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608Y1 - 다각 경사용 데크계단 설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데크계단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다각 경사용 데크계단 설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데크계단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608Y1
KR200495608Y1 KR2020200004084U KR20200004084U KR200495608Y1 KR 200495608 Y1 KR200495608 Y1 KR 200495608Y1 KR 2020200004084 U KR2020200004084 U KR 2020200004084U KR 20200004084 U KR20200004084 U KR 20200004084U KR 200495608 Y1 KR200495608 Y1 KR 200495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support
horizontal
vertical
instal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0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1121U (ko
Inventor
유재용
최경만
Original Assignee
(주) 뉴티브
유재용
최경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뉴티브, 유재용, 최경만 filed Critical (주) 뉴티브
Priority to KR20202000040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608Y1/ko
Publication of KR202200011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11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6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22Stairways; Layou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E04F11/025Stairways having stringers
    • E04F11/0255Stairways having stringers having adjustable gradi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경사각을 가지는 데크계단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브라켓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계단의 경사각도에 대응하여 놓여진 데크빔에 설치되는 지지본체와, 데크가 거치되도록 상하 인접한 지지본체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지지대와, 수평지지대의 단부에서 하향 수직하면서 하부에 위치한 지지본체에 설치되는 수직지지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서, 지지본체에는, 데크빔의 설치각도 변화에 대응하여 수평지지대의 수평상태와 수직지지대의 수직상태를 유지시키면서 데크빔에 고정되는 각도유지고정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각 경사용 데크계단 설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데크계단의 설치구조{BRACKET FOR INSTALLING DECK STAIRS WITH MULTIPLE ANGLES AND THE INSTALLATION STRUCTURE USING THEM}
본 고안은 데크계단의 설치를 위한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경사각을 가지는 데크계단에 대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브라켓의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데크계단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경제성장과 국민소득의 증가는 각 개인으로 하여금 건강 유지와 레저 활동 내지는 여행 등을 통해 자아의 만족을 가지도록 하는 것에 보다 큰 관심을 가지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각 지자체에서도 이에 부응하여 다양한 건강 및 레저 문화시설 등을 구축함으로써 건강한 지역사회를 구현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그 예의 하나로 그 지역의 산을 중심으로 한 둘레길 등의 산책 내지 가벼운 트레킹 코스 개발이 있다.
특히 산악지대에 조성되는 둘레길 등은 노약자들도 안전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면서, 무분별한 등산객에 의해 자연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데크로드 내지 데크계단이 많이 설치되고 있다.
그런데 비탈면의 각도가 다양하게 변화되는 산악지대에서 그 비탈면의 각도에 맞추어 데크로드 내지 데크계단을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 데크를 지지하는 수직대의 높이가 비탈면의 각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이들을 각기 개별적으로 재단하여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는 자재비 및 인건비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함과 더불어 공사기간이 길어지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계단의 경사각도에 대응할 수 있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계단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395591호로 제안된 바 있다.
상기 등록번호 20-0395591호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계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의 경사각도를 설정하게 되는 등판프레임에 대하여 발판이 놓여지는 발판프레임이 각도 조절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발판프레임의 일측단부에는 힌지부를 형성시켜 등판프레임에 직접 힌지결합되고, 상기 발판프레임의 타측 단부쪽에는 길이가 조절되는 각도조절구를 매개로 하여 등판프레임에 힌지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아울러 상기 각도조절구는 발판프레임에 힌지결합된 상부지지바와, 등판프레임에 힌지결합된 하부지지바 및, 상부지지바와 하부지지바 사이에서 나사체결방식으로 회전하면서 상부지지바와 하부지지바 사이의 거리를 늘리거나 줄임으로써 각도조절구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길이조절바로 구성된다.
따라서 비탈경사가 큰 경우에는 길이조절바를 회전시켜 각도조절구의 길이를 길게 조절함으로써 발판프레임이 평탄면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등록번호 20-0395591호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계단은 모든 하중이 힌지에 집중되므로 힌지핀이 쉽게 파손될 수 있고, 아울러 하중을 분담하는 각도조절구가 경사방향으로 설치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의한 휨발생으로 각도조절구가 쉽게 휨 변형될 수 있고, 이용자의 반복되는 하중으로 인한 진동으로 나사체결방식을 가진 길이조절바의 체결상태가 쉽게 해지될 수 있어 장기간 사용시 발판이 수평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비스듬하게 변형될 여지가 있다.
KR 20-0395591 Y1
본 고안은 종래기술의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데크계단이 설치되는 비탈면 또는 공간상 요구되는 계단의 모든 경사각도에 대하여 적용 가능하고 그의 설치가 단순하고 용이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데크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이 안정적으로 지중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사용시에도 구조적 변형이 발생하지 않아 이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다각 경사용 데크계단 설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데크계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계단의 경사각도에 대응하여 놓여진 데크빔에 설치되는 지지본체와, 데크가 거치되도록 상하 인접한 지지본체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지지대와, 수평지지대의 단부에서 하향 수직하면서 하부에 위치한 지지본체에 설치되는 수직지지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서, 지지본체에는, 데크빔의 설치각도 변화에 대응하여 수평지지대의 수평상태와 수직지지대의 수직상태를 유지시키면서 데크빔에 고정되는 각도유지고정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경사용 데크계단 설치 브라켓가 제공된다.
이때 지지본체에는 수평방향으로 전단삽입구가 형성된 수평전단설치부와 수직방향으로 하단삽입구가 형성된 수직설치부가 상호 직각으로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단삽입구에는 수평지지대의 일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수평 삽입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하단삽입구에는 수직지지대의 하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수직 삽입길이가 조절되도록 각각 고정된다.
또한 수직지지대는 계단의 단 높이를 조정하는 높이조절부와 수평방향으로 후단삽입구가 구비된 수평후단설치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는 지지본체의 하단삽입구에 슬라이딩 삽입되고, 후단삽입구에는 수평지지대의 타단부가 슬라이딩 삽입되어 수평 삽입길이가 조절되도록 각각 고정된다.
아울러, 각도유지고정부는, 수평전단설치부와 수직설치부가 상호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들의 각 하단을 고정시키는 고정상판과, 상기 고정상판의 양 측단에서 수직 절곡되어 부채꼴 형상을 가진 한 쌍의 회동측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동측판은 수직설치부가 위치한 데크빔의 상부쪽 단부에서 수평전단설치부가 위치한 데크빔의 하부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평판의 형상을 가진다. 또한 이러한 회동측판에는 데크빔의 상부쪽 단부에 하나의 중심축공이 형성되고 데크빔의 하부쪽 단부에 다수 개의 회동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체결되는 회동공에 따라 데크빔이 설치되는 경사각도가 달라지게 한다.
본 고안의 브라켓은 별도의 조작없이 회동측판에 구비된 회동공의 체결위치 선택만으로 데크계단이 설치되는 경사각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시공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계단의 경사각도가 수시로 변화되는 산악지역 등에서도 쉽게 시공할 수 있어 범용성을 가질 뿐 아니라, 설치방법이 단순하여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브라켓은 상기와 같이 계단의 경사각도를 변화시키더라도 계단의 이용하중을 작용방향과 이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의 설치상태가 항상 수직으로 동일하게 유지될 뿐 아니라, 이들을 구성하는 각 부재들의 결합구조가 강결합구조에 의해 일체화되기 때문에 구조적인 안정성이 그대로 유지되고 장기적인 내구성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브라켓을 이용한 데크계단의 설치구조는 플레이트를 매개로 하여 데크가 설치되기 때문에 데크의 두께를 최소화시키면서 이용자의 발빠짐에 의한 안전사고의 발생여지를 근본적으로 제거하여 경제적이면서 이용자의 안전성을 극대화시킨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계단구조에 관한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브라켓을 이용한 데크계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브라켓이 조립된 상태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브라켓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브라켓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데크계단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브라켓을 이용한 계단의 경사각도 조절에 관한 각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난간설치대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난간설치대가 구비된 본 고안의 브라켓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난산설치대가 구비된 브라켓을 이용한 데크계단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브라켓(1)을 이용하여 데크계단이 시공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3 내지 5는 상기 브라켓(1)에 관한 각 실시예로서,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브라켓이 조립된 상태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상기 도 3의 브라켓(1)을 분해한 것이며,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브라켓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브라켓(1)은, 계단의 경사각도에 대응하여 놓여진 데크빔(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데크빔(2)의 경사각도에 관계없이 계단에 작용하는 하중의 지지구조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구조적 안정성과 이용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계단의 시공성을 향상시켜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각 경사용 데크계단 설치 브라켓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브라켓(1)은 상기 데크빔(2)에 직접 설치되는 지지본체(10)와, 상하에 인접한 지지본체(10)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지지대(21) 및, 지지본체(10)에 설치되어 수평지지대(21)를 축력으로 지지하는 수직지지대(2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데크빔(2)은 설정된 계단의 경사각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적어도 계단의 양측단에 설치되고 계단의 좌우 길이에 따라 중간의 데크빔(2')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지지본체(10)는 수평지지대(21)와 수직지지대(22)를 통해 전달되는 계단의 사용하중을 데크빔(2)으로 전달한다. 이를 위하여 지지본체(10)에는 수평지지대(21)의 일측 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평전단설치부(10A)와 수직지지대(22)의 하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한 수직설치부(10B)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전단설치부(10A)와 수직설치부(10B)는 상호 직각으로 지지본체(10)에 각 구비된다.
수평전단설치부(10A)에는 수평방향으로 전단삽입구(11)가 형성되어 있어, 수평지지대(21)의 전단부가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그의 삽입정도가 조절될 수 있고, 후단부 역시 후술하는 모서리고정대(30)의 후단삽입구(32)에 삽입되어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그의 삽입정도가 조절된다.
한편 수평지지대(21)는 계단의 바닥판이 되는 데크(3)를 거치시켜 이를 지지하는 부재인 바, 수평지지대(21)가 전단삽입구(11)와 후단삽입구(32)에 각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데크(3)의 폭, 즉 계단의 단 폭이 설정된다.
이 때 도 3, 4의 실시예에서는 전단삽입구(11)와 후단삽입구(32)가 단면성능이 우수한 폐쇄단면의 각관 형상을 가지므로 응력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수평지지대(21)의 양측 단부를 보강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한다. 다만 이들에 대한 수평지지대(21)의 삽입은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반하여 도 5의 실시예에서는 전단삽입구(11)와 후단삽입구(32)의 각 상부가 개방된 단면을 가지고 있어 상기한 단부 보강의 효과는 다소 낮아지나, 수평지지대(21)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전단삽입구(11)와 후단삽입구(32)의 각 내부에 간단히 삽입시킬 수 있으므로 시공성이 향상될 뿐 아니라, 수평지지대(21)와의 사이에 단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데크(3)의 설치작업이 보다 용이해진다.
지지본체(10)의 수직설치부(10B)에는 수직방향으로 하단삽입구(12)가 형성된다. 수직지지대(22)의 하단부는 상기 하단삽입구(12)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된다. 물론 수직지지대(22)의 상단부는 모서리고정대(30)에 구비된 상단삽입구(31)에 슬라이딩 삽입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수직지지대(22)의 각 상하단부가 상단삽입구(31)와 하단삽입구에 각 삽입되는 정도에 따라 단의 높이가 조절될 수있어, 데크빔(2)의 경사각도 변화에 쉽게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모서리고정대(30)는 높이조절부(30A)와 수평후단설치부(30B)로 구성된다. 그리고 높이조절부(30A)에는 상단삽입구(31)가 구비되고, 수평후단설치부(30B)에는 후단삽입구(32)가 구비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수평지지대(21)와 수직지지대(22)를 일체화시키면서 단의 폭과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상기 수평후단설치부(30B)에 구비된 후단삽입구(32)는 도 3, 4에서와 같이 상부가 폐쇄된 각관형상일 수도 있고, 도 5에서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U자형 단면일 수도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 있다.
데크(3)는 브라켓(1)을 매개로 데크빔(2)에 설치된 수평지지대(21)의 상면에 그대로 설치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지지대(21)의 상면에 플레이트(60)를 설치하고, 상기 플레이트(60)에 데크(3)를 설치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과 더불어 이용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충분한 내구성과 높은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즉 상기 플레이트(60)는 보행자의 발빠짐이 근본적을 발생하지 않게 함으로써 데크(3)의 두께를 최소 최적화시켜 계단의 자중을 줄이면서 경제성을 도모할 수 있게 한다. 예컨대 상기 플레이트(60)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데크(3)의 파손에 의해 계단 이용자의 발이 그 파손부위로 빠지면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여지가 있게 되는 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는 데크(3)의 두께를 크게 증가시켜 파손 자체를 방지해야 한다. 그러나 이는 공사비용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뿐 아니라, 변형으로 인하여 파손 자체를 완벽하게 방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에 반하여 본 고안에서는 플레이트(60)를 사용함으로서 발빠짐 현상 자체가 있을 수 없으므로 이에 의한 안전사고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데크(3)의 두께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경제성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플레이트(60)에는 거치리브(61)를 형성시키고, 상기 거치리브(61)에 데크(3)가 거치되게 함으로써 데크(3)와 플레이트(60) 사이에 배수로(62)가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상기 배수로(62)는 데크(3)에 빗물이 고이지 않고 신속하게 제거되게 함으로써 이용자의 안전을 도모함과 더불어 데크(3)의 변형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배수로(62)에 배수공(63)의 다수 개를 일정한 간격으로 구비시킴으로써 보다 신속한 우수의 배제가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데크빔(2)이 설치되는 경사각도에 관계없이 계단에 작용하는 하중의 지지구조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게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데크(3)를 통해 전달되는 하중의 방향과 이를 지지하는 수직지지대(22)의 방향을 일치시킴으로써 수직지지대(22)에 휨응력이 발생하지 않고 축응력만이 발생하게 한다.
즉 종래기술에서 등판프레임의 설치 각도에 따라 계단 하중을 지지하는 각도조절부의 설치각도가 변화되어 상기 각도조절부에 휨하중이 발생되는 것과는 달리, 본 고안에서는 데크빔(2)의 설치각도가 변화되어도 수직지지대(22)는 하중의 작용방향과 일치되도록 항상 수직방향으로만 유지되므로 휨하중이 발생하지 않아 수직지지대(22)가 쉽게 변형되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한 1차적 수단으로 지지본체(10)의 하부에는 각도유지고정부(10C)가 구비된다. 상기 각도유지고정부(10C)는 지지본체(10)의 하부에 용접 등의 접합수단에 의해 강결합됨으로써 일체화된다.
각도유지고정부(10C)는 지지본체(10)를 데크빔(2)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나, 다른 한편으로 데크빔(2)의 설치각도가 일정 부분 변화되더라도 수평지지대(21)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키고 수직지지대(22)를 수직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계단 이용자의 이용 편의를 도모하고 하중의 지지방향을 계단에 작용하는 하중과 일치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이러한 각도유지고정부(10C)는 고정상판(13)과 상기 고정상판(13)의 양 측단에서 햐향 수직 절곡된 한 쌍의 회동측판(14)으로 이루어져
Figure 112020121181112-utm00001
단면의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각도유지고정부(10C)의 내측에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그 삽입공간의 내부폭을 데크빔(2)의 폭과 일치시키게 되면, 삽입공간에 삽입된 데크빔(2)의 양 측면은 회동측판(14)에 접하게 한다.
상기 고정상판(13)은 수평전단설치부(10A)와 수직설치부(10B)가 상호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들의 각 하단을 고정시킨다. 이때 고정상판(13)의 상면에는 계단의 상부쪽으로 수직설치부(10B)가 위치하고 하부쪽으로 수평전단설치부(10A)가 위치해야 한다.
상기 회동측판(14)은 판상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부채꼴 형상으로 구성시킴으로써 후술하는 중심축공(15)을 중심으로 다수 개의 회동공(16)들이 펼쳐져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회동측판(14)의 일측에는 중심축공(15)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회동공(16)들이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중심축공(15)은 각도유지고정부(10C)로 하여금 데크빔(2)에 일측이 고정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회동공(16)과 함께 지지본체(10)가 데크빔(2)이 설치된 경사각과 무관하게 상하 연직으로 데크빔(2)에 고정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의 각 회동공(16)들은 다양한 경사각의 데크빔(2)에 대응할 수 있도록 중심축공(15)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채 상향 또는 하향 회동하는 방향으로 연속 설치된다.
도 7은 이와 같이 구성된 회동측판(14)을 이용하여 수평지지대(21)를 수평상태로 유지시키고 수직지지대(22)를 수직상태를 유지시킨 상태로 데크빔(2)이 설치되는 경사각도를 변화시킨 경우의 예를 설명한 것이다.
데크빔(2)에 대한 브라켓(1)의 고정 설치는, 데크빔(2)의 양 측면에 접한 회동측판(14)을 상기 중심축공(15)과 회동공(16)의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피스(51) 체결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데크빔(2)이 설치된 각도에 따라 피스(51) 체결되는 회동공(16)이 달라진다.
예컨대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빔(2)의 설치각도가 완만해 질수록한 피스(51) 체결되는 회동공(16)은 회동측판(14)의 상부쪽으로 이동된다. 이에 반하여, 도 7의 (b)에서와 같이, 데크빔(2)의 설치각도가 급해 질수록 피스(51) 체결의 회동공(16)은 회동측판(14)의 하부쪽으로 이동된다. 그러나 수평지지대(21)의 수평상태와 수직지지대(22)의 수직상태는 그대로 유지되므로 구조적 안정성은 물론 이용의 안전성 역시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데크계단을 설치함에 있어서 산악지역 등 설치환경에 의해 계단의 경사도가 수시로 변화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회동측판(14)을 이용하여 쉽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브라켓(1)에는 난간설치대(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난간설치대(40)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9는 난간설치대(40)가 구비된 브라켓(1)을 전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난간설치대(4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본체(10)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난간고정부(40A)와 부착설치부(40B)로 이루어진다.
상기 난간고정부(40A)에는 지주삽입구(41)가 구비되어 난간지주(42)의 하단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부착설치부(40B)는 각도유지고정부(10C)의 고정상판(13)과 수평전단설치부(10A)와 수직설치부(10B)의 각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 고정됨으로써 난간고정부(40A)가 지지본체(10)와 일체가 되게 한다.
도 10은 상기의 난간설치대(40)가 구비된 브라켓(1)을 이용하여 시공된 데크계단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미설명부호 43은 핸드레일을 표시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구체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 예는 본 고안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자명한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 예들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브라켓 2,2'; 데크빔
3; 데크 10; 지지본체
10A; 수평전단설치부 10B; 수직설치부
10C; 각도유지고정부 11; 전단삽입구
12; 하단삽입구 13; 고정상판
14; 회동측판 15; 중심축공
16; 회동공 21; 수평지지대
22; 수직지지대 30; 모서리설치대
30A; 높이조절부 30B; 수평후단설치부
31; 상단삽입구 32; 후단삽입구
40; 난간설치대 40A; 난간고정부
40B; 부착설치부 41; 지주삽입구
42; 난간지주 43; 핸드레일
51; 피스 60; 플레이트
61; 거치리브 62; 배수로
63; 배수공

Claims (6)

  1. 계단의 경사각도에 대응하여 놓여진 데크빔(2)에 설치되는 지지본체(10)와, 데크(3)가 거치되도록 상하 인접한 지지본체(10)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지지대(21)와, 수평지지대(21)의 단부에서 하향 수직하면서 하부에 위치한 지지본체(10)에 설치되는 수직지지대(22)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으로서,
    지지본체(10)에는 수평방향으로 전단삽입구(11)가 형성된 수평전단설치부(10A)와 수직방향으로 하단삽입구(12)가 형성된 수직설치부(10B)가 상호 직각으로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전단삽입구(11)에는 수평지지대(21)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수평 삽입길이가 조절되고, 상기 하단삽입구(12)에는 수직지지대(22)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수직 삽입길이가 조절되도록 각각 고정되며,
    지지본체(10)에는, 데크빔(2)의 설치각도 변화에 대응하여 수평지지대(21)의 수평상태와 수직지지대(22)의 수직상태를 유지시키면서 데크빔(2)에 고정되는 각도유지고정부(10C)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경사용 데크계단 설치 브라켓.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21)의 후단과 수직지지대(22)의 상단은 모서리고정대(30)에 의해 일체가 되는 것으로서,
    상기 모서리고정대(30)는 상단삽입구(31)가 구비된 높이조절부(30A)와 후단삽입구(32)가 구비된 수평후단설치부(30B)로 이루어져,
    수직지지대(22)의 상단은 상기 상단삽입구(31)에 삽입되어 수직 삽입길이가 조절되고, 수평지지대(21)의 후단은 상기 후단삽입구(32)에 삽입되어 수평 삽입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경사용 데크계단 설치 브라켓.
  4. 제1항에 있어서,
    각도유지고정부(10C)는, 수평전단설치부(10A)와 수직설치부(10B)가 상호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이들의 각 하단을 고정시키는 고정상판(13)과, 상기 고정상판(13)의 양 측단에서 수직 절곡되어 부채꼴 형상을 가진 한 쌍의 회동측판(1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동측판(14)은 부채꼴 형상의 판상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폭이 좁은 일측에는 중심축공(15)이 구비되고, 폭이 넓은 타측에는 다수 개의 회동공(16)이 상기 중심축공(15)을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경사용 데크계단 설치 브라켓.
  5. 제1항에 있어서,
    지지본체(10)의 외측에는 난간설치대(40)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경사용 데크계단 설치 브라켓.
  6.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항에 의한 브라켓(1)을 이용한 데크계단의 설치구조로서,
    수평지지대(21) 상면에는 플레이트(60)가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60)의 상면에 데크(3)가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60)에는 거치리브(61)가 형성되어 상기 거치리브(61)에 데크(3)가 거치됨으로써 데크(3)와 플레이트(60) 사이에 배수로(62)가 형성되고, 상기 배수로(62)에는 배수공(63)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경사용 데크계단 설치 브라켓을 이용한 데크계단의 설치구조.
KR2020200004084U 2020-11-12 2020-11-12 다각 경사용 데크계단 설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데크계단의 설치구조 KR200495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084U KR200495608Y1 (ko) 2020-11-12 2020-11-12 다각 경사용 데크계단 설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데크계단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084U KR200495608Y1 (ko) 2020-11-12 2020-11-12 다각 경사용 데크계단 설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데크계단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121U KR20220001121U (ko) 2022-05-19
KR200495608Y1 true KR200495608Y1 (ko) 2022-07-11

Family

ID=81765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084U KR200495608Y1 (ko) 2020-11-12 2020-11-12 다각 경사용 데크계단 설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데크계단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608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8775A (ja) * 2005-05-26 2006-12-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角度可変階段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591Y1 (ko) 2005-06-23 2005-09-13 미더스메탈 주식회사 각도 조절이 가능한 계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28775A (ja) * 2005-05-26 2006-12-0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角度可変階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1121U (ko) 2022-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17718C (en) Post holder
US20020088669A1 (en) Adjustable stair stringer and railing
EP0832339B1 (fr) Escalier modulable modulaire
KR200495608Y1 (ko) 다각 경사용 데크계단 설치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데크계단의 설치구조
US4631880A (en) Adjustable staircases
US3383080A (en) Overhang bracket
KR101017373B1 (ko) 핸드레일
US5890330A (en) Adjustable staircase
KR101348920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및 휀스용 연결구
KR101777746B1 (ko) 지주받침대
KR100886343B1 (ko) 조립 해체가 가능한 승강식 막구조물
JP2004510080A (ja) 自己水準式支持体
JP2008280709A (ja) 角度調整装置及び角度調整方法
KR101457633B1 (ko) 높낮이 조절 및 경사로에 대응되는 틸팅기능을 갖는 보도용 난간
JP2006328775A (ja) 角度可変階段
KR100525272B1 (ko) 건축용 높이조절 작업난간대
KR20180129360A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데크로드용 지주받침대
KR102679782B1 (ko) 일체형 절곡브라켓을 갖는 난간 설치용 지주
KR101768167B1 (ko) 설치각도의 조정이 용이한 하중분산형 휀스구조
RU37128U1 (ru) Строительные леса, узел крепления стержневых элементов строительных лесов и опор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строительных лесов
ES2227648T3 (es) Estructura de soporte para elementos de suelo modular.
JP2002129529A (ja) 仮設フェンス用柱材,仮設フェンス用支柱及び仮設フェンス用控え柱
KR101467842B1 (ko) 데크로드용 데크판 받침골조 고정장치
RU2716315C1 (ru) Лестница-стремянка
WO2008067778A1 (en) Step for temporary instal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