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301Y1 - Abutment Removable Device - Google Patents

Abutment Remov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301Y1
KR200490301Y1 KR2020170004250U KR20170004250U KR200490301Y1 KR 200490301 Y1 KR200490301 Y1 KR 200490301Y1 KR 2020170004250 U KR2020170004250 U KR 2020170004250U KR 20170004250 U KR20170004250 U KR 20170004250U KR 200490301 Y1 KR200490301 Y1 KR 2004903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utment
implant
main body
separation device
small dia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425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0469U (en
Inventor
김현우
Original Assignee
김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우 filed Critical 김현우
Priority to KR2020170004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301Y1/en
Publication of KR201900004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46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3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30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053Portable uni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치조골에 지지된 임플란트로부터 어버트먼트를 분리하는 어버트먼트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긴 막대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상기 본체를 수직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는 가압부와; 상기 어버트먼트에 작은 직경으로 관통된 소경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소경부재의 하단단턱에 걸림 가능하게 상기 본체의 하측에 마련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고안에 따르면, 복잡하지 않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하고, 임플란트로부터 어버트먼트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임플란트에 수직력 이외의 다른 힘을 전달하지 않도록 하여 임플란트의 손상을 최소화 내지 예방할 수 있는 어버트먼트 분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utment separation device for separating the abutment from the implant supported on the alveolar bone, the main body of the long rod shape; A pressurizing part capable of applying a force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main body on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portion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pass through the small diameter member penetrated by the small diameter to the abutment to the lower end of the small diameter member.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a simple structure, not complicated, and is simple and convenient to use, and minimizes damage to the implant by not transmitting any force other than the normal force to the implant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abutment from the impla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butment separation device that can be prevented.

Description

어버트먼트 분리 장치 {Abutment Removable Device}Abutment Removable Device

본 고안은 임플란트로부터 어버트먼트를 분리하는 어버트먼트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하고 편리하게 치조골에 지지된 임플란트로부터 어버트먼트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분리하도록 구조를 개선한 어버트번트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utment separation device for separating an abutment from an implant, in particular, abutment separation with improved structure to simply and conveniently separate the abutment from the implant supported on the alveolar bone simply and conveniently. Relates to a device.

최근에는 손실 내지 상실된 치아를 대체하는 임플란트 시술이 보편화되어 있다. 이러한 임플란트 시술 방법은 통상 치조골에 드릴링을 형성한 후 치조골에 임플란트(또는 픽스쳐)를 고정하고, 각종 어버트먼트를 임플란트와 고정하여 최종적으로 보철물을 임플란트와 고정시키는 일련의 과정이다. Recently, implant procedures to replace lost or lost teeth have become commonplace. Such an implant method is a series of procedures for fixing an implant (or fixture) in the alveolar bone after fixing the alveolar bone and fixing various abutments with the implant and finally fixing the prosthesis with the implant.

도 1은 자연 치아와 임플란트 시술(임플란트 장치)를 비교한 그림이다. 1 is a diagram comparing natural teeth and implant procedures (implant apparatus).

이렇게 어버트먼트를 임플란트에 고정시키기 위해 현재 널리 적용되는 방법으로는, 첫째,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체결 타입, 둘째, 어버트먼트와 픽스쳐를 일정한 각도 범위에서 상호 결합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결합하는 록킹 타입 등으로 구분된다.As such, the currently widely applied method for fixing the abutment to the implant includes, first, a fastening type for fixing with a screw or the like, and second, combining the abutment and the fixture using a friction force that is mutually coupled at a certain angle range. It is divided into locking type and the like.

먼저. 첫 번째 ‘체결(혹은 나사) 타입’에서는 통상적으로 어버트먼트와 임플란트가 분리되어 있는 2피스 형태로 구비되어 상당한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지만, 결합 부위 부근에서 세균이 번식하거나 나사 등의 결합수단이 풀리거나 파손되는 등의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 일체형 임플란트가 나오기도 하는데, 아무래도 너무 길어서 시술하기가 불편하고,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다양한 직경, 길이 및 각도에 대응하여 제작하기도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어 사용이 다소 제한적이다.first. In the first 'fastening (or screw)' type, the abutment and the implant are usually provided in two pieces, which provide a great convenience, but bacteria propagate near the coupling site or the coupling means such as screws are pulleys. Or damage. In order to prevent this, implants and abutment-integrated implants have recently come out, but it is too long to be inconvenient to perform the procedure, and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in response to various diameters, lengths and angles required by the user. Limited.

다음, 두 번째 ‘록킹 타입’은 나사를 사용하지 않는 방식으로 테이퍼 형상의 결합이 매우 높은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예컨대, 선박의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를 엔진의 추진축에 결합하는 콜드 웰딩(cold welding) 원리를 적용한 록킹 테이퍼(locking taper)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내부 나사가 없으므로 나사 풀림, 부러짐 등의 염려가 없고,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가 정밀하게 결합하지 않으면 어버트먼트가 빠져버리기 때문에 어버트먼트와 임플란트 사이에 세균이 끼이거나 번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이 방식은 한 번 정밀하게 결합되면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를 분리하기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갖는다.Next, the second 'locking type' is a cold welding in which a taper-shaped coupling maintains a very high coupling force in a non-screwing manner, for example, coupling a propeller generating a propulsion force of a ship to the propulsion shaft of the engine. It is a locking taper method applying the principle. Since there is no internal thread, there is no fear of loosening or breaking the screw, and if the implant and abutment are not precisely combined, the abutment will fall out, thus preventing bacteria from being caught or propagating between the abutment and the implant. It can have such advantages. 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that once precisely combined, it is almost impossible to separate the implant and the abutment.

다른 한편, 임플란트 시술 후에도 임플란트 보철은 유지관리를 위해서 착탈을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시술 과정에서 방향 등이 잘못된 경우와 같이 부적합한 시술의 경우나 시술 후 사용하는 과정에서 어버트먼트의 크랙 등과 같은 손상이 발생한 경우와 같은 경우이다.On the other hand, even after the implant procedure, the implant prosthesis needs to be removed for maintenance. For example, it is the case of improper operation such as the wrong direction during the procedure or the case of damage such as abutment cracking in the process used after the procedure.

이렇게 임플란트로부터 어버트먼트를 분리하는 기구 등이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종래기술인 등록특허공보 제1718464호 (2017.03.21. 공고)와 같은 경우가 그 예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Thus, a mechanism for separating an abutment from an implant has been developed. For example, there is a case such as the prior art Patent Publication No. 1718464 (announced on March 21, 2017). However, the prior art ha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참고문헌][references]

등록특허공보 제1718464호 (2017.03.21. 공고)Patent Registration No. 1718464 (announced on March 21, 2017)

본 고안의 목적은, 복잡하지 않고 단순한 구조를 갖는 어버트먼트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butment separation device having a simple and not complicated structure.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한 어버트먼트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butment separation device that is simple and convenient to use.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임플란트로부터 어버트먼트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임플란트에 수직력 이외의 다른 힘을 전달하지 않도록 하여 임플란트의 손상을 최소화 내지 예방할 수 있는 어버트먼트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butment separation device that can minimize or prevent damage to the implant by not transmitting a force other than the normal force to the implant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abutment from the implant. .

본 고안의 목적은, 치조골에 지지된 임플란트로부터 어버트먼트를 분리하는 어버트먼트 분리 장치에 있어서, 긴 막대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상기 본체를 수직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는 가압부와; 상기 어버트먼트에 작은 직경으로 관통된 소경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소경부재의 하단단턱에 걸림 가능하게 상기 본체의 하측에 마련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분리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utment separation device for separating the abutment from the implant supported on the alveolar bone, the abutment-shaped main body; A pressurizing part capable of applying a force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main body on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Abutment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cking portion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to pass through the small diameter member penetrated by the small diameter to the abutment lower end of the small diameter member.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본체에 가로방향으로 하나의 막대 형상, 방사상으로 세 개의 막대 형상, 원판 형상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engaging por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ody includes one of a bar shape, a radially three bar shape, one of a disk shape.

또한, 상기 걸림부가 상기 하단단턱에 걸려 상기 어버트먼트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측에 상기 소경부재보다 큰 직경으로 관통 형성된 대경부재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되어 상기 어버트먼트를 분리시 상기 본체의 중심축선을 상기 어버트먼트의 중심축선으로 안내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abutment by the engaging portion is caught on the lower end step is provid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arge diameter member formed through the diameter larger than the small diameter member on the upper side of the abutment when the abutment is separat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guide portion coupled to the main body so as to guide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to the center axis of the abutment.

이에, 본 고안에 따르면, 복잡하지 않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한 어버트먼트 분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butment separation device having a simple structure, not complicated, and simple and convenient to use.

또한, 임플란트로부터 어버트먼트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임플란트에 수직력 이외의 다른 힘을 전달하지 않도록 하여 임플란트의 손상을 최소화 내지 예방할 수 있는 어버트먼트 분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abutment from the impla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butment separation device that can minimize or prevent damage to the implant by not transmitting a force other than the normal force to the implant.

도 1은 임플란트 (시술)장치와 자연치아를 비교한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의 단면도 및 어버트먼트 확대 단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의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작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의 부분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
도 6a 내지 도 6c는 도 5에 따른 분리 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comparing the implant (surgery) device and natural teeth,
2a and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mplant and abutment and abutment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3a and 3b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a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subject innovation,
Figure 5 is a partial front and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to 6C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FIG. 5.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조골에 지지된 임플란트로부터 어버트먼트를 분리하는 어버트먼트 분리 장치(100, 이하에서 '분리 장치'라 함)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butment separation devic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eparation device") for separating the abutment from the implant supported on the alveolar b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Is as follows.

도 1은 임플란트 시술과 자연치아를 비교한 단면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임플란트와 어버트먼트의 단면도 및 어버트먼트 확대 단면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작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comparing the implant and natural teeth, Figures 2a and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mplant and the abutment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Figure 3a and 3b is sepa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치아는 상악 및 하악에 각각 결합되어 교합면에 대하여 대칭으로 치조골에 결합되어 있으나 이하에서 상악의 치조골에 결합된 치아가 손실되어 임플란트 시술을 한 경우 교합면에서 치조골 방향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정한다. 하악에 대하여도 설명하지 않았지만 하악의 경우도 교합면에서 치조골 방향을 상방에서 하방으로 정하기로 한다. 그리고, 수직 방향은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상방에서 하방으로 임플란트 장치의 길이방향을 의미한다.The teeth are coupled to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respectively, and are symmetrically joined to the alveolar bone with respect to the occlusal surface. However, when the implant is performed due to the loss of the tooth coupled to the maxillary alveolar bone, the direction of the alveolar bone is determine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Although the mandible is not described, the mandibular case also determines the alveolar bone direction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n the occlusal plane. In addition, the vertical direction mean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mplant apparatu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unless otherwise specified.

먼저, 본 고안이 적용되는 임플란트 시술(장치)(10)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널 커넥션(internal connection)을 포함하고, 치조골(12)에 지지되는 임플란트(13)와, 임플란트(13)의 내측 나사가 형성된 나사부재(13a)에 체결볼트(17)에 의하여 고정 결합되는 어버트먼트(15)를 포함하고, 어버트먼트(15) 상측에는 도 1에서와 같이 크라운(11)이 결합되어 임플란트 장치(10)의 외관을 형성한다. First, the implant procedure (apparatus) 1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s shown in FIGS. 2A and 2B, includes an internal connection and includes an implant 13 supported by the alveolar bone 12. And an abutment 15 fixedly coupled to the screw member 13a on which the inner thread of the implant 13 is formed by the fastening bolt 17, and as shown in FIG. 1 above the abutment 15. The crown 11 is coupled to form the appearance of the implant device 10.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 장치(100)는, 임플란트(13)에 고정 결합된 어버트먼트(15)를 필요에 따라 임플란트(13)로부터 분리하는 것으로, 도 2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Separation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eparate the abutment (15) fixedly coupled to the implant (13) from the implant (13), with reference to Figures 2a to 4b. Specifically, it is as follows.

분리 장치(100)는, 긴 막대 형상의 본체(130)와; 상기 본체(130)의 상측에 상기 본체(130)를 수직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는 가압부(150)와; 상기 어버트먼트(15)에 작은 직경으로 관통된 소경부재(15a)를 통과하여 상기 소경부재(15a)의 하단단턱(15c)에 걸림 가능하게 상기 본체(130)의 하측에 마련된 걸림부(17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리 장치(100)는, 후술하는 가이드부(28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eparation device 100, the main body 130 of the long rod shape; A pressing unit 150 capable of applying a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main body 130 above the main body 130; A locking portion 170 provided below the main body 130 to pass through the small diameter member 15a having a small diameter through the abutment 15 so as to be caught by the lower end step 15c of the small diameter member 15a. It is preferable to include). Moreover, it is preferable that the separation | separation apparatus 100 further includes the guide part 280 mentioned later.

본체(130)는, 긴 막대 형상으로 둥근 형상이 바람직하나. 사각형, 삼각형을 포함하는 다각형 이외에 공지된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30 is preferably a long rod-shaped round shape. In addition to polygons, including rectangles, triangles may include a variety of known shapes.

가압부(150)는 사용자가 분리 장치(100)에 힘을 가하거나 잡아서 지지할 수 있는 부분으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비교적 둥근 형상의 공지의 손잡이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일실시예와 같이 치과에서 사용하는 단부에 갈고리 형상을 갖는 이젝터(ejector)가 결합 가능한 걸림공(153)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에, 이젝터를 가압하여 걸림공(153)을 통해 본체(130)에 상측으로 수직방향의 힘(도 4b의 'F' 참조)을 가할 수 있다.The pressing unit 150 may include a well-known handle having a relatively round shape so as to be grasped by the user as a part that the user can apply force or grab the support to the separation device 100. It may be provided with a catching hole 153 that can be coupled to the ejector (ejector) having a hook shape at the end used in the. Accordingly, the ejector may be pressed to apply a vertical force (see 'F' in FIG. 4B) to the main body 130 through the locking hole 153.

걸림부(170)는 어버트먼트(15)를 임플란트(13)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가압을 하기 위하여 어버트먼트(15)의 하측인 하단단턱(15c)에 소경부재(15a)와 하단단턱(15c)의 외경(도 3b의 '15d' 참조) 사이의 두께 부분에 걸릴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걸림부(170)는 도 3a, 도 3b와 같이 본체(130)에 90도 방향으로 결합되고, 소경부재(15a)보다 예를 들면 0.1~0.3mm 정도 작은 외경을 갖는 막대 형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ngaging portion 170 is a small diameter member 15a and a lower end step 15c on the lower end step 15c which is the lower side of the abutment 15 to pressurize to separate the abutment 15 from the implant 13. Has a structure that can be caught in the thickness portion between the outer diameter (see '15d' in Fig. 3b). 3A and 3B, the locking portion 17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30 in a 90-degree direction, and preferably has a rod shape having an outer diameter of about 0.1 to 0.3 mm smaller than that of the small-diameter member 15a. Do.

그리고, 걸림부(170)의 외경(도 3a 및 도 3b의 'Da1' 참조)은 소경부재(15a)의 내경(도 2b의 'Dsmall' 참조)보다 작고 임플란트(13)의 나사부재(13a)의 내경(도 2a의 'Din13 ' 참조)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걸림부(170)의 외경으로 걸림부(170)는 임플란트(13)의 나사부재(13a)로 더 내려가지 않고 하단단턱(15c) 위치에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diameter (see 'Da1' in FIGS. 3A and 3B) of the locking portion 170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see 'Dsmall' in FIG. 2B) of the small diameter member 15a and the screw member 13a of the implant 13.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see 'Din13' in FIG. 2A). By the outer diameter of the locking portion 170, the locking portion 170 may be stably positioned at the lower end step 15c without lowering the screw member 13a of the implant 13.

이러한 걸림부(170)는 일(-)자 형상의 막대 형상뿐만 아니라 120도 간격으로 방사상으로 3개, 90방향으로 방사상으로 4개의 막대로 구비되어 각각 본체(130)의 하측에 결합될 수도 있고,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어 본체(130)의 하측에 결합될 수도 있다.The locking portion 170 is provided with three rods radially at intervals of 120 degrees as well as four (-)-shaped rod shape, and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30, respectively, radially in four directions. It may be provided in the shape of a disc and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30.

가이드부(28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70)가 상기 하단단턱(15c)에 걸려 상기 어버트먼트(15)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어버트먼트(15)의 상측에 상기 소경부재(15a)보다 큰 직경으로 관통 형성된 대경부재(15b)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되어 상기 어버트먼트(15)를 분리시 상기 본체(130)의 중심축선(도 3a, 도 3b, 도 4a 및 도 4b의 'Cpuller' 참조)을 상기 어버트먼트(15)의 중심축선(도 4a 및 도 4b의 'Cimplant' 참조)으로 안내 가능하게 상기 본체(130)에 결합된다. 가이드부(280)의 형상은 적어도 120도 방향으로 삼발이 형상의 막대 형상이나 원판 형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3B, the guide part 28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abutment 15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abutment 15 by the hook 170 hanging on the lower end step 15c. It is provid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arge-diameter member 15b formed through the larger diameter than the small-diameter member 15a when the abutment 15 is separated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main body 130 (FIGS. 3A, 3B, 4A and 4b is coupled to the main body 130 so as to be guided to the central axis of the abutment 15 (see 'Cimplant' of FIGS. 4a and 4b).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guide part 280 includes the rod shape and disk shape of a tricycle shape in the at least 120 degree direction.

여기서, 가이드부(280)의 외경(도 3b의 'Dg1' 참조)은 어버트먼트(15)의 내경(도 2b의 'Dlarge' 참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outer diameter of the guide portion 280 (see 'Dg1' in FIG. 3B) is preferab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abutment 15 (see 'Dlarge' in FIG. 2B).

이에, 가이드부(280)에 의해 분리 장치(100)는 최대한 임플란트(13)에 수직 방향의 힘 이외의 힘을 가하지 않고 임플란트(13)로부터 어버트먼트(15)를 분리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guide unit 280 can separate the abutment 15 from the implant 13 without exerting a force other than the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implant 13 as much as possibl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분리 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도 3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operation process of the separation device 100 having such a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A to 4B.

먼저, 도 3b와 같은 구성을 갖는 분리 장치(100)를 도 4a와 같이 상측에서 어버트먼트(15)의 대경부재(15b)를 지나 소경부재(15a)의 하단단턱(15c)에 오도록 위치시킨다.First, the separation device 100 having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3B is positioned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lower end step 15c of the small diameter member 15a through the large diameter member 15b of the abutment 15 as shown in FIG. 4A. .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걸림부(170)의 외경(Da1)이 임플란트(13)의 나사부재(13a)의 내경(Din13)보다 크므로 걸림부(170)는 더 이상 하강하지 않고 임플란트(13) 나사부재(13a)의 상측과 하단단턱(15c)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게 된다.Her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uter diameter Da1 of the locking portion 170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Din13 of the screw member 13a of the implant 13, the locking portion 170 does not lower any more and the implant 13 is not lowered. It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end step 15c of the screw member (13a).

이에, 사용자는 도 4b의 Case1 및 Case2와 같이 걸림부(170)를 하단단턱(15c)에 위치시켜 본체(130)의 길이방향으로 가압을 하게 되면 가이드부(280)는 본체(130)의 중심축선(Cpuller)을 임플란트의 중심축선(Cimplant)에 일치 내지 근접되도록 어버트먼트(15) 대경부재(15b) 내에서 안내하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user presses the locking portion 170 on the lower end step 15c as shown in Case 1 and Case 2 of FIG. 4B and presses i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30, the guide part 280 is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30. The axis Cpuller is guided in the abutment 15 large diameter member 15b so as to coincide with or close to the central axis Cimplant of the implant.

여기서, 도 4b의 Case1은 걸림부(170)의 한쪽 단부만이 어버트먼트(15)의 하단단턱(15c)에 걸려서 가압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4b의 Case2는 걸림부(170)의 양쪽 단부 모두 어버트먼트(15)의 하단단턱(15c)에 걸려서 가압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Here, Case1 of FIG. 4B shows a state in which only one end of the locking portion 170 is caught by the lower end step 15c of the abutment 15 and pressed, and Case2 of FIG. 4B has both sides of the locking portion 170. Both ends show the state pressed by the lower end step 15c of the abutment 15.

이러한 가압에 의하여 어버트먼트(15)는 도 4b에서와 같이 임플란트로부터 분리되며 이 과정에서 분리 장치(100)는 임플란트(13)에 수직 방향의 힘 이외에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By the pressurization, the abutment 15 is separated from the implant as shown in FIG. 4B, and in this process, the separation device 100 may minimize the force ac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addition to the force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the implant 13. .

이에, 본 고안에 따르면, 복잡하지 않고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사용이 간단하고 편리한 어버트먼트 분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Th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butment separation device having a simple structure, not complicated, and simple and convenient to use.

또한, 임플란트로부터 어버트먼트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임플란트에 수직력 이외의 다른 힘을 전달하지 않도록 하여 임플란트의 손상을 최소화 내지 예방할 수 있는 어버트먼트 분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abutment from the impla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butment separation device that can minimize or prevent damage to the implant by not transmitting a force other than the normal force to the implant.

그리고,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지만, 도 1의 좌측 단면은 자연치아의 단면이고, 우측 단면은 임플란트 장치의 단면이다. 법랑질은 'Enamel'이고, 상아질은 'Dentin'이며, 치수(펄프)는 'Pulp'이고, 잇몸 조직은 'Gum Tissue'이며, 치주인대(치근막)은 'Periodontal Ligament'임을 나타낸다.In addition, although not specifically demonstrated, the left cross section of FIG. 1 is a cross section of a natural tooth, and the right cross section is a cross section of an implant apparatus. Enamel is enamel, dentin is dentin, pulp is pulp, gum tissue is gum tissue, and periodontal ligament is periodontal ligament.

여기서,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들을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본 고안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고안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Here, alth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it will be appreciated that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modify the present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 임플란트 장치 13 : 임플란트
15 : 어버트먼트 15a : 소경부재
15b : 대경부재 15c : 하단단턱
15d : 하단외경 17 : 체결볼트
100, 200 : 분리 장치
130, 230 : 본체 150, 250 : 가압부
153, 253 : 걸림공 170, 270 : 걸림부
280 : 가이드부
10: implant device 13: implant
15: abutment 15a: small diameter member
15b: Large diameter member 15c: Lower step
15d: Lower outer diameter 17: Tightening bolt
100, 200: separation device
130, 230: main body 150, 250: pressing portion
153, 253: locking hole 170, 270: locking part
280: guide unit

Claims (3)

치조골에 지지된 임플란트로부터 어버트먼트를 분리하는 어버트먼트 분리 장치에 있어서,
긴 막대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측에 상기 본체를 수직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는 가압부와;
상기 어버트먼트에 작은 직경으로 관통된 소경부재를 통과하여 상기 소경부재의 하단단턱에 걸림 가능하게 상기 본체의 하측에 마련된 걸림부를 포함하되,
상기 걸림부가 상기 하단단턱에 걸려 상기 어버트먼트를 분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어버트먼트의 상측에 상기 소경부재보다 큰 직경으로 관통 형성된 대경부재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되어 상기 어버트먼트를 분리시 상기 본체의 중심축선을 상기 어버트먼트의 중심축선으로 안내 가능하게 상기 본체에 결합된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분리 장치.
In the abutment separation device for separating the abutment from the implant supported on the alveolar bone,
A long rod-shaped body;
A pressurizing part capable of applying a force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main body on an upper side of the main body;
It includes a locking portion provided i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so as to pass through the small diameter member penetrated by the small diameter to the abutment to the lower end of the small diameter member,
In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abutment by the engaging portion is caught on the lower end step is provid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large diameter member formed through the diameter larger than the small diameter member on the upper side of the abutment of the main body when the abutment is separated Abutment separation device comprising a guide portion coupled to the main body so as to guide a central axis to the center axis of the abut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본체에 가로방향으로 하나의 막대 형상, 방사상으로 세 개의 막대 형상, 원판 형상 중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버트먼트 분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locking portion,
The abutment separation device comprising one of a rod shape in a horizontal direction, three rod shapes in a radial direction, and a disc shape in the main body.
삭제delete
KR2020170004250U 2017-08-10 2017-08-10 Abutment Removable Device KR20049030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250U KR200490301Y1 (en) 2017-08-10 2017-08-10 Abutment Removable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4250U KR200490301Y1 (en) 2017-08-10 2017-08-10 Abutment Removable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469U KR20190000469U (en) 2019-02-20
KR200490301Y1 true KR200490301Y1 (en) 2019-10-23

Family

ID=65515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4250U KR200490301Y1 (en) 2017-08-10 2017-08-10 Abutment Remov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301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3053B1 (en) 2020-06-05 2022-08-25 주식회사 워랜텍 Removing apparatus of implant abut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1176A1 (en) 2007-04-23 2008-10-23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implant and dental component connection
US20130004915A1 (en) 2011-06-28 2013-01-03 Biomet 3I, Llc System and Method fo Dental Implant and Interface to Abutment For Restoration
KR101493509B1 (en) 2013-10-21 2015-02-1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Implant fixture removal device
JP5820767B2 (en) * 2012-05-17 2015-11-24 株式会社ジーシー Jig for removing dental abutment from implant fixture
KR101718464B1 (en) 2016-02-23 2017-03-21 (주)이비아이 Removing apparatus of abutment for dental impla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61176A1 (en) 2007-04-23 2008-10-23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implant and dental component connection
US20130004915A1 (en) 2011-06-28 2013-01-03 Biomet 3I, Llc System and Method fo Dental Implant and Interface to Abutment For Restoration
JP5820767B2 (en) * 2012-05-17 2015-11-24 株式会社ジーシー Jig for removing dental abutment from implant fixture
KR101493509B1 (en) 2013-10-21 2015-02-13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Implant fixture removal device
KR101718464B1 (en) 2016-02-23 2017-03-21 (주)이비아이 Removing apparatus of abutment for dental im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469U (en) 2019-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802B1 (en) Non adhesive screw implants
US3466748A (en) Anchor screw for dental prosthesis
KR100375030B1 (en) Dental implant
TWI432183B (en) Dental implant fixture
KR200467684Y1 (en) Implant screw for dental implant and dental implant having the same
US4661066A (en) Movable plate implant
ZA200605064B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orienting a bridge in position relative to a dental implant
KR200490301Y1 (en) Abutment Removable Device
JP2021505257A (en) Dental implant fixture
KR101011695B1 (en) endo pile for endodontic treatment
CN107440806A (en) A kind of department of stomatology Special medical equipment
TWI598078B (en) Palatal implant for overdenture
JP2005270334A (en) Dental implant
CN205286562U (en) Instruments for tooth extraction of wicresoft
US20090098509A1 (en) Dental tooth extraction implement and method thereof
KR101472854B1 (en) Tooth extraction assembly
WO2013004703A1 (en) A modular apparatus for dental implants
CN205286559U (en) Modified wicresoft device of extracing tooth
KR101210671B1 (en) Dental Implant
US5944529A (en) Two-component dental post system
JPH0233258B2 (en)
KR101566457B1 (en) Drill for removing abutment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40088301A (en) Substructure Improved ImplantFixture
CN205586093U (en) Incomplete root does not have dislocation of wound ware
KR100649628B1 (en) Dental impl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