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933Y1 - Device for Sorting Wastepaper - Google Patents

Device for Sorting Wastepap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933Y1
KR200494933Y1 KR2020190004884U KR20190004884U KR200494933Y1 KR 200494933 Y1 KR200494933 Y1 KR 200494933Y1 KR 2020190004884 U KR2020190004884 U KR 2020190004884U KR 20190004884 U KR20190004884 U KR 20190004884U KR 200494933 Y1 KR200494933 Y1 KR 2004949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conveyor
classification unit
sort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884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01296U (en
Inventor
오세욱
Original Assignee
오세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세욱 filed Critical 오세욱
Priority to KR20201900048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933Y1/en
Publication of KR202100012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29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9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93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65G13/06Roller driving means
    • B65G13/07Roller driving means having endless driv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58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with means for holding or retaining the loads in fixed position, e.g. 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38Common features for belt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기에 따라 파지를 선별하는 파지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파지가 상부에서 투입되어 하부에 위치한 설정 위치로 배출하는 제1수거호퍼, 상기 제1수거호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수거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파지를 설정 위치로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 상기 제1컨베이어의 이송방향측 단부 아래에 다수의 이송롤러가 상기 제1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배치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상기 파지를, 상기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시키되, 그 크기에 따라 하부로 이탈시키거나 상기 이송방향측 단부로 이송시켜 배출하는 이송분류부 및 상기 이송분류부의 이송방향측 단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분류부와 체인 결합되어 상기 이송롤러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이송감속기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분류부는 상기 제1컨베이어와 체인 결합되어 상기 이송감속기모터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상기 제1컨베이어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sorting device for sorting wastes according to their size, and a first collection hopper in which the wastes are input from the upper part and discharged to a set position located at the lower part, disposed below the first collection hopper, 1 A first conveyor that transports the grips discharged from the collection hopper to a set position, a plurality of transport rollers below the transport direction end of the first conveyor are horizontally spaced apar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rst conveyor is disposed, the gripping portion transferred from the first conveyor is transferred by the transfer roller, and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and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are transferred to the lower portion or transferred to the end of the transfer direction side according to the size. and a transfer reducer motor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direction side end portion and chain-coupled with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to transmit power for rotation of the transfer roller, wherein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is chain-coupled to the first conveyor and the transfer reduc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motor is transmitted to the first conveyor.

Description

파지선별장치 {Device for Sorting Wastepaper}Waste sorting device {Device for Sorting Wastepaper}

본 고안은 파지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파지의 재활용을 위해 크기별로 보다 신속하게 분리 처리 가능하고, 파지 선별을 위한 작업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파지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sort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te sorting device for more quickly separating and processing by size for recycling of waste and minimizing a working space for sorting waste.

일반적으로, 재생 가능한 파지는 크게 A4 크기의 책지, A3 크기의 신문용지, A2 크기 이상의 골판지로 분류될 수 있으며, 폐신문지는 신문지 재생에, 폐책지는 판지재생에, 폐골판지는 골판지 원지로 재생된다.In general, recyclable phages can be largely classified into A4 size booklets, A3 size newsprints, and A2 size or larger corrugated cardboard. .

종래에는 이러한 파지(신문,잡지,상자류 등)를 분리하는 과정이, 별도의 분리장치 없이 다수의 작업자가, 인라인 방식으로 이동하는 컨베이어 옆에 투입되어, 용도별로 일일이 선별 분리작업을 해야 했다. 이에 따라, 대량의 파지를 크기별로 선별하는 작업은 대다수가 작업환경의 악조건으로 인해 회피하여 인건비를 상승시켰다. 또한, 이로 인한 인원의 감축으로 대량 유입되는 파지의 선별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신문파지에 골판지가 섞여 골판지 특유의 색상이 신문지에 포함되어 용지의 품질저하를 유발한다. 이와 같은 품질저하를 가져오는 재생지는 소비자로 하여금 외면 받게 되었다.Conventionally,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se papers (newspapers, magazines, boxes, etc.), without a separate separation device, a large number of workers were put next to the conveyor moving in an inline method, and had to sort and separate them one by one for each use. Accordingly, most of the work of sorting a large amount of phages by size was avoided due to the unfavorable conditions of the working environment, thereby increasing the labor cost. In addition, due to the reduction in the number of personnel, the sorting operation of the mass inflow of paper cannot be smoothly performed, and the newspaper paper is mixed with corrugated cardboard to contain the characteristic color of the corrugated paper, which causes deterioration of the paper quality. Recycled paper, which causes such quality deterioration, has been neglected by consumers.

이와 같이, 파지는 사용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크기에 따른 정확한 선별작업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재생 가능한 파지의 양이 한정되었다. 이에 따라, 인쇄 시에 부족한 양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수입에 의존하게 되므로 외화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despite the large amount of phages used, an accurate sorting operation according to size was not performed, so that the amount of phages that can be reproduced was limited. Accordingly, there is a problem in that foreign currency is wasted because it depends on imports to meet the insufficient amount during printing.

또한, 종래의 파지선별장치는 작업자가 직접 파지를 선별해야함에 따라, 인라인 형식의 컨베이어가 길게 배치되어야 했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파지를 선별하기 위해서는, 넓은 공간의 작업장을 필요로 하며, 작업자가 선별 작업을 위해 넓은 공간을 이동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gripping sorting device, as the operator has to directly sort the grips, an in-line type conveyor has to be arranged for a long time. Therefore, in order to sort the phages of various sizes, a large work area is requir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perator has to move a large space for the sorting operation.

한국 특허공보 제10-1998-000876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998-0008760 한국 특허공보 제10-2017-0159357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159357 한국 특허공보 제10-2019-0067162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9-006716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제 1 목적은, 보다 신속한 파지 선별을 위한 작업 공정이 가능한 파지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waste sorting apparatus capable of a work process for more rapid waste sorting.

본 고안의 제 2 목적은, 파지 선별을 위한 작업 공간의 최소화가 가능한 파지선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ste sorting device capable of minimizing a working space for sorting waste.

본 고안에 따른 파지선별장치은 제1수거호퍼, 제1컨베이어, 이송분류부 및 이송감속기모터를 포함한다. The hol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llection hopper, a first conveyor, a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and a transfer reducer motor.

제1수거호퍼는 상기 파지가 상부에서 투입되어 하부에 위치한 설정 위치로 배출하고, 제1컨베이어는 상기 제1수거호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수거호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파지를 설정위치로 이송시키며, 이송분류부는 상기 제1컨베이어의 이송방향측 단부 아래에 다수의 이송롤러가 상기 제1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배치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상기 파지를 상기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방향측 단부로 이송시키면서 그 크기에 따라 하부로 이탈시키거나 상기 이송방향측 단부로 이송시켜 배출하고, 상기 이송분류부의 이송방향측 단부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분류부와 체인결합되어, 상기 이송롤러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이송감속기모터를 포함하되, 상기 이송분류부는 상기 제1컨베이어와 체인결합되어, 상기 이송감속기모터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상기 제1컨베이어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irst collection hopper, the grips are input from the top and discharge to a set position located at the bottom, and the first conveyor is disposed below the first collection hopper, and the grips discharged from the first collection hopper are returned to the set position.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are horizontal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veyor under the conveying direction end of the first conveyor, and the conveying classification unit is the gripping unit conveyed from the first conveyor is transferred to the end of the conveying direction by the conveying roller and separated to the lower portion depending on its size or transferred to the end of the conveying direction and discharged, and is disposed below the conveying direction end of the conveying classification unit, and the conveying classification It is chain-coupled with the unit and includes a transfer reducer motor for transmitting power for rotation of the transfer roller, wherein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is chain-coupled with the first conveyor, and transmits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transfer reducer motor to the first conveyo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transmitted to

상기 다수의 이송롤러는, 서로 이웃하는 이송롤러 간에 서로 종속하여 체인결합되되, 상기 다수의 이송롤러 중 상기 이송분류부의 이송방향측 단부에 위치한 이송롤러는 상기 이송감속기모터와 체인결합되고, 상기 이송분류부의 이송시작단부에 위치한 이송롤러는 상기 제1컨베이어와 체인 결합되며, 여기서 각각의 상기 이송롤러는 상기 이송감속기모터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된 복수의 회전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롤러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하나 이상의 이송부재 및 상기 이송부재의 외측면 일부가 노출되게끔 배치되고, 상기 이송부재의 양측면에 일면이 맞닿도록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are chain-coupled to each other depending on the neighboring conveying rollers, and among the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the conveying roller located at the end of the conveying direction side of the conveying classification part is chain-coupled to the conveying reducer motor, and the conveying The transfer rollers located at the transfer start end of the classification unit are chain-coupled to the first conveyor, wherein each of the transfer rollers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and the rotating shaft rotating in the transport direction by the power provided from the transport reducer motor. and a plurality of rotating rollers coupl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wherein the rotating roller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bout the rotating shaft, and at least one conveying member and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ying member are exposed It is disposed an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air of rotating plates fixedly coupled so that one surface abuts on both sides of the transfer member.

상기 파지선별장치는 상기 이송분류부의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이송분류부와 같은 이송방향으로 상기 파지를 하부로 이탈시키거나 이송방향측 단부로 이송시키되, 상기 이송분류부에 속하는 상기 다수의 이송롤러의 이격거리와 상이한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다수의 이송롤러를 포함하는 추가이송분류부를 포함한다. The grip sorting device is disposed parallel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and moves the grips downward in the same transfer direction as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or transfers the grips to the end of the transfer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pieces belonging to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and an additional conveying classification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disposed at a separation distance different from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conveying roller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파지선별장치는 파지 선별을 자동화함에 따라, 수거된 신문, 잡지 및 상자가 그 크기에 따라 보다 정확하게 선별될 수 있고, 그에 따른 인건비 및 재활용지 수입 지출을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s the waste sor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utomates the waste sorting, the collected newspapers, magazines and boxes can be more accurately sorted according to their size, thereby reducing labor costs and recycled paper import expenses. have.

본 고안은 이송분류부의 하부에서, 이탈된 파지를 받아 설정위치로 이송시키는 컨베이어나, 또 다른 크기로 파지를 선별하는 추가이송분류부가 배치됨으로써, 파지가 하부로 이탈하며 선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크기로의 파지선별 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yor that receives the separated grips and transfers them to a set position in the lower part of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or an additional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that sorts the grips in another size, so that the grips can be separated and sorted to the lower part, so that various The sorting operation by size can be performed very quickly and efficiently.

도 1 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지선별장치의 전체적인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지선별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파지선별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파지선별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이송분류부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회전롤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회전롤러의 일예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회전롤러의 다른 예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회전롤러의 또 다른 예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컨베이어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장력조절부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지선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파지선별장치의 변형예이다.
도 14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이송분류부의 변형예이다.
도 15 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파지선별장치, 그 일측면에 배치된 집게장비의 좌측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hold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left side view of the holding device shown in FIG. 1 .
FIG. 3 is a right side view of the holding device shown in FIG. 1 .
4 is a plan view of the holding device shown in FIG. 1 .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port classification unit shown in FIGS. 1 to 4 .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roller shown in FIG.
7 is an example of the rotary roller shown in FIG.
8 is another example of the rotary roller shown in FIG.
9 is another example of the rotary roller shown in FIG.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veyor shown in FIG. 1 .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nsion adjusting unit shown in FIG. 10 .
12 is a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holding device shown in FIG. 12 .
14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shown in FIGS. 1 to 4 .
15 is a left side view of the holding device shown in FIGS. 1 to 4 and the tongs equipment disposed on one side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파지를 크기에 따라 분류하는 자동화된 파지선별장치(1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utomated grip sorting device 10 for classifying the grip according to the siz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 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지선별장치(10)의 전체적인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holding device 1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파지선별장치(10)는 수거호퍼(100), 컨베이어(200), 이송분류부(300) 및 감속기모터(40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holding device 10 includes a collection hopper 100 , a conveyor 200 , a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 and a reduction gear motor 400 .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파지선별장치(10)의 좌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파지선별장치(10)의 우측면도이다.FIG. 2 is a left side view of the holding device 10 shown in FIG. 1 , and FIG. 3 is a right side view of the holding device 10 shown in FIG. 1 .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파지선별장치(10)는 파지 선별 작업순서에 따라, 제1수거호퍼(110), 제1컨베이어(210), 이송분류부(300), 제2수거호퍼(120), 제2컨베이어(220), 제3수거호퍼(130), 이송감속기모터(410) 및 컨베이어감속기모터(43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waste sorting device 10 includes a first collection hopper 110, a first conveyor 210, a transfer sorting unit 300, a second collection hopper 120, It includes a second conveyor 220 , a third collection hopper 130 , a transfer reducer motor 410 and a conveyor reducer motor 430 .

제1수거호퍼(110)는 내부에 소정깊이를 가지면서, 상부 및 하부를 비롯한 설정 면이 개방되어 있고, 측면은 상부보다 하부가 좁게 경사진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부에서 투입된 파지가 하부에 위치한 제1컨베이어(210)으로 미끄러져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제1수거호퍼(110)는 상부, 하부 및 측면 중 제1컨베이어(210)의 진행 이송방향에 상응하는 일면이 개방되어 있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면이 개방된 형상일 시, 양 측면의 끝단부에는 양 측면을 잇는 지지봉(101)을 용접 결합하여, 개방된 면이 설정 간격을 지지하여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1수거호퍼(110)는 상부 및 하부를 제외한 네 측면이 밀폐된 형상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파지가 투입될 때 상기 제1수거호퍼(110)의 내측으로 가이드하기 용이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ollection hopper 110 has a predetermined depth therein, and has an open setting surface including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nd the side surfaces are inclined to be narrower in the lower part than the upper part. Accordingly, the grips input from the upper part are slid and discharged to the first conveyor 210 located at the lower part. The first collection hopper 110 preferably has a shape in which one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veyor 210 is open among the upper, lower and side surfaces. When the one surface is in an open shape, the support rods 101 connecting both sides are welded to the ends of both sides, and the open surface is supported so that the shape can be maintained by supporting the set interval. In addition, the first collection hopper 110 may have a shape in which four sides except for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sealed. In this case, it is easy to guide the inside of the first collection hopper 110 when the grip is put.

또한, 제1수거호퍼의 양측면의 내측 상부에는, 상기 제1컨베이어의 이송방향측 단부에 상응하는 위치에 에어커튼(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파지가 상기 이송분류부의 이송시작단부로 이송되는 동안 상기 파지로부터 이물질을 분리시켜준다. In addition,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first collection hopper, an air curtain (not shown) may be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first conveyor in the transport direction. This separates foreign substances from the grips while the grips are transferred to the transfer start end of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상기 제1수거호퍼(110)의 하부에는 제1컨베이어(210)가 배치된다. 제1컨베이어(210)는 설정높이를 갖는 거치프레임(15)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제1컨베이어(210)는 상기 제1수거호퍼(110)의 하부로부터 배출되는 파지를 이송분류부(300)로 이송시킨다.A first conveyor 210 is disposed under the first collection hopper 110 . The first conveyor 21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frame 15 having a set height. The first conveyor 210 transfers the waste discharged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llection hopper 110 to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

상기 이송분류부(300)는 상기 제1컨베이어(210)의 이송방향측 단부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제1컨베이어(210)의 진행 이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배치되며. 설정 높이를 갖는 거치프레임(15)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이송분류부(300)는 상기 제1컨베이어(210)로부터 이송된 상기 파지를 이송시키되, 그 크기에 따라 하부로 이탈시키거나, 상기 이송방향측 단부로 이송시켜 배출한다.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is located below the end of the transfer direction side of the first conveyor 210,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roceeding transfer direction of the first conveyor 210, is horizontal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t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frame 15 having a set height. The transfer classifying unit 300 transfers the grips transferred from the first conveyor 210, and releases them downward depending on their size, or transfers them to an end in the transfer direction and discharges them.

상기 이송분류부(300)의 양측면의 상단에는 수직으로 연장되어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프레임(13)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드프레임(13)은 이송분류부(300)에서 이송되는 파지가 선별될 때, 상기 이송분류부(300) 상부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이는 상기 제1컨베이어(210)의 상측부보다는 높게 형성되고, 상기 제1수거호퍼(110)의 상측부보다는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air of side frames 13 extending vertically are preferably coupled to the upper ends of both sides of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 The side frame 13 serves to prevent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from being separat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gripping portion when the transferred grips are selected. It is preferably formed higher tha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veyor 210 and lower tha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llection hopper 110 .

또한, 상기 제1수거호퍼(110)의 이송방향측 단부측과, 상기 사이드프레임(13)의 이송 역방향측 단부측을 경사지게 잇는 한 쌍의 호퍼프레임(17)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수거호퍼(110) 및 제1컨베이어(210)에서 배출되는 상기 파지가, 상기 이송분류부(300)로 이송 시, 상기 사이드프레임(13)의 상부 외측으로 넘어감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hopper frames 17 slantingly connect the end side of the first collection hopper 110 in the transfer direction and the end side of the side frame 13 in the transfer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the side frame 13 are coupled. This is arranged to prevent the gripping paper discharged from the first collection hopper 110 and the first conveyor 210 from falling over to the out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side frame 13 when transferred to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 do.

제2수거호퍼(120)는 상기 이송분류부(300)의 이송방향측 단부 아래에 위치하고, 상기 거치프레임(15)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이송분류부(300)의 이송방향측 단부로 배출되는 상기 파지가 상부로 투입되어, 상기 제2수거호퍼(120)의 하부에 배치된 수거컨테이너(미도시)로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제2수거호퍼(120)는 상기 제1수거호퍼(110)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이를 통해, 작업량 및 선별정확도에 따라 상기 이송분류부(300)의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거컨테이너(미도시)가 설정거리 떨어져 위치할 때는, 상기 제2수거호퍼(120)의 하부에 상기 수거컨테이너(미도시)로 상기 파지를 이송시키는 보조컨베이어(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ollection hopper 120 is located below the end of the transfer direction side of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and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lding frame 15 . Therefore, the grips discharged to the end of the transfer direction side of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are input to the upper portion and transferred to a collection container (not shown) disposed under the second collection hopper 120 . The second collection hopper 120 is preferably configured in the shape of the first collection hopper 110 . Through this, the user can adjust the speed of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according to the amount of work and selection accuracy. When the collection container (not shown) is located at a set distance apart, an auxiliary conveyor (not shown) for transferring the waste to the collection container (not shown) may be disposed below the second collection hopper 120 . .

제2컨베이어(220)는 상기 이송분류부(300)의 하부에 수평 배치되고, 설정 높이를 갖는 거치프레임(15)의 상면에 안착된다, 상기 제2컨베이어(220)는 상기 이송분류부(300)의 이송방향과 상이하게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컨베이어(220)는 상기 이송분류부(300)의 하부로 이탈된 파지를 이송방향측 단부로 이송시켜 제3수거호퍼(130)로 배출한다. 상기 제2컨베이어는 이송분류부(300)의 길이 보다 짧은 길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conveyor 220 is horizontally disposed under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and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frame 15 having a set height. The second conveyor 220 is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 it is preferable to proceed differently from the transfer direction. The second conveyor 220 transfers the gripping pieces separa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to the end in the transfer direction and discharges them to the third collection hopper 130 . The second conveyor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length of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but may be arranged to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f necessary.

상기 제3수거호퍼(120)는 상기 제2컨베이어(220)의 이송방향측 단부 아래에 위치하고, 설정높이를 갖는 거치프레임(15)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2컨베이어(220)의 이송방향측 단부로 배출되는 상기 파지가 상부로 투입되어, 상기 제2수거호퍼(120)의 하부에 배치된 수거컨테이너(미도시)로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제3수거호퍼(120)는 상기 제1수거호퍼(110)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거컨테이너(미도시)가 설정거리 떨어져 위치할 때는, 상기 제3수거호퍼(120)의 하부에 상기 수거컨테이너(미도시)로 상기 파지를 이송시키는 보조컨베이어(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The third collection hopper 120 is positioned below the end of the second conveyor 220 in the transfer direction, and is preferably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frame 15 having a set height. Accordingly, the grips discharged to the end of the second conveyor 220 in the transfer direction are input to the upper portion and transferred to a collection container (not shown) disposed below the second collection hopper 120 . The third collection hopper 120 is preferably configured in the shape of the first collection hopper 110 . In addition, when the collection container (not shown) is located at a set distance apart, an auxiliary conveyor (not shown) for transferring the waste to the collection container (not shown) is disposed below the third collection hopper 120 . can

이송감속기모터(410)는 상기 이송분류부(300)의 이송방향측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이송분류부(300)와 체인결합되어 상기 이송롤러(320)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전달한다. 또한, 상기 이송감속기모터(410)에서 동력을 전달받은 상기 이송분류부(300)는, 상기 제1컨베이어(210)와 체인결합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210)에 동력을 전달한다.The transfer reducer motor 410 is dispos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 direction side of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 and is chain-coupled with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to transmit power for rotation of the transfer roller 320 . In addition, the transfer classifying unit 300 receiving power from the transfer reducer motor 410 is chain-coupled with the first conveyor 210 to transmit power to the first conveyor 210 .

컨베이어감속기모터(430)는 상기 제2컨베이어(220)의 일측면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컨베이어(220)에 체인결합으로 동력을 전달한다.The conveyor reducer motor 430 is disposed under one side of the second conveyor 220 and transmits power to the second conveyor 220 by chain coupling.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파지선별장치(10)의 평면도이다.FIG. 4 is a plan view of the holding device 10 shown in FIG. 1 .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분류부(300)는 다수의 이송롤러(320) 및 한 쌍의 이송롤러고정판(310)을 포함한다.As shown,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320 and a pair of transfer roller fixing plates 310 .

상기 다수의 이송롤러(320)는 상기 제1컨베이어(210)의 이송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이격되어 수평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로 이웃하는 이송롤러(320) 간에 서로 종속하여 체인 결합되되, 상기 다수의 이송롤러(320) 중, 상기 이송분류부(300)의 이송시작단부에 위치한 이송롤러(320)는 상기 제1컨베이어(210)와 체인결합된다.Preferably, the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320 are horizontally spaced apar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veyor 210 . In addition, the chain-coupled doedoe subordinated to each other between the neighboring transfer rollers 320, the transfer roller 320 located at the transfer start end of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among the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320 is the first It is chain-coupled with the conveyor 210 .

상기 다수의 이송롤러(320)의 양측단부 각각에는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다수의 이송롤러(320)를 베어링 결합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한 쌍의 이송롤러고정판(310)이 구성된다. A pair of conveying roller fixing plates 310 which are vertically dispos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320 and rotatably fix the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320 by a bearing coupling are configured.

상기 하나의 이송롤러(320)는 하나의 회전축(321)과 다수의 회전롤러(323)를 포함한다.The one transfer roller 320 includes one rotating shaft 321 and a plurality of rotating rollers 323 .

상기 회전축(321)은 상기 이송감속기모터(41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이송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321)의 외주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고정 결합된 다수의 회전롤러(323)가 배치된다.The rotation shaft 321 is rotated in the transport direction by the power provided from the transport reducer motor 410 . In addition, a plurality of rotating rollers 323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321 and fixedly coupl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상기 이송분류부(300)는, 상기 하나의 이송롤러(320)에 속하는 다수의 회전롤러(323)가, 이웃하는 하나 이상의 회전롤러(323)에 속하는 다수의 회전롤러(323)와 서로 교차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넓고 평평한 상자 및 골판지류 등은 상기 이송분류부(300)의 이송방향측 단부로 이송되고, 백상지 및 신문지류 등은 상기 교차배치된 다수의 회전롤러(323)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제2컨베이어(220)로 정확하게 이탈된다.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the plurality of rotary rollers 323 belonging to the one transfer roller 320 crosses each other with the plurality of rotary rollers 323 belonging to one or more adjacent rotary rollers 323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placed in position. For this reason, a wide and flat box and corrugated cardboard are transferred to the end of the transfer direction side of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and white paper and newspapers are transported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cross-arranged plurality of rotating rollers 323. It is precisely separated by the two conveyors 220 .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이송분류부(300)의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ransport classification unit 300 shown in FIGS. 1 to 4 .

상기 다수의 회전축(321)은 상기 이송감속기모터(410)와 체인결합으로 동력을 전달받는 하나의 주동회전축(321a)과, 상기 주동회전축(321a)과 체인결합으로 종속되어 동력을 전달받는 다수의 종동회전축(321b)으로 구성된다. The plurality of rotation shafts 321 are subordinated to the transfer reducer motor 410 and one main rotation shaft 321a receiving power by chain coupling, and the main rotation shaft 321a and a plurality of receiving power by chain coupling. Consists of a driven rotation shaft (321b).

상기 다수의 이송롤러(320)의 일측단부에는 2열스프로킷(11)이 압입되어 키로 고정된다. 상기 2열스프로킷(11)은 상기 이송롤러고정판(310)의 외측에 위치한 제1열부(11b)와, 상기 제1열부(11b)의 외측에 위치한 제2열부(11c)로 구성된다. 상기 제1열부(11b)와 제2열부(11c)는 동일한 잇 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상기 주동회전축(321a)에 속한 2열스프로킷(11)의 제2열부(11c)는, 상기 제1열부(11b)의 잇 수보다 많고 큰 외경으로 형성된 구동부(11a)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two-row sprocket 11 is press-fitted to one end of the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320 and is fixed with a key. The second row sprocket 11 includes a first row part 11b located outside the transfer roller fixing plate 310 and a second row part 11c located outside the first row part 11b. Preferably, the first column portion 11b and the second column portion 11c have the same number of teeth. Howe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row portion 11c of the second row sprocket 11 belonging to the main rotating shaft 321a includes a driving part 11a formed with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number of teeth of the first row part 11b. do.

상기 구동부(11a)는 상기 이송감속기모터(410)에 결합된 모터스프로킷(미도시)과 체인결합되어, 상기 주동회전축(321a)을 회전시킨다. 상기 주동회전축(321a)에 속한 제1열부(11b)는, 이웃하는 종동회전축(321b)에 속한 제1열부(11b)와 한 쌍으로 체인결합된다. 다른 나머지 종동회전축(321b)에 속하는 제1열부(11b)도 서로 이웃하는 한 쌍씩 체인결합된다. 상기 제2열부(11c)는 상기 제1열부(11b)의 체인결합 위치와 교차되는 위치에서, 즉 상기 구동부(11a)와 이웃하는 제2열부(11c)부터, 서로 이웃하는 한 쌍씩 체인결합된다. 진행시작단부에 위치하는 마지막 종동회전축(321b)에 속하는 제2열부(11c)는 상기 제1컨베이어(210)와 체인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결합구성으로, 상기 이송감속기모터(410)에서 생산한 동력을, 상기 이송감속기모터(410)와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제1컨베이어(210)까지 동일한 크기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The driving unit 11a is chain coupled to a motor sprocket (not shown) coupled to the transfer reducer motor 410 to rotate the main rotation shaft 321a. The first row part 11b belonging to the main rotation shaft 321a is chain-coupled to the first row part 11b belonging to the neighboring driven rotation shaft 321b as a pair. The first row portions 11b belonging to the other remaining driven rotation shafts 321b are also chain-coupled to each other in pairs. The second row portions 11c are chain-coupled to each other at a position crossing the chain coupling position of the first row portion 11b, i.e., from the second row portion 11c adjacent to the driving unit 11a, pairwise adjacent to each other. . The second row portion 11c belonging to the last driven rotation shaft 321b located at the start end portion is chain-coupled to the first conveyor 210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power. With such a combined configuration, the power produced by the transfer reducer motor 410 can be transferred to the first conveyor 210 farthest from the transfer reducer motor 410 with the same magnitude of power.

또한, 상기 이송분류부(300)의 진행시작단부 하부에는 자석(미도시)을 배치할 수도 있다. 상기 자석(미도시)이 배치됨에 따라, 상기 파지가 외부에서 수거될 때, 상기 파지와 함께 수거된 자성이 있는 금속을 선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선별되는 파지는 좋은 질을 갖게 되고, 재생가능한 파지의 양이 증가될 수 있다. In addition, a magnet (not shown) may be disposed below the progress start end of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 As the magnet (not shown) is disposed, when the grips are collected from the outside, the metal having a magnetism collected together with the grips may be selected. Due to this, the phages to be screened have good quality, and the amount of regenerated phages can be increased.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회전롤러(323)의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ry roller 323 shown in FIG.

상기 회전롤러(323)는 다수의 이송부재(323c) 및 한 쌍의 회전판(323a)으로 구성된다.The rotating roller 323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ransfer members 323c and a pair of rotating plates 323a.

상기 다수의 이송부재(323c)는 상기 회전축(321)을 중심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이송부재(323c)는 고무재질이고, 단면이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고무재질의 구성은 상기 회전롤러(323)가 속한 회전축(321)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파지와 마찰을 쉽게 일으켜, 상기 파지를 설정위치로 이송시키기에 용이하다. The plurality of transfer members 323c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bout the rotation shaft 321 . The transfer member 323c is preferably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In this rubber material configuration, the rotation shaft 321 to which the rotary roller 323 belongs rotates, thereby easily causing friction with the grip, and it is easy to transfer the grip to the set position.

상기 회전판(323a)은 단면이 원형이고, 금속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부재(323c)의 외측면 일부가 노출되게끔 배치되고, 상기 이송부재(323c)의 양측면에 일면이 밀착되도록 고정 결합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323a)는 상기 이송부재(323c)의 노출된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밀착되도록 외주면에 타원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조지지부(32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부(323b)로 인해, 상기 이송부재(323c)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상기 이송부재(323c)가 상기 파지로부터 받는 하중으로 인한 피로도를 줄여줄 수 있다. The rotating plate 323a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ransfer member 323c is disposed to be exposed, and one surface is fixedly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transfer member 323c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rotating plate 323a may include one or more auxiliary support parts 323b formed to extend in an elliptical sha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exposed outer surface of the transfer member 323c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Due to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323b, it is possible to firmly support the transfer member 323c, thereby reducing fatigue due to the load that the transfer member 323c receives from the grip.

도 7은 도 5에 도시된 회전롤러(323)의 일예이다.7 is an example of the rotary roller 323 shown in FIG.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재(323c)는 상기 회전축(321)을 중심으로 같은 거리로 이격된 세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각각의 회전롤러(323)에서, 서로 상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한 군의 이송부재(323c)가 회전하면서, 이웃하며 뒤따라오는 다른 한 군의 이송부재(323c)에 상자 및 골판지류가 걸림과 동시에 튕겨짐으로써, 상기 이송분류부(300)의 이송방향측 단부로 이송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아래에서 서술하는 도 13과 같이, 하나 이상의 이송분류부(300)의 이송방향측 단부와 진행시작단부의 높이차를 달리하여 경사지게 배치 시에, 상기 이송분류부(300)에서 이송되는 상자 및 골판지류를 이송방향측 단부으로 이송시키기 용이하다.As shown, the transfer member 323c may be located at three poin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same distance about the rotation shaft 321 . In this case, in each of the rotary rollers 323, a group of conveying members 323c arrang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rotates, and a box and corrugated cardboard are placed on the other group of conveying members 323c that follow and are adjacent to each other. By bouncing at the same time as being caught, the transfer is made to the end of the transfer direction side of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 Therefore, as shown in FIG. 13 to be described below, when the one or more transfer direction end portions and the progress start end of one or mor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s 300 are arranged in an inclined manner by varying the height, the boxes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and It is easy to transfer the corrugated paper to the end of the transfer direction.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회전롤러(323)의 다른 예이다.8 is another example of the rotary roller 323 shown in FIG.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롤러(323)는 단면이 원형이되, 상기 회전판()에 고정 결합되는 이웃하는 상기 이송부재()의 직경은 서로 상이한 이송부재(323c)로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the rotary roller 323 has a circular cross-section, and the diameter of the adjacent conveying member ( ) fixedly coupled to the rotating plate ( ) may be composed of a conveying member 323c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와 같은, 서로 다른 크기의 이송부재(323c)의 구성은, 많은 양의 파지가 뭉쳐져 덩어리로 투입될 시, 큰 크기의 이송부재(323c)는 상자 및 골판지류를 상기 이송분류부(300)의 이송방향측 단부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작은 크기의 이송부재(323c)는 뭉친 파지를 ??겨서 뭉침을 풀어줌으로써, 상기 투입되는 파지가 골고루 선별되도록 한다. In the configuration of the transfer members 323c of different sizes as described above, when a large amount of grips are aggregated and put in a lump, the transfer member 323c of a large size separates boxes and corrugated cardboard from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It serves to transfer to the end of the transfer direction. In addition, the small-sized transfer member 323c loosens the agglomeration by crushing the clumped grips, so that the inputted grips are evenly sorted.

도 9는 도 5에 도시된 회전롤러(323)의 다른 예이다.9 is another example of the rotary roller 323 shown in FIG.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롤러(323)는 상기 회전축(321)의 외주면을 감싸고 단면이 원형의 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부재(323c)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이송롤러(320)에 속하는 상기 이송부재(323c)의 마모되는 시기가 전체적으로 비슷하게 되어, 교체시기를 판단하기 용이하다. As shown, the rotating roller 323 may be composed of a conveying member 323c that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321 and has a circular ring shape in cross section. In this case, the wear time of the conveying member 323c belonging to one or more conveying rollers 320 becomes similar as a whole, so it is easy to determine the replacement time.

도 6 내지 9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부재(323c)는 사용자가 작업량 또는 필요에 따라 크기 및 개수를 조절하여 배치할 수 있다. 6 to 9 , the transfer member 323c may be disposed by adjusting the size and number of the transfer member 323c according to the amount of work or need by the user.

도 10은 도 1내지 4에 도시된 컨베이어(200)의 사시도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veyor 200 shown in FIGS. 1 to 4 .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1컨베이어(210) 및 제2컨베이어(220) 각각은 주축고정판(201), 동력주축(202), 컨베이어벨트(203), 조절주축(204) 및 장력조절부(205)을 포함한다.As shown, each of the first conveyor 210 and the second conveyor 220 includes a main shaft fixing plate 201, a power spindle 202, a conveyor belt 203, an adjustment spindle 204, and a tension control unit 205. ) is included.

상기 동력주축(202)은 상기 컨베이어(200)의 이송방향측 단부에 배치된다.The power spindle 202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conveyor 200 in the transport direction.

상기 조절주축(204)은 상기 컨베이어(200)의 이송시작단부에 위치하고, 상기동력주축(202)과 수평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djustment spindle 204 is located at the transfer start end of the conveyor 200, and it is preferable to be horizontally spaced apart from the power spindle 202.

상기 동력주축(202) 및 조절주축(204)의 몸체부는 상기 이송롤러(320)의 회전축(321)의 직경보다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The body portion of the power spindle 202 and the adjustment spindle 204 is preferably thick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tion shaft 321 of the conveying roller 320 .

상기 동력주축(202) 및 조절주축(204)의 양측단부에는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동력주축(202) 및 조절주축(204)을 베어링 결합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시키는 한 쌍의 주축고정판(201)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주축고정판(201)의 이송시작단부, 즉 상기 조절주축(204)의 양측단부에는 장력조절부(205)가 결합된다. A pair of main shaft fixing plates 201 that are vertically disposed on both ends of the power spindle 202 and the control spindle 204 and rotatably fix the power spindle 202 and the control spindle 204 by a bearing coupling. this is combined In addition, a tension adjusting unit 205 is coupled to the transfer start end of the main shaft fixing plate 201 , that is, both ends of the adjusting main shaft 204 .

상기 동력주축(202)의 일측단부에는 1열스프로킷(미도시)이 압입되어 키로 고정된다. 상기 제1컨베이어(210)를 제외한, 상기 제2컨베이어(220), 제1 내지 제3선별컨베이어(200a~200c)는 상기 동력주축(202)에 속한 1열스프로킷(미도시)에서 수직 아래에, 즉 상기 컨베이어(200)의 일측면 아래에는 컨베이어감속기모터(430)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컨베이어감속기모터(430)는 상기 이송분류부(300)의 이송감속기모터(410)가 배치된 일측면과 상응하는 면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유지보수를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A first row sprocket (not shown) is press-fitted to one end of the power spindle 202 and fixed with a key. Except for the first conveyor 210, the second conveyor 220 and the first to third sorting conveyors 200a to 200c are vertically below the first row sprocket (not shown) belonging to the power spindle 202. That is, a conveyor reducer motor 430 may be disposed under one side of the conveyor 200 . In this case, the conveyor reducer motor 430 is disposed on a side corresponding to the one side on which the transfer reducer motor 410 of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is disposed,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perform maintenance.

상기 컨베이어벨트(203)는 상기 동력주축(202)및 조절주축(204)의 표면에 일부 밀착되어, 마찰력을 통해 상기 동력주축(202)에서 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조절주축(204)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컨베이어벨트(203)는 외측 표면에 설정간격으로 다수의 돌기(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파지가 설정위치에서 상기 컨베이어벨트(203) 상면으로 낙하 시, 일부 구간에 상기 파지가 뭉쳐지지 않게 골고루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송되는 상기 파지를 상기 돌기(미도시)에 의해, 지지하면서 이송방향으로 이송시킨다.The conveyor belt 203 is partially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s of the power spindle 202 and the control spindle 204, receives power from the power spindle 202 through frictional force, and applies power to the control spindle 204. configured to deliver. A plurality of projections (not shown)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veyor belt 203 at set intervals. This serves to evenly distribute the grips so as not to agglomerate them in some sections when the grips fall from the set positio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onveyor belt 203 . In addition, the transferred grip is transferred in the transfer direction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projection (not shown).

또한, 상기 컨베이어(200)의 길이가 설정 길이 이상일 시, 상기 동력주축(202) 및 조절주축(204)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보조종축(206)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동력주축(202) 및 조절주축(204)이 상당한 거리로 이격될 시, 상기 컨베이어벨트(203)가 이격거리 사이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when the length of the conveyor 2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length, between the power spindle 202 and the adjustment spindle 204, one or more auxiliary subordinate shafts 206 are preferably disposed. This is to prevent the conveyor belt 203 from sagging between the separation distances when the power spindle 202 and the adjustment spindle 204 are separated by a considerable distance.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장력조절부(205)의 사시도이다.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ension adjusting unit 205 shown in FIG. 10 .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장력조절부(205)는 테이크업베어링(205b), 프레임(205a) 및 조절볼트(205c)를 포함한다.As shown, the tension adjusting unit 205 includes a take-up bearing 205b, a frame 205a and an adjusting bolt 205c.

상기 테이크업베어링(205b)은 상기 조절주축(204)이 회전 가능하게끔, 상기 조절주축(204)의 양측단부에 결합된다. The take-up bearing 205b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adjustment spindle 204 so that the adjustment spindle 204 is rotatable.

상기 프레임(205a)은 상기 테이크업베어링(205b)을 상기 제1컨베이어(210)의 이송방향 및 이송 역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가이드 및 고정한다. The frame 205a guides and fixes the take-up bearing 205b so as to be horizontally movable in the transport direction and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first conveyor 210 .

상기 조절볼트(205c)는 상기 테이크업베어링(205b)과 결합되어, 이송시작단부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205a)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조절볼트(205c)를 사용자가 돌림으로써, 상기 테이크업베어링(205b)의 수평 이동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The adjustment bolt 205c is coupled to the take-up bearing 205b to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transfer start end. The horizontal movement position of the take-up bearing 205b may be adjusted by the user turning the adjusting bolt 205c protruding outside the frame 205a.

상기 조절주축(204)을 수평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벨트(203)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컨베이어벨트(203)의 마모에 따른 교체 및 조립이 용이하고, 외부 날씨 및 온도 변화에 따라 장력을 조절하기 용이하다.By moving the adjusting spindle 204 horizontally, the user can adjust the tension of the conveyor belt 203 as needed. For this reason, replacement and assembly according to wear of the conveyor belt 203 is easy, and it is easy to adjust the tension according to external weather and temperature changes.

도 1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파지선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a hold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분류부(300)의 하부에는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이송분류부(300a)가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추가이송분류부(300a)는 상기 이송분류부(300)와 동일한 이송방향으로 상기 파지를 하부로 이탈시키거나 이송방향측 단부로 이송시키되, 상기 이송분류부(300)에 속하는 상기 이송롤러(320)의 이격거리와 상이하게 좁은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다수의 이송롤러(3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분류부(300)에서 이탈된 파지를 더 작은 단위로 선별할 수 있다. As shown, one or more additional transfer classification units 300a arranged in parallel may be configured at a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 In this case, the additional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a separates the grip downward in the same transfer direction as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or transfers it to the end of the transfer direction, and the transfer belonging to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 It includes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320 that are arranged at a narrow spacing that is different from the spacing of the rollers 32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ort the phages separated from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in smaller units.

상기 추가이송분류부(300a)의 이송방향측 단부 아래에는, 추가수거호퍼(100a)가 배치될 수 있다. An additional collection hopper 100a may be disposed under the end of the additional transport classification unit 300a in the transport direction.

상기 추가수거호퍼(100a)는 상기 추가이송분류부(300a)의 이송방향측 단부 아래에 위치하고, 설정높이를 갖는 거치프레임(15)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추가이송분류부(300a)의 이송방향측 단부로 배출되는 상기 파지가 상부로 투입되어, 상기 추가수거호퍼(100a)의 하부에 배치된 수거컨테이너(미도시)로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추가수거호퍼(100a)는 상기 제1수거호퍼(110)의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거컨테이너(미도시)가 설정거리 떨어져 위치할 때는, 상기 추가수거호퍼(100a)의 하부에 상기 수거컨테이너(미도시)로 상기 파지를 이송시키는 보조컨베이어(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The additional collection hopper (100a) is located below the end of the transfer direction side of the additional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a), it is preferable to b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frame (15) having a set height. Accordingly, the grips discharged to the transfer direction end of the additional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a are put into the upper part, and are transferred to a collection container (not shown) disposed below the additional collection hopper 100a. The additional collection hopper (100a) is preferably configured in the shape of the first collection hopper (110). In addition, when the collection container (not shown) is located at a set distance apart, an auxiliary conveyor (not shown) for transferring the waste to the collection container (not shown) may be disposed below the additional collection hopper 100a. have.

상기 추가이송분류부(300a)의 하부에는 상기 추가이송분류부(300a)에서 이탈된 파지를 받아 제3수거호퍼(130)로 이송시키는 제2컨베이어(22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second conveyor 220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additional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a to receive the grips separated from the additional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a and transfer them to the third collection hopper 130 .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파지선별장치(10)의 변형예이다.FIG. 13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holding device 10 shown in FIG. 12 .

상기 이송분류부(300) 및 추가이송분류부(300a)는 사용자의 작업환경에 따라, 이송방향측 단부가 이송시작단부보다 높이가 높게 배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작업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and the additional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a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n end portion in the transfer direction is disposed to be higher than a transfer start end according to the user's work environment. In this case, the work space can be utilized more efficiently.

도 14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이송분류부(300)의 변형예이다.14 is a modified example of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shown in FIGS. 1 to 4 .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이송분류부(300)는 서로 다른 파지의 크기를 선별할 수 있는 As shown,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is capable of sorting different sizes of grips.

제1 내지 제3선별부(300b~300d)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the first to third sorting units (300b to 300d).

상기 제1선별부(300b)는 상기 다수의 이송롤러(320)가 제1간격(d1)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수거호퍼(110)에서 배출되는 파지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여, 하부로 이탈시키거나 이송방향으로 이송시킨다.The first sorting unit 300b has the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320 disposed at a first interval d1 to sort the waste discharged from the first collection hopper 110 according to the size, and to separate them downward. or transfer in the transfer direction.

상기 제2선별부(300c)는 상기 제1선별부(300b)에서 연장되고, 상기 다수의 이송롤러(320)가 제1간격(d1)보다 넓은 제2간격(d2)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선별부(300c)는 상기 제1선별부(300b)로부터 이송되는 파지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여, 하부로 이탈시키거나 이송방향으로 이송시킨다. The second sorting part 300c extends from the first sorting part 300b, and the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320 are disposed at a second gap d2 wider than the first gap d1. Accordingly, the second sorting unit 300c sorts the grips transferred from the first sorting unit 300b according to their size, and either separates them downward or transfers them in the transfer direction.

상기 제3선별부(300d)는 상기 제2선별부(300c)에서 연장되고, 상기 다수의 이송롤러(320)가 제2간격(d2)보다 넓은 제3간격(d3)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3선별부(300d)는 상기 제2선별부(300c)로부터 이송되는 파지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여, 하부로 이탈시키거나 이송방향으로 이송시킨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상기 파지를 크기에 따라 신속하게 선별할 수 있고, 하나의 이송분류부(300)에서 다양한 크기로의 선별작업이 가능함으로써, 작업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The third sorting part 300d extends from the second sorting part 300c, and the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320 are disposed at a third gap d3 wider than the second gap d2. Therefore, the third sorting unit 300d sorts the grips transferred from the second sorting unit 300c according to their size, and either separates them downward or transfers them in the transfer direction. 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grips can be quickly sorted according to their size, and a single transfer classifying unit 300 can perform a sorting operation of various sizes, thereby saving a working space.

또한, 상기 제 1 내지 제3선별부(300b~300d)는 각각 제 1 내지 제3선별컨베이어(200a~200c)와 함께 구성될 수 있다.Also, the first to third sorting units 300b to 300d may be configured together with the first to third sorting conveyors 200a to 200c, respectively.

상기 제1선별컨베이어(200a)는 상기 제1선별부(300b) 하부에서 상기 제1진행방향과 수직인 제2진행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선별부(300b)에서 이탈된 파지를 설정위치로 이송시킨다. The first sorting conveyor 200a is disposed to extend from the lower part of the first sorting part 300b in a second moving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moving direction, and holds the grips separated from the first sorting part 300b. Move to the set position.

제2선별컨베이어(200b)는 상기 제2선별부(300c) 하부에서 상기 제2진행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선별부(300c)에서 이탈된 파지를 설정위치로 이송시킨다. The second sorting conveyor 200b is disposed to extend in the second traveling direction from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sorting part 300c, and transfers the gripping parts separated from the second sorting part 300c to a set position.

제3선별컨베이어(200c)는 상기 제3선별부(300d) 하부에서 상기 제2진행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3선별부(300d)에서 이탈된 파지를 설정위치로 이송시킨다. The third sorting conveyor 200c is disposed exten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third sorting part 300d in the second moving direction, and transfers the gripping parts separated from the third sorting part 300d to a set position.

상기 제2방향은 제1진행방향에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고, 설정각도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direction may extend vertically from the first travel direction, and may be arranged to extend at a set angle.

상기 제1 내지 제3선별컨베이어(200a~200c)는 상기 제1 내지 제2컨베이어(210,220)와 같은 구성요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은, 배출된 파지를 설정위치로 이송시키는 선별컨베이어가 개방되어 있어, 작업자가 선별된 파지를 육안으로 검토하기 편리하다. The first to third sorting conveyors 200a to 200c are preferably composed of the same components as the first to second conveyors 210 and 220 . In such a configuration, the sorting conveyor that transports the discharged waste to the set position is open, so it is convenient for the operator to visually examine the sorted grips.

도 15 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파지선별장치, 그 일측면에 배치된 집게장비의 좌측면도이다.15 is a left side view of the holding device shown in FIGS. 1 to 4 and the tongs equipment disposed on one side thereof.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집게장비(20)가, 외부로부터 설정위치에 수집된 상기 파지를 상기 제1수거호퍼(110)로 투입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집게장비(20)는 상기 파지선별장치(10)에서 선별되어 설정위치에 수집된 파지를, 다른 설정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one or more tongs equipment 20 may be arranged to put the grips collected at a set position from the outside into the first collection hopper 110 . In addition, the tongs device 20 may be arranged to move the grips selected by the grip sorting device 10 and collected at a set position to another set location.

또한, 상기 제1수거호퍼(110)의 상부에는 보조컨베이어(미도시)가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수집된 상기 파지가 수집되는 설정위치까지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파지가 수집되는 설정위치로부터 상기 제1수거호퍼(110)로 바로 상기 파지를 투입시킴으로써,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가 수집되는 설정위치와 상기 파지선별장치(10)의 위치를 달리하여 배치할 수 있음으로, 작업공간의 활용도가 높아진다.In addition, an auxiliary conveyor (not shown)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llection hopper 110 , and may be disposed to extend to a set position where the grips collected from the outside are collected. By directly putting the scraps into the first collection hopper 110 from the set position where the wastes are collected, the working time can be shortened. In addition, since the set position at which the holdings are collected and the position of the holding device 10 can be arranged differently, the utilization of the working space is increased.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Claims (14)

파지를 크기에 따라 분류하는 파지선별장치(10)에 있어서,
상기 파지가 상부에서 투입되어 하부에 위치한 설정 위치로 배출하는 제1수거호퍼(100);
상기 제1수거호퍼(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수거호퍼로부터 배출되는 파지를 설정 위치로 이송시키는 제1컨베이어(210);
상기 제1컨베이어의 이송방향측 단부 아래에 다수의 이송롤러(320)가 제1컨베이어의 이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수평 배치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로부터 이송된 파지를 이송롤러에 의해 이송시키되, 그 크기에 따라 하부로 이탈시키거나 이송방향측 단부로 이송시켜 배출하는 이송분류부(300);
상기 이송분류부(300)에 체인 결합으로 종속되는 제1컨베이어(210)와, 상기 이송분류부(300)에 체인 결합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이송감속기모터(410)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분류부(300)는 상기 제1컨베이어(210)와 체인결합되어 상기 이송감속기모터(410)로부터 전달된 동력을 제1컨베이어(210)에 전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이송롤러(320)는, 서로 이웃하는 이송롤러 간에 서로 종속하여 체인결합되되, 상기 다수의 이송롤러(320) 중 이송분류부(300)의 이송방향측 단부에 위치한 이송롤러(320)는 이송감속기모터(410)와 체인결합되고, 상기 이송분류부(300)의 이송시작단부에 위치한 이송롤러(320)는 제1컨베이어(210)와 체인결합되며,
여기서, 각각의 이송롤러(320)는,
상기 이송감속기모터(410)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이송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축(321) 및 상기 회전축(321)의 외주면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과 함께 회전되도록 결합된 다수의 회전롤러(323)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롤러(323)는 회전축(321)을 중심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이송부재(323c) 및 상기 이송부재(323c)의 외측면 일부가 노출되게끔 배치되고, 상기 이송부재의 양측면에 일면이 밀착되도록 고정 결합되는 한 쌍의 회전판(323a)을 포함하며,
상기 이송분류부(300)는 다수의 이송롤러(320)가 제1간격으로 배치되어, 제1수거호퍼(110)에서 배출되는 파지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여 하부로 이탈시키거나 이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1선별부(300b);
상기 제1선별부(300b)에 연장하여 다수의 이송롤러가 제1간격보다 넓은 제2간격으로 배치되어, 제1선별부로부터 이송되는 파지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여, 하부로 이탈시키거나 이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2선별부(300c);
상기 제2선별부(300c)에 연장하여 다수의 이송롤러가 제2간격보다 넓은 제3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선별부(300c)로부터 이송되는 파지를 크기에 따라 선별하여, 하부로 이탈시키거나 이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제3선별부(300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선별장치
In the holding sorting device (10) for classifying the phages according to their size,
a first collection hopper 100 for discharging the scraps from the upper part to a set position located at the lower part;
a first conveyor 210 disposed under the first collection hopper 100 to transfer the waste discharged from the first collection hopper to a set position;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320 are horizontally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first conveyor under the end of the first conveyor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the grips transferred from the first conveyor are transferred to the conveying roller. a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for discharging by discharging it by the doedoe, separating it to the lower part or transferring it to the end of the transfer direction according to its size;
A first conveyor 210 that is subordinated to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by chain coupling, and a transfer reducer motor 410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by chain coupling,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is chain-coupled with the first conveyor 210 and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power transmitted from the transfer reducer motor 410 to the first conveyor 210,
The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320 are chain-coupled depending on each other between the neighboring conveying rollers, and among the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320, the conveying rollers 320 located at the end of the conveying direction side of the conveying classification unit 300. is chain-coupled with the transfer reducer motor 410, and the transfer roller 320 located at the transfer start end of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is chain-coupled with the first conveyor 210,
Here, each conveying roller 320 is,
A plurality of rotating rollers ( 323);
The rotary roller 323 is arranged such tha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323c and the transfer member 323c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bout the rotating shaft 321 is exposed, and one surface on both sides of the transfer member It includes a pair of rotating plates 323a that are fixedly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e transfer classifying unit 300 has a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320 disposed at first intervals, sorting the waste discharged from the first collection hopper 110 according to the size to separate them downward or transfer them in the transfer direction. a first sorting unit 300b;
A plurality of conveying rollers extending to the first sorting unit 300b are arranged at a second interval wider than the first interval, and the grips transferred from the first sorting unit are sorted according to their size, and separated downward or in a conveying direction. a second sorting unit 300c to be transferred to;
A plurality of feed rollers extending to the second sorting unit 300c are arranged at a third interval wider than the second interval, and the grips transferred from the second sorting unit 300c are sorted according to their size, and separated to the lower part. Gripping sorting device comprising a; a third sorting unit (300d) to make or transfer in the transfer direction;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323a)은,
이송부재의 노출된 외측면에 적어도 일부가 밀착되도록 외주면에 타원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보조지지부(32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선별장치.
2.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ng plate 323a,
Gripping selection device comprising a; at least one auxiliary support portion (323b) formed to extend in an elliptical shap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exposed outer surface of the transfer member is in close contac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재(323c)는,
단면이 원형이되, 회전판(323a)에 고정 결합되어 이웃하는 이송부재(323c)의 직경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선별장치.
2.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fer member 323c,
Doedoe circular cross section, fixed to the rotating plate (323a), the diameter of the neighboring conveying member (323c)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gripp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분류부(300)는,
하나의 이송롤러(320)에 결합된 다수의 회전롤러(323)가,
이웃하는 이송롤러에 결합된 다수의 회전롤러(323)와 교차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선별장치.
2.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A plurality of rotary rollers 323 coupled to one transfer roller 320,
Gripping se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disposed at a position that intersects with a plurality of rotating rollers (323) coupled to the neighboring conveying roller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분류부(300)는,
이송롤러(320)의 일측 단부의 끝단에 압입 결합되고, 이송감속기모터(410)에 체인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받거나 전달시키는 다수의 2열스프로킷(11);을 포함하되,
상기 2열스프로킷(11)은,
이송롤러고정판(310)의 외측에 위치한 제1열부(11b);와
상기 제1열부의 외측에 위치한 제2열부(11c);로 구성되되,
상기 제1열부(11b)는 서로 이웃하는 한 쌍씩 체인결합되고, 제1열부의 체인결합 위치와 교차되는 위치에서 제2열부(11c)를 서로 이웃하는 한 쌍씩 체인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선별장치.
2. The method of claim 1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A plurality of two-row sprockets 11 that are press-fitted to the end of one end of the transfer roller 320 and chain-coupled to the transfer reducer motor 410 to receive or transmit power;
The second row sprocket 11 is
The first row portion 11b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transfer roller fixing plate 310; and
A second column portion (11c) located outside the first column portion;
The first row portions 11b are chain-coupled to each other in pairs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row portions 11c are chain-coupled to each other in pairs adjacent to each other at positions intersecting the chain coupling positions of the first row portions.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분류부(300)의 하부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이송분류부(300)와 동일한 이송방향으로 파지를 하부로 이탈시키거나 이송방향측 단부로 이송시키되,
상기 이송분류부(300)에 속하는 다수의 이송롤러(320)의 이웃간에 이격거리와 상이한 이격거리로 배치되는 다수의 이송롤러(320)를 포함하는 추가이송분류부(300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파지선별장치.
2. The method of claim 1
It is arranged parallel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In the same transfer direction as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the gripper is separated downward or transferred to the end of the transfer direction,
An additional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a) including a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320 disposed at a distance different from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neighbors of the plurality of transfer rollers 320 belonging to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further comprising A ho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분류부(300)의 하부에 수평 배치되고, 상기 이송분류부(300)의 이송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이송분류부에서 이탈된 파지를 회전측방향 단부로 이송시켜 배출시키는 제2컨베이어(220); 및
상기 제2컨베이어(220)의 일측면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2컨베이어(220)와 체인결합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컨베이어감속기모터(4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선별장치.
2. The method of claim 1
A second conveyor ( 220); and
Gripp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conveyor reducer motor 430 disposed under one side of the second conveyor 220 and transmitting power by chain coupling with the second conveyor 220.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21)에 각각 고정 결합되는 회전롤러(323)는,
제1선별부(300b), 제2선별부(300c) 및 제3선별부(300d) 별로 상이한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선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rotating rollers 323 fixedly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321, respectively,
The grip sor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different diameters for each of the first sorting part 300b, the second sorting part 300c, and the third sorting part 300d.
제 1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베이어(210) 및 제2컨베이어(220)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컨베이어의 이송방향측 단부에 배치되고, 컨베이어감속기모터(430)와 체인결합되어 회전하는 동력주축(202);
상기 동력주축(202)과 수평으로 이격되어,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시작단부에 배치되는 조절주축(204);
상기 동력주축(202) 및 조절주축(204)의 양측단부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상기 동력주축(202) 및 조절주축(204)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주축고정판(201);을 포함하되,
상기 주축고정판(201)의 이송방향 외측면에서, 상기 조절주축(204)의 양끝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컨베이어의 이송방향 및 이송 역방향으로 상기 조절주축(204)을 수평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컨베이어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부(2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선별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1 or 9,
Each of the first conveyor 210 and the second conveyor 220,
a power main shaft 202 disposed at the end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conveyors in the transport direction, and coupled to a conveyor reducer motor 430 and rotated by chain;
The power spindle 202 and horizontally spaced apart, the control spindle 204 disposed at the transfer start end of the conveyor;
A pair of main shaft fixing plates 201 disposed vertically at both ends of the power spindle 202 and the control spindle 204, the power spindle 202 and the control spindle 204 are rotatably coupled; includes; bu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shaft fixing plate 201 in the transport direction, it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control spindle 204, and horizontally moves the control spindle 204 in the conveying direction and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conveyor, so that of the conveyor belt Gripping selection device comprising a; tension adjusting unit (205) for adjusting the tension.
제 1 항에 있어서,
제1수거호퍼(110)의 양측면 내측 상부에 배치되어,
파지가 제1컨베이어(210)의 이송방향측 단부에서 이송분류부(300)의 이송시작단부로 이송되는 동안, 파지로부터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에어커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선별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t is dispos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first collection hopper 110,
While the grips are transferred from the transfer direction end of the first conveyor (210) to the transfer start end of the transfer classification unit (300), an air curtain for separat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grips;
제 1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컨베이어(210) 및 제2컨베이어(220)는,
외측 표면에 설정 간격으로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이송되는 파지가 돌기에 의해 이송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선별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1 or 9,
The first conveyor 210 and the second conveyor 220,
A hold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projection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t set intervals, and the transferred grips are conveyed in the conveying direction by the projections.
KR2020190004884U 2019-12-03 2019-12-03 Device for Sorting Wastepaper KR20049493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884U KR200494933Y1 (en) 2019-12-03 2019-12-03 Device for Sorting Wastepa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884U KR200494933Y1 (en) 2019-12-03 2019-12-03 Device for Sorting Wastepap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296U KR20210001296U (en) 2021-06-11
KR200494933Y1 true KR200494933Y1 (en) 2022-02-08

Family

ID=76376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884U KR200494933Y1 (en) 2019-12-03 2019-12-03 Device for Sorting Wastepap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933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53479A (en) * 2021-10-18 2021-12-07 湖北天高钢桥智造科技有限公司 Fixed gantry type plate unit longitudinal rib assembling equipment system
KR102538351B1 (en) * 2022-11-04 2023-05-31 주식회사 대양팩 Waste paper separation apparatus of thompson box for high-speed flat plate punching ma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0414A (en) * 2002-03-13 2003-09-16 Matsumoto Tekkosho:Kk Sorter
KR101011232B1 (en) * 2010-04-29 2011-01-26 주식회사 대한 Sorting apparatus of workpiece
JP2013063423A (en) * 2011-09-01 2013-04-11 Naoe Tekko:Kk Sorting apparatus
KR101429148B1 (en) * 2013-04-24 2014-08-11 조승제 Apparatus for sorting agricultural product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9850B2 (en) 1996-07-19 2007-05-3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Automotive lighting circuit equipment
KR100259328B1 (en) * 1998-03-16 2000-12-01 안병훈 Industry and home in wastepaper group select equipment
KR101816302B1 (en) * 2015-11-30 2018-01-10 태양산업주식회사 A crushing system of aggregates crushing and particle-spectic collection
EP3546472B1 (en) 2016-10-25 2021-06-16 Yamasa Corporation Method for purifying p1,p4-di(uridine 5'-)tetraphosph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0414A (en) * 2002-03-13 2003-09-16 Matsumoto Tekkosho:Kk Sorter
KR101011232B1 (en) * 2010-04-29 2011-01-26 주식회사 대한 Sorting apparatus of workpiece
JP2013063423A (en) * 2011-09-01 2013-04-11 Naoe Tekko:Kk Sorting apparatus
KR101429148B1 (en) * 2013-04-24 2014-08-11 조승제 Apparatus for sorting agricultural produc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296U (en) 2021-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4933Y1 (en) Device for Sorting Wastepaper
US377012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ading shrimp
CN205555425U (en) Carry branching unit and sorting machine of letter sorting usefulness
KR20160126135A (en) Sorting apparatus for agricultural products
KR200218218Y1 (en) A tomato sorting apparatus
CN210762679U (en) Cap sorting device for bottle cap
KR101635460B1 (en) Fruit sorting machine
JP6893829B2 (en) Sorting mechanism and foreign matter sorting device using it
US3709327A (en) Method and system for sorting spherical articles
JPH08198422A (en) Belt conveyor for sorter
EP2552606B1 (en) Sifting apparatus to select materials having different sizes
CN220590780U (en) Vegetable sorting device
JP2000317403A (en) Empty container size classifier
CN217616129U (en) Automatic feeding device for red date screening machine
JPH0214087A (en) Chip fractionation method, machine and apparatus
US3547263A (en) Device for sorting and transporting particulate material
CN220825138U (en) Novel weighing type abalone sorter
CN211756696U (en) Quick sorting device of agricultural product processing and sorting assembly line
WO2023168558A1 (en) Feeding device for crayfish sorting machine
CN218191075U (en) Flaky material arranging device
KR200162702Y1 (en) A sorting apparatus for waste paper
KR102453410B1 (en) Device for alignment supply of agricultural products
CN214339416U (en) Egg product grader
KR20120030662A (en) Belt conveyer photo reader
KR100455757B1 (en) Manufacturing device of calendar cl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