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582Y1 - Rice bowl with position for setting spoon and chopstick - Google Patents

Rice bowl with position for setting spoon and chopsti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582Y1
KR200488582Y1 KR2020170002642U KR20170002642U KR200488582Y1 KR 200488582 Y1 KR200488582 Y1 KR 200488582Y1 KR 2020170002642 U KR2020170002642 U KR 2020170002642U KR 20170002642 U KR20170002642 U KR 20170002642U KR 200488582 Y1 KR200488582 Y1 KR 200488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air
tool
feeding tool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2642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03423U (en
Inventor
송해진
Original Assignee
송해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해진 filed Critical 송해진
Priority to KR20201700026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582Y1/en
Publication of KR201800034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423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582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4Knife racks or stands; Holders for table utensils attachable to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02Plates, dish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6Butter or cheese dishes or covers, with or without cooling or heating devices; Protective covers for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 A47G2400/025Avoiding contact with unclean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에 관한 것이다.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200)에 있어서,
밥이 담겨지도록 일정부피로 형성되는 공기(210);와 상기 공기(210)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공기(210)에 담겨진 밥의 온도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이물질의 유입을 보호하는, 상면에 취식도구(400)가 안치될 수 있도록 취식도구안치부(221)가 형성된 뚜껑(220);으로 구성되되,
취식도구안치부(221)는,
수저(410)의 상단부가 안치되도록 수저(410) 상단부와 동일한 형상인 타원형으로 오목하게 곡선으로 형성된 수저안치부(221a); 및 젓가락(420)의 상단부가 안치되도록 젓가락(420)의 상단부와 동일한 형상인 단부가 둥근 장방형으로 오목하게 곡선으로 형성된 젓가락안치부(221b);로 구성되어,
상배자가 상을 차릴 때, 하저자가 음식을 섭취하기 전, 취식 중, 취식 후의 어떠한 상황에서도 항상 취식도구(400)가 밥상(100)과 수평으로 안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취식도구(400)를 항상 바닥과 이격되게 함으로서 취식도구(400)의 위생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본 고안은 취식도구가 항상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되도록 함으로서 취식도구의 위생적인 관리가 이루어지게 하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ice air provided with a feeding tool seat included in a dressing kit.
In the rice air (200) having a feeding tool seat part included in the dressing kit,
(210)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air (210) and which prevents the temperature of the rice contained in the air (210) from dropping and protects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And a lid 220 on which a feeding tool holding portion 221 is formed so that the feeding tool 400 can be positioned,
The feeding tool holding portion 221,
A bottom recess 221a formed in an elliptical concave curved shap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upper end of the bottom 410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bottom 410 is positioned; And a chopstick holding portion 221b having a curved shape with a round rectangular shape having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upper end of the chopstick 420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chopstick 420 is held,
(400) is placed horizontally with the table (100) at all times, and the feeding tool (400) is always placed before the food is consumed, during or after eating, So that hygienic management of the feeding tool 400 can be performed.
As a result, the present design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hygienic management of the food preparation tool by allowing the food preparation tool to be always spaced from the floor.

Description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Rice bowl with position for setting spoon and chopstick}[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bowl with a spoon and a chopstick,

본 고안은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밥공기를 구성하는 뚜껑에 있어 뚜껑의 상면에 취식도구인 수저와 젓가락이 그 형상대로 안전하게 안치되게 하여 취식 전, 취식 중, 취식 후, 그 어떠한 상황에서도 항상 취식도구를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함으로서 취식도구의 위생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ce air having a food preparation unit included in a rice hockey k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d constituting rice air, in which a spoon and a chopstic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ice air provided with a feeding tool housing part included in a dressing kit for allowing hygienic management of a feeding tool by allowing the feeding tool to be always spaced from the floor before, during, and after eating.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식사 시, 음식 문화에 의하여 숟가락과 젓가락을 동시에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숟가락 및 젓가락 어느 하나를 사용하게 될 때는 다른 하나는 반드시 식탁 등의 위에 얹어 놓아야 하는 상황에 이르게 된다.Generally, in Korea, when you use a spoon and chopsticks at the same time, the spoon and the chopsticks are used at the same time. When the spoon and the chopstick are used, the other one must be placed on the table.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 숟가락 및 젓가락을 놓아야 하는 식탁 등의 표면은 청결하지 못한 관리를 통해 세균들이 서식하는 대체로 비위생적인 부분으로, 숟가락 및 젓가락을 얹어 놓게 되면 식탁 등의 표면에 잔존하는 병균이 숟가락 및 젓가락에 옮겨질 우려가 있다.However, in such a situation, the surface of the table where the spoon and the chopsticks are to be placed is a generally unsanitary part where the bacteria are inhabited through unclean management. When the spoon and the chopsticks are put on the surface, the germs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table, There is a risk of being transferred to chopsticks.

반대로, 오히려 숟가락 또는 젓가락은 음식 섭취 중 숟가락 또는 젓가락에 묻은 밥이나 반찬 등이 식탁에 묻어 식탁의 위생적인 관리를 파괴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On the contrary, a spoon or chopstick may be a cause of destruction of the sanitary control of the table by the food or spoons placed on the spoon or chopstick on the table.

따라서, 이와 같은 이유로 식사 시에 식탁 등의 비위생적인 부분에 숟가락 및 젓가락을 올려놓기가 꺼림칙하여 대부분 물컵 등의 용기에 불안전한 상태로 올려놓거나, 냅킨을 식탁에 깔고 그 위에 숟가락 및 젓가락을 놓거나 하는데 이는, 나아가 냅킨의 과다사용으로 인한 자원낭비를 도모하게 하는 등 불편한 문제점이 동반된다.Therefore, for this reason, it is unreasonable to place the spoon and chopstick on the unhygienic part of the dining table at the time of meals, so that most of them are placed in an unsafe condition such as a water cup, or the napkin is placed on the table and the spoon and the chopsticks are placed thereon This leads to inconvenience such as waste of resources due to overuse of the napkin.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불편함을 감수하더라도 이를 행하는 이유는 누구나 위생적으로 취식도구를 사용하고 싶은 욕구를 반영하는 것인데, 이러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일부 음식점에는 별도의 수저 받침구가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나, 별도의 수저 받침구는 오히려 상배자(상을 차리는 사람)에게는 상차림의 공간 확보를 방해하는 요인이 되거나, 뒤처리(설거지)를 하는 사람에게는 음식 섭취 후 설거지 시 설거지의 양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된다.Nevertheless, the reason for doing this despite the inconvenience is that it reflects the desire to use a tool for hygienic hygiene. In order to meet this desire, some restaurants have separate supermarket baskets. The number of the supporter of the supermarket is a factor that obstruct the securing of the space for the supermarket or the amount of the supermarket after the supper (dishwashing).

이에,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6037호의 "음식용기 뚜껑 수저 받침대"(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는 음식용기 뚜껑의 측면 덮개 부분에 홈을 구비하여 수저 받침대 겸용 앞 접시의 용도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온을 위해 음식용기 위에 덮어 놓는 기능을 하던 기존의 용기 뚜껑의 측면 덮개 부분에 완만한 'U'형태로 홈을 구비하여 수저 받침대의 역할과 앞 접시로의 기능을 동시에 갖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용성을 높이고 식탁의 온갖 세균으로부터 수저를 보호하고, 독특한 디자인을 연출하여 상업적으로 활용이 가능하게 하는 음식용기 뚜껑 수저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As shown in Fig. 6 (A), there is a prior art related to the rice air provided with the feeding tool seat portion included in the takeout kit, as describ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06037 entitled "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has a groove in the side cover portion of the food container lid and is used for the purpose of serving as a front plate serving as a sole base, By providing a gentle 'U' shaped groove in the side lid of the container lid, it is possible to have both the function of the supporter and the function of the front plate,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and protecting the cutlery from all kinds of germs on the tabl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ontainer lid support pedestal which can be used for commercial purposes.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0878호의 "수저 받침홈을 구비한 밥그릇 뚜껑"(이하, "선행기술 2"라 함.)은 하단부에 원주형의 스커트가 구비된 밥그릇 뚜껑에 있어서, 뚜껑은 숟가락과 젓가락을 각각 분리 거치시킬 수 있는 한 쌍의 짧은 홈을 스커트 일영역에 마련하여, 이에 의해 밥그릇 일영역에 수저 받침용 홈을 구비하여 위생적으로 안전하지 못한 식탁표면에 수저를 접촉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적인 식사를 할 수 있고, 별도의 수저 받침구를 구입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밥그릇 뚜껑과 또는 음식물을 덜어서 사용하거나 또는 생선의 뼈와 같이 먹을 수 없는 음식물의 일부분을 담아 놓을 수 있는 접시로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수저 받침홈을 구비한 밥그릇 뚜껑에 관한 것이다.As another prior art, as shown in Fig. 6 (B), a rice bowl lid having a sole receiving groove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of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1-0010878 The lid is provided with a pair of short grooves for separating and mounting the spoons and the chopsticks in one area of the skirt, It is possible to prevent hygienic eating by preventing the cutlery from contacting the surface of the table that is not hygienically safe, and it is possible to save the cost of purchasing a separate counter basin, A rice bowl with a lid and a sole provided with an effect that can be used as a dish that can be used with a reduced amount of food or a portion of food that can not be eaten such as fish bones Relate to.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를 포함한 종래의 기술은 대부분 밥뚜껑의 외주연면 하측으로 연장 돌출된 곳의 일측에 홈이 형성되어 숟가락 및 젓가락의 일부를 홈에 삽입하는 것으로 숟가락 및 젓가락이 바닥으로부터 이격될 수는 있으나, 식사 후 밥뚜껑 세척 시 홈이 형성된 부분이 첨예하여 찰과상 또는 절상의 위험이 있으며, 밥뚜껑에 비해 비교적 좁게 형성된 홈 사이를 세척함에 있어 어려움이 발생하므로 오히려 비위생적인 요인으로 전락될 가능성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s including the prior arts 1 to 2, grooves are formed on one side of a portion of the rice lid extending to the lower sid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rice lid so that a part of the spoon and the chopsticks are inserted into the groove, It may be separated from the floor but there is a risk of abrasion or abrasion when the rice lid is cleaned after eating and there is a risk of abrasion or raising and it is difficult to clean between the grooves which are relatively narrow compared to the rice lid, As well.

게다가, 밥뚜껑에 홈을 생성하기 위한 추가적인 작업이 발생되므로 제작 공정의 수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밥뚜껑과는 조화롭지 않은 형상으로 위화감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additional work is required to create a groove in the rice lid, not only the number of manufacturing steps is increased but also a discomfort is generated in a shape that is inconsistent with the rice lid.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06037호 (2006.01.06.)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06037 (2006.01.06.)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1-0010878호 (2011.11.23.)Korea Public Utility Model Official Gazette No. 20-2011-0010878 (2011.11.23.)

이에, 본 고안은 상기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취식 전, 취식 중, 취식 후의 어느 상황에서도 취식도구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하여 취식도구의 위생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밥공기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ice air which enables the eating tool to be separated from the floor in any situation before, during, or after eating to enable hygienic management of the eating tool.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밥공기와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가 항상 밥상과 수평으로 위치하게 하여 상차림의 안정감을 제고하고 상배자(상을 차리는 사람) 및 하저자(음식을 먹는 사람)의 취식도구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the food items contained in the rice air and the presentation kit always positioned horizontally with the table so as to enhance the stability of the table top and to make the upper table (the person who sets the table) and the lower tabl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acilitate the handling of eating tools.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to be solved,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에 있어서,In the rice air provided with the feeding tool seat included in the dressing kit,

밥이 담겨지도록 일정부피로 형성되는 공기;Air formed in a certain volume to contain rice;

상기 공기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공기에 담겨진 밥의 온도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이물질의 유입을 보호하는, 상면에 취식도구가 안치될 수 있도록 취식도구안치부가 형성된 뚜껑;으로 구성되되,And a lid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ir for preventing the temperature of the rice contained in the air from lowering and protecting the inflow of the foreign matter,

취식도구안치부는,The eating utensils,

수저의 상단부가 안치되도록 수저 상단부와 동일한 형상인 타원형으로 오목하게 곡선으로 형성된 수저안치부;A spout inner tooth portion formed into a concave curved shape having an elliptical shap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upper end of the water bottom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spoon is housed;

젓가락의 상단부가 안치되도록 젓가락의 상단부와 동일한 형상인 단부가 둥근 장방형으로 오목하게 곡선으로 형성된 젓가락안치부;로 구성되어,And a chopstick rest part having a concave curved shape with a rounded end shap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upper end of the chopstick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chopstick is restrained,

상배자가 상을 차릴 때, 하저자가 음식을 섭취하기 전, 취식 중, 취식 후의 어떠한 상황에서도 항상 취식도구가 밥상과 수평으로 안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취식도구를 항상 바닥과 이격되게 함으로서 취식도구의 위생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a slave sets a prize, the slave is always placed horizontally on the table in any situation before, during, and after the meal, and at the same time, the slave is always separated from the floor, So that management can be performed.

이때, 뚜껑의 상면 일측에는 찌꺼기제거보조돌기;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서 음식물 섭취 중에 취식도구의 표면에 밀착되어 취식도구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 음식물의 찌꺼기를 취식도구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켜 위생적인 식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At this time, a deodorizing auxiliary protrusion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op surface of the lid so that the dregs of the food, which are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eating tool during the food intake and are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eating tool, .

또한,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200)는 주물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ice air (200) provided with the feeding tool unit included in the topping kit is formed of a casting.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Prior to this, the present specifica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claims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should not interpret the terms of the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a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that the concept can be defined properly.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y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은 취식 전, 취식 중, 취식 후의 어느 상황에서도 취식도구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게 하여 취식도구의 위생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lows for the hygienic management of the feeding tool by allowing the feeding tool to be separated from the floor before, during, and after the feeding.

또한, 밥공기와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가 항상 밥상과 수평으로 위치하게 하여 상차림의 안정감을 제고하고 상배자(상을 차리는 사람) 및 하저자(음식을 먹는 사람)의 취식도구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In addition, the food items included in the rice air and the recipient kits are always positioned horizontally with the food table, thereby enhancing the stability of the recipes and facilitating the handling of the food items of the recipient (the person who prepares the food) and the recipient .

또한, 주물 제작만으로도 밥공기의 뚜껑에 취식도구안치부가 생성되어 별도의 제 2차 가공이 필요 없게 되므로 제작 시 공정단축으로 인해 생산비가 절감된다.In addition, since only the casting is produced, the lid of the rice air can be provided with a cooking tool part, which eliminates the need for a separate second processing, thereby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due to the shortening of the production time.

또한, 주물 후 별도의 가공으로 수저 및 젓가락의 안치부가 생성되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주물 제작만으로도 수저 및 젓가락의 안치부가 생성되므로 첨예한 부분이 없어 설거지 시 다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뚜껑의 형상을 이룸에 있어 위화감이 없다.In addition, unlike the conventional technique in which the crotch portion and the chopstick rest portion are produced by separate processing after cast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no fear that the dishwasher and the chopstick can be easily cleaned In addition, there is no discomfort in the shape of the lid.

또한, 수저의 상단부와 형상이 동일한 수저안치부와 젓가락의 상단부와 형상이 동일한 젓가락안치부는 식사 시 하저자(음식을 먹는 사람)로 하여금 그 형상에 맞추어 취식도구를 가지런히 놓고 싶도록 하는 심리를 작용시켜 수저와 젓가락의 사용을 무의식적으로 제한되게 함으로서 식사시간의 조절 등 올바른 식습관이 형성되도록 한다.In addition, a chopstick rest area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upper end of the spoon and the same shape as the upper end of the chopstick has a psychology that allows the author (the person eating the food) So that the use of the spoon and chopstick is unconsciously restricted, so that the right eating habits such as the control of the meal time are formed.

또한, 취식도구를 상차림 키트에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올려놓는 것이 아닌 밥공기의 뚜껑에 올려놓을 수 있어 밥상의 공간 확보로 인한 공간 활용이 용이하다.In addition, it is easy to use the space due to the space of the table because it can be placed on the lid of the rice air rather than putting the feeding tool with the separate tool in the uplifting kit.

더하여서, 밥공기의 뚜껑에 형성되는 찌꺼기제거보조돌기로 인해 식사 중 취식도구에 밀착되어 취식도구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 음식물의 찌꺼기를 분리시켜 위생적인 식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매우 효과적인 고안이라 하겠다.In addition, the deodorizing auxiliary protuberance formed on the lid of the rice air is a very effective device for bringing the hygienic meal by separating the food remnant which is adhered to the eating tool during the meal and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eating tool.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에 대한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가 결합된 상차림 키트의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가 결합된 상차림 키트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의 구성요소 중 뚜껑에 대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rice bobbin provided with a feeding tool housing unit included in a mixing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rice bobbin provided with a feeding tool unit included in a mixing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rice air is combined with the cooking utensil provided in the preparation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ice frying kit combined with rice air provided with a feeding tool unit included in the rice frying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hows an embodiment of the lid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rice air provided with the feeding tool housing unit included in the mixing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representative view of a prior art for the rice air provided with the feeding tool housing unit included in the mixing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의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function,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rice air provided with the feeding tool housing unit included in the inventive cooking ki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에 대한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rice air provided with the food preparation unit included in the preparation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the rice air having the food preparation unit included in the preparation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As shown in Figures 1 and 2,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200)에 있어서,In the rice air (200) having a feeding tool seat part included in the dressing kit,

밥이 담겨지도록 일정부피로 형성되는 공기(210);Air 210 formed in a predetermined volume so as to contain rice;

상기 공기(210)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공기(210)에 담겨진 밥의 온도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이물질의 유입을 보호하는, 상면에 취식도구(400)가 안치될 수 있도록 취식도구안치부(221)가 형성된 뚜껑(220);으로 구성되되,The cooking tool 40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air 210 to prevent the temperature of the rice contained in the air 210 from being lowered and protect the inflow of the foreign matter. And a lid 220 on which the lid 220 is formed,

취식도구안치부(221)는,The feeding tool holding portion 221,

수저(410)의 상단부가 안치되도록 수저(410) 상단부와 동일한 형상인 타원형으로 오목하게 곡선으로 형성된 수저안치부(221a);A bottom recess 221a formed in an elliptical concave curved shap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upper end of the bottom 410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bottom 410 is positioned;

젓가락(420)의 상단부가 안치되도록 젓가락(420)의 상단부와 동일한 형상인 단부가 둥근 장방형으로 오목하게 곡선으로 형성된 젓가락안치부(221b);로 구성되어,And a chopstick holding portion 221b having a curved shape with a round rectangular concave end having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upper end of the chopstick 420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chopstick 420 is held,

상배자가 상을 차릴 때, 하저자가 음식을 섭취하기 전, 취식 중, 취식 후의 어떠한 상황에서도 항상 취식도구(400)가 밥상(100)과 수평으로 안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취식도구(400)를 항상 바닥과 이격되게 함으로서 취식도구(400)의 위생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400) is placed horizontally with the table (100) at all times, and the feeding tool (400) is always placed before the food is consumed, during or after eating, So that hygienic management of the feeding tool 400 can be performed.

이때, 본 고안인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200)는 주물로 제작되도록 하여 취식도구안치부(221)가 별도의 가공 없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서 생산 공정의 단축과 동시에 별도의 절삭 가공으로 인해 생성되는 취식도구안치부(221)의 인위적인 첨예한 부분을 사전에 방지하여 취급 시, 찰과상 또는 절상 등의 위험으로부터 취급자를 보호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rice air (200) provided with the feeding tool housing part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er is manufactured as a casting so that the feeding tool housing part (221) is formed without any additional process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rtificially sharp portion of the mouthpiece portion 221 generated by the cutting process in advance to protect the operator from the risk of abrasion or raising during handling.

구체적으로는, 설거지 시 다칠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본래의 뚜껑(220) 형상에 상차림과 연관이 깊은 취식도구(400)의 형상으로 취식도구안치부(221)를 형성하여 밥공기(200)의 뚜껑(220)을 이룸에 있어 위화감 없이 적용되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re is no fear of being hurt when washing dishes, and a feeding tool holding portion 221 is formed in the form of a feeding tool 400 which is deeply related to the shape of the original lid 220, (220).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공기(200)의 뚜껑(220)의 상면 일측에는 찌꺼기제거보조돌기(222);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서 음식물 섭취 중에 취식도구(400)의 표면에 밀착되어 취식도구(40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 음식물의 찌꺼기를 취식도구(4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켜 위생적인 식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5, a debris removing auxiliary protrusion 222 is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220 of the rice air 200, so that the deodorizing auxiliary protrusion 222 is close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eeding tool 400 during ingestion of food. So that the food waste that can not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eeding tool 4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eeding tool 400 so that a sanitary meal can be performed.

이는, 예를 들어 생선요리를 섭취할 때, 취식도구(400)의 표면에 생선 가시가 밀착되어 쉽게 떨어지지 않는 상황에서 찌꺼기제거보조돌기(222)를 이용하여 생선 가시를 취식도구(4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키거나, 또는 취식도구(400)에 묻은 음식의 양념 또는 나물 등을 상술한 바와 같이 취식도구(400)로부터 쉽게 분리시키거나 하여 식사 시 좀 더 위생적인 식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한다.This is because, for example, when the fish dish is consumed, the fish vises are easily removed from the feeding tool 400 by using the debris removal assist protrusions 222 in a situation where the fish vises are close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feeding tool 400, Or the food spice or herb that is put on the feeding tool 4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feeding tool 400 as described above to assist in making a more hygienic meal at the time of eating.

이때, 찌꺼기제거보조돌기(222)의 생성 위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밥공기(200)의 뚜껑(220) 상면 일측 어디에나 위치할 수 있으나,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젓가락안치부(221b) 내에 위치하게 하되, 뚜껑(220)보다 찌꺼기제거보조돌기(222)가 돌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되도록 하였다.At this time, the position at which the debris removal assist protrusion 222 is formed may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220 of the rice air 200 as described above.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s to be located within the teeth 221b so that the remnant removing auxiliary protrusions 222 do not protrude beyond the lid 220. [

이는, 뚜껑(220) 취급 시 손가락의 움직임에 있어 찌꺼기제거보조돌기(222)가 방해요소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prevent the debris removal assist protrusion 222 from becoming an obstacle in the movement of the finger when the lid 220 is handled.

한편, 본 고안인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200)에서 상차림 키트(1)는,On the other hand, in the rice bobbin 200 provided with the feeding tool unit included in the inventive mixing kit,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More specifically,

도 1 및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밥공기(200) 및 국그릇(300)을 포함한 다수 개의 반찬그릇(SD)이 안치될 수 있도록 일정면적으로 형성되되 밥공기(200)가 삽입되는 밥공기전용삽입홈(110)과, 국그릇(300)이 삽입되는 국그릇전용삽입홈(120)으로 이루어진 밥상(100);As shown in FIGS. 1 and 3 to 4, a plurality of side dishes (SD) including the rice air 200 and the soup bowl 300 ar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and the rice air 200 is inserted (100) consisting of rice bowl only insertion slots (110) and a bowl insert (120) for insertion of the bowl (300).

상기 밥상(100)에 형성된 밥공기전용삽입홈(110)에 삽입되어 안치되는 밥이 담겨지는 공기(210)와, 공기(210)를 덮어 담겨진 밥을 보호하되 상면에 취식도구(400)가 안치될 수 있도록 취식도구안치부(221)가 형성된 뚜껑(220)으로 이루어진 밥공기(200);Air 210 containing rice to be inserted and inserted into the rice-air-only insertion groove 110 formed in the rice-rice bowl 100, and a rice-making tool 400 on the upper surface to protect the rice 210, (200) comprising a lid (220) having a mouthpiece portion (221) formed therein so that the mouthpiece (220) can be formed.

상기 밥상(100)에 형성된 국그릇전용삽입홈(120)에 삽입되어 안치되는 국그릇(300);A soup bowl (300) inserted into and inserted into a soup bowl only insertion groove (120) formed in the rice bowl (100);

상기 밥공기(200)에 형성된 취식도구안치부(221)에 안치되는 수저(410)와 젓가락(420)으로 이루어진 취식도구(400);로 구성된다.And a feeding tool 400 composed of a spoon 410 and a chopstick 420 to be placed in a feeding tool holding portion 221 formed on the rice air 200.

따라서, 취식도구(400)를 밥공기(200)와 상차림 키트(1)에 포함된 밥상(100)에 걸쳐 항상 수평으로 위치하게 하여 상배자(상을 차리는 사람)의 경우, 상차림 시 취식도구(400)가 쉽게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정돈된 상차림을 제공할 수 있으며, 하저자(음식을 먹는 사람)의 경우, 상차림 전부터 취식도구(400)를 미리 내놓거나 하여 식사 전 발생할 수 있는 어수선한 분위기를 방지한다거나, 비교적 위생적인 관리가 취약한 밥상(100)에 취식도구(400)를 미리 내놓아 위생적인 음식섭취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여 상차림의 안정감을 제고한다.Therefore, in the case of an upper booster (a person who sets an image) by making the feeding tool 400 always horizontally positioned over the rice bowl 200 included in the rice bowl 200 and the rice bowl 100, 400 can easily be prevented from being easily disturbed to provide a well-designed outfit. In the case of a second author (a person who eats a food), the eating tool 400 can be placed in advance before the presentation, Or preventing the hygienic food intake from being interrupted by bringing the food preparation tool 400 in advance to the table 100 having relatively poor hygienic management, thereby enhancing the stability of the table setting.

또한, 상차림 키트(1)가 상배자(상을 차리는 사람)로 하여금 모두 준비되어 하저자(음식을 먹는 사람)에게 제공될 경우에는, 하저자(음식을 먹는 사람)는 보다 구별된 특별한 상차림을 즉, 대접을 받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되므로 고객의 서비스 만족도를 상승시킨다.Also, if the presentation kit (1) is provided to the author (the person who eats the food) all of whom are prepared, the child author (the person who eats the food) In other words, it gives the impression that it is treated like hospitality, thus raising the customer's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이때, 밥상(100)에 형성된 밥공기전용삽입홈(110)과 국그릇전용삽입홈(120)에는 밥공기(200)와 국그릇(300)의 온도저하를 방지하는 단열부재(13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ice bobbin 100 and the heat insulation member 130 for preventing the temperature of the rice bobbin 200 and the soup bowl 300 from being lowered are further included in the rice bobbin-only insertion groove 110 and the soup bowl- .

참고로, 상술한 취식 전, 취식 중, 취식 후에도 취식도구(400)가 항상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한다는 효과는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차림 시에도 상배자(상을 차리는 사람)에 의해 취식도구(400)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고, 하저자(음식을 먹는 사람)가 음식을 취식하기 위해 밥공기(200)의 뚜껑(220)을 밥상(100)에 내려놓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취식도구(400)가 하저자(음식을 먹는 사람)로 인해 바닥으로부터 이격된다.For reference, the effect that the feeding tool 400 is always spaced apart from the floor before, during, and after the feeding is as shown in Figs. 3 to 4 by the upper bladder When the feeding tool 400 is separated from the floor and the lower author (the person who eats the food) puts the lid 220 of the rice air 200 on the rice bowl 100 for eating the food, ) Are separated from the floor by the author (the person who eats the food).

또한, 취식 후에도 취식 중과 마찬가지로 여전히 취식도구(400)가 바닥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을 알 수 있다.Also, after eating, it can be seen that the feeding tool 400 is still spaced from the floor as during eating.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Accordingl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본 고안은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로서,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rice air having a feeding tool seat portion included in a dressing kit,

이를 제조하는 제조업 및 판매업, 나아가 밥공기가 주로 사용되는 한정식 관련 프랜차이즈 사업 및 소, 대규모의 한정식을 메뉴로 하는 식당에 적용하는 등 다양한 산업분야 증진에 기여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다.It can be applied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various industrial fields such as manufacturing and selling manufacturing industry, manufacturing franchise business mainly using rice air, and applying it to a restaurant having a menu of small scale and large scale cooking.

1: 상차림 키트
100: 밥상 110: 밥공기전용삽입홈
120: 국그릇전용삽입홈 130: 단열부재
200: 밥공기 210: 공기
220: 뚜껑 221: 취식도구안치부
221a: 수저안치부 221b: 젓가락안치부
222: 찌꺼기제거보조돌기 300: 국그릇
400: 취식도구 410: 수저
420: 젓가락 SD: 반찬그릇
1: Appointment kit
100: rice bowl 110: rice air only insertion groove
120: a soup bowl only insertion groove 130: a heat insulating member
200: rice air 210: air
220: Lid 221: Feeding tool
221a: spoon jig part 221b: chopstick jig part
222: Dust removal auxiliary protrusion 300:
400: Feeding tool 410: Spoon
420: Chopsticks SD: Side dishes

Claims (3)

밥공기(200) 및 국그릇(300)을 포함한 다수 개의 반찬그릇(SD)이 안치될 수 있도록 일정면적으로 형성되되 밥공기(200)가 삽입되는 밥공기전용삽입홈(110)과, 국그릇(300)이 삽입되는 국그릇전용삽입홈(120)과, 밥공기(200)와 국그릇(300)의 온도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밥공기전용삽입홈(110) 및 국그릇전용삽입홈(120)에 형성되는 단열부재(130)로 이루어진 밥상(100), 상기 밥상(100)에 형성된 밥공기전용삽입홈(110)에 삽입되어 안치되는 밥이 담겨지는 공기(210)와, 공기(210)를 덮어 담겨진 밥을 보호하되 상면에 취식도구(400)가 안치될 수 있도록 취식도구안치부(221)가 형성된 뚜껑(220)으로 이루어진 밥공기(200), 상기 밥상(100)에 형성된 국그릇전용삽입홈(120)에 삽입되어 안치되는 국그릇(300), 상기 밥공기(200)에 형성된 취식도구안치부(221)에 안치되는 수저(410)와 젓가락(420)으로 구성된 취식도구(400)로 이루어진 상차림 키트(1)에 포함되는,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200)에 있어서,
밥이 담겨지도록 일정부피로 형성되는 공기(210);
상기 공기(210)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공기(210)에 담겨진 밥의 온도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이물질의 유입을 보호하는, 상면에 취식도구(400)가 안치될 수 있도록 취식도구안치부(221)가 형성된 뚜껑(220);으로 구성되되,
취식도구안치부(221)는,
수저(410)의 상단부가 안치되도록 수저(410) 상단부와 동일한 형상인 타원형으로 오목하게 곡선으로 형성된 수저안치부(221a);
젓가락(420)의 상단부가 안치되도록 젓가락(420)의 상단부와 동일한 형상인 단부가 둥근 장방형으로 오목하게 곡선으로 형성된 젓가락안치부(221b);로 구성되어,
상배자가 상을 차릴 때, 하저자가 음식을 섭취하기 전, 취식 중, 취식 후의 어떠한 상황에서도 항상 취식도구(400)가 밥상(100)과 수평으로 안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취식도구(400)를 항상 바닥과 이격되게 함으로서, 취식도구(400)의 위생적인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상기 뚜껑(220)의 상면 일측에 찌꺼기제거보조돌기(222);를 더 포함, 젓가락안치부(221b) 내에 위치되도록 구성하되, 뚜껑(220) 취급 시 손가락의 움직임에 있어 찌꺼기제거보조돌기(222)가 방해요소가 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뚜껑(220)보다 찌꺼기제거보조돌기(222)가 돌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되도록 함으로서, 음식물 섭취 중에 취식도구(400)의 표면에 밀착되어 취식도구(40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는 음식물의 찌꺼기를 취식도구(40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켜 위생적인 식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주물로 제작하여, 취식도구안치부(221)가 별도의 가공 없이 생성되도록 함으로서, 생산 공정의 단축과 동시에, 별도의 절삭 가공으로 인해 생성되는 취식도구안치부(221)의 인위적인 첨예한 부분을 사전에 방지하여, 취급 시, 찰과상 또는 절상의 위험으로부터 취급자를 보호하고, 본래의 뚜껑(220) 형상에 상차림과 연관이 깊은 취식도구(400)의 형상으로 취식도구안치부(221)를 형성하여 밥공기(200)의 뚜껑(220)을 이룸에 있어 위화감 없이 적용되도록 하는 것과,
취식도구(400)를 취식도구안치부(221) 및 밥공기전용삽입홈(110)의 형성으로 밥공기(200)와 상차림 키트(1)에 포함된 밥상(100)에 걸쳐 항상 수평으로 위치하게 하여, 상배자(상을 차리는 사람)의 경우, 상차림 시 취식도구(400)가 쉽게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하여 정돈된 상차림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며, 하저자(음식을 먹는 사람)의 경우, 상차림 전부터 취식도구(400)를 미리 내놓거나 하여 식사 전 발생할 수 있는 어수선한 분위기를 방지한다거나, 비교적 위생적인 관리가 취약한 밥상(100)에 취식도구(400)를 미리 내놓아 위생적인 음식섭취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상차림의 안정감을 제고함과 동시에, 상배자(상을 차리는 사람)로 하여금 모두 준비된 상차림 키트(1)를 하저자(음식을 먹는 사람)가 제공받을 경우, 하저자(음식을 먹는 사람)에게 보다 구별된 특별한 상차림을 즉, 대접을 받는 듯한 느낌을 주어, 고객의 서비스 만족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차림 키트에 포함되는 취식도구안치부가 구비된 밥공기.
A rice bobbin insertion hole 110 into which rice bobbin 200 is inserted so that a plurality of side dishes including a rice air 200 and a soup bowl 300 can be stowed, Formed in the rice air-only insertion groove 110 and the soup bowl-dedicated insertion groove 120 to prevent the temperature of the rice air 200 and the soup bowl 300 from being lowered, Air 210 containing rice to be inserted and inserted into the rice-air-only insertion groove 110 formed in the rice-rice bowl 100, and rice 210 covered with the air 210. The rice- (200) consisting of a lid (220) provided with a feeding tool holding portion (221) for protecting the feeding tool (400) on a top surface of the rice bowl (100) A cooking utensil 300 inserted into the cooking utensil 300 and a cooking utensil 410 housed in a cooking utensil tool housing part 221 formed in the rice cooker 200 and a chopstick 420 And a feeding tool 400 configured to feed the food,
In the rice air (200) having a feeding tool seat part included in the dressing kit,
Air 210 formed in a predetermined volume so as to contain rice;
The cooking tool 40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air 210 to prevent the temperature of the rice contained in the air 210 from being lowered and protect the inflow of the foreign matter. And a lid 220 on which the lid 220 is formed,
The feeding tool holding portion 221,
A bottom recess 221a formed in an elliptical concave curved shape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upper end of the bottom 410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bottom 410 is positioned;
And a chopstick holding portion 221b having a curved shape with a round rectangular concave end having the same shape as that of the upper end of the chopstick 420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chopstick 420 is held,
(400) is placed horizontally with the table (100) at all times, and the feeding tool (400) is always placed before the food is consumed, during or after eating, So that the sanitary control of the feeding tool 400 can be performed,
The dirt removing auxiliary protrusions 222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220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chowddock holding portion 221b. So that the debris removal assist protrusion 222 is not protruded from the lid 220 so as not to become an obstructive element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food preparation tool 400 during ingestion of food, To be separated easily from the feeding tool 400 so that a sanitary meal can be made,
So that the artificially sharpened portion of the food tool holding portion 221 generated by the separate cutting operation is reduced to the dictionary So that the operator can be protected from the risk of abrasion or overheating during handling and the eating tool holding portion 221 is formed in the shape of the feeding tool 400 deeply related to the shape of the original lid 220, The lid 220 of the air 200 is applied without discomfort,
The feeding tool 400 is always positioned horizontally over the rice bobbin 100 and the rice air 200 by the formation of the feeding tool housing portion 221 and the rice air insertion groove 110 Thus, in the case of the supporter (the person who sets the imag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eeding tool 400 from being easily disturbed at the time of taking up the beverage so as to provide an ordered beverage, and in the case of the second autho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essy atmosphere that may occur before the meal by providing the eating tool 400 in advance or to prevent the ingestion of the eating tool 400 in advance to prevent the hygienic food intake from being interfered with in the kitchen 100 having relatively poor hygienic management (A person who eats a food) is provided to the author (a person who eats the food) if he or she is provided with a preparation kit (1) More distinction Special sangcharim In other words, given the feeling of receiving a treat, ingestion tools added include rice bowl placed sangcharim included in the kit, comprising a rise in customer satisfac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2020170002642U 2017-05-30 2017-05-30 Rice bowl with position for setting spoon and chopstick KR200488582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642U KR200488582Y1 (en) 2017-05-30 2017-05-30 Rice bowl with position for setting spoon and chopsti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2642U KR200488582Y1 (en) 2017-05-30 2017-05-30 Rice bowl with position for setting spoon and chopsti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423U KR20180003423U (en) 2018-12-10
KR200488582Y1 true KR200488582Y1 (en) 2019-02-22

Family

ID=64668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2642U KR200488582Y1 (en) 2017-05-30 2017-05-30 Rice bowl with position for setting spoon and chopsti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582Y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837B2 (en) * 1996-01-26 2001-06-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ATM controller and ATM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077B1 (en) 2001-06-13 2007-01-09 탄티비 커뮤니케이션즈 인코포레이티드 Transmittal of heartbeat signal at a lower level than heartbeat request
KR101114802B1 (en) 2009-07-27 2012-02-15 진혜경 eco dredging metho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837B2 (en) * 1996-01-26 2001-06-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ATM controller and ATM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423U (en) 201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236B1 (en) Spoon and chopsticks support compatible with container
KR200488582Y1 (en) Rice bowl with position for setting spoon and chopstick
US20210007521A1 (en) Tableware for people and pets
KR200449275Y1 (en) Eeating tools supporter with toothpick
KR20110010878U (en) Cover for rice bowl with groove supporting spoon and chockstic
KR20140002574A (en) A rice bowl having a groove for fixing a spoon and chop-sticks
KR200485732Y1 (en) Proxabrush with built-in spoon and chopsticks supporter, and advertisement system using the same
KR200406037Y1 (en) Vessel lid strut
KR200470807Y1 (en) Distribute food sanitary scoop
KR101537546B1 (en) Saucepan support having spoon support
KR20190139100A (en) Integrated Spoon with detachable pedestal
CN212165526U (en) Rotatable public tableware placing device
JP3221959U (en) Tableware and fittings
CN212465599U (en) Integrated bowl and dish
KR200317777Y1 (en) A eating tools constituted a supporter
KR200287246Y1 (en) Sanitary spoon stand
KR200334779Y1 (en) A saucer for spoon and chopsticks
KR200399404Y1 (en) Hygienic spoon and chopsticks
GB2179238A (en) Disposable chopsticks
KR20100118659A (en) Hygiene Meal.
KR200319611Y1 (en) Antibiosis spoon and chopsticks
JP3100608U (en) Tableware
KR200448342Y1 (en) A sanitary table cloth with a spoon support
KR20130118152A (en) A rice bowl having a groove for fixing a spoon and chop-sticks
KR20210059949A (en) Dish with spoon suppo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