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982Y1 - 저장 용기 - Google Patents

저장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982Y1
KR200492982Y1 KR2020160005579U KR20160005579U KR200492982Y1 KR 200492982 Y1 KR200492982 Y1 KR 200492982Y1 KR 2020160005579 U KR2020160005579 U KR 2020160005579U KR 20160005579 U KR20160005579 U KR 20160005579U KR 200492982 Y1 KR200492982 Y1 KR 2004929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inner container
outer container
storag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5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924U (ko
Inventor
임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빙그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빙그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빙그레
Priority to KR2020160005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982Y1/ko
Priority to CN201720105154.6U priority patent/CN206552559U/zh
Publication of KR201800009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9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9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9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B65D81/38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formed with double walls, i.e. hol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246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provided with eating utensils or spatul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저장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으로 개방형성된 내부 용기 개구의 외주면에서 외부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단부를 가지며, 저장물을 수용하는 내부 용기; 상측으로 개방형성된 외부 용기 개구의 내주면이 상기 내부 용기의 상기 연장단부와 대면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 용기를 수용하는 외부 용기; 및 상기 내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부는, 상기 내부 용기의 상기 연장단부를 통해,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 사이가 밀폐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장 용기{Storage Vessel}
본 고안은 저장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물 또는 음용물을 저장하는 저장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장 용기는 액체를 담는 그릇으로, 내용물을 담을 수 있는 저장공간과 저장된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캡으로 되어 있다. 재질은 유리, 합성수지, 금속 및 비금속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되어, 내용물을 저장하거나 보관하는 용도로 많이 사용되지만 외부 열 영향을 받아 대기 중에서 보온과 보냉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냉, 온수 등을 담아 장시간 보관하면서 내용물의 온도를 유지하는 저장 용기로는 보온병이 알려져있다.
보온병은 병의 외 표면을 매질 전달 양이 희박해지도록 매질을 줄인 진공 챔버를 구성한 것으로써, 보온병에 액상의 내용물을 담아 보관하면, 매질이 희박해진 진공 챔버에 의해 온도 전달을 줄여 몸체에 보관된 내용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게 된다.
또한, 내부 몸체와 외부 몸체 사이에 진공 챔버를 형성한 이중 용기로 구성된 보온병도 널리 알려져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보온병들은 실링제의 수축 팽창으로 인해 장기간 밀폐상태를 보장하기 어렵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 단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소량의 음식물 즉, 예를들어 일정량의 아이스크림을 보관하기에는 판매 단가의 수익을 실현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온 보냉의 효과가 극대화되고 제작능률이 향상되며 위생이 뛰어난 저장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저장 용기는, 상측으로 개방형성된 내부 용기 개구의 외주면에서 외부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단부를 가지며, 저장물을 수용하는 내부 용기; 상측으로 개방형성된 외부 용기 개구의 내주면이 상기 내부 용기의 상기 연장단부와 대면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 용기를 수용하는 외부 용기; 및 상기 내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열부는, 상기 내부 용기의 상기 연장단부를 통해,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 사이가 밀폐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장단부는, 상기 내부 용기 개구가 상측으로 개방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용기는, 하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용기는, 하면에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삽입부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용기는, 상기 내부 용기와의 이격을 고정시키기 위해, 내부에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내부 용기의 외면과 맞닿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외부 용기의 내부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용기는, 상기 내부 용기 개구에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용기는, 상기 내부 용기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 용기 개구와 상기 외부 용기 개구를 덮도록 형성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캡은, 상기 내부 용기 개구 및 상기 외부 용기 개구와 맞닿는 부분에 숟가락을 수용하는 숟가락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열부는, 열을 차단하는 매질이 진공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저장 용기는, 내부용기에 형성되는 연장단부가 외부 용기 개구의 내주면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단열부를 매우 간단하게 형성시킬 수 있어 대량 생산이 용이해지고 그에 따라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저장 용기는,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 사이에 에어 포켓이 형성되어 저장물에 대한 보온 보냉 효과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저장 용기는,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 사이에 에어 포켓을 갖추고 있어, 별도의 단열장치 없이도 보온 보냉이 이루어질 수 있어 용기의 경량화를 이루어낼 수 있고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저장 용기는,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가 서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대량 생산이 용이해져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저장 용기는, 외부 용기와 내부 용기가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사용상 세척이 용이해져 위생능력이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외부 용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외부 용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내부 용기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내부 용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캡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캡에 대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캡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가 조립된 후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가 조립된 후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조립도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외부 용기에 대한 사시도 및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내부 용기에 대한 사시도 및 측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캡에 대한 사시도, 측면도, 저면도이며, 도 9 및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가 조립된 후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고, 도 1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조립도이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1)는, 캡(10), 외부 용기(20), 내부 용기(30) 및 단열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저장용기(1)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를 말하며, 일례로 아이스크림을 저장하는 용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로 하여 저장용기(1)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캡(10)은, 내부 용기 개구(35)와 외부 용기 개구(25)를 덮도록 형성되며, 내부 용기(30)에 저장된 저장물이 외부로부터 밀폐되도록 한다.(도 6 내지 도 8 참조)
구체적으로, 캡(10)은, 캡 몸체(11), 캡 몸체(11)에서 하방으로 비스듬하게 측면으로 연장형성되는 캡 차양(12) 및 숟가락(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는 숟가락 수용부(1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용기(20)와 내부 용기(30)의 상측과 결합하여 내부 용기(30)에 수용된 저장물을 밀폐시킬 수 있다.
외부 용기(20)는, 상측으로 개방형성된 외부 용기 개구(25)의 내주면이 내부용기 연장단부(31)와 대면하도록 형성되며, 내부 용기(30)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외부 용기(2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2 및 도 3을 집중적으로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외부 용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외부 용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외부 용기(20)는, 내부에 내부 용기(30)를 수용하는 수용공간(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존재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 용기(30)가 탈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본 고안에 따른 저장 용기(1)는, 외부 용기(20)와 내부 용기(30)가 서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대량 생산이 용이해져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고, 사용상 세척이 용이해져 위생능력이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여기서 외부 용기(20)는, 외부용기 연장단부(21), 외부 용기 몸체(22), 외부 용기 고정부(23), 삽입부(24) 및 외부 용기 개구(25)를 가질 수 있다.
외부용기 연장단부(21)는, 외부 용기 개구(25)의 외주면에서 외부 용기 개구(25)가 상측으로 개방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캡(10)의 하면과 맞닿도록 조립될 수 있다.
외부 용기 몸체(22)는, 외부 용기(20)의 전체적인 형상을 결정지으며, 상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용기 몸체(22)의 상측에는 외부 용기 개구(25)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삽입부(24)가 구비되며 중앙의 내측면 모서리에는 외부용기 고정부(23)들이 형성될 수 있다.
외부용기 고정부(23)는, 내부 용기(30)와의 이격을 고정하기 위해, 내부에서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내부 용기(30)의 몸체(33)와 맞닿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외부 용기 고정부(23)는, 내부 모서리(부호 도시하지 않음)에서 수용공간 방향으로 돌출되며, 반달형상으로 복수 개 제작될 수 있고, 반달형상의 원호부분이 내부 용기(30)의 내부 용기 몸체(33)와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4)는, 외부 용기(20)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4)는, 후술할 내부 용기(30)의 수용부(34)와 결합함으로써, 외부 용기(20)와 내부 용기(3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24)와 수용부(34)는, 외부 용기 고정부(23)와 함께 단열부(40)가 항상 일정한 체적을 형성하도록 내부 용기(30)와 외부 용기(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외부 용기 개구(25)는, 수용공간에서부터 상측으로 개방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 용기(30)를 수용공간으로 인입하도록 할 수 있다.
내부 용기(30)는, 상측으로 개방형성된 내부 용기 개구(35)의 외주면에서 외부로 연장형성되는 내부용기 연장단부(31)를 가지며, 저장물을 수용한다.
이하에서는 내부 용기(3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도 4 및 도 5를 집중적으로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외부 용기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외부 용기에 대한 측면도이다.
내부 용기(3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존재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부 용기(20)와 탈부착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용기(30)는, 내부용기 연장단부(31), 내부 용기 몸체(32), 내부 용기 고정부(33), 수용부(34) 및 내부 용기 개구(35)를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본 고안에 따른 저장 용기(1)는, 외부 용기(20)와 내부 용기(30)가 서로 분리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대량 생산이 용이해져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고, 사용상 세척이 용이해져 위생능력이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내부용기 연장단부(31)는, 내부 용기 개구(35)의 외주면에서 내부 용기 개구(35)가 상측으로 개방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캡(10)의 하면과 맞닿도록 조립될 수 있다.
내부용기 연장단부(31)는, 외부 용기 개구(25)의 내주면과 맞닿도록 형성되어 후술할 단열부(40)가 형성되도록 내부 용기(30)와 외부 용기(20) 사이의 이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본 고안은, 단열부(40)를 매우 간단하게 형성시킬 수 있어 대량 생산이 용이해지고 그에 따라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내부 용기 몸체(32)는, 내부 용기(30)의 전체적인 형상을 결정지으며, 상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내부 용기 개구(35)에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본 고안은, 내부 용기(30)가 내부 용기 개구(35)에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단열부(40)의 면적을 용이하게 확보하고 단열부(40)의 생성을 매우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내부 용기 몸체(32)는, 상측에 내부 용기 개구(35)가 구비되고, 하측에는 수용부(35)가 구비되며 중앙의 내측면 모서리에는 내부용기 고정부(33)들이 형성될 수 있다.
내부용기 고정부(33)는, 내부 모서리(부호 도시하지 않음)에서 저장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인 내측의 방향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반달형상으로 복수 개 제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부 용기(30)의 생산과정에서 내부 용기(30)들 간의 적층시 내부 용기(30)들 간의 분리가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수용부(34)는, 내부 용기(30)의 하면에 배치되어 상측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 용기(20)의 삽입부(24)의 돌출길이보다 더 적게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34)는, 외부 용기(20)의 삽입부(24)를 적어도 일부 수용할 수 있으며, 삽입부(24)와의 결합으로 외부 용기(20)가 내부 용기(3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24)와 수용부(34)는, 단열부(40)가 항상 일정한 체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 용기(20)와 외부 용기(30)를 고정시킬 수 있으며, 외부 용기 고정부(23)에서 구현하는 고정력에 추가로 고정력을 발현할 수 있다.
내부 용기 개구(35)는, 수용공간에서 상측으로 개방형성될 수 있으며, 저장물을 수용공간에 인입하도록 할 수 있다.
단열부(40)는, 내부 용기(30)의 내부용기 연장단부(31)를 통해 외부 용기(20)와 내부 용기(30)가 이격됨과 동시에 외부 용기(20)와 내부 용기(30) 사이가 밀폐됨으로써 형성된다. 여기서 단열부(40)는, 열을 차단하는 매질로 진공일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고안은, 외부 용기(20)와 내부 용기(30) 사이에 단열부(40; 에어 포켓)가 형성되어 저장물에 대한 보온 보냉 효과가 극대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저장 용기(1)는, 단열부(40)를 통해서 별도의 단열장치 없이도 보온 보냉이 이루어질 수 있어 저장 용기(1)의 경량화를 이루어낼 수 있고 제작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저장 용기 10: 캡
11: 캡 몸체 12: 캡 차양
13: 숟가락 수용부 20: 외부 용기
21: 외부 용기 연장 단부 22: 외부 용기 몸체
23: 외부 용기 고정부 24: 삽입부
25: 외부 용기 개구 30: 내부 용기
31: 내부 용기 연장 단부 32: 내부 용기 몸체
33: 내부 용기 고정부 34: 수용부
35: 내부 용기 개구 40: 단열부

Claims (11)

  1. 상측으로 개방형성된 내부 용기 개구의 외주면에서 외부로 연장형성되는 연장단부를 가지며, 저장물을 수용하는 내부 용기; 및
    상측으로 개방형성된 외부 용기 개구의 내주면이 상기 내부 용기의 상기 연장단부와 대면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 용기를 수용하는 외부 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용기는,
    외부 용기 몸체의 외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면서 함몰되어 상기 외부 용기 몸체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외부 용기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용기는,
    내부 용기 몸체의 외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면서 함몰되어 상기 내부 용기 몸체의 내부 공간으로 돌출되며, 상기 다수의 외부 용기 고정부에 대응되는 다수의 내부 용기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 용기 고정부와 상기 내부 용기 고정부는,
    끼움 결합되되, 상기 외부 용기 고정부의 돌출 길이가 상기 내부 용기 고정부의 함몰 길이보다 길고,
    상기 외부 용기 고정부와 상기 내부 용기 고정부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외부 용기 또는 상기 내부 용기의 생산과정에서 상기 외부 용기 또는 상기 내부 용기들 간의 적층시 상부 용기와 하부 용기 사이를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단부는,
    상기 내부 용기 개구가 상측으로 개방된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는,
    하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는,
    하면에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외부 용기의 상기 삽입부를 적어도 일부 수용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와 상기 외부 용기 사이에 마련되는 단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열부는,
    상기 내부 용기의 상기 연장단부를 통해,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외부 용기와 상기 내부 용기 사이가 밀폐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 고정부 또는 상기 내부 용기 고정부는,
    상기 외부 용기 또는 상기 내부 용기의 내부 모서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는,
    상기 내부 용기 개구에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용기는,
    상기 내부 용기와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용기 개구와 상기 외부 용기 개구를 덮도록 형성되는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내부 용기 개구 및 상기 외부 용기 개구와 맞닿는 부분에 숟가락을 수용하는 숟가락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부는,
    열을 차단하는 매질이 진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 용기.
KR2020160005579U 2016-09-26 2016-09-26 저장 용기 KR2004929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579U KR200492982Y1 (ko) 2016-09-26 2016-09-26 저장 용기
CN201720105154.6U CN206552559U (zh) 2016-09-26 2017-01-25 储存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579U KR200492982Y1 (ko) 2016-09-26 2016-09-26 저장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924U KR20180000924U (ko) 2018-04-04
KR200492982Y1 true KR200492982Y1 (ko) 2021-01-13

Family

ID=60010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579U KR200492982Y1 (ko) 2016-09-26 2016-09-26 저장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92982Y1 (ko)
CN (1) CN206552559U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0130A (ja) * 2011-10-21 2013-05-23 Ryo Kanazawa 飲料用多重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7021Y2 (ja) * 1990-07-10 1996-11-13 日本酸素株式会社 合成樹脂製真空断熱容器
JP2656433B2 (ja) * 1993-02-26 1997-09-24 日プラ株式会社 容器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00130A (ja) * 2011-10-21 2013-05-23 Ryo Kanazawa 飲料用多重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6552559U (zh) 2017-10-13
KR20180000924U (ko)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2252B2 (en) Insulating holder with elastomer foam material
US6415624B1 (en) Drinking bottle having a separate thermally regulating container
US20180362221A1 (en) Insulated Container
US20170367536A1 (en) Stainless steel food service vessels
US4287943A (en) Heat insulating box
CA2406250C (en) Food container having separable refrigerant section
US20200223603A1 (en) Food jar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JP2019038560A (ja) 断熱容器
KR200492982Y1 (ko) 저장 용기
US20070277546A1 (en) Temperature controlled shipping container
KR101562649B1 (ko) 이중 구조의 용기
KR101613908B1 (ko) 음료 용기용 뚜껑
KR101295227B1 (ko) 결로방지용 결합용기
KR100704554B1 (ko) 김치냉장고용 김치 보관 비닐팩
JP2004138274A (ja) 飲料・食糧を収納する容器を加熱または冷却するための付加ケース
KR101156576B1 (ko) 기능성 도시락
JP2001048244A (ja) 筒状保冷具
WO2017173002A1 (en) Hot or cold storage container for perishables
US20170325607A1 (en) Beverage container with self-regulating thermal control member
KR102637986B1 (ko) 냉각 특성이 향상된 컵
JP3050770U (ja) 保冷用飲料容器
KR20190057680A (ko) 팩 음료 보관 보냉용기
JP6046387B2 (ja) 飲料容器
US20170073144A1 (en) Container apparatus for storing and combining materials
KR200175261Y1 (ko) 음식물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