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148Y1 - Split Plate Installment Structure of Container for Medical Waste - Google Patents

Split Plate Installment Structure of Container for Medical Was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148Y1
KR200491148Y1 KR2020180004562U KR20180004562U KR200491148Y1 KR 200491148 Y1 KR200491148 Y1 KR 200491148Y1 KR 2020180004562 U KR2020180004562 U KR 2020180004562U KR 20180004562 U KR20180004562 U KR 20180004562U KR 200491148 Y1 KR200491148 Y1 KR 200491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plate
seating surface
contain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456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돈일
Original Assignee
김돈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돈일 filed Critical 김돈일
Priority to KR20201800045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148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14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2005/3206Needle or needle hub disconnecting devices forming part of or being attached to the hub or syring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료용 폐기물 전용용기에 설치되어 주사 바늘 등의 의료용 폐기물을 분리 수거할 수 있는 분리판을 포함하는 의료용 폐기물 전용용기의 분리판 설치와 관련된 것으로, 용기 본체(100)의 상단 테두리부(110)의 내측 가장자리 4곳에 상기 분리판(300)을 받치기 위한 제1 안착면(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안착면(120) 상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상방 돌기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분리판(300)의 가장자리 4곳에는 상기 분리판(300)이 상기 제1 안착면(120) 상에 안착되는 동안에 상기 상방 돌기부(130)가 수직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돌기 삽입구(330)가 형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installation of a separator plate for a medical waste container including a separator plate installed in the medical waste container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medical waste such as a needle, the upper edge portion 110 of the container body 100 A first seating surface 120 for supporting the separation plate 300 is formed at four inner edges of the bottom), and an upper protrusion 130 protruding upward is formed on the first seating surface 120. At four edges of the separator 300, a protrusion insertion hole 330 into which the upper protrusion 130 can be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separator 300 is seated on the first seating surface 120 is provided. Is formed.

Description

의료용 폐기물 전용용기의 분리판 설치 구조{Split Plate Installment Structure of Container for Medical Waste}Split Plate Installation Structure of Container for Medical Waste

본 고안은 의료용 폐기물 전용용기와 관련된 것으로, 특히 의료용 폐기물 전용용기에 설치되어 주사 바늘 등의 의료용 폐기물을 분리 수거할 수 있는 분리판을 포함하는 의료용 폐기물 전용용기의 분리판 설치와 관련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wast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parator for installing a medical waste container including a separator plate for separating and collecting medical waste such as a needle.

등록실용신안 제20-0384588호, 등록실용신안 제20-0389957호에는 설치되는 분리판이 특별한 구조 없이 용기 내측에 안착되는 구조로서 분리판이 의료 폐기물 분리 과정에서 용기로부터 이탈되어 의료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84588 and 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0389957 have a structure in which a separator plate is installed inside the container without a special structure, and the risk that the separator plate may be released from the container during the medical waste separation process may cause a medical accident. This exist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분리판을 용기에 견고하게 고정 결합할 수 있는 구조로서, 공개특허 제10-2018-0058921호에 개시된 발명은 분리판이 측방향으로 용기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분리판의 용기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As a solution to solve this problem as a structure that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container to the container, the invention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8-0058921 is configured by separating the separation plate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fixed to the separation It wa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easily deviating from the container of the plate.

그런데, 이러한 측방향으로 분리판을 삽입하는 구조는 작업성이 낮고, 또한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현장에 실시되어 여전히 분리판의 이탈 문제를 완전히 해소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 structure of inserting the separator plate in such a lateral direction is low in workability, and is implemented in the field without being completely inserted, and still does not completely solve the problem of detachment of the separator plate.

등록실용신안 제20-0384588호 (2005.5.16 공고)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84588 (August 20, 2016) 등록실용신안 제20-0389957호 (2005.7.18 공고)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89957 (Announcement on February 18, 2005) 공개특허 제10-2018-0058921호 (2018.6.4 공개)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58921 (published June 6, 2018)

본 고안은 상기 분리판과 용기 사이의 불완전한 결합에 의하여 용기에서 분리판이 분리될 수 있는 위험을 제거하기 위하여, 분리판의 설치 과정이 쉬우면서도 삽입된 분리판이 용기에 완전히 결합될 수 있도록 분리판을 수직 방향으로 삽입하는 과정에서 분리판에 형성된 돌기 삽입구가 용기 본체에 형성된 상방 돌기부에 일치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된 의료용 폐기물 전용용기의 분리판 설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기타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In order to eliminate the risk of separating the separator from the container by an incomplete coupling between the separator and the contain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paration plate so that the insertion plate can be completely coupled to the container while the separator is easily installed. In the process of inser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ovided to provide a separation plat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medical waste container,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separator plate is configured to be matched to the upper protrusion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용기 본체(100), 뚜껑(200), 및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의료용 폐기물을 분리하기 위한 복수의 분리용 형상(311)이 형성된 분리판(300)으로 구성되는 의료용 폐기물 전용용기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300)을 상기 용기 본체에 설치하기 위한 의료용 폐기물 전용용기의 분리판 설치 구조로서,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단 테두리부(110)의 내측 가장자리 4곳에 상기 분리판(300)을 받치기 위한 제1 안착면(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안착면(120) 상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상방 돌기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분리판(300)의 가장자리 4곳에는 상기 분리판(300)이 상기 제1 안착면(120) 상에 안착되는 동안에 상기 상방 돌기부(130)가 수직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돌기 삽입구(330)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단 테두리부(110)의 내측 변 4곳에는 상기 제1 안착면(120)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안착면(140)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판(300)은 분리용 형상(311)이 형성되는 베이스판(310), 상기 베이스판(310)의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보강 리브(320), 및 상기 베이스판(31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보강 리브(34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310)의 상기 제2 보강 리브(340)의 외각 영역(312)이 상기 용기 본체(100)의 제1 안착면(120) 및 제2 안착면(140) 상에 안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돌기 삽입구(330)는 상기 외각 영역(312)의 가장자리 4곳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단 테두리부(110)의 내벽은 상기 분리판(300)의 삽입 방향을 따라 개구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 형성되고, 상기 분리판(300)의 돌기 삽입구(330)에 상기 상방 돌기부(130)가 삽입될 때에, 상기 분리판(300)의 제1 보강 리브(320)는,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기 제1 안착면(120) 상에 돌출 형성된 상방 돌기부(130)와 상기 상단 테두리부(110) 사이의 사잇 공간(118)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며, 상기 상단 테두리부(110)의 내벽은 하방으로 경사 형성된 상단 경사면(110u) 및 상기 상단 경사면(110u)의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상단 경사면(110u)보다 기울기가 작은 하단 경사면(110d)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판(300)의 제2 보강리브(340)에는, 상기 용기 본체(100)의 내면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밀착 돌기(350)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100)의 외부에는, 상기 용기 본체(100)의 제1 안착면(120)에 대응되도록 외부 노출면(120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container body 100, the lid 200, and the top of the container body 1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paration shapes 311 for separating medical wastes In the medical waste container comprising the separator plate 300, the separator plat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medical waste container for installing the separator plate 300 in the container body,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00 A first seating surface 120 for supporting the separating plate 300 is formed at four inner edges of the 110, and an upper protrusion 130 protruding upward is formed on the first seating surface 120. At four edges of the separator 300,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s 330 may be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separator 300 is seated on the first seating surface 120. ) Is formed, of the container body 100 A second seating surface 140 connecting the first seating surface 120 is formed at four inner sides of the short edge portion 110, and the separating plate 300 is formed with a separation shape 311. The base plate 310, the first reinforcement ribs 320 extending upward along the edge of the base plate 310, and the second reinforcement ribs 340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plate 310. The outer region 312 of the second reinforcing rib 340 of the base plate 310 is disposed on the first seating surface 120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140 of the container body 100.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330 is formed at four edges of the outer region 312, and an inner wall of the upper edge portion 110 of the container body 100 is inserted into the separation plate 300. When the width of the opening is inclined so as to be narrowed, the upper projection 130 is inserted into the projection insertion hole 330 of the separating plate 300 The first reinforcing rib 320 of the separation plate 300 includes an upper protrusion 130 and an upper edge portion 110 protruding from the first seating surface 120 of the container body 100. It is inserted into the interspace 118 between them, the inner wall of the upper edge portion 110 is formed below the upper inclined surface 110u and the upper inclined surface 110u downwardly inclined and the upper inclined surface ( An inclination protrusion 350 is formed on the second reinforcing rib 340 of the separating plate 300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100. The outer exposed surface 120b is formed outside the container body 1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seating surface 120 of the container body 100.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의료용 폐기물 전용용기의 분리판 설치 구조에 의하면, 분리판이 용기에 수직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그대로 용기 본체에 체결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설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용기 본체의 상방 돌기부와 분리판의 돌기 삽입구 사이의 억지끼움 결합, 및 용기 본체의 상방 돌기부와 테두리부 사이의 사잇 공간에 분리판의 제1 보강 리브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결합 상태가 매우 견고하에 유지될 수 있어 실사용에 있어서 분리판이 분리되어 의료 사고를 초래할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separation plat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medical wast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eparation plate is fastened to the container body as it is pressuriz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container, the installation work is made simple, and the upper projection and the separation plate of the container body The coupling between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s of the and the first reinforcing ribs of the separator plate is coupled to the interspace between the upper protrusion and the rim of the container body in a tight fitting manner so that the coupling state can be maintained very firmly in practical use. The separator can be separated to minimize the risk of causing a medical accident.

도 1은 본 고안의 의료용 폐기물 전용용기의 분리판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용기 본체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분리판의 평면도 및 저면 사시도;
도 4는 도 3(a)의 A 부분 절단면 구성도로서, 분리판의 결합 전후의 구성도;
도 5는 도 3(a)의 B1 부분 절단면 구성도(b)와 B2 부분 절단면 구성도(a); 및
도 6은 도 1의 용기 본체의 저면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or installation structure of a medical wast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the container body of FIG. 1;
3 is a plan view and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or of FIG. 1;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part A of FIG.
FIG. 5 is a B1 partial cutaway block diagram (b) and B2 partial cutaway block diagram (a) of FIG. 3 (a); And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body of FIG. 1.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common or dictionary meanings, bu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matter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고안의 의료용 폐기물 전용용기의 분리판 설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용기 본체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분리판의 평면도 및 저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parator plate installation structure of a medical wast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the container body of FIG. 1, and FIG. 3 is a plan view and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or plate of FIG. 1.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먼저, 본 고안의 대상인 의료용 폐기물 전용용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용기 본체(100), 뚜껑(200), 및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의료용 폐기물을 분리하기 위한 복수의 분리용 형상(311)이 형성된 분리판(300)으로 구성된다. 분리용 형상(311)은 주사바늘 제거, 의료용 비닐 등의 폐기물이 걸려 떨어지도록 다양한 형상이 마련되어 있고 용기 본체(100)는 테두리부(110)의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102)에 복수개 형성된 걸림부(104)가 용기 뚜껑(200)의 걸림공(202)에 체결될 수 있는 일반적인 결합 구성을 가지며, 용기 본체(100)의 외면에 손잡이(도시되지 않음)를 걸어 설치할 수 있는 손잡이 걸이(108)가 용기 본체(100)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First, the medical waste container, which is the su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generally installed on the container body 100, the lid 200, and the top of the container body 100 to separate the medical waste, as shown in FIG. It consists of a separator plate 300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paration shapes 311. Separation shape 311 is provided with various shapes so that waste such as needle removal, medical vinyl, etc. hangs, the container body 100 is a plurality of hooks formed on the protrusions 102 protrudi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edge portion 110 Part 104 has a general coupling configuration that can be fastened to the locking hole 202 of the container lid 200, the handle hanger 108 that can be installed by hanging a handle (not show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00 )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ntainer body (100).

본 발명은 이러한 의료용 폐기물 전용용기에서 분리판(300)을 용기 본체(100)에 설치하기 위한 의료용 폐기물 전용용기의 분리판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고, 설치 과정을 간편하게 달성할 수 있고 쉬우면서도 완전하게 분리판이 용기 본체에 결합됨으로써 용기 본체로부터 분리판이 원치 않게 분리되는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분리판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paration plat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medical waste container for installing the separator plate 300 in the container body 100 in such a medical waste container, can easily achieve the installation process and easy and complete separation It relates to a new structure of the separator mounting structure that can minimize the risk of undesired separation of the separator plate from the container body by coupling the plate to the container body.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의료용 폐기물 전용용기의 분리판 설치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단 테두리부(110)의 내측 가장자리 4곳에 상기 분리판(300)을 받치기 위한 제1 안착면(120)이 형성된다.To this end, the separation plat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medical waste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2, receives the separation plate 300 at the four inner edges of the upper edge portion 110 of the container body 100. The first seating surface 120 for hitting is formed.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안착면(120) 상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상방 돌기부(130)가 형성된다. 상방 돌기부(130)는 첨두부에서 바닥으로 갈수록 두껍게 형성되어 분리판(300)의 돌기 삽입구(330)에 삽입될 때에는 여유 공간에 의하여 쉽게 삽입되고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결합력이 강화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방 돌기부(130)는 용기 본체의 테두리부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고, 분리판이 설치된 후에는 외부로 노출된 영역이 존재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A, an upper protrusion 130 protruding upward is formed on the first seating surface 120. The upper protrusion 130 is formed thicker from the peak to the bottom so that when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330 of the separating plate 300 is easily inserted by the free space, and after fully inserted, the coupling force is strengthened so as not to be easily separated. It is preferred to be configured. The upper protrusion 130 is installed inside the rim of the container body, and after the separation plate is install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egion exposed to the outside does not exist.

또한, 상기 분리판(300)의 가장자리 4곳에는 상기 분리판(300)이 상기 제1 안착면(120) 상에 안착되는 동안에 상기 상방 돌기부(130)가 수직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돌기 삽입구(330)가 형성된다.In addition, at four edges of the separating plate 300,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through which the upper protrusion 130 may be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separating plate 300 is seated on the first seating surface 120 ( 330 is formed.

바람직하게는, 도 2의 상단 부분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안착면(120)의 상방 돌기부(130)와 분리판(300)의 돌기 삽입구(330)의 형상은 평면도 상에서 곡선적으로 형성되어 완전히 삽입된 후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곡선적 형상은 4부분이 모두 서로 용기 중심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미관상 안정된 느낌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Preferably, as shown in an enlarged view of the upper portion of FIG. 2, the upper protrusion 130 of the first seating surface 120 and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330 of the separator 300 are curved in plan view. It can be configured to further strengthen the bonding force after it is formed and fully inserted. The curved shape may provide aesthetically stable feeling that all four parts are construct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container.

또한,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본 고안은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단 테두리부(110)의 내측 변 4곳에는 용기 본체 상의 4곳의 제1 안착면(120)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안착면(140)이 같은 높이에 형성되어 분리판(300)을 지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분리판(300)의 변의 가운데 영역에서 수직 하방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저항하여 분리판(300)이 휘어져 내려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referring back to FIG. 2,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cond inner side of the upper edge portion 110 of the container body 100 that connects between four first seating surfaces 120 on the container body. The seating surface 140 may be formed at the same height and installed to support the separator 300. Therefore, the separator 300 may be prevented from falling down in response to an external force acting vertically downward in the center region of the side of the separator 300.

도 1 및 도 3(b)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분리판(300)은 분리용 형상(311)이 형성되는 베이스판(310), 상기 베이스판(310)의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보강 리브(320), 및 상기 베이스판(31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보강 리브(340)를 포함할 수 있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310)의 상기 제2 보강 리브(340)의 외각 영역(312)이 상기 용기 본체(100)의 제1 안착면(120) 및 제2 안착면(140) 상에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1 and 3 (b) together, the separation plate 300 is formed of a base plate 310, the upper portion formed along the edge of the base plate 310, the separation shape 311 is formed 1 may include a reinforcing rib 320 and a second reinforcing rib 340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310, and as shown in FIG. The outer region 312 of the second reinforcing rib 340 may be configured to be seated on the first seating surface 120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140 of the container body 100.

상기 돌기 삽입구(330)는 상기 외각 영역(312)의 가장자리 4곳에 형성되어 용기 본체(100)의 4개의 상방 돌기부(130)에 결합됨으로써 분리판(300)의 외력에 의한 하향 가압시 분리판(300)이 용기 본체(100)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거나 비틀려 불완전하게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330 is formed at four edges of the outer region 312 and is coupled to the four upper protrusions 130 of the container body 100 so that the separator plate is pressed downward by an external force of the separator 300 ( 30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pushed into the container body 100 or twisted and maintained in an incompletely inserted state.

도 4는 도 3(a)의 A 부분 절단면 구성도로서, 분리판의 결합 전후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utaway portion A of FIG. 3 (a), which illustrates a configuration before and after the separation plate is engaged. Referring to Figure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로서,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단 테두리부(110)의 내벽은 상기 분리판(300)의 삽입 방향을 따라 개구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분리판(300)이 용기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될 때에 쉽게 삽입되면서도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테두리부(110)의 내벽이 하단에 밀착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결합 후의 분리판(300)의 분리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Referring to FIG. 4, as an exemplary embodiment, the inner wall of the upper edge portion 110 of the container body 100 may be inclined to narrow the width of the opening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separator 300. have. Therefore, when the separation plate 300 is easily inserted and completely inserted when the container body 100 is inserted into the container body 100, the inner wall of the edge portion 110 may be tight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separation plate 300 after the coupling. The possibility of separation can be minimized.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판(300)의 돌기 삽입구(330)에 상기 상방 돌기부(130)가 삽입될 때에 상기 분리판(300)의 제1 보강 리브(320)는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기 제1 안착면(120) 상에 돌출 형성된 상방 돌기부(130)와 상기 상단 테두리부(110) 사이의 사잇 공간(118)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삽입된 분리판(300)은 더이상 용기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when the upper protrusion 130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330 of the separating plate 300, the first reinforcing rib 320 of the separating plate 300 is the container. It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into the interspace 118 between the upper protrusion 130 and the upper edge portion 110 protruding on the first seating surface 120 of the main body 100 in a force-fitting manner. Therefore, the inserted separator 300 may no longer be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body 100 and may remain firmly coupled.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상기 상단 테두리부(110)의 내벽은 하방으로 경사 형성된 상단 경사면(110u) 및 상기 상단 경사면(110u)의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상단 경사면(110u)보다 기울기가 작은 하단 경사면(110d)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분리판(300)이 상단 경사면(110u)를 통과하는 과정은 용이하게 하고, 하단 경사면(110d)에 진입된 상태에서는 거의 수직으로 유지하여 결합 후의 상방향으로의 분리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경사를 달리한 2단 구조로 구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wall of the upper edge portion 110 is formed below the upper inclined surface 110u and the upper inclined surface 110u which are inclined downward, and has an inclination greater than that of the upper inclined surface 110u.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mall bottom slope 110d. This configuration facilitates the process of the separation plate 300 passing through the upper inclined surface (110u) and, while entering the lower inclined surface (110d) can be maintained almost vertical to minimize the possibility of separation in the upward direction after joining. It consists of two stages with different slopes.

도 5는 도 3(a)의 B1 부분 절단면 구성도(b)와 B2 부분 절단면 구성도(a)이다. 도 5를 도 3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리판(300)의 제2 보강리브(340)에는 밀착 돌기(350)가 용기 본체(100)의 내면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판(300)의 가장자리는 용기 본체(100)의 제1 및 제2 안착면(120, 140) 상에 걸려 안착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데, 제2 보강리브(340)에 형성된 밀착 돌기(350)는 외력에 의하여 분리판(300)이 휘어져 제2 보강 리브(340)가 용기 본체(100)의 내면 방향으로 밀려 휘어지는 것을 억제하여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FIG. 5: is B1 partial cutaway block diagram (b) of FIG. 3 (a), and B2 partial cutaway block diagram (a). Referring to FIG. 5 together with FIG. 3, a close protrusion 350 may be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00 in the second reinforcing rib 340 of the separator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 the edges of the separator plate 300 should be held and seated on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surfaces 120 and 140 of the container body 100. The adhesion protrusion 350 formed on the 340 prevents the separation plate 300 from being bent by the external force, thereby preventing the second reinforcing rib 340 from being pushed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00 to maintain a stable state.

또한, 도 6은 도 1의 용기 본체의 저면 사시도이고, 용기 본체(100)의 제1 안착면(120)에 대응하는 외부 노출면(120b)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품의 사출 형성에 있어서, 용기 본체(100)의 두께와 테두리부(110)의 두께를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필요없는 두께를 제거하고 반드시 필요한 구성요소만를 위한 두께로 제품을 제작하기 위한 결과이다.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container body of FIG. 1, and it can be seen that an external exposed surface 120b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ating surface 120 of the container body 100 is formed. In the injection molding of the produc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aintaining the thickness of the container body 100 and the thickness of the edge portion 110 to remove the unnecessary thickness and to manufacture the product to the thickness for only the necessary components only Is the result.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고안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depart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matters that can be easily inferred from the appended drawings should be regarded as included in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y are not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will be separate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ro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 will not.

Claims (3)

용기 본체(100), 뚜껑(200), 및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단에 설치되어 의료용 폐기물을 분리하기 위한 복수의 분리용 형상(311)이 형성된 분리판(300)으로 구성되는 의료용 폐기물 전용용기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300)을 상기 용기 본체에 설치하기 위한 의료용 폐기물 전용용기의 분리판 설치 구조로서,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단 테두리부(110)의 내측 가장자리 4곳에 상기 분리판(300)을 받치기 위한 제1 안착면(12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안착면(120) 상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된 상방 돌기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분리판(300)의 가장자리 4곳에는 상기 분리판(300)이 상기 제1 안착면(120) 상에 안착되는 동안에 상기 상방 돌기부(130)가 수직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는 돌기 삽입구(330)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단 테두리부(110)의 내측 변 4곳에는 상기 제1 안착면(120) 사이를 연결하는 제2 안착면(140)이 형성되고,
상기 분리판(300)은 분리용 형상(311)이 형성되는 베이스판(310), 상기 베이스판(310)의 테두리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보강 리브(320), 및 상기 베이스판(31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제2 보강 리브(340)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판(310)의 상기 제2 보강 리브(340)의 외각 영역(312)이 상기 용기 본체(100)의 제1 안착면(120) 및 제2 안착면(140) 상에 안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돌기 삽입구(330)는 상기 외각 영역(312)의 가장자리 4곳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단 테두리부(110)의 내벽은 상기 분리판(300)의 삽입 방향을 따라 개구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경사 형성되고,
상기 분리판(300)의 돌기 삽입구(330)에 상기 상방 돌기부(130)가 삽입될 때에, 상기 분리판(300)의 제1 보강 리브(320)는, 상기 용기 본체(100)의 상기 제1 안착면(120) 상에 돌출 형성된 상방 돌기부(130)와 상기 상단 테두리부(110) 사이의 사잇 공간(118)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삽입되며,
상기 상단 테두리부(110)의 내벽은 하방으로 경사 형성된 상단 경사면(110u) 및 상기 상단 경사면(110u)의 아래에 형성되고 상기 상단 경사면(110u)보다 기울기가 작은 하단 경사면(110d)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판(300)의 제2 보강리브(340)에는, 상기 용기 본체(100)의 내면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밀착 돌기(350)가 형성되며,
상기 용기 본체(100)의 외부에는, 상기 용기 본체(100)의 제1 안착면(120)에 대응되도록 외부 노출면(120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폐기물 전용용기의 분리판 설치 구조.
Medical waste dedicated to the container body 100, the lid 200, and the separator plate 300 is provided on the top of the container body 10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paration shapes 311 for separating the medical waste. In the container,
As the separator plat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medical waste container for installing the separator plate 300 in the container body,
A first seating surface 120 for supporting the separation plate 300 is formed at four inner edges of the upper edge portion 110 of the container body 100,
On the first seating surface 120 is formed an upper protrusion 130 protruding upwards,
Protrusion insertion holes 330 into which the upper protrusion 130 can be inser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separator plate 300 is seated on the first seating surface 120 at four edges of the separator plate 300. Is formed,
Four inner sides of the upper edge portion 110 of the container body 100 is formed with a second seating surface 140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seating surface 120,
The separation plate 300 includes a base plate 310 having a separation shape 311 formed therein, a first reinforcing rib 320 extending upward along an edge of the base plate 310, and the base plate 310. A second reinforcing rib 340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bottom)
The outer region 312 of the second reinforcing rib 340 of the base plate 310 is configured to be seated on the first seating surface 120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140 of the container body 100. ,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s 330 are formed at four edges of the outer region 312,
The inner wall of the upper edge portion 110 of the container body 100 is inclined so as to narrow the width of the opening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separation plate 300,
When the upper protrusion 130 is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insertion hole 330 of the separating plate 300, the first reinforcing rib 320 of the separating plate 300 is the first of the container body 100. It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upper protrusion 130 and the upper edge portion 110 protruding on the seating surface 120 by way of interference fit method,
The inner wall of the upper edge portion 110 includes an upper inclined surface 110u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nd a lower inclined surface 110d formed below the upper inclined surface 110u and having a smaller inclination than the upper inclined surface 110u.
In the second reinforcing rib 340 of the separating plate 300, a close protrusion 350 is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100,
Separation plate mounting structure of the container for medical wast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exposed surface (120b) is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100 to correspond to the first seating surface (120) of the container body (100).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80004562U 2018-10-05 2018-10-05 Split Plate Installment Structure of Container for Medical Waste KR20049114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562U KR200491148Y1 (en) 2018-10-05 2018-10-05 Split Plate Installment Structure of Container for Medical Was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4562U KR200491148Y1 (en) 2018-10-05 2018-10-05 Split Plate Installment Structure of Container for Medical Was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148Y1 true KR200491148Y1 (en) 2020-02-27

Family

ID=69638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562U KR200491148Y1 (en) 2018-10-05 2018-10-05 Split Plate Installment Structure of Container for Medical Was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148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989A (en) 2020-12-08 2022-06-15 이영희 Syringe Needle Separator
KR102519853B1 (en) 2022-06-17 2023-04-10 김응석 A mdical waste storage container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897A (en) * 2005-01-26 2005-02-28 이희순 shut vessel for danger waste
KR200384582Y1 (en) * 2005-03-04 2005-05-16 이창용 A vessel for infectious waste
KR200384588Y1 (en) 2005-03-04 2005-05-16 이창용 A vessel for infectious waste
KR200384892Y1 (en) * 2005-02-18 2005-05-23 김영재 A vessel for infectious waste
KR200389957Y1 (en) 2005-05-04 2005-07-18 김종대 Shut vessel for catching waste
KR200389935Y1 (en) * 2005-02-07 2005-07-18 김종옥 Infecting waste case
KR20060113087A (en) * 2005-04-29 2006-11-02 구기홍 The infection waste collecting courage which is used in medical treatment
KR20080001377U (en) * 2008-05-07 2008-05-27 이동우 Container for collecting medical wastes
US20090173744A1 (en) * 2008-01-03 2009-07-09 Hassell Jon P Container with lid
KR101483186B1 (en) * 2014-09-17 2015-01-16 박형용 A collection box of an infectin waste for medicaltreatment
KR20170003370A (en) * 2015-06-30 2017-01-09 김성수 Shut vessel for catching waste
KR20170033201A (en) * 2015-09-16 2017-03-24 김종대 Shut vessel for catching waste
KR20170067010A (en) * 2015-12-07 2017-06-15 김종대 Shut vessel for waste
KR20180058921A (en) 2016-11-25 2018-06-04 김종대 Cover Structure of shut vessel for catching waste
KR20190025483A (en) * 2017-09-01 2019-03-11 주식회사 알링크 Fine dust removal system with conductive filter module

Patent Citation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897A (en) * 2005-01-26 2005-02-28 이희순 shut vessel for danger waste
KR200389935Y1 (en) * 2005-02-07 2005-07-18 김종옥 Infecting waste case
KR200384892Y1 (en) * 2005-02-18 2005-05-23 김영재 A vessel for infectious waste
KR200384582Y1 (en) * 2005-03-04 2005-05-16 이창용 A vessel for infectious waste
KR200384588Y1 (en) 2005-03-04 2005-05-16 이창용 A vessel for infectious waste
KR20060113087A (en) * 2005-04-29 2006-11-02 구기홍 The infection waste collecting courage which is used in medical treatment
KR200389957Y1 (en) 2005-05-04 2005-07-18 김종대 Shut vessel for catching waste
US20090173744A1 (en) * 2008-01-03 2009-07-09 Hassell Jon P Container with lid
KR20080001377U (en) * 2008-05-07 2008-05-27 이동우 Container for collecting medical wastes
KR101483186B1 (en) * 2014-09-17 2015-01-16 박형용 A collection box of an infectin waste for medicaltreatment
KR20170003370A (en) * 2015-06-30 2017-01-09 김성수 Shut vessel for catching waste
KR20170033201A (en) * 2015-09-16 2017-03-24 김종대 Shut vessel for catching waste
KR20170067010A (en) * 2015-12-07 2017-06-15 김종대 Shut vessel for waste
KR20180058921A (en) 2016-11-25 2018-06-04 김종대 Cover Structure of shut vessel for catching waste
KR20190025483A (en) * 2017-09-01 2019-03-11 주식회사 알링크 Fine dust removal system with conductive filter modul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989A (en) 2020-12-08 2022-06-15 이영희 Syringe Needle Separator
KR102535765B1 (en) 2020-12-08 2023-05-24 이영희 Syringe Needle Separator
KR102519853B1 (en) 2022-06-17 2023-04-10 김응석 A mdical waste storage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91148Y1 (en) Split Plate Installment Structure of Container for Medical Waste
EP1487711B1 (en) Plastic paint can
US20080000904A1 (en) Tamper evident container
US3984027A (en) Food service package
EP2223862A1 (en) Pail having lip with a plurality of flanges and lid
US3189185A (en) Seal and seal rack
US8701918B2 (en) Metallic lid for a can
JP3938306B2 (en) Pouring cap
US8151383B2 (en) Juvenile bathing unit
JP2018503563A (en) Container cap assembly
JP3925768B2 (en) Container with synthetic resin lid
KR101506421B1 (en) Spuit
KR100861241B1 (en) A cover of an airtight container
CN218588807U (en) Pot cover of pressure cooking utensil
KR200383322Y1 (en) Vessel made of metal
US11091300B2 (en) Securing device for box
WO2023221208A1 (en) Up-down assembling type trash can
CN208447206U (en) A kind of cooking apparatus
KR200353786Y1 (en) Rice cake steamer including separable packing
CN210961525U (en) Cooking utensil with handle structure
CN115381320B (en) One-key lock and one-key release hinge device for toilet lid
CN211609217U (en) Cooking utensil and pot lid thereof
KR101956857B1 (en) Sealing cap of powder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JP5137678B2 (en) Resin cap
JP3929640B2 (en) Container with plate for op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