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943Y1 - 이중 브리지 접속부를 구비하는 단일층 투영형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 - Google Patents

이중 브리지 접속부를 구비하는 단일층 투영형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943Y1
KR200492943Y1 KR2020190003507U KR20190003507U KR200492943Y1 KR 200492943 Y1 KR200492943 Y1 KR 200492943Y1 KR 2020190003507 U KR2020190003507 U KR 2020190003507U KR 20190003507 U KR20190003507 U KR 20190003507U KR 200492943 Y1 KR200492943 Y1 KR 2004929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connection
signal
electrode
sens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5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치앙 파이
멍-쿠에이 린
친-퐁 린
치우-원 천
Original Assignee
영 패스트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 패스트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영 패스트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Priority to KR20201900035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9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9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9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08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4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 H01B1/127Intrinsically conductive polymers comprising five-membered aromatic rings in the main chain, e.g. polypyrroles, polythiophe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7Shielding in digitiser, i.e. guard or shielding arrangements, mostly for capacitive touchscreens, e.g. driven shields, driven groun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중 브리지 접속부를 구비하는 단일층 투영형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를 제공하며, 상기 터치 센서는 복수 개의 감지 어레이를 포함하고, 각 감지 어레이는 하나의 공용 감지 전극 및 복수개의 구동 전극을 구비하고, 수량이 많은 상기와 같은 구동 전극은 2개 그룹으로 나뉘며 각각 전극 연결선을 통해 테두리부에 설치되는 2개의 브리지 접속부 내의 전기 단자에 연결되고, 각 브리지 접속부에는 절연막이 커버되어 설치되고, 절연막 상에서 상기와 같은 전기 단자에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이 개설되고, 구동 전극 신호 도선은 상기와 같은 관통공을 통해 상기 터치 센서 상의 각 감지 어레이의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는 구동 전극 전기 단자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신호 채널을 직렬로 형성하도록 만들고, 상기와 같은 공용 감지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 도선은 그 중 하나의 브리지 접속부를 통과하고, 상기 신호 채널의 각 구동 전극 신호 도선과 절연 교차 설치되고, 상기와 같은 공용 감지 전극의 전극 연장부는 다른 하나의 브리지 접속부에 연장 설치되고, 상기 신호 채널의 각 구동 전극 신호 도선과 절연 교차 설치된다.

Description

이중 브리지 접속부를 구비하는 단일층 투영형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 {SINGLE LAYER PROJECTION TYPE CAPACITIVE TOUCH SENSOR WITH DOUBLE BRIDGE CONNECTION}
본 고안은 투영형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독립 매트릭스 감지 요소 구조에 이중 브리지 접속부를 구비하는 단일층 투영형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에 관한 것이다.
투영형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는 멀티터치(Multitouch)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다양한 전자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중 독립 매트릭스 감지 요소(Independent-matrix sense elements) 구조의 투영형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는 단일층 도전막 상에 배선된 복수 개의 감지 어레이로 구성되고, 각 감지 어레이는 공용 감지 전극 및 복수 개의 구동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와 같은 감지 전극 및 구동 전극은 각각 하나의 전극 연결선을 통해 전기 단자에 연결되며, 상기와 같은 전기 단자는 터치 패널의 테두리부에 설치되고, 각각 신호 배선(FPC 또는 FFC)에 접속됨으로써, 상기 터치 센서에 의해 캡쳐된 터치 신호를 감지 신호 처리 유닛으로 전송한다.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독립 매트릭스 감지 요소 구조의 구동 전극 및 감지 전극은 모두 단일 전도층에 설치되고, 각 전극은 모두 직접 전극 연결선(CW)을 거쳐 테두리부에 설치된 전기 단자(10’)에 연결되고, 전기 단자(10’) 수량이 많기 때문에 여기에 매칭되어 접속되는 신호 배선 너비 사이즈가 상당히 커질 뿐 아니라, 일부 전기 단자의 접촉 불량을 야기하며 터치 패널이 정상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터치 패널의 테두리 설치 면적을 줄이기 위해, 브리지 접속부 구조를 갖는 독립 매트릭스 감지 요소 구조가 제안되었으며, 상기 브리지 접속부 구조는 주로 각 감지 어레이 상 수량이 많은 감지 전극 및 구동 전극의 전기 단자(10’)를 터치 패널의 일측 테두리부에 분포시켜 설치하고 다시 절연막(20’)을 이용해 상기와 같은 전기 단자(10’) 상에 씌우며, 절연막 상에서 전기 단자에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공(30’)을 개설한 후, 구동 전극의 신호 도선(TX)을 거쳐 상기와 같은 절연막의 관통공(30’)을 통해 각 감지 어레이의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한 구동 전극 전기 단자(10’)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신호 채널(Channel)을 직렬로 형성하며, 이를 통해 신호 배선과 접속 조합되는 전기 단자 수량을 줄이고 터치 패널 테두리부의 신호 도선 배선 수량을 감소시킴으로써, 터치 패널 테두리 너비를 축소시키는 목적을 달성한다. 그러나 전술한 브리지 접속부 구조에서 상기와 같은 감지 전극의 신호 도선(RX) 및 구동 전극의 신호 도선(TX)이 동일 측면의 평면에서 평행하게 분포하며 설치되기 때문에, 전술한 배선 구조의 기술을 대면적 또는 고감도 터치 패널에 응용할 경우, 터치 패널 상에 설치한 대량의 감지 어레이는 감지 전극의 신호 도선(RX) 및 구동 전극의 신호 도선(TX)의 배선 수량을 배가시켜서 테두리 사이즈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없는 문제점에 직면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테두리가 커져 외관이 흉해질 뿐만 아니라, 유효한 터치 조작 면적을 밀어내 터치 감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
전술한 브리지 접속부를 갖는 독립 매트릭스 감지 요소 구조의 결함에 있어서, 이중 브리지 접속부를 갖는 독립 매트릭스 감지 요소 구조가 대면적 터치 패널 응용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추가로 제안되었다. 그 대략적인 구조는 전술한 브리지 접속부를 갖는 독립 매트릭스 감지 요소 구조와 유사하며, 주요 차이점은 터치 패널의 두 대향하는 측면 테두리부에 각각 하나의 브리지 접속부 구조를 설치하고, 터치 감지층 상에 수량이 많은 구동 전극을 두 부분의 구동 전극 그룹으로 나누고, 전극 연결선을 통해 각각을 2개의 브리지 접속부 구조의 전기 단자에 연결한 후, 다시 관통공이 설치된 절연막으로 씌우고 구동 전극의 신호 도선은 각 동일 축선 위치상의 구동 전극 전기 단자를 직렬로 연결해 하나의 신호 채널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구동 전극 신호 도선의 배선 수량을 양측으로 균등하게 분산시켜 테두리의 너비를 감소시키는 목적을 달성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구조의 설치에 따르면 각 감지 어레이의 공용 감지 전극의 신호 도선(PX)이 상기 두 브리지 접속부 중 하나를 통과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브리지 접속부 중 통과하는 신호 도선(RX)은 신호 채널을 직렬 형성하는 데 사용되는 각 구동 전극의 신호 도선(TX)과 절연 교차 설치되어 정전용량 노드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와 같은 구동 전극 신호 도선(TX)이 상기 노드 지점을 통해 상기 통과하는 신호 도선(RX)과 커플링되어 상응하는 노드 정전용량 값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하나의 브리지 접속부 중에는 공용 감지 전극 신호 도선(RX)의 통과가 없어 정전용량 노드 구조가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당연히 상기와 같은 구동 전극 신호 도선(TX) 상에도 노드 정전용량 값이 증가하는 상황이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상기 두 브리지 접속부의 구동 전극 신호 도선(TX) 상을 통과하는 노드 정전용량 값에 상당한 차이가 생기며(도 10에서 도시하는 노드 정전용량 값 분포도 참고), 양자의 충방전 특성 차이가 과도하게 크기 때문에 터치 기능이 저하되고 감지 신호 처리 유닛을 증가시키는 것이 설계상으로 어려워진다.
본 고안은 개선된 이중 브리지 접속부를 구비하는 단일층 투영형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를 제공하며, 상기 터치 센서는 독립 매트릭스 감지 요소 구조를 구비하고, 복수 개의 감지 어레이를 포함하며, 각 감지 어레이는 하나의 공용 감지 전극 및 복수 개의 구동 전극을 구비하고, 수량이 많은 상기와 같은 구동 전극은 2개 그룹으로 나뉘며 각각 전극 연결선을 통해 테두리부에 설치되는 브리지 접속부 내의 2개의 전기 단자에 연결되고, 각 브리지 접속부에는 절연막이 커버되어 설치되고, 상기 절연막 상에서 상기와 같은 전기 단자에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공이 개설되고, 구동 전극 신호 도선은 상기와 같은 관통공을 통해 상기 터치 센서 상의 각 감지 어레이의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는 구동 전극 전기 단자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신호 채널을 직렬로 형성하도록 만들고, 상기와 같은 공용 감지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신호 도선은 전술한 두 브리지 접속부 중 하나를 통과하고, 전술한 신호 채널을 직렬로 형성하는 각 구동 전극 신호 도선과 절연 교차 설치되고, 상기와 같은 공용 감지 전극에 전극 연장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전극 연장부는 다른 하나의 브리지 접속부에 연장 설치되고, 전술한 신호 채널을 직렬로 형성하는 각 구동 전극 신호 도선과 절연 교차 설치되고, 이를 통해 터치 센서 테두리 폭을 축소시키는 목적을 달성하고, 상기 두 브리지 접속부의 구동 전극 신호 도선을 통과하는 노드 정전용량 값의 평형을 구현하는 효과를 이룬다.
이하는 본 고안의 기타 기능 및 기술적 특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의 명세서를 읽은 후 본 고안을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예의 적층 조합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의 부품 분리도이다.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부품 조합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감지 어레이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A 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의 제1 상부 신호 도선과 제1 하부 신호 도선의 노드 정전용량 값 분포도이다.
도 7은 종래의 터치 센서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다른 터치 센서 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종래의 터치 센서 구조의 부품 분리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터치 센서에 있어서 두 브리지 접속부 중의 구동 전극 신호 도선 상의 노드 정전용량 분포도이다.
첨부 도면에서 설명하는 본 고안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는 이중 브리지 접속부를 구비하는 단일층 투영형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이며, 여기에서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을 더욱 명확하고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기 위해 도면 내 각 부분은 상대적인 사이즈에 따라 제도하지 않았으며, 일부 사이즈는 기타 관련 사이즈에 비해 과장되어 있고, 관련 없는 세부 부분 역시 완전하게 제도하지 않음으로써 도면을 간결하게 도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주로 투명한 기저층(1), 투명한 터치 감지층(2), 브리지 접속 절연층(3) 및 신호 도선층(4)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기저층(1)은 고투광율의 투명 박층이고, 유리판 또는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등과 같은 각종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고투광율 박판에서 선택할 수 있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또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박막과 같은 투명 플렉시블 박막을 선택할 수도 있으나, 그 재료의 종류는 상기 실시범위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저층(1) 표면의 둘레 테두리부에 불투광 또는 저투광율의 절연성 재료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테두리(1a)가 설치되고, 상기 불투광 테두리(1a)의 설치를 통해 기저층(1) 상에 중앙부를 형성하는 가시부(11)를 구분 짓고, 둘레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차폐부(12)를 형성하고, 전술한 절연성 물질은 잉크 또는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 등 재료에서 선택할 수 있으나 실시 가능한 재료 범위는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터치 감지층(2)은 고투광율의 전도성 재료로 제작하고, 전술한 투명 전도성 재료는 인듐 주석 산화물, 인듐 아연 산화물, 아연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polyethylene dioxythiophene) 등 재질의 투명 박막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 투명 터치 감지층은 약간 독립 매트릭스 감지 요소(Independent-matrix sense elements) 구조를 나타내며, 제1 방향(즉, Y 축 방향)을 따르고 서로 이격되어 평행 설치되는 복수 개의 감지 어레이(2a) 및 접지열(2b)를 구비하고, 상기와 같은 감지 어레이(2a)는 전술한 가시부(11)의 범위 내에 형성된다. 대면적 터치 센서의 실시태양에 있어서, 상기 독립 매트릭스 감지 요소 구조 중에 복수 개의 감지 어레이(2a)가 포함되고, 각 감지 어레이(2a)는 모두 하나의 공용 감지 전극(Common Sensing Electrode) 및 복수 개의 구동 전극(Driving Electrode)에서 공동으로 구성되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수량이 많은 구동 전극을 상부 구동 전극 그룹 및 하부 구동 전극 그룹으로 분할하여, 그 신호 도선의 배선 수량을 양측 테두리로 균등하게 분산시켜 필요한 배선 공간을 축소하고 테두리의 너비를 감소시키는 목적을 달성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각 감지 어레이(2a)는 복수 개의 제1 상부 감지 전극(21)(즉, 상부 구동 전극 그룹), 복수 개의 제1 하부 감지 전극(24)(즉, 하부 구동 전극 그룹) 및 하나의 제2 감지 전극(27)(즉, 감지 전극)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제1 상부 감지 전극(21), 제1 하부 감지 전극(24)은 모두 짧은 빗살 모양을 가지며, 그 측면에 제2 방향(즉, X 축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복수 개의 구동 도체가 구비되고, 제2 감지 전극(27)은 긴 빗살 모양을 가지며, 그 측면에 제2 방향(즉, X 축 방향)을 따라 연장 설치되는 복수 개의 감지 도체가 구비되고, 제1 상부 감지 전극(21), 제1 하부 감지 전극(24)과 제2 감지 전극(27)은 서로 상호 보완 형상으로 대응 설치된다. 그 외, 각 제1 상부 감지 전극(21)은 전극 연결선(211)을 통해 상부 브리지 접속부(28) 내의 제1 상부 전기 단자(2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제1 하부 감지 전극(24)은 전극 연결선(241)을 통해 하부 브리지 접속부(29) 내의 제1 하부 전기 단자(2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감지 전극(27)의 제1 단(즉, 상단)은 전극 연결선(271)을 통해 전술한 상부 브리지 접속부(28)를 통과하여 제2 전기 단자(27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감지 전극(27)의 제2 단(즉, 하단)에는 전극 연장부(273)가 설치되고, 상기 전극 연장부(273)는 전술한 하부 브리지 접속부(29)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전극 연장부(273)의 연장 길이는 최소한 상기와 같은 제1 하부 전기 단자(242) 중 최하방에 설치되는 제1 하부 전기 단자(242)의 위치를 초과하거나, 전술한 하부 브리지 접속부(29)를 통과한다. 전술한 상부 브리지 접속부(28), 하부 브리지 접속부(29)와 제2 전기 단자(272)는 모두 전술한 차폐부(12)의 범위 내에 형성된다. 전술한 접지열(2b)의 제1 단은 상부 브리지 접속부(28) 내에 형성되고, 제2 단은 하부 브리지 접속부(29) 내에 형성된다.
상기 브리지 접속 절연층(3)은 상부 브리지 접속 절연막(31) 및 하부 브리지 접속 절연막(35)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부 브리지 접속 절연막(31)은 전술한 상부 브리지 접속부(28)에 커버되어 설치되고, 상기 상부 브리지 접속 절연막(31) 상에 복수 개의 관통공(32)이 설치되어 전술한 각각의 제1 상부 전기 단자(212) 및 접지열(2b)의 제1 단의 위치에 각각 대응한다. 하부 브리지 접속 절연막(35)은 전술한 하부 브리지 접속부(29)에 커버되어 설치되고, 상기 하부 브리지 접속 절연막(35) 상에 복수 개의 관통공(36)이 설치되어 전술한 각각의 제1 하부 전기 단자(242)의 위치에 각각 대응한다.
상기 신호 도선층(4)은 전술한 차폐부(12)의 범위 내에 설치되고, 이는 복수 개의 제1 상부 신호 도선(41)(즉, 상부 구동 신호 도선), 복수 개의 제1 하부 신호 도선(42), 복수 개의 제2 신호 도선(43)(즉, 하부 구동 신호 도선), 접지 신호 도선(44) 및 신호 출력 단자(48)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각각의 제1 상부 신호 도선(41)은 전술한 상부 브리지 접속 절연막(31) 상의 관통공(32)을 통해 제1 상부 전기 단자(2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감지 어레이(2a)의 제2 방향의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는 제1 상부 전기 단자(2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신호 채널을 직렬로 형성하고, 제1 상부 신호 도선(41)의 말단은 신호 출력 단자(4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출력 단자(48)는 전술한 차폐부(12)의 외측 테두리부에 설치된다. 각각의 제1 하부 신호 도선(42)은 전술한 하부 브리지 접속 절연막(35) 상의 관통공(36)을 통해 제1 하부 전기 단자(2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감지 어레이(2a)의 제2 방향의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는 제1 하부 전기 단자(24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신호 채널을 직렬로 형성하고, 제1 하부 신호 도선(42)의 말단은 신호 출력 단자(4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제2 신호 도선(43)은 각각의 제2 전기 단자(27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신호 도선(43)의 말단은 신호 출력 단자(4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접지 신호 도선(44)은 전술한 상부 브리지 절연막(31) 상의 관통공(32)을 통해 상기 접지열(2b)의 제1 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접지열(2b)은 신호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접지 신호 도선(44)의 말단은 신호 출력 단자(48)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신호 도선층(4)은 저저항율의 전도성 재료로 제작하며, 예를 들어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몰리브덴, 니켈 또는 전술한 재료 합금의 도전박막 에칭으로 제작하거나, 도전성 은 페이스트 또는 도전성 잉크로 인쇄하여 형성하나, 실시방식은 전술한 실시범위에 국한되지 않는다.
상기에서 설명하는 터치 센서 구조에 따르면, 제1 상부 신호 도선(즉, 상부 구동 신호 도선)을 이용해 제1 상부 감지 전극(21)(즉, 상부 구동 전극)의 신호를 전송하고, 제1 하부 신호 도선(42)(즉, 하부 구동 신호 도선)을 이용해 제1 하부 감지 전극(24)(즉, 하부 구동 전극)의 신호를 전송하고, 제2 신호 도선(43)(즉, 감지 신호 도선)을 이용해 제2 감지 전극(27)(즉, 감지 전극)의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와 같은 신호를 신호 출력 단자(48)에 전송한 후, 다시 FFC 또는 FPC 커넥터를 이용해 상기 신호 출력 단자(48)에 접속해 터치 감지 신호를 신호 처리 회로에 전송하여 연산을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감지층 상의 수량이 많은 구동 전극을 상부 구동 전극과 하부 구동 전극의 두 그룹으로 나누고, 상부 브리지 접속부(28), 하부 브리지 접속부(29) 내에 배선하여 신호 연결을 진행하며, 이를 통해 신호 연결의 배선 수량을 양측 테두리로 균등하게 분산시키고, 상기와 같이 관통공을 구비하는 상부 브리지 접속 절연막(31), 하부 브리지 접속 절연막(35)을 설치함으로써, 제1 상부 신호 도선(41), 제1 하부 신호 도선(42)이 상기와 같은 관련 구동 전극의 복수 개 전기 단자(제1 상부 전기 단자(212), 제1 하부 전기 단자(242))를 서로 직렬로 연결해 신호 채널을 형성하게 만들며, 이를 통해 상기 신호 도선층(4) 상에 배치되는 신호 도선의 수량을 대폭 줄이고 차폐부(12)의 너비를 축소시켜 터치 패널의 테두리를 좁게 만드는 설계에 응용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상부 브리지 접속부(28)에서 제2 감지 전극(27)의 제1 단의 전극 연결선(271)과 제1 상부 신호 도선(41)의 교차 지점이 정전용량 노드 구조를 형성하기 때문에, 제1 상부 신호 도선(41)이 상기 노드 지점을 통해 제2 감지 전극(27)의 전극 연결선(271)과 커플링되어 상응하는 노드 정전용량 값이 증가하고, 마찬가지로, 하부 브리지 접속부(29)에서 제2 감지 전극(27) 제2 단의 전극 연장부(273)와 제1 하부 신호 도선(42)의 교차 지점도 정전용량 노드 구조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1 하부 신호 도선(42)이 상기 노드 지점을 통해 제2 감지 전극(27)의 전극 연장부(273)와 커플링되어 상응하는 노드 정전용량 값이 증가하고, 이로 인해 상부 브리지 접속부(28), 하부 브리지 접속부(29)의 제1 상부 신호 도선(41), 제1 하부 신호 도선(42)을 통해 약간의 동일한 노드 정전용량 값 증가 값이 구비되어(도 6에서 도시하는 노드 정전용량 값 분포도), 상부 구동 전극 그룹 및 하부 구동 전극 그룹 양자의 노드 정전용량 값 변화를 평행하게 만드는 목적을 달성하고, 이를 통해 상부, 하부 구동 전극 그룹의 노드 정전용량 값 차이가 과도하게 커져서 발생하는 각종 불리한 특성을 방지한다.

Claims (8)

  1. 이중 브리지 접속부를 구비하는 단일층 투영형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는 기저층(1), 터치 감지층(2), 브리지 접속 절연층(3), 및 신호 도선층(4)을 포함하고,
    상기 기저층(1)은, 중앙부가 투명한 가시부(11)이고, 그 테두리부에 테두리(1a)가 설치되어 차폐부(12)가 형성되고;
    상기 터치 감지층(2)는, 고투광율의 도전 재료로 제작된 독립 매트릭스 감지 요소 구조이고, 제1 방향을 따르며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설치되는 복수 개의 감지 어레이(2a) 및 접지열(2b)을 구비하고, 복수 개의 상기 감지 어레이(2a)는 상기 가시부(11)의 범위 내에 형성되고, 여기에서, 각각의 상기 감지 어레이(2a)는 복수 개의 제1 상부 감지 전극(21), 복수 개의 제1 하부 감지 전극(24) 및 하나의 제2 감지 전극(27)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1 상부 감지 전극(21)은 전극 연결선(211)을 통해 상부 브리지 접속부(28) 내에 설치되는 제1 상부 전기 단자(2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제1 하부 감지 전극(24)은 전극 연결선(241)을 통해 하부 브리지 접속부(29) 내에 설치되는 제1 하부 전기 단자(2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상부 브리지 접속부(28)와 상기 하부 브리지 접속부(29)는 모두 상기 차폐부(12)의 범위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감지 전극(27)의 제1 단은 전극 연결선(271)을 통해 상기 상부 브리지 접속부(28)를 통과하여 제2 전기 단자(27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감지 전극(27)의 제2 단에는 전극 연장부(273)가 설치되고, 상기 전극 연장부(273)는 상기 하부 브리지 접속부(29)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접지열(2b)의 제1 단은 상기 상부 브리지 접속부(28) 내에 형성되고 제2 단은 상기 하부 브리지 접속부(29) 내에 형성되고;
    브리지 접속 절연층(3)은, 상부 브리지 접속 절연막(31) 및 하부 브리지 접속 절연막(35)을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상부 브리지 접속 절연막(31)은 상기 상부 브리지 접속부(28)에 커버되어 설치되고, 상기 상부 브리지 접속 절연막(31) 상에 복수 개의 관통공(32)이 설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제1 상부 전기 단자(212) 및 복수 개의 상기 접지열(2b)의 제1 단의 위치에 각각 대응하고, 상기 하부 브리지 접속 절연막(35)은 상기 하부 브리지 접속부(29)에 커버되어 설치되고, 상기 하부 브리지 접속 절연막(35) 상에 복수 개의 관통공(36)이 설치되어 복수 개의 상기 제1 하부 전기 단자(242)의 위치에 각각 대응하고;
    상기 신호 도선층(4)은, 상기 차폐부(12)의 범위 내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제1 상부 신호 도선(41), 복수 개의 제1 하부 신호 도선(42), 복수 개의 제2 신호 도선(43), 접지 신호 도선(44) 및 신호 출력 단자(48)를 포함하고, 여기에서, 상기 제1 상부 신호 도선(41)은 상기 상부 브리지 접속 절연막(31) 상의 관통공(32)을 통해 상기 제1 상부 전기 단자(2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감지 어레이(2a)의 제2 방향의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는 제1 상부 전기 단자(21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신호 채널을 직렬로 형성하고, 상기 제1 상부 신호 도선(41)의 말단은 상기 신호 출력 단자(4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출력 단자(48)는 상기 차폐부(12)의 외측 테두리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하부 신호 도선(42)은 상기 하부 브리지 접속 절연막(35) 상의 관통공(36)을 통해 상기 제1 하부 전기 단자(2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감지 어레이(2a)의 제2 방향의 동일 축선 상에 위치하는 각각의 상기 제1 하부 전기 단자(242)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신호 채널을 직렬로 형성하고, 상기 제1 하부 신호 도선(42)의 말단은 상기 신호 출력 단자(4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신호 도선(43)은 상기 제2 전기 단자(272) 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신호 도선(43)의 말단은 상기 신호 출력 단자(4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지 신호 도선(44)은 상기 상부 브리지 절연막(31) 상의 관통공(32)을 통해 상기 접지열(2b)의 제1 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접지열(2b)은 신호 채널을 직렬로 형성하고, 상기 접지 신호 도선(44)의 말단은 상기 신호 출력 단자(48)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여기에서 상기 상부 브리지 접속부(28) 중 복수 개의 상기 제2 감지 전극(27)의 전극 연결선(271)과 복수 개의 상기 제1 상부 신호 도선(41)은 절연 교차 설치되고, 상기 하부 브리지 접속부(29) 중 복수 개의 상기 제2 감지 전극(27)의 전극 연장부(273)와 복수 개의 상기 제1 하부 신호 도선(42)은 절연 교차 설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절연 교차 설치 지점은 정전용량 노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브리지 접속부를 구비하는 단일층 투영형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터치 감지층(2)의 도전 재료는 인듐 주석 산화물, 인듐 아연 산화물, 아연 알루미늄 산화물 또는 폴리에틸렌디옥시티오펜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중 브리지 접속부를 구비하는 단일층 투영형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부 감지 전극(21)과 상기 제1 하부 감지 전극(24)은 구동 전극이고, 상기 제2 감지 전극(27)은 공용 감지 전극인 이중 브리지 접속부를 구비하는 단일층 투영형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도선층(4)은 금, 은, 구리, 알루미늄, 몰리브덴, 니켈 또는 전술한 재료 합금의 도전박막 에칭으로 형성되는 이중 브리지 접속부를 구비하는 단일층 투영형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도선층(4)은 도전 은 페이스트 또는 도전 잉크에서 인쇄하여 형성되는 이중 브리지 접속부를 구비하는 단일층 투영형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1a)는 불투광 또는 저투광율의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는 박막층이고, 상기 절연성 재료는 잉크 또는 포토레지스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이중 브리지 접속부를 구비하는 단일층 투영형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연장부(273)는 상기 하부 브리지 접속부(29) 내에 형성되며 그 연장 길이는 적어도 복수 개의 상기 제1 하부 전기 단자(242) 중 최하방에 설치되는 제1 하부 전기 단자(242)의 위치를 초과하는 이중 브리지 접속부를 구비하는 단일층 투영형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연장부(273)가 상기 하부 브리지 접속부(29)를 통과하는 이중 브리지 접속부를 구비하는 단일층 투영형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
KR2020190003507U 2019-08-23 2019-08-23 이중 브리지 접속부를 구비하는 단일층 투영형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 KR2004929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507U KR200492943Y1 (ko) 2019-08-23 2019-08-23 이중 브리지 접속부를 구비하는 단일층 투영형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507U KR200492943Y1 (ko) 2019-08-23 2019-08-23 이중 브리지 접속부를 구비하는 단일층 투영형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943Y1 true KR200492943Y1 (ko) 2021-01-07

Family

ID=74130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507U KR200492943Y1 (ko) 2019-08-23 2019-08-23 이중 브리지 접속부를 구비하는 단일층 투영형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943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0469A (ko) * 2008-12-31 2010-07-08 아크로센스 테크놀로지 캄파니 리미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KR101169250B1 (ko) * 2012-05-02 2012-08-02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단일 적층 구조를 갖는 개량된 접촉 위치 감지 패널
KR20140004970U (ko) * 2013-03-06 2014-09-16 영 패스트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터치패널의 신호전송배선용 브리지접속 조립구조
KR20150043712A (ko) * 2013-10-15 2015-04-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표시장치
KR20170064102A (ko) * 2015-11-30 2017-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0469A (ko) * 2008-12-31 2010-07-08 아크로센스 테크놀로지 캄파니 리미티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
KR101169250B1 (ko) * 2012-05-02 2012-08-02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단일 적층 구조를 갖는 개량된 접촉 위치 감지 패널
KR20140004970U (ko) * 2013-03-06 2014-09-16 영 패스트 옵토일렉트로닉스 씨오., 엘티디. 터치패널의 신호전송배선용 브리지접속 조립구조
KR20150043712A (ko) * 2013-10-15 2015-04-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표시장치
KR20170064102A (ko) * 2015-11-30 2017-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2007B2 (en) Display device
CN106293225B (zh) 触控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09545838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04182072A (zh) 触控板
US10175836B2 (en) Conductive sheet, touch panel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1814656B1 (ko) 전기 장치 및 그에 따른 단일 층 상호 정전용량 터치 스크린
TW201809983A (zh) 觸控面板
US9921705B2 (en) Resistive film type touch panel having electrode grouping and routing wires arranged to miniaturize the touch panel, and a method of detecting a pressing position on the touch panel
US8304675B2 (en) Matrix touch panel
US8780067B1 (en) Bridging structure for signal transmission of touch panel
CN111949168B (zh) 一种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CN210295066U (zh) 具有双桥接区的单层投射电容式触控传感器
KR200492943Y1 (ko) 이중 브리지 접속부를 구비하는 단일층 투영형 정전용량식 터치 센서
CN111045553A (zh) 触控显示面板和触控显示装置
US20190258345A1 (en) Assembling Structure of Flexible Flat Cable of Touch Panel
JP3223683U (ja) 二重ブリッジ領域を有する単層投影型静電容量式タッチセンサー
KR200491337Y1 (ko) 터치 센서의 터치 신호 전송 구조
KR200492694Y1 (ko) 개선된 터치 유리 커버 패널 구조
US10528184B2 (en) Touch signal transmission structure of touch sensor for maintaining signal channel order in external connections
KR20190002262U (ko) 보조 전도선이 있는 터치 패널
US10860151B1 (en) Single-layer projected capacitive touch sensor with two bridging areas
US1111289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panel,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0491899Y1 (ko) 터치센서 주변부의 신호도선 연결구조
US20190369765A1 (en) Structure of Transparent Capacitive Touch Sensor
TWM563584U (zh) 觸控玻璃蓋板結構改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