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4403Y1 - 정수기의 배수구조 - Google Patents

정수기의 배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4403Y1
KR200494403Y1 KR2020200004473U KR20200004473U KR200494403Y1 KR 200494403 Y1 KR200494403 Y1 KR 200494403Y1 KR 2020200004473 U KR2020200004473 U KR 2020200004473U KR 20200004473 U KR20200004473 U KR 20200004473U KR 200494403 Y1 KR200494403 Y1 KR 2004944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drain hole
drip tray
wate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44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범식
Original Assignee
강범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범식 filed Critical 강범식
Priority to KR20202000044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44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44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440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6Devices for collecting spilled beve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03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 B67D1/0014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a single liquid the beverage being supplied from water m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9Supports
    • B67D1/0894Supports for the vessel to be fi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2Liquid-dispensing valves having operating members arranged to be pressed upwards, e.g. by the rims of receptacles held below the delivery orif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221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and details of 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or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2210/00002Purifying means
    • B67D2210/00005Filters
    • B67D2210/0001Filters for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정수기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체적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중앙에 설치되어 본체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 정제해 주는 필터와, 상기 필터로부터 여과된 물을 일시 저장해 주는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와, 상기 냉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의 냉수 및 온수가 취출되도록 제1 코크 및 제2 코크로 이루어지는 정수기본체; 상기 제1 코크 및 상기 제2 코크에서 떨어지는 물을 담아둘 수 있도록 상기 정수기본체의 하부에 설치되는 물받이통; 상기 물받이통에 채워진 물을 담아둘 수 있도록 상기 정수기본체의 일측에 구비되는 오수받이통;을 마련하여 물받이통에 채워지는 오수를 오수받이통으로 배출시켜 물받이통이 비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오수받이통에 오수만을 저장하여 둘 수 있으며, 물받이통에 각각 다른 배수구멍이 형성된 걸름망에 의해 찌꺼기 등을 걸러줄 수 있고, 걸름망에 걸러진 찌끼기 등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정수기의 배수구조{Water purifier drainage structure}
본 고안은 정수기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기의 토출구 하부에 구비된 물받이통에 배수용 호스를 연결하여 정수기의 물받이통에 채워지는 물을 배출시킴은 물론 정수기에 연결된 호스가 막히지 않도록 하는 정수기의 배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물 속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여과하여 물을 정화시키는 기구로서, 가정이나 회사 등에서 수도물을 끊여 먹는 번거로움 없이 직접 마실 수 있도록 고안된 장치를 말한다.
산업발달에 따른 수질오염의 심각성이 대두되면서 이러한 정수기에 대한 관심이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상기한 정수기와 관련한 종래 일반적인 구조는 직사각형태로 내부가 비어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며 수도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원수 중에 함유된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정화시키는 다수개의 필터부재들과, 상기 필터부재들을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정화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와, 상기 저장탱크의 정수물을 각각 공급받아 냉각 및 가열시키는 냉수탱크와 온수탱크 및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장착되며 상기 냉수탱크와 온수탱크에 각기 연결되어 냉수 및 온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냉수 및 온수코크를 포함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의 정수기는 상수도 원수 속에 섞여있는 미세한 무기질 및 유기질, 잔류염소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원수를 역삼투압 방식으로 다수개의 필터부재, 바람직하게는 전처리 활성탄 필터와, 멤브레인 필터, 후처리 활성탄 필터를 차례로 통과시켜 음용수로 정수 처리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정수기는 사무실이나 음식점 혹은 실내외 공공장소, 혹은 가정에 각각 배치되어, 원수를 정수 처리하여 음용수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정수기는 그 정수방식에 따라 크게 2종류로 분류할 수 있는데, 하나는 역삼투막을 이용한 정수방식의 RO(Reverse Osmosis) 정수기로서 물에 강제압력을 가해(통상 펌프 사용) 순수한 물분자는 특수하게 제작된 반투막(Membrane Filter)을 통과시키고 다른 물질은 반투막을 통과시키지 않는 정수방식이 적용된다.
또 하나는 중공사막 방식의 냉온정수기로서 가운데가 비어있는 통상 0.01㎛ 굵기의 섬유관이 수천 다발로 묶인 필터를 사용하여 정수하는 방식이 적용된다.
이때 상기 정수기는 보통 4단계의 필터를 적용하게 되는데, 제1 단계 필터인 침전필터는 원수를 최초로 접촉하여 5㎛ 이상의 각종 찌꺼기와 녹, 흙, 모래, 산화물 등의 오염물질을 걸러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제2 단계 및 제3 단계 필터인 활성탄필터는 이미, 이취, 발암물질, 잔류염소 등을 제거하고, 제 4단계 필터인 중공사막필터는 대장균, 일반 세균 등을 제거한다.
도 1은 종래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입체도이고, 도 2는 종래 정수기의 물받이 구조를 나타내는 입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정수기는 소정의 체적을 가지는 본체(1)와, 이 본체의 중앙에 설치되어 본체(1)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 정제해 주는 필터(2)와, 이 필터(2)로부터 여과된 물을 일시 저장해 주는 냉수탱크(3) 및 온수탱크(6)와, 이 냉수탱크(3) 및 온수탱크(6)에 각각 나사결합방식으로 연결되면서 본체(1)의 외부로 돌출 되어 냉수 및 온수를 취출하기 위한 냉수취수코크(5) 및 온수취수코크(8)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각각의 구성부품들은 수로를 형성하는 호스(L) 및 제어를 위한 배선(도시하지 않음) 등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다.
한편 본체(1)의 전면 취수코크(5,8) 하방에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어 일정량 의 물을 저장할 수 있는 물받이부(21)가 안착되기 위한 안착판(22)이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부(21)의 저면 및 안착판(22)이 수평면상에서 면접하는 형상을 취하여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이때 물받이부(21)와 안착판(22)의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본체(1)에 구비된 고정돌기(23)가 물받이부(21)의 배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미설명 부호 24는 받침판으로서 물받이부(21)의 상단에 장착되는데, 일반적으로 컵과 같은 용기에 물을 담고자 하는 사용자들은 받침판(24)에 용기를 얹은 상태에서 손으로 취수코크를 개방하여 적당량의 물을 용기에 담게 된다.
한편 상기 받침판(24)은 용기에 물을 받다가 흘러내리는 물이 물받이부(21)의 내부 공간으로 흘러가도록 대게 망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는 물받이부(21)에 일정량의 물이 차면 물받이부를 본체에서 분리하여 물을 버린 다음, 다시 물받이부를 본체에 결합시킨다.
정수기는 주기적으로 필터 교환이 이루어져야 하며, 내부 세척, 부품 교환, 또는 부품 수리 등이 필요할 때 정수기에 저장된 물을 모두 배출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정수기에 설치된 코크부의 노즐에 호스를 끼우고, 코크부의 푸시 레버를 밀거나 당겨 호스를 통해 물을 배출시키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정수기와 배수 시설(싱크대 또는 세면대 등)이 가까운 경우 호스만으로도 물을 배출시킬 수 있으나, 배수 시설이 정수기의 코크부보다 높은 경우에는 정수기의 물을 배출시킬 수 없다.
또한 정수기와 배수 시설이 멀리 위치하는 경우, 배출수 저장 용기를 준비하고, 여기에 호스를 통해 배출한 물을 임시로 저장한 다음 배수 시설로 옮겨 배출수를 버리게 된다. 그런데 이 경우 작업자의 푸시 레버 조작만으로 물 배출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게을리하는 경우 배출수 저장 용기에서 배출수가 흘러 넘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아울러 정수기 물받이 케이스에 버린 각종 찌꺼기로 좁은 배수구 구멍과 연결된 폐수 호스 그리고 이를 처리해야 할 하수구가 막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워낙 좁은 배수구 구멍이라 해결 방법이 없다고 생각하고 포기해, 막히면 막히는 대로 불편을 감내하며 비위생적인 상태로 계속 사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정수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정수기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며 원수를 음용수로 정수 처리하는 필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한 정수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공급라인과 분기라인으로 연결되며, 상기 분기라인을 통해 원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세정수 저수조와,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며 상기 세정수 저수조에 저장되어 있는 원수를 공급받아 외부로 토출시키는 세정수 코크를 구비한다.
상기 필터부재에는 원수를 정수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폐수를 상기 세정수 저수조로 공급하는 폐수배출라인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부재에서 정수 처리된 음용수를 냉장 및 가열하는 냉수 및 온수탱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온수탱크의 내부에는 세정온수탱크가 격판으로 구획 형성되며, 상기 세정온수탱크는 상기 세정수 저수조에 저장되어 있는 세정수를 공급받아, 일정온도로 데워준 상태에서 상기 세정용 코크로 공급되게 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정수기용 배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정수기용 배수 장치는 입수구와 출수구를 구비하는 배출수 저장 용기, 일단이 정수기의 노즐에 결합되고 반대쪽 일단이 상기 입수구에 결합되어 상기 노즐과 상기 입수구를 연결하는 배출 호스, 상기 배출 호스에 설치되고,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하여 상기 정수기의 물을 상기 배출수 저장 용기로 펌핑하는 수동 펌핑부 및 상기 출수구와 상기 배출 호스를 연결하고, 배출 호스로부터 분기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수 저장 용기의 물이 최고 수위에 도달시 상기 배출수 저장 용기의 물을 상기 배출 호스로 회수시키는 회수 호스 및 상기 출수구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수 저장 용기의 물이 최고 수위에 도달시 작동하여 상기 출수구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는 체크 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 호스의 양쪽 단부와 상기 회수 호스의 일단은 상기 정수기의 노즐 및 상기 배출수 저장 용기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배출수 저장 용기는 상기 입수구 및 상기 출수구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각각의 결합 홈을 구비한 제1 및 제2 연장 튜브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1-0004384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1-0005255호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19-0001084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수기에서 떨어지는 물 또는 사용자가 물을 버릴 수 있도록 정수기에 구비된 물받이통에 배출호스를 연결하여 물받이통의 넘침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의 배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정수기의 배출호스가 막히지 않도록 하여 정수기 사용에 따라 물받이통을 청결하면서도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의 배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물받이통에 일정 높이 간격으로 걸름망을 설치하여 물받이통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정수기의 배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의 배수구조는 소정의 체적을 가지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중앙에 설치되어 본체(1)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 정제해 주는 필터(2)와, 상기 필터(2)로부터 여과된 물을 일시 저장해 주는 냉수탱크(3) 및 온수탱크(6)와, 상기 냉수탱크(3)와 상기 온수탱크(6)의 냉수 및 온수가 취출되도록 제1 코크(113) 및 제2 코크(114)로 이루어지는 정수기본체(110); 상기 제1 코크(113) 및 상기 제2 코크(114)에서 떨어지는 물을 담아둘 수 있도록 상기 정수기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물받이통(130); 상기 물받이통(130)에 채워진 물을 담아둘 수 있도록 상기 정수기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오수받이통(1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받이통(130)는 상기 코크(113, 114)에서 떨어지는 물을 담아둘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32)이 형성된 물받이본체(131); 상기 수용공간(132)에 채워진 물이 상기 오수받이통(150)으로 배출될 수 있게 상기 물받이본체(131)의 일면에 형성되는 배수구멍(133); 상기 배수구멍(133)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오수받이통(150)에 연결되는 배출호스(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받이통(130)은 제1 걸름망(144)이 안착되게 물받이본체(131)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받침부(141); 제2 걸름망(146)이 안착되게 상기 제1 받침부(141)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받침부(142); 제3 걸름망(148)이 안착되게 상기 제2 받침부(142)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3 받침부(14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받침부(142)는 상기 제2 걸름망(146)을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제2 받침부(142)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받침부(142)는 상기 제3 걸름망(148)을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제3 받침부(142)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받침부(141)에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제1 걸름망(144)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걸름망(144)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일정 간격으로 제1 배수구멍(145)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받침부(142)에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제2 걸름망(146)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걸름망(146)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일정 간격으로 제2 배수구멍(146)이 형성되며, 상기 제3 받침부(143)에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제3 걸름망(148)이 설치되고, 상기 제3 걸름망(148)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일정 간격으로 제3 배수구멍(14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배수구멍(145)은 상기 제2 배수구멍(147)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수구멍(147)은 상기 제3 배수구멍(149)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3 배수구멍(149)은 상기 제2 배수구멍(147)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멍(145, 147, 149)의 크기는 제1 배수구멍(145) > 제2 배수구멍(147) > 제3 배수구멍(149)을 순차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각각 걸름망(144, 146, 148)에서 크기가 다른 이물질을 걸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정수기의 배수구조에 의하면, 물받이통에 채워지는 오수를 오수받이통으로 배출시켜 물받이통이 비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오수받이통에 오수만을 저장하여 둘 수 있으며, 물받이통에 각각 다른 배수구멍이 형성된 걸름망에 의해 찌꺼기 등을 걸러줄 수 있고, 걸름망에 걸러진 찌끼기 등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입체도,
도 2는 종래 정수기의 물받이 구조를 나타내는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수구조를 도시한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수구조를 도시한 입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수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수구조의 물받이통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수구조의 물받이통을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수구조의 물받이통을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수구조의 물받이통을 도시한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수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수구조는 소정의 체적을 가지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중앙에 설치되어 본체(1)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 정제해 주는 필터(2)와, 상기 필터(2)로부터 여과된 물을 일시 저장해 주는 냉수탱크(3) 및 온수탱크(6)와, 상기 냉수탱크(3)와 상기 온수탱크(6)의 냉수 및 온수가 취출되도록 제1 코크(113) 및 제2 코크(114)로 이루어지는 정수기본체(110)와, 상기 제1 코크(113) 및 상기 제2 코크(114)에서 떨어지는 물을 담아둘 수 있도록 상기 정수기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물받이통(130)와, 상기 물받이통(130)에 채워진 물을 담아둘 수 있도록 상기 정수기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오수받이통(15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수구조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수구조를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수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수구조의 물받이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수구조는 물을 여과시키는 정수기본체(110)와, 상기 정수기본체(110)에서 떨어지는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물받이통(130) 및 상기 물받이톤(130)에서 배출된 물을 저장하는 오수받이통(1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정수기본체(110)의 전면에는 냉수 또는 온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제1 버튼(111)와 제2 버튼부(112)가 구비되고, 냉수를 배출시키는 제1 코크(113)와 온수를 배출시키는 제2 코크(114)가 각각 설치된다.
아울러 정수기본체(110)의 내부에는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체(1) 내부에 필터(2)가 설치되며, 상기 필터(2)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되는 냉수탱크(3)와 온수탱크(6) 등이 설치됨은 물론이다.
상기 정수기본체(110)에는 제1 코크(113)와 제2 코크(114)에서 떨어지는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물받이통(130)이 구비된다.
상기 물받이통(130)의 뭍받이본체(131)에는 코크(113, 114)에서 떨어지는 물과 음용 후 버려지는 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수용공간(132)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물받이본체(131)에는 배수구멍(133)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구멍(133)에는 배출호스(134)가 연결된다.
상기 배출호스(134)의 일측은 배수구멍(133)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호스(134)의 타측은 오수받이통(150)에 연결된다.
다음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수구조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수구조는 정수기본체(110)의 버튼부(111, 112)를 조작하여 음용하고자 하는 물을 받아 음용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버튼부(111, 112)를 조작함에 따라 필터(2)를 통과한 정수된 물이 코크(113, 114)를 통해 배출되며, 사용자가 컵 등을 미리 꺼내게 되는 경우 코크(113, 114)에서 떨어지는 물은 물받이통(130)에 채워지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녹차 등을 마시고 난 후 녹차 찌꺼기 등을 버리게 된다. 이에 물받이통(130)에는 물 뿐만 아니라 녹차 찌꺼기 등이 수용공간(132)에 채워지게 된다.
이러한 물받이통(130)에 채워진 물 및 찌꺼기 등은 배출호스(134)를 통해 오수받이통(150)으로 이동되어 물받이통(130)을 비울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 예>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수구조의 물받이통을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수구조의 물받이통을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수구조의 물받이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정수기의 배수구조는 상기 물받이통(130)은 제1 걸름망(144)이 안착되게 물받이본체(131)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받침부(141)와, 제2 걸름망(146)이 안착되게 상기 제1 받침부(141)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받침부(142)와, 제3 걸름망(148)이 안착되게 상기 제2 받침부(142)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3 받침부(14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받침부(142)는 상기 제2 걸름망(146)을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제2 받침부(142)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받침부(142)는 상기 제3 걸름망(148)을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제3 받침부(142)보다 크게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받침부(141)는 물받이통(130)의 상면에 형성되고, 제2 받침부(142)는 제1 받침부(141)의 하부에 형성되며, 제3 받침부(143)는 제2 받침부(142)의 하부에 형성된다.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제2 받침부(142)는 수용공간(132)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3 받침부(143)는 수용공간(132)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제2 받침부(142)보다 긴 길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제1 받침부(141)에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제1 걸름망(144)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걸름망(144)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일정 간격으로 제1 배수구멍(145)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받침부(142)에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제2 걸름망(146)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걸름망(146)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일정 간격으로 제2 배수구멍(146)이 형성되며, 상기 제3 받침부(143)에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제3 걸름망(148)이 설치되고, 상기 제3 걸름망(148)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일정 간격으로 제3 배수구멍(149)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받침부(141)에는 제1 걸름망(144)이 안착되며, 제2 받침부(142)에는 제2 걸름망(146)이 안착되고, 제3 받침부(143)에는 제3 걸름망(148)이 안착된다.
상기 제1 걸름망(144)에는 제2 배수구멍(147) 및 제3 배수구멍(149)보다 큰 제1 배수구멍(145)이 형성되고, 제2 걸름망(146)에는 제3 배수구멍(149)보다 큰 제2 배수구멍(147)이 형성된다.
즉, 제1 배수구멍(145)이 가장 크게 형성되고, 제2 배수구멍(147)은 제3 배수구멍(149)보다 크게 형성되어 녹차 등의 찌꺼기 등을 걸러주게 된다.
상기 제1 배수구멍(145)은 상기 제2 배수구멍(147)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수구멍(147)은 상기 제3 배수구멍(149)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3 배수구멍(149)은 상기 제2 배수구멍(147)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멍(145, 147, 149)의 크기는 제1 배수구멍(145) > 제2 배수구멍(147) > 제3 배수구멍(149)을 순차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각각 걸름망(144, 146, 148)에서 크기가 다른 이물질을 걸러주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정수기본체 111: 제1 버튼부
112: 제2 버튼부 113: 제1 코크
114: 제2 코크
130: 물받이통 131: 물받이본체
132: 배수구멍 133: 배출호스
141: 제1 받침부 142: 제2 받침부
143: 제3 받침부 144: 제1 걸름망
145: 제1 배수구멍 146: 제2 걸름망
147: 제2 배수구멍 148: 제3 걸름망
149: 제3 배수구멍
150: 오수받이통

Claims (5)

  1. 소정의 체적을 가지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중앙에 설치되어 본체(1)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여과 정제해 주는 필터(2)와, 상기 필터(2)로부터 여과된 물을 일시 저장해 주는 냉수탱크(3) 및 온수탱크(6)와, 상기 냉수탱크(3)와 상기 온수탱크(6)의 냉수 및 온수가 취출되도록 제1 코크(113) 및 제2 코크(114)로 이루어지는 정수기본체(110);
    상기 제1 코크(113) 및 상기 제2 코크(114)에서 떨어지는 물을 담아둘 수 있도록 상기 정수기본체(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물받이통(130); 및
    상기 물받이통(130)에 채워진 물을 담아둘 수 있도록 상기 정수기본체(110)의 일측에 구비되는 오수받이통(150);을 포함하되,
    상기 물받이통(130)은 제1 걸름망(144)이 안착되게 물받이본체(131)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받침부(141);
    제2 걸름망(146)이 안착되게 상기 제1 받침부(141)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 받침부(142);
    제3 걸름망(148)이 안착되게 상기 제2 받침부(142)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3 받침부(14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받침부(141)는 상기 제2 걸름망(146)을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제2 받침부(142)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받침부(142)는 상기 제3 걸름망(148)을 꺼낼 수 있도록 상기 제3 받침부(143)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배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통(130)은 상기 코크(113, 114)에서 떨어지는 물을 담아둘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32)이 형성된 물받이본체(131);
    상기 수용공간(132)에 채워진 물이 상기 오수받이통(150)으로 배출될 수 있게 상기 물받이본체(131)의 일면에 형성되는 배수구멍(133);
    상기 배수구멍(133)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오수받이통(150)에 연결되는 배출호스(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배수구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받침부(141)에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제1 걸름망(144)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걸름망(144)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일정 간격으로 제1 배수구멍(145)이 형성되며,
    상기 제2 받침부(142)에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제2 걸름망(146)이 설치되고, 상기 제2 걸름망(146)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일정 간격으로 제2 배수구멍(146)이 형성되며,
    상기 제3 받침부(143)에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상기 제3 걸름망(148)이 설치되고, 상기 제3 걸름망(148)에는 이물질을 걸러주도록 일정 간격으로 제3 배수구멍(14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배수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수구멍(145)은 상기 제2 배수구멍(147)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배수구멍(147)은 상기 제3 배수구멍(149)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제3 배수구멍(149)은 상기 제2 배수구멍(147)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배수구멍(145, 147, 149)의 크기는 제1 배수구멍(145) > 제2 배수구멍(147) > 제3 배수구멍(149)을 순차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각각 걸름망(144, 146, 148)에서 크기가 다른 이물질을 걸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의 배수구조.
KR2020200004473U 2020-12-07 2020-12-07 정수기의 배수구조 KR2004944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473U KR200494403Y1 (ko) 2020-12-07 2020-12-07 정수기의 배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4473U KR200494403Y1 (ko) 2020-12-07 2020-12-07 정수기의 배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4403Y1 true KR200494403Y1 (ko) 2021-10-06

Family

ID=78076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4473U KR200494403Y1 (ko) 2020-12-07 2020-12-07 정수기의 배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4403Y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9831U (ja) * 1996-04-04 1996-10-11 株式会社シイエヌケイ 切りくずを含むクーラントの処理装置
KR970000365A (ko) * 1995-06-10 1997-01-21 이원철 승합차용 인젝터 이상유무 검사 및 초음파 크리너(cleaner)장비
KR200146194Y1 (ko) * 1996-12-04 1999-06-15 강경호 세척액 포집장치
US20090218367A1 (en) * 2008-02-28 2009-09-03 Lancer Partnership,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 drip tray screen
KR20110004384U (ko) 2009-10-28 2011-05-04 김희동 정수기
KR20110005255U (ko) 2009-11-20 2011-05-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배수 장치
KR20190001084U (ko) 2019-04-17 2019-05-08 이중호 정수기 물받이 거름망
CN209060640U (zh) * 2018-10-24 2019-07-05 长江水利委员会长江科学院 一种方便高效的多级抽滤装置
KR20190083740A (ko) * 2018-01-05 2019-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365A (ko) * 1995-06-10 1997-01-21 이원철 승합차용 인젝터 이상유무 검사 및 초음파 크리너(cleaner)장비
JP3029831U (ja) * 1996-04-04 1996-10-11 株式会社シイエヌケイ 切りくずを含むクーラントの処理装置
KR200146194Y1 (ko) * 1996-12-04 1999-06-15 강경호 세척액 포집장치
US20090218367A1 (en) * 2008-02-28 2009-09-03 Lancer Partnership,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 drip tray screen
KR20110004384U (ko) 2009-10-28 2011-05-04 김희동 정수기
KR20110005255U (ko) 2009-11-20 2011-05-26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수기용 배수 장치
KR20190083740A (ko) * 2018-01-05 2019-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CN209060640U (zh) * 2018-10-24 2019-07-05 长江水利委员会长江科学院 一种方便高效的多级抽滤装置
KR20190001084U (ko) 2019-04-17 2019-05-08 이중호 정수기 물받이 거름망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029831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915B1 (ko) 수질 정화 장치
KR20190083289A (ko) 합류식 하수관거 월류수의 부유물질 제거를 위한 여과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JPH1094708A (ja) 配水器の廃水受け装置
KR200494403Y1 (ko) 정수기의 배수구조
KR20100121458A (ko) 정수기의 자가세정방법
EA026342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содержащее гравитационный фильтр
KR200222527Y1 (ko) 다단의 여과층이 구비된 오폐수 여과장치
CN109650587A (zh) 一种多级沉降园林污水再生***
KR102237734B1 (ko) 다단계 해수여과 및 살균 정수장치
KR20090098581A (ko) 원터치 착탈식 어댑터
KR100824310B1 (ko) 고형물 여과장치
JP2004167404A (ja) 浄水器
WO2015136902A1 (ja) 水処理装置
KR200327658Y1 (ko) 정수기의 물받이 구조
KR200257125Y1 (ko) 물탱크의 정수장치
KR200225625Y1 (ko) 오수 여과장치
KR101586319B1 (ko) 플러싱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방법
JP2016104463A (ja) 水処理装置
JP2004016967A (ja) 浄水器及びその洗浄方法
WO2004045742A1 (en) Water filter and a method of water purification, backwashing and rinsing
US20220387909A1 (en) Water purification housing and rain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US20170071172A1 (en) Novel sump filtration system for aquarium tanks
CZ35043U1 (cs) Zařízení k biologickému a mechanickému čištění vody či jiné kapaliny ve sběrné nádrži
JP6617282B2 (ja) 水処理装置
KR20030059774A (ko) 간이 상수도용 물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