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5107Y1 - Led 스탠드 조명 - Google Patents

Led 스탠드 조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5107Y1
KR200495107Y1 KR2020200002194U KR20200002194U KR200495107Y1 KR 200495107 Y1 KR200495107 Y1 KR 200495107Y1 KR 2020200002194 U KR2020200002194 U KR 2020200002194U KR 20200002194 U KR20200002194 U KR 20200002194U KR 200495107 Y1 KR200495107 Y1 KR 2004951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line
flexible pipe
lighting
sensor control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1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2955U (ko
Inventor
김기완
Original Assignee
김기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완 filed Critical 김기완
Priority to KR20202000021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107Y1/ko
Publication of KR202100029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29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1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1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6/00Lighting devices intended to be free-standing
    • F21S6/002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 F21S6/003Table lamps, e.g. for ambient lighting for task lighting, e.g. for reading or desk work, e.g. angle poise la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4Adjustable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21V23/002Arrangements of cables or conductors inside a lighting device, e.g. means for guiding along parts of the housing or in a pivoting a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고안의 LED 스탠드 조명은, 판 형의 지지판, 지지판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측 단부가 설정 각도로 폴드 가능하도록 형성된 플렉시블파이프, 플렉시블파이프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고, 일면이 차폐된 원통형상의 방사통, 지지판에 결합되어 전원을 생성하는 배터리부, 배터리부에 연결되는 제1조명제어선과, 그와 상극을 이루는 제2조명제어선이 구비되고, 방사통 내부에 인입되는 조명등, 배터리부에 연결되는 제1센서제어선과, 그와 상극을 이루며, 제2조명제어선과 연결되는 제2센서제어선과, 하우징 내부를 따라 이동하며 제1센서제어선 및 제2센서제어선과 접촉하는 전도성구가 구비되고, 플렉시블파이프의 상측 단부에 배치되는 기울기센서를 포함하여, 플렉시블파이프의 상측 단부가 폴드되면, 전도성구가 제1센서제어선 및 제2센서제어선과 접촉하여 조명등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LED 스탠드 조명{LED LIGHTING STAND}
본 고안은 LED 스탠드 조명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화 및 경량화 가능하고, 자체적으로 전원의 인가가 가능하며, 가격이 저렴하고, 그와 동시에 학습교구로써 사용 가능한, LED 스탠드 조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등으로 널리 사용되어 온 백열전구와 형광등은 밝기에 비하여 소비전력이 많아 사용이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며, 이를 대체하여 전력자원의 낭비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조명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근래에는 삼파장 램프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탁상용으로 사용되는 조명등인 스탠드 조명기구에 있어서는, 전력소모가 많은 백열전구나 형광등 대신 발광다이오드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 이하 “엘이디”로 칭한다)의 사용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상기 엘이디는 백열등이나 형광등과 같은 조명수단에 비하여 다양한 색을 연출할 수 있으며, 내구수명이 길고 전기소모량이 적을 뿐 아니라 크기까지 작은 장점이 있다.
엘이디 조명기구의 경우 기판에 복수개의 엘이디가 장착되도록 구성된 엘이디모듈과, 상기 엘이디모듈의 구동을 위한 구동모듈을 구비한다.
이러한 엘이디가 적용된 종래 조명기구로서의 엘이디 스탠드는 통상 책상 등에 거치하기 위한 받침대부와, 상기 받침대부 상면으로부터 수직 상향 일정길이 연장 형성되는 포스트부를 가지며, 상기 포스트부의 상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조명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이디 스탠드는 상기 포스트부의 상단과 조명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조명부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으나, 암부(arm) 및 조명부가 움직임 반경을 넓히기 위해 설정길이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암부 및 조명부의 넓은 움직임 반경에도 기울어지거나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무게중심을 잡기 위한 받침대부가 상당한 무게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중량과 부피가 필요 이상으로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해 엘이디 스탠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넓은 범위의 공간을 차지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외부로부터 전원이 인입되어야만 작동되는 구조로, 콘센트 또는 컴퓨터 등과 같은 외부의 전원 인입선이 없을 경우에는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통상적인 엘이디 스탠드의 전원 점등 방식으로 사용하는 터치센서 및 스위치가 적용됨에 따라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탠드를 온오프하기 위한 버튼 조작과 빛의 조사 방향을 따로 조절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014-0003547호 (휴대겸용 스탠드형 엘이디 조명장치)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002-0000381호 (걸이부를 갖는 조명 스탠드)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제 1목적은, 필요 이상의 넓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LED 스탠드 조명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제 2목적은, 자체적으로 전원을 인입할 수 있는, LED 스탠드 조명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제 3목적은, 온오프 조작을 위한 별도의 터치센서 및 스위치를 구비하지 않는, LED 스탠드 조명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제 4목적은, 스탠드를 온오프하기 위한 조작과 빛의 조사 방향을 동시에 조절할 수 있는, LED 스탠드 조명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고안은, 판 형의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측 단부가 설정 각도로 폴드 가능하도록 형성된 플렉시블파이프, 상기 플렉시블파이프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고, 일면이 차폐된 원통형상의 방사통,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어 전원을 생성하는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에 연결되는 제1조명제어선과, 그와 상극을 이루는 제2조명제어선이 구비되고, 상기 방사통 내부에 인입되는 조명등, 상기 배터리부에 연결되는 제1센서제어선과, 그와 상극을 이루며, 상기 제2조명제어선과 연결되는 제2센서제어선과, 하우징 내부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제1센서제어선 및 제2센서제어선과 접촉하는 전도성구가 구비되고, 상기 플렉시블파이프의 상측 단부에 배치되는 기울기센서를 포함하여, 상기 플렉시블파이프의 상측 단부가 폴드되면, 상기 전도성구가 상기 제1센서제어선 및 제2센서제어선과 접촉하여 상기 조명등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울기센서는 상기 방사통의 일면측을 향하고, 상기 제1센서제어선 및 제2센서제어선과의 접점부가 상기 방사통의 타면측을 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조명제어선과 제2센서제어선은 서로 상극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파이프는, 상측 영역 일부가 주름지도록 형성된 폴더부가 구비되어 자유로운 폴드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사통은, 외주면이 타면측으로 넓어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사통 일면 내측에 일면이 결합되고, 상기 조명등 및 기울기 센서의 영역이 삽입 결합되는 원통형의 제1서포트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조명등 및 기울기 센서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렉시블파이프의 하측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원통형이고 일부가 절개된 형상으로,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2서포트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플렉시블파이프의 내부에 진입하는 제1조명제어선 및 제1센서제어선의 절곡되는 영역을 보호하고, 상기 플렉시블파이프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LED 스탠드 조명은, 플렉시블파이프의 폴드로 전원이 온오프됨과 동시에 조명등의 조사 방향을 결정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다른 부가 전원을 위한 또는 빛의 조사방향 조절을 위한 구성요소를 추가로 필요로 하지 않아,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 특히, 건전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구조로, 자체적인 전원의 생성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시중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 조립이 가능하고, 전원의 온오프를 위해 별도의 터치센서나 스위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특정 공구가 필요없이 구성요소 간의 조립이 가능하여 과학 학습교구로 탁월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LED 스탠드 조명의 온(ON)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LED 스탠드 조명의 오프(OFF)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LED 스탠드 조명의 배선도이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방사통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기울기센서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기울기센서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LED 스탠드 조명(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LED 스탠드 조명(10)의 온(ON)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LED 스탠드 조명(10)의 오프(OFF)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LED 스탠드 조명(10)의 구조는, 전체적으로, 지지판(11), 플렉시블파이프(12), 방사통(13), 배터리부(14), 조명등(15) 및 기울기센서(16)를 포함하여 기울기센서(16)에 의해 상기 조명등(15)가 스위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판(11)은 판형으로 형성된다. 플렉시블파이프(12)는 지지판(11)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측 단부가 설정각도 폴드(fold)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방사통(13)은 플렉시블파이프(12)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고, 일면이 차폐된 원통으로 형성된다. 배터리부(14)는 상기 지지판(11)에 결합되어 전원을 생성한다. 조명등(15)은 배터리(141)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고, 방사통(13) 내부에 인입된다. 기울기센서(16)배터리(141)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고, 상기 플렉시블파이프(12)의 상측 단부 영역에 배치된다.
이때, 플렉시블파이프(12)는 상측 영역 일부가 주름지도록 형성된 폴더부(121)가 구비되어 자유로운 폴드가 가능하다. 특히, 플렉시블파이프(12) 내부에는 보조철심(123)이 삽입되어, 폴더부(121)의 폴드 정도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방사통(13)은 외주면이 타면을 향할수록 넓어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명등(15)에서 방사되는 빛의 방출이 용이하다.
도 3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LED 스탠드 조명(10)의 배선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등(15)는 제1조명제어선(151) 및 제2조명제어선(152)이 인입되고, 기울기센서(16)은 제1센서제어선(161) 및 제2센서제어선(162)이 인입된다.
제1조명제어선(151)은 배터리부(14)에 연결되고, 제2조명제어선(152)는 제1조명제어선(151)과 상극을 이루며, 제1센서제어선(161)은 배터리부(14)에 연결되고, 제2센서제어선(162)은 제1센서제어선(161)과 상극을 이루며 제2조명제어선(152)과 연결된다. 이때, 제2조명제어선(152)와 제2센서제어선(162)는 서로 상극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울기센서(16) 하우징(164)의 내부에는, 하우징(164) 내부를 따라 이동하며 제1센서제어선(161) 및 제2센서제어선(162)과 접촉하는 전도성구(163)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플렉시블파이프(12)의 상측 단부가 폴드되면, 전도성구(163)가 제1센서제어선(161) 및 제2센서제어선(162)과 접촉하여 조명등(15) 전원이 인가된다.
또한, 배터리부(14)는 배터리(141)와, 배터리(141)가 결합되고 제1조명제어선(151) 및 제1센서제어선(161)이 연결되는 배터리홀더(143)를 구비한다.
도 4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방사통(13) 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등(15)는 조명커넥터(15c)에 결합되고, 기울기센서(16)은 센서커넥터(16c)에 결합되어, 제1조명제어선(151) 및 제2조명제어선(152)는 조명커넥터(15c)에 인입되고, 제1센서제어선(161) 및 제2센서제어선(162)는 센서커넥터(16c)에 인입된다.
이때, 기울기센서(16)는 방사통(13)의 일면측을 향하고, 제1센서제어선(161) 및 제2센서제어선(162)과의 접점부 즉, 센서커넥터(16c)가 방사통(13)의 타면측을 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폴더부(121)가 폴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조명등(15)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고, 폴더부(121)가 폴드된 상태에서는 조명등(15)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방사통(13)의 일면 내측에는, 조명등(15) 및 기울기센서(16)의 영역이 삽입 결합되는 원통형의 제1서포트부(17)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조명등(15) 및 기울기센서(16)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제1서포트부(17)과 대향하는 방사통(13)의 일면 외측에는 제1지지부시(19a)가 결합된다. 제1지지부시(19a)는 플렉시블파이프(12)의 상측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플렉시블파이프(12)와 방사통(13)의 결합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플렉시블파이프(12)의 하측 단부에는,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여, 플렉시플파이프(12)의 하측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원통형이고 일부가 절개된 형상으로, 지지판(11)의 상면에 제2서포트부(18)가 결합된다. 절개된 영역은 배터리부(14)와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플렉시블파이프(12)의 내부에 진입하는 제1조명제어선(151) 및 제1센서제어선(161)의 절곡되는 영역을 보호함과 동시에 플렉시블파이프(1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제2서포트부(18)은 설정 높이로 플렉시블파이프(12)의 하측 단부를 지지하고, 하측 단부 일부가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서포트부(18)은 설정 높이로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전체 측면이 절개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상면에 제2지지부시(19b)를 추가로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지지부시(19b)는 플렉시블 파이프의 하측 단부가 삽입결합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제2서포트부(18) 및 제2지지부시(19b)는 플렉시블파이프(12)의 무게 중심이 지지판(11)을을 향하도록 하여 플렉시블파이프(12)를 지지한다.
도 5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기울기센(16)서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는 LED 스탠드 조명(10)의 오프(OFF)상태 일때의 기울기 센서(16)의 내부를 나타낸 모습이고, (b)는 LED 스탠드 조명(10)의 온(ON)상태 일때의 기울기센서(16)의 내부를 나타낸 모습니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기울기센서(16)의 작동 원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a)를 참조하여, 폴더부(121)가 폴드되지 않으면, 전도성구(163)가 제1센서제어선(161)과 제2센서제어선(162)에 접촉하지 못하여 제1센서제어선(161)과 제2센서제어선(162)이 연결되지 못한다.
(b)를 참조하여, 폴더부(121)가 폴드되면, 전도성구(163)가 제1센서제어선(161)과 제2센서제어선(163)에 접촉되면서 제1센서제어선(161)과 제2센서제어선(162)이 연결된다.
또한, 이와 같은 원리로, 기울기센서(16)는 전도성구(163) 대신 하우징(164) 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제1센서제어선(161) 및 제2센서제어선(163)과 접촉하는 수은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폴더부(121)의 미세한 폴드 정도에도 조명등(15)의 전원 인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기울기센서(16)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기센서(16)는 하우징(164) 내부의 일측 및 타측이 전도성구(163)의 외주면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전도성구(163)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센서제어선(161) 및 제2센서제어선(162)은, 전도성구(163)와 접촉하는 단부가 전도성구(163)의 외주면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일부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전도성구(163)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판(11), 제1서포트부(17), 제2서포트부(18), 제1지지부시(19a) 및 제2지지부시(19b)는 가공이 쉬운 EVA 재질로 형성되어 절연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나무 또는 합성수지 등의 절연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술한 LED 스탠드 조명(10)은,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재료로 쉽게 대체하여 구현가능하다.
일예로, 플렉시플파이프(12)는 플라스틱 주름빨대. 배터리부(14)는 건전지 및 건전지홀더, 방사통(13)은 종이컵으로, 보조철심(123)은 철사로 대체하여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별도의 배선 용접 작업 없이 엔드캡(미도시)을 이용하여 제1조명제어선(151), 제2조명제어선(152), 제1센서제어선(161) 및 제2센서제어선(162)을 연결할 수 있고, 지지판(11), 배터리부(14), 제1서포트부(17), 제2서포트부(18), 제1지지부시(19a) 및 제2지지부시(19b)는 결합 작업을 위한 별도의 볼팅 작업 없이, 접착제 혹은 양면테이프를 이용하여 결합이 가능하여 조립 및 분해를 위해 다른 도구가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서 사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지지판(11), 제1서포트부(17), 제2서포트부(18), 제1지지부시(19a) 및 제2지지부시(19b)는 전술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그와 동급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대체품으로 조립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LED 스탠드 조명(10)은, 일상생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기울기센서(16)의 원리를 이용하여 LED 스탠드 조명(10)을 제어한다는 점에서, 학생들의 학습교구용으로도 탁월한 장점이 있다.
또한, 플렉시블파이프(12)의 폴더부(121)가 폴드되면, 플렉시블파이프(12)의 수직한 일측과 그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타측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폴더부브릿지(미도시)를 구비하여, 폴더부(121)의 폴더 정도를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폴더부브릿지는 폴더부(121)의 폴드 정도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정리하자면, 전술한 바와 같은 LED 스탠드 조명(10)은, 또한, 플렉시블파이프(12)의 폴드로 전원이 온오프됨과 동시에 조명등(15)의 조사 방향을 결정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고 다른 부가 전원을 위한 또는 빛의 조사방향 조절을 위한 구성요소를 추가로 필요로 하지 않아,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141) 특히, 건전지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구조로, 자체적인 전원의 생성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시중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는 구성요소로 조립이 가능하고, 전원의 온오프를 위해 별도의 터치센서나 스위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별도의 특정 공구가 필요없이 구성요소 간의 조립이 가능하여 과학 학습교구로 탁월한 이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LED 스탠드 조명(10)
지지판(11)
플렉시블파이프(12)
폴더부(121)
보조철심(123)
방사통(13)
배터리부(14)
배터리(141)
배터리홀더(143)
조명등(15)
제1조명제어선(151)
제2조명제어선(152)
조명커넥터(15c)
기울기센서(16)
제1센서제어선(161)
제2센서제어선(162)
전도성구(163)
하우징(164)
센서커넥터(16c)
제1서포트부(17)
제2서포트부(18)
제1지지부시(19a)
제2지지부시(19b)

Claims (12)

  1. 판 형의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수직하게 결합되고 상측 단부가 설정 각도로 폴드 가능하도록 형성된 플렉시블파이프;
    상기 플렉시블파이프의 상측 단부에 결합되고, 일면이 차폐된 원통형상의 방사통;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어 전원을 생성하는 배터리부;
    상기 배터리부에 연결되는 제1조명제어선과, 그와 상극을 이루는 제2조명제어선이 구비되고, 상기 방사통 내부에 인입되는 조명등; 및
    상기 플렉시블파이프의 상측 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플렉시블파이프의 상측 단부가 폴드되면 상기 조명등에 전원이 인가하도록하는 기울기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센서는 전도성구, 상기 전도성구가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상응하는 직경의 원통형상 동공과 상기 원통형상 동공의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상측과 하측으로 연장되는 상기 원통형상 동공과 동일한 직경의 반구형상 동공으로 이루어지는 내주면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배터리부에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의 하측 상기 반구형상 동공에 단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제1센서제어선과 상기 제1센서제어선과 상극을 이루며 상기 제1센서제어선에 연접하여 하측 상기 반구형상 동공에 단부가 노출되며 상기 제2조명제어선과 연결되는 제2센서제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스탠드 조명.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파이프는,
    상측 영역 일부가 주름지도록 형성된 폴더부가 구비되어 자유로운 폴드가 가능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스탠드 조명.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통은, 외주면이 타면측으로 넓어지도록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스탠드 조명.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통 일면 내측에 일면이 결합되고, 상기 조명등 및 기울기 센서의 영역이 삽입 결합되는 원통형의 제1서포트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조명등 및 기울기 센서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스탠드 조명.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파이프의 하측 단부가 삽입 결합되는 원통형이고 일부가 절개된 형상으로,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결합되는 제2서포트부;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플렉시블파이프의 내부에 진입하는 상기 제1조명제어선 및 상기 제1센서제어선의 절곡되는 영역을 보호하고, 상기 플렉시블파이프를 지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스탠드 조명.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제어선 및 제2센서제어선은,
    상기 전도성구와 접촉하는 단부가 상기 전도성구의 외주면과 상응하는 형상으로 일부 라운드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도성구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스탠드 조명.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파이프는,
    내부에 보조철심이 삽입되어, 상기 폴더부의 폴드 정도를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스탠드 조명.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파이프의 상기 폴더부가 폴드되면, 상기 플렉시블파이프의 수직한 일측과 그에 대해 각도를 이루는 타측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폴더부브릿지를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폴더부의 폴드 정도를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스탠드 조명.
KR2020200002194U 2020-06-24 2020-06-24 Led 스탠드 조명 KR2004951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194U KR200495107Y1 (ko) 2020-06-24 2020-06-24 Led 스탠드 조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194U KR200495107Y1 (ko) 2020-06-24 2020-06-24 Led 스탠드 조명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955U KR20210002955U (ko) 2021-12-31
KR200495107Y1 true KR200495107Y1 (ko) 2022-03-04

Family

ID=79179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194U KR200495107Y1 (ko) 2020-06-24 2020-06-24 Led 스탠드 조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10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4930B2 (ja) * 1993-02-17 2001-05-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ダイヘッド
JP2007012501A (ja) * 2005-07-01 2007-01-18 Anger 21:Kk 傾斜感知型の発光装置
JP2007166998A (ja) * 2005-12-22 2007-07-05 Wako Denken Kk 植物育成用ledスタンド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31803A (ja) * 1996-02-21 1997-09-05 Minoru Takeuchi 震災用非常電灯装置
KR20000052174A (ko) * 1999-01-30 2000-08-16 백승목 발광컵의 점등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164930U (ja) * 2010-10-08 2010-12-24 株式会社芳国産業 自在に湾曲可能な照明器具
KR20140003547U (ko) 2012-12-04 2014-06-1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전장박스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4930B2 (ja) * 1993-02-17 2001-05-1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ダイヘッド
JP2007012501A (ja) * 2005-07-01 2007-01-18 Anger 21:Kk 傾斜感知型の発光装置
JP2007166998A (ja) * 2005-12-22 2007-07-05 Wako Denken Kk 植物育成用ledスタン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2955U (ko) 2021-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56908B1 (en) Rotatable dual magnification mirror with internal hoop illuminator and movable reflector ring
US9097413B2 (en) LED nightlight system having an image projection feature
US8398271B2 (en) Heat dissipating light reflecting device
US7465069B2 (en) High-power LED package structure
US20120140455A1 (en) Illuminating apparatus
US6322226B1 (en) Adjustable illumination apparatus having pre-focused led and magnification lens
US20150276178A1 (en) Led nightlight system having an image projection feature
JP2007311055A (ja) 携帯型照明装置
JP4389795B2 (ja) 照明装置
CN210921032U (zh) 可转动切换发光模式的台灯
TW201224331A (en) LED lamp
JP4428288B2 (ja) 照明装置
KR200495107Y1 (ko) Led 스탠드 조명
TW201314111A (zh) 燈具
JP2011018483A (ja) 照明スタンド
JP2007214100A (ja) 発光ダイオードを使った照明装置
TWI822625B (zh) 照明裝置
US10174921B2 (en) Slim OLED lamp
JP3173746U (ja) 高さ無段階調整式照明器具
CN219220802U (zh) 一种风扇灯
CN219867645U (zh) 多功能移动式灯具
CN220303492U (zh) 一种可调节亮度的半球台灯
CN220958030U (zh) 一种太阳能式智能灯具
KR101085197B1 (ko) 백열 전구의 소켓을 이용하는 전등 장치
CN211083869U (zh) 一种球泡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