향) 및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며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바디부(11)의 내면(IS)에 배치되는 패턴 영역(PTA)과 비패턴 영역(NPTA)은 서로 교번하며 배치될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패턴 영역(PTA)의 면적이 비패턴 영역(NPTA)의 면적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걸이부(30)는 제1 부분(31)과 제2 부분(3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분(31)은 바디부(10)에 체결될 수 있으며, 바디부(10)에 배치된 자석의 자기력에 의한 체결 유도를 위해 구슬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부분(31)은 제3 삽입홀(IH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삽입홀(IH)에는 구슬(35)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3 삽입홀(IH)은 제2 방향(Y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개구를 가지며, 삽입된 구슬(35)의 일부를 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슬(25)은 자석의 자기력에 의해 자석에 달라붙는 철, 니켈, 코발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삽입홀(IH3)은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 배치될 수 있으며, 2 개의 제3 삽입홀(IH3)의 이격 거리(D9)는 0.8mm 내지 1.1mm일 수 있다. 또한,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제3 삽입홀(IH3)과 제1 부분(31)의 외면의 거리(D11)는 1mm 내지 1.3mm 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부분(31)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제3 삽입홀(IH3)의 개수, 이격거리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3 삽입홀(IH3)은 직경(D10)은 7mm 내지 9mm 일 수 있으며, 제1 부분(31)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길이(D14)는 14mm 내지 15mm 일 수 있다.
제2 부분(33)은 걸이홈(HH)을 포함할 수 있으며, 걸이홈(HH)을 통하여 후크 등에 용이하게 걸어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제2 부분(33)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길이(D13)는 54mm 내지 54.5mm 일 수 있으며, 걸이홈(HH)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길이(D15)는 38mm 내지 39mm 일 수 있고, 걸이부(30)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길이(D12)는 68mm 내지 69mm 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부분(31)과 제2 부분(33)이 접하는 영역에는 홈패턴(h)이 형성될 수 있다. 홈패턴(h)의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길이는 0.4mm 내지 0.6mm 일 수 있고, 홈패턴(h)의 제2 방향(Y축 방향)으로 길이는 0.9mm 내지 1.1mm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져 촉감이 우수하고 미끄럼을 억제할 수 있으며 비열전도성으로 인한 뜨거운 조리기구를 안정적으로 컨트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리기구와 직접 접촉하는 제1 바디부(11)와 제2 바디부(13)가 자기력을 통하여 체결 및 분리될 수 있게 되어 한쌍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걸이부(30)가 바디부(10)의 일측에 체결 및 분리될 수 있게 되어 바디부에 걸이부가 체결된 상태로 주방용 후크 등에 걸 수 있게 되어 보관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바디부(11)와 제2 바디부(13) 각각이 자석을 포함하여 냉장고 등과 같은 금속재질의 주방 가전에 부착시켜 손쉽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
10: 바디부
30: 걸이부

Claims (10)

  1. 외면에 배치된 제1 삽입홈과, 내면에 배치된 제2 삽입홈이 구비된 제1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홈에는 제1 방향으로 서포트 프레임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 상에 안착하는 네임텍이 배치되며,
    상기 서포트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되, 양 끝단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바디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2 삽입홈은, 수용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내면을 연결하는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공간에는 자석이 배치되고,
    상기 자석의 자기력을 통하여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체결되는 걸이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개구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길게 이루어지고, 상기 자석의 일부는 상기 개구에 의해 노출되도록 구성된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네임텍은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의 내면은, 패턴 영역과 비패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 영역은 돌출부와 함몰부가 반복된 패턴 영역을 포함하는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
  5. 자석을 포함하는 바디부 및 상기 자석의 자기력을 통하여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 체결되는 걸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되 제1 자석을 포함하는 제1 바디부와, 상기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되 제2 자석을 포함하는 제2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의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바디부와 상기 제2 바디부가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바디부는,
    외면에 배치된 제1 삽입홈과, 내면에 배치된 제2 삽입홈이 구비된 제1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삽입홈에는 제1 방향으로 서포트 프레임과 상기 서포트 프레임 상에 안착하는 네임텍이 배치되며,
    상기 서포트 프레임은,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되, 양 끝단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1 바디부에 삽입 고정되고,
    상기 제2 삽입홈은, 수용 공간과, 상기 수용 공간과 상기 내면을 연결하는 개구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공간에는 제1 자석이 배치되는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
  6. 삭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는, 상기 제1 자석과 상기 제2 자석의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바디부의 일단과 체결되도록 구성된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되 걸이홈을 포함하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분은 제3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삽입홈에는 철로 이루어진 구슬이 배치되는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부의 내면은, 패턴 영역과 비패턴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패턴 영역은 돌출부와 함몰부가 반복된 패턴 영역을 포함하는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
  10.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된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
KR2020210001327U 2021-04-27 2021-04-27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 KR2004961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327U KR200496132Y1 (ko) 2021-04-27 2021-04-27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1327U KR200496132Y1 (ko) 2021-04-27 2021-04-27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636U KR20220002636U (ko) 2022-11-03
KR200496132Y1 true KR200496132Y1 (ko) 2022-11-09

Family

ID=84040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1327U KR200496132Y1 (ko) 2021-04-27 2021-04-27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6132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0310A (ja) * 2009-11-30 2011-06-09 Miho Takada 調理器具つかみ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544B1 (ko) * 2009-05-04 2012-02-28 이재이 실리콘 손잡이 연결부재를 이용한 음식용구
KR101366370B1 (ko) * 2011-12-29 2014-02-21 김교연 탈부착 형 조리용기 손잡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10310A (ja) * 2009-11-30 2011-06-09 Miho Takada 調理器具つか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2636U (ko) 2022-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2265B1 (en) Drinking vessel with detachable, decorative handle
US20080036226A1 (en) Tool for Catching and Supporting Food
KR200496132Y1 (ko) 조리기구용 손잡이 어셈블리
ES1073950U (es) Recipiente de cocina flexible.
US20140069948A1 (en) Handgrip for cooking vessels
AU2011384375A1 (en) Chopsticks
JP2011092711A (ja) 台所用具用の変形可能なクッションを備えた取っ手
JP7011974B2 (ja) 食器具携帯用ケース
JP3513145B2 (ja) 高温の調理容器の簡便安全移動保持具
USD488342S1 (en) Pancake and egg cooking appliance
KR100465210B1 (ko) 양면 사용이 가능한 후라이팬
KR20150017408A (ko) 가열 조리용기
KR101540700B1 (ko) 조리 기구 및 그 손잡이 장치
JP2018057777A (ja) 把手用調理小物置き
JP3227261U (ja) ポケットチーフホルダ
CN217792387U (zh) 一种组合式保温餐具
JP6625506B2 (ja) 鍋取っ手カバー
CN218219836U (zh) 一种可分离的勺叉合一餐具
KR200363093Y1 (ko) 조리용기용 운반 손잡이
KR200324527Y1 (ko) 젓가락 일체형 숟가락
KR200297012Y1 (ko) 양면 사용이 가능한 후라이팬
JP6349492B1 (ja) 箸自助具機能付き箸置き
ES2587456B1 (es) Soporte de producto de cocción para un aparato de cocción
JP7324503B2 (ja) 板バネ、携帯用調理具、及び携帯用収納具
KR200319800Y1 (ko) 냄비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