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0081Y1 - 접이식 종이컵 - Google Patents

접이식 종이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0081Y1
KR200490081Y1 KR2020190001556U KR20190001556U KR200490081Y1 KR 200490081 Y1 KR200490081 Y1 KR 200490081Y1 KR 2020190001556 U KR2020190001556 U KR 2020190001556U KR 20190001556 U KR20190001556 U KR 20190001556U KR 200490081 Y1 KR200490081 Y1 KR 2004900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drinking
receiving space
contents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5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기
Original Assignee
이승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기 filed Critical 이승기
Priority to KR20201900015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008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00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00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4Lines of weakness to facilitate opening of container or dividing it into separate parts by cutting or t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이식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커피분말, 액상차를 수용한 팩을 구비하여 음용 시 접거나 펼쳐서 사용하는 접이식 종이컵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나의 벽체가 서로 이웃하게 접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벽체가 접히는 부분을 압착하여 형성된 압착부가 벽체로부터 돌출되는 홀더부와 벽체 일단 및 타단이 서로 접착하여 벽체의 일면을 이루되, 그 벽체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손잡이부 및 벽체의 각각의 하부가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삼각형태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바닥면이 상호 접착되게 접이선이 형성되어 수용공간의 하부를 밀폐시키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식 종이컵{IGNITION FOR BRIQUETTE}
본 고안은 접이식 종이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부를 잡아당겨 접힌 몸체부를 펼침에 따라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공간의 내부에 커피분말 또는 액상차를 수용하여 뜨거운 물을 부어 음용부를 잡고 흔들어도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접고 펼침이 용이한 접이식 종이컵에 관한 것이다.
일회용 종이컵은 자동판매기, 사무실 또는 가정이나 야외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대량 생산이 가능하면서도 취급이 용이하고 자원의 재활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일회용 종이컵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은 일반적인 컵 형상을 갖고 있기 때문에, 본래의 형상이 갖고 있는 부피의 부담으로 인하여 휴대하거나 보관이 불편하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일회용 종이컵을 접어 휴대하거나 보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사용 시에는 내부 공간이 확보된 상태의 컵 형상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종이컵이 개발 및 실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접이식 종이컵은 유통과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을 갖고 있으면서도, 필요에 따라 내부에 다양한 형태의 티백이나 커피 믹스 등을 넣어 밀봉시키면 컵과 내용물을 함께 휴대 및 유통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접이식 종이컵은 컵을 구성하는 요소들 예를 들어, 컵의 몸체와 바닥 등을 접착 및 융착 하는데 어려움이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고, 특히 접착된 부분이 쉽게 떨어지거나 벌어지므로 안정된 품질을 유지할 수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 일회용 종이컵은 내용물을 보호하고 운송하기 위해서 뚜껑이 필요한 경우가 빈번하다. 이에 일회용 종이컵은 뚜껑을 별도로 제작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뚜껑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이나 알루미늄에 폴리에틸렌 코팅을 한 리드지 등을 이용하여 제작한다. 플라스틱 뚜껑의 경우, 분해가 잘 되지 않아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리드지 뚜껑의 경우, 제조비용이 많이 든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몸체 부분과 동일한 재질의 종이로 구성하고, 밀폐성 및 견고성을 강화할 수 있는 친환경 종이컵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8096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423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1814호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2015-0003853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손잡이부를 잡아당겨 접힌 몸체부를 펼침에 따라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공간의 내부에 커피분말 또는 액상차를 수용하여 뜨거운 물을 부어 음용부를 잡고 흔들어도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접고 펼침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접이식 종이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내부에 커피분말, 액상차를 수용한 팩을 구비하여 음용 시 접거나 펼쳐서 사용하는 접이식 종이컵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나의 벽체가 서로 이웃하게 접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벽체가 접히는 부분을 압착하여 형성된 압착부가 상기 벽체로부터 돌출되는 홀더부,
상기 벽체 일단 및 타단이 서로 접착하여 벽체의 일면을 이루되, 그 벽체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벽체의 각각의 하부가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삼각형태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바닥면이 상호 접착되게 접이선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를 밀폐시키는 바닥부를 포함하는
접이식 종이컵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벽체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되, 상기 벽체의 일측부터 중앙을 수직하게 지나는 수직선까지 경사를 이루는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의 일측은 평행하게 절단되어 상기 벽체를 접거나 펴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사각형상의 음용부를 형성하는 덮개부, 상기 벽체가 서로 이웃하여 접거나 펼쳐지도록 상기 벽체와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는 절곡선 및 상기 경사부의 상측을 따라 연장되어 삼각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경사부와 분리되도록 절단선이 형성되는 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는 상기 경사부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음용부를 밀폐시킴으로써, 상기 팩의 내용물을 상기 수용공간에 넣고 물을 부어 흔들어도 내용물이 상기 음용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음용부로부터 연장되되, 사각형을 형성하는 4개의 면 중 일측 2개의 면이 더 연장되는 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는 상기 음용부의 일측 2개의 면을 접어서 상기 음용부의 타측 2개의 면을 밀폐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팩의 내용물을 넣고 물을 부어 흔들어도 내용물이 상기 음용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음용부로부터 연장되는 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밀폐부는 상기 음용부의 일면 방향으로 접어서, 상기 음용부를 밀폐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팩의 내용물을 넣고 물을 부어 흔들어도 내용물이 상기 음용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벽체가 서로 인접하는 부분이 압착되어 접고 펼쳐지는 종이컵으로 형성됨으로써,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고, 안정되게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은 벽체가 접혀지도록 압착하는 압착부를 형성하고, 압착부를 벽체의 일면으로부터 돌출시킨 홀더부를 형성하여, 별도의 종이컵용 홀더가 없이도 뜨거운 음료를 수용한 종이컵을 파지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여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은 수용공간에 내용물을 수용하고 뜨거운 물을 부은 후, 경사부에 결합된 밀폐부를 분리하여 개방된 음용부를 덮은 상태에서 몸체부를 흔들어 수용된 내용물을 혼합 시, 내용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뜨거운 열기가 음용부로 새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은 수용공간에 커피분말, 액상차를 수용한 팩을 내부에 구비하여 접혀진 상태로 형성되어, 판매대의 전시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음료를 음용하는 경우 손잡이를 잡아당겨 몸체부를 펴서 사용하므로,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해준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의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의 밀폐부로 음용부를 밀폐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바닥면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응용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밀폐부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응용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밀폐부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의 접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의 밀폐부로 음용부를 밀폐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바닥면을 나타낸 저면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10)은 몸체부(100), 홀더부(200), 손잡이부(300) 및 바닥부(4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10)은 내부에 커피분말, 액상차를 수용한 팩을 구비하여 음용 시 접거나 펼쳐서 사용하는 접이식 종이컵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나의 벽체(110)가 서로 이웃하게 접혀 내부에 수용공간(101)을 형성하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100), 벽체가 접히는 부분을 압착하여 형성된 압착부(210)가 벽체로부터 돌출되는 홀더부(200), 벽체 일단 및 타단이 서로 접착하여 벽체의 일면을 이루되, 벽체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손잡이부(300) 및 벽체의 각각의 하부가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삼각형태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바닥면(410)이 상호 접착되게 접이선(420)이 형성되어 수용공간의 하부를 밀폐시키는 바닥부(40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몸체부(1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종이재질의 벽체(110)가 구비되어 내부에 수용공간(101)을 형성시키도록 벽체(110)를 수직으로 접는선을 미리 정해진 간격만큼 복수개로 형성한다. 그리고 접는선을 접어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몸체부(100)는 삼각기둥과 유사한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사각, 오각, 육각 기둥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는선은 후술하는 절곡선(130)을 지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몸체부(100)는 일정높이와 폭을 가지며 접는선을 따라 각각의 측벽으로 이루어진다고 그리고 상부가 개방되고 후술하는 바닥부(400)에 의해 하부가 밀폐되어 내부에 수용공간(101)을 형성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몸체부(100)는 덮개부(120), 절곡선(130) 및 밀폐부(140)를 포함한다.
덮개부(120)는 벽체(110)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되, 벽체(110)의 일측부터 중앙을 수직하게 지나는 수직선까지 경사를 이루는 경사부(121)를 형성하고 경사부(121)의 일측은 평행하게 절단되어 벽체(110)를 접거나 펴는 경우 수용공간(101)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사각형상의 음용부(122)를 형성한다.
즉, 덮개부(120)는 몸체부(100)의 상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상부 벽체로 형성되는 것이다.
경사부(121)는 손잡이부(300)를 일방향으로 잡아당기면서 몸체부(100)가 펴졌을 때, 몸체부(100)의 상부 일측이 경사면을 형성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음용부(122)를 편 상태로 몸체부(100)가 접히지 않고 일반적으로 음료가 수용된 용기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음용부(122)는 수용공간(101)에 구비된 커피분말, 액상차를 수용한 팩을 꺼낼 수 있도록 수용공간(101)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부분이다.
일례로, 음용부(122)는 일반적으로 몸체부(100)가 접혀져 있을 때, 수용공간(101)의 상부를 폐쇄한다. 그리고 수용공간(101)에 구비된 팩을 개봉하여 음료를 마시기 위해 손잡이부(300)가 위치한 벽체(110)을 양측으로 밀어 서로 접촉된 벽체(110)의 상부를 뜯어 개방한다. 그리고 팩을 개봉하여 수용공간(101)의 내부에 음료용 재료를 넣고 물을 부어 음용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음용부(122)는 벽체(110)의 일단 및 타단이 서로 접촉하여 결합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후술하는 손잡이부(300)를 잡아당김에 따라 개방되는 형태를 형성되게 한다.
또한, 음용부(122)는 4개의 면이 서로 대향되게 마주보게 하여 접촉한다. 이때, 각각의 면에 수회 접착할 수 있는 접착부재(식용풀 또는 식용접착제)가 형성되어 서로 밀착하여 밀폐력을 견고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미도시)
절곡선(130)은 벽체(110)가 서로 이웃하여 접거나 펼쳐지도록 벽체(110)와 덮개부(120)에 형성된다.
즉, 절곡선(13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벽체(110)의 일면에 수직한 선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로 형성되어 접었을 때 다각형의 몸체부(100)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다각형상에 대응하여 몸체부(100)의 상부에 형성된 덮개부(120)에 접거나 펴질 수 있는 선으로 형성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밀폐부(140)는 경사부(121)의 상측을 따라 연장되어 삼각형태로 구비되고, 경사부(121)와 분리되도록 절단선(141)이 형성된다.
즉, 밀폐부(140)는 경사부(121)로부터 분리하여 음용부(122)를 밀폐시킴으로써, 팩의 내용물을 수용공간(101)에 넣고 물을 부어 흔들어도 내용물이 음용부(122)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밀폐부(140)는 수용공간(101)에 음료용 재료를 넣은 후, 뜨거운 물을 부은 후, 절단선(141)부분을 잡아당겨 경사부(121)와 분리한다. 그리고 음용부(122)를 접어서 폐쇄 시킨 후 밀폐부(140)로 음용부(122)의 상부를 둘러싸도록 덮는다. 그리고 밀폐부(140)에 둘러싸인 음용부(122)를 잡고 몸체부(100)를 흔들어 뜨거운 물과 음료용 재료를 교반시킨다.
이때, 수용공간(101)에 저장된 뜨거운 물의 열기가 음용부(122)로 이동하더라도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열기에 입을 수 있는 화상을 방지해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홀더부(200)는 벽체(110)가 접히는 부분을 압착하여 형성된 압착부(210)가 벽체(1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홀더부(200)는 벽체(110)가 접혀져 형성된 다각형의 접힌부분의 수직한 방향을 따라 돌출된다. 이로 인해, 수용공간(101)에 저장된 뜨거운물의 열기에도 몸체부(100)를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홀더부(200)는 벽체(110)가 절곡선(130)을 따라 접혀진 부분을 압착하는 압착부(210)가 벽체(110)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수직한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일반적인 종이컵의 외측면을 둘러싸는 종이재질의 컵홀더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은 상태에서 뜨거운물이 저장된 몸체부(100)를 파지하더라도 벽체(110)의 일면과 손바닥이 서로 이격되게 하여 손에 화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해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손잡이부(300)는 벽체(110) 일단 및 타단이 서로 접착하여 벽체의 일면을 이루되, 그 벽체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다시 설명하면, 손잡이부(30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벽체(110)의 일단과 타단이 서로 접착하여 다각형의 몸체부(100)를 형성하는 하나의 벽체를 형성한다.
이때, 벽체(110)의 일단 및 타단이 서로 접착한 부분은 다각형을 이루는 하나의 벽체의 넓이만큼의 면적을 가진다. 이로 인해, 내측을 관통시켜 외측은 테두리 형태로 형성시켜 손잡이의 형상을 가지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바닥부(400)는 벽체(110)의 각각의 하부가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삼각형태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바닥면(410)이 상호 접착되게 접이선(420)이 형성되어 수용공간(101)의 하부를 밀폐시킨다.
즉, 바닥부(400)는 몸체부(100)를 형성하는 각각의 벽체(110)에 대응하여 삼각형태로 구비되는 바닥면(410)을 복수개로 형성시키고, 이러한 바닥면(410) 각각 상호 인접하게 접착되어 몸체부(100)를 지지하도록 홀더부(200)의 형상으로 복수개의 지지대가 형성되게 한다.
이러한 바닥부(400)는 손잡이부(300)를 잡아당김으로써, 벽체(110)가 펴지게 되어 몸체부(100)가 다각기둥형상으로 되더라도 접이선(420)에 의해 벽체(110)의 하부와 직각 또는 둔각으로 접혀짐으로써 바닥면(410)이 평평한 상태에 유사하게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의 응용에 따른 몸체부에 형성된 밀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따라, 밀폐부(140a)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응용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밀폐부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응용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10)에 있어서, 몸체부(100)는 밀폐부(140a)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시 설명하면, 몸체부(100)는 음용부(122)로부터 연장되되, 사각형을 형성하는 4개의 면 중 일측 2개의 면이 더 연장되는 밀폐부(140a)를 포함한다.
즉, 밀폐부(140a)는 음용부(122)의 일측 2개의 면을 접어서 음용부(122)의 타측 2개의 면을 밀폐함으로써, 수용공간(101)에 팩의 내용물을 넣고 물을 부어 흔들어도 내용물이 음용부(122)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밀폐부(140a)는 음용부(122)의 일측 2개의 면으로부터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손잡이부(300)를 잡아당긴 후 수용공간(101)을 확보한 상태에서 팩의 내용물 및 뜨거운 물을 부은 후, 음용부(122)를 접은 후, 음용부(122)를 둘러싸도록 접어서 사용할 수가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응용에 따른 몸체부에 형성된 밀폐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에 따라, 밀폐부(140b)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응용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밀폐부를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다른 응용에 따른 접이식 종이컵(10)에 있어서, 몸체부(100)는 밀폐부(140b)를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따.
다시 설명하면, 몸체부(100)는 음용부(122)로부터 연장되는 밀폐부(140b)를 포함한다.
즉, 밀폐부(140b)는 음용부(122)의 일면 방향으로 접어서, 음용부(122)를 밀폐함으로써, 수용공간(101)에 팩의 내용물을 넣고 물을 부어 흔들어도 내용물이 음용부(122)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밀폐부(140b)는 음용부(122)의 4개의 면으로부터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음용부(122)의 길이를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시키되, 일면방향으로 접혀지도록 접는선을 형성하여 몸체부(100)의 상부와 인접한 음용부(122)를 밀폐하도록 둘러싸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접이식 종이컵
100 : 몸체부
101 : 수용공간
110 : 벽체
120 : 덮개부
121 : 경사부
122 : 음용부
130 : 절곡선
140, 140a, 140b : 밀폐부
141 : 절단선
200 : 홀더부
210 : 압착부
300 : 손잡이부
400 : 바닥부
410 : 바닥면
420 : 접이선

Claims (4)

  1. 내부에 커피분말, 액상차를 수용한 팩을 구비하여 음용 시 접거나 펼쳐서 사용하는 접이식 종이컵에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나의 벽체가 서로 이웃하게 접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다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몸체부;
    상기 벽체가 접히는 부분을 압착하여 형성된 압착부가 상기 벽체로부터 돌출되는 홀더부;
    상기 벽체 일단 및 타단이 서로 접착하여 벽체의 일면을 이루되, 그 벽체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손잡이부; 및
    상기 벽체의 각각의 하부가 일체형으로 연장되어 삼각형태로 구비되는 복수개의 바닥면이 상호 접착되게 접이선이 형성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하부를 밀폐시키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는
    상기 벽체의 상부를 따라 연장되되, 상기 벽체의 일측부터 중앙을 수직하게 지나는 수직선까지 경사를 이루는 경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경사부의 일측은 평행하게 절단되어 상기 벽체를 접거나 펴는 경우 상기 수용공간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사각형상의 음용부를 형성하는 덮개부;
    상기 벽체가 서로 이웃하여 접거나 펼쳐지도록 상기 벽체와 상기 덮개부에 형성되는 절곡선; 및
    상기 경사부의 상측을 따라 연장되어 삼각형태로 구비되고, 상기 경사부와 분리되도록 절단선이 형성되는 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는 상기 경사부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음용부를 밀폐시킴으로써, 상기 팩의 내용물을 상기 수용공간에 넣고 물을 부어 흔들어도 내용물이 상기 음용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종이컵.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음용부로부터 연장되되, 사각형을 형성하는 4개의 면 중 일측 2개의 면이 더 연장되는 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는 상기 음용부의 일측 2개의 면을 접어서 상기 음용부의 타측 2개의 면을 밀폐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팩의 내용물을 넣고 물을 부어 흔들어도 내용물이 상기 음용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종이컵.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음용부로부터 연장되는 밀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폐부는 상기 음용부의 일면 방향으로 접어서, 상기 음용부를 밀폐함으로써,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팩의 내용물을 넣고 물을 부어 흔들어도 내용물이 상기 음용부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종이컵.
KR2020190001556U 2019-04-15 2019-04-15 접이식 종이컵 KR2004900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556U KR200490081Y1 (ko) 2019-04-15 2019-04-15 접이식 종이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556U KR200490081Y1 (ko) 2019-04-15 2019-04-15 접이식 종이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0081Y1 true KR200490081Y1 (ko) 2019-09-20

Family

ID=68066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556U KR200490081Y1 (ko) 2019-04-15 2019-04-15 접이식 종이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008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1294A1 (ja) * 2020-12-15 2022-06-23 圭佑 西田 折りたたみコップ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526Y1 (ko) * 2002-04-26 2002-07-22 방종관 커피 분말 내장형 일회용 종이컵
KR101114236B1 (ko) 2011-05-23 2012-03-05 조현준 접이식 종이컵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80963A (ko) 2011-01-10 2012-07-18 이승환 접이식 삼각 종이컵
KR20130006841U (ko) * 2012-05-18 2013-11-27 옥동훈 포장재와 용기 겸용 일회용 컵
KR101401814B1 (ko) 2013-03-04 2014-05-29 송상근 접이식 종이컵
KR20150003853U (ko) 2014-04-14 2015-10-22 (주)삼보에이팩 친환경 뚜껑 일체형 밀폐형 종이컵
KR200484072Y1 (ko) * 2017-02-17 2017-07-28 이승기 접이식 종이컵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2526Y1 (ko) * 2002-04-26 2002-07-22 방종관 커피 분말 내장형 일회용 종이컵
KR20120080963A (ko) 2011-01-10 2012-07-18 이승환 접이식 삼각 종이컵
KR101114236B1 (ko) 2011-05-23 2012-03-05 조현준 접이식 종이컵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6841U (ko) * 2012-05-18 2013-11-27 옥동훈 포장재와 용기 겸용 일회용 컵
KR101401814B1 (ko) 2013-03-04 2014-05-29 송상근 접이식 종이컵
KR20150003853U (ko) 2014-04-14 2015-10-22 (주)삼보에이팩 친환경 뚜껑 일체형 밀폐형 종이컵
KR200484072Y1 (ko) * 2017-02-17 2017-07-28 이승기 접이식 종이컵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1294A1 (ja) * 2020-12-15 2022-06-23 圭佑 西田 折りたたみコッ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38653T3 (es) Recipiente con tapa resellable
US7587883B2 (en) Portable food dispenser
JP4757429B2 (ja) 複数の飲料流出通路を備える容器蓋体
US20120168461A1 (en) Reuseable housing for flexible pouch with fitment
KR200484072Y1 (ko) 접이식 종이컵
GB2257687A (en) Container
JP7289378B2 (ja) 混合および分注のための容器システム
WO2008026161A2 (en) Multi-function box
KR200490081Y1 (ko) 접이식 종이컵
EP0598031A1 (en) Collapsible refill container for granular products adapted to be inserted into an outer box-type package
KR100908848B1 (ko) 절첩식 컵
US8662336B2 (en) Bag scaffold
KR101504901B1 (ko) 제품 인출이 용이하도록 제품 받침대가 형성된 포장박스
KR101486190B1 (ko) 절첩식 컵
JP2006321538A (ja) 組立式梱包体
US6357653B1 (en) Wood charcoal container
JP6138587B2 (ja) 内袋付き容器
TWI342290B (ko)
US2485816A (en) Dispensing container
KR101409401B1 (ko) 용기 외부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보조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200195803Y1 (ko) 절첩식종이컵
TWM565685U (zh) Container bag
EP3552984B1 (en) Device for storing, transporting, and dispensing a liquid; tool
KR200248369Y1 (ko) 접이식 컵라면 용기
KR200326098Y1 (ko) 스푼을 갖는 일회용 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