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921Y1 -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 - Google Patents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921Y1
KR200484921Y1 KR2020150006444U KR20150006444U KR200484921Y1 KR 200484921 Y1 KR200484921 Y1 KR 200484921Y1 KR 2020150006444 U KR2020150006444 U KR 2020150006444U KR 20150006444 U KR20150006444 U KR 20150006444U KR 200484921 Y1 KR200484921 Y1 KR 2004849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necting rod
connection
width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236U (ko
Inventor
이호준
Original Assignee
이호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준 filed Critical 이호준
Priority to KR2020150006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921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2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2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9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9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47B85/04Tables convertible into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7/00Tables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 A47B37/04Tabl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the garden or otherwise in the open air, e.g. with means for holding umbrellas or umbrella-like sunsha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47B85/06Tables convertible otherw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3/00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 B62H3/04Separate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involving forked supports of brackets for holding a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005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acting on the st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14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preventing wheel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탁자 및 의자의 전용이 가능하며 휴대 및 조립이 간편하고 자전거를 거치시킬 수 있는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CHAIR FOR COMBINNING TABLE}
본 고안은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탁자 및 의자의 전용이 가능하며 휴대 및 조립이 간편하고 자전거를 거치시킬 수 있는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야외 활동을 할 때, 휴식을 취할 경우 적절한 벤치나 의자가 없을 경우 휴식을 취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특히, 의자에 앉아 음료수 등을 마시거나 간단한 다과를 하고자 할 경우, 탁자가 구비된 의자는 더욱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특히, 자전거를 이용하여 야외로 나갈 때, 자전거를 적절히 거치할 장소가 없어서 자전거를 눕혀두거나 또는 멀리 있는 곳에 세워두는 경우, 자전거가 파손되거나 또는 도난당할 위험도 있다.
이에 따라서, 소지 및 휴대가 편리하고, 조립이 간단하며 자전거를 거치하는 데에도 적합한 의자 및 탁자가 있을 경우 야외 활동 및 휴식이 더욱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공개실용신안 2011-0006701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포함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소지 및 운반, 조립이 간편하고 사용이 편리한 탁자 겸용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자전거를 거치할 수 있는 자전거 거치대로서의 기능도 가져서 자전거를 사용하여 야외로 나갔을 때 자전거를 용이하게 세워 거치하면서 동시에 의자 또는 탁자로 활용할 수 있는 탁자 겸용 의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탁자 겸용 의자로서, 측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측판;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되며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고 상부에 위치하는 상판;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되며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고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판과 상이한 길이를 갖는 하판; 및 상기 측판을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상판과 하판을 지지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측판은, 둘레를 구성하는 상변과 하변, 양 측변을 갖고, 상기 상변과 하변은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갖되 상하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며, 상기 양 측변은 슬로프가 형성되어 상기 측판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고, 상기 각각의 측변에는 측 방향으로 소정 깊이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며 함몰된 연결 홈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연결봉, 및 연결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봉은 소정의 길이를 갖고 길이 방향 양 단에 소정의 길이만큼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너트는 암나사를 가져서 상기 연결봉의 수나사에 체결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측판이 서로 마주보아 상기 각각의 측판에 형성된 상기 연결 홈이 서로 대칭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봉의 단부 부분이 서로 대칭되는 연결 홈에 위치하여 상기 각각의 연결 홈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봉의 단부 부분의 수나사에 상기 연결 너트의 암나사가 체결되어 상기 측판이 서로 연결되며,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2 개의 연결봉 상에 상기 상판 또는 하판이 놓여져 지지되고, 상기 측판의 상하 위치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킴에 따라서 상기 상판 또는 상기 하판이 상부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에 의해서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봉과 상기 측판 사이의 연결은, 상기 연결봉의 각각의 단부에 상기 연결 너트가 체결되되, 상기 연결봉의 각각의 단부에 2 개의 연결 너트가 상기 측판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을 갖고 체결되고, 상기 각각의 단부에 체결된 2 개의 연결 너트 사이에 상기 측판이 끼어져 위치하여 상기 2 개의 연결 너트 사이에서 지지됨으로써 상기 연결봉과 상기 측판이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의 하면 및 상기 하판의 하면에는 상기 상판 및 하판이 상기 연결봉 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봉의 형상에 대응하며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함몰되게 형성된 안착 리세스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 및 상기 하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측판의 상변 또는 상기 하변의 폭보다 긴 길이를 가져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연장부를 갖고, 상기 연장부에는, 폭 방향으로 중간 부분에 소정 폭과 길이를 갖고 길이 방향으로 함몰되어 자전거의 바퀴가 내삽될 수 있는 자전거 거치 홈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 하판, 및 측판 중 적어도 하나는, 자전거 자물쇠의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 홀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판은, 상변 및 하변의 중간 부분이 소정 깊이 함몰되고, 상변 또는 하변에 인접한 부위에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갖는 손잡이 홀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판의 적어도 일부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는 보조 연결 홀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연결 홀에 상기 연결봉이 추가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연결봉의 단부에 상기 연결 너트가 삽입되는 구성을 갖는다.
본 고안에 따라, 간편하게 소지하여 운반할 수 있고, 간단히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의자가 마련되며, 사용 형태에 따라서 간이 탁자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장소를 불문하고 사용이 편리한 의자 및 탁자를 마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조립이 매우 간단함과 동시에 견고한 결합 구조를 가짐에 따라서 사용이 매우 간편한 의자 겸용 탁자가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하나의 구조로 의자와 탁자를 겸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더욱 편리해진다.
아울러, 자전거를 세워서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로서도 활용할 수 있으므로, 그 사용이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의 사용 형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의 상판, 하판, 측판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의 연결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의 측판과 연결부 사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의 측판과 연결부 사이의 결합구조를 확대해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의 연결부 상에 상판과 하판이 놓이는 일 사용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의 연결부 상에 상판과 하판이 놓이는 다른 사용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의 측판과 연결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 따른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의 사용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의 사용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의 측판과 연결부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길이, 폭, 상하 방향의 표현은 도 1에 도시된 방향에 따른다. 즉, 도 1 에서 X 축은 길이 방향, Y 축은 폭 방향, Z 축은 상하 방향이다.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는 크게 측판(100), 상판(200), 하판(300), 및 연결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각의 측판(10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 구성되되,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상을 갖게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목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여기서 사다리꼴이라 함은 반드시 정확한 사다리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변(102) 및 하변(104)에 각각 소정의 함몰 영역(120, 130)이 형성되거나 미관을 구성하는 소정의 형상을 더 가질 수도 있다.
상기 측판(100)은 사다리꼴 구성을 가짐에 따라서, 서로 평행한 상변(102), 하변(104), 및 슬로프를 갖고 양 측부를 구성하는 측변(106)을 갖는다. 한편, 상변(102), 하변(104), 측변(106)이라 하여 반드시 하나의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설명한 바 및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함몰 영역(120, 130), 곡선 영역 등을 가질 수 있다.
상변(102)과 하변(104)은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지며 평행을 이룬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즉, 상변(102)이 하변(104)에 비해 짧고, 긴 하변(104)이 바닥면 상에 놓이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측변(106)은 대각선으로 이루어져 슬로프를 구성한다. 즉, 긴 하변(104)으로부터 짧은 상변(102) 방향으로 기울어져 슬로프를 구성한다.
측변(106)에는 측 방향으로 소정 깊이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가지며 함몰되는 연결 홈(110)이 복수 개 형성된다. 즉, 연결 홈(110)은 측판(100)의 측부가 일정 깊이 측방향으로 패여진 홈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홈(110)은 하나의 측변(106)의 상부 및 하부 부분에 각각 2 개씩 형성되어 총 4 개의 연결 홈(110)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아울러, 바람직하게는, 측판(100)에는 손잡이로 활용할 수 있는 손잡이 홀(140)이 형성될 수 있다. 일 형태에 의하면, 상변(102)에 인접하게 형성되며, 사용자가 파지하기에 알맞은 폭 및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판(200)과 하판(300) 또한 소정의 두께 및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판(200)과 하판(300) 또한 목재로 구성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판(200)의 길이와 하판(300)의 길이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판(200)은 도 2 의 M 과 같이 상기 측판(100)의 상변(102)의 길이에 대응하고, 하판(300)은 도 2 의 N 과 같이 상기 측판(100)의 하변(104)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판(200)과 하판(300)의 하면에는 각각 안착 리세스(210, 310)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 리세스(210, 310)는 후술하는 연결부(400) 상에 상기 상판(200) 및 하판(300)이 안착되도록 하는 요소로서, 상판(200)에 2 개, 하판(300)에 2 개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안착 리세스(210, 310)는 상판(200) 및 하판(300)의 하부면에 각각 2 개씩 형성되되 서로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고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으로 구성된다. 안착 리세스(210, 310) 내에는 후술하는 연결 너트(420)가 위치하여 연결 너트(420)에 의해서 지지되거나, 또는 연결봉(410)이 위치하여 연결봉(410)이 안착되어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안착 리세스(210, 310) 사이의 이격거리는 후술하는 연결부(400)의 연결봉(410)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연결부(400)는 상기 복수 개의 측판(100)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상판(200) 및 하판(300)을 지지하는 부재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서, 연결부(400)는 연결봉(410)과 연결 너트(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연결봉(410)은 소정의 길이 및 굵기를 갖는 철제 빔으로 구성되며, 양단에 소정의 길이만큼 수나사부(412)가 형성된다. 수나사부(412)가 형성된 영역의 길이는 적어도 상기 측판(100)의 두께보다 더 길다. 연결봉(410)의 길이에는 한정이 없으며, 적어도 상기 상판(200) 및 하판(300)의 폭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다.
연결 너트(420)는 상기 연결봉(410)의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412)에 체결될 수 있도록 암나사부를 갖는다. 이때, 연결 너트(420)는 단순히 홀이 형성되고 상기 홀에 암나사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 것 외에, 단부가 폐쇄되어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 암나사가 형성된 구성을 갖는 것도 가질 수 있다.
한편, 연결봉(410)의 단부에 형성된 수나사부(412)의 길이는 2 개의 연결 너트(420)가 체결되고, 상기 2 개의 연결 너트(420) 사이에 측판(100)의 두께만큼의 이격거리가 존재할 만큼의 길이일 수 있다. 즉, 도 3 과 같이 제1 연결 너트(420)와 제2 연결 너트(420)가 연결봉(410)의 단부에 체결되며, 제1 연결 너트(420)와 제2 연결 너트(420) 사이에 측판(100)의 두께만큼의 이격거리가 있을 정도의 길이만큼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7 을 참조하여 상기 측판(100), 상판(200), 하판(300) 및 연결부(400)가 서로 결합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4 와 같이 2 개의 측판(100)을 연결부(400)를 사용하여 연결시킨다. 도 5 와 같이, 연결봉(410)의 각 단부에 2 개씩의 연결 너트(420)를 체결시키되, 상기 각 단부에 체결된 2 개의 연결 너트(420)는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갖는다. 즉, 내측에 체결된 연결 너트(420)를 제1 연결 너트(420)라 하고, 외측에 체결된 연결 너트(420)를 제2 연결 너트(420)라 할때, 상기 제1 연결 너트(420)와 제2 연결 너트(420)는 적어도 측판(100)의 두께와 같거나 또는 보다 더 넓은 폭을 갖는다.
이에 따라서,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 너트(420)와 제2 연결 너트(420) 사이의 간격에 상기 측판(100)의 연결 홈(110)을 위치시키되, 상기 연결 홈(110) 내에 상기 연결봉(410)이 삽입되고, 상기 제1 연결 너트(420)와 제2 연결 너트(420) 사이를 조여서 상기 제1 연결 너트(420)와 제2 연결 너트(420) 사이에 상기 측판(100)이 끼이도록 하여 고정적인 결합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은 상기 측판(100)에 형성된 각각의 연결 홈(110)에 대해 각각 이루어진다.
이어서, 도 6 및 도 7 과 같이 상기 연결봉(410) 상에 상기 상판(200) 및 하판(300)을 지지시킨다. 도 6 에서, 상판(200)은 화살표 A 와 같이 상변(102)에 인접한 연결봉(410) 상에 거치되며, 하판(300)은 화살표 B 와 같이 하변(104)에 인접한 연결봉(410) 상에 거치된다. 도 7 에서는 측판(100)의 상하 방향이 반대이며, 하판(300)은 화살표 A 와 같이 하변(104)에 인접한 연결봉(410) 상에 거치되며, 상판(200)은 화살표 B 와 같이 상변(102)에 인접한 연결봉(410) 상에 거치된다.
여기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상판(200)에 형성된 안착 리세스(210)의 간격은 상변(102)에 인접한 연결봉(410)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며, 하판(300)에 형성된 안착 리세스(210)의 간격은 하변(104)에 인접한 연결봉(410) 사이의 간격에 대응하여, 안정적인 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 에서는 도 1 의 (a)와 같은 실시 형태에서 상판(200)과 하판(300)의 거치 형태를 나타내며, 도 7 에서는 도 1 의 (b)와 같은 실시 형태에서 상판(200)과 하판(300)의 거치 형태를 나타낸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에 따라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1 인용 의자로 활용하고자 할 경우, 도 6 과 같이 작은 길이를 갖는 상판(200)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소형 탁자로 활용하고자 할 경우, 도 7 과 같이 긴 길이를 갖는 하판(300)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도 8 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판(100)에는 보조 연결 홀(1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연결 홀(160)은 측판(100)을 관통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보조 연결 홀(150)을 통해 연결봉(410)을 연결시킴으로써 보다 견고한 연결을 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판(100)은 반드시 본 고안에 따른 탁자 겸용 의자의 양 측부에만 마련되는 것이 아니며, 연결봉(410)의 중간 부분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측판(100)은 연결봉(410)의 양 측 단부에 위치하는 단부 측판(100A), 및 연결봉(410)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중간 측판(100B)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이때 상기 중간 측판(100B)을 고정할 수 있도록 연결봉(410)의 중간 부분에 중간 수나사부(414)가 더 형성되고, 상기 중간 수나사부(414)에 연결 너트(420)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서, 보다 넓은 면적의 조립식 의자 또는 탁자를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와 같이 측판(100)에 보조 연결 홀(150)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에 따라, 간편하게 소지하여 운반할 수 있고, 간단히 조립할 수 있는 조립식 의자가 마련되며, 사용 형태에 따라서 간이 탁자로도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장소를 불문하고 사용이 편리한 의자 및 탁자를 마련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조립이 매우 간단함과 동시에 견고한 결합 구조를 가짐에 따라서 사용이 매우 간편한 의자 겸용 탁자가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하나의 구조로 의자와 탁자를 겸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더욱 편리해진다.
도 10 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도 10 을 참조하면, 상기 상판(200) 및 상기 하판(30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측판(100)의 상변(102) 또는 상기 하변(104)의 폭보다 긴 길이를 가져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연장부(220)를 갖는다. 즉, 상판(200) 또는 하판(300)은 각각 측판(100)의 상변(102) 또는 하변(104)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져서 각각 연결봉(410) 상에 거치시켰을 때 길이 방향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연장부(220)에는, 폭 방향으로 중간 부분에 소정 폭과 길이를 갖고 길이 방향으로 함몰되는 자전거 거치 홈(222)이 형성된다. 상기 자전거 거치 홈(222)은 자전거의 바퀴가 일부분 내삽되기에 알맞은 폭 및 길이를 가진다. 이에 따르면, 본 고안에 따른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에 자전거를 지지하여 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자전거 거치대로서의 기능도 가질 수 있다.
한편, 도 11 에 따르면,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판(200), 하판(300), 및 측판(100) 중 적어도 하나에는 관통 홀(16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 홀(160)은 자전거 자물쇠의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를 가지며, 이에 따라서 자전거를 거치시킴과 동시에 자전거의 보관의 보안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측판
102: 상변
104: 하변
106: 측변
110: 연결 홈
120: 함몰부
130: 함몰부
140: 손잡이 홀
150: 보조 연결 홀
160: 관통 홀
200: 상판
210: 안착 리세스
220: 연장부
222: 자전거 거치 홈
300: 하판
310: 안착 리세스
400: 연결부
410: 연결봉
412: 수나사부
414: 중간 수나사부
420: 연결 너트

Claims (7)

  1. 측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며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측판(100);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되며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고 상부에 위치하는 상판(200);
    플레이트 형상으로 구성되며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고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상판(200)과 상이한 길이를 갖는 하판(300); 및
    상기 측판(100)을 서로 연결시키고 상기 상판(200)과 하판(300)을 지지하는 연결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측판(100)은,
    둘레를 구성하는 상변(102)과 하변(104), 양 측변(106)을 갖고,
    상기 상변(102)과 하변(104)은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갖되 상하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며, 상기 양 측변(106)은 슬로프가 형성되어 상기 측판(100)이 사다리꼴 형상을 갖고,
    상기 각각의 측변(106)에는 측 방향으로 소정 깊이를 갖고 상하 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며 함몰된 연결 홈(110)이 복수 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400)는,
    연결봉(410), 및 연결 너트(4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봉(410)은 소정의 길이를 갖고 길이 방향 양 단에 소정의 길이만큼 수나사부(41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 너트(420)는 암나사를 가져서 상기 연결봉(410)의 수나사에 체결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측판(100)이 서로 마주보아 상기 각각의 측판(100)에 형성된 상기 연결 홈(110)이 서로 대칭으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봉(410)의 단부 부분이 서로 대칭되는 연결 홈(110)에 위치하여 상기 각각의 연결 홈(110)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봉(410)의 단부 부분의 수나사부(412)에 상기 연결 너트(420)의 암나사가 체결되어 상기 측판(100)이 서로 연결되며,
    서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 2 개의 연결봉(410) 상에 상기 상판(200) 또는 하판(300)이 놓여져 지지되고,
    상기 측판(100)의 상하 위치를 선택적으로 가변시킴에 따라서 상기 상판(200) 또는 상기 하판(300)이 상부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는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410)과 상기 측판(100) 사이의 연결은,
    상기 연결봉(410)의 각각의 단부에 상기 연결 너트(420)가 체결되되, 상기 연결봉(410)의 각각의 단부에 2 개의 연결 너트(420)가 상기 측판(100)의 두께와 대응되는 간격을 갖고 체결되고,
    상기 각각의 단부에 체결된 2 개의 연결 너트(420) 사이에 상기 측판(100)이 끼어져 위치하여 상기 2 개의 연결 너트(420) 사이에서 지지됨으로써 상기 연결봉(410)과 상기 측판(100)이 고정적으로 연결되는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200)의 하면 및 상기 하판(300)의 하면에는 상기 상판(200) 및 하판(300)이 상기 연결부(400) 상에 안착될 수 있도록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함몰되게 형성된 안착 리세스(210, 310)가 형성된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200) 및 상기 하판(30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측판(100)의 상변(102) 또는 상기 하변(104)의 폭보다 긴 길이를 가져서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되는 연장부(220)를 갖고,
    상기 연장부(220)에는,
    폭 방향으로 중간 부분에 소정 폭과 길이를 갖고 길이 방향으로 함몰되어 자전거의 바퀴가 내삽될 수 있는 자전거 거치 홈(222)이 형성된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200), 하판(300), 및 측판(100) 중 적어도 하나는,
    자전거 자물쇠의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도록 두께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 홀(160)을 갖는 조립식 의자.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100)은,
    상변(102) 및 하변(104)의 중간 부분이 소정 깊이 함몰되고,
    상변(102) 또는 하변(104)에 인접한 부위에 소정의 폭 및 길이를 갖는 손잡이 홀(140)이 형성된 조립식 의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100)의 적어도 일부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는 보조 연결 홀(150)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연결 홀에 상기 연결봉(410)이 추가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연결봉(410)의 단부에 상기 연결 너트(420)가 삽입되는 조립식 의자.
KR2020150006444U 2015-09-30 2015-09-30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 KR2004849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444U KR200484921Y1 (ko) 2015-09-30 2015-09-30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444U KR200484921Y1 (ko) 2015-09-30 2015-09-30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236U KR20170001236U (ko) 2017-04-07
KR200484921Y1 true KR200484921Y1 (ko) 2017-11-08

Family

ID=58605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444U KR200484921Y1 (ko) 2015-09-30 2015-09-30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92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4792A1 (en) 1998-05-21 2002-02-07 Casini Francesco Anthony Multi-functional furniture
CN201286454Y (zh) 2008-09-23 2009-08-12 刘茜 一种多用小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0321B2 (ja) 2008-07-04 2013-07-31 昭和電工株式会社 炭化珪素単結晶成長用種結晶の製造方法並びに炭化珪素単結晶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14792A1 (en) 1998-05-21 2002-02-07 Casini Francesco Anthony Multi-functional furniture
CN201286454Y (zh) 2008-09-23 2009-08-12 刘茜 一种多用小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236U (ko) 2017-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5967B2 (en) Modular welding table
KR200438345Y1 (ko) 다용도 테이블
KR20140121496A (ko) 조립식 책상
US6976732B2 (en) Convertible furniture system comprised of modular convertible box frames and methods of forming various furniture configurations therefrom
US20070039150A1 (en) Convertible furniture system comprised of modular convertible box frames and methods of forming various furniture configurations therefrom
KR20190000653U (ko) 무용접 테이블 조립구조
KR101531812B1 (ko) 조립형 테이블
JPH0191807A (ja) システム棚
US20160360877A1 (en) Ratchet-based height adjustable system
US9925403B1 (en) Exercise desk
CA2951187A1 (en) A bunk bed frame
EP3143292A1 (en) Modular frame for making seats and furnishing elements in general provided with a supporting surface
KR200484921Y1 (ko) 조립식 탁자 겸용 의자
KR20150002434U (ko) 장부맞춤을 이용한 조립식 테이블
KR20140005062A (ko) 조립식 테이블
JP5670702B2 (ja) 間仕切構成体
KR20140064632A (ko) 다용도 다리 프레임
KR20180027097A (ko) 다기능 가구
KR101321640B1 (ko) 야외용 의자 조립식 테이블
KR101378815B1 (ko) 수납 구조물
CN210902212U (zh) 一种可拆装的金属椅脚装置
KR20130000992U (ko) 테이블
KR101562797B1 (ko) 조립식 가구 세트
JP2010187830A (ja) 自由構成の組立て椅子
JP3098245U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