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990Y1 - 건축물 실내용 비상유도등 - Google Patents

건축물 실내용 비상유도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990Y1
KR200495990Y1 KR2020210003049U KR20210003049U KR200495990Y1 KR 200495990 Y1 KR200495990 Y1 KR 200495990Y1 KR 2020210003049 U KR2020210003049 U KR 2020210003049U KR 20210003049 U KR20210003049 U KR 20210003049U KR 200495990 Y1 KR200495990 Y1 KR 200495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
emergency
frame
signs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100030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기
김현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텔
(주)진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텔, (주)진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텔
Priority to KR20202100030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9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9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2019/225Fire evacuation route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 실내용 비상유도등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광원 및 회로기판이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면부가 3면으로 구성되되, 3면의 전면부 중, 어느 하나의 전면부는 전방을 향해 일정 간격만큼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전면부의 양 측단으로부터 다른 2개의 전면부가 일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배치되는 전방 프레임; 및 상기 3면의 전면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표지판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건축물 실내용 비상유도등{Emergency lead lamp}
본 고안은 비상유도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건축물 내의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 시, 실내거주자가 건축물 외부로 대피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건축물 실내용 비상유도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에는 화재 발생과 같은 비상사태 발생시에, 인명을 비상구로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피시키기 위한 비상유도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비상유도등은 누구나 쉽게 식별할 수 있고, 멀리서도 구별할 수 있어야 하는바, 표시내용은 비상구를 가리키는 기호나 피난 방향의 화살표시 등과 함께 각종 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즉, 종래의 비상유도등은 화재가 발생하는 등의 비상 시, 건축물 내부에서 대피하려는 사람이 보다 쉽게 비상구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 빛을 이용하여 비상 탈출 방향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비상유도등은 그 편리성과 필요성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는데, 특히 최근에는 LED 표지판을 이용한 비상유도등이 개발되고 있는 등, 비상사태 발생 시 비상유도등이 보다 확실한 점등(발광)에 의한 시인성을 좋게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비상유도등은 2차원 평면 구조를 갖는 평판 형태로 제공됨에 따라 전면 방향에서만 시인성이 확보되어 화재 등과 같은 비상사태 시, 다방면에서 대피하는 대피자들에게 확실한 시인성을 제공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건축물 실내의 복도가 3방향 또는 4방향 등과 같이 교차로 배치된 상태인 경우, 2차원 평면 구조의 평판 형태로 이루어진 종래의 비상유도등은, 이 비상유도등이 설치된 위치의 전면에만 충분한 시인성을 제공하고, 비상유도등이 설치된 위치의 측면 및 배면 방향에는 충분한 시인성을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바, 비상사태 시 충분한 대피효과를 이루지 못하게 되어 인명피해를 초래하게 되는 등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실용 제20-2009-0010910호(2009.10.27.) 한국공개실용 제20-2011-0000005호(2011.01.03.)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들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설치된 위치의 전면 방향뿐만 아니라 양 측면 방향 및 배면 방향에서도 시인성이 충분히 확보되도록 함으로써, 화재 등과 같은 비상사태 발생 시 대피자들이 비상구 방향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지하여 대피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건축물 실내용 비상유도등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실내용 비상유도등은, 내부에 광원 및 회로기판이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면부가 3면으로 구성되되, 3면의 전면부 중, 어느 하나의 전면부는 전방을 향해 일정 간격만큼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전면부의 양 측단으로부터 다른 2개의 전면부가 일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배치되는 전방 프레임; 및 상기 3면의 전면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표지판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또는 전방 프레임의 일측에 스피커 또는 점멸등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천장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배면에도 표지판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부의 플랜지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표지판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홈과 상기 결합돌기에는 서로 극성이 다른 자석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실내용 비상유도등에 의하면, 설치된 위치의 전면 방향뿐만 아니라 양 측면 방향 및 배면 방향에서도 시인성이 충분히 확보됨으로써, 화재 등과 같은 비상사태 발생 시 대피자들이 비상구 방향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지하여 대피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등 안전사고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유도등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배면도.
도 5는 도 1의 저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유도등의 일부 분리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어느 하나의 표지판과 전방 프레임의 결합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
도 8은 도 6에서 어느 하나의 표지판이 교체된 상태의 비상유도등을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고안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사시도, 단면도, 측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내부용 비상유도등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유도등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물 내부용 비상유도등(100)은, 내부에 LED일 수 있는 광원과, 회로기판 등이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이 베이스 프레임(110)의 전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 프레임(120) 및 이 전방 프레임(120)의 전면부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표지판들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전방 프레임(120)의 전면부는 일정 각도를 두고 경사지도록 제1 전면부(122)와 제2 전면부(124) 및 제3 전면부(126)의 3면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제1 전면부(122) 내지 제3 전면부(126)는 광원의 빛이 통과되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전면부(122)는 전방을 향해 일정 간격만큼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고, 제2 전면부(124) 및 제3 전면부(126)는 제1 전면부(122)의 양 측단으로부터 일정 각도만큼 경사진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면부(122)와 제2 전면부(124), 그리고 제1 전면부(122)와 제3 전면부(126)의 각도는 대략 120도 내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하여 전방 프레임(120)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면 및 하면에서 바라볼 때, 대략 마름모꼴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전방 프레임(120)의 제1 전면부(122) 내지 제3 전면부(126)에는 각각 제1 표지판(200) 내지 제3 표지판(22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표지판(200) 내지 제3 표지판(220) 또한 광원의 빛이 통과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의 합성수지재질로 제작된 것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유도등(100)은, 베이스 프레임(110) 또는 전방 프레임(120)의 하부 면에 스피커 및 점멸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스피커는 화재 등의 비상사태 발생 시, 대피를 위한 안내방송이나 경고음 등이 출력되고, 점멸등은 적생광이 주기적으로 깜빡거리면서 비상사태임을 인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비상유도등(10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120)에서, 제1 전면부(122)는 전방을 향해 일정 간격만큼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고, 제2 전면부(124) 및 제3 전면부(126)는 제1 전면부(122)의 양 측단으로부터 일정 각도만큼 경사진 형태로 배치됨에 따라 3방향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지판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120)의 제1 전면부(122)에 설치된 제1 표지판(200)을 마주보는 방향에서는 제1 표지판(200)과 제2 표지판(210) 및 제3 표지판(220)을 모두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방 프레임(120)의 제1 전면부(122)에 설치된 제1 표지판(200)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표지판(210) 또는 제3 표지판(220)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대피자들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어느 방향에서든 비상구의 방향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화재 등의 비상사태 시 대피자의 대피가 보다 안전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유도등(100)은 베이스 프레임(110)이 건축물 실내의 일측 벽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벽부형일수도 있는 반면,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면이 실내 천장 면과 결합되는 천정형일수도 있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의 배면에도 비상구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표식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4방향에서 적어도 하나의 표지판을 육안으로 비상구 방향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유도등(100)은, 그 설치된 위치의 전면 방향뿐만 아니라 양 측면 방향 및 배면 방향에서도 시인성이 충분히 확보됨으로써, 화재 등과 같은 비상사태 발생 시 대피자들이 비상구 방향을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지하여 대피할 수 있게 되는바,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등 안전사고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유도등(100)의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어느 하나의 표지판과 전방 프레임(120)의 결합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유도등(100)은, 전방 프레임(120)의 제1 전면부(122) 내지 제3 전면부(126)에 대하여 제1 표지판(200) 내지 제3 표지판(220)을 간단하게 착탈시킬 수 있다.
즉, 제1 표지판(200)의 상면 및 하면에는 각각 제1 결합돌기(202)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1 전면부(122)의 상하측 플랜지에는 제1 결합돌기(202)가 삽입되기 위한 제1 결합홈(122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표지판(210)의 상면 및 하면에도 각각 제2 결합돌기(212)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2 전면부(124) 상하측 플랜지에는 제2 결합돌기(212)가 삽입되기 위한 제2 결합홈(124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표지판(220)의 상면 및 하면에도 각각 제3 결합돌기(222)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제3 전면부(126) 상하측 플랜지에는 제3 결합돌기(222)가 삽입되기 위한 제3 결합홈(126a)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 결합돌기(202) 내지 제3 결합돌기(222)의 양 측면에는 N극 또는 S극일 수 있는 제1 자석(300)이 설치되고, 제1 결합홈(122a) 내지 제3 결합홈(126a)의 양 내측면에는 S극 또는 N극일 수 있는 제2 자석(310)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표지판(200) 내지 제3 표지판(220)의 제1 결합돌기(202) 내지 제3 결합돌기(222)를 제1 전면부(122) 내지 제3 전면부(126)의 제1 결합홈(122a) 내지 제3 결합홈(126a)에 삽입시키게 되면, 제1 자석(300)과 제2 자석(310)의 자력에 의해 제1 전면부(122) 내지 제3 전면부(126)에 대하여 제1 표지판(200) 내지 제3 표지판(220)이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표지판(200) 내지 제3 표지판(220)은 제1 전면부(122) 내지 제3 전면부(126)에 대하여 간단히 착탈됨에 따라 그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여 표지판들의 교체가 매우 수월해지게 된다.
이 때, 제1 표지판(200) 내지 제3 표지판(220)이 제1 전면부(122) 내지 제3 전면부(126)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표지판(200) 내지 제3 표지판(220)을 제1 전면부(122) 내지 제3 전면부(126)로부터 분리하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1 전면부(122) 내지 제3 전면부(126)의 각 하측 플랜지 중앙 부위에는 제1 분리홈(122b) 내지 제3 분리홈(126b)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전면부(122)의 하측 플랜지 중앙 부위에는 제1 분리홈(122b)이 형성되고, 제2 전면부(124)의 하측 플랜지 중앙 부위에는 제2 분리홈(124b)이 형성되며, 제3 전면부(126)의 하측 플랜지 중앙 부위에는 제3 분리홈(126b)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선택된 표지판을 해당 전면부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분리홈에 뾰족한 공구를 삽입하여 지렛대 작용에 의해 살짝 들어주게 되면, 선택된 표지판의 결합돌기에 형성된 자석이 해당 전면부의 결합홈에 삽입된 자석과 분리됨에 따라 작업자가 매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도 6에서 어느 하나의 표지판이 교체된 상태의 비상유도등을 나타낸 일부 분리 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유도등(100)은, 제1 표지판(200) 내지 제3 표지판(220)을 전방 프레임(120)의 제1 전면부(122) 내지 제3 전면부(126)로부터 분리홈(122b,124b,126b)들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바, 그 교체가 용이해질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120)의 각 전면부(122,124,126)들에 대하여 새로운 표지판(200a,210a,220a)들을 설치함으로써, 용도에 맞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베이스 프레임(110)과 전방 프레임(120) 및 각 표지판들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작한 후, 건축물 내부 통로의 위치 및 방향 등에 따라 다양한 표지판들을 임의로 선택하여 간단히 자력에 의해 착탈식으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되는바, 그 사용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비상구의 방향이 바뀌거나 비상유도등(100)의 위치를 바꾸게 됨에 따라 표지판들의 방향도 바뀌게 되는 경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지판들의 교체가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언제든지 다른 표지판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비상유도등 110 : 베이스 프레임
120 : 전방 프레임 122 : 제1 전면부
122a : 제1 결합홈 122b : 제1 분리홈
124 : 제2 전면부 124a : 제2 결합홈
124b ; 제2 분리홈 126 : 제3 전면부
126a : 제3 결합홈 126b : 제3 분리홈
200 : 제1 표지판 202 : 제1 결합돌기
210 : 제2 표지판 212 : 제2 결합돌기
220 : 제3 표지판 222 : 제3 결합돌기
300 : 제1 자석 310 : 제2 자석
200a,210a,220a : 다른 표지판

Claims (5)

  1. 내부에 광원 및 회로기판이 배치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전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면부가 3면으로 구성되되, 3면의 전면부 중, 어느 하나의 전면부는 전방을 향해 일정 간격만큼 돌출된 상태로 배치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전면부의 양 측단으로부터 다른 2개의 전면부가 각각 120도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평면 상에서 바라볼 때 마름모꼴 형상을 이루는 전방 프레임;
    상기 3면의 전면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표지판, 제2 표지판, 제3 표지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배면에 형성되어 비상구 방향을 안내하는 표식을 포함하여, 4 방향에서 육안으로 비상구 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건축물용 실내용 비상유도등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또는 전방 프레임의 하부 면에 스피커 또는 점멸등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상기 전방 프레임의 각 전면부 플랜지에는 각각 결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표지판 내지 제3 표지판에는 상기 결합홈들에 삽입되기 위한 결합돌기들이 형성되되, 상기 결합돌기들의 양 측면에는 제1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결합홈들의 양 내측 면에는 상기 제1 자석과 극성이 다른 제2 자석이 설치되어, 상기 전방 프레임의 각 전면부에 대하여 상기 제1 표지판 내지 제3 표지판이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전방 프레임의 각 전면부들로부터 상기 제1 표지판 내지 제3 표지판을 지렛대 작용에 의해 분리하기 위하여 뾰족한 공구가 삽입되도록 상기 전면부들의 각 플랜지에는 각각 분리홈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실내용 비상유도등.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210003049U 2021-10-08 2021-10-08 건축물 실내용 비상유도등 KR200495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049U KR200495990Y1 (ko) 2021-10-08 2021-10-08 건축물 실내용 비상유도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10003049U KR200495990Y1 (ko) 2021-10-08 2021-10-08 건축물 실내용 비상유도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990Y1 true KR200495990Y1 (ko) 2022-10-11

Family

ID=83596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10003049U KR200495990Y1 (ko) 2021-10-08 2021-10-08 건축물 실내용 비상유도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990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417Y1 (ko) * 2004-06-09 2004-08-30 김학열 비상구 유도등 홀더
KR20090010910U (ko) 2008-04-22 2009-10-27 야스히로 고바야시 양방향 표시시트를 구비한 비상유도등
KR20100030042A (ko) * 2008-09-09 2010-03-18 지멘스신화주식회사 비상구 안내 장치
KR20110000005U (ko) 2009-06-26 2011-01-03 주식회사 화경산업 분리 결합이 용이한 비상유도등
KR20210000053U (ko) * 2019-07-01 2021-01-11 주식회사 영설계에프엔씨 시각경보장치를 구비한 거실용 입체형 피난구 유도등
KR102290257B1 (ko) * 2021-02-18 2021-08-20 이태훈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0417Y1 (ko) * 2004-06-09 2004-08-30 김학열 비상구 유도등 홀더
KR20090010910U (ko) 2008-04-22 2009-10-27 야스히로 고바야시 양방향 표시시트를 구비한 비상유도등
KR20100030042A (ko) * 2008-09-09 2010-03-18 지멘스신화주식회사 비상구 안내 장치
KR20110000005U (ko) 2009-06-26 2011-01-03 주식회사 화경산업 분리 결합이 용이한 비상유도등
KR20210000053U (ko) * 2019-07-01 2021-01-11 주식회사 영설계에프엔씨 시각경보장치를 구비한 거실용 입체형 피난구 유도등
KR102290257B1 (ko) * 2021-02-18 2021-08-20 이태훈 와이드형 음성점멸 유도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45035A1 (en) Exit sign with rotatable lighting heads
KR101466036B1 (ko) 네방향 비상구 유도등
KR200493709Y1 (ko) 시각경보장치를 구비한 거실용 입체형 피난구 유도등
KR20170053910A (ko) 재난유도장치
KR20050075326A (ko) 비상구 유도등
KR200495990Y1 (ko) 건축물 실내용 비상유도등
KR102462453B1 (ko) 화재 또는 비상시에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는 기능성 피난구 유도지시장치
KR101407929B1 (ko) 비상구 유도등
KR102261031B1 (ko) 탈출로를 알려줄 수 있는 실내 소방용 광축전지 비상유도장치
US10373534B2 (en) Exit sign with multi-directional lighting
KR200497028Y1 (ko) 다방향 시인성이 우수한 입체 비상구 유도등
CN202677767U (zh) 一种方向可控的透明消防应急标志灯
KR101483372B1 (ko) 피난 유도등 조립체
CN208687579U (zh) 智能消防应急标示灯具
CN209960356U (zh) 一种超薄标志灯结构
KR20240061135A (ko) 음성 점멸 유도등
KR101753602B1 (ko) 유도등 조립체
KR102668283B1 (ko) 하이브리드형 입체형 유도등
CN212782624U (zh) 一种适用于弧形墙面的曲面疏散指示标志灯
CN216693275U (zh) 一种无边框侧发光平板灯
KR20090065421A (ko) 하향지시등을 갖는 비상구 안내등
CN216749208U (zh) 一种吊挂式大型消防应急标志灯具
KR200382305Y1 (ko) 피난 유도용 발광보드
KR200346058Y1 (ko) 방향 표시 블록
KR102281639B1 (ko) 로터리 스위치 구조를 갖는 실내 소방용 광축전지 비상구 유도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