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053Y1 - 컵 뚜껑 - Google Patents

컵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053Y1
KR200491053Y1 KR2020180003785U KR20180003785U KR200491053Y1 KR 200491053 Y1 KR200491053 Y1 KR 200491053Y1 KR 2020180003785 U KR2020180003785 U KR 2020180003785U KR 20180003785 U KR20180003785 U KR 20180003785U KR 200491053 Y1 KR200491053 Y1 KR 2004910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handle
protrusion
straw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37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중규
조문기
Original Assignee
비알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알코리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알코리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80003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0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0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0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31/00Means for facilitating the complete expelling of the contents
    • B65D2231/0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 B65D2231/022Precut holes or weakened zones for permitting the insertion of a tubular contents-removing device, e.g. a drinking stra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은, 컵의 상단부에 가장자리 부위가 결합되며, 중앙 부위에 개구를 갖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개구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몸체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빨대가 삽입되기 위한 제1 빨대 구멍이 구비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빨대 구멍에 삽입된 상기 빨대로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를 회전시켜 상기 컵의 내용물을 저을 수 있다.

Description

컵 뚜껑{Cup lid}
본 고안은 컵 뚜껑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이 가능한 컵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컵 뚜껑은 컵의 상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컵의 개구부를 밀폐한다. 따라서,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컵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컵에 담긴 음료수와 같은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컵 뚜껑에는 빨대 구멍이 구비된다. 상기 빨대 구멍으로 빨대를 삽입하고 상기 빨대를 통해 상기 컵의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빨대로 상기 컵의 내용물을 저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컵에 결합된 상기 컵 뚜껑이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므로, 상기 빨대로 상기 컵의 내용물을 젓는데 한계가 있으며, 쉽게 젓기 어렵다.
본 고안은 컵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한 컵 뚜껑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컵 뚜껑은, 컵의 상단부에 가장자리 부위가 결합되며, 중앙 부위에 개구를 갖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개구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몸체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빨대가 삽입되기 위한 제1 빨대 구멍이 구비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빨대 구멍에 삽입된 상기 빨대로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를 회전시켜 상기 컵의 내용물을 저을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몸체부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 몸체부가 상기 제1 몸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한 상기 제2 몸체부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2 몸체부의 하부면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 가장자리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탄성 돌기들이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몸체부(120)의 체결 및 분리시 상기 탄성 돌기들이 상기 제1 몸체부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 돌기들 각각은 중앙 부위가 상기 제2 몸체부의 외측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를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1 몸체부는 내측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제2 몸체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플랜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컵 뚜껑은, 상기 제2 몸체부에서 상기 제1 빨대 구멍이 형성된 부위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빨대 구멍의 길이를 연장하는 관 형태의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상기 제1 빨대 구멍과 연결되는 제2 빨대 구멍을 갖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에서 상단 부위의 외측면은 둘레를 따라 다각형 모양을 가지며, 상기 상단 부위가 탄성을 갖도록 절개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상단 부위와 맞물리도록 상기 손잡이부에서 하단 부위의 내측면도 다각형 모양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에 대해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하는 힘에 의해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절개홈들이 형성된 상단 부위가 내부를 향해 휘어진 후 복원되면서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면과 충돌하면서 소리를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에서 상단 부위 및 상기 손잡이부에서 하단 부위가 각각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부를 손잡이로 하여 상기 돌출부에 대해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부는 태엽 손잡이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컵 뚜껑은 상기 컵의 상단부에 결합된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해 제1 빨대 구멍이 구비된 제2 몸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빨대 구멍에 삽입된 상기 빨대로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컵의 내용물을 저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컵의 내용물을 쉽게 저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컵 뚜껑은, 상기 돌출부에서 상단 부위 및 상기 손잡이부에서 하단 부위가 각각 원기둥 형태를 갖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를 손잡이로 하여 상기 돌출부에 대해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빨대 구멍에 상기 빨대가 끼워진 경우, 상기 제2 몸체부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빨대가 상기 컵의 내용물을 저울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컵 뚜껑은, 상기 돌출부의 상단 부위와 상기 손잡이부의 하단 부위가 서로 맞물리면서 다각형 모양을 갖는다. 상기 돌출부에 대해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돌출부의 상단 부위가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면과 충돌하면서 반복적으로 소리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소리가 태엽 감는 소리와 유사하여 이용자에게 재미를 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컵 뚜껑은 상기 제1 몸체부의 하부면 내측 가장자리를 지지하는 다수의 탄성 돌기들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돌기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몸체부를 상기 제1 몸체부에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상기 제1 몸체부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컵 뚜껑의 조립과 해체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2 몸체부와 돌출부의 결합 관계에 대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돌출부의 상단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손잡이부의 하단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의 상단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손잡이부의 하단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이 컵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제2 몸체부와 돌출부의 결합 관계에 대한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돌출부의 상단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손잡이부의 하단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고,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의 상단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및 손잡이부의 하단 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고,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컵 뚜껑이 컵에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컵 뚜껑(100)은 제1 몸체부(110), 제2 몸체부(120), 돌출부(130) 및 손잡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110)는 외측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제1 플랜지(112)를 갖는다. 상기 제1 플랜지(112)는 하방을 향해 절곡된 형태이다. 상기 제1 플랜지(112)는 컵(10)의 상단부에 끼움 결합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 플랜지(112)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걸림턱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턱이 상기 컵(10)의 상단부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1 몸체부(110)가 상기 컵(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몸체부(110)는 중앙 부위에 개구(114)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1 몸체부(110)는 대략 고리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몸체부(110)는 내측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제2 플랜지(116)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플랜지(116)는 상기 제2 몸체부(12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부(120)는 상기 개구(114)를 덮도록 상기 개구(114)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몸체부(11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몸체부(120)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1 몸체부(110)의 내측 가장자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몸체부(120)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2 플랜지(11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몸체부(120)의 하부면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다수개의 탄성 돌기들(12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돌기들(122)은 상기 제2 몸체부(120)의 하부면 가장자리의 둘레를 다라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돌기들(122)은 상기 제1 몸체부(110)의 내측 가장자리, 즉 상기 제2 플랜지(116)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몸체부(120)가 상기 제1 몸체부(1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110)의 상기 제2 플랜지(116)가 상기 제2 몸체부(120)의 가장자리와 상기 탄성 돌기들(122) 사이에 끼워진다. 그러므로, 상기 제2 몸체부(120)가 상기 제1 몸체부(110)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제2 몸체부(120)가 상기 제2 플랜지(116)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돌기들(122)은 각각 중앙 부위가 상기 제2 몸체부(120)의 외측을 향해 절곡된 절곡부(122a)를 갖는다. 상기 절곡부(122a)가 상기 제2 플랜지(116)의 하부면을 지지한다.
상기 제2 몸체부(120)를 상기 제1 몸체부(110)에 결합하기 위해 상기 제2 몸체부(120)를 상기 개구(114)의 상방에서 하강시키는 경우, 상기 제2 몸체부(120)를 하강시키는 힘에 의해 상기 탄성 돌기들(122)이 상기 제2 몸체부(120)의 중심을 향해 휘어졌다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절곡부(122a)가 상기 제2 플랜지(116)의 하부면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2 몸체부(120)를 상기 제1 몸체부(1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상기 제2 몸체부(120)를 상기 개구(114)의 상방으로 상승시키는 경우, 상기 제2 몸체부(120)를 하강시키는 힘에 의해 상기 탄성 돌기들(122)이 상기 제2 몸체부(120)의 중심을 향해 휘어졌다가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면서 상기 탄성 돌기들(122)이 상기 제2 플랜지(116)와 분리된다.
상기 탄성 돌기들(122)이 각각 상기 제2 몸체부(120)의 외측을 향해 절곡된 절곡부(122a)를 가지므로, 상기 제2 몸체부(120)의 체결 및 분리시 상기 탄성 돌기들(122)이 상기 제2 플랜지(116)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몸체부(110)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120)를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탄성 돌기들(122)은 대략 ‘L’자 형태를 가지며, 각각 상기 제2 몸체부(120)의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몸체부(120)는 제1 빨대 구멍(124)을 갖는다. 상기 제1 빨대 구멍(124)을 통해 빨대(20)가 삽입된다. 상기 제1 빨대 구멍(124)에 삽입된 상기 빨대(20)로 상기 제1 몸체부(110)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12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컵(10)의 내용물을 저을 수 있다.
상기 제1 빨대 구멍(124)이 상기 제2 몸체부(120)의 중앙 부위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 빨대 구멍(124)의 위치가 상기 제2 몸체부(120)의 회전 중심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므로, 상기 제1 빨대 구멍(124)에 삽입된 상기 빨대(20)로 상기 제1 몸체부(110)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120)를 회전시키기 어렵다.
상기 제1 빨대 구멍(124)의 위치를 상기 제2 몸체부(120)의 회전 중심과 다르게 하기 위해 상기 제1 빨대 구멍(124)은 상기 제2 몸체부(120)의 가장자리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빨대 구멍(124)에 삽입된 상기 빨대(20)로 상기 제1 몸체부(110)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120)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서로 결합된 상기 제1 몸체부(110) 및 상기 제2 몸체부(120)는 상방으로 볼록한 반구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컵(10)의 내용물이 상기 제1 빨대 구멍(124)을 통해 유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로 결합된 상기 제1 몸체부(110) 및 상기 제2 몸체부(120)는 평판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제2 몸체부(120)에서 상기 제1 빨대 구멍(124)이 형성된 부위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돌출부(130)는 상기 제2 몸체부(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몸체부(120)와 상기 돌출부(130)는 서로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몸체부(120)에서 상기 제1 빨대 구멍(124)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관통홀(126)들이 서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돌출부(130)의 하부면에는 탄성을 갖는 다수의 걸림돌기(132)들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돌기(132)들이 상기 관통홀(126)들에 각각 삽입되어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몸체부(120)와 상기 돌출부(130)는 서로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132)들이 탄성을 가지므로, 상기 돌출부(130)를 상기 제2 몸체부(1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몸체부(120)와 상기 돌출부(130)는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부(120)와 상기 돌출부(130)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2 몸체부(120)와 상기 돌출부(130)를 일체로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구조가 복잡해진다. 그러므로, 상기 제2 몸체부(120)와 상기 돌출부(130)를 일체로 성형하기 쉽지 않다.
상기 제2 몸체부(120)와 상기 돌출부(130)가 각각 성형되는 경우, 상기 제2 몸체부(120) 및 상기 돌출부(130)를 각각 성형하기 위한 금형들의 구조가 단순해진다. 따라서, 상기 제2 몸체부(120) 및 상기 돌출부(130)를 각각 성형하기가 용이하다.
상기 제2 몸체부(120)와 상기 돌출부(130)를 각각 성형하여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컵 뚜껑(100)을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40)는 상기 돌출부(130)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상기 손잡이부(140)는 상하를 관통하는 제2 빨대 구멍(142)을 갖는다. 상기 제2 빨대 구멍(142)은 상기 제1 빨대 구멍(124)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빨대(20)는 상기 제1 빨대 구멍(124) 및 상기 제2 빨대 구멍(142)에 동시에 끼워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130)에서 상단 부위의 외측면(130a)은 둘레를 따라 정다각형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정다각형의 예로는 원 모양에 가까운 정육각형, 정팔각형, 정십각형, 정십이각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돌출부(130)의 상단 부위에는 다수의 절개홈들(132)이 구비된다. 상기 절개홈들(132)은 상기 돌출부(130)의 상단에서부터 하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형성된다. 상기 절개홈들(132)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들(132)이 구비되므로, 상기 돌출부(130)에 대해 상기 돌출부(130)의 상단 부위가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40)에서 하단 부위의 내측면(140a)도 둘레를 따라 정다각형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돌출부(130)에서 상단 부위의 외측면(130a)과 상기 손잡이부(140)에서 하단 부위의 내측면(140a)은 서로 동일한 정다각형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40)가 상기 돌출부(130)에 끼워지므로, 상기 돌출부(130)에서 상단 부위의 외경은 상기 손잡이부(140)에서 하단 부위의 내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30)의 상단 부위와 상기 손잡이부(140)의 하단 부위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돌출부(130)에서 상단 부위의 외측면(130a)에 둘레를 따라 돌기들이 구비되고, 상기 손잡이부(140)에서 하단 부위의 내측면(140a)에 둘레를 따라 상기 돌기들을 수용하는 수용홈들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130)의 상단 부위와 상기 손잡이부(140)의 하단 부위가 서로 맞물릴 수 있다.
상기 돌출부(130)의 상단 부위와 상기 손잡이부(140)의 하단 부위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130)에 대해 상기 손잡이부(140)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140)가 회전하는 힘에 의해 상기 돌출부(130)에서 상기 절개홈들(132)이 형성된 상단 부위가 내부를 향해 휘어진 후 원위치로 복원된다. 이때, 상기 돌출부(130)의 상단 부위가 상기 손잡이부(140)의 하단 부위와 충돌하면서 소리를 발생한다. 상기 소리가 태엽 감는 소리와 유사하여 이용자에게 재미를 줄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돌출부(130)에서 상단 부위가 원기둥 형태이며, 상기 손잡이부(140)에서 하단 부위가 원기둥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40)가 상기 돌출부(130)에 끼워지므로, 상기 돌출부(130)와 상기 손잡이부(140)가 서로 부드럽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140)를 손잡이로 하여 상기 돌출부(130)에 대해 상기 손잡이부(140)를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제1 몸체부(110)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1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빨대 구멍(124) 및 상기 제2 빨대 구멍(142)에 상기 빨대(20)가 끼워진 경우, 상기 제2 몸체부(120)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빨대(20)가 상기 컵(10)의 내용물을 쉽게 저울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빨대 구멍(124) 및 상기 제2 빨대 구멍(142)에 상기 빨대(20)를 끼운 후, 상기 빨대(20)로 상기 제1 몸체부(110)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12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
상기 손잡이부(140)는 태엽 손잡이 모양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140)의 심미감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40)가 태엽 손잡이 모양을 가지고, 상기 손잡이부(14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태엽 감는 소리와 유사한 소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140)의 모양과 상기 손잡이부(140)를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소리가 잘 어울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140)가 태엽 손잡이 모양을 갖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140)를 잡기가 용이하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부(140)를 쉽게 회전시키거나, 상기 손잡이부(140)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몸체부(120)를 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부(140)는 태엽 손잡이 모양 이외에 다양한 모양을 가질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컵 뚜껑 110 : 제1 몸체부
112 : 제1 플랜지 114 : 개구
116 : 제2 플랜지 120 : 제2 몸체부
122 : 탄성 돌기 122a : 절곡부
124 : 제1 빨대 구멍 130 : 돌출부
132 : 절개홈 140 : 손잡이부
142 : 제2 빨대 구멍 10 : 컵
20 : 빨대

Claims (8)

  1. 컵의 상단부에 가장자리 부위가 결합되며, 중앙 부위에 개구를 갖는 제1 몸체부; 및
    상기 개구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몸체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빨대가 삽입되기 위한 제1 빨대 구멍이 구비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빨대 구멍에 삽입된 상기 빨대로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를 회전시켜 상기 컵의 내용물을 저을 수 있으며,
    상기 제2 몸체부에서 상기 제1 빨대 구멍이 형성된 부위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빨대 구멍의 길이를 연장하는 관 형태의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워지며, 상기 제1 빨대 구멍과 연결되는 제2 빨대 구멍을 갖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 가장자리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 몸체부가 상기 제1 몸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한 상기 제2 몸체부의 회전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제2 몸체부의 하부면 가장자리 부위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몸체부의 내측 가장자리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다수의 탄성 돌기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120)의 체결 및 분리시 상기 탄성 돌기들이 상기 제1 몸체부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탄성 돌기들 각각은 중앙 부위가 상기 제2 몸체부의 외측을 향해 절곡되는 절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는 내측 가장자리의 둘레를 따라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제2 몸체부의 가장자리는 상기 플랜지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서 상단 부위의 외측면은 둘레를 따라 다각형 모양을 가지며, 상기 상단 부위가 탄성을 갖도록 절개홈들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상단 부위와 맞물리도록 상기 손잡이부에서 하단 부위의 내측면도 다각형 모양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에 대해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손잡이부가 회전하는 힘에 의해 상기 돌출부에서 상기 절개홈들이 형성된 상단 부위가 내부를 향해 휘어진 후 복원되면서 상기 손잡이부의 내측면과 충돌하면서 소리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서 상단 부위 및 상기 손잡이부에서 하단 부위가 각각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부를 손잡이로 하여 상기 돌출부에 대해 상기 손잡이부를 회전시키면서 동시에 상기 제1 몸체부에 대해 상기 제2 몸체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태엽 손잡이 모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 뚜껑.
KR2020180003785U 2018-08-14 2018-08-14 컵 뚜껑 KR2004910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785U KR200491053Y1 (ko) 2018-08-14 2018-08-14 컵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3785U KR200491053Y1 (ko) 2018-08-14 2018-08-14 컵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053Y1 true KR200491053Y1 (ko) 2020-02-12

Family

ID=69494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3785U KR200491053Y1 (ko) 2018-08-14 2018-08-14 컵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053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2885U (ja) * 2000-04-28 2000-11-02 ニッスイ工業株式会社 ストロー付きキャップ
JP2008213844A (ja) * 2007-02-28 2008-09-18 Pigeon Corp 飲料容器
CN107981659A (zh) * 2017-12-06 2018-05-04 郑州游爱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可视观察的密封搅拌咖啡杯
KR20180089408A (ko) * 2015-12-02 2018-08-08 워터리오 엘티디 사용자가 컨테이너에서 음료수를 마시도록 하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2885U (ja) * 2000-04-28 2000-11-02 ニッスイ工業株式会社 ストロー付きキャップ
JP2008213844A (ja) * 2007-02-28 2008-09-18 Pigeon Corp 飲料容器
KR20180089408A (ko) * 2015-12-02 2018-08-08 워터리오 엘티디 사용자가 컨테이너에서 음료수를 마시도록 하는 장치
CN107981659A (zh) * 2017-12-06 2018-05-04 郑州游爱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可视观察的密封搅拌咖啡杯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3072885 U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37785B2 (ja) 第2の容器付きプッシュボタンフリップトップ
GB2564758A (en) A valve assembly
KR200491053Y1 (ko) 컵 뚜껑
US10470548B2 (en) Cosmetic container having identification means
EP2199041A1 (en) Cutting line formative device for lump type fruit and plant
KR200420228Y1 (ko) 용기 안전 캡
JP6684196B2 (ja) 注出キャップ
US6902142B1 (en) Cup bottom extension apparatus
JP6599506B1 (ja) 飲料ボトルの蓋
KR101145807B1 (ko) 덩이 형태의 과일 및 식물의 가공 성형장치
US20110303096A1 (en) Tea pot having a replaceable strainer
JP6335522B2 (ja) 流体容器用の逆流防止弁機構
TWM542960U (zh) 安全帽鏡片掀蓋調整定位裝置(二)
JP4382563B2 (ja) ゴルフティ
JP2018012535A (ja) 鏡餅容器
JP5902942B2 (ja) 容器のキャップ構造
JP6377014B2 (ja) 二重容器
JP4786256B2 (ja) 液注出容器
CN219478975U (zh) 一种鱼桶盖组件及鱼桶
JP2010213897A (ja) 傘の構成部品の取付け構造
KR20190050215A (ko) 립스틱 용기
JP7365666B2 (ja) キャップ
KR102462835B1 (ko) 사이즈 조절이 가능한 주방용기 뚜껑
CN202145985U (zh) 自动伞的下巢结构
KR102139301B1 (ko) 조립식 pet 손잡이를 구비한 pet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