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798Y1 -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 - Google Patents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798Y1
KR200493798Y1 KR2020190004038U KR20190004038U KR200493798Y1 KR 200493798 Y1 KR200493798 Y1 KR 200493798Y1 KR 2020190004038 U KR2020190004038 U KR 2020190004038U KR 20190004038 U KR20190004038 U KR 20190004038U KR 200493798 Y1 KR200493798 Y1 KR 2004937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and
car seat
cap par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40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798U (ko
Inventor
임소영
Original Assignee
임소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소영 filed Critical 임소영
Priority to KR20201900040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798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7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7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7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79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001Knee, leg or head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48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022/008Belts; Fixing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pregnant u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자의 머리가 수용되는 캡부가 존재하고, 상기 캡부가 좌측에 위치하는 제1 캡부, 우측에 위치하는 제2 캡부 및 상기 캡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움직이는 지퍼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상기 캡부는 상기 지퍼의 위치를 기초로 i) 상기 제1 캡부 및 상기 제2 캡부가 결합된 제1 상태, ii) 상기 제1 캡부와 상기 제2 캡부가 분리된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고 할 때, 상기 캡부; 상기 캡부의 하단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사이즈 조절부; 및 상기 캡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캡부를 카시트와 연결하도록 형성된 수평고정부를 포함하는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HEAD SUPPORT FOR CAR SEAT}
본 고안은 사용자의 머리가 수용되는 캡부가 존재하고, 상기 캡부가 좌측에 위치하는 제1 캡부, 우측에 위치하는 제2 캡부 및 상기 캡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움직이는 지퍼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상기 캡부는 상기 지퍼의 위치를 기초로 i) 상기 제1 캡부 및 상기 제2 캡부가 결합된 제1 상태, ii) 상기 제1 캡부와 상기 제2 캡부가 분리된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고 할 때, 상기 캡부; 상기 캡부의 하단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사이즈 조절부; 및 상기 캡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캡부를 카시트와 연결하도록 형성된 수평고정부를 포함하는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뇌는 컴퓨터의 모든 주변기기를 제어하는 CPU와 같은 역할을 하므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필요가 있다. 특히, 신생아, 유아, 어린이 등(이하 '아동'으로 통칭함)은 어른에 비해 뇌의 발달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미성숙하여 조그마한 충격에도 큰 손상을 받을 위험이 있다.
특히, 아동이 차량과 같은 움직이는 수단에 탑승했을 경우, 장시간동안 아동을 관찰할 수 없고 아동은 혼자 돌아다니려고 하거나 카시트를 벗어나려고 안간힘을 쓰는 경우가 있다. 또한, 아동이 차량에서 수면을 취할 경우, 머리가 상하좌우로 심하게 흔들리는 경우가 있어 차량내에서 아동들의 머리를 보호하는 카시트 머리 고정 밴드 또는 헤드 서포트 등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카시트 머리 고정 밴드 또는 헤드 서포트는 차량이 흔들리거나 급정지시 밴드가 아이의 목을 졸라 질식 사고사의 위험이 존재하였고, 수면시 수면높이가 맞지 않는 경우 밴드와 머리 사이가 뜨게 되어 머리 흔들림이 발생하고, 머리가 뒤로 꺽이는 현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아동이 수면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아동이 머리를 움직일 수가 없어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를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공개실용 제2015-0000977호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차량과 같은 이동수단에 아동이 탑승했을 경우, 카시트에 앉은 아동이 수면시 목이 꺽이고 머리가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머리를 고정시키는 밴드가 흘러내려 아동의 목을 졸리게 하는 위험을 방지하며, 아동이 느끼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카시트 형태에 관계없이 제품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평소에는 아동을 위한 목베개로 활용하다가, 아동의 수면시에는 캡모양의 머리 받침대로 활용되도록 하여 아동들이 거부감없이 사용가능 하도록 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는, 사용자의 머리가 수용되는 캡부가 존재하고, 상기 캡부가 좌측에 위치하는 제1 캡부, 우측에 위치하는 제2 캡부 및 상기 캡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움직이는 지퍼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상기 캡부는 상기 지퍼의 위치를 기초로 i) 상기 제1 캡부 및 상기 제2 캡부가 결합된 제1 상태, ii) 상기 제1 캡부와 상기 제2 캡부가 분리된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고 할 때, 상기 캡부; 상기 캡부의 하단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사이즈 조절부; 및 상기 캡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캡부를 카시트와 연결하도록 형성된 수평고정부를 포함하는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차량과 같은 이동수단에 아동이 탑승했을 경우, 카시트에 앉은 아동이 수면시 목이 꺽이고 머리가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고 머리를 고정시키는 밴드가 흘러내려 아동의 목을 졸리게 하는 위험(ex 질식사고)을 방지하며, 아동이 느끼는 불편함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카시트 형태에 관계없이 제품 장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평소에는 아동을 위한 목베개로 활용하다가, 아동의 수면시에는 캡모양의 머리 받침대로 활용되도록 하여 아동들이 거부감없이 사용가능 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퍼가 열린 상태에 해당하는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의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고정부에 포함된 체결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버부 및 얼굴고정부를 포함하는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본 고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하거나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지퍼가 열린 상태에 해당하는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의한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는 아동이 차량내의 카시트에서 앉아 수면시 목이 꺽이거나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하거나, 비수면시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는 사용자의 머리가 수용되는 캡부(100), 캡부(100)의 하단 테두리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사이즈 조절부(200) 및 캡부(100)의 측면에 형성되어 캡부(100)를 카시트와 연결하도록 형성된 수평고정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는 수직고정부(400), 커버부(500), 얼굴 고정부(600)도 포함할 수 있다.
우선, 캡부(100)는 좌측에 위치하는 제1 캡부(120), 우측에 위치하는 제2 캡부(130) 및 캡부(100)의 중앙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움직이는 지퍼(110)를 포함한다.
참고로, 캡부(100)는 포함된 지퍼(110)의 위치를 기초로 제1 캡부(120) 및 제2 캡부(130)가 결합된 제1 상태 또는 제1 캡부(120)와 제2 캡부(130)가 분리된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상기 제1 캡부(120)와 제2 캡부(130)가 분리된 제2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제1 캡부(120)와 상기 제2 캡부(130)의 분리 정도(ex 10%이상, 50% 이상 등)가 어느 정도되어야 상기 제2 상태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대개, 캡부(100)는 아동이 수면시 등 머리를 고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제1 캡부(120) 및 제2 캡부(130)가 결합된 제1 상태, 즉 지퍼(110)가 폐쇄된 상태로 되어 Cap 형태의 머리 받침대로서 아동의 머리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아동이 어느정도 자유롭게 움직이는 비수면시에는 제1 캡부(120) 및 제2 캡부(130)가 분리된 제2 상태, 즉 지퍼(110)가 오픈된 상태가 되어 아동이 움직이는데 불편함을 느끼게 하지 않을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2 상태의 경우에도 일반 머리 받침대로서 아동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캡부(100)는 아동의 머리가 수용되는 부분으로 아동의 머리가 손상되지 않고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고, 캡부(100)의 내면이 아동 두피에 닿았을 때 상처를 주지 않아야한다. 이를 위해 통기성이 좋으면서도 부드럽고 가벼운 천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캡부(100)의 상단 중앙에 위치하는 지퍼(110)를 개폐 시 지퍼 하단에 천을 덧대어 아이의 머리카락이 끼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지퍼(110)는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수직고정부(400)가 캡부(100)에 고정된 위치까지 오픈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지퍼(110)가 오픈된 경우, 상기 제1 캡부(120) 및 제2 캡부(130)는 분리될 수 있고, 각각은 분리된 상태로 카시트에 고정되어 일반 머리 받침대(반대로, 제1 캡부(120) 및 제2 캡부(130)가 결합된 제1 상태의 경우에는 CAP 형태의 머리 받침대에 해당)로서 아동의 머리를 보호하고 머리가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지퍼(110)가 닫힌 제1 상태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캡부(100)의 하단이 아동의 눈썹 위에 위치하도록 캡부(100)의 가장자리를 접어 올릴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장자리는 사이즈 조절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이즈 조절부(200)는 캡부(100) 하단의 테두리부에 형성되고,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이즈 조절부(200)는 캡부(100)와 아동의 머리가 밀착될 수 있도록 하고, 캡 하단 테두리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1 밴드부(210) 및 제1 밴드부(210)의 양끝단에 걸림홈부(220)와 걸림돌기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부(230)는 후크 형태일 수 있고, 걸림홈부(2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으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 중 어느 하나의 단에 후크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클립형태 일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형태들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홈부(2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은 제1 단, 제2 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밴드부(210)가 감싸고 있는 캡 하단 테두리의 둘레 길이가 소정 길이보다 작은 경우, 걸림돌기부(230)가 걸림홈부(220)의 제1 단에 걸리도록 하고, 캡 하단 테두리의 둘레 길이가 소정 길이와 같거나 긴 경우, 걸림돌기부(230)가 걸림홈부(220)의 제2 단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걸림홈부(220)가 제1 내지 제3 단을 포함할 수 있다. i) 제1 밴드부(210)가 감싸고 있는 캡 하단 테두리의 둘레 길이가 소정 길이보다 작은 경우, 걸림돌기부(230)가 걸림홈부(220)의 제1 단에 걸리도록 하고, ii) 캡 하단 테두리의 둘레 길이가 소정 길이와 같은 경우, 걸림돌기부(230)가 걸림홈부(220)의 제2 단에 걸리도록 하며, iii) 캡 하단 테두리의 둘레 길이가 소정 길이보다 긴 경우, 걸림돌기부(230)가 걸림홈부(220)의 제3 단에 걸리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아동의 머리 둘레에 따라 걸림돌기부(230)를 걸림홈부(220)에 맞게 결합시킴으로써, 아동의 머리에서 이탈하거나 이동함으로써 아동이 느끼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의 후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고정부에 포함된 체결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수평고정부(300)는 캡부(100)의 양측면에 고정되어 캡부(100)를 카시트와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고정부(300)는 캡부(100)에서 카시트의 안전벨트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제2 밴드부(310) 및 상기 제2 밴드부(310)와 연결되며 제1 삽입홈부(331)와 제1 삽입돌기부(333)로 구성된 체결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밴드부(310)는 카시트의 안전벨트 삽입홈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밴드부(310)는 캡부(100)의 양측면에 존재하는 소정 홈에 고정되어 상기 캡부(100)가 카시트와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체결부(330)에 포함된 제1 삽입돌기부(333) 및 제1 삽입홈부(331)는 카시트의 후면에서 체결되어, 제2 밴드부(310)와 카시트를 견고하게 체결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2 밴드부(310)는 좌측 밴드부(310-1) 및 우측 밴드부(310-2)로 구분될 수 있으며, 상기 좌측 밴드부(310-1) 및 우측 밴드부(310-2) 각각이 상기 캡부(100)의 좌우 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밴드부(310-1)는 좌측 체결부(330-1)와 연결되며, 상기 우측 밴드부(310-2)는 우측 체결부(330-2)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좌측 체결부(330-1) 및 상기 우측 체결부(330-2)는 각각 제1 삽입홈부와 제1 삽입돌기부를 포함하며, 연결중심부(34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부(330)와 연결된 연결중심부(340)는 좌측, 우측, 위측 등의 방향에 해당하는 3개의 제1 삽입홈부(331)와 연결된 상태로, 상기 좌측 밴드부(310-1), 상기 우측 밴드부(310-2), 제3 밴드부(410) 등과 연결된 제1 삽입돌기부(333)와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위 방향의 제1 삽입홈부(331)와 제3 밴드부(410)과 연결되는 제1 삽입돌기부(333)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제1 삽입돌기부(333) 및 제1 삽입홈부(331)가 체결된 모습을 나타낸 것이며, 카시트의 후면을 나타낸 것이다.
머리 보호대를 착용한 아동은 수평고정부(300)에 의해 아동의 머리가 카시트에 밀착 고정됨으로써, 차량내의 크고 작은 진동에도 머리가 보호되고, 보호자가 안심하고 안전하게 운전을 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하나의 제1 삽입돌기부(333), 하나의 제1 삽입홈부(331)만을 나타내었으나, 도 3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연결중심부(340)과 연결된 체결부(330)는 3개(좌, 우, 위 방향)가 존재하고, 각각의 체결부(330)가 제1 삽입돌기부(333), 제1 삽입홈부(33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고정부(400)는 일단이 수평고정부(300)와 연결되고 타단이 캡부(100)의 상단과 연결되어 캡부(100)를 수직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고정부(40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3 밴드부(410) 및 수평고정부(300)와 연결될 수 있는 체결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체결부(430)는 제1 삽입돌기부(333) 및 제1 삽입홈부(331)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카시트의 후면에서 상기 수평고정부(300)와 상기 수직고정부(400)가 연결중심부(340)를 중심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수직고정부(400)에 포함된 제3 밴드부(410)의 일측은 수평고정부(300)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연결되고 다른 측은 캡부(100)의 상단에 고정되어, 캡부(100)가 지나치게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3 밴드부(410)의 길이를 조절하여 높이를 고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차량이 과속 방지턱과 같은 장애물을 통과할 경우 아동의 머리가 상하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동의 머리 높이에 맞춘 높이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버부 및 얼굴고정부를 포함하는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의 제1 캡부(120) 및 제2 캡부(130) 각각은 측면 및 후면에서 하방으로 수직 연장되고 아동의 얼굴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부(500)를 더 포함함으로써, 아동의 얼굴 측면과 후두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는 캡부(100)의 양측면에 고정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얼굴 고정부(600)를 더 포함함으로써, 아동의 머리가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캡부
110 : 지퍼
120 : 제1 캡부
130 : 제2 캡부
200 : 사이즈 조절부
210 : 제1 밴드부
220 : 걸림홈부
230 : 걸림돌기부
300 : 수평고정부
310 : 제2 밴드부
330 : 체결부
331 : 제1 삽입홈부
333 : 제1 삽입돌기부
400 : 수직고정부
410 : 제3 밴드부
430 : 체결부
500 : 커버부
600 : 얼굴 고정부

Claims (5)

  1. 사용자의 머리가 수용되는 캡부가 존재하고, 상기 캡부가 좌측에 위치하는 제1 캡부, 우측에 위치하는 제2 캡부 및 상기 캡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움직이는 지퍼를 포함하는 상태에서,
    상기 캡부는 상기 지퍼의 위치를 기초로 i) 상기 제1 캡부 및 상기 제2 캡부가 결합된 제1 상태, ii) 상기 제1 캡부와 상기 제2 캡부가 분리된 제2 상태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한다고 할 때,
    상기 캡부;
    상기 캡부의 하단 테두리에 형성되고, 상기 사용자의 머리 크기에 따라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사이즈 조절부; 및
    상기 캡부의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캡부를 카시트와 연결하도록 형성된 수평고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고정부는 상기 캡부에서 상기 카시트의 안전벨트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제2 밴드부; 및 상기 제2 밴드부와 연결되며 제1 삽입홈부와 제1 삽입돌기부로 구성된 체결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밴드부는 상기 사용자의 머리 둘레에 기초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삽입돌기부 및 제1 삽입홈부는 상기 카시트의 후면에서 체결되며,
    일단이 상기 수평고정부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캡부의 상단과 연결되어 상기 캡부를 수직방향으로 고정하는 수직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고정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제3 밴드부; 및 상기 수평고정부와 연결되도록 지원하는 제1 체결부로 구성되되,
    상기 제3 밴드부는 상기 카시트의 후면에서 상기 캡부의 상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체결부는 연결중심부의 위측 방향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중심부는 좌측 방향으로 제2 체결부를 통해 상기 제2 밴드부 중 좌측 밴드부와 연결되며, 우측 방향으로 제3 체결부를 통해 상기 제2 밴드부 중 우측 밴드부와 연결되고,
    상기 수직고정부가 상기 캡부에 고정된 위치까지 상기 지퍼가 오픈가능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캡부 및 상기 제2 캡부 각각은 분리된 상태로 상기 카시트에 고정되어 머리 받침대로서 상기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하는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즈 조절부가 상기 캡 하단 테두리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 제1 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밴드부의 양 끝단에 걸림홈부와 걸림돌기부가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은 제1 단, 제2 단을 포함한다고 할 때,
    i) 상기 제1 밴드부가 감싸고 있는 상기 캡 하단 테두리의 둘레 길이가 소정 길이보다 작은 경우, 상기 걸림돌기부가 상기 걸림홈부의 상기 제1 단에 걸리도록 하고, ii) 상기 캡 하단 테두리의 둘레 길이가 상기 소정 길이와 같거나 긴 경우, 상기 걸림돌기부가 상기 걸림홈부의 상기 제2 단에 걸리도록 하는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캡부 각각은 측면 및 후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얼굴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 커버부를 더 포함하는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
KR2020190004038U 2019-10-02 2019-10-02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 KR2004937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038U KR200493798Y1 (ko) 2019-10-02 2019-10-02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4038U KR200493798Y1 (ko) 2019-10-02 2019-10-02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798U KR20210000798U (ko) 2021-04-12
KR200493798Y1 true KR200493798Y1 (ko) 2021-06-04

Family

ID=75464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4038U KR200493798Y1 (ko) 2019-10-02 2019-10-02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798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720B1 (ko) * 2004-10-04 2006-07-03 유효상 썬캡 겸용 모자
WO2007131565A1 (de) * 2006-05-17 2007-11-22 M1 Project Ltd. Fahrzeugkindersicherheitssitz sowie helm für einen fahrzeugkindersicherheitssitz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7045B1 (en) * 2011-02-25 2012-10-16 Donohue Thomas P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child seat
KR102152750B1 (ko) 2013-06-26 2020-09-07 (주)아모레퍼시픽 장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720B1 (ko) * 2004-10-04 2006-07-03 유효상 썬캡 겸용 모자
WO2007131565A1 (de) * 2006-05-17 2007-11-22 M1 Project Ltd. Fahrzeugkindersicherheitssitz sowie helm für einen fahrzeugkindersicherheitssitz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798U (ko) 202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7045B1 (en)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child seat
US9186276B2 (en) Travel sleep mask apparatus to support the head of a user
US8726419B2 (en) Head and neck stabilizer for travel
US6386639B1 (en) Baby support
US4776049A (en) Head support
CA2977254C (en) Headgear with self-adaptive, elastomeric nape belt
KR101812529B1 (ko) 힙시트 겸용 아기띠
US20070062989A1 (en) Sling type baby holding carrier
US20130088063A1 (en) Child Neck Support Apparatus for Seats
FI126421B (en) Headband for improved travel comfort and safety
US20180295917A1 (en) Covered Head Support
US20130146723A1 (en) Head supporting apparatus
KR200493798Y1 (ko) 카시트용 머리 받침대
US9168177B2 (en) Slip-over light blocking sleep mask
KR20140005410U (ko) 헤드쿠션과 넥쿠션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아기용 베개.
CN213940357U (zh) 支撑结构及儿童载具
US6263515B1 (en) Protective headwear for a child
GB2389509A (en) A head restraint
KR20140003967U (ko) 수면안대
US10071658B2 (en) Disengagable head restraint apparatus
KR102452823B1 (ko) 휴대용 유아 보호장구
KR100603534B1 (ko) 수면안대
KR20100003971U (ko) 턱 고정이 용이한 마스크
KR200362003Y1 (ko) 일체형 유아 보호용구
KR101791359B1 (ko) 머리보호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