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8511Y1 -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 - Google Patents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8511Y1
KR200488511Y1 KR2020180005707U KR20180005707U KR200488511Y1 KR 200488511 Y1 KR200488511 Y1 KR 200488511Y1 KR 2020180005707 U KR2020180005707 U KR 2020180005707U KR 20180005707 U KR20180005707 U KR 20180005707U KR 200488511 Y1 KR200488511 Y1 KR 2004885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rotating wheel
angle adjusting
receiving member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57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원
Original Assignee
김미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원 filed Critical 김미원
Priority to KR2020180005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85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85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851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8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having more than two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301/00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 B62B2301/04Wheel arrangements; Steering; Stability; Wheel suspension comprising a wheel pivotable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e.g. swivelling ca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되도록 상기 받침부재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1 회전바퀴와 제2 회전바퀴로 이루어진 전방바퀴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받침부재의 후면에 설치되는 제3 회전바퀴와 제4 회전바퀴로 이루어진 후방바퀴부재; 상기 제1 회전바퀴 및 상기 제3 회전바퀴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회전바퀴와 상기 제3 회전바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각도조절바퀴 및 상기 제2 회전바퀴 및 상기 제4 회전바퀴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 회전바퀴와 상기 제4 회전바퀴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각도조절바퀴로 이루어지는 각도조절바퀴부재;를 마련하여 받침부재의 저면에 이동을 위한 바퀴부재와 함께 받침부재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 주는 각도조절바퀴부재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화물 운반용 대차를 단차가 있더라도 이동시킬 수 있고, 높낮이조절부재에 의해 각도조절바퀴의 높이를 단차의 높이에 따라 조절하여 단차에도 불구하고 화물 운반용 대차를 단차 등의 장애물에 상관없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Cargo transportation with movable steps}
본 고안은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물 운반용 대차에 화물을 싣고서 높이가 다른 단차에도 불구하고 화물 운반용 대차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운반용 대차는 공장, 창고, 물류센타 기타 각종 산업현장에서 소화물을 단거리 간에 운반시키기 위해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자체 동력을 갖춘 대차도 있지만 소화물의 운반은 무동력 대차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화물운반용 대차(무동력대차)는 물품이 적재되는 적재부와, 상기 적재부 하부에 일체로 설치되는 복수의 이동바퀴부와, 적재부 일측에는 설치되어 대차를 인력에 의해 움직이거나 운반이 가능하도록 하는 손잡이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러 업체가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주로 하치장에 구비되거나, 물품과 함께 배송차량에 탑재되어 사용되고 있다.
화물 운반용 대차는 화물과 같이 그 크기와 무게가 비교적 적게 나가는 화물을 단거리로 운반시키기 위하여 각종 공장이나 상가건물 또는 하역장소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
화물 운반용 대차는 화물을 적재하여 운반시킬 수 있도록 바퀴(2)를 구비하는 대차(1)와, 상기 대차(1)를 작업자가 밀면서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대차(1)에 고정 설치되는 운반용 손잡이(3)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화물 운반용 대차는 운반용 손잡이(3)가 대차(1)와 일체로 형성되고 대차(1)와 직각 형태를 이루도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차(1)에 화물을 적재할 시 운반용 손잡이(3) 부분이 화물 측을 향하게 되면, 작업자가 대차(1)에 화물을 적재시키기가 매우 까다롭다.
이로 인하여 대부분의 경우에는 운반용 손잡이(3)와 반대되는 대차(1)의 전방 측이 화물 측을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대차(1)에 화물을 적재시킨 다음 이와 같은 화물이 적재된 대차의 방향을 원래 방향대로 다시 돌려서 화물을 운반하여야 하기 때문에 화물의 적재작업과 그 운반에 다소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또 화물이 적재되는 대차(1)의 상면에 적재된 화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화물을 적재할 시나 적재된 화물을 운반할 시에 대차(1)로부터 화물이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화물의 운반을 마치고 화물 운반용 대차(1)를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도 대차(1)에 고정 설치된 운반용 손잡이(3)에 의해 보관 면적이 많이 소요되고, 이로 인해 대차(1)의 보관 장소에 제약이 따르는 문제가 있다.
또한 경사진 장소에서는 대차(1)의 무게 및 적재된 화물의 무게로 인해 대차(1)가 경사를 따라 움직이게 되므로, 반드시 대차(1)를 경사지지 않은 장소에서만 정지시키거나, 대차(1)가 움직이지 않도록 대차(1)의 하부에 구비되는 바퀴(2)가 움직이지 않도록 돌 등을 받쳐서 대차(1)를 정지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화물 이송 대차'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화물 이송 대차는 적재되는 화물을 지지하되, 환봉의 형태를 취하며 화물을 받친 상태로, 화물의 위치 변경 시 구름 운동하는 다수의 회전바를 구비하는 테이블, 상기 테이블의 후방에 사용자에 의하여 가압되어 선택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 상기 테이블의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지지바 및 상기 제1 지지바와 힌지 결합되며 이송롤이 설치되는 제2 지지바를 포함하는 전방 레그, 일단은 상기 테이블의 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에는 이송롤이 설치되며 상기 전방 레그와 링 크연결되는 후방 레그, 상기 전방 레그의 힌지 회동을 구속한다.
상기 손잡이부가 사용자에 의하여 회동 시 상기 전방 레그의 힌지 회동 구속을 해제하는 링크 연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의 프레임에는, 상기 회전바 상부에 적재된 화물이, 이송대차의 속도변화에 따른 관성력에 의해, 회전바 상부에서 미끄러져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두 개가 하나의 쌍을 이루며, 상기 회전바를 사이에 두고 상호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차단홈과, 상기 차단홈에 그 양단부가 끼워진 상태로, 이웃하는 회전바의 사이에 삽입되어 화물의 이동경로를 차단하는 차단플레이트가 구비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브레이크부가 구비되는 화물 운반용 대차'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브레이크부가 구비되는 화물 운반용 대차에는 다각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부, 상기 프레임의 전방 하부에 결합되며 지면과 평행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조향바퀴 및 상기 프레임의 후방 하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보조바퀴를 포함하는 바퀴부 및 상기 핸들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1레버,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조향바퀴 또는 한 쌍의 보조바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패드부재가 포함된다.
일단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1패드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되 상기 제1패드부재가 상기 조향바퀴 또는 보조바퀴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1패드부재에 상기 프레임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부재 및 일단은 상기 제1레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패드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케이블을 포함하는 제1브레이크부가 포함된다.
상기 제1케이블과 제1패드부재 사이에는 일측은 상기 제1케이블의 말단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버클나사, 일측은 상기 제1패드부재에 연결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1나사산에 반대되는 방향을 갖는 제3나사산이 형성되는 제3버클나사 및 일측에는 상기 제1나사산에 대응되는 제1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버클나사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상기 제3나사산에 대응되는 제3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3버클나사가 결합되는 제1버클너트를 포함하는 제1턴버클부가 구비된다.
상기 핸들부의 상부에 결합되되 상기 제1레버의 반대편에 결합되는 제2레버, 일단이 상기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조향바퀴 및 한 쌍의 보조바퀴 중 상기 제1패드부재가 결합되지 않은 어느 한 쌍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패드부재, 일단은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패드부재의 타단에 결합되되 상기 제2패드부재가 인접하는 조향바퀴 또는 보조바퀴와 접촉되지 않도록 상기 제2패드부재에 상기 프레임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부재 및 일단은 상기 제2레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패드부재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케이블을 포함하는 제2브레이크부가 포함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6-0132547호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850293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7-0005698호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화물 운반용 대차는 대차의 저면에 다수의 바퀴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져 있어 이동시키고자 하는 화물을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으나, 화물의 이동 중에 단차가 있는 경우 화물 운반용 대차를 이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화물 운반용 대차를 이용하여 화물을 이동시키는 도중에 소정 높이를 갖는 단차에도 불구하고 화물 운반용 대차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화물 운반용 대차의 바퀴 직경을 달리하여 높이가 다른 단차에 관계없이 화물 운반용 대차를 이동시킬 수 있는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화물 운반용 대차의 바퀴의 설치 높이를 달리하여 높이가 다른 단차에 관계없이 화물 운반용 대차를 이동시킬 수 있는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되도록 상기 받침부재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1 회전바퀴와 제2 회전바퀴로 이루어진 전방바퀴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받침부재의 후면에 설치되는 제3 회전바퀴와 제4 회전바퀴로 이루어진 후방바퀴부재; 상기 제1 회전바퀴 및 상기 제3 회전바퀴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회전바퀴와 상기 제3 회전바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각도조절바퀴 및 상기 제2 회전바퀴 및 상기 제4 회전바퀴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 회전바퀴와 상기 제4 회전바퀴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각도조절바퀴로 이루어지는 각도조절바퀴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절바퀴부재는 상기 받침부재가 전면 또는 후면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상기 전방바퀴부재 및 상기 후방바퀴부재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받침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되도록 상기 받침부재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1 회전바퀴와 제2 회전바퀴로 이루어진 전방바퀴부재; 상기 받침부재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받침부재의 후면에 설치되는 제3 회전바퀴와 제4 회전바퀴로 이루어진 후방바퀴부재; 상기 제1 회전바퀴 및 상기 제3 회전바퀴와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회전바퀴와 상기 제3 회전바퀴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각도조절바퀴 및 상기 제2 회전바퀴 및 상기 제4 회전바퀴와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 회전바퀴와 상기 제4 회전바퀴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각도조절바퀴로 이루어지는 각도조절바퀴부재; 상기 제1 각도조절바퀴 및 상기 제2 각도조절바퀴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각도조절바퀴부재에 설치되는 높낮이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도조절바퀴부재는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바퀴; 상기 바퀴의 양 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브래킷; 상기 고정브래킷의 상면에 고정되는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고정되며, 상기 받침부재에 형성된 안내구멍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상기 안내구멍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헤드부; 상기 헤드부가 상기 안내구멍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구멍의 저면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높낮이조절부재는 상기 받침판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높낮이조절판; 상기 수직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높낮이조절판의 일측에 형성되는 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에 의하면, 받침부재의 저면에 이동을 위한 바퀴부재와 함께 받침부재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 주는 각도조절바퀴부재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화물 운반용 대차를 단차가 있더라도 이동시킬 수 있고, 전후방바퀴부재와 함께 각도조절바퀴부재에 의해 받침대차를 보다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높낮이조절부재에 의해 각도조절바퀴의 높이를 단차의 높이에 따라 조절하여 단차에도 불구하고 화물 운반용 대차를 단차 등의 장애물에 상관없이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화물 운반용 대차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를 도시한 입체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를 도시한 입체도,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받침부재(10), 상기 받침부재(10)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1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되도록 상기 받침부재(10)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1 회전바퀴(21)와 제2 회전바퀴(22)로 이루어진 전방바퀴부재(20), 상기 받침부재(10)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1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받침부재(10)의 후면에 설치되는 제3 회전바퀴(26)와 제4 회전바퀴(27)로 이루어진 후방바퀴부재(25), 상기 제1 회전바퀴(21) 및 상기 제3 회전바퀴(26)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회전바퀴(21)와 상기 제3 회전바퀴(26)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각도조절바퀴(31) 및 상기 제2 회전바퀴(22) 및 상기 제4 회전바퀴(27)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 회전바퀴(22)와 상기 제4 회전바퀴(27)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각도조절바퀴(32)로 이루어지는 각도조절바퀴부재(30)를 포함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는 받침부재(10)의 저면에 이동을 위한 바퀴부재(20, 30)와 함께 받침부재(10)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 주는 각도조절바퀴부재(40)를 설치하여 줌으로써 화물 운반용 대차를 단차가 있더라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전후방바퀴부재(20, 30)와 함께 각도조절바퀴부재(40)에 의해 받침대차(10)를 보다 안정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1 실시 예>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는 화물을 안정적으로 올려놓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받침부재(10), 상기 받침부재(10)의 하부 전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바퀴부재(20), 상기 받침부재(10)의 하부 후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후방바퀴부재(25) 및 상기 전방바퀴부재(20)와 후방바퀴부재(25)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각도조절바퀴부재(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재(10)는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평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받침부재(10)는 목재, 금속, 합성수지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받침부재(10)에는 손잡이(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받침부재(10)의 저면에는 받침부재(10)를 자유로이 이동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바퀴가 설치된다.
상기 받침부재(10)의 전면에는 제1 회전바퀴(21)와 제2 회전바퀴(22)로 이루어진 전방바퀴부재(20)가 설치되며, 상기 받침부재(10)의 후면에는 제3 회전바퀴(26)와 제4 회전바퀴(27)로 이루어진 후방바퀴부재(25)가 설치된다.
이들 전방바퀴부재(20) 및 후방바퀴부재(25)는 동일한 직경을 갖는 바퀴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재(10)의 저면에는 전방바퀴부재(20)와 후방바퀴부재(25)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받침부재(10)를 소정의 각도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각도조절바퀴부재(30)가 설치된다.
상기 각도조절바퀴부재(30)는 제1 회전바퀴(21)와 제3 회전바퀴(26)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각도조절바퀴(31)와 상기 제2 회전바퀴(22)와 제4 회전바퀴(27)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각도조절바퀴(32)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각도조절바퀴(31)와 제2 각도조절바퀴(32)는 전방바퀴부재(20) 및 후방바퀴부재(25)의 바퀴보다 큰 직경을 갖는 바퀴(33), 상기 바퀴(33)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브래킷(34), 상기 한 쌍의 고정브래킷(34) 상면에 설치되는 받침판(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도조절바퀴부재(30)는 상기 받침부재(10)가 전면 또는 후면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 상기 전방바퀴부재(20) 및 상기 후방바퀴부재(25)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도조절바퀴부재(30)의 바퀴(33)는 전방바퀴부재(20) 및 후방바퀴부재(25)의 바퀴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각도조절바퀴부재(30)에 의해 전반바퀴부재(20) 및 후방바퀴부재(25)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상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각도조절바퀴(31, 32)의 바퀴(33)는 전방바퀴부재(20)와 후방바퀴부재(25)의 바퀴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져, 전방바퀴부재(20) 또는 후방바퀴부재(25)를 지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만큼 들뜨게 한다.
이와 같이 전방바퀴부재(20)와 후방바퀴부재(25)가 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h)만큼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는 받침부재(10)의 상면에 이동시키고자 하는 화물을 싣게 되고, 사용자는 화물 운반용 대차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하는 도중에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문턱 등과 같이 단차가 있는 구간을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화물 운반용 대차의 전방 부위를 들어올리게 된다.
이에 화물 운반용 대차에 설치된 전방바퀴부재(20)는 들어올려지게 되고, 화물 운반용 대차는 각도조절바퀴부재(30)와 후방바퀴부재(25)에 의해 받침부재(10)를 안정되게 유지시킨 상태에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소정 높이를 갖는 문턱 등을 지나가게 되는 경우, 전방바퀴부재(20) 또는 후방바퀴부재(25)를 상승시킴에 따라 단차가 있는 부위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 예>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는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받침부재(10), 상기 받침부재(10)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1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되도록 상기 받침부재(10)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1 회전바퀴(21)와 제2 회전바퀴(22)로 이루어진 전방바퀴부재(20), 상기 받침부재(10)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1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받침부재(10)의 후면에 설치되는 제3 회전바퀴(26)와 제4 회전바퀴(27)로 이루어진 후방바퀴부재(25), 상기 제1 회전바퀴(21) 및 상기 제3 회전바퀴(26)와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회전바퀴(21)와 상기 제3 회전바퀴(26)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각도조절바퀴(31) 및 상기 제2 회전바퀴(22) 및 상기 제4 회전바퀴(27)와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 회전바퀴(22)와 상기 제4 회전바퀴(27)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각도조절바퀴(32)로 이루어지는 각도조절바퀴부재(30), 상기 제1 각도조절바퀴(31) 및 상기 제2 각도조절바퀴(32)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각도조절바퀴부재(30)에 설치되는 높낮이조절부재(40)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를 도시한 저면 입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는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받침부재(10), 상기 받침부재(10)의 전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전방바퀴부재(20), 상기 받침부재(10)의 후면에 설치되는 한 쌍의 후방바퀴부재(25), 상기 전방바퀴부재(20)와 후방바퀴부재(25)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각도조절바퀴부재(30) 및 상기 각도조절바퀴부재(3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재(40)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재(10)에는 각도조절바퀴부재(30)를 결합할 수 있도록 안내구멍(11)이 형성된다.
상기 받침부재(10)의 전면에는 한 쌍의 전방바퀴부재(20)가 설치되고, 받침부재(10)의 후면에는 한 쌍의 후방바퀴부재(25)가 설치된다.
아울러 상기 전방바퀴부재(20)와 후방바퀴부재(25) 사이에는 제1 각도조절바퀴(31)와 제2 각도조절바퀴(32)로 이루어진 각도조절바퀴부재(30)가 설치된다.
상기 각도조절바퀴부재(30)는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바퀴(33), 상기 바퀴(33)의 양 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브래킷(34), 상기 고정브래킷(34)의 상면에 고정되는 받침판(35), 상기 받침판(35)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고정되며, 상기 받침부재(10)에 형성된 안내구멍(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프레임(36), 상기 수직프레임(36)의 상단에 상기 안내구멍(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직프레임(36)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헤드부(37), 상기 헤드부(37)가 상기 안내구멍(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구멍(11)의 저면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38)를 포함한다.
상기 각도조절바퀴부재(30)의 바퀴(33)는 바퀴부재(20, 30)와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퀴(33)의 양 측면에는 각각 고정브래킷(34)이 설치되며, 상기 고정브래킷(34)의 상면에는 받침판(35)이 설치된다.
아울러 받침판(35)의 상면에는 받침부재(10)의 안내구멍(11)에 끼워지도록 소정의 높이를 갖는 수직프레임(36)이 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36)의 상단에는 헤드부(37)가 형성된다.
또 상기 받침부재(10)의 저면에는 각도조절바퀴부재(3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플레이트(38)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38)에는 수직프레임(36)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구멍(38a)이 형성된다.
상기 각도조절바퀴부재(30)와 받침부재(10) 사이에는 각도조절바퀴부재(3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부재(40)가 설치된다.
상기 높낮이조절부재(40)는 상기 받침판(35)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높낮이조절판(41), 상기 수직프레임(3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높낮이조절판(41)의 일측에 형성되는 슬릿(42)을 포함한다.
상기 높낮이조절판(41)은 소정 두께로 형성되고, 각도조절바퀴부재(30)의 높낮이를 자유로이 할 수 있도록 다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높낮이조절판(41)의 일측에는 수직프레임(36)에 끼워질 수 있도록 슬릿(4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10)의 일측에는 손잡이부재(5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받침부재(10)의 일측에는 브래킷(51)이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51)에는 힌지(52)가 결합되며, 상기 힌지(52)에는 수직으로 한 쌍의 프레임(53)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프레임(53) 상부에는 손잡이(54)가 설치된다.
다음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는 받침부재(10)의 전면에 전방바퀴부재(20)를 설치하며, 받침부재(10)의 후면에 후방바퀴부재(25)를 설치하고, 이들 전방바퀴부재(20)와 후방바퀴부재(25) 사이에는 각도조절바퀴부재(30)를 설치한다.
즉, 상기 받침부재(10)의 안내구멍(11)에는 각도조절바퀴부재(30)의 수직프레임(36)을 이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38)의 구멍(38a)에는 수직프레임(36)을 이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상기 헤드부(37)는 안내구멍(11)을 따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헤드부(37)의 저면, 즉 수직프레임(36)에는 고정플레이트(38)를 끼운 다음 고정플레이트(38)를 받침부재(10)의 저면에 볼트 등의 체결수단으로 고정한다.
이에 따라 수직프레임(36)은 안내구멍(11)을 따라 승강되며, 상기 수직프레임(36)은 헤드부(37)가 고정플레이트(38)에 걸려 이탈되지 않게 설치된다.
아울러 수직프레임(36)에는 각도조절바퀴부재(30)를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바퀴부재(20, 25) 및 각도조절바퀴부재(30)가 설치된 화물 운반용 대차는 운반용 대차의 이동 경로에 따라 각도조절부재(30)의 높낮이를 미리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높낮이 조절은 받침판(35)과 고정플레이트(38) 사이의 수직프레임(36)에 높낮이조절부재(40)인 높낮이조절판(41)을 끼워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사용자는 높이고자 하는 두께만큼 다수의 높낮이조절판(41)을 수직프레임(36)에 설치하며, 높낮이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받침부재(10)에 이동시키고자 하는 화물을 싣게 된다.
이와 같이 높이 조절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화물을 싣고 이동하게 되며, 사용자는 문턱 등과 같은 단차가 있는 곳에서 전방바퀴부재(20) 또는 후방바퀴부재(25)를 소정 높이만큼 들어올려 이동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고안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받침부재 11: 안내구멍
20: 전방바퀴부재 21: 제1 회전바퀴
22: 제2 회전바퀴
25: 후방바퀴부재 26: 제3 회전바퀴
27: 제4 회전바퀴
30: 각도조절바퀴부재 31: 제1 각도조절바퀴
32: 제2 각도조절바퀴 33: 바퀴
34: 고정브래킷 35: 받침판
36: 수직프레임 37: 헤드부
38: 고정플레이트
40: 높낮이조절부재 41: 높낮이조절판
42: 슬릿
50: 손잡이부재 51: 브래킷
52: 힌지 53: 프레임
54: 손잡이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받침부재(10);
    상기 받침부재(10)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1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되도록 상기 받침부재(10)의 전면에 설치되는 제1 회전바퀴(21)와 제2 회전바퀴(22)로 이루어진 전방바퀴부재(20);
    상기 받침부재(10)의 저면에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재(10)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받침부재(10)의 후면에 설치되는 제3 회전바퀴(26)와 제4 회전바퀴(27)로 이루어진 후방바퀴부재(25);
    상기 제1 회전바퀴(21) 및 상기 제3 회전바퀴(26)와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회전바퀴(21)와 상기 제3 회전바퀴(26) 사이에 설치되는 제1 각도조절바퀴(31) 및 상기 제2 회전바퀴(22) 및 상기 제4 회전바퀴(27)와 동일한 직경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2 회전바퀴(22)와 상기 제4 회전바퀴(27) 사이에 설치되는 제2 각도조절바퀴(32)로 이루어지는 각도조절바퀴부재(30); 및
    상기 제1 각도조절바퀴(31) 및 상기 제2 각도조절바퀴(32)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각도조절바퀴부재(30)에 설치되는 높낮이조절부재(40)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바퀴부재(30)는,
    소정의 직경으로 형성되는 바퀴(33);
    상기 바퀴(33)의 양 측면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브래킷(34);
    상기 고정브래킷(34)의 상면에 고정되는 받침판(35);
    상기 받침판(35)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고정되며, 상기 받침부재(10)에 형성된 안내구멍(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프레임(36);
    상기 수직프레임(36)의 상단에 상기 안내구멍(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직프레임(36)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헤드부(37); 및
    상기 헤드부(37)가 상기 안내구멍(11)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안내구멍(11)의 저면에 설치되는 고정플레이트(38)를 포함하는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부재(40)는 상기 받침판(35)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높낮이조절판(41);
    상기 수직프레임(3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높낮이조절판(41)의 일측에 형성되는 슬릿(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
KR2020180005707U 2018-12-10 2018-12-10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 KR2004885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707U KR200488511Y1 (ko) 2018-12-10 2018-12-10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5707U KR200488511Y1 (ko) 2018-12-10 2018-12-10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8511Y1 true KR200488511Y1 (ko) 2019-06-12

Family

ID=66810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5707U KR200488511Y1 (ko) 2018-12-10 2018-12-10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851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3123A (ko) * 2022-05-23 2023-11-30 최효선 테이블 겸용 다기능 책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407A (ja) * 1998-10-08 2000-04-25 Kunihiro Michihashi 台車および台車用走行補助装置
US20020056967A1 (en) * 2000-11-16 2002-05-16 Carrillo Alex L. Multipurpose mobile paint caddy
KR20160132547A (ko) 2015-05-11 2016-11-21 민명복 화물 이송 대차
KR20170005698A (ko) 2015-07-06 2017-01-16 안정근 조향 연동 대차
KR101850293B1 (ko) 2017-10-13 2018-04-24 박종구 브레이크부가 구비되는 화물 운반용 대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407A (ja) * 1998-10-08 2000-04-25 Kunihiro Michihashi 台車および台車用走行補助装置
US20020056967A1 (en) * 2000-11-16 2002-05-16 Carrillo Alex L. Multipurpose mobile paint caddy
KR20160132547A (ko) 2015-05-11 2016-11-21 민명복 화물 이송 대차
KR20170005698A (ko) 2015-07-06 2017-01-16 안정근 조향 연동 대차
KR101850293B1 (ko) 2017-10-13 2018-04-24 박종구 브레이크부가 구비되는 화물 운반용 대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63123A (ko) * 2022-05-23 2023-11-30 최효선 테이블 겸용 다기능 책상
KR102670988B1 (ko) 2022-05-23 2024-05-29 최효선 테이블 겸용 다기능 책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13409B2 (ja) トレーラ
US10449886B2 (en) Container transfer system
US9981590B2 (en) Individual, universal, removable, load-bearing pallet for car-carrying vehicle
US9873445B2 (en) Vehicle transportation, storage, and maintenance assemblies and methods
US3984117A (en) Locking device for freight carts
US20210178956A1 (en) Container transfer system
KR200488511Y1 (ko) 단차 이동이 가능한 화물 운반용 대차
US3870126A (en) Cart stop structure for an elevator
US5967736A (en) Equipment handling device
US20030180130A1 (en) Cart and lift system
JP5827501B2 (ja) 運搬用台車及び荷下ろし小運搬方法
JP3820304B2 (ja) 運搬台車
KR20190141948A (ko) 차량용 화물 이송장치
US3400944A (en) Manually operable retractable wheel mount for semi-portable farm equipment and the like
US7963738B1 (en) Vehicle trailer apparatus
JP4587379B2 (ja) 運搬車
JPH0642399U (ja) 貨物自動車における積荷の搬送装置
JP4289567B2 (ja) ピッキング車両におけるかご台車等搭載係止装置
US10532689B2 (en) Ramp system and method thereof
US9527425B2 (en) Gravity biased load constraining devices and vehicles incorporating the same
JP2021079874A (ja) カゴ車搬送補助装置
JP3743613B2 (ja) 親子二段式運搬車
US20010038788A1 (en) Dock lifting device
KR102409363B1 (ko) 특장차의 화물 상하차용 리프트 게이트
KR20170071420A (ko) 잠금 기구를 가지는 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