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249Y1 -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 - Google Patents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249Y1
KR200487249Y1 KR2020170001248U KR20170001248U KR200487249Y1 KR 200487249 Y1 KR200487249 Y1 KR 200487249Y1 KR 2020170001248 U KR2020170001248 U KR 2020170001248U KR 20170001248 U KR20170001248 U KR 20170001248U KR 200487249 Y1 KR200487249 Y1 KR 2004872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rail
fastening
bas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12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덕현
Original Assignee
노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덕현 filed Critical 노덕현
Priority to KR20201700012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2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2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2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21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2017/144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대; 상기 기초대에 수직 상태로 고정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일측에 수평 상태로 연결되는 중공형의 난간대; 및 상기 포스트에 상기 난간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조인트를 이용하여 난간대를 포스트에 회전가능하게 연결하여 지면이 이루는 평지의 직선구간이나 곡선구간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지면이 이루는 경사나 계단 등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Description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GUARDRAIL OR FENCES TYPE SAFETY FACILITIES}
본 고안은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 및 방법을 통해 간단히 설치할 수 있고, 특히 평지나 경사 등 지형에 구애받지 않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간과 같은 보행자 보호용 안전시설물은 층계, 다리 또는 마루 등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높이로 막아 세우는 구조물로써, 이를 통과하는 보행자의 추락사고를 예방한다.
이러한 안전시설물은 기둥과 기둥 사이의 간살, 즉 보조기둥을 일정간격 세로로 배치하는 통상적인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안전시설물과 관련된 종래의 선행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1219360호(2013.01.02)의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과 난간 체결부재"가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에 따른 안전시설물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과 난간을 고정 결합시키는 체결부재로 구성되고, 체결부재는 기둥에 부착되는 기둥측 체결구, 난간에 고정되는 난간측 체결구 및 기둥측 체결구와 난간측 체결구를 연결하는 핀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안전시설물은 체결부제의 방향을 조절하여 등산로나 산책로 또는 공원 등에 일직선이나 곡선등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안전시설물은 단순히 일적선상이나 곡성등의 커브길에만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계단 및 경사를 갖는 지면에 설치될 경우 기둥 및 난간이 제각기 다른 높낮이나 경사각을 이루기 때문에 각각의 기둥 및 난간이 동일한 각도를 이루어 체결되는 것은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즉, 종래의 안전시설물은 계단 및 경사를 갖는 지면에는 설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19360호(2013.01.02)의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과 난간 체결부재"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유닛을 이용하여 지면에 설치되는 포스트에 난간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유닛은 포스트의 일측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수단을 통해 난간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는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유닛의 곡률면을 따라 난간대를 회전시킬 수 있는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포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유닛을 안내할 수 있는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때, 포스트에 안내되는 유닛이 포스트에 걸림 상태로 이동될 수 있는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포스트에 안내되는 유닛의 이동경로를 차단하여 유닛이 포스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기초대를 통해 포스트를 지면에 수직하게 설치할 수 있는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때, 포스트는 별도의 높낮이조절수단을 통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는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별도의 마감부재를 통해 포스트와 기초대 사이의 결합부위를 차단하는 상태로 보호할 수 있는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은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대; 상기 기초대에 수직 상태로 고정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일측에 수평 상태로 연결되는 중공형의 난간대; 및 상기 포스트에 상기 난간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인트;를 포함하여 달성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조인트는 상기 포스트의 측방에 설치되고, 요형(凹形)의 단면을 갖는 바디; 상기 바디를 상기 포스트에 고정시키는 결합부재; 및 상기 바디에 상기 난간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회전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포스트에 체결되면서 상기 바디를 상기 포스트에 고정하는 결합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바디의 외측에 곡면을 제공하는 곡률부; 및 상기 난간대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곡률부에 대응되는 곡률이 형성된 대응부가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대응부에 상기 곡률부가 내재된 상태로 상기 곡률부의 곡률을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조인트는 상기 바디를 상기 포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포스트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되는 홈 형태의 레일; 및 상기 레일에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바디의 일측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안내돌기;를 포함한다.
게다가, 상기 가이드는 상기 안내돌기가 상기 포스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안내돌기가 상기 포스트의 상기 레일에 걸리는 이탈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레일의 측방에 형성되고, 상기 포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앵글형태의 걸림부; 및 상기 걸림부에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안내돌기의 측방에 돌출상태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걸림돌기;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포스트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레일의 이동경로를 차단하여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상기 안내돌기가 상기 레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초대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로부터 수직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포스트와 결합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베이스를 상기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베이스에 관통상태로 고정되고, 관통된 일부분이 상기 지면을 관통한 상태로 매설되면서 상기 베이스를 상기 지면에 고정하는 앵커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트를 상기 베이스의 상기 결합돌기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동된 일부분에 상기 포스트를 고정하면서 상기 포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높낮이조절수단은 상기 포스트의 일측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포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다수의 제1걸림부; 상기 결합돌기의 일측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다수의 제2걸림부; 및 상기 제1걸림부 중 하나를 관통하면서 상기 제2걸림부 중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를 서로 걸어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한다.
전술한, 상기 패스너는 상기 제1걸림부 및 상기 제2걸림부에 관통상태로 걸리면서 일단이 상기 제1걸림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나사; 및 상기 체결나사의 일단에 체결되면서 상기 체결나사를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 사이에 고정시키는 체결너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포스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포스트와 상기 기초대 사이의 결합부위를 차단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에 의하면, 조인트를 이용하여 난간대를 포스트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조인트는 난간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므로, 난간대가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면이 이루는 평지의 직선구간이나 곡선구간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지면이 이루는 경사나 계단 등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조인트는 바디, 결합부재 및 회전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다.
이때, 결합부재는 제작이 용이한 핀 형태의 결합핀으로 구성되어 제작이 용이하고, 바디를 포스트의 일측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회전수단은 바디의 일단에 마련되는 곡률면을 따라 이에 대응되는 대응면을 갖는 회전부재를 통해 이에 결합된 난간대가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를 이용하여 바디를 포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는 포스트에 형성되는 레일에 바디의 걸림돌기가 안내되는 간단한 구성 및 방법을 통해 바디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바디는 이탈방지수단을 통해 포스트의 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걸림돌기가 걸림상태로 안내되므로, 걸림돌기가 레일의 이동경로를 이탈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바디는 포스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이탈방지커버를 통해 레일의 이동경로를 차단하므로,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걸림돌기가 포스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기초대는 고정수단을 통해 베이스가 지면에 용이하게 고정되고, 결합돌기가 포스트에 내재되면서 포스트를 지면에 수직상태로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전술한, 고정수단은 앵커볼트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구성이 간단하여 베이스를 지면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포스트는 높낮이조절수단을 통해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높낮이조절수단은 포스트에 마련되는 제1걸림부, 걸림돌기에 마련되는 제2걸림부 및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를 걸어 고정하는 패스너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다.
전술한, 패스너는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를 관통하는 체결볼트 및 체결볼트에 체결되는 체결너트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 및 설치가 용이하다.
이에 더하여, 포스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보호커버를 통해 포스트와 기초대의 결합부위를 차단하면서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미관을 저해하는 결합부위를 가려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의 전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A'의 단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한편,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시스템은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고안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소요들을 나타낸다.
본 고안에 따른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100)은 기초대(110), 포스트(130), 난간대(150) 및 조인트(170)를 포함한다.
기초대(110)는 포스트(130)를 지면에 수직 상태로 연결하는 구성요소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설치된다. 자세하게는, 기초대(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1), 결합돌기(113) 및 고정수단(115)을 포함한다.
베이스(111)는 지면에 안착되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30)의 하부에 배치된다. 예컨대, 베이스(111)는 평판 형태를 이루어 평평한 지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지면의 상태에 따라 경사 또는 곡면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111)는 지면에 안착된 상태를 이루고, 이에 형성되는 후술하는 걸림돌기(178b)를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세워 포스트(130)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고정수단(115)은 베이스(111)를 지면에 고정시키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앵커볼트는 베이스(111)의 일부분에 관통되고, 관통된 일부분이 지면에 매설되면서 베이스(111)를 지면에 고정하는 통상적인 체결구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따라, 고정수단(115)은 베이스(111)를 지면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결합돌기(113)는 포스트(130)와 연결되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1)의 일측으로부터 수직 상태로 돌출형성되는 돌기형태를 이룬다. 결합돌기(113)는 베이스(111)와 마찬가지로 포스트(130)의 하부에 배치되어 포스트(130)의 하부로 내재된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113)는 포스트(130)의 하부에 내재된 상태로 포스트(130)의 하부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기초대(110)는 고정수단(115)을 통해 지면에 용이하게 고정된다. 기초대(110)는 베이스(111)에 형성된 결합돌기(113)에 포스트(130)가 연결됨에 따라 지면에 포스트(130)를 수직상태로 용이하게 설치한다.
포스트(130)는 지면에 수직상태로 설치되는 구성요소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대(110)의 상부에 배치되어 후술되는 걸림돌기(178b)와 연결된다. 포스트(130)는 예컨대, 원형이나 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의 기둥형태를 이룰 수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포스트(130)는 내부로 관통 형성되는 홀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홀더는 전술한 결합돌기(113)에 대응되는 형태 및 길이를 갖는 홈 형태로, 이에 결합돌기(113)가 삽입되면서 기초대(110)와 연결상태를 이룬다. 즉, 포스트(130)는 하부가 결합돌기(113)에 의해 지지면서 결합돌기(113)의 길이방향, 즉 지면으로부터 수직상태를 이룬다. 이에 따라, 포스트(130)는 기초대(110)를 통해 지면으로부터 수직상태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포스트(130)는 단순히 기초대(110)와 연결되는 상태를 이루더라도 지면에 수직상태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난간대(150)는 포스트(130)의 일측에 수평 상태로 연결되는 구성요소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30)들 사이에 마련된다. 예컨대, 난간대(150)는 원형, 사각형 또는 다각형 등의 중공형의 기둥형태를 이룰 수 있는데, 본 고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원형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간대(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에 후술하는 회전부재(175)가 결합되고, 포스트(130)와 연결되는 후술하는 조인트(170)의 바디(171)가 내재된 상태로 연결됨에 따라 자유롭게 회전가능한데, 이러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에 따라, 난간대(150)는 후술하는 조인트(170)를 통해 포스트(130)들 사이에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난간대(150)는 포스트(130)들 사이에 용이하게 설치되어 보행자들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조인트(170)는 포스트(130)와 난간대(150)를 연결하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71), 결합부재(173) 및 회전수단(174)을 포함한다.
바디(171)는 포스트(130)와 난간대(150) 사이에 마련되는 구성요소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30)의 측방에 일측이 포스트(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중공의 난간대(150)의 길이방향 단부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바디(171)의 타측은 요형(凹形)의 단면을 갖는 뭉치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바디(171)의 타측은 내부가 비어있는 요형의 단면에 의해 개방된 출입구를 가질 수 있다.
결합부재(173)는 바디(171)를 포스트(130)에 고정하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형태를 이루는 결합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핀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71)의 출입구로 삽입되어 바디(171)를 관통한 후 포스트(130)에 관통상태로 고정되는 통상적인 체결구이다. 이러한 결합부재(173)는 예컨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나 볼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173)는 바디(171)를 관통하여 포스트(130)에 체결됨에 따라 바디(171)를 포스트(130)의 일측에 고정한다.
회전수단(174)은 바디(171)에 연결된 난간대(15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곡률부(174a) 및 회전부재(175)를 포함한다.
곡률부(174a)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71)의 외주면에 곡률이 형성됨에 따라 바디(171)의 외측에 구비된다. 바디(171)는 이러한 곡률부(174a)로 인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비어있고, 일단이 절단된 절두형(切頭形)의 구(球) 내지 반구형의 부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바디(171)는 후술하는 회전부재(175)에 내재되어 외주면의 곡률부(174a)를 통해 회전부재(175)의 내측에 곡면을 제공한다.
회전부재(175)는 난간대(150)의 길이방향 단부를 수용한 채 난간대(150)의 길이방향 단부와 연결되는 구성요소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유니언 너트와 같은 구조를 갖는 캡 형태의 부재로 마련될 수 있다. 회전부재(175)는 캡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대(150)의 길이방향 단부가 수용될 수 있는 홈 형태의 공간을 제공하는 중공부(S)를 갖는다. 즉, 회전부재(17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대(15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내경을 갖는다. 따라서, 회전부재(175)의 중공부(S)로 난간대(150)의 길이방향 일단이 용이하게 끼워져서 결합될 수 있다.
회전부재(175)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응부(175a)가 마련될 수 있다. 대응부(175a)는 바디(171)의 외면에 형성된 곡률부(174a)의 곡률반경을 따라 회전되는 구성요소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75)의 내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대응부(175a)는 곡률부(174a)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구성되어 곡률부(174a)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부재(170)에 길이방향 단부가 연결된 난간대(150)는, 회전부재(175)에 마련된 대응부(175a)와 바디(171)에 형성된 곡률부(171a)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촉됨에 따라서, 회전부재(170)는 바디(171)를 중심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될 수 있다.
한편, 회전수단(174)은 연결부재(176)에 의해 회전부재(175) 및 난간대(150)가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연결부재(176)는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형태를 이루는 연결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핀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175)의 일측을 관통하여 난간대(150)에 체결되는 통상의 볼트나 나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176)는 난간대(150)의 단부를 회전부재(175)에 일체적으로 고정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100)은 조인트(170)를 통해 포스트(130)와 난간대(150)를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특히, 조인트(170)의 구성을 통해 난간대(150)를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은 물론,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킨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제작 및 설치가 매우 용이하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100)은 직선구간이나 곡선구간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지면이 이루는 경사나 계단 등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100)은 가이드(17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177)는 바디(171)를 포스트(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77a) 및 안내돌기(177b)를 포함한다.
레일(177a)은 전술한 안내돌기(177b)를 안내하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30)의 양측에 제각기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레일(177a)은 포스트(130)의 일측면에 함몰형성되는 홈 형태를 이루고, 포스트(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레일(177a)은 내부로 수용되는 안내돌기(177b)가 포스트(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동경로를 용이하게 제공한다.
안내돌기(177b)는 레일(177a)이 제공하는 이동경로를 따라 이동하고, 바디(171)와 포스트(130)를 연결하는 구성요소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77a)에 대응되는 형태로 바디(171)의 타측에 돌출형성된다. 안내돌기(177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77a)에 삽입됨에 따라 레일(177a)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된다. 따라서, 안내돌기(177b)는 바디(171)를 포스트(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한다.
가이드(177)는 이탈방지수단(17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수단(178)은 안내돌기(177b)가 레일(177a)의 이동경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부(178a) 및 걸림돌기(178b)를 포함한다.
걸림부(178a)는 후술하는 걸림돌기(178b)를 수용하는 구성요소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177a)의 측방에 포스트(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앵글형태의 부재이다. 즉, 걸림부(178a)는 레일(177a)의 측방에 형성되는 'ㄴ'과 같은 절곡된 단면을 갖는 부재이다. 걸림부(178a)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앵글형태로 형성되므로 포스트(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177a)의 측방에 홈 형태의 공간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걸림부(178a)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걸림돌기(178b)를 수용하고, 수용된 걸림돌기(178b)를 걸어서 걸림돌기(178b)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걸림돌기(178b)는 걸림부(178a)에 수용되는 구성요소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71)에 구비된 안내돌기(177b)의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안내돌기(177b)의 측방에 돌출상태로 연장형성된다. 자세하게는, 걸림돌기(178b)는 전술한 걸림부(178a)에 대응되는 형태를 이루어 걸림부(178a)에 형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걸림돌기(178b)는 걸림부(178a)에 수용된 상태로 걸림부(178a)를 따라 이동하고, 이때 걸림부(178a)에 걸린 상태이므로 걸림부(178a)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어 가고정 상태를 이룬다. 즉, 이탈방지수단(178)은 안내돌기(177b)가 레일(177a)의 이동경로를 이탈하지 못하도록 레일(177a)에 걸림상태로 이동가능하게 가고정된 상태를 이루게 하므로, 안내돌기(177b)가 레일(177a)의 이동경로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는 것은 물론, 안내돌기(177b)를 형성하는 바디(171)가 포스트(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게다가, 가이드(177)는 이탈방지커버(17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커버(179)는 레일(177a)을 따라 이동하는 안내돌기(177b)가 포스트(130)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레일(177a)의 끝을 지나 포스트(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는 구성요소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30)의 둘레에 대응되는 판재 형태를 이루어 포스트(130)의 상부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이탈방지커버(179)는 레일(177a)의 개방된 끝부분, 즉 레일(177a)의 이동경로를 차단하므로, 안내돌기(177b)는 포스트(130)의 끝부분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차단된다.
따라서, 가이드(177)는 바디(171)를 포스트(130)에 고정하기 전에 포스트(130)에 바디(171)를 가고정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즉, 가이드(177)는 바디(171)를 포스트(130)에 연결한 상태로 포스트(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되는 것을 허용한다. 이로 인하여, 바디(171)는 포스트(130)에 용이하게 설치된다.
다른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100)은 높낮이조절수단(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높낮이조절수단(180)은 포스트(13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 포스트(130)가 지면으로부터 설치되는 높낮이를 조절하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부(181), 제2걸림부(183) 및 패스너(185)를 포함한다.
제1걸림부(181)는 포스트(13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간격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30)의 일측에 관통형성된다. 이러한, 제1걸림부(181)는 포스트(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구멍형태의 홀로, 다수개 마련된다. 이에 따라, 제1걸림부(181)는 이격되는 간격만큼 포스트(13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는데, 이러한 자세한 방법은 후술한다.
제2걸림부(183)는 포스트(13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간격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113)의 일측에 관통형성된다. 이러한, 제2걸림부(183)는 결합돌기(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구멍형태의 홀로, 다수개 마련된다. 이때, 제2걸림부(183)는 전술한 제1걸림부(181)의 형태 및 간격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2걸림부(183)는 제1걸림부(181)와 대응되는 상태로 일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걸림부(183)는 제1걸림부(181)와 연통상태를 이룰 수 있다.
패스너(185)는 제1걸림부(181)와 제2걸림부(183)를 걸어 서로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나사(185a) 및 체결너트(185b)를 포함한다.
체결나사(185a)는 제1걸림부(181)와 제2걸림부(183)를 일체적으로 고정하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형태를 이루는 관통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핀은 연통상태를 이루는 제1걸림부(181)와 제2걸림부(183) 사이를 관통하는 통상적인 체결구로, 예컨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나 볼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나사(185a)는 연통되는 제1걸림부(181)와 제2걸림부(183) 사이에 관통된 상태로, 제1걸림부(181)와 제2걸림부(183)를 걸어 서로 고정한다.
체결너트(185b)는 체결나사(185a)가 제1걸림부(181)와 제2걸림부(18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나산산을 이루는 체결너트(185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너트(185b)는 체결나사(185a)의 일단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체결되면서 체결나사(185a)를 고정하는 통상적인 체결구로, 예컨대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너트(185b)는 제1걸림부(181) 및 제2걸림부(183) 사이에 관통상태로 마련되는 체결나사(185a)가 제1걸림부(181) 및 제2걸림부(18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패스너(185)를 통해 포스트(130)의 높낮이를 가변하는 방법으로, 도 4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30)를 걸림돌기(178b)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시킨다. 이때, 포스트(130)는 제1걸림부(181) 중 하나를 이격된 위치에 위치하는 걸림돌기(178b)의 제2걸림부(183) 중 하나와 연통상태를 이루도록 일직선상에 배치한다.
다음, 연통상태를 이루는 제1걸림부(181)와 제2걸림부(183) 사이로 체결나사(185a)를 관통하는 상태로 제1걸림부(181)와 제2걸림부(183)를 걸어 고정한다.
다음, 체결나사(185a)의 일단에 체결너트(185b)를 체결하여 체결나사(185a)가 포스트(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정한다.
따라서, 높낮이조절수단(180)은 포스트(130)를 기초대(110)로부터 착탈가능하게 고정함에 따라,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30)를 지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30)를 지면에 가까이 배치할 수도 있다. 즉, 높낮이조절수단(180)은 포스트(130)가 지면으로부터 설치되는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포스트(130)는 보호커버(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커버(190)는 포스트(130)와 기초대(110) 사이의 결합부위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는 구성요소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스트(130)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보호커버(190)는 포스트(130)의 하부 둘레를 수용하면서 기초대(110)와 연결된 결합부위를 포함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갖는다. 이에 따라, 보호커버(190)는 포스트(130)와 연결된 기초대(110)의 결합부위를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미관을 저해하는 결합부위를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난간대의 형태를 설치하도록 이용될 뿐만 아니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를 이루는 난간대의 형태를 설치하도록 이용될 수도 있다. 즉, 본 고안은 전술한 조인트를 이용하여 포스트에 난간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난간대를 상하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은 지면이 이루는 평지의 직선구간이나 곡선구간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지면이 이루는 경사나 계단 등에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100 :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
110 : 기초대 111 : 베이스
113 : 결합돌기 115 : 고정수단
130 : 포스트 150 : 난간대
170 : 조인트 171 : 바디
173 : 회전수단 174a : 곡률부
175 : 회전부재 175b : 대응부
176 : 연결부재 177 : 가이드
177a : 레일 177b : 안내돌기
178 : 이탈방지수단 178a : 걸림부
178b : 걸림돌기 179 : 이탈방지커버
180 : 높낮이조절수단 190 : 보호커버

Claims (4)

  1. 지면에 설치되는 기초대;
    상기 기초대에 수직 상태로 고정되는 포스트;
    상기 포스트의 일측에 수평 상태로 연결되는 중공형의 난간대; 및
    상기 포스트에 상기 난간대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조인트;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는,
    상기 포스트의 측방에 일측이 상기 포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난간대의 길이방향 단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바디;
    상기 바디를 상기 포스트상에 고정시키며, 상기 바디의 타측으로부터 삽입되어 상기 포스트의 측방과 체결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난간대의 길이방향 단부를 수용한 채 상기 난간대의 길이방향 단부와 연결되는 회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의 타측은 내부가 비어진 반구형의 형태를 가지되 그 외면에는 곡률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바디의 타측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포스트의 측방과 체결되는 결합핀으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난간대의 길이방향 단부가 수용될 수 있는 캡의 형태를 가지되, 상기 바디의 외면에 형성된 곡률부와 대응되는 곡률을 가진 채로 상기 바디의 곡률부와 접촉되는 대응부가 내측에 마련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는,
    상기 바디를 상기 포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포스트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형성되는 홈 형태의 레일; 및
    상기 레일에 대응되는 형태로 상기 바디의 일측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레일에 삽입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안내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 및 난간대를 서로 일체적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회전부재와 함께 상기 바디의 상기 곡률부을 따라 회전된 상기 난간대를 정지상태로 고정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초대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로부터 수직하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포스트와 결합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베이스를 상기 지면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포스트를 상기 베이스의 상기 결합돌기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동된 일부분에 상기 포스트를 고정하면서 상기 포스트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낮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높낮이조절수단은,
    상기 포스트의 일측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포스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다수의 제1걸림부;
    상기 결합돌기의 일측에 관통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 대응되게 마련되는 다수의 제2걸림부; 및
    상기 제1걸림부 중 하나를 관통하면서 상기 제2걸림부 중 하나를 관통하여 상기 제1걸림부와 상기 제2걸림부를 서로 걸어 고정하는 패스너;를 포함하며,
    상기 패스너는,
    상기 제1걸림부 및 상기 제2걸림부에 관통상태로 걸리면서 일단이 상기 제1걸림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체결나사; 및
    상기 체결나사의 일단에 체결되면서 상기 체결나사를 상기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 사이에 고정시키는 체결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포스트와 상기 기초대 사이의 결합부위를 차단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20170001248U 2017-03-16 2017-03-16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 KR2004872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248U KR200487249Y1 (ko) 2017-03-16 2017-03-16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1248U KR200487249Y1 (ko) 2017-03-16 2017-03-16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249Y1 true KR200487249Y1 (ko) 2018-09-28

Family

ID=63708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1248U KR200487249Y1 (ko) 2017-03-16 2017-03-16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249Y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679B1 (ko) * 2018-11-14 2019-07-01 주식회사 세종이엔씨 난간용 연결 장치
KR102057298B1 (ko) * 2019-05-28 2019-12-18 주식회사 삼목엔지니어링 개량형 조립식 안전난간
KR102057300B1 (ko) * 2019-05-28 2019-12-19 주식회사 삼목엔지니어링 개량형 조립식 안전난간
KR102085194B1 (ko) * 2020-01-06 2020-03-05 주식회사 새로운길 휀스
CN111677367A (zh) * 2020-06-22 2020-09-18 林银珠 一种建筑用安全防护装置
KR20220013996A (ko) * 2020-07-28 2022-02-04 송수연 장부 맞춤형 울타리
CN114673403A (zh) * 2022-04-11 2022-06-28 中交二公局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地铁施工便于拆装的安全隔离栏
CN114704152A (zh) * 2022-03-04 2022-07-05 江苏盛鸿智能安防设施有限公司 一种高分子金属栏杆的拼接结构及其拼接方法
WO2022170436A1 (en) * 2021-02-12 2022-08-18 La Corporation De Clotures Inc. Fence assembly
CN115095225A (zh) * 2022-07-28 2022-09-23 中建安装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防护栏杆
KR20230007738A (ko) 2021-07-06 2023-01-13 주식회사 디자인남영 시인성이 향상된 난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536Y1 (ko) * 2004-06-29 2004-09-08 유혜숙 조립식 가이드 펜스
KR20090030936A (ko) * 2007-09-21 2009-03-25 김동수 위치조절 및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연결구
KR101219360B1 (ko) 2010-11-08 2013-01-16 (주)이건환경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과 난간 체결부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1536Y1 (ko) * 2004-06-29 2004-09-08 유혜숙 조립식 가이드 펜스
KR20090030936A (ko) * 2007-09-21 2009-03-25 김동수 위치조절 및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연결구
KR101219360B1 (ko) 2010-11-08 2013-01-16 (주)이건환경 디자인형 울타리의 기둥과 난간 체결부재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679B1 (ko) * 2018-11-14 2019-07-01 주식회사 세종이엔씨 난간용 연결 장치
KR102057298B1 (ko) * 2019-05-28 2019-12-18 주식회사 삼목엔지니어링 개량형 조립식 안전난간
KR102057300B1 (ko) * 2019-05-28 2019-12-19 주식회사 삼목엔지니어링 개량형 조립식 안전난간
KR102085194B1 (ko) * 2020-01-06 2020-03-05 주식회사 새로운길 휀스
CN111677367A (zh) * 2020-06-22 2020-09-18 林银珠 一种建筑用安全防护装置
KR102370076B1 (ko) * 2020-07-28 2022-03-04 송수연 장부 맞춤형 울타리
KR20220013996A (ko) * 2020-07-28 2022-02-04 송수연 장부 맞춤형 울타리
WO2022170436A1 (en) * 2021-02-12 2022-08-18 La Corporation De Clotures Inc. Fence assembly
KR20230007738A (ko) 2021-07-06 2023-01-13 주식회사 디자인남영 시인성이 향상된 난간
CN114704152A (zh) * 2022-03-04 2022-07-05 江苏盛鸿智能安防设施有限公司 一种高分子金属栏杆的拼接结构及其拼接方法
CN114704152B (zh) * 2022-03-04 2024-05-24 江苏盛鸿智能安防设施有限公司 一种高分子金属栏杆的拼接结构及其拼接方法
CN114673403A (zh) * 2022-04-11 2022-06-28 中交二公局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地铁施工便于拆装的安全隔离栏
CN114673403B (zh) * 2022-04-11 2024-03-22 中交二公局第三工程有限公司 一种地铁施工便于拆装的安全隔离栏
CN115095225A (zh) * 2022-07-28 2022-09-23 中建安装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防护栏杆
CN115095225B (zh) * 2022-07-28 2024-01-26 中建安装集团有限公司 一种装配式防护栏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7249Y1 (ko) 난간 또는 울타리형 안전시설물
CA2228070C (en) Anchor for guard rail system on structural grating floors
US9376832B2 (en) Portable safety rail system
KR200453729Y1 (ko) 데크로드시스템의 난간기둥 고정장치
KR101423317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CA2803836C (en) Guard rail safety system
CA2739414C (en) Telescopic safety post
KR101448706B1 (ko) 가로대의 각도 조절 및 설치가 용이한 휀스
EP3269898B1 (en) Washer assembly for use in affixing a guardrail support to a surface
KR101742245B1 (ko) 데크로드용 난간 기둥
KR101473157B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US20170234015A1 (en) Guard rail system
US20200032565A1 (en) Hinge assembly for elevational rails
KR20160003114U (ko) 감시카메라용 지주 높이조절장치
KR200477531Y1 (ko) 건축공사용 안전난간
US11401716B2 (en) Anchoring system for railing
KR101899852B1 (ko) 지면 설치용 안전시설물
CN113089543B (zh) 一种便捷式紧急道路护栏
KR101805796B1 (ko) 작업용 안전난간 이탈 방지장치
US6345475B1 (en) Stair guard
AU2013206443A1 (en) Apparatus and mounting gantry for suspending a component
AU2012101810B4 (en) System and components for safely enclosing handrails, stairways, walkways and platforms
KR101878647B1 (ko) 난간 기둥장치
KR101690504B1 (ko) 난간용 지주와 이를 이용한 난간의 가로대 결합장치
KR101849957B1 (ko) 난간의 가로대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