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297Y1 -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297Y1
KR200491297Y1 KR2020180002869U KR20180002869U KR200491297Y1 KR 200491297 Y1 KR200491297 Y1 KR 200491297Y1 KR 2020180002869 U KR2020180002869 U KR 2020180002869U KR 20180002869 U KR20180002869 U KR 20180002869U KR 200491297 Y1 KR200491297 Y1 KR 2004912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device
support
plate
rotating plate
device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2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0003U (ko
Inventor
주희양
Original Assignee
주희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희양 filed Critical 주희양
Priority to KR2020180002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297Y1/ko
Publication of KR2020000000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000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2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2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임의의 구성 또는 임의의 평면에 지지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플레이트 및 스마트기기의 하면을 지지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타단에 구비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기기 거치장치{Supporting apparatus for smart device}
본 고안은 스마트기기를 거치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공간 활용성이 높고 설치가 용이한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기술 및 무선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크기의 스미트 기기(스마트폰, 테블릿 피씨 등)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정보화 사회로의 급격한 변화와 IT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화로 인하여 스마트 기기의 보급은 점점 확대되고 있다.
한편, 비록 스마트 기기들이 종래에 비해 소형화 및 경량화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침대나 쇼파 등에서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팔과 몸에 무리가 가는 등 장시간 스마트 기기를 사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거치대에 대한 내용은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1-0004728호에 개시되고 있다.
다만 종래의 거치대는 내구성이 떨어지며 스마트기기를 안전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스마트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거치된 스마트기기의 위치 조절이 용이한 스마트기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배치가 용이한 스마트기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임의의 구성 또는 임의의 평면에 지지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 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플레이트; 및 스마트기기의 일단을 지지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타단에 구비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며, 한정된 공간 내에서 스마트 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하고, 사용자가 스마트 기기를 보기 편하게 각도 조절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일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두 개의 바디부; 상기 두 개의 바디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스마트기기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하단지지부; 및 상기 두 개의 바디부의 대향하는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과 연결되고, 상기 스마트기기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단지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며, 스마트기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스마트기기를 조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상기 두 개의 바디부의 대향하는 면들은 각각 상기 상단지지부가 연결될 수 있는 다수개의 홀들을 포함하며, 상기 홀들은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며, 상단지지부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서 다양한 사이즈의 스마트기기를 모두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일단 방향으로 상기 지지대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스마트기기의 하단부를 상기 하단지지부와 동시에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며, 스마트기기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상기 바디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삽입하우징; 및 상기 삽입하우징으로부터 인출 및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바디;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위치 및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스마트기기가 거치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연결되는 지점으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바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높이에 따라 스마트기기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상기 높이조절바는, 지면과 접촉하는 고정대; 및, 일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연결되는 지점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대로부터 인출 및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바;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바는 휘어지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며, 사용자의 위치 및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스마트기기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일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두 개의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삽입하우징; 상기 삽입하우징으로부터 인출 및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바디; 및 상기 두 개의 바디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이동바디 및 상기 지지대에 고정 결합되는 투과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를 제공하며, 스마트기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상기 투과플레이트의 일단에는 상기 스마트기기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단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투과플레이트의 타단은 상기 지지대와 결합하며, 상기 투과플레이트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동바디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일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두 개의 바디부; 상기 두 개의 바디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스마트기기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하단지지부; 및 상기 두 개의 바디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탄성 이동 가능하며, 상기 스마트기기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 거지장치를 제공하며, 스마트기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면 또는 하면에 자기(magnetic)결합 또는 후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는,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회전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는 힌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방식으로 스마트기기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의 높이 및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거치된 스마트기기의 위치 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의 배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에 높이조절바가 더 구비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의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거치장치에 있어서 스마트기기의 고정 방법 중 하나가 도시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을 통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거치장치(100)의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거치장치(100)는 임의의 구성 또는 임의의 평면에 지지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130), 일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플레이트(110), 및 스마트기기(180)의 하면을 지지하고 회전플레이트(110)의 타단에 구비되는 지지대(14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플레이트(130)는 직사각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30)에 대한 회전플레이트(110)의 회전 기능만 유지된다면 지지플레이트(130)와 회전플레이트(110) 모두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플레이트(130)는 임의의 구성 또는 임의의 평면에 접착 형태로 부착되거나 걸이 형태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플레이트(130)는 임의의 삽입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임의의 구성 또는 임의의 평면에 구비된 돌출 부분이 지지플레이트(130)의 임의의 삽입홀에 삽입될 수 있다.
반대로 지지플레이트(130)에 돌출부(미도시), 고리부(미도시) 또는 후크(미도시)가 구비되어 임의의 구성 또는 임의의 평면에 삽입되거나 거는 형태로 지지플레이트(130)가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110)는 지지플레이트(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이며,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경우 직사각형태를 가지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110)는 지지플레이트(130)의 하단부 또는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지지플레이트(13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실시예는 도 1, 도 2 및 도 4에 도시되고 있으며, 지지플레이트(13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실시예는 도 5에 도시되고 있다.
회전플레이트(110)의 일단이 지지플레이트(130)의 하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 회전플레이트(110)의 타단은 회전플레이트(110)가 지지플레이트(130)와 최대 접촉한 상태에서 아래 방향(Z축 아래방향)으로 원 형태를 이루며 이동할 것이다.
회전플레이트(110)의 일단이 지지플레이트(13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경우, 회전플레이트(110)의 타단은 회전플레이트(110)가 지지플레이트(130)와 완전 접촉한 상태에서 위쪽 방향(Z축 위쪽 방향)으로 원 형태를 이루며 이동할 것이다.
지지대(140)는 스마트기기(180)의 하면을 지지하고 회전플레이트(110)의 타단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회전플레이트(110)의 타단의 회전 접선 방향으로 소정거리 돌출된다. 회전 접선의 양 방향으로 모두 돌출될 수 있으며 일 방향으로만 돌출될 수 있다.
지지대(140)는 스마트기기(180)의 하단과 접촉되며, 회전플레이트(110)가 지지플레이트(130)로부터 회전되어 소정 각도 이상의 각도를 형성할 때 스마트기기(180)가 회전플레이트(110)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지지대(140)는 회전플레이트(110)와 지지플레이트(130)가 완전히 접촉하고 있을 때 지지플레이트(130)와 안정적으로 결합하여, 회전플레이트(110)의 회전 움직임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대(140)의 끝단은 후크 형태로 구비되어 지지플레이트(130)의 끝단 지점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플레이트(130)는 지지대(140)가 삽입될 수 있는 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스마트기기 거치장치(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회전플레이트(110)의 일단과 끝단은 모두 지지플레이트(130)와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지지대(140)는 이러한 결합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회전플레이트(110)와 지지플레이트(130)는 회전부(120)를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회전부(120)는 힌지 기능을 가지는 장치일 수 있으며, 탄성 재질의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회전부(120)는 회전플레이트(110)와 스마트기기(180)를 합친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내구성을 가진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회전플레이트(110)와 스마트기기(180)를 합친 무게 이상의 힘을 회전부(120)에 인가해야 회전부(120)는 지지플레이트(130)에 대하여 회전한다. 즉,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회전플레이트(11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회전플레이트(110)는 하나 이상의 바디부(111), 바디부(111)에 구비되는 삽입홀(113), 스마트기기(18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하단지지부(114), 및 스마트기기(180)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단지지부(115)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경우, 바디부(111)는 두 개가 구비되며, 두 개의 바디부(111)의 일단은 지지플레이트(1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지지대(140)와 연결된다.
두 개의 바디부(111) 사이에는 빈 공간에 해당하는 개구부(117)가 위치한다. 또한 두 개의 바디부(111) 사이에는 스마트기기(180)의 하단부를 지지하고 지지대(140)와 연결되는 하단지지부(114) 및 스마트기기(180)의 상단부를 지지하고 두 개의 바디부(111)의 대향하는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과 연결되는 상단지지부(115)가 구비된다.
상단지지부(115)는 바 형태로 구비되며, 두 개의 바디부(111)의 대향하는 면들에 형성된 다수개의 삽입홀(113)들에 설치될 수 있다. 다수개의 삽입홀(113)들은 각각의 바디부(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기 때문에 상단지지부(115)는 거치되는 스마트기기(180)의 길이에 따라 적합한 삽입홀(113)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단지지부(115)의 일단과 타단은 두 개의 바디부(111)에 구비된 홀들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단지지부(115)의 일단과 타단 중 어느 하나만 두 개의 바디부(111) 중 어느 하나의 바디부에 구비된 삽입홀(113)에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삽입홀(113)들의 위치는 시중에 팔리고 있는 스마트기기들의 제품 사양에 따라 미리 계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두 개의 바디부(111)의 대향하는 면들은 각각 바디부(1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긴 홀(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바디부(111)에 형성된 각각의 긴 홀에 상단지지부(115)의 일단과 타단이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소지한 스마트기기(180)의 길이에 맞춰 직접 상단지지부(115)를 긴 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긴 홀들은 상단지지부(115)의 이동이 쉽지 않도록 마찰력이 높은 소재나 탄성력이 강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탄성력이 강한 소재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긴 홀들의 수직 폭(바디부(111)의 길이방향과 수직)은 상단지지부(115)의 폭보다 약간 작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단지지부(114)의 높이와 상단지지부(115)의 높이는 바디부(111)를 기준으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스마트기기(18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지지대(140)는, 회전플레이트(110)의 일단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고 스마트기기(180) 하단부의 윗면과 아래면을 하단지지부(114)와 함께 각각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기기(180)를 고정부(160)와 하단지지부(114) 사이에 끼움 결합시켜 스마트기기(180)가 외력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정부(160) 및 하단지지부(114)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부(160)와 하단지지부(114) 사이의 폭은 스마트기기(180)의 폭보다 소정거리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스마트기기(180)를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지지플레이트(130)를 임의의 구성이나 임의의 평면에 고정시킬 수도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기기 거치장치(100)는 지지플레이트(130)와 회전플레이트(110)가 연결되는 지점으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되며 길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바(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130)와 회전플레이트(110)가 회전부(120)를 매개로 연결되는 경우, 높이조절바(150)는 회전부(120)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높이조절바(150)는 지지플레이트(130)를 특정 구성이나 평면에 고정시키지 않고 스마트기기 거치장치(100)를 자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지면과 접촉하는 고정대(152), 일단이 지지플레이트(130)와 회전플레이트(110)가 연결되는 지점 또는 회전부(120)와 연결되고 타단은 고정대(152)로부터 인출 및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바(151)를 포함한다.
사용자의 높이에 따라 이동바(151)를 고정대(152)로부터 인출 및 삽입하여 지지플레이트(130)와 회전플레이트(1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동바(151)의 일부분은 휘어지는 소재인 굴곡부(151a)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굴곡부(151a)를 조절하여 회전플레이트(110) 및 지지플레이트(1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위치에 따른 미세한 위치 조절을 굴곡부(151a) 통해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구성 및 기능이 좀 더 세부적으로 한정된 바디부(111)가 도시되어 있다.
바디부(111)는 지지플레이트(13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삽입하우징(111b) 및 삽입하우징(110b)로부터 인출 및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바디(111a)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위치 및 기호에 따라 이동바디(111a)의 인출 정도가 정해지며, 이동바디(111a)와 삽입하우징(111b)은 서로 후크 결합, 억지 끼움 방식 또는 나사 결합이 사용될 수 있다.
상단지지부(115)는 두 개의 이동바디(111a)의 대향하는 면들 사이에 배치되며, 다수개의 삽입홀(113) 또한 두 개의 이동바디(111a)의 대향하는 면들에 이동바디(111a)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구비된다.
따라서 스마트기기(180)가 상단지지부(115)와 하단지지부(114)에 거치되어 있더라도, 이동바디(111a)는 삽입하우징(111b)로부터 인출 또는 삽입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것이며, 스마트기기(180)의 일면을 전체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및 도 3과 비교하였을 때, 하단지지부(114) 및 상단지지부(115) 구성을 투과플레이트(170)가 대체한다. 또는 투과플레이트(170)는 상단지지부(115)만 대체할 수 있다.
투과플레이트(170)는 두 개의 바디부(111) 사이에 구비되며,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다. 따라서 스마트기기(180)의 액정 부분을 투과플레이트(170)와 접촉시켜도 사용자는 스마트기기(180)의 디스플레이에서 송출되는 화면을 볼 수 있다.
투과플레이트(170)는 투명한 투과성 재질이면 어떠한 재질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투과플레이트(170)는 사용자의 시력을 보호하기 위해 블루라이트 차단 필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투과플레이트(170)의 측면은 두 개의 바디부(111)가 대향하는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과 연결되고, 투과플레이트(170)의 하면은 지지대(140)와 직접 접촉하여 결합하거나 하단지지부(114)가 구비된 경우 하단지지부(114)와 직접 접촉하여 결합된다.
바디부(111)가 이동바디(111a)와 삽입하우징(111b)으로 구성되는 경우, 투과플레이트(170)의 측면은 두 개의 이동바디(111a)의 대향하는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과 연결된다.
따라서 스마트기기(180)가 투과플레이트(170)에 거치되어 있더라도, 이동바디(111a)는 삽입하우징(111b)에 대하여 인출 또는 삽입될 수 있다.
한편, 투과플레이트(170)의 일단에는 스마트기기(180)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단돌출부(171)가 구비될 수 있다. 스마트기기(180)의 상단부는 상단돌출부(171)에 의해 지지되고 스마트기기(180)의 하단부는 지지대(140)에 의해 지지된다.
상단돌출부(171)는 지지대(140)와 함께 스마트기기(180)의 움직임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단돌출부(171)는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석일 수 있다. 스마트기기(180)의 상단부를 자력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가 스마트기기(180)를 편리하게 투과플레이트(170) 상에 거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회전플레이트(110)가 지지플레이트(13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도시한 일 실시예이며, 도 1 내지 도 4, 및 추후 설명할 도 6의 실시예들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는 지지플레이트(130)가 벽(W)에 고정 결합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스마트기기(180)의 상단부를 탄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탄성지지부에 대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탄성지지부는 두 개의 바디부(111) 사이에 구비되고, 바디부(11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탄성 이동이 가능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탄성지지부는, 스마트기기(180)의 상단부와 직접 접촉하는 탄성지지부바디(161), 탄성지지부바디(161)와 결합되는 스프링(162), 및 일단은 바디부(111), 회전부(120) 또는 지지플레이트(130)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스프링(162)과 결합되는 스프링지지대(163)를 포함한다.
스마트기기(180)의 하면은 지지대(140)와 접촉하고 스마트기기(180)의 하단부 중 아래면은 하단지지부(114)에 의해 지지되며, 스마트기기(180)의 상면 또는 상단부는 탄성지지부바디(161)에 의해 지지된다.
탄성지지부바디(161)는 바디부(111)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탄성 이동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종류의 스마트기기(180)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바디(161)와 스마트기기(180)가 거치하는 지점은 오목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마트기기(180)의 테두리는 일반적으로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경우, 회전플레이트(110)는 하나의 판 형태로 구성되며, 회전플레이트(1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자기장을 형성하는 자석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기기(180)를 회전플레이트(1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자기(maagnetic) 결합시킬 수 있다.
회전플레이트(110)가 하나의 판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스미트기기(180)를 회전플레이트(110)의 상면 또는 하면에 후크 결합시켜 고정시킬 수도 있다.
본 고안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고안 실용신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110: 회전플레이트 111: 바디부 113: 삽입홀
114: 하단지지부 115: 상단지지부 117: 개구부
120: 회전부 130: 지지플레이트 140: 지지대
150: 높이조절바 151: 이동바 152: 고정대
160: 고정부 161: 탄성지지부 162: 스프링
163: 스프링지지대 164: 고정지지부 170: 투과플레이트
171: 상단돌출부 180: 스마트기기

Claims (12)

  1. 임의의 구성 또는 임의의 평면에 지지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플레이트;
    일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플레이트; 및,
    스마트기기의 일단을 지지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타단에 구비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일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두 개의 바디부, 및 상기 두 개의 바디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스마트기기의 하단부를 지지하며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는 하단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두 개의 바디부의 대향하는 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면과 연결되고, 상기 스마트기기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단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바디부의 대향하는 면들은 각각 상기 상단지지부가 연결될 수 있는 다수개의 홀들을 포함하며, 상기 홀들은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일단 방향으로 상기 지지대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스마트기기의 하단부를 상기 하단지지부와 동시에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삽입하우징; 및
    상기 삽입하우징으로부터 인출 및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바디;를 포함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연결되는 지점으로부터 연장되어 구비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조절바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바는,
    지면과 접촉하는 고정대; 및,
    일단이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가 연결되는 지점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대로부터 인출 및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바;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바는 휘어지는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삽입하우징; 및,
    상기 삽입하우징으로부터 인출 및 삽입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지지부는 상기 이동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하단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는 투과성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지지부의 일단에는 상기 스마트기기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상단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단지지부의 타단은 상기 지지대와 결합하며, 상기 하단지지부의 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이동바디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두 개의 바디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바디부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탄성 이동 가능하며, 상기 스마트기기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기기는 상기 회전플레이트의 상면 또는 하면에 자기(magnetic )결합 또는 후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플레이트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회전부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회전부는 힌지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KR2020180002869U 2018-06-22 2018-06-22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KR2004912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869U KR200491297Y1 (ko) 2018-06-22 2018-06-22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2869U KR200491297Y1 (ko) 2018-06-22 2018-06-22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003U KR20200000003U (ko) 2020-01-02
KR200491297Y1 true KR200491297Y1 (ko) 2020-05-15

Family

ID=69155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2869U KR200491297Y1 (ko) 2018-06-22 2018-06-22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29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3663A (ja) * 2005-11-24 2007-06-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端末機器の支持構造
KR101214865B1 (ko) 2011-04-15 2012-12-28 김진우 스마트폰북 거치대
KR101539677B1 (ko) 2015-03-04 2015-07-28 (주) 한세엔지니어링 홈네트워킹 겸용 주방 tv 시스템
KR101691421B1 (ko) * 2015-08-19 2016-12-30 (주)지준시스템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7049A (ko) * 2012-07-06 2014-01-16 박요섭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43663A (ja) * 2005-11-24 2007-06-14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端末機器の支持構造
KR101214865B1 (ko) 2011-04-15 2012-12-28 김진우 스마트폰북 거치대
KR101539677B1 (ko) 2015-03-04 2015-07-28 (주) 한세엔지니어링 홈네트워킹 겸용 주방 tv 시스템
KR101691421B1 (ko) * 2015-08-19 2016-12-30 (주)지준시스템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0003U (ko)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0536B2 (en)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changing a display mode of a display assembly
CN100381028C (zh) 显示装置
US6532628B2 (en) Hinge assembly for LCD monitor
US7901091B2 (en) Projection apparatus
TW201321236A (zh) 夾持組件及應用該夾持組件之支撐裝置
TW201340844A (zh) 電子裝置及其使用之支撐機構
TW201331903A (zh) 平板式顯示裝置之多方位支持結構
TW201323764A (zh) 支撐架及具有該支撐架的電子裝置
JP5806720B2 (ja) 電子機器用スタンド
US7273202B2 (en) Combined supporting base
KR200491297Y1 (ko)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KR101244983B1 (ko) 팔뚝형 휴대용 정보기기 거치대
US20080067297A1 (en) Sliding mechanism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20020027798A (ko) 플랫 패널형 디스플레이용 스탠드
CN208874606U (zh) 一种车载手机支架
KR101674461B1 (ko) 모니터 탑재용 키보드
KR100873131B1 (ko) 모니터 스탠드
TW201305479A (zh) 兼具懸掛、支撐及握持結構之裝置
TWM468606U (zh) 支撐裝置
CN221463507U (zh) 显示装置
CN208935746U (zh) 支架
TWI461889B (zh) 基座及具有其之電子裝置
CN216202240U (zh) 一种投影仪
KR200494821Y1 (ko) 휴대 기기 거치대
KR20030039208A (ko) 화상카메라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