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420Y1 -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 Google Patents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420Y1
KR200490420Y1 KR2020170003579U KR20170003579U KR200490420Y1 KR 200490420 Y1 KR200490420 Y1 KR 200490420Y1 KR 2020170003579 U KR2020170003579 U KR 2020170003579U KR 20170003579 U KR20170003579 U KR 20170003579U KR 200490420 Y1 KR200490420 Y1 KR 2004904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member
fastening device
fastening
protrusion
abu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5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171U (ko
Inventor
정좌락
Original Assignee
(주)포인트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포인트닉스 filed Critical (주)포인트닉스
Priority to KR20201700035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420Y1/ko
Publication of KR201900001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1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4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4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8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n additional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59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additional friction enhanc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61C8/006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with polygonal positional means, e.g. hexagonal or octagon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체결장치에 있어서,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가 결합된 결합상태에서 제1체결부재의 내부에 위치되는 영역으로서, 제1체결부재의 내부에 위치될 때 제1체결부재의 내측면과 접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고정부; 및 고정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제2체결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 를 포함하며, 고정부는 체결장치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로 형성되어 있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Tightening apparatus with structure for anti-loosing and dental implant including the same}
본 고안은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를 체결할 때 쓰이는 체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부재와 제2부재의 결합이 풀리지 않도록 체결할 수 있고, 체결 후 분리가 용이한 풀림방지구조를 갖는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별도의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를 체결할 때 강한 결합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 볼트와 너트로 이를 결합하였고, 간단하게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를 결합할 때에는 나사 등을 이용하여 조립하여왔다. 이와 같은 볼트나 나사를 이용할 경우, 제1체결부재나 제2체결부재에 나사산을 구비하여 이를 따라 볼트나 나사를 결합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다.
예를 들어, 치과용 임플란트 시술을 하는 경우에도,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를 결합시킬 때 강한 결합력이 필요하여 볼트나 나사와 같은 스크류 부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치과용 임플란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매입 고정되는 픽스츄어(F), 픽스츄어(F)에 결합되어 연결부위를 이루는 어버트먼트(A)와 어버트먼트(A)에 고정되어 인공치아의 헤드를 이루는 크라운(T)으로 구성된다.
픽스츄어(F)는 외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통해 치조골에 식립되어 힐링기간을 거친 후, 어버트먼트(A) 및 크라운(T)을 결합하여 시술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어버트먼트(A)는 그 자체로 픽스츄어(F)에 결합되는 경우도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결합용 볼트(B)를 이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임플란트 결합구조는 픽스츄어(F)와 어버트먼트(A)가 볼트(B)에 의해 단순하게 체결되는 구조이므로, 지속적인 음식물 저작에 의해 어버트먼트(A)가 유동하면서 미세하게 회전하여 픽스츄어(F)에서 풀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어버트먼트(A)가 풀린 상태에서 음식물을 계속 저작하게 되면 어버트먼트(A)가 손상되거나, 심한 경우 픽스츄어(F)가 손상되며 이러한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크라운(T)을 분리시키거나 전체 구조물을 분리하여 재시술 해야 하는 번거로움뿐 만 아니라, 어버트먼트(A)와 픽스츄어(F) 사이에 공간이 발생하게 되어 박테리아, 세균 감염 등의 문제가 있게 된다.
또한, 픽스츄어(F)에 결합된 어버트먼트(A)가 저작압을 과도하게 받아 결합용 볼트(B)가 파절되는 경우 제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게 된다.
(실용신안 문헌 001) 실용신안 등록공보 제0269113호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장치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를 결합하는 체결장치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픽스츄어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장치를 픽스츄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체결장치에 있어서,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가 결합된 결합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부에 위치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부에 위치될 때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측면과 접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제2체결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체결장치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자유단, 상기 결합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측면과 접하는 제1면, 상기 결합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측면과 접하지 않는 제2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은 각각 곡면 형상을 포함하며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면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매입 고정되는 픽스츄어,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및 상기 픽스츄어와 상기 어버트먼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장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장치를 구성하는 돌출부 구조는 탄성력에 의해 개방상태와 폐쇄상태가 가능하며, 돌출부 구조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 제1체결부재의 내측면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강한 고정력이 생기므로 제1체결부제와 제2체결부재를 결합시킨 체결장치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장치를 구성하는 돌출부 구조는 탄성력에 의해 개방상태와 폐쇄상태가 가능하며, 돌출부 구조가 폐쇄상태에 있을 때 어버트먼트의 내측면에 압력이 가해지면서 발생되는 마찰력에 의해 강한 고정력이 생기므로, 임플란트 시술 후 지속적인 음식물 저작에도 픽스츄어와 어버트먼트를 결합시킨 체결장치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장치를 구성하는 돌출부 구조는 곡면 형상을 포함하므로, 픽스츄어에 결합되어 있는 체결장치를 픽스츄어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와 픽스츄어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 내지 도10은 본 고안 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상의 본 고안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고안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게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고안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고안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고안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고안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고안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제1실시예
도 2 내지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2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1)(이하, '체결장치(1)' 라고 함)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체결부재에 체결장치(1)가 삽입되어 사용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 및 도 5는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1)(이하, '체결장치' 라고 함)는 대략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고정부(110) 및 결합부(13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체결장치는(1), 제1체결부재(C1)의 삽입홀을 통해 제1체결부재(C1)을 통과한 후, 제2체결부재(C2)의 삽입홀을 통해 제2체결부재(C2)의 내부에 삽입되어 제1체결부재(C1)와 제2체결부재(C2)를 결합시킨다. 여기서, 체결장치(1)는 제1체결부재(C1)와 제2체결부재(C2)의 내부에서 부식되거나 녹슬지 않는 재질로 구성되며, 예를 들면 녹슬지 않는 금속 재질인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또는 티타늄(Titanium)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녹슬지 않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할 것이다.
고정부(110)는 체결장치(1)가 제1체결부재(C1)와 제2체결부재(C2)가 결합된 결합상태(이하, '결합상태'라고 함)에서 제1체결부재(C1)의 내부에 위치되는 영역이다. 고정부(110)는, 체결장치(1)가 제1체결부재(C1)의 삽입홀을 통과하면서 제1체결부재(C1)의 내부에 위치될 때, 제1체결부재(C1)의 내측면과 접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결합부(130)는 고정부(110)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제2체결부재(C2)와 결합하는 영역이며, 상부영역(130a)과 하부영역(13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상부영역(130a)의 상단에는 삽입도구(예를 들면, 육각렌치)를 이용하여 체결장치(1)를 제1체결부재(C1)와 제2체결부재(C2)의 내부에 삽입시키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삽입홈(S1)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삽입홈(S1)이 육각형의 일부로 나타나 있지만, 육각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형을 모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영역(130b)의 적어도 일부에는 제2체결장치(C2)의 내측면과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131)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체결부재(C1)와 제2체결부재(C2)의 결합상태에서, 상부영역(130a)은 제1체결부재(C1)의 내부에 위치하고, 하부영역(130b)의 적어도 일부는 제2체결부재(C2)의 내부에서 나사산(131)을 이용하여 제2체결부재(C2)의 내측면과 결합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110)는 체결장치(1)가 제1체결부재(C1)와 제2체결부재(C2)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111)로 구성된다. 돌출부(111)의 탄성력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11)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돌출부(111)는 결합부(130)의 상부영역(130a)의 외주면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11)는 고정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1)는 결합부(130)에 연결되어 움직이지 않는 고정단(111b), 결합부(130)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 움직임이 가능한 자유단(111a), 결합상태에서 제1체결부재(C1)의 내측면과 접하는 제1면(111c) 및 결합상태에서 제1체결부재(C1)의 내측면과 접하지 않는 제2면(111d)를 포함한다.
제1면(111c)과 제2면(111d)은 각각 곡면 형상을 포함하며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면서 배치된다. 제1면(111c)의 길이와 제2면(111d)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면(111c)과 제2면(111d)은 대략 원호 형상의 곡면일 수 있으며, 결합상태에서 제1체결부재(C1)의 내측면과 마찰이 발생되는 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도록 제1면(111c)의 길이가 제2면(111d)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장치(1)를 제1체결부재(C1)와 제2체결부재(C2)에서 분리가 필요한 경우, 제1면(111c)과 제2면(111d)에 포함된 곡면 형상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110)는 돌출부(111)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상태와 폐쇄상태가 가능하다.
여기서, 돌출부(111)의 탄성력이란, 개방상태-고정단(110)의 돌출부(111)에 의해 형성되는 직경이 제1체결부재(C1) 삽입홀의 직경보다 커지도록 자유단(111a)이 외부 쪽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이다.
예를 들면 개방상태는, 결합부(130)는 제1체결부재(C1)를 경유하여 제2체결부재(C2)에 삽입되었지만, 고정부(110)은 제1체결부재(C1)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아서, 돌출부(111)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부(111)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다.
예를 들면 폐쇄상태는, 고정부(110)가 제1체결부재(C1)에 완전히 삽입되어 제1체결부재(C1)의 내부 직경에 대응되도록 자유단(111a)이 제1체결부재(C1)의 내부 쪽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돌출부(111)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부(111)의 외측면이 제1체결부재(C1)의 내측면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마찰력이 발생하는 상태이다.
이러한 돌출부(111)의 탄성력에 의해 체결장치(1)가 제1체결부재(C1)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조 즉, 풀림방지구조가 형성됨으로써 체결장치(1)가 제1체결부재(C1) 및 제2체결부재(C2)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110)와 결합부(1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장치(1)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장치(1)에 별도의 부품을 결합시키지 않고도 고정부(110)에 형성된 풀림방지구조에 의해 체결장치(1)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장치(1)는 통형상의 지지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150)는 제1체결부재(C1)의 내부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제1체결부재(C1)의 내부(S2)에 삽입되며, 폐쇄상태의 체결장치(1)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고정부(110)의 위쪽, 더욱 자세하게는 자유단(111a)의 위쪽에서 자유단(111a)에 압력을 가하면서 제1체결부재(C1)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제1지지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지지부(151)의 외측면에는 제1체결부재(C1)에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지지부(151)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방향은 체결장치(1) 하부영역(130b)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나사산(131)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장치(1)가 제2체결부재(C2)에 삽입되는 방향과 지지부재(150)의 삽입 방향을 반대로 형성하여 체결장치(1)가 제1체결부재(C1) 및 제2체결부재(C2)에서 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재(250)는 제1지지부(251)의 아래 쪽에 연결되는 통형상의 제2지지부(2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부(25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111)에 의해 고정부(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며, 폐쇄상태에서 자유단(111a)이 고정부(110)의 내부공간 쪽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이 내부공간에 끼워질 수 있다. 제2지지부(255)가 끼워지면 돌출부(111)의 제1면(111c)이 제1체결부재(C1)의 내측면을 가압밀착 시키므로 체결장치(1)가 보다 견고하게 제1제결부재(C1)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지지부(255)의 외측면에도 돌출부(111)의 제2면(111d)에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산의 방향은 체결장치(1) 하부영역(130b)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나사산(131)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장치(1)가 제2체결부재(C2)에 삽입되는 방향과 지지부재(250)의 삽입 방향을 반대로 형성하여 체결장치(1)가 제1체결부재(C1) 및 제2체결부재(C2)에서 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6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 도 6은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2)(이하, '체결장치(2)' 라고 함)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체결장치(2)가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매입 고정되는 픽스츄어(F1)와 픽스츄어(F1)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A1)를 결합하기 위해 사용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 및 도 9는 지지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고정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제2실시 예와 같이 체결장치(2)는 임플란트 시술 시 사용되는 픽스츄어(F1)와 어버트먼트(A1)를 체결할 때에도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제1체결부재는 어버트먼트(A1)로, 제2체결부재는 픽스츄어(F1)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체결장치(2)는, 대략 원통형 형상을 가지며, 고정부(210), 결합부(230) 및 연결부(220)를 포함한다.
즉,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 예와 달리 연결부(220)를 더 포함하는 점에 차이가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체결장치(2)는, 어버트먼트(A1)의 삽입홀을 통해 어버트먼트(A1)를 통과한 후, 픽스츄어(F1)의 삽입홀을 통해 픽스츄어(F2)의 내부에 삽입되어 어버트먼트(A1)와 픽스츄어(F1)를 결합시킨다. 여기서, 체결장치(2)는 어버트먼트(A1)와 픽스츄어(F1)의 내부에서 부식되거나 녹슬지 않는 재질로 구성되며, 예를 들면 녹슬지 않는 금속 재질인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또는 티타늄(Titanium)과 같은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녹슬지 않는 재질이면 어느 것이라도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고정부(210)는 체결장치(2)가 어버트먼트(A1)와 픽스츄어(F1) 결합된 결합상태(이하, '결합상태'라고 함)에서 어버트먼트(A1)의 내부에 위치되는 영역이다. 고정부(210)는, 체결장치(2)가 어버트먼트(A1)의 삽입홀을 통과하면서 어버트먼트(A1)의 내부에 위치될 때, 어버트먼트(A1)의 내측면과 접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결합부(230)는 고정부(210)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픽스츄어(F1)와 결합하는 영역이며, 상부영역(230a)과 하부영역(23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하부영역(230b)의 적어도 일부에는 픽스츄어(F1)의 내측면과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231)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어버트먼트(A1)와 픽스츄어(F1)의 결합상태에서, 상부영역(230a)은 어버트먼트(A1)의 내부에 위치하고, 하부영역(230b)의 적어도 일부는 픽스츄어(F1)의 내부에서 나사산(131)을 이용하여 제2체결부재(C2)의 내측면과 결합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연결부(220)는 상부면, 하부면 및 측면(221)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면은 고정부(210)와 연결된 면이고, 하부면은 결합부(230)에 연결된 면이고, 상부면과 하부면은 측면(22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부면은 후술할 고정단(211b)에 연결되어 있고, 하부면은 결합부(230)의 상부영역(230a)에 연결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연결부(220)의 상부면에는 삽입도구(예를 들면, 육각렌치)를 이용하여 체결장치(2)를 어버트먼트(A1)와 픽스츄어(F1)의 내부에 삽입시키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삽입홈(S11)이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에는 삽입홈(S11)이 육각형의 일부로 나타나 있지만, 육각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삼각형, 사각형 등 다각형을 모두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버트먼트(A1)에는 체결장치(2)가 어버트먼트(A1) 내부에서 결합하는 위치를 가이드 하기 위한 경사면(A1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연결부(220)의 측면(221)에는 경사면(A11)에 걸쳐짐으로써 정확한 위치에서 어버트먼트(A1)와 결합하기 위해 경사면(A11)에 대응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는, 연결부(220)의 상부면의 외주부로부터 하부면과 가까워지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221a), 제1연장부(221a)로부터 제1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221b) 및 제2연장부(221b)로부터 제2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3방향으로 전환되어 연장되는 제3연장부(221c)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3연장부(221c)가 어버트먼트(A1) 내부의 경사면(A11)에 걸쳐짐으로써 체결장치(2)가 어버트먼트(A1) 내부에서 결합하는 위치를 정확하게 가이드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210)는 체결장치(2)가 어버트먼트(A1)와 픽스츄어(F1)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211)로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11)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211)는 연결부(220)의 상부면의 외경을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주기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11)는 고정부(210) 또는 연결부(2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를 따른 돌출부(211)는, 연결부(220)에 연결되어 움직이지 않는 고정단(211b), 연결부(220)에 연결되어 있지 않아 움직임이 가능한 자유단(211a), 결합상태에서 어버트먼트(A1)의 내측면과 접하는 제1면(211C) 및 결합상태에서 어버트먼트(A1)의 내측면과 접하지 않는 제2면(211d)를 포함한다.
제1면(211c)과 제2면(211d)은 각각 곡면 형상을 포함하며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면서 배치된다. 제1면(211c)의 길이와 제2면(211d)의 길이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면(211c)과 제2면(211d)은 대략 원호 형상의 곡면일 수 있으며, 결합상태에서 어버트먼트(A1)의 내측면과 마찰이 발생되는 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도록 제1면(211c)의 길이가 제2면(211d)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픽스츄어(F1)에 결합된 어버트먼트(A1)가 저작압을 과도하게 받아 체결장치(2)가 파절되는 경우, 체결장치(2)의 교체 등이 필요하고, 이 경우 제1면(111c)과 제2면(111d)에 포함된 곡면 형상에 의해 픽스츄어(F1)나 어버트먼트(A1)의 손상을 거의 주지 않으면서 체결장치(2)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제1면(211c)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해 도 10을 먼저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어버트먼트(A10)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에는 볼록부(A11)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볼록부(A11)는 어버트먼트(A10) 내부의 중간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장치(2)가 어버트먼트(A10)에 삽입 체결 될 때, 고정부(210)의 제1면(211c)이 어버트먼트(A10)의 내측면을 경유하는 과정에서 볼록부(A11)에 위치하게 되면, 볼록부(A11)에 의해 제1면(211c)과 어버트먼트(A10)의 내측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이 더욱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면(211c)이 어버트먼트(A1)의 내측면을 가압밀착 시키므로 체결장치(2)가 보다 견고하게 어버트먼트(A1)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고정부(210)는 돌출부(211)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상태와 폐쇄상태가 가능하다. 도 7(a)는 개방상태, 도 7(b)는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이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돌출부(211)의 탄성력이란, 개방상태-고정단(210)의 돌출부(211)에 의해 형성되는 직경이 어버트먼트(A1) 삽입홀의 직경보다 커지도록 자유단(211a)이 외부 쪽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이다.
예를 들면 개방상태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230)는 어버트먼트(A1)를 경유하여 픽스츄어(F1)에 삽입되고, 연결부(220)도 어버트먼트(A1)에 삽입되었지만, 고정부(210)는 어버트먼트(A1)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아서 돌출부(211)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부(211)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다.
예를 들면 폐쇄상태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10)가 어버트먼트(A1)에 완전히 삽입되어 어버트먼트(A1)의 내부 직경에 대응되도록 자유단(211a)이 어버트먼트(A1)의 내부 쪽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돌출부(211)의 탄성력에 의해 돌출부(2111)의 외측면이 어버트먼트(A1)의 내측면에 압력을 가함으로써 마찰력이 발생하는 상태이다.
이러한 돌출부(211)의 탄성력에 의해 체결장치(2)가 어버트먼트(A1)에 강하게 고정될 수 있는 구조 즉, 풀림방지구조가 형성됨으로써 체결장치(2)가 어버트먼트(A1) 및 픽스츄어(F1)에서 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부(210), 결합부(230) 및 연결부(22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체결장치(2)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장치(2)에 별도의 부품을 결합시키지 않고도 고정부(210)에 형성된 풀림방지구조에 의해 체결장치(2)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체결장치(2)는 통형상의 지지부재(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350)는 어버트먼트(A1)의 내부 직경과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어버트먼트(A1)의 내부(S22)에 삽입되며, 폐쇄상태의 체결장치(2)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고정부(210)의 위쪽, 더욱 자세하게는 자유단(211a)의 위쪽에서 자유단(211a)에 압력을 가하면서 어버트먼트(A1)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제1지지부(351)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지지부(351)의 외측면에는 어버트먼트(A1)에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지지부(351)에 형성되는 나사산의 방향은 체결장치(2) 하부영역(230b)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나사산(231)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장치(2)가 픽스츄어(F1)에 삽입되는 방향과 지지부재(350)의 삽입 방향을 반대로 형성하여 체결장치(2)가 어버트먼트(A1) 및 픽스츄어(F1)에서 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재(450)는 제1지지부(451)의 아래 쪽에 연결되는 통형상의 제2지지부(4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지지부(45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211)에 의해 고정부(210)의 내부에 형성되는 내부공간(S33)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며, 폐쇄상태에서 자유단(211a)이 고정부(210)의 내부공간 쪽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이 내부공간(S33)에 끼워질 수 있다. 제2지지부(455)가 끼워지면 돌출부(211)의 제1면(211c)이 어버트먼트(A1)의 내측면을 가압밀착 시키므로 체결장치(2)가 보다 견고하게 어버트먼트(A1)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2지지부(455)의 외측면에도 돌출부(211)의 제2면(211d)에 결합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으며, 나사산의 방향은 체결장치(2) 하부영역(230b)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나사산(231)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체결장치(2)가 픽스츄어(F1)에 삽입되는 방향과 지지부재(450)의 삽입 방향을 반대로 형성하여 체결장치(2)가 어버트먼트(A1) 및 픽스츄어(F1)에서 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술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2: 체결장치
110, 210: 고정부
220: 연결부
130, 230: 결합부
150, 250, 350, 450: 지지부재
111, 211: 돌출부
221: 가이드부
C1: 제1체결부재
C2: 제2체결부재
A1, A10: 어버트먼트
F1, F10: 픽스츄어

Claims (14)

  1.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는 체결장치에 있어서,
    제1체결부재와 제2체결부재가 결합된 결합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부에 위치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부에 위치될 때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측면과 접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제2체결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체결장치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력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단,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자유단, 상기 결합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측면과 접하는 제1면, 상기 결합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측면과 접하지 않는 제2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면과 상기 제2면은 각각 곡면 형상을 포함하며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면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면, 하부면 및 측면으로 구성되는 연결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상부면은 상기 고정단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하부면은 상기 결합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상부면의 외연을 따라 소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상기 측면에는 상기 체결장치가 상기 제1체결부재와 결합되는 위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상부면의 외주부로부터 상기 하부면과 가까워지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부, 제1연장부로부터 제1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방향으로 전환되어 연장되는 제2연장부, 제2연장부로부터 제2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3방향으로 전환되어 연장되는 제3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돌출부의 탄성력에 의해 개방상태와 폐쇄상태가 가능하며,
    상기 개방상태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1체결부재에 완전히 삽입되지 않아서,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가 외부에 노출된 상태이며,
    상기 개방상태에서 상기 제1면에 의해 형성되는 직경이 상기 제1체결부재 삽입홀의 직경보다 커지도록 상기 자유단이 외부 쪽으로 이동된 상태이고,
    상기 폐쇄상태는,
    상기 고정부가 상기 제1체결부재에 완전히 삽입되어,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부 직경에 대응되도록 상기 자유단이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부 쪽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돌출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면이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측면에 압력을 가하여 마찰력이 발생하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면이 상기 볼록부에 위치될 때 마찰력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제1체결부재 내부의 중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통형상의 지지부재;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폐쇄상태의 체결장치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의 위쪽에서 상기 제1체결부재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제1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지지부의 아래 쪽에 연결되는 통형상의 제2지지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지지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에 의해 상기 고정부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며, 상기 폐쇄상태에서 상기 자유단이 상기 내부공간 쪽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상기 내부공간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부영역 및 하부영역으로 구성되며, 상기 결합상태에서 상기 하부영역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체결부재의 내측면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와 상기 결합부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주기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영역의 상단에는 삽입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장치를 상기 제1체결부재와 상기 제2체결부재의 내부에 삽입시키기 용이하게 하기 위한 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육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14.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매입 고정되는 픽스츄어, 상기 픽스츄어에 결합되는 어버트먼트, 및 상기 픽스츄어와 상기 어버트먼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체결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체결장치는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체결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KR2020170003579U 2017-07-10 2017-07-10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KR2004904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579U KR200490420Y1 (ko) 2017-07-10 2017-07-10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579U KR200490420Y1 (ko) 2017-07-10 2017-07-10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71U KR20190000171U (ko) 2019-01-18
KR200490420Y1 true KR200490420Y1 (ko) 2019-11-08

Family

ID=65266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579U KR200490420Y1 (ko) 2017-07-10 2017-07-10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420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91412A1 (en) 2007-03-06 2009-11-26 Kent Engstrom Dental implant, abutment structure and method for implanting a dental impla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113Y1 (ko) 2001-12-21 2002-03-18 최성기 인공치아용 어버트먼트
KR20150089419A (ko) * 2014-01-28 2015-08-05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치과용 임플란트의 완충부재 및 이를 구비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KR20160029875A (ko) * 2014-09-05 2016-03-16 장은수 치과용 임플란트 장치 및 치과용 풀림방지부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91412A1 (en) 2007-03-06 2009-11-26 Kent Engstrom Dental implant, abutment structure and method for implanting a dental implant
JP2010519995A (ja) 2007-03-06 2010-06-10 アストラ・テック・アクチエボラーグ 歯科インプラント、橋脚歯構造および歯科インプラントを移植す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171U (ko) 2019-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04151T3 (es) Sistema de anclaje de collar expansible
JP4448655B2 (ja) マルチピンクランプ及びロッドアタッチメント
US6159235A (en) Selflock anchor screw
US7235075B1 (en) Anchoring element for securing a rod on a vertebra
JP4261479B2 (ja) 折り離しヘッドを持つ、入れ子になった閉鎖体プラグ及び止めねじ
US8702707B2 (en) Fixation instrument for treating a bone fracture
JP2004251450A (ja) ねじ切りされたロック機構を備える移植デバイス
US20020116001A1 (en) Bone screw
US11998420B2 (en) Screwdriver and screw for a surgical application
US20120004690A1 (en) Screw fixation system
JPH07505567A (ja) 髄内釘を固定するためのねじ
ATE111333T1 (de) Bandverankerung.
JPH0817782B2 (ja) 外傷治療で用いられる脊椎骨の骨接合具用インプラント
US7569055B2 (en) Osteosynthetic aid
US7160303B2 (en) Medical implant with a secured bone screw
KR101727732B1 (ko) 치아 임플란트 구조물
JP2002526272A (ja) ねじ止め具
KR200490420Y1 (ko)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KR101559823B1 (ko) 치아 임플란트 구조물
JP5095594B2 (ja) ねじ部材
FR2786845B1 (fr) Attache de fixation notamment pour cables, tuyauteries ou analogues
KR20080007062A (ko) 너트풀림방지장치
KR200490694Y1 (ko)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임플란트용 체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임플란트 어셈블리
KR20190000172U (ko) 풀림방지구조를 가지는 체결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KR102048659B1 (ko) 나사풀림방지기능을 갖는 임플란트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