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5080Y1 - 주방용 선반 지지구 - Google Patents

주방용 선반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5080Y1
KR200485080Y1 KR2020150007036U KR20150007036U KR200485080Y1 KR 200485080 Y1 KR200485080 Y1 KR 200485080Y1 KR 2020150007036 U KR2020150007036 U KR 2020150007036U KR 20150007036 U KR20150007036 U KR 20150007036U KR 200485080 Y1 KR200485080 Y1 KR 20048508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helf
back plate
shelf support
kitch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70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613U (ko
Inventor
심득섭
Original Assignee
심득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득섭 filed Critical 심득섭
Priority to KR20201500070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5080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6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6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508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508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4Shelves characterised by support bracket location means, e.g. fixing means between support bracket and shelf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주방용 선반 지지구가 개시된다. 주방용 선반 지지구는, 배면플레이트 및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안쪽면에 형성된 선반결합부를 포함하고, 주방용품을 수납 또는 거치시키기 위한 선반부와 결합되는 선반받침대; 및 주방 싱크대를 구성하는 수납장의 내측의 천정 또는 수납장의 외측의 저면부에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선반받침대와 결합되는 선반받침 결합부를 포함하는 선반받침 장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면플레이트는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장축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하단부에 형성된 삽입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받침 결합부는, 상기 장착부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제1 선반결합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2 선반결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방용 선반 지지구{KITCHEN SHELVES SUPPORT}
본 고안은 주방용 선반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 조립이 간단하고, 주방용 선반을 완성하기 위한 주방용 선반의 조립 과정이 신속해질 수 있는 주방용 선반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사용하는 선반은 배수성을 좋게 하기 위해 스테인레스 소재로 이루어진 철선 등을 소정 길이로 절단한 후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스테인레스 소재 선반의 또 다른 이점은 내부식성 및 경량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주방용 선반의 종래 기술로서, 공개된 실용신안등록 0176167호가 있다. 이 고안은 각각의 부재들을 조립하는 것에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이 이용되지는 않지만 각각의 부재들이 다수의 절곡된 와이어를 통해 몸체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각 부재의 결합 상태가 견고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 없이도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방용 선반을 완성하기 위한 주방용 선반의 조립 과정이 신속해질 수 있으므로 주방용 선반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주방용 선반 지지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선반 지지구는, 배면플레이트 및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안쪽면에 형성된 선반결합부를 포함하고, 주방용품을 수납 또는 거치시키기 위한 선반부와 결합되는 선반받침대; 및 주방 싱크대를 구성하는 수납장의 내측의 천정 또는 수납장의 외측의 저면부에 장착되는 장착부 및 상기 장착부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선반받침대와 결합되는 선반받침 결합부를 포함하는 선반받침 장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면플레이트는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장축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하단부에 형성된 삽입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받침 결합부는, 상기 장착부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멍에 삽입되는 제1 선반결합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2 선반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면플레이트는 상단부의 일부분에 상향 돌출된 돌출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선반결합부는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상단부에 대응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편과 결합하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면플레이트는 제1 장축변; 제2 장축변; 제1 단축변; 및 제2 단축변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결합부는, 상기 배면플레이트에 수직하도록 상기 제1 단축변으로부터 연장된 측면플레이트; 상기 제1 단축변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상단부에 접하여 있고,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안쪽면으로부터 돌출된 중공의 제1 원통부; 상기 제2 단축변에 접하여 있고, 상기 배면플레이트의 안쪽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원통부에 대향하는 제2 원통부; 상기 제1 원통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1 수직부, 상기 제2 원통부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수직부에 대향하는 제2 수직부 및 상기 제1 수직부 및 제2 수직부의 하단부들에 연결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상부플레이트;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안쪽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아래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제1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원통부의 하단부로부터 수직 및 수평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아래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 하부플레이트와 동일평면에 위치하는 제2 하부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반받침대는 물받이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측면플레이트의 안쪽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하부플레이트 및 제2 하부플레이트의 아래로 일정거리 이격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주방용 선반 지지구에 의하면,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 없이도 서로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방용 선반을 완성하기 위한 주방용 선반의 조립 과정이 신속해질 수 있으므로 주방용 선반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선반 지지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반받침대의 배면을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방용 선반 지지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선반 지지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선반 지지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반받침대의 배면을 나타낸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방용 선반 지지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선반 지지구는 선반받침대(110) 및 선반받침 장착부재(120)를 포함한다.
선반받침대(110)는 주방용품을 수납 또는 거치시키기 위한 선반부,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다수의 타공(144)이 형성된 선반부(140)를 거치시키기 위한 조립부재이다. 선반받침대(110)는 배면플레이트(111) 및 선반결합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배면플레이트(111)는 제1 장축변(111a), 제2 장축변(111b), 제1 단축변(111c) 및 제2 단축변(111d)을 포함하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이다. 이러한 배면플레이트(111)는 장축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배면플레이트(111)의 하단부에 형성된 삽입구멍(111e) 및 배면플레이트(111)의 상단부의 일부분에 상향 돌출된 돌출편(111f)을 포함할 수 있다.
선반결합부(113)는 선반부(140)와 결합되어 선반부(140)를 지지한다. 선반결합부(113)는 측면플레이트(113f), 제1 원통부(113a), 제2 원통부(113b), 상부플레이트(113c), 제1 하부플레이트(113d) 및 제2 하부플레이트(113e)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플레이트(113f)는 제1 배면플레이트(111)의 일측에 위치한다. 예를 들면, 제1 측면플레이트(112)는 제1 배면플레이트(111)에 수직하도록 제1 배면플레이트(111)의 제1 단축변(111c)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 원통부(113a)는 중공이고, 제1 배면플레이트(111)의 제1 단축변(111c) 및 제1 측면플레이트(112)의 상단부에 접하여 있고, 제1 배면플레이트(111)의 안쪽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2 원통부(113b)는 중공이고, 제1 배면플레이트(111)의 제2 단축변(111d)에 접하여 있고, 제1 배면플레이트(111)의 안쪽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러한 제2 원통부(113b)는 제1 원통부(113a)에 대향한다.
상부플레이트(113c)는 제1 원통부(113a) 및 제2 원통부(113b)의 사이에 연결된다. 상부플레이트(113c)는 제1 원통부(113a)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1 수직부(113c1), 제2 원통부(113b)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제1 수직부(113c1)에 대향하는 제2 수직부(113c2) 및 제1 수직부(113c1) 및 제2 수직부(113c2)의 하단부들에 연결되는 수평부(113c3)를 포함한다.
제1 하부플레이트(113d)는 제1 측면플레이트(112)의 안쪽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13c)의 아래로 일정 거리 이격된다.
제2 하부플레이트(113e)는 제2 원통부(113b)의 하단부로부터 수직 및 수평으로 절곡되어 제1 하부플레이트(113d)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하부플레이트(113d)와 대향하고, 상부플레이트(113c)의 아래로 일정 거리 이격된다.
이러한 선반결합부(113)는 제1 원통부(113a) 및 제2 원통부(113b)가 중공이므로 도 3에 도시된 상기 선반부(140)의 후술하는 제1 원형절곡부(142) 및 제2 원형절곡부(143)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갖고, 상부플레이트(113c)는 제1 하부플레이트(113d) 및 제2 하부플레이트(113e)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므로 상기 선반부(140)의 제1 원형절곡부(142) 및 제2 원형절곡부(143) 사이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갖는다.
선반받침 장착부재(120)는 선반받침대(110)와 연결되며, 주방 싱크대를 구성하는 수납장의 내측의 천정 또는 수납장의 외측의 저면부에 장착되어 선반받침대(110)가 상기 수납장의 내측의 천정 또는 수납장의 외측의 저면부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선반받침 장착부재(120)는 장착부(121) 및 선반받침 결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부(121)는 상기 수납장의 내측의 천정 또는 수납장의 외측의 저면부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일 예로, 장착부(121)는 고정부재(1211) 및 와이어프레임(1212)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재(1211)는 수납장의 내측의 천정 또는 수납장의 외측의 저면부에 고정된다. 일 예로, 고정부재(1211)는 수평부(1211a) 및 수직부(1211b)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부(1211a)에는 나사를 삽입할 수 있는 나사삽입구멍(1211aa)이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프레임(1212)은 와이어가 소정의 형상, 예를 들면, U자 형상으로 절곡된 형태의 프레임일 수 있고, 이러한 와이어프레임(1212)의 상단부는 고정부재(1211)의 수평부(1211a)에 고정되고 하단부는 선반받침 결합부(122)와 연결될 수 있다.
선반받침 결합부(122)는 선반받침대(110)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선반받침 결합부(122)는 고정부(1221), 제1 선반결합부(1222) 및 제2 선반결합부(122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221)는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고, 플레이트의 바깥면은 와이어프레임(1212)의 하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선반결합부(1222)는 고정부(1221)의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선반결합부(1222)는 고정부(1221)의 하단부가 수평 및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ㄴ자 형상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선반결합부(1222)의 수직한 부분은 선반받침대(110)의 배면플레이트(111)의 하단부에 형성된 삽입구멍(111e)에 삽입되어 제1 선반결합부(1222)가 배면플레이트(111)와 결합될 수 있다.
제2 선반결합부(1223)는 고정부(1221)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선반결합부(1223)는 고정부(1221)의 상단부가 원형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고 원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선반결합부(1223)는 선반받침대(110)의 배면플레이트(111)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고, 배면플레이트(111)의 상단부에 대응되는 면에는 결합홈(1223a)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홈(1223a)은 제2 선반결합부(1223)가 배면플레이트(111)의 상단부와 결합될 때 배면플레이트(111)의 상단부에 형성된 돌출편(111f)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선반받침 결합부(122)의 제1 선반결합부(1222) 및 제2 선반결합부(1223)가 이격된 거리는 선반받침대(110)의 배면플레이트(111)의 높이에 대응되거나 근소한 거리일 수 있다. 따라서 선반받침 결합부(122)는 상기 돌출편(111f) 및 결합홈(1223a)이 없는 부분도 서로 결합이 가능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선반부(140)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선반 지지구와 결합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반부(140)는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 수평플레이트(141), 수평플레이트(141) 일측의 장축변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후 원형으로 절곡된 제1 원형절곡부(142) 및 수평플레이트(141)의 다른 일측의 장축변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후 원형으로 절곡되고 상기 제1 원형절곡부(142)와 대향하는 제2 원형절곡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플레이트(141)는 단축변과 평행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타공들(144)을 포함할 수 있다. 타공들(144)은 수평플레이트(141)상에 식기 등이 올려질 때 물을 배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선반부(140)의 양측 끝은 선반받침대(110)와 결합될 수 있는데, 선반부(140)는 선반받침대(110)와 결합될 때 제1 원형절곡부(142) 및 제2 원형절곡부(143)의 일측 단부는 선반결합부(113)의 제1 원통부(113a) 및 제2 원통부(113b)에 결합되고, 수평플레이트(141)의 단부는 상부플레이트(113c)와 제1 하부플레이트(113d) 및 제2 하부플레이트(113e)의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선반 지지구의 선반받침대(110) 및 선반받침 장착부재(120)가 결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선반받침대(110) 및 선반받침 장착부재(120)의 결합 과정은, 먼저 선반받침 장착부재(120)의 선반받침 결합부(122)의 제2 선반결합부(1223)의 수직한 부분을 선반받침대(110)의 배면플레이트(111)에 형성된 삽입구멍(111e)에 삽입한 후, 선반받침 결합부(122)의 고정부(1221)의 안쪽면이 배면플레이트(111)의 바깥면에 밀착하도록 제2 선반결합부(1223)를 배면플레이트(111)의 상단부를 향해 밀면 제2 선반결합부(1223)가 배면플레이트(111)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선반받침 결합부(122)의 제1 선반결합부(1222) 및 제2 선반결합부(1223)가 이격된 거리는 선반받침대(110)의 배면플레이트(111)의 높이에 대응되거나 근소한 거리이므로 제2 선반결합부(1223)는 배면플레이트(111)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고, 이때 배면플레이트(111)의 상단부에 형성된 돌출편(111f)이 제2 선반결합부(1223)에 형성된 결합홈(1223a)에 끼워지므로 돌출편(111f) 및 결합홈(1223a)의 결합에 의해 제2 선반결합부(1223)는 배면플레이트(111)의 상단부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선반받침대(110) 및 선반받침 장착부재(120)가 결합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선반 지지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구비되어 선반부(140)의 양측 끝에 결합될 수 있고, 선반부(140) 양측 끝에 결합된 각각의 선반받침 장착부재(120)는 주방의 주방 싱크대를 구성하는 수납장의 내측의 천정 또는 수납장의 외측의 저면부에 고정되어 선반부(140)가 예를 들면, 개수대의 위에 위치한 수납장 아래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어 그릇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주방용 선반으로서의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선반 지지구는 선반받침대(110) 및 선반받침 장착부재(120)가 나사와 같은 고정수단 없이도 서로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주방용 선반을 완성하기 위한 주방용 선반의 조립 과정이 신속해질 수 있으므로 주방용 선반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선반 지지구는 선반받침대(110)가 물받이지지플레이트(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받이지지플레이트(115)는 선반받침대(110)의 측면플레이트(113f)의 안쪽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제1 하부플레이트(113d) 및 제2 하부플레이트(113e)의 아래로 일정거리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물받이지지플레이트(115)가 형성됨에 따라, 선반받침대(110)가 선반부(140)의 양측 끝에 각각 결합되는 경우 물받이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받이(16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물받이(160)는 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161)를 가지며, 공간부(161)의 상단 둘레에는 테두리부(162)가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물받이(160)의 테두리부(162)의 서로 대향하는 두 단부를 제1 물받이지지플레이트(115) 및 제2 물받이지지플레이트(125)의 위로 삽입하여 물받이(160)를 제1 선반받침대(110) 및 제2 선반받침대(120)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선반 지지구는 물받이(160)의 사용도 가능하도록 한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고안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고안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배면플레이트(111) 및 상기 배면플레이트(111)의 안쪽면에 형성된 선반결합부(113)를 포함하고, 주방용품을 수납 또는 거치시키기 위한 선반부(140)와 결합되는 선반받침대(110); 및
    주방 싱크대를 구성하는 수납장의 내측의 천정 또는 수납장의 외측의 저면부에 장착되는 장착부(121) 및 상기 장착부(121)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선반받침대(110)와 결합되는 선반받침 결합부(122)를 포함하는 선반받침 장착부재(120)를 포함하고,
    상기 배면플레이트(111)는 상기 배면플레이트(111)의 장축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상기 배면플레이트(111)의 하단부에 형성된 삽입구멍(111e)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받침 결합부(122)는, 상기 장착부(121)의 하단부에 고정되는 플레이트 형상의 고정부(1221); 상기 고정부(1221)의 하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멍(111e)에 삽입되는 제1 선반결합부(1222); 및 상기 고정부(1221)의 상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면플레이트(111)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제2 선반결합부(1223)를 포함하고,
    상기 배면플레이트(111)는 제1 장축변(111a); 제2 장축변(111b); 제1 단축변(111c); 및 제2 단축변(111d)을 포함하고,
    상기 선반결합부(113)는,
    상기 배면플레이트(111)에 수직하도록 상기 제1 단축변(111c)으로부터 연장된 측면플레이트(113f);
    상기 제1 단축변(111c) 및 상기 측면플레이트(113f)의 상단부에 접하여 있고, 상기 배면플레이트(111)의 안쪽면으로부터 돌출된 중공의 제1 원통부(113a);
    상기 제2 단축변(111d)에 접하여 있고, 상기 배면플레이트(111)의 안쪽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원통부(113a)에 대향하는 제2 원통부(113b);
    상기 제1 원통부(113a)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된 제1 수직부(113c1), 상기 제2 원통부(113b)로부터 수직하게 연장되고 상기 제1 수직부(113c1)에 대향하는 제2 수직부(113c2) 및 상기 제1 수직부(113c1) 및 제2 수직부(113c2)의 하단부들에 연결되는 수평부(113c3)를 포함하는 상부플레이트(113c);
    상기 측면플레이트(113f)의 안쪽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13c)의 아래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는 제1 하부플레이트(113d); 및
    상기 제2 원통부(113b)의 하단부로부터 수직 및 수평 절곡되어 연장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13c)의 아래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고, 상기 제1 하부플레이트(113d)와 동일평면에 위치하는 제2 하부플레이트(113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선반 지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플레이트(111)는 상단부의 일부분에 상향 돌출된 돌출편(111f)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선반결합부(1223)는 상기 배면플레이트(111)의 상단부에 대응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돌출편(111f)과 결합하는 결합홈(1223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선반 지지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받침대(110)는 물받이지지플레이트(115)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받이지지플레이트(115)는 상기 측면플레이트(113f)의 안쪽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제1 하부플레이트(113d) 및 제2 하부플레이트(113e)의 아래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선반 지지구.
KR2020150007036U 2015-10-30 2015-10-30 주방용 선반 지지구 KR20048508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036U KR200485080Y1 (ko) 2015-10-30 2015-10-30 주방용 선반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7036U KR200485080Y1 (ko) 2015-10-30 2015-10-30 주방용 선반 지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613U KR20170001613U (ko) 2017-05-11
KR200485080Y1 true KR200485080Y1 (ko) 2017-11-27

Family

ID=58716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7036U KR200485080Y1 (ko) 2015-10-30 2015-10-30 주방용 선반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5080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0778Y1 (ko) * 1994-09-06 1997-02-06 이기섭 착탈식선반의걸고리체결장치
KR0130756Y1 (ko) * 1995-10-18 1998-12-15 양승룡 천정부착식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613U (ko) 2017-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158B1 (ko) 식기건조대
US9839329B2 (en) Frying pan holder
KR200481228Y1 (ko) 주방용 선반
CN210019226U (zh) 碗篮组件和洗碗机
KR200485080Y1 (ko) 주방용 선반 지지구
KR20200002075U (ko) 주방용품 보관함
KR101813789B1 (ko) 식기선반
CN209750971U (zh) 餐具架、碗篮组件和洗碗机
CN109674431B (zh) 餐具架、碗篮组件和洗碗机
KR20170115812A (ko) 조립식 식기건조대
KR200483804Y1 (ko) 조립식 선반
CN205006693U (zh) 电烤箱
KR200480642Y1 (ko) 주방 액세서리용 선반
KR200484055Y1 (ko) 주방용품 수납용 트레이 어셈블리
JP2010011953A (ja) キッチン用スクリーン
CN111743481B (zh) 用于洗碗机的碗篮和洗碗机
CN212088818U (zh) 抽屉架及消毒柜
KR101334597B1 (ko) 일체형 조립부재가 형성된 조립선반
CN113167480A (zh) 烤箱用多功能附件支撑件
CN109662667B (zh) 碗篮组件和洗碗机
JP7301456B2 (ja) 調理器具用収納スタンドおよびフロアキャビネット
KR102060226B1 (ko) 블록형 식기건조대
KR101635584B1 (ko) 주방용품용 부품 모듈
KR200411307Y1 (ko) 주방용 조립식 선반
KR200279949Y1 (ko) 조립 현가식 식기건조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