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947Y1 - Orthodontic bracket - Google Patents

Orthodontic brack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947Y1
KR200488947Y1 KR2020170003821U KR20170003821U KR200488947Y1 KR 200488947 Y1 KR200488947 Y1 KR 200488947Y1 KR 2020170003821 U KR2020170003821 U KR 2020170003821U KR 20170003821 U KR20170003821 U KR 20170003821U KR 200488947 Y1 KR200488947 Y1 KR 2004889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ers
tiltable
elastic member
wire
pivo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821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0262U (en
Inventor
김종호
Original Assignee
김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호 filed Critical 김종호
Priority to KR20201700038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947Y1/en
Publication of KR201900002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262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9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947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30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by resilient means; Dispens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8Securing arch wire to bracket
    • A61C7/285Locking by ro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교정용 브라켓 세트는 서로 접촉한 상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2개의 회동 부재; 상기 2개의 회동 부재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2개의 회동 부재의 하측에 대하여 내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하측에 연결되고, 치아에 부착 가능한 부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회동 부재는 와이어를 지지할 수 있는 닫힌 상태 및 상기 와이어를 탈착 가능한 열린 상태 사이에서 상태 전환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rthodontic bracket set includes two pivoting members rotatable in opposite direction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 elastic member surrounding an outer side of the two pivotal members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acting in an i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a lower side of the two pivotal members; And an attachment member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and attachable to the teeth, the two pivotable members being switchable between a closed state in which the wire can be supported and an open state in which the wire is detachable.

Description

교정용 브라켓{ORTHODONTIC BRACKET}ORTHODONTIC BRACKET

아래의 설명은 교정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following explains the calibration bracket.

불균일한 치열 상태 또는 부정교합은 치아 자체 또는 턱뼈의 발육 이상을 초래할 수 있다. 불균일한 치열 상태 또는 부정교합 상태의 치아를 갖는 사람들은 음식물 섭취 시 음식물을 균일하게 분쇄하지 못한다. 또한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은 소화기 계통의 각종 치아 질병을 초래할 수 있다.Uneven dental status or malocclusion may result in dental anomalies or developmental problems of the jaw. People with uneven teeth or malocclusion can not uniformly crush food during ingestion. In addition, food sandwiched between teeth can cause various tooth diseases of digestive system.

치아 교정 기술이 적용되는 종래의 일반적인 치아 교정기는, 각 치아의 전면에 개별적으로 부착되는 복수 개의 교정용 브라켓과, 복수 개의 교정용 브라켓들로 지지되는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교정용 브라켓에는 삽입홀이 형성되고, 교정용 브라켓을 치아의 전면에 접착시킨 후, 구강 내에서 와이어를 교정용 브라켓에 결합시킬 수 있다.Conventional general orthodontic appliances to which orthodontic techniques are applied may include a plurality of orthodontic brackets individually attached to the front of each tooth and wires supported by a plurality of orthodontic brackets. An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orthodontic bracket, and after the orthodontic bracket is bonded to the front of the tooth, the wire can be connected to the orthodontic bracket within the oral cavity.

종래의 교정용 브라켓들은 교정용 호선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로 파인 단면이 사각형인 홈을 가지고, 삽입된 호선을 내부의 사각형 홈 안으로 제한하는 별도의 와이어로 감싼다. 또는, 종래의 교정용 브라켓은 자가 결찰 브라켓이라 하여 브라켓 몸체와는 별도로 얇은 크립을 부속시켜 이를 개폐하므로써 호선을 제한하는 방식의 구조를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는 홈을 내포한 몸체와 날개(wing)을 가지고 있어 최소한의 두께를 가지도록 제작되었다 하더라도 치아의 순면에 대해 상당한 면적으로 또 두께로 부착될 수밖에 없었다. Conventional orthodontic brackets have grooves with a square inner cross section to accommodate the orthodontic arc wire and wrap the inserted arc line with a separate wire that restricts the inside of the rectangular groove. Alternatively, a conventional orthodontic bracket is a self-ligation bracket, and a thin creep is attached separately from the bracket body to open and close it, thereby restricting the line. Such a structure has a groove-containing body and a wing so that even if it is made to have a minimum thickness, it has to be attached with a considerable area and thickness to the surface of the tooth.

교정 장치의 기능과 관련하여, 교정계에서 합의된 인-아웃(in-out), 토크(torque), 앵귤레이션(angulation), 인클라이네이션(inclination)이 이미 확고하게 정착되었다. 다만 교정용 브라켓이 부피가 작은지, 심미적인지, 환자의 불편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지,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지, 유지관리는 용이한지, 호선과 배부 홈과의 접촉면에서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하여 아직 과제가 남았다고 할 것이다. Regarding the function of the calibration device, the agreed in-out, torque, angulation, and inclination in the calibration system have already been firmly established. However, whether or not the orthodontic bracket is small in volume, aesthetic, minimizes patient discomfort, has sufficient strength, is easy to maintain, and can minimize friction on the contact surface between the wire and the dispensing groove I will say that I still have a problem with respect to.

교정용 브라켓의 부피를 최소화한다는 것은 심미성과도 직결되는 문제거니와 환자가 느끼는 연조직으로부터의 불편감에도 비례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술자로서도 작은 부피의 교정용 브라켓은 대합치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는 장점, 그로 인한 불필요한 교합거상을 할 필요가 현저히 감소한다는 장점, 대합치와의 접촉에 의한 마모나 장치 탈락의 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교정용 브라켓의 잦은 탈락은 환자의 잦은 내원과 치료기간의 연장으로 이어진다. 교정용 브라켓의 부피가 크고, 구조가 복잡해질수록 프라그의 침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환자는 칫솔질로 이를 제거하기가 어려워 치아 위생관리에 어려움이 따르게 되고, 결국 치아 표면 탈회를 비롯한 치아 우식이나 치주질환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면, 교정용 브라켓의 구조가 간단하면 할수록, 또 부피가 작으면 작을수록 프라그의 침착이 적어질 뿐만 아니라, 환자의 칫솔질 등 자가 위생관리가 용이해져 치주질환이나 치아 우식 발생 가능성을 현저히 낮출 수 있다.Minimizing the volume of the orthodontic bracket also proportionally affects the sense of discomfort from the soft tissues felt by the patient and the problems directly related to the esthetics. As a surgeon, the small-sized orthodontic bracket has the advantage of avoiding interference with the abutment, the advantage of unnecessarily reducing the need for unnecessary occlusion, the possibility of abrasion due to contact with the abutment, . Frequent dropouts of orthodontic brackets lead to frequent visits to the patient and prolongation of the treatment period. The larger the size of the orthodontic bracket and the more complicated the structure, the easier it is to deposit the plaque and the patient is difficult to remove it by brushing.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manage the hygiene of the tooth, The possibility of exposure to the disease is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simpler the structure of the orthodontic bracket, the smaller the volume is, the less the plaque deposition becomes, and the self-sanitation of the patient, such as brushing, becomes easier and the possibility of periodontal disease or tooth caries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

본 발명은 이런 취지로써 몸체와 내부 홈과 호선을 잠그는 구조와 날개를 모두 하나의 구조로 통합함으로써, 그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크기를 감소시켰으며, 또한 술자로 하여금 호선을 교정용 브라켓에 착탈하기 매우 쉬운 구조를 갖도록 하여, 임상에서 체어 타임(chair time)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복잡한 구조물을 최소화하여 제품 생산 공정을 단순화함으로써 제작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발명이라 하겠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simplifies the structure and reduces the size by integrating the structure, which locks the body, the inner groove and the line, and the wing into one structure, and also allows the surgeon to attach and detach the line to / from the orthodontic bracket So that it is possible to significantly reduce the chair time in the clinic. In addition, it is an invention that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by simplifying the product manufacturing process by minimizing complex structures.

선행기술로는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279247호(2010.11.04.자 공개) 및 미국공개특허공보 제2007-0092849호(2007.04.26.자 공개) 등이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과정에서 보유하거나 습득한 것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 공개된 공지기술이라고 할 수는 없다.Prior arts include U.S.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10-0279247 (published on November 4, 2010) and U.S. 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2007-0092849 (published on April 26, 2007). The background art described above is possessed or acquired by the inventor in the deriv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not be said to be a known art disclosed in general public befor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실시 예의 목적은, 교정용 브라켓 내부에 와이어를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정용 브라켓으로부터 와이어를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교정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one embodiment to provide a calibration bracket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not only easily mounting a wire into a calibration bracket but also easily separating a wire from the calibration bracket.

또한,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와이어의 축 방향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구조를 갖는 교정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one embodiment to provide a calibration bracket having a structure that assists smooth sliding of the wire in the axial direction.

또한,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와이어가 어느 하나의 교정용 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될 때, 인접한 다른 교정용 브라켓에 가하는 와이어의 간섭을 구조적으로 줄이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one embodiment to structurally reduce the interference of wires to adjacent orthodontic brackets when the wire is disengaged from any of the orthodontic brackets.

또한, 일 실시 예의 목적은 제작이 간단한 교정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one embodiment to provide a calibration bracket that is simple to manufacture.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교정용 브라켓은 서로 접촉한 상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2개의 회동 부재; 상기 2개의 회동 부재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2개의 회동 부재의 하측에 대하여 내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하측에 연결되고, 치아에 부착 가능한 부착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회동 부재는 와이어를 지지할 수 있는 닫힌 상태 및 상기 와이어를 탈착 가능한 열린 상태 사이에서 상태 전환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rthodontic bracket comprises two pivoting members rotatable in opposite direction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 elastic member surrounding an outer side of the two pivotal members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acting in an i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a lower side of the two pivotal members; And an attachment member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and attachable to the teeth. The two pivoting members can be switchable between a closed state in which the wire can be supported and an open state in which the wire is detachable.

상기 2개의 회동 부재는 각각,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탄성 부재와 연결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하는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two pivoting members each include a base portion; A side wall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base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And a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측정된 상기 2개의 회동 부재의 회동 각도가 설정 각도 보다 작을 때, 상기 2개의 회동 부재를 상기 닫힌 상태로 복원시키는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may apply an elastic force for restoring the two tiltable members to the closed state when the rotation angle of the two tiltable members measured based on the closed state is smaller than the set angle.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회동 각도가 상기 설정 각도 보다 클 때, 상기 2개의 회동 부재를 상기 열린 상태로 상태 전환시키는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can apply an elastic force for switching the two tiltable members to the open state when the rotation angle is larger than the set angle.

상기 2개의 회동 부재 중 어느 하나의 회동 부재의 베이스부가 상기 회동 각도에 관계 없이 다른 하나의 회동 부재의 베이스부와 접촉을 유지하는 지점을 회동 중심이라고 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회동 부재 및 다른 하나의 회동 부재 각각의 베이스부의 하면은,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회동 중심으로 갈수록 상기 부착 부재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Wherein a point at which the base portion of one of the two pivoting members maintains contact with the base portion of the other pivoting member regardless of the pivoting angle is referred to as a pivoting center,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of each of the pivoting members of the pivoting member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toward the pivoting center toward the pivoting center in the closed state.

상기 어느 하나의 회동 부재 및 다른 하나의 회동 부재 각각의 베이스부의 하면은, 상기 열린 상태에서, 상기 회동 중심으로 갈수록 상기 부착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of one of the pivoting members and the other pivoting member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ttaching member toward the pivot center in the open state.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부착 부재의 바닥면과 평행하고 상기 와이어를 지지할 수 있는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portion may include a horizontal portion that is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attachment member and can support the wire in the closed state.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수평부로부터 상기 회동 중심으로 갈수록 상기 회동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향 경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downward incline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so as to prevent the wire from rising excessively in the open state.

상기 베이스부는 내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베이스 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base portion may include a base groove recessed from the inner surface.

상기 측벽부는 외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 가능한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wall portion may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and the elastic member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into which the protrusion can be inserted.

상기 측벽부는 내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측벽 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ide wall portion may include a side wall groove formed to be recessed from the inner surface.

상기 커버부는, 상기 측벽부의 일단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측벽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상향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portion may include an upwardly inclined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inclining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portion as the distance from the side wall portion is increased.

상기 커버부는, 내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커버 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portion may include a cover groove recessed from the inner surface.

상기 2개의 회동 부재 각각은, 상기 2개의 회동 부재가 상기 탄성 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two pivoting members may include a stopper for preventing the two pivoting members from separating from the elastic member.

상기 2개의 회동 부재 중 어느 하나의 회동 부재는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회동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1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하나의 회동 부재는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회동 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2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one of the two pivoting members includes a first stopper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and bent in a direction toward the other pivoting member, the other pivoting member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And a second stopper bent in a direction toward one of the tiltable members.

상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 1 스토퍼는 상기 다른 하나의 회동 부재의 하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 2 스토퍼는 상기 어느 하나의 회동 부재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In the open state, the first stopper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other tiltable member, and the second stopper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one tiltable member.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교정용 브라켓 세트는 치열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치아에 부착되는 제 1 교정용 브라켓; 및 상기 치열의 양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아에 부착되는 제 2 교정용 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rthodontic bracket set includes a first orthodontic bracket attached to a tooth positioned at both ends of a dentition; And a second orthodontic bracket attached to at least one tooth positioned between both ends of the tooth train.

상기 제 1 교정용 브라켓은, 서로 접촉한 상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2개의 제 1 회동 부재와, 상기 2개의 제 1 회동 부재의 외측을 감싸는 제 1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제 1 회동 부재의 상부의 하면은 평평할 수 있다.The first orthodontic bracket may include two first tiltable members rotatable in opposite direction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first elastic member surrounding the outer sides of the two first tiltable members.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wo first tiltable members may be flat.

상기 제 2 교정용 브라켓은, 서로 접촉한 상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2개의 제 2 회동 부재와, 상기 2개의 제 2 회동 부재의 외측을 감싸는 제 2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제 2 회동 부재 각각의 상부의 하면은 상기 2개의 제 2 회동 부재 각각의 측벽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교정용 브라켓이 부착된 치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The second orthodontic bracket may include two second tiltable members rotatable in opposite direction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second elastic member surrounding the outer sides of the two second tiltable members.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two second tiltable members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extending from the side wall of each of the two second tiltable members and inclined upward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ooth to which the second orthodontic bracket is attached have.

상기 교정용 브라켓 세트는 상기 치열의 양 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돌출이 요구되는 치아에 부착되는 제 3 교정용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교정용 브라켓은, 서로 접촉한 상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2개의 제 3 회동 부재와, 상기 2개의 제 3 회동 부재의 외측을 감싸는 제 3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2개의 제 3 회동 부재의 상부의 하면은 평평할 수 있다.The orthodontic bracket se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orthodontic bracket positioned between both ends of the dentition and attached to a tooth requiring protrusion. The third orthodontic bracket may include two third tiltable members rotatable in opposite direction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third elastic member surrounding the outer sides of the two third tiltable members.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wo third tiltable members may be fla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2개의 회동 부재와 탄성 부재를 통해 교정용 브라켓 내부에 와이어를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ire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inside of the orthodontic bracket through the two pivoting members and the elastic member.

또한, 2개의 회동 부재와 와이어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와이어를 길이 방향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종래의 교정용 브라켓은 몸통 안의 홈을 와이어가 관통할 때, 와이어와 브라켓 홈과의 사이에 수많은 접촉을 일으키게 되는데, 그로 인해 마찰이 발생한다. 이 때 발생하는 마찰을 극복하기 위해 치아의 생리적 이동을 위한 최적 힘(optimal force) 보다 더 큰 힘을 치아에 가해야만 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교정용 브라켓은 호선과의 접촉이 테두리의 모서리에서만 이루어지도록 4면의 가장자리에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와이어가 홈 내부에서 오로지 단차에 접촉하게 하여 교정용 브라켓과 와이어 사이의 접촉면적을 획기적으로 줄였고, 그로 인해 호선이 브라켓의 홈을 관통할 때 발생하는 마찰이 최소화되어 보다 생리적인 힘에 가까운 힘으로 치아를 움직일 수 있게 하였다.Further, by reduc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two pivoting members and the wire, it is possible to smoothly slide the wi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ventional orthodontic brackets cause a lot of contact between the wire and the bracket groove when the wire passes through the groove in the body, thereby causing friction. In order to overcome the friction occurring at this time, a force greater than the optimal force for physiological movement of the tooth had to be applied to the tooth. However, in the orthodontic bra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is formed at the edge of the four sides so that the contact with the line is made only at the corner of the edge, so that the contact of the wire with the step only in the groove makes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orthodontic bracket and the wire Thereby minimizing the friction generated when the wire passes through the grooves of the bracket, thereby moving the teeth with a force close to the physiological force.

또한, 2개의 회동 부재의 하향 경사부를 마련함으로써, 와이어가 어느 하나의 교정용 브라켓의 베이스부로부터 들어올려지는 높이를 줄여서, 와이어가 인접한 다른 교정용 브라켓에 가하는 간섭을 구조적으로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downwardly inclined portions of the two tiltable members, the height at which the wires are lifted from the base portion of one of the orthodontic brackets can be reduced, and the interference that the wires apply to the adjacent orthodontic bracket can be structurally reduced.

또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은 2개의 회동 부재, 탄성 부재 및 부착 부재로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be simply manufactured with two pivoting members, an elastic member, and an attachment member.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2개의 회동 부재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를 나타내는 교정용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절개선 I-I를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b)는 도 1의 절개선 II-II를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2개의 회동 부재가 설정 각도만큼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교정용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절개선 I-I를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b)는 도 1의 절개선 II-II를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2개의 회동 부재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를 나타내는 교정용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1의 절개선 I-I를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b)는 도 1의 절개선 II-II를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절개선 A-A를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2개의 회동 부재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2개의 회동 부재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를 나타내는 교정용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2개의 회동 부재가 설정 각도만큼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교정용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2개의 회동 부재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를 나타내는 교정용 브라켓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 세트가 치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showing when two pivotable memb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re in an open state; FIG. 2 (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tion taken along section II of FIG. 1, and FIG. 2 (b)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ection taken along section II-II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libration bracket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pivoting mem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rotated by a set angle; FIG. 3 (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section II of FIG. 1, and FIG. 3 (b) is a section view showing a section taken along section II-II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showing when two pivoting memb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re in a closed condition; FIG. 4A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ection taken along section II of FIG. 1, and FIG. 4B is a section view showing a section taken along section II-II of FIG.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ut along AAA in FIG.
6 shows a bottom view of two pivoting memb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showing when two pivotable mem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in a closed state;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libration bracket showing a state in which two pivoting mem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rotated by a set angle.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showing when two tiltable member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re in an open state;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set of orthodontic bracke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stalled on a teeth.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best of an understanding clear.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Quot;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mponents included in any one embodiment and the components including common function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the description of any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the overlapping scope.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2개의 회동 부재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를 나타내는 교정용 브라켓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2개의 회동 부재가 설정 각도만큼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교정용 브라켓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2개의 회동 부재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를 나타내는 교정용 브라켓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절개선 A-A를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2개의 회동 부재의 저면도를 나타낸다. 도 2, 도 3 및 도 4의 (a)는 각각 도 1의 절개선 I-I를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 도 3 및 도 4의 (b)는 각각 도 1의 절개선 II-II를 따라 절단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showing when two pivoting mem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in an open state, and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showing when two pivoting mem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in a closed state,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rthodontic bracket showing a state where two pivoting members are rotated by a set angle. FIG. 6 is a bottom view of two pivoting mem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Figs. 2, 3 and 4 (a) are sectional views taken along section II of Fig. 1, and Figs. 2, 3 and 4 (b) -II in Fig.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1)은 일면이 치아에 부착될 수 있다. 교정용 브라켓(1)은 와이어(W)를 지지할 수 있고, 와이어(W)로부터 인가받는 받는 힘 및/또는 토크를 치아에 전달할 수 있다. 교정용 브라켓(1)은 금속, 세라믹, 플라스틱 및 폴리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교정용 브라켓(1)은 2개의 회동 부재(11, 12), 탄성 부재(20) 및 부착 부재(30)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회동 부재(11, 12)는 제 1 회동 부재(11) 및 제 2 회동 부재(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회동 부재(11) 및 제 2 회동 부재(12)라는 표현은 2개의 회동 부재(11, 12)라는 표현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1 to 6, one side of the orthodontic bracket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be attached to a tooth. The orthodontic bracket 1 can support the wire W and can transmit the received force and / or torque applied from the wire W to the teeth. The orthodontic bracket 1 may be made of at least one of metal, ceramic, plastic and polymer. The orthodontic bracket 1 may include two pivotal members 11 and 12, an elastic member 20 and an attachment member 30. [ The two tiltable members (11, 12) may include a first tiltable member (11) and a second tiltable member (12). It is to be noted that, in this specification, the expression of the first tiltable member 11 and the second tiltable member 12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expression of the two tiltable members 11 and 12.

2개의 회동 부재(11, 12)는 적어도 일부가 서로 접촉한 상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2개의 회동 부재(11, 12)는, 서로 접촉한 상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와이어(W)를 탈착 가능한 열린 상태(도 2 참조) 및 와이어(W)를 지지할 수 있는 닫힌 상태(도 4 참조) 사이에서 상태 전환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회동 부재(1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때, 제 2 회동 부재(12)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역도 마찬가지다.The two pivoting members (11, 12) are rotatable in opposite directions with at least a part thereof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two pivoting members 11 and 12 are pivoted in the opposite directions in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two pivoting members 11 and 12 are in an open state in which the wire W is detachable and in a closed state 4). For example, when the first tiltable member 11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second tiltable member 12 can rotate in a clockwise direction. The reverse is also true.

와이어(W)는, 닫힌 상태에서, 2개의 회동 부재(11, 12)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을 규정하는 4개의 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으로 힘 및/또는 토크를 인가할 수 있다. 상기 4개의 면은 제 1 회동 부재(11)의 내측면, 제 2 회동 부재(12)의 내측면, 2개의 회동 부재(11, 12)의 상부의 하면 및 2개의 회동 부재(11, 12)의 하부의 상면일 수 있다. 2개의 회동 부재(11, 12)의 상부는 2개의 회동 부재(11, 12) 각각의 커버부(113, 123)일 수 있다. 2개의 회동 부재(11, 12)의 하부는 2개의 회동 부재(11, 12) 각각의 베이스부(111, 121)일 수 있다.The wire W can apply a force and / or a torque to at least one of the four surfaces defining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two tiltable members 11 and 12 in the closed state. The four surfaces include an inner surface of the first tiltable member 11,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tiltable member 12,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two tiltable members 11 and 12 and two tiltable members 11 and 12, As shown in FIG. The upper portions of the two tiltable members 11 and 12 may be the cover portions 113 and 123 of the two tiltable members 11 and 12, respectively. The lower portions of the two tiltable members 11 and 12 may be the base portions 111 and 121 of the two tiltable members 11 and 12, respectively.

와이어(W)는, 열린 상태에서, 2개의 회동 부재(11, 12)로부터 이탈되거나 2개의 회동 부재(11, 12) 내부로 장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는 와이어(W)를 2개의 회동 부재(11, 12)에 탈착시킬 수 있다.The wire W can be detached from the two tiltable members 11 and 12 or can be mounted inside the two tiltable members 11 and 12 in the open state. In other words, in the open state, the user can detach the wire W to the two tiltable members 11 and 12. [

제 1 회동 부재(11) 및 제 2 회동 부재(12)는 적어도 일부가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며 반대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회동 부재(11) 및 제 2 회동 부재(12) 각각의 일 모서리는 열린 상태(도 2 참조) 및 닫힌 상태(도 4 참조) 사이에서 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회동할 수 있다. 제 1 회동 부재(11) 및 제 2 회동 부재(12)가 접촉을 유지하는 부분은 회동 중심(C)일 수 있다. 회동 중심(C)은 2개의 회동 부재(11, 12) 중 어느 하나의 회동 부재의 베이스부(111 또는 121)가 회동 각도에 관계 없이 다른 하나의 베이스부(121 또는 111)와 접촉을 유지하는 지점일 수 있다.The first tiltable member (11) and the second tiltable member (12) are at least partial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re rotatable in opposite directions. For example, one corner of each of the first tiltable member 11 and the second tiltable member 12 can be pivoted while maintaining a contact state between an open state (see FIG. 2) and a closed state (see FIG. 4) . The portion where the first tiltable member 11 and the second tiltable member 12 maintain contact may be the turning center C. [ The pivot center C is a position where the base portion 111 or 121 of one of the two pivoting members 11 and 12 keeps contact with the other base portion 121 or 111 regardless of the pivot angle Lt; / RTI >

2개의 회동 부재(11, 12)는 각각 베이스부, 측벽부 및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회동 부재(11)는 제 1 베이스부(111), 제 1 측벽부(112) 및 제 1 커버부(113)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회동 부재(12)는 제 2 베이스부(121), 제 2 측벽부(122) 및 제 2 커버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two pivoting members (11, 12) may include a base portion, a side wall portion and a cover portion, respectively. The first tiltable member 11 may include a first base portion 111, a first side wall portion 112 and a first cover portion 113 and the second tiltable member 12 may include a second base portion 121, a second side wall portion 122, and a second cover portion 123. [

제 1 베이스부(111) 및 제 2 베이스부(121)는 각각 수평부(1111, 1211), 하향 경사부(1112, 1122) 및 베이스 홈(1113, 1123)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base portion 111 and the second base portion 121 may include horizontal portions 1111 and 1211 and downward inclined portions 1112 and 1122 and base grooves 1113 and 1123.

수평부(1111, 1211)는 와이어(W)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수평부(1111, 1211)는 와이어(W)로부터 부착 부재(30) 방향으로 인가되는 힘 및/또는 토크를 치아에 전달할 수 있다. 수평부(1111, 1211)는 닫힌 상태에서 부착 부재(30)의 바닥면(S)과 평행할 수 있다.The horizontal portions 1111 and 1211 can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wire W. The horizontal portions 1111 and 1211 can transmit the force and / or torque applied from the wire W to the attachment member 30 to the teeth. The horizontal portions 1111 and 1211 may be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S of the attachment member 30 in a closed state.

하향 경사부(1112, 1122)는 수평부(1111, 1211)로부터 회동 중심(C)으로 갈수록 회동 중심(C)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하향 경사부(1112, 1122)는 교정용 브라켓(1)이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상태를 전환하는 과정에서 와이어(W)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교정용 브라켓(1)으로부터 와이어(W)를 이탈시키는 과정에서, 상승된 와이어(W)에 의해 인접한 다른 교정용 브라켓(1)에 불필요한 힘이 인가되는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The downward slopes 1112 and 1122 may be inclined from the horizontal portions 1111 and 1211 toward the center C of rotation. As shown in FIG. 3, the downward slopes 1112 and 1122 can prevent the wire W from being excessively elevated in the process of switching from the closed state of the orthodontic bracket 1 to the open state. Therefore, in the process of detaching the wire W from any one of the orthodontic brackets 1,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blem that the unnecessary force is applied to the adjoining orthodontic bracket 1 by the elevated wire W .

베이스 홈(1113, 1123)은 제 1 베이스부(111) 및 제 2 베이스부(121) 각각의 내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베이스부(111) 및 제 2 베이스부(121)가 와이어(W)를 지지하는 면의 중앙 부분은 함몰 형성될 수 있고, 함몰 형성된 부분은 베이스 홈(1113, 1123)일 수 있다. 베이스 홈(1113, 1123)은 와이어(W)와 베이스부(111, 121) 사이의 접촉 면적을 줄여줄 수 있다. 치열이 교정됨에 따라 와이어(W)는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필요가 있다. 베이스 홈(1113, 1123)은 구조적으로 접촉 면적을 줄여줌으로써 와이어(W)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The base grooves 1113 and 1123 may be recessed from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base portion 111 and the second base portion 121,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rface o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ase portions 111 and 121 support the wire W may be recessed, and the recessed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base grooves 1113 and 1123 . The base grooves 1113 and 1123 can redu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wire W and the base portions 111 and 121. [ As the teeth are calibrated, the wire W needs to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base grooves 1113 and 1123 can assist in smoothly moving the wire W by reducing the contact area structurally.

제 1 측벽부(112) 및 제 2 측벽부(122)는 와이어(W)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 1 측벽부(112) 및 제 2 측벽부(122) 각각은 제 1 베이스부(111) 및 제 2 베이스부(121)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측벽부(112)는 와이어(W)의 좌측면을 지지하고, 제 2 측벽부(122)는 와이어(W)의 우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베이스부(111)의 수평부(1111)의 일단이 하향 경사부(1112)와 연결될 때, 제 1 측벽부(112)는 수평부(1111)의 타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베이스부(121)의 수평부(1211)의 일단이 하향 경사부(1212)와 연결될 때, 제 2 측벽부(122)는 수평부(1211)의 타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할 수 있다. 제 1 측벽부(112) 및 제 2 측벽부(122) 각각은 닫힌 상태에서 부착 부재(30)의 바닥면(S)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The first sidewall portion 112 and the second sidewall portion 122 can support the side surface of the wire W. [ Each of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12 and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22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first base portion 111 and the second base portion 121. For example,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12 supports the left side of the wire W and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22 can support the right side of the wire W. [ For example, when one end of the horizontal part 1111 of the first base part 111 is connected to the downwardly inclined part 1112, the first side wall part 112 extends vertically from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part 1111 . Similarly, when one end of the horizontal part 1211 of the second base part 121 is connected to the downwardly inclined part 1212, the second side wall part 122 may extend vertically from the other end of the horizontal part 1211 . Each of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12 and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22 may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bottom surface S of the attachment member 30 in a closed state.

제 1 측벽부(112) 및 제 2 측벽부(122) 각각은 외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121, 1221)와, 내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측벽 홈(1122, 1222)을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first sidewall portion 112 and the second sidewall portion 122 may include protrusions 1121 and 1221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and sidewall grooves 1122 and 1222 recessed from the inner surface.

돌출부(1121, 1122)는 탄성 부재(20)에 삽입 가능하다. 돌출부(1121, 1122)를 통해 2개의 회동 부재(11, 12)와 탄성 부재(20)는 조립될 수 있다. 한편, 2개의 회동 부재(11, 12) 및 탄성 부재(2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The protrusions 1121 and 1122 are insertable into the elastic member 20. The two tiltable members 11 and 12 and the elastic member 20 can be assembled through the projections 1121 and 1122. [ On the other hand, it is noted that the two tiltable members 11, 12 and the elastic member 20 may be integrally formed.

측벽 홈(1122, 1222)은 와이어(W) 및 측벽부(112, 122) 사이의 접촉 면적을 줄여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와이어(W)가 인가 받는 마찰은 줄어들고, 와이어(W)는 길이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The side wall grooves 1122 and 1222 can redu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wire W and the side wall portions 112 and 122. As a result, the friction to which the wire W is applied is reduced, and the wire W can smoothly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브라켓 및 와이어 사이의 접촉이 테두리의 모서리에서만 이루어지도록 4면의 가장자리에 단차를 형성하여, 홈 내부에서 오로지 단차와 접촉하게 하여 교정용 브라켓과 교정용 호선과의 접촉면적을 획기적으로 줄였다. 그로 인해 와이어가 브라켓의 홈을 관통할 때 발생하는 마찰이 최소화되어 보다 생리적인 힘에 가까운 힘으로 치아를 움직일 수 있게 하였다. 그에 따라, 앵커리지에 대한 부담이 낮아지고, 전체적인 치료기간도 단축될 것으로 기대된다. 교정용 브라켓의 마찰에 작용하는 요소는 면적에 비례하지 않고, 보다 긁히는 힘(plowing force), 전단강도 및 접촉면의 화학적 반응이 작용한다. 그러나 같은 조건하에서 예를 들어, 긁히는 힘, 전단강도, 접촉면의 화학적 반응 및 표면의 매끈한 정도 등의 조건이 모두 똑같다면 미세한 접촉인 애스퍼리티(asperity) 등이 많을수록 마찰은 더 높아질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단차에서만의 접촉은 호선과 브라켓의 홈과의 사이에 애스퍼리티(asperity)의 수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racket and the wire is greatly reduced by forming a step on the edge of the four sides so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bracket and the wire is made only at the corner of the rim. Thereby minimizing the friction generated when the wire penetrates through the grooves of the bracket, thereby allowing the tooth to move with a force close to the physiological force. As a result, the burden on Anchorage will be lowered and the overall treatment period will be shortened. The elements acting on the friction brackets of the orthodontic bracket are not proportional to the area, but are influenced by the plowing force, shear strength and chemical reaction of the contact surfaces. However, if the conditions such as the scraping force, the shear strength, the chemical reaction of the contact surface, and the smoothness of the surface are all the same under the same conditions, friction will be higher as more fine contact asperities are presen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contact only at such a step will reduce the number of asperities between the groove and the groove of the bracket.

제 1 커버부(113) 및 제 2 커버부(123)는 와이어(W)의 상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 1 커버부(113) 및 제 2 커버부(123) 각각은 제 1 측벽부(112) 및 제 2 측벽부(12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측벽부(112)의 일단이 제 1 베이스부(111)와 연결될 때, 제 1 커버부(113)는 제 1 측벽부(112)의 타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측벽부(122)의 일단이 제 2 베이스부(121)와 연결될 때, 제 2 커버부(123)는 제 2 측벽부(122)의 타단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할 수 있다. 제 1 커버부(113) 및 제 2 커버부(123) 각각은 닫힌 상태에서 부착 부재(30)의 바닥면(S)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The first cover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ver portion 123 can support the upper surface of the wire W. Each of the first cover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ver portion 123 may extend from one end of the first sidewall portion 112 and the second sidewall portion 122. For example, when one end of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12 is connected to the first base portion 111, the first cover portion 113 may extend vertically from the other end of the first side wall portion 112. Likewise, when one end of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22 is connected to the second base portion 121, the second cover portion 123 may extend vertically from the other end of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122. The first cover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ver portion 123 may exten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S of the attachment member 30 in a closed state.

제 1 커버부(113) 및 제 2 커버부(123) 각각은 내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커버 홈(1131, 1231)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홈(1131, 1231)은 와이어(W)가 커버부(113, 123)와 접촉하는 면적을 줄여줄 수 있다.Each of the first cover portion 113 and the second cover portion 123 may include cover grooves 1131 and 1231 that are formed by being recessed from the inner surface. The cover grooves 1131 and 1231 can reduce the area of contact of the wire W with the cover portions 113 and 123. [

2개의 회동 부재(11, 12) 각각은 2개의 회동 부재(11, 12)가 탄성 부재(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14, 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회동 부재(11)는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제 2 회동 부재(12)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1 스토퍼(114)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회동 부재(12)는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제 1 회동 부재(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2 스토퍼(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정면에서 바라볼 때 제 1 스토퍼(114) 및 제 2 스토퍼(124)는 서로 교차할 수 있다. 열린 상태에서, 제 1 스토퍼(114)는 제 2 회동 부재(12)의 하면에 접촉 하고, 제 2 스토퍼(124)는 제 1 회동 부재(11)의 하면에 접촉할 수 있다. 제 1 스토퍼(114) 및 제 2 스토퍼(124)는 각각 복수 개일 수 있다.Each of the two pivoting members 11 and 12 may include stoppers 114 and 124 for preventing the two pivoting members 11 and 12 from separating from the elastic member 20. The first tiltable member 11 may include a first stopper 114 projected from the lower surface and bent in a direction toward the second tiltable member 12. [ Likewise, the second tiltable member 12 may include a second stopper 124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and bent in the direction toward the first tiltable member 11.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first stopper 114 and the second stopper 124 can intersect each other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first stopper 114 contacts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tiltable member 12 and the second stopper 124 can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tiltable member 11. In this state, Each of the first stopper 114 and the second stopper 124 may be plural.

제 1 스토퍼(114)는 열린 상태에서 제 2 회동 부재(12)와 면 접촉하는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2개의 회동 부재(11, 12)가 반복적으로 회동하더라도 제 1 스토퍼(114)가 제 2 회동 부재(12)의 하면에 가하는 손상을 줄여줄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스토퍼(124)는 열린 상태에서 제 1 회동 부재(11)와 면 접촉할 수 있다.The first stopper 114 may have a shap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econd tiltable member 12 in the open state. According to this 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damag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tiltable member 12 by the first stopper 114 even if the two tiltable members 11 and 12 are repeatedly rotated. Similarly, the second stopper 124 can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first tiltable member 11 in the open state.

제 1 베이스부(111) 및 제 2 베이스부(121)는 각각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제 1 스토퍼(114) 및 제 2 스토퍼(124)는 스토퍼 돌기에 걸릴 수 있다. 스토퍼 돌기로 인해 제 1 스토퍼(114) 및 제 2 스토퍼(124)의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다.The first base portion 111 and the second base portion 121 may be provided with stopper protrusions protruding from respective lower surfaces. The first stopper 114 and the second stopper 124 may be caught by the stopper projection. Sliding of the first stopper 114 and the second stopper 124 can be prevented by the stopper projection.

탄성 부재(20)는 2개의 회동 부재(11, 12)의 외측을 감싸고, 2개의 회동 부재(11, 12)의 하측에 대하여 내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20)는 돌출부(1221, 1222)가 걸림 가능한 수용부(21, 22)을 포함할 수 있고, 2개의 회동 부재(11, 12) 각각은 수용부(21, 22)을 통해 탄성 부재(20) 내부에 조립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20 can surround the outer sides of the two pivoting members 11 and 12 and can provide an elastic force acting in the i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side of the two pivoting members 11 and 12. [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20 may include receiving portions 21, 22 capable of engaging with the projections 1221, 1222, and each of the two pivoting members 11, 12 may include receiving portions 21, 22, The elastic member 20 can be assembled inside the elastic member 20.

예를 들어, 수용부(21, 22)는 닫힌 상태에서 돌출부(1221, 1222)의 측면과 접하는 제 1 접촉면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접촉면은 부착 부재(30)의 바닥면(S)에 대해 수직을 이루는 면일 수 있다. 또한, 수용부(21, 22)는 열린 상태에서 돌출부(1221, 1222)의 상면과 접하는 제 2 접촉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제 2 접촉면은 회동 부재(11, 12)의 최대 회동 각도에 대응하여, 돌출부(1221, 1222)의 상면과 접하도록 상향 경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동 부재(11, 12)의 최대 회동 각도가 30도 일 때, 닫힌 상태(도 4 참조)에서 제 2 접촉면이 부착 부재(30)의 바닥면(S)과 이루는 각도는 대략 30도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20)는 'U'자형의 탄성 부재일 수 있다. 탄성 부재(20)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 둔다.For example, the receptacles 21 and 22 may have a first contact surfac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s of the projections 1221 and 1222 in a closed state. For example, the first contact surface may be a surface that is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S of the attachment member 30. The receiving portions 21 and 22 may have a second contact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s of the projections 1221 and 1222 in the open state. The second contact surface may be inclined upward so as to contact the upper surfaces of the projecting portions 1221 and 1222 corresponding to the maximum rotation angle of the tiltable members 11 and 12. [ For example, when the maximum rotation angle of the tiltable members 11 and 12 is 30 degrees, the angle formed by the second contact surface with the bottom surface S of the attachment member 30 in the closed state (see Fig. 4) Lt; / RTI > For example, the elastic member 20 may be a U-shaped elastic member. The shape of the elastic member 20 is not limited thereto.

탄성 부재(20)는 2개의 회동 부재(11, 12)를 수용하면서 폭이 증가할 수 있다. 즉, 탄성 부재(20) 및 2개의 회동 부재(11, 12)가 조립될 때, 탄성 부재(20)의 폭은 초기 상태 보다 증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탄성 부재(20)는 2개의 회동 부재(11, 12)의 외측에 접촉하여 내측을 향해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탄성 부재(20)의 초기 상태의 폭은 2개의 회동 부재(11, 12)의 폭과 동일하여, 탄성 부재(20) 및 2개의 회동 부재(11, 12)가 조립될 때, 탄성 부재(20)의 폭은 초기 상태와 동일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탄성 부재(20)의 폭은 제 1 베이스부(111) 및 제 2 베이스부(121)의 바닥면이 평행할 때 최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닫힌 상태(도 4 참조)로부터 2개의 회동 부재가 설정 각도만큼 회동된 상태(도 3 참조)까지 상태 전환될 때, 탄성 부재(20)의 폭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회동 부재가 설정 각도만큼 회동된 상태(도 3 참조)로부터 열린 상태(도 2 참조)까지 상태 전환될 때, 탄성 부재(20)의 폭은 감소할 수 있다. 닫힌 상태(도 4 참조)에서의 탄성 부재(20)의 폭과 열린 상태(도 2 참조)에서의 탄성 부재(20)의 폭 사이의 대소관계는 회동 부재(11, 12) 및 탄성 부재(2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20 can be increased in width while accommodating the two pivoting members 11 and 12. [ That is, when the elastic member 20 and the two pivoting members 11 and 12 are assembled, the width of the elastic member 20 can be increased more than the initial state. In other words, the elastic member 20 can contact the outside of the two pivotable members 11, 12 and apply an elastic force toward the inside. The width of the initial state of the elastic member 20 is equal to the width of the two tiltable members 11 and 12 so that when the elastic member 20 and the two tiltable members 11 and 12 are assembled, It is noted that the width of the member 20 may be the same as the initial state. The width of the elastic member 20 may be maximum when the bottom surfaces of the first base portion 111 and the second base portion 121 are parallel. For example, the width of the elastic member 20 can be increased when the two pivoting members are changed from the closed state (see Fig. 4) to the pivoting state by the set angle (see Fig. 3). Further, when the two pivoting members are switched from the pivotal state (see Fig. 3) to the open state (see Fig. 2), the width of the elastic member 20 can be reduced. The magnitude relationship between the width of the elastic member 20 in the closed state (see FIG. 4) and the width of the elastic member 20 in the open state (see FIG. 2) And the like.

부착 부재(30)는 교정용 브라켓(1)을 치아에 부착시킬 수 있다. 부착 부재(30)는 탄성 부재(20)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부착 부재(30)는 부착 부재(30)의 바닥면(S)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복수 개의 부착 돌기(31)들을 포함할 수 있다.The attachment member 30 can attach the orthodontic bracket 1 to the teeth. The attachment member 30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20. [ The attachment member 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ttachment protrusions 31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S of the attachment member 30. [

부착 부재(30)는 양쪽 회동하는 회동 부재(11, 12)가 서로 접촉했을 때와, 열렸을 때와 그리고 중간과정에서 회동 부재(11, 12)들의 합산 거리가 각각 모두 다르므로 이를 수용할 수 있는 탄력이 요구된다. 부착 부재(30)가 탄성 복원력을 갖기 위해서는 수지 계통의 재질일 수 있다. 탄성 복원력을 갖는 부착 부재(30)는 치료 종료 단계에서 교정용 브라켓(1)을 치아 표면으로부터 제거할 때 큰 장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교정용 브라켓(1)을 제거할 때 큰 힘을 가해야 하는데, 이는 술자 및 환자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부착 부재(30)가 수지 계열의 탄성 소재일 경우, 부착 부재(30)로부터 회동 부재(11, 12) 및/또는 탄성 부재(20)의 제거가 매우 용이하며, 남은 부착 부재(30)의 제거 역시 매우 간단해질 수 있다.The attaching member 30 is a member that can accommodate the tilting members 11 and 12 because the tilting ranges of the tilting members 11 and 1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hen the tilting tilting members 11 and 1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Elasticity is required. In order for the attaching member 30 to have an elastic restoring force, it may be a resin-based material. The attachment member 30 hav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has a great advantage in removing the orthodontic bracket 1 from the tooth surface at the end of the treatment. In general, when removing the orthodontic bracket (1), a large force must be exerted, which causes a great burden on the surgeon and the patient. It is very easy to remove the pivoting members 11 and 12 and / or the elastic member 20 from the attaching member 30 when the attaching member 30 is a resin-based elastic material and the removal of the remaining attaching member 30 It can also be very simple.

탄성 부재(20)는 2개의 회동 부재(11, 12)가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되도록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2개의 회동 부재(11, 12)는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사이에서 상태 전환이 될 때,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탄성 부재(20)는 2개의 회동 부재(11, 12)가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 중 어느 하나의 상태로 전환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탄성 부재(20)는 2개의 회동 부재(11, 12)가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 사이의 중간 상태가 되지 않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20 can apply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two pivoting members 11 and 12 are switched to either the opened state or the closed state. The two pivoting members (11, 12) can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when the state is switched between the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The elastic member 20 can provide an elastic force such that the two pivoting members 11 and 12 are switched to either the opened state or the closed state. In other words, the elastic member 20 can provide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two pivoting members 11 and 12 do not become an intermediate state between the open state and the closed state.

열린 상태(도 2)에서, 베이스부(111, 121)의 상측 모서리는 수용부(21, 22)의 제 1 접촉면 및 제 2 접촉면이 만나는 코너부에 걸림으로써, 회동 부재(11, 12)는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도 2(a) 참조). 또한, 측벽부(112, 122)의 하측은 탄성 부재(20)의 상면에 걸림으로써, 회동 부재(11, 12)는 하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도 2(b) 참조).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회동 부재(11, 12)는 탄성 부재(20)에 상하 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열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In the open state (Fig. 2), the upper edges of the base portions 111 and 121 engage the corner portions where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s 21 and 22 meet, The movement toward the image side can be restricted (see Fig. 2 (a)). The lower side of the side wall portions 112 and 122 is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20 so tha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tiltable members 11 and 12 can be restricted (see Fig. 2 (b)).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pivoting members 11 and 12 can be kept open in the up-and-down direction of the elastic member 20 without shaking.

닫힌 상태(도 4)에서, 베이스부(111, 121)의 상측 모서리는 수용부(21, 22)의 제 1 접촉면 및 제 2 접촉면이 만나는 코너부에 걸림으로써, 회동 부재(11, 12)는 상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도 4(a) 참조). 또한, 측벽부(112, 122)의 하측은 탄성 부재(20)의 상면에 걸림으로써, 회동 부재(11, 12)는 하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도 4(b) 참조).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회동 부재(11, 12)는 탄성 부재(20)에 상하 방향으로 흔들림 없이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In the closed state (Fig. 4), the upper corners of the base portions 111 and 121 engage the corner portions where the first contact surface and the second contact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s 21 and 22 meet, The movement toward the image side can be restricted (see Fig. 4 (a)). The lower side of the side wall portions 112 and 122 is cau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20 so tha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tiltable members 11 and 12 can be restricted (see FIG. 4 (b)). 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pivoting members 11 and 12 can keep the elastic member 20 closed in the up-and-down direction without shaking.

닫힌 상태(도 4)를 기준으로 2개의 회동 부재(11, 12) 중 어느 하나의 회동 부재가 부착 부재(30)의 바닥면(S)에 수직한 평면에 대해 이루는 각도를 "회동 각도"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닫힌 상태(도 4)에서 회동 각도는 0도이며, 열린 상태(도 2)에서 회동 각도는 30도일 수 있다. 열린 상태에서의 회동 각도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The angle formed by one of the two pivoting members 11 and 12 with respect to the plane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S of the attachment member 30 is referred to as a "pivot angle" can do. For example, the pivot angle may be 0 degrees in the closed state (FIG. 4) and the pivot angle may be 30 degrees in the open state (FIG. 2). It is noted that the rotation angle in the open state is mere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도 4와 같이 2개의 회동 부재(11, 12) 각각의 베이스부(111, 121)의 하면은, 닫힌 상태에서, 회동 중심(C)으로 갈수록 부착 부재(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하면,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회동 각도가 특정한 각도 보다 클 때, 탄성 부재(20)는 2개의 회동 부재(11, 12)를 열린 상태로 상태 전환시키는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회동 각도가 상기 특정한 각도 보다 작을 때, 탄성 부재(20)는 2개의 회동 부재(11, 12)를 닫힌 상태로 복원시키는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특정한 각도를 "설정 각도"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린 상태에서의 회동 각도가 30도 일 때, 설정 각도는 약 10도 내지 20도 사이의 각도일 수 있다. 설정 각도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The lower surfaces of the base portions 111 and 121 of the two pivoting members 11 and 12 are inclined in the direction of approaching the pivoting center C toward the pivoting center C in the closed state, Lt; / RTI > 2 to 4, when the rotation angle is larger than a specific angle, the elastic member 2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force for switching the two tiltable members 11 and 12 to the open state . Further, when the rotation angle is smaller than the specific angle, the elastic member 20 can apply an elastic force for restoring the two tiltable members 11 and 12 to the closed state. The specific angle may be referred to as a "set angle ". For example, when the pivot angle in the open state is 30 degrees, the setting angle may be an angle between about 10 degrees and 20 degree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etting angle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2개의 회동 부재(11, 12)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는 와이어(W)를 2개의 회동 부재(11, 12)의 내부 공간으로 접근시킬 수 있다. 와이어(W)가 점차 하강하여 2개의 회동 부재(11, 12) 각각의 베이스부(111, 121)를 가압할 경우, 2개의 회동 부재(11, 12)는 회동 각도가 줄어드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회동 각도가 여전히 설정 각도 보다 클 경우, 탄성 부재(20)는 2개의 회동 부재(11, 12)를 열린 상태로 전환시키는 탄성력을 인가한다. 사용자가 와이어(W)를 좀 더 세게 하강시킴으로써 2개의 회동 부재(11, 12)의 회동 각도가 설정 각도 보다 작아질 경우, 탄성 부재(20)는 2개의 회동 부재(11, 12)를 닫힌 상태로 복원시키는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When the two tiltable members 11 and 12 are in the open state, the user can approach the wire W to the inner space of the two tiltable members 11 and 12. When the wire W is gradually lowered and the base portions 111 and 121 of the two tiltable members 11 and 12 are pressed, the two tiltable members 11 and 12 are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ilt angle is reduced . When the rotation angle is still larger than the set angle, the elastic member 20 applies an elastic force for switching the two tiltable members 11 and 12 to the open state. When the user rotates the wire W more firmly to lower the rotation angle of the two pivoting members 11 and 12 to a smaller value than the set angle, the elastic member 20 moves the two pivoting members 11 and 12 in a closed state It is possible to apply an elastic force for restoring the elasticity.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는 별도의 추가 작업 없이 와이어(W)를 2개의 회동 부재(11, 12) 내부에 가압함으로써 와이어(W) 체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교정용 브라켓(1)은 탄성 부재(20)와 2개의 회동 부재(11, 12) 만으로 와이어(W)를 탈착 가능한 상태 및 지지하는 상태 사이의 상태 전환을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user can perform the wire (W) fastening operation by pressing the wire W into the two pivoting members 11 and 12 without additional work. Further, the orthodontic bracket 1 can realize the state change between the state in which the wire W is detachable by the elastic member 20 and the two tiltable members 11, 12 and the state in which the wire W is supported.

또한, 2개의 회동 부재(11, 12), 탄성 부재(20) 및 부착 부재(30)만으로 교정용 브라켓(1)을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2개의 회동 부재(11, 12) 외면에 돌출된 돌출부(1121, 1221)를 탄성 부재(20)의 수용부(21, 22)에 걸리도록 장착시킴으로써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교정용 브라켓(1)의 조립이 간단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의 구성 요소가 파손되었을 때 수리가 용이하다.In addition, the orthodontic bracket 1 can be simply manufactured with only the two pivotal members 11, 12, the elastic member 20, and the attaching member 30.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assemble the protrusions 1121 and 1221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s of the two pivoting members 11 and 12 by being fitted to the receiving portions 21 and 22 of the elastic member 20 so as to be caught. In addition, since the assembly of the orthodontic bracket 1 is simple, it is easy to repair when any one of the components is broken.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의 사시도이고, 도 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2개의 회동 부재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를 나타내는 교정용 브라켓의 단면도이고,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2개의 회동 부재가 설정 각도만큼 회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교정용 브라켓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2개의 회동 부재가 열린 상태에 있을 때를 나타내는 교정용 브라켓의 단면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when two pivoting mem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in a closed state,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orthodontic bracket showing when two pivoting membe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re in an open state. Fig.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4)은 2개의 회동 부재(41, 42), 탄성 부재(50) 및 부착 부재(60)를 포함할 수 있다. 2개의 회동 부재(41, 42)는 각각 베이스부, 측벽부 및 커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 1 회동 부재(41)는 제 1 베이스부(411), 제 1 측벽부(412) 및 제 1 커버부(413)를 포함할 수 있고, 제 2 회동 부재(42)는 제 2 베이스부(421), 제 2 측벽부(422) 및 제 2 커버부(423)를 포함할 수 있다.7 to 10, the orthodontic bracket 4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include two pivotal members 41 and 42, an elastic member 50, and an attachment member 60. [ The two pivoting members 41 and 42 may include a base portion, a side wall portion, and a cover portion, respectively. In other words, the first tiltable member 41 may include a first base portion 411, a first side wall portion 412, and a first cover portion 413, and the second tiltable member 42 may include a second And may include a base portion 421, a second side wall portion 422, and a second cover portion 423.

제 1 커버부(413)는 제 1 측벽부(41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하고, 제 1 측벽부(412)로부터 멀어질수록 제 1 베이스부(4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 1 상향 경사부(4131)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커버부(423)는 제 2 측벽부(42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하고, 제 2 측벽부(422)로부터 멀어질수록 제 2 베이스부(42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제 2 상향 경사부(4231)를 포함한다.The first cover portion 413 extends from one end of the first sidewall portion 412 and extends from the first sidewall portion 412 toward the first base portion 411. The first upwardly inclined portion 413 is inclined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first base portion 411, (4131). Likewise, the second cover portion 423 extends from one end of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422, and the second upwardly inclined portion of the second cover portion 423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base portion 421 as the second cover portion 423 moves away from the second side wall portion 422 And includes an inclined portion 4231.

사용자가 와이어(W)를 부착 부재(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길 경우, 제 1 상향 경사부(4131) 및 제 2 상향 경사부(4231)는 와이어(W)로부터 힘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W)를 부착 부재(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길 경우, 제 1 상향 경사부(4131)는 와이어(W)로부터 제 1 방향(D1, 도 8 참조)으로 힘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제 2 상향 경사부(4231)는 와이어(W)로부터 제 2 방향(D2, 도 8 참조)으로 힘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제 1 회동 부재(41)는 회동 중심(C)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고, 제 2 회동 부재(42)는 회동 중심(C)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교정용 브라켓(4)으로부터 와이어(W)를 이탈시키는 과정에서, 와이어(W)가 상승되면, 와이어(W)의 상승력에 의해 인접한 다른 교정용 브라켓(4)도 열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When the user pulls the wire W away from the attaching member 60, the first upwardly inclined portion 4131 and the second upwardly inclined portion 4231 can receive a force from the wire W. [ For example, when the wire W is pull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ttachment member 60, the first upward inclined portion 4131 receives force from the wire W in the first direction D1 (see Fig. 8) . The second upward inclined portion 4231 can receive a force from the wire W in the second direction D2 (see FIG. 8). In this case, the first tiltable member 41 can rotate counterclockwise about the rotation center C, and the second tiltable member 42 can rotate clockwise about the rotation center C have. Therefore, when the wire W is lifted in the course of detaching the wire W from any one of the orthodontic brackets 4, the adjoining orthodontic bracket 4 is also opened by the upward force of the wire W Can be switched.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회동 각도가 설정 각도 보다 작을 때, 탄성 부재(20)는 2개의 회동 부재(41, 42)를 닫힌 상태로 복원시키는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회동 각도가 설정 각도 보다 클 때, 탄성 부재(20)는 2개의 회동 부재(41, 42)를 열린 상태로 상태 전환시키는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다.8 to 10, when the rotation angle is smaller than the set angle, the elastic member 20 can apply an elastic force for restoring the two pivoting members 41 and 42 to the closed state. When the rotation angle is larger than the set angle, the elastic member 20 can apply an elastic force to switch the two tiltable members 41 and 42 to the open state.

2개의 회동 부재(41, 42)가 닫힌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는 와이어(W)를 부착 부재(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이 경우, 와이어(W)는 제 1 회동 부재(41)의 제 1 커버부(413)에 제 1 방향(D1)으로 힘을 인가할 수 있고, 제 2 회동 부재(42)의 제 2 커버부(423)에 제 2 방향(D2)으로 힘을 인가할 수 있다.When the two tiltable members 41 and 42 are in the closed state, the user can pull the wire W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attachment member 60. [ In this case, the wire W can apply a force to the first cover portion 413 of the first tiltable member 41 in the first direction D1, and the second cover portion 413 of the second tiltable member 42 The force can be applied to the first direction 423 in the second direction D2.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사용자는 별도의 작업 없이 와이어(W)를 부착 부재(6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2개의 회동 부재(41, 42)를 열린 상태로 상태 전환 시킬 수 있다. 즉, 와이어(W)를 일정 힘 이상으로 당기게 되면, 2개의 회동 부재(41, 42)는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서 와이어(W)는 2개의 회동 부재(41, 42)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user can pull the wire W away from the attachment member 60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thereby switching the two tiltable members 41 and 42 to the open state. That is, when the wire W is pulled beyond a predetermined force, the two tiltable members 41 and 42 are switched to the open state and the wire W can be separated from the two tiltable members 41 and 42.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 세트가 치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set of orthodontic bracke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installed on a teeth.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 세트(100)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 1 교정용 브라켓(1)과,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제 2 교정용 브라켓(4)과,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 3 교정용 브라켓(7)을 포함할 수 있다.11, a bracket s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first calibration bracket 1 shown in Figs. 1 to 6 and a second calibration bracket 1 (see Figs. 7 to 10) 4, and a third orthodontic bracket 7 shown in Figs. 1 to 6.

제 1 교정용 브라켓(1)은 2개의 회동 부재(11, 12)의 상부의 하면이 평평할 수 있다. 즉, 제 1 교정용 브라켓(1)의 2개의 회동 부재(11, 12) 각각의 커버부(113, 123)는 상향 경사부를 구비하지 않고, 베이스부(111, 121)의 상면과 평행한 와이어(W) 접촉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교정용 브라켓(1)은 치열의 양 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와이어(W)는 제 1 교정용 브라켓(1)의 양 측면과 하면과 상면에 힘 및/또는 토크를 인가할 수 있다. 제 1 교정용 브라켓(1)은 부착된 치아의 돌출, 안입 또는 각도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first orthodontic bracket 1,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wo pivoting members 11 and 12 may be flat. That is, the cover portions 113 and 123 of each of the two pivotal members 11 and 12 of the first calibration bracket 1 are not provided with the upward inclined portion, (W) contact surface. The first orthodontic bracket 1 may be located at both ends of the tooth row. The wire W can apply a force and / or a torque to both the side surface, the bottom surface and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orthodontic bracket 1. The first orthodontic bracket 1 can perform protrusion, insertion or angle adjustment of the attached tooth.

제 2 교정용 브라켓(4)은 2개의 회동 부재(41, 42)의 상부의 하면이 경사질 수 있다. 즉, 제 2 교정용 브라켓(4)의 제 1 회동 부재(41)는 제 2 회동 부재(42)와 가까워질수록 상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제 2 회동 부재(42)는 제 1 회동 부재(41)와 가까워질수록 상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제 2 교정용 브라켓(4)은 치열의 양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아에 부착될 수 있다. 와이어(W)는 제 2 교정용 브라켓(4)의 양 측면과 하면에 힘 및/또는 토크를 인가할 수 있다. 제 2 교정용 브라켓(4)은 부착된 치아의 안입 또는 각도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In the second orthodontic bracket 4,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wo pivoting members 41 and 42 can be inclined. That is, the first tiltable member 41 of the second orthodontic bracket 4 has an inclined surface that tilts upward as it gets closer to the second tiltable member 42, and the second tiltable member 42 has the tiltable surface The inclined surface may be inclined upwardly as it approaches the first inclined surface 41. The second orthodontic bracket 4 may be attached to at least one tooth located between both ends of the tooth row. The wire W can apply a force and / or a torque to the both side surfaces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orthodontic bracket 4. The second orthodontic bracket 4 can perform the insertion or the angle adjustment of the attached tooth.

제 3 교정용 브라켓(7)은 제 1 교정용 브라켓(1)과 같은 형상일 수 있다. 제 3 교정용 브라켓(7)은 치열의 양 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돌출이 요구되는 치아에 부착될 수 있다. 와이어(W)는 제 3 교정용 브라켓(7)의 양 측면과 하면과 상면에 힘 및/또는 토크를 인가할 수 있다. 제 3 교정용 브라켓(7)은 부착된 치아의 돌출, 안입 또는 각도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The third calibration bracket 7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first calibration bracket 1. The third orthodontic bracket 7 is located between the opposite ends of the tooth row and can be attached to the tooth requiring protrusion. The wire W can apply a force and / or a torque to both the side surface, the bottom surface and the top surface of the third orthodontic bracket 7. The third orthodontic bracket 7 can perform protrusion, insertion or angle adjustment of the attached tooth.

정리하면, 사용자는 치열의 양 단에 위치하는 치아에 제 1 교정용 브라켓(1)을 설치하고, 양 단 사이에 위치하는 치아 중 돌출이 필요한 치아에 제 3 교정용 브라켓(7)을 설치하고, 나머지 치아에 제 2 교정용 브라켓(4)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교정용 브라켓 세트(100)는 치열의 교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o summarize, the user installs the first orthodontic bracket 1 on the teeth positioned at both ends of the tooth row, installs the third orthodontic bracket 7 on the teeth required to protrude between the teeth, , And the second orthodontic bracket 4 can be provided on the remaining teeth.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orthodontic bracket set 100 can perform the orthodontic work.

사용자는 교정용 브라켓 세트(100)를 해체하고자 할 때, 제 1 교정용 브라켓(1) 및 제 3 교정용 브라켓(7)을 해제한 뒤, 제 2 교정용 브라켓(4)에 장착되어 있는 와이어(W)를 당김으로써 간편하게 와이어(W)를 교정용 브라켓 세트(100)로부터 해체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는 교정용 브라켓 세트(100)로 와이어(W)를 장착하고자 할 때, 열린 상태에 있는 제 1 교정용 브라켓(1), 제 2 교정용 브라켓(4) 및 제 3 교정용 브라켓(7)으로 와이어(W)를 밀어 넣음으로써 간편하게 와이어(W)를 교정용 브라켓 세트(100)에 장착시킬 수 있다.The user releases the first calibration bracket 1 and the third calibration bracket 7 when dismantling the calibration bracket set 100 and then releases the wire 1 attached to the second calibration bracket 4 The wire W can be easily dismounted from the calibration bracket set 100 by pulling the wire W. Similarly, when the user intends to attach the wire W to the orthodontic bracket set 100, the user can select the first orthodontic bracket 1, the second orthodontic bracket 4, and the third orthodontic bracket 7, the wire W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calibration bracket set 100 by pushing the wire W into place.

와이어(W)는 교정용 브라켓(1, 4, 7)으로부터 용이하게 탈착 가능하다. 와이어(W)를 장착 시에는, 와이어(W)를 교정용 브라켓(1, 4, 7)의 홈에 밀기만 하면 교정용 브라켓(1, 4, 7)이 저절로 닫히는 구조이다. 와이어(W)를 뺄 때에는, 교정용 브라켓(1, 4, 7)의 작은 홈(미도시)에 삽입되는 특수 장치로 교정용 브라켓(1, 4, 7)의 사이를 벌려 와이어(W)를 뺄 수 있다. 이때 제일 원심에 위치한 브라켓(1)은 내부 홈에 사선의 출입구, 즉 상향 경사부를 갖지 않기 때문에, 와이어(W)는 홈 내부로 밀착 가능하고, 제일 원심에 위치한 브라켓(1)을 따라 모든 견치 후방 구치부 치열의 와이어(W)는 브라켓 홈의 더욱 안쪽 벽면에 밀착되게 되고, 제일 원심에 위치한 브라켓(1) 하나만 열면 견치 이후의 모든 교정용 브라켓은 저절로 입구를 열게 된다.The wire W is easily detachable from the orthodontic brackets 1, 4, and 7. When the wire (W) is mounted, the calibration bracket (1, 4, 7) is closed by itself by simply pushing the wire (W) into the groove of the calibration bracket (1, 4, 7). When pulling out the wire (W), open a space between the calibration brackets (1, 4, 7) with a special device inserted into a small groove (not shown) of the calibration brackets (1, 4, 7) Can be subtracted. At this time, since the bracket 1 located at the first centrifugal point does not have a slanting entrance or upward sloping portion in the inner groove, the wire W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side of the groove, When the bracket (1) located at the first centrifugal opening is opened, all orthodontic brackets after the canine open the mouth by itself.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for illustrative purpos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For example, it is contemplated that the techniques described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s, and / or that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tructures, devices, and the lik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in other ways than the described methods, Appropriate results can be achieved even if they are replaced or replaced.

Claims (17)

서로 접촉한 상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2개의 회동 부재;
상기 2개의 회동 부재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2개의 회동 부재의 하측에 대하여 내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하측에 연결되고, 치아에 부착 가능한 부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회동 부재는 와이어를 지지할 수 있는 닫힌 상태 및 상기 와이어를 탈착 가능한 열린 상태 사이에서 상태 전환 가능하고,
상기 2개의 회동 부재는 각각,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탄성 부재와 연결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회동 부재 중 어느 하나의 회동 부재의 베이스부가 회동 각도에 관계 없이 다른 하나의 회동 부재의 베이스부와 접촉을 유지하는 지점을 회동 중심이라고 할 때,
상기 어느 하나의 회동 부재 및 다른 하나의 회동 부재 각각의 베이스부의 하면은,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회동 중심으로 갈수록 상기 부착 부재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교정용 브라켓.
Two pivoting members rotatable in opposite direction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 elastic member surrounding an outer side of the two pivotal members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acting in an i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a lower side of the two pivotal members; And
And an attachment member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and attachable to the teeth,
Wherein the two pivoting members are switchable between a closed state in which the wire can be supported and an open state in which the wire is detachable,
The two pivoting members each include:
A base portion;
A side wall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base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And
And a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When a point at which the base of one of the two pivoting members maintains contact with the base of the other pivoting member regardless of the pivoting angle is referred to as a pivoting center,
Wherei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of each of the one tiltable member and the other tiltable member is inclined in a direction toward the attachment member toward the rotation center in the closed sta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측정된 상기 2개의 회동 부재의 회동 각도가 설정 각도 보다 작을 때, 상기 2개의 회동 부재를 상기 닫힌 상태로 복원시키는 탄성력을 인가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회동 각도가 상기 설정 각도 보다 클 때, 상기 2개의 회동 부재를 상기 열린 상태로 상태 전환시키는 탄성력을 인가하는 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lastic member applies an elastic force for restoring the two tiltable members to the closed state when the rotation angle of the two tiltable members measured based on the closed state is smaller than the set angle,
Wherein the elastic member applies an elastic force to change the state of the two pivoting members to the open state when the pivot angle is larger than the set angl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느 하나의 회동 부재 및 다른 하나의 회동 부재 각각의 베이스부의 하면은, 상기 열린 상태에서, 상기 회동 중심으로 갈수록 상기 부착 부재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of each of the one tiltable member and the other tiltable member is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attachment member toward the rotation center in the open st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부착 부재의 바닥면과 평행하고 상기 와이어를 지지할 수 있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se portion includes a horizontal portion that is parallel to a bottom surface of the attachment member and can support the wire in the closed sta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수평부로부터 상기 회동 중심으로 갈수록 상기 회동 중심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가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향 경사부를 더 포함하는 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base portion further includes a downward inclined portion formed to be inclined from the horizontal portion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toward the center of rotation so as to prevent the wire from rising excessively in the open state.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내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베이스 홈을 더 포함하는 교정용 브라켓.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base portion further includes a base groove recessed from an inner surface thereof.
서로 접촉한 상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2개의 회동 부재;
상기 2개의 회동 부재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2개의 회동 부재의 하측에 대하여 내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하측에 연결되고, 치아에 부착 가능한 부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회동 부재는 와이어를 지지할 수 있는 닫힌 상태 및 상기 와이어를 탈착 가능한 열린 상태 사이에서 상태 전환 가능하고,
상기 2개의 회동 부재는 각각,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탄성 부재와 연결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내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측벽 홈을 포함하는 교정용 브라켓.
Two pivoting members rotatable in opposite direction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 elastic member surrounding an outer side of the two pivotal members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acting in an i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a lower side of the two pivotal members; And
And an attachment member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and attachable to the teeth,
Wherein the two pivoting members are switchable between a closed state in which the wire can be supported and an open state in which the wire is detachable,
The two pivoting members each include:
A base portion;
A side wall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base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And
And a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the sidewall portion includes a sidewall groove recessed from an inner surface thereof.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외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 가능한 수용부를 포함하는 교정용 브라켓.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ide wall portion further includes a protrusion protruding from an outer surface,
Wherein the elastic member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into which the projection is insertable.
서로 접촉한 상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2개의 회동 부재;
상기 2개의 회동 부재의 외측을 감싸고, 상기 2개의 회동 부재의 하측에 대하여 내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하측에 연결되고, 치아에 부착 가능한 부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회동 부재는 와이어를 지지할 수 있는 닫힌 상태 및 상기 와이어를 탈착 가능한 열린 상태 사이에서 상태 전환 가능하고,
상기 2개의 회동 부재는 각각,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탄성 부재와 연결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일단으로부터 연장하는 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측벽부의 일단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측벽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상향 경사부를 포함하는 교정용 브라켓.
Two pivoting members rotatable in opposite direction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 elastic member surrounding an outer side of the two pivotal members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acting in an in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a lower side of the two pivotal members; And
And an attachment member connected to the lower side of the elastic member and attachable to the teeth,
Wherein the two pivoting members are switchable between a closed state in which the wire can be supported and an open state in which the wire is detachable,
The two pivoting members each include:
A base portion;
A side wall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base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And
And a cover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Wherein the cover portion includes an upwardly inclined portion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side wall portion and inclin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portion as being away from the side wall portion.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내면으로부터 함몰 형성되는 커버 홈을 더 포함하는 교정용 브라켓.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cover portion further includes a cover groove formed to be recessed from an inner surface thereof.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치열의 양 단부에 위치하는 치아에 부착되는 제 1 교정용 브라켓; 및
상기 치열의 양 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아에 부착되는 제 2 교정용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교정용 브라켓은,
서로 접촉한 상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2개의 제 1 회동 부재와, 상기 2개의 제 1 회동 부재의 외측을 감싸는 제 1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제 1 회동 부재의 상부의 하면은 평평하고,
상기 제 2 교정용 브라켓은,
서로 접촉한 상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2개의 제 2 회동 부재와, 상기 2개의 제 2 회동 부재의 외측을 감싸는 제 2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제 2 회동 부재 각각의 상부의 하면은 상기 2개의 제 2 회동 부재 각각의 측벽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 2 교정용 브라켓이 부착된 치아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교정용 브라켓 세트.
A first orthodontic bracket attached to a tooth located at both ends of the tooth row; And
And a second orthodontic bracket attached to at least one tooth positioned between both ends of the tooth row,
The first orthodontic bracket may include:
Two first tiltable members rotatable in opposite directions with each other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first elastic member surrounding the outer sides of the two first tiltable members,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wo first tiltable members is flat,
The second orthodontic bracket includes:
Two second tiltable members rotatable in opposite directions with each other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second elastic member surrounding the outer sides of the two tiltable members,
Wherein the upper surface of each of the two second tiltable members extends from the side wall of each of the two second tiltable members and ha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upwardl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tooth to which the second calibration bracket is attached, Bracket set fo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치열의 양 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돌출이 요구되는 치아에 부착되는 제 3 교정용 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교정용 브라켓은,
서로 접촉한 상태로 반대 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2개의 제 3 회동 부재와, 상기 2개의 제 3 회동 부재의 외측을 감싸는 제 3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2개의 제 3 회동 부재의 상부의 하면은 평평한 교정용 브라켓 세트.
17. The method of claim 16,
Further comprising a third orthodontic bracket positioned between the opposite ends of the tooth and attached to a tooth requiring protrusion,
And the third calibration bracket is provided with:
Two third tiltable members rotatable in opposite direction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a third elastic member surrounding the outer sides of the two third tiltable members,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wo third tiltable members is flat.
KR2020170003821U 2017-07-21 2017-07-21 Orthodontic bracket KR20048894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821U KR200488947Y1 (en) 2017-07-21 2017-07-21 Orthodontic brack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821U KR200488947Y1 (en) 2017-07-21 2017-07-21 Orthodontic bracket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331U Division KR200490994Y1 (en) 2019-04-01 2019-04-01 Orthodontic brack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262U KR20190000262U (en) 2019-01-30
KR200488947Y1 true KR200488947Y1 (en) 2019-04-08

Family

ID=65266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821U KR200488947Y1 (en) 2017-07-21 2017-07-21 Orthodontic brack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947Y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7452A1 (en) * 2000-07-24 2002-12-12 Norbert Abels Orthodontic bracket
US20070092849A1 (en) * 2005-10-26 2007-04-26 Cosse Christopher C Reusable multi-piece orthodontic appliances
US20100279247A1 (en) * 2009-04-30 2010-11-04 Tp Orthodontics, Inc.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20110183280A1 (en) * 2010-01-25 2011-07-28 Mr. Christopher C. Cosse Orthodontic appliance syste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87452A1 (en) * 2000-07-24 2002-12-12 Norbert Abels Orthodontic bracket
US20070092849A1 (en) * 2005-10-26 2007-04-26 Cosse Christopher C Reusable multi-piece orthodontic appliances
US20100279247A1 (en) * 2009-04-30 2010-11-04 Tp Orthodontics, Inc.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US20110183280A1 (en) * 2010-01-25 2011-07-28 Mr. Christopher C. Cosse Orthodontic appliance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262U (en)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46326B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JP7153571B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JP5716171B2 (en) Rotating clip orthodontic bracket
JP4607020B2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JP4594434B2 (en) Orthodontic appliance with self-releasing latch
FR2774892A1 (en) Orthodontic support with automatic ligature
US20150265377A1 (en) Orthodontic self-ligating brackets
US8568139B2 (en) Orthodontic bracket
JP6441304B2 (en)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WO2009067857A1 (en) Orthodontic device
JP2003503084A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ket
JP2020511266A (en) Self-ligating bracket with ligating member
CN110582248B (en) Orthodontic bracket with fixed tie tab
JP2014512852A (en) Orthodontic bracket
US7396230B2 (en) Molar orthodontic brackets having a hinged bracket cover
JP7326300B2 (en) Ceramic self-ligating bracket with high labial tensile strength
KR200488947Y1 (en) Orthodontic bracket
KR20190000897U (en) Orthodontic bracket
US20170014207A1 (en) Self-ligating orthodontic brace and set comprising a plurality of such braces
KR101851106B1 (en) Lingual orthodontic appliance
JP5624094B2 (en) Orthodontic bracket
JP7457729B2 (en) Orthodontic bracket with movable ligation door
KR20240000878U (en) Orthodontic bracket
WO2009098714A2 (en) Edge wise wingless self ligation orthodontic bracket system
CN118058857A (en) Locking piece for fixing appliance and fixing appliance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