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863Y1 - 변기용 플러시밸브 - Google Patents

변기용 플러시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863Y1
KR200485863Y1 KR2020160006701U KR20160006701U KR200485863Y1 KR 200485863 Y1 KR200485863 Y1 KR 200485863Y1 KR 2020160006701 U KR2020160006701 U KR 2020160006701U KR 20160006701 U KR20160006701 U KR 20160006701U KR 200485863 Y1 KR200485863 Y1 KR 2004858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sh valve
button
flush
pole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7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건우
Original Assignee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림통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림통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600067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8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8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86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통해 변기 내부의 공간을 되도록 적게 차지하게됨으로써 나머지 부품들과 간섭현상을 경감케하고 내구성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변기용 플러시 밸브에 관한 것으로,
수동 또는 자동조작부의 상하 운동력이 가해지는 플러시밸브 버튼(125)과; 힌지축(121b)를 중심으로 시소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단부에는 플립 개폐용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줄 끼움홈(121a)가 형성되어진 플러시밸브 레버(121)와; 일측이 폴대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플러시밸브 버튼(125)의 상하운동을 안내하기위한 통공(124c)과, 상기 플러시밸브 레버(121)의 힌지축(121b)이 고정되는 축홈(124a)이 구비되어진 플러시밸브 가이드(124)로 구성되는 변기의 플러시밸브에 있어서, 상기 플러시버튼(125)는 원판구조로서 전방에 걸림턱(125a)이 구비되고 양측 하부에는 기둥(125b)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플러시밸브 가이드(124)에서는 폴대끼움부(124b)의 좌,우에 상기 플러시버튼(125)의 기둥(125b)이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통공(124)이 인접 위치하므로, 플러시밸브 버튼(125)에 누름력이 가해지는 지점과 폴대(107)에 고정되는 지점이 일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플러시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변기용 플러시밸브 {Flush valve of a toilet stool}
본 고안은, 변기용 플러시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통해 변기 내부의 공간을 되도록 적게 차지하게됨으로써 나머지 부품들과 간섭현상을 경감케하고 내구성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변기용 플러시 밸브에 관한 것이다.
비데(bidet)는 위생 도기의 일종으로서 용변 후 생식기와 항문 주위를 세척하는 데 쓰이는 기구이다. 생활수준이 향상되는 요즘에는 비데의 사용이 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한편, 시중에 나와 있는 비데의 경우, 물 내림기능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완전히 구별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물 내림기능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구별되어 있게 되면 자동구조와 수동구조를 개별적으로 설치해야 해서 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유지보수가 힘들어질 수 있다.
변기의 물내림장치는 물 배출구를 개폐하는 플립에 와이어로 연결되며, 시소동작되면서 상기 플립을 통해 상기 물 배출구를 개폐하는 변기용 풀립 당김장치와,
시소운동하는 상기 풀림 당김장치의 일측 레버에 상하운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수동 또는 자동조작부로 구성되는데,
종래의 변기 물내림장치를 구성하는 변기용 플러시밸브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 또는 자동조작부의 상하 운동력이 가해지는 플러시밸브 버튼(1125)과; 힌지축(1121b)를 중심으로 시소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단부에는 플립 개폐용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줄 끼움홈(1121a)가 형성되어진 플러시밸브 레버(1121)와; 일측이 폴대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플러시밸브 버튼(1125)의 상하운동을 안내하기위한 통공(1124c)과, 상기 플러시밸브 레버(1121)의 힌지축이 고정되는 축홈(1124a)이 구비되어진 플러시밸브 가이드(1124)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구조에 따른 플러시밸브 가이드(1124)에서는, 플러시밸브 버튼(1125)의 상하운동을 안내하기위한 통공(1124c)이, 신장부(1124d)에 의해 폴대 끼움부(b)로 부터 멀리 이격된 곳에 위치하므로,
수동 또는 자동조작부에 의해 상기 플러시밸브 버튼(1125)에 상하 운동력이 가해질 때 상기 신장부(1124d) 선단에 힘이 작용하여 휨이 발생하게되므로 피로가 누적될 경우 상기 신장부(1124d)가 부러지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고,
폴대에 고정되는 지점과 플러시밸브 버튼의 위치가 이격되어있어서 상기 폴대 끼움부(1124b)와 통공(1124c)에 응력이 집중되기 쉬우므로, 이곳이 먼저 훼손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플러시밸브 가이드(1124)가 신장부(1124d)만큼 길게 돌출되어서 변기 내부공간을 필요 이상 크게 차지하게될 것이므로, 나머지 부품들과 간섭현상을 일으키기 쉬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1717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3-0126647호
본 고안의 목적은,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통해 변기 내부의 공간을 되도록 적게 차지하게됨으로써 나머지 부품들과 간섭현상을 경감케하고 내구성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변기용 플러시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수동 또는 자동조작부의 상하 운동력이 가해지는 플러시밸브 버튼과; 힌지축를 중심으로 시소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단부에는 플립 개폐용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줄 끼움홈가 형성되어진 플러시밸브 레버와; 일측이 폴대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플러시밸브 버튼의 상하운동을 안내하기위한 통공과, 상기 플러시밸브 레버의 힌지축이 고정되는 축홈이 구비되어진 플러시밸브 가이드로 구성되는 변기의 플러시밸브에 있어서,
상기 플러시버튼는 원판구조로서 전방에 걸림턱이 구비되고 양측 하부에는 기둥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플러시밸브 가이드에서는 폴대끼움부의 좌,우에 상기 플러시버튼의 기둥이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통공이 인접 위치하므로, 플러시밸브 버튼에 누름력이 가해지는 지점과 폴대에 고정되는 지점이 일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플러시밸브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플러시버튼의 기둥은 그 하단에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기둥을 상기 플러시밸브 가이드의 통공에 끼워 결합할 시에 일단 결합되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러시 밸브 가이드에는 폴대에 끼워지는 폴대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폴대에는 플러시 밸브 가이드의 임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다수의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통해 변기 내부의 공간을 되도록 적게 차지하게됨으로써 나머지 부품들과 간섭현상을 경감케하고 내구성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용 플러시밸브가 변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변기용 플러시밸브가 변기용 물내림장치와 함께 구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구성이 분리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변기용 플러시밸브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변기용 플러시밸브를 도시한 사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하기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변기용 플러시밸브가 변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변기용 플러시밸브가 변기용 물내림장치와 함께 구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구성이 분리되어진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변기용 플러시밸브를 확대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되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플러시밸브(123)는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통해 수동 또는 자동으로 물을 내릴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편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변기(100) 내에서 폴대(107)에 고정되어 설치된다.
즉 변기(100)에는 도기 내로 물이 배출되는 물 배출구(105)가 마련되고, 물 배출구(105)에 물 배출구(105)를 개폐하는 플립(106)이 마련되며, 플립(106)의 주변으로 폴대(107)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폴대(107)에 본 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플러시밸브(123)가 설치되어 와이어(W)로 플립(106)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플립(106)이 물 배출구(105)를 차폐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 2의 화살표 방향으로 수동 입력부(270)의 푸시 버튼(271)을 가압하든지 아니면 자동으로 고성능 스테핑 모터(181) 또는 저성능 스테핑 모터(182)가 동작되든지 간에 플립(106)이 들어 올려지면서 물 배출구(105)를 개방할 수 있다.
변기용 물 내림장치의 구조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본 고안에 따른 플러시밸브(123)와, 오토 플러시 샤프트 유닛(130), 샤프트 스프링(141), 커버 하우징(150), 오토 플러시 버튼(161), 플러시 버튼 스프링(162), 수동 입력부(170), 오토 플러시 캠(166), 그리고 모터(181,182)로 구성되는데,
플러시밸브(123)의 플러스 밸브 레버(121)는 물 배출구(105)를 개폐하는 플립(106)에 와이어(W)로 연결되며, 시소동작되면서 플립(106)을 통해 물 배출구(105)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변기용 플러시밸브는, 수동 또는 자동조작부의 상하 운동력이 가해지는 플러시밸브 버튼(125)과; 힌지축(121b)를 중심으로 시소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단부에는 플립 개폐용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줄 끼움홈(121a)가 형성되어진 플러시밸브 레버(121)와; 일측이 폴대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플러시밸브 버튼(125)의 상하운동을 안내하기위한 통공(124c)과, 상기 플러시밸브 레버(121)의 힌지축(121b)이 고정되는 축홈(124a)이 구비되어진 플러시밸브 가이드(124)로 구성되는데,
상기 플러시버튼(125)는 원판구조로서 전방에 걸림턱(125a)이 구비되고 양측 하부에는 기둥(125b)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플러시밸브 가이드(124)에서는 폴대끼움부(124b)의 좌,우에 상기 플러시버튼(125)의 기둥(125b)이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통공(124)이 인접 위치하므로, 플러시밸브 버튼(125)에 누름력이 가해지는 지점과 폴대(107)에 고정되는 지점이 일치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플러시버튼(125)의 기둥(125b)은 그 하단에 걸림턱(125a)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기둥(125b)을 상기 플러시밸브 가이드(124)의 통공(124c)에 끼워 결합할 시에 선단에서 '딸각'하고 걸리게되므로, 일단 결합되면 쉽게 분리되지 않게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러시밸브 가이드(124)에서는, 플러시밸브 버튼(125)의 상하운동을 안내하기위한 통공(124c)이 폴대끼움부(124b)의 좌,우에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수동 또는 자동조작부에 의해 상기 플러시밸브 버튼(125)에 상하 운동력이 가해질 때, 플러시밸브 버튼(125)에 누름력이 가해지는 지점과 폴대(107)에 고정되는 지점이 일치하므로, 상기 플러시밸브 가이드(124)에 전혀 휨력이 가해지지않게된다.
따라서 상기 플러시밸브 가이드(124)는 내구성이 양호하게되고, 상기 폴대 끼움부(124b)와 통공(124c)에도 응력이 집중되지않아서 전체적인 내구성이 좋아질 뿐만 아니라, 플러시밸브 가이드(124)가 전혀 돌출되지않아서 변기 내부공간을 필요 이상 차지하지않을 것이므로, 나머지 부품들과 간섭현상도 일으키지 않게된다.
부연 설명드리자면, 플러스 밸브 레버(121)에는 그 양측으로 피봇 지지를 위한 힌지축(121b)이 마련되고, 상기 힌지축(121b)은 플러시 밸브 가이드(124)에 피봇 지지되는데, 상기 힌지축(121b)은 플러시 밸브 가이드(124)에 형성되는 축홈(124a)에 끼워짐으로써 플러스 밸브 레버(121)가 시소운동할 수 있게끔 한다.
상기 플러시 밸브 가이드(124)에는 폴대(107)에 끼워지는 폴대 끼움부(124b)가 형성된다. 폴대(107)에는 플러시 밸브 가이드(124)의 임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다수의 리브(107a)가 형성된다.
오토 플러시 샤프트 유닛(130)은 도 2,3과 같은 수동동작이든지 혹은 자동동작이든지 간에 플립(106)이 당겨져서 물 배출구(105)가 개방될 수 있도록 플러시 밸브 레버(121)를 가압하여 시소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수동 입력부(270)는 폴대(107)의 길이 방향에 교차되는 전후 방향으로 오토 플러시 버튼(161)을 가압하는 푸시 버튼(271)과, 푸시 버튼(271)과 오토 플러시 버튼(161) 사이에 배치되며, 푸시 버튼(271)을 원위치 복귀시키는 푸시 버튼 스프링(274)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정적인 동작을 위해 푸시 버튼 스프링(274)은 한 쌍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푸시 버튼(271)에 형성되는 버튼 지지대(272)에 지지될 수 있다.
오토 플러시 캠(166)은 커버 하우징(150) 내에 마련되어 오토 플러시 샤프트 유닛(130)과 연결되며, 회전운동에 기초하여 오토 플러시 샤프트 유닛(130)을 플러시벨브(123) 쪽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모터(181,182)는 커버 하우징(150)의 외측에 결합되고 오토 플러시 캠(166)과 연결되며, 오토 플러시 캠(166)을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자동모드가 구현될 때는 모터(181,182)가 동작되어 오토 플러시 캠(166)을 자동으로 동작시킨다.
본 실시예의 경우, 모터(181,182)는 오토 플러시 캠(166)에 각각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고성능 스테핑 모터(181)와 저성능 스테핑 모터(18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성능 스테핑 모터(181)와 저성능 스테핑 모터(182)는 개별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예컨대, 도기의 성능에 따라 6리터 이상인 도기에는 고성능 스테핑 모터(181)가 동작되도록 하고, 6리터 이하인 도기에는 저성능 스테핑 모터(182)가 동작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동력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콤팩트하면서도 효율적인 구조를 통해 변기 내부의 공간을 되도록 적게 차지하게됨으로써 나머지 부품들과 간섭현상을 경감케하고 내구성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변기 105 : 물 배출구
106 : 플립 107 : 폴대
121 : 플러스 밸브 레버 121a : 줄 끼움홈
121b : 힌지축 123 : 플러시밸브
124 : 플러시밸브 가이드 124a : 축홈
124b : 폴대 끼움부 124c : 통공
125 : 플러시밸브 버튼 125a : 걸림턱
125b : 기둥 125c : 돌출턱

Claims (3)

  1. 수동 또는 자동조작부의 상하 운동력이 가해지는 플러시밸브 버튼(125)과; 힌지축(121b)를 중심으로 시소운동하도록 구성되고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 단부에는 플립 개폐용 와이어를 고정하기 위한 줄 끼움홈(121a)가 형성되어진 플러시밸브 레버(121)와; 일측이 폴대에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플러시밸브 버튼(125)의 상하운동을 안내하기위한 통공(124c)과, 상기 플러시밸브 레버(121)의 힌지축(121b)이 고정되는 축홈(124a)이 구비되어진 플러시밸브 가이드(124)로 구성되는 변기의 플러시밸브에 있어서,
    상기 플러시밸브 버튼(125)는 원판구조로서 전방에 걸림턱(125a)이 구비되고 양측 하부에는 기둥(125b)이 각각 결합되며,
    상기 플러시밸브 가이드(124)에서는 폴대끼움부(124b)의 좌,우에 상기 플러시밸브 버튼(125)의 기둥(125b)이 끼워져 결합되기 위한 통공(124)이 인접 위치하므로, 플러시밸브 버튼(125)에 누름력이 가해지는 지점과 폴대(107)에 고정되는 지점이 일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플러시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시밸브 버튼(125)의 기둥(125b)은 그 하단에 걸림턱(125a)을 형성함으로서, 상기 기둥(125b)을 상기 플러시밸브 가이드(124)의 통공(124c)에 끼워 결합할 시에 일단 결합되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플러시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시 밸브 가이드(124)에는 폴대(107)에 끼워지는 폴대 끼움부(124b)가 형성되고, 상기 폴대(107)에는 플러시 밸브 가이드(124)의 임의 이탈을 저지시키는 다수의 리브(107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의 플러시밸브.
KR2020160006701U 2016-11-17 2016-11-17 변기용 플러시밸브 KR2004858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701U KR200485863Y1 (ko) 2016-11-17 2016-11-17 변기용 플러시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701U KR200485863Y1 (ko) 2016-11-17 2016-11-17 변기용 플러시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5863Y1 true KR200485863Y1 (ko) 2018-04-19

Family

ID=62079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701U KR200485863Y1 (ko) 2016-11-17 2016-11-17 변기용 플러시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8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669B1 (ko) * 2019-09-03 2020-06-02 손정우 변기밸브 개폐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176A (ko) 2002-08-20 200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노리식 버블 잉크젯 프린트 헤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56711A (ko) *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삼홍테크 도기 일체형 비데의 자동 물내림장치
KR20130126647A (ko) 2010-12-03 2013-11-20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최대 전류 제한 방법 및 장치
KR101573046B1 (ko) * 2014-05-23 2015-11-30 주식회사 삼홍테크 도기 일체형 비데의 수동 세척장치
KR101787890B1 (ko) * 2016-04-29 2017-10-19 대림통상 주식회사 변기용 물 내림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7176A (ko) 2002-08-20 2004-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노리식 버블 잉크젯 프린트 헤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56711A (ko) * 2007-11-30 2009-06-03 주식회사 삼홍테크 도기 일체형 비데의 자동 물내림장치
KR20130126647A (ko) 2010-12-03 2013-11-20 어드밴스드 마이크로 디바이시즈, 인코포레이티드 최대 전류 제한 방법 및 장치
KR101573046B1 (ko) * 2014-05-23 2015-11-30 주식회사 삼홍테크 도기 일체형 비데의 수동 세척장치
KR101787890B1 (ko) * 2016-04-29 2017-10-19 대림통상 주식회사 변기용 물 내림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3669B1 (ko) * 2019-09-03 2020-06-02 손정우 변기밸브 개폐장치
WO2021045349A1 (ko) * 2019-09-03 2021-03-11 진명홈바스(주) 변기밸브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9328B2 (ja) キッチン・バス用スイッチ
RU2770705C2 (ru) Механизм слива воды с системой блокировки тягового стержня
KR200485863Y1 (ko) 변기용 플러시밸브
CN111902587B (zh) 使用马桶盖的马桶冲洗装置
JP5756937B2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CN201326205Y (zh) 洗脸盆电动下水器
KR101787890B1 (ko) 변기용 물 내림장치
KR101347261B1 (ko) 절수용 풋 밸브장치
JP2012102576A (ja) 遠隔操作式排水栓装置
KR102411495B1 (ko) 양변기의 자동과 수동 겸용 물내림 장치
WO2021082343A1 (zh) 一种用于水槽进排水控制的集成开关及其自动控制***
CN110778781B (zh) 直排式便器球阀的传动控制装置及开闭控制方法
KR102131911B1 (ko)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WO2007071135A1 (fr) Mécanisme de cuvette de w.-c.
KR101947575B1 (ko) 비데의 수동버튼 구조
CA2639132C (en) Pop-up drain stopper linkage assembly
KR100993058B1 (ko) 토수구 매립형 수도꼭지
CN201080638Y (zh) 坐便器水箱
KR200462352Y1 (ko) 변기의 절수장치
KR200251220Y1 (ko) 양변기 수조의 배수량 조절장치
WO2002095147A1 (fr) Soupape de vidange pour reservoir surbaisse
CN213744929U (zh) 一种排水阀、排水器、去水装置和浴缸
CN211571868U (zh) 一种自动及手动浴缸排水装置
JP2013079569A (ja) 調節レバーの作動によって大・小便に相応する洗浄水を排出する洗浄水排出装置
JP7190307B2 (ja) 便器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