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639Y1 - Toilet for Companion animal - Google Patents

Toilet for Companion anim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639Y1
KR200484639Y1 KR2020170003068U KR20170003068U KR200484639Y1 KR 200484639 Y1 KR200484639 Y1 KR 200484639Y1 KR 2020170003068 U KR2020170003068 U KR 2020170003068U KR 20170003068 U KR20170003068 U KR 20170003068U KR 200484639 Y1 KR200484639 Y1 KR 2004846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plate
defecation
bottom pla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70003068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형수
Original Assignee
이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수 filed Critical 이형수
Priority to KR20201700030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63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63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반려동물용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의 배변이 경사로를 따라 수거용 봉투로 이동하도록 하여 처리의 편의성을 높이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내부 세척이 가능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종단면의 형상이 호(弧)형으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바닥판의 전후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바닥판의 종단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절개된 개구부가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과 상기 측벽과의 사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일측에 관통 형성된 배변배출구와, 상기 측벽 중 어느 일측의 측벽과 상기 바닥판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배변배출구와 연통되어 배설물이 이동하는 배변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안내판과, 상기 배변이동통로의 출구와 연통된 배변처리함삽입부와, 상기 측판 중 어느 일측의 측판의 전방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의 출입을 안내하는 안내구와, 상기 안내구에 출입 가능하게 결합하는 털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외측몸체와, 상기 외측몸체의 수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반려동물이 배변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내측몸체와, 다수개의 봉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수거판과, 상기 수거판의 일측에 고정되며 원형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축봉을 포함한 수거체와, 상기 내측몸체에 형성된 제1안내홈을 포함한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변수거부 및 상기 외측몸체의 일측에 서랍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변처리함과, 상기 배변처리함의 상면에 형성되어 배설물을 담는 수거봉투가 안치되는 수거봉투 안치홈이 구비된 배변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for a companion animal,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toilet for a companion animal, in which the defecation of a companion animal is moved to a collection bag along a ramp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processing, To a toilet for a companion animal.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floor panel comprising: a bottom plate formed in a shape of a longitudinal section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air of side walls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plate; A pair of side plates each provided with an opening cut out in the same shape as the longitudinal shape of the bottom plate to form a storage space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side wall, A guide plate disposed between the sidewall of one side of the sidewall and the bottom flap and communicating with the sperm outlet to form a sperm passage through which the sludge moves; A guide hole disposed in front of the side plate of either side of the side plate to guide the entry / exit of the companion animal, and a hairs An inner body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torage space of the outer body and forms a space in which the companion animal defecates, a collection plate having a plurality of rod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guiding portion including a first guiding groove formed in the inner body, and a guide portion including a first guide groove formed in the inner body and a second guiding groove formed in a side of the outer body, And a defecation processing uni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fecation processing compartment and having a collection bag housing recess in which a collection bag for storing waste is placed.

Description

반려동물용 화장실{Toilet for Companion animal}Toilet for Companion animal}

본 고안은 반려동물용 화장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려동물의 배변이 경사로를 따라 수거용 봉투로 이동하도록 하여 처리의 편의성을 높이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내부 세척이 가능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화장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for a companion animal, and more particularly, it relates to a toilet for a companion animal, in which the defecation of a companion animal is moved to a collection bag along a ramp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processing, To a toilet for a companion animal.

반려동물은 주로 실내에서 사람과 함께 생활하는 동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개, 고양이 등이 있으며 교배 또는 유전자의 조작 등을 통해 크기를 소형화시킨 돼지 등도 반려동물로 지칭된다.A companion animal refers to an animal that lives with a person indoors, including a dog, a cat, and a pig that has been miniaturized through mating or gene manipulation is also referred to as a companion animal.

이러한 반려동물을 실내에서 키울 때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 중 배변과 관련된 문제점이 있는데, 배변 또는 배뇨 등과 같은 배설물을 반려동물이 지정된 장소에서 처리하게끔 훈련시키는 것이 쉽지 않은 일이고, 지정된 장소에서 처리한다고 하더라도 배변 또는 배뇨 냄새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시로 청소해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Among the various problems that arise when these companion animals are raised indoors, there are problems related to defecation, and it is not easy to train companion animals to treat defecate such as defecation or urination at a designated plac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very troublesome and inconvenient because it needs to be cleaned from time to time in order to minimize stool or urination odor.

종래에는 반려동물의 배변 및 배뇨 처리를 위해 신문지를 바닥에 깔거나 사각틀에 모래를 담아 두는 것으로 화장실을 형성하였으나, 이러한 종래의 화장실은 배변 처리가 힘들고, 상술한 냄새를 최소화하기 위해 수시로 청소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Conventionally, toilets are formed by laying newspapers on the floor or holding sand in a square frame for companion animal's urination and disposal, but such conventional toilet is difficult to defecate and needs to be cleaned from time to time to minimize the above-mentioned odor There was an inconvenience.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353093호(2014.01.13. 등록)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배설물 자동처리기능이 구비된 애완동물용 변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터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에 구동접속되며 전후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롤러와 상기 롤러가 좌우로 수평배치된 본체프레임과 상면에 애완동물이 탑승하여 배변이나 배뇨하는 벨트를 포함하고, 배설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용기와, 애완동물이 상기 벨트에 탑승했는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등이 구비된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is a conventional technology proposed in 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10-1353093 (registered on April 13, 2014).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is related to a pet toilet apparatus equipped with an automatic disposal function A pair of rollers driven and connected to the motor, a pair of rollers disposed horizontally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body frame having the rollers horizontally arranged horizontally, and a belt on the upper surface of which pets are carried to defecate or urinate, A microorganism container for decomposing excreta, and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a pet is carried on the belt.

상기 종래기술은 애완동물이 벨트에 탑승하면 이를 감지하고, 배설물을 모터, 롤러 및 벨트를 통해 일측으로 이송하고 이를 미생물용기를 통해 분해하는 것을 제안하였으나, 상기의 모터, 롤러, 벨트, 미생물용기 등을 구비해야 하므로 크기가 대형화될 수 밖에 없었고 따라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The above-mentioned prior art has proposed that when a pet is carried on a belt, it senses it, and the waste is transferred to one side through a motor, a roller and a belt and is decomposed through a microorganism container. However, the motor, roller, be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the apparatus can not be increased.

또한, 상기의 구성요소를 구동시키기 위해 전원을 상시 공급해야 하므로 이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 비용이 발생하고, 내부구조가 복잡하여 유지보수를 위한 비용도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since the power supply must be always supplied to drive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dditional costs are incurred thereby, and the internal structure is complicated, resulting in a cost for maintenance.

0001. 등록특허 제10-1353093호(2014.01.13. 등록)0001. Registration No. 10-1353093 (Registered on January 13, 2014)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반려동물의 배변이 경사로를 따라 수거용 봉투로 이동하도록 하여 처리의 편의성을 높이고,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누구나 쉽게 내부 세척이 가능하여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화장실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osable diaper which can be easily cleaned by internal disinfection, Which is capable of holding a toilet for a companion animal.

또한, 내부구조가 간단하고 외부로부터의 전원공급 없이도 사용이 가능하여 유지보수 비용 및 전기 이용에 의한 추가 비용의 발생을 줄인 반려동물용 화장실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ilet for a companion animal which has a simple internal structure and can be used without power supply from the outside, thereby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and the additional cost due to the use of electricit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종단면의 형상이 호(弧)형으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바닥판의 전후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바닥판의 종단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절개된 개구부가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과 상기 측벽과의 사이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판과, 상기 바닥판의 일측에 관통 형성된 배변배출구와, 상기 측벽 중 어느 일측의 측벽과 상기 바닥판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배변배출구와 연통되어 배설물이 이동하는 배변이동통로를 형성하는 안내판과, 상기 배변이동통로의 출구와 연통된 배변처리함삽입부와, 상기 측판 중 어느 일측의 측판의 전방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의 출입을 안내하는 안내구와, 상기 안내구에 출입 가능하게 결합하는 털이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외측몸체와, 상기 외측몸체의 수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반려동물이 배변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내측몸체와, 다수개의 봉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수거판과, 상기 수거판의 일측에 고정되며 원형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축봉을 포함한 수거체와, 상기 내측몸체에 형성된 제1안내홈을 포함한 안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변수거부 및 상기 외측몸체의 일측에 서랍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변처리함과, 상기 배변처리함의 상면에 형성되어 배설물을 담는 수거봉투가 안치되는 수거봉투 안치홈이 구비된 배변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loor panel comprising: a bottom plate formed in a shape of a vertical section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air of side wal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late; A pair of side plat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late and provided with openings cut in the same shape as the longitudinal shape of the bottom plate to form a storage space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side wall, A guide plate disposed between the sidewall of the one of the sidewalls and the bottom flap and communicating with the feces discharge port to form a feces movement passage through which the feces moves, A guiding part disposed in front of a side plate of either side of the side plate for guiding the entry and exit of the companion animal; An inner body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torage space of the outer body and forms a space for the companion animal to defecate, a collection plate having a plurality of rods arranged at a certain interval, , A collection body including a shaft rod fixed to one side of the collection plate and formed of a circular rod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guide portion including a first guide groove formed in the inner body, And a defecation processing unit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fecation processing box and provided with a collection bag housing recess in which a collection bag for storing waste is placed.

또한, 상기 내측몸체는, 상기 외측몸체의 바닥판의 종단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몸체의 수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반려동물이 배변할 수 있는 제1배변공간과, 반려동물이 출입할 수 있는 제1반려동물출입구와, 상기 외측몸체에 형성된 배변배출구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절개홈과, 제1반려동물출입구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며 상기 제1안내홈이 형성된 지지벽체를 포함한 하부프레임과, 상기 외측몸체의 바닥판의 종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단이 폐쇄되고 하단이 개구된 반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며, 반려동물이 배변할 수 있는 제2배변공간과, 반려동물이 출입할 수 있는 제2반려동물출입구와, 상기 외측몸체에 형성된 배변배출구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절개홈을 포함한 상부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inner body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bottom plate of the outer body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er space of the outer body, A first incision groov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a bowel outlet formed in the outer body, a first incision groove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companion animal entrance, A lower frame including a groove formed with a groove and a semicircular shap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longitudinal shape of the bottom plate of the outer body and having an upper end closed and a lower end opened and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A second compartment for the animal to be defecated, a second companion animal entrance for the companion animal to enter and exit, And an upper cover including a second cutting groov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utting groove.

또한, 상기 안내판은, 상기 배변이동통로의 출구측에 상기 배변처리함의 일측단부가 삽입되는 끼움홈이 더 형성되어 상기 배변처리함에 형성된 수거봉투 안치홈이 상기 출구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plate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tting groove into which the one end of the defecation processing container is inserted at the outlet side of the defecation moving path so that the collection bag built-in groove formed in the defecation processing chamber is positioned directly under the outlet .

나아가, 상기 수거체에는, 상방으로 선회 후 하방으로 복귀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축봉에 결합된 복귀중량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collection body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turning weight coupled to the shaft rod so as to smoothly return to the downward direction after turning upward.

나아가, 상기 배변처리함에는, 수거봉투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외주면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외주면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수거봉투 고정구(4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defecation process, a pair of the collection bag fasteners 43 are formed so as to be mutually symmetrical on a pair of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facing each other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fix the position of the collection bag.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모터, 롤러, 구동벨트, 감지센서 등과 같이 전기를 이용하는 구성요소가 없어 사용시 소음발생이 없고 배설물을 수거봉투에 이송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직접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위생을 유지할 수 있으며, 배변공간 및 배설물 이동통로가 외부와 연통된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배설물의 냄새가 외부로 퍼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process of processing the excrement of the companion animal, there is no component to use electricity such as a motor, a roller, a drive belt, a detection sensor, etc., so that noise is not generated during use.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excrement to the collection bag,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pread of the smell of the excretion to the outside by minimizing the space communicated with the excretory space and the excretory movement passage.

또한, 사용이 간편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할 수 있으며,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세척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easy to use, and can be used by anyone, both young and old. It is easy to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to be easily washed, and the cost for maintenance can be reduc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용 화장실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용 화장실을 분해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용 화장실의 외측몸체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a는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용 화장실의 배변수거부를 도시한 구조도.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 화장실의 일부를 분해한 상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용 화장실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용 화장실의 모래수집판의 다른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ilet for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isassembled toilet for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n outer body of a toilet for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defecation of a toilet for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B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art of a companion animal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isassembled. FIG.
Figs. 5 to 7 are diagram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toilet for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sand collecting plate of a toilet for a companion anim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용 화장실(1)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companion toile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방향기준은 도 1에 도시된 방향지시선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rection referenc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irection specifying line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반려동물용 화장실(1)은, 외측몸체(10)와, 내측몸체(20)와, 배변수거부(30)와, 배변처리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to 4, the companion toile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body 10, an inner body 20, a defecation allowance 30, a defecation processing unit 40 ).

상기 외측몸체(10)는, 후술할 내측몸체(20)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며 반려동물의 배설물(W)을 후술할 배변처리부(40)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호(弧)형으로 이루어진 바닥판(11)과, 상기 바닥판(11)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측벽(12)과, 상기 바닥판(11)의 전후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바닥판(11)의 종단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절개된 개구부(131)가 구비된 한 쌍의 측판(13)과, 상기 바닥판(11)의 일측에 관통 형성된 배변배출구(14)와, 상기 측벽(12) 중 어느 일측의 측벽(12)과 상기 바닥판(11)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배변배출구(14)와 연통되어 배설물(W)이 이동하는 배변이동통로(151)를 형성하는 안내판(15)과, 상기 배변이동통로(151)의 출구(152)와 연통된 배변처리함삽입부(16)와, 상기 측판(13) 중 어느 일측의 측판(13)의 전방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의 출입을 안내하는 안내구(17)와, 상기 안내구(17)에 출입가능하게 결합되는 모래수집판(1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outer body 10 is for detachably mounting the inner body 20 to be described later and for moving the excrement W of the companion animal to a defecation processing unit 40 to be described later, A pair of side walls 12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plate 11 and a pair of side walls 12 provided on both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ttom plate 11, A pair of side plates 13 provided with openings 131 cut in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the bottom plate 11, a defecation outlet 14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bottom plate 11, A guide plate (15) disposed between the side wall (12) and the bottom plate (11) and communicating with the defecation outlet (14) to form a defecation passageway (151) A defecation processing container insertion portion 16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152 of the side plate 13 and a defrosting container insertion portion 16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152 of the side plate 13, With the guide port 17 for guiding out, it comprises a sand collecting plate 19 that is coupled to and out of the guide opening (17).

상기 바닥판(11)은, 종단면이 호(弧)형으로 이루어지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것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점으로부터 상방으로 더 돌출되어 상단부가 좁아진 호형을 이루도록 형성된다.2 and 3, the bottom plate 11 is formed so as to have an arcuate shape whose upper end portion is narrowed and which projects further upward from the center point, as shown in Figs. 2 and 3 .

이는 후술할 내측몸체(20)를 바닥판(11) 및 수술하는 측벽(12) 사이에 형성된 수납공간(111)에 슬라이딩 형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결합된 상태에서 좁아진 상단부가 내측몸체(20)의 외주면을 탄성 가압함으로써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is allows the inner body 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torage space 111 formed between the bottom plate 11 and the side wall 12 to be operated in a sliding manner,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20 can be elastically pressed to prevent the flow.

상기 측벽(12)은, 상기 바닥판(11)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11)의 상단부와 맞닿는 수평판(121)과, 상기 수평판(121)의 일측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절곡 형성된 수직판(122)으로 이루어진다.The side walls 12 are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plate 11 and include a horizontal plate 121 contacting the upper end of the bottom plate 11, And a vertical plate 122 formed by bending.

이때, 상기 수평판(121)은 상기 수직판(122)과 상기 바닥판(11)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수직판(122)과 바닥판(1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배설물이 이동하는 배변이동통로(151)를 형성한다.The horizontal plate 121 is for forming a space between the vertical plate 122 and the bottom plate 11.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vertical plate 122 and the bottom plate 11 is a space Thereby forming a defecation moving passage 151 that moves.

한편, 상기 측벽(12) 중 어느 일측의 측벽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배변처리함(41)이 바닥판(11)의 하부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배변처리함삽입부(16)를 형성하기 위해 타측 측벽(12)에 비해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sidewall of one side of the side wall 12 includes a defecation processing insertion portion 41 for inserting the defecation processing chamber 41 to be described later in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ttom plate 11,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is shorter than that of the other side wall 12 in order to form the recess 16.

이때, 상기 배변처리함삽입부(16)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측벽(12) 중 어느 일측의 측벽에 관통공을 형성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a side wall of any one of the side walls 12 to form the defecation processing container insertion portion 16. [

상기 측판(13)은, 상기 바닥판(11)의 전방측 및 후방측에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0의 종단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절개된 개구부(131)가 구비되어 후술할 내측몸체(20)가 상기 개구부(131)를 통해 출입한다.The side plate 13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bottom plate 11 and is provided with an opening 131 cut in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bottom plate 0, The body 20 moves in and out through the opening 131.

상기 배변배출구(14)는, 상기 바닥판(11)의 일측에 관통 형성되어 배설물을 후술하는 배변처리부(40)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바닥판(11)의 일측을 절개하여 형성한다.The defecation outlet 14 is formed to penetrate the one side of the bottom plate 11 to move the excrement to the side of the defecation processing unit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is formed by cutting one side of the bottom plate 11.

이때, 상기 배변배출구(14)는 도면 중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판(11)의 좌측 상단부에 관통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반려동물이 배설시 다리가 빠지지 않는 범위에서 어느 위치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In this case, the defecation outlet 14 is formed to pass through the left upper end of the bottom plate 11 as shown in the figure. However, this is an embodiment, As shown in FIG.

상기 안내판(15)은, 상기 측벽(12) 중 어느 일측의 측벽(12)의 내주면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판(11)과의 사이에 배설물(W)이 이동하는 배변이동통로(151)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부로부터 하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되, 하향경사진 방향이 후술하는 배변처리함(41)측을 향하도록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The guide plate 15 is dispos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ide wall 12 on either side of the side wall 12 and forms a defecation moving path 151 in which the excrement W moves with the bottom plate 11 And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downwardly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downwardly inclined direction toward the side of the defecation processing chamber 41 to be described later.

이때, 상기 안내판(15)에는 이송된 배설물(W)이 배변처리함(41)에 형성된 수거봉투 안치홈(42)에 위치하도록 상기 배변처리함(41)의 일측단부가 삽입되는 끼움홈(153)이 더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guide plate 15 is provided with a fitting groove 153 (see FIG. 1) into which the one end of the defecation processing chamber 41 is inserted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collection bag built-in groove 42 formed in the defecation processing chamber 41 ) Is further formed.

즉, 상기 끼움홈(153)은 상기 배변이동통로(151)의 출구(152)측에 형성되어 배변처리함(41)의 일측단부가 삽입되도록 하여, 상기 배변처리함(41)에 형성된 수거봉투 안치홈(42)이 상기 출구(152)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the fitting groove 153 is formed at the outlet 152 side of the defecation moving passage 151 so that one side end of the defecation processing box 41 is inserted, So that the anchor groove 42 is positioned directly below the outlet 152.

상기 배변처리함삽입부(16)는, 상기 배변이동통로(151)의 출구(152)측에 형성되어 배변처리함(41)이 슬라이딩 형태로 출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상기 바닥판(11)과 상기 측벽(12) 중 길이가 짧은 일측의 측벽(12) 사이에 형성된다.The defecation processing container inserting portion 16 is formed on the outlet 152 side of the defecation shifting passage 151 so that the defecation processing container 41 can enter and exit in a sliding manner. And a side wall 12 of the side wall 12 which is short in length.

상기 안내구(17)는, 상기 측판(13) 중 어느 일측의 측판(13)의 전방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의 출입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사선 배치되는 한 쌍의 판넬(171)이 구비되며, 상기 판넬(171)의 장변을 연결하여 판넬(171)의 직립을 도모하는 장판(172)과, 상기 판넬(171)의 하부에 구비되되 편평한 판으로 이루어져 배치되는 지지판(173) 및 상기 지지판(173)의 상부에 형성되는 털이공간(17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guide hole 17 is disposed in front of the side plate 13 on either side of the side plate 13 and guides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companion animal. The guide hole 17 is formed by a pair of panels And a support plate 173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anel 171 and being disposed in a flat plate 171. The support plate 173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panel 171 to support upright the panel 171 by connecting long sides of the panel 171, And a hairy space 174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73. [

이때, 상기 털이공간(174)에는 반려동물의 발에 묻은 모래가 후술할 모래수집판(19)으로 낙하하도록 메쉬망(175)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mesh net 175 is further provided in the hairy space 174 so that the sand on the feet of the companion animal falls to the sand collecting plate 19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수집판삽입부(18)는, 상기 안내구(17)에 형성된 털이공간(174)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후술하는 모래수집판(19)이 출입되는 것이다.The collecting plate inserting portion 18 is formed such that the hairs formed in the guide holes 17 are disposed below the space 174 so that the sand collecting plate 19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removed.

상기 모래수집판(19)은, 상기 수집판삽입부(18)에 출입 가능하게 배치되어 반려동물이 후술하는 내측몸체(20)에 출입할 때 반려동물의 발에 묻은 모래 또는 먼지 등을 낙하하면 이를 수집하기 위한 것이다.The sand collecting plate 19 is disposed so as to be able to move in and out of the collecting plate inserting portion 18 and drops sand or dust adhering to the foot of the companion animal when the companion animal enters and exits the inner body 20 This is for collecting.

도면 중 미설명부호 (193)은 털이판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털이판손잡이(193)이다.In the drawing, reference numeral 193 denotes a hairy knob 193 attached to a hairy plate and gripped by a user.

도 8은 상기 모래수집판(19)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안내구의 메쉬망(175)이 분리된 상태에서 모래수집판(19)의 상면에 격자로 배치된 격자판(191)이 구비되고 상기 격자판(191)의 하부에 낙하된 모래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펀지(192)가 더 구비된 것이다.8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sand collecting plate 19. The grating plate 191 arranged in a latti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and collecting plate 19 in a state where the mesh net 175 of the guide is separated And a sponge 192 for preventing the sand dropp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grid plate 191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격자판(191)은 상술한 메쉬망과 동일한 메쉬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스펀지(192)의 외부 충격을 완충시키는 것으로 일정량의 모래가 수집된 상태에서 반려동물이 격자판(191)에 올라왔을 때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모래가 외부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At this time, the grid plate 191 may be made of the same mesh network as the mesh network described above, and the external impact of the sponge 192 is buffered so that a certain amount of sand is collected and the companion animal is placed on the grid plate 191 It prevents the sand from protruding to the outside due to the impact generated when it comes.

상기 내측몸체(20)는, 상기 외측몸체(10)의 수납공간(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반려동물이 배설을 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하부프레임(21)과, 상부커버(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inner body 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torage space 111 of the outer body 10 and forms a space for storing the companion animal. The inner body 20 includes a lower frame 21, an upper cover 22, .

상기 하부프레임(21)은, 상기 외측몸체(10)의 바닥판(11)의 종단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상기 바닥판(11)의 중심점에서 가상의 좌우수평선과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다.The lower frame 2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bottom plate 11 of the outer body 10 as shown in Figures 1 and 2, At the same position as the imaginary left and right horizontal lines.

상기 하부프레임(21)에는 반려동물이 배변할 수 있는 제1배변공간(211)이 형성되고, 반려동물이 출입할 수 있는 제1반려동물출입구(212)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몸체(10)에 형성된 배변배출구(14)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제1절개홈(213)이 형성되며 상기 제1반려동물출입구(212)의 반대 방향에 지지벽체(214)가 형성되어 상기 제1배변공간(211)의 일측을 폐쇄한다.A first compartment 211 is formed in the lower frame 21 so that the companion animal can be defecated. A first companion animal entrance 212 through which the companion animal can enter and exit is formed. A first incision groove 213 is form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bowel outlet 14 formed in the first compartment and the supporting wall 214 is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companion animal entrance 212, And closes one side of the main body 211.

상기 제1배변공간(211)은 후술하는 상부커버(22)에 형성된 제2배변공간(221)과 함께 반려동물이 배변 및 배뇨를 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며, 바닥에는 모래, 흙 등이 일정깊이를 갖도록 더 도포될 수 있다.The first defecation space 211 is formed with a second defecation space 221 formed in the upper cover 22 to be described later and forms a space for companion animals to urinate and defecate. Lt; / RTI >

상기 제1절개홈(213)은 하부프레임(21)의 일측에 형성되되 상술한 배변배출구(14)와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변배출구(14)와 동일한 길이 및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참조)The first incision groove 213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er frame 21 so as to be positioned on the same horizontal line as the above-described incontinence outlet 14 and has the same length and shape as the incision exit 14 (See Fig. 2)

한편, 상기 지지벽체(214)는, 상기 하부프레임(21)의 후단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배변공간(211)을 외부와 차단하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배변수거부(30)의 축봉(312)이 중심점을 기준으로 선회할 수 있는 제1안내홈(321)이 더 형성된다.The support wall 214 is disposed at the rear end of the lower frame 21 to block the first void space 211 from the outside, A first guide groove 321 is formed in which the shaft rod 312 can pivot with respect to the center point.

상기 상부커버(22)는, 상기 외측몸체(10)의 수납공간(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하부프레임(21)의 상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2배변공간(221)과, 제2반려동물출입구(222)와, 제2절개홈(2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upper cover 22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torage space 111 of the outer body 10 and is disposed above the lower frame 21. The upper cover 22 includes a second void space 221, A companion animal entrance port 222, and a second incision groove 223.

이때, 상부커버(22)는 상기 외측몸체(10)의 바닥판(11)의 종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단이 폐쇄되고 하단이 개구된 반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프레임(21)의 상부에 배치된다.At this time, the upper cover 22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shape of the bottom plate 11 of the outer body 10, and has a semi-circular shape with the upper end closed and the lower end opened, Respectively.

이를 통해 상기 제2배변공간(221)과 제2반려동물출입구(222)는 하부프레임(21)에 형성된 제1배변공간(211)과 제1반려동물출입구(212)와 결합하여 반려동물이 출입하는 출입구 및 배변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The second compartment 221 and the second companion animal exit 222 are combined with the first compartment 211 formed in the lower frame 21 and the first companion animal entrance 212 to allow the companion animal to enter and exit And a space for defecation can be formed.

한편, 상기 제2절개홈(223)은 상기 제1절개홈(213)의 상부에 맞닿아 배치됨으로써 제1절개홈(213)과 제2절개홈(223)이 배변배출구(14)와 동일한 위치 및 크기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The second incision groove 223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incision groove 213 so that the first incision groove 213 and the second incision groove 223 are position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incision exit 14 And size.

상기 배변수거부(30)는, 상기 내측몸체(20)에 존재하는 배설물(W)을 배변배출구(14)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수거체(31)와, 안내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efecation rejection 30 is for moving the excrement W existing in the inner body 20 toward the defecation outlet 14 and includes a collection body 31 and a guide portion 32 .

상기 수거체(31)는, 배설물과 맞닿아 이를 이동시키되 모래, 흙은 빠져나가도록 다수개의 봉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수거판(311)이 다수개 구비되고, 상기 수거판(311)의 일측에 고정되며 원형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축봉(312)과, 상기 축봉(312) 중 상기 내측몸체(20)의 지지벽체(214) 외측으로 노출된 부위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파지하는 수거체손잡이(313)와, 상기 축봉(312)에 결합되어 사용 후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하는 복귀용중량체(3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ollection body 3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llection plates 311 having a plurality of rods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so as to come in contact with the excrement so as to move the slurry out of the sand and soil, A shaft rod 312 formed in a circular bar shape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haft member 312 provided at a portion of the shaft rod 312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wall body 214 of the inner body 20, And a returning weight 314 coupled to the shaft rod 312 and returning to the home position after use.

상기 수거판(311)은 도 2 및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봉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배설물은 상기 봉에 맞닿아 이동되고 모래, 흙 등은 봉과 봉 사이의 간격을 통해 빠져나도록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and FIG. 5 to FIG. 7, the collection plate 311 has a plurality of rod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excrement is moved in contact with the rods, and sand, soil, It is done to escape through.

상기 축봉(312)은 상기 수거판(311)의 일측에 고정되어 일단에 구비된 수거체손잡이(313)를 사용자가 파지한 후 이를 선회시키거나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수거판(311)의 위치 및 각도를 변화시킨다.The shaft rod 312 is fixed to one side of the collection plate 311 so that the user can grasp the collection handle 313 provided at one end and then rotate or rotate the collection handle 313 to adjust the position and angle of the collection plate 311 Change.

즉, 상기 축봉(312)은 후술할 안내부(32)를 통해 선회하면서 배설물(W)을 배변배출구(14)측으로 이동시키거나 배설물의 위치에 따라 상기 수거판(311)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것이다.That is, the shaft rod 312 is rotated through the guide part 32 to be described later to move the excrement W toward the defecation outlet 14 or change the angle of the collection plate 311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excrement .

이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사용상태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설물(W)의 상기 수거판(311)과 배변배출구(14)측에 위치하면 수거판(311)을 배변배출구(14)측으로 선회시킴으로써 배설물을 이송시키고, 만약 배설물(W)이 수거판(311)의 반대방향측 즉 수거판(311)을 기준으로 배변배출구(14)의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수거판(311)의 각도를 회전시키면서 배설물측으로 선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5 to 7, when the waste plate W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collection plate 311 and the discharge outlet 14, the collection plate 311 is moved toward the discharge outlet 14 side And when the excrement W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ollection plate 311, that is,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ischarge outlet 14 with respect to the collection plate 311, So that the angle can be turned to the slurry side while being rotated.

상기 복귀용중량체(314)는, 상기 축봉(312)이 선회된 위치가 최상단에 위치된 후 사용자가 수거체손잡이(313)를 놓으면 축봉(312)이 후술할 안내부(32)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할 때 이동하는 속도를 좀 더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반려동물이 상기 수거체(31) 및 축봉(312)을 타격하여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When the user places the collection handle 313 after the position where the shaft rod 312 is pivoted at the uppermost position, the shaft rod 312 is moved downward along the guide portion 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So as to prevent the companion animal from hitting the collector 31 and the shaft rod 312 and changing the position thereof.

상기 안내부(32)는, 상기 수거체(31)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하부프레임(21)의 지지벽체(214)에 형성된 호(弧)형의 제1안내홈(321)과, 상기 지지벽체(214)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축봉(312)이 관통 삽입되는 후면판(322)과, 상기 지지벽체(214)와 상기 후면판(322)에 배치되며 상기 축봉(312)이 관통 삽입되는 보강판(3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guide part 32 is provided with a first guide groove 321 in the form of a arc formed in the support wall 214 of the lower frame 21 for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collection body 31, A rear plate 322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upporting wall 214 and through which the shaft rod 312 is inserted and a rear plate 322 disposed at the supporting wall 214 and the rear plate 322, And a reinforcing plate 324 to be inserted.

이때, 상기 지지벽체(214)에서 후방측으로 노출되는 면에는 상기 수거체(31)에 구비된 복귀용중량체(314)를 안내하여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외측으로 돌출된 안내돌부(326)가 더 형성된다.(도 2 은선부분 참조)At this time, a guide protrusion 326 protruding outward is provided on a surface exposed to the rear side from the support wall 214 to guide the returning weight 314 provided on the collection body 31 to prevent displacement (See the hatched portion in Fig. 2).

상기 후면판(322)은 상기 지지벽체(214)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복귀용중량체(314)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파손의 위험을 줄이고, 상술한 복귀용중량체(314)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 및 돌출 형성된 안내돌부(326)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지지벽체(214)와의 사이에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되 테두리의 직경은 상기 지지벽체(214)의 직경에 상응하는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중앙측은 상기 테두리에 비해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외측을 향해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ear plate 322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supporting wall body 214 to prevent the returning weight 314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to reduce the risk of breakage, And the diameter of the rim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orting wall body 214. The diameter of the rim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upporting wall body 214 And the central side is formed so as to have a smaller diameter than the rim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diameter is narrowed toward the outside as a whole.

상기 보강판(324)은 상기 수납공간(111)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축봉(312)의 길이 및 축봉에 결합된 복수의 수거판(311)의 무게에 의해 축봉(312)의 일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The reinforcement plate 324 is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111 and minimizes the bending of the shaft rod 312 to one side by the length of the shaft rod 312 and the weight of the plurality of collection plates 311 coupled to the shaft rod .

즉, 축봉(312)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축봉(312) 자체의 하중이 증가하게 되고, 상기 수거판(311)의 개수가 늘어날수록 이로부터 전달되는 하중 압력이 축봉(312)으로 전달되어 축봉(312)이 휘어질 수 있는데, 상기 보강판(324)이 수납공간(111)에 배치된 축봉(312)의 일부를 지지함으로써 휘어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s the length of the shaft rod 312 becomes longer, the load of the shaft rod 312 itself increases. As the number of the collection plates 311 increases, the load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shaft rod 312 is transmitted to the shaft rod 312, The reinforcing plate 324 can support a part of the shaft rod 312 disposed in the storage space 111 to minimize warping.

또한, 상기 후면판(322)은 상기 지지벽체(214)에 관통 형성된 제1안내홈(321)을 통해서 배변공간에 배치된 모래가 외측몸체의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rear plate 322 prevents the sand disposed in the void space through the first guide groove 321 formed in the support wall body 214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of the outer body.

이를 위해 상기 후면판(322)은 상기 축봉(312)가 관통 결합된 상태로 지지벽체(214)의 후방에 결합되어 축봉(312)의 선회와 동시에 선회한다.For this, the rear plate 322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supporting wall body 214 in a state where the shaft rod 312 is penetratedly coupled, and turns at the same time as the shaft rod 312 turns.

한편, 상기 보강판(324)은 수납공간(111)의 내부에 배치되되 외경이 수납공간의 내주면의 직경에 상응하는 크기로 이루어져 상기 수납공간에 구비된 모래가 보강판(324)의 후방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plate 324 is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space 111 and has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ceiving space so that the sand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moves toward the rear side of the reinforcing plate 324 .

도면 중 미설명부호 (327)은 상기 후면판과 보강판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축봉(312)이 관통 삽입되는 관통구멍이다.In the drawings, reference numerals 327 are formed in the back plate and the reinforcing plate, respectively, and are the through holes through which the shaft rod 312 is inserted.

상기 배변처리부(40)는, 상기 외측몸체(10)의 일측에 서랍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이송된 배설물(W)을 수거봉투(B)에 담아 처리하는 것으로, 배변처리함(41)과, 수거봉투 안치홈(42)과, 수거봉투 고정구(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efecation processing unit 40 includes a defecation processing unit 41 for defecating the wastes W transferred to the one side of the outer body 10 in a drawer-type manner by being carried in the collection bag B, A collection bag enclosure groove 42, and a collection bag fixture 43.

상기 배변처리함(41)은, 상기 외측몸체(10)에 형성된 배변처리함삽입부(16)에 서랍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 도면 중 도시된 바로는 사각함체 형상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측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배변처리함손잡이(411)가 구비된다.Although the defecation processing box 41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efecation processing box insertion portion 16 formed in the outer body 10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box as shown in the figure, And can be formed in various forms, and a defecation handling handle 411 held by a user is provided at one side.

또한, 상기 배변처리함(41)의 저면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캐스터(도면 중 미도시됨)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나아가 외측몸체(10)의 한 쌍의 측판(13)과 맞닿는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에는 레일 및 상기 레일에 안내되는 이동수단이 더 구비되어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도 있다.Further, the bottom surface of the defecation processing box 41 may further include a caster (not shown) for facilitating the movement thereof. Further, a caster (not shown) for facilitating the movement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efecation processing box 41, The pair of side surfaces to be viewed may further include a rail and a moving means guided by the rail, thereby facilitating the movement.

상기 수거봉투 안치홈(42)은, 상기 배변처리함(41)의 상면에서 형성되되 하방으로 요입형성되어 이송된 배설물(W)이 위치하는 것이며 이때 상기 배설물(W)을 분리 수거하기 위한 수거봉투(B)가 배치되는 것이다.The collection bag housing recess 4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fecation processing container 41 and is formed by being downwardly formed by being recessed downwardly to locate the transferred wastes W. At this time, (B) is disposed.

즉, 상기 수거봉투 안치홈(42)은 배설물(W)을 수거하기 위한 수거봉투(B)가 안치되는 것으로, 이송된 배설물(W)이 배변처리함(41)의 상방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변처리함(41)의 내측으로 요입형성되고 하방으로 향할수록 중앙을 향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경사면(421)이 형성되어 단면의 형상이 하방으로 좁아지는 원뿔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That is, the collection bag housing groove 42 is provided with a collection bag B for collecting the slurry W, which prevents the discharged slurry W from being exposed upward from the defecation treatment box 41 A sloped surface 421 which is recessed toward the center of the defecation treatment chamber 41 and narrows gradually toward the center is formed so that the shape of the sloped surface 421 is conical.

이를 통해 이송된 배설물이 수거봉투(B)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하여 수거봉투(B)를 배변처리함(41)에서 분리한 후 끈 또는 수거봉투의 상단부를 결속하는 과정이 용이하도록 하며, 동시에 많은 양의 배설물이 이동되어 배변처리함(41)의 상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o that the discharged slurry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collection bag B so that the process of binding the upper end of the collection bag or the bag or bag after separating the collection bag B from the defecation treatment 41 is facilit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sitive slurry from being moved and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efecation treatment chamber 41.

상기 수거봉투 고정구(43)는, 상기 배변처리함(41)에 배치되는 수거봉투(B)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배변처리함(41)의 외주면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외주면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거봉투(B)의 상단이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The collection bag fastener 43 is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collection bag B disposed in the defecation treatment box 41 and is configured to be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pair of facing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efecation treatment box 41 And the upper end of the collection bag B is fastened and fixed as shown in Figs. 5 to 7.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모터, 롤러, 구동벨트, 감지센서 등과 같이 전기를 이용하는 구성요소가 없어 사용시 소음발생이 없고 배설물을 수거봉투에 이송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게 직접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위생을 유지할 수 있으며, 배변공간 및 배설물 이동통로가 외부와 연통된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배설물의 냄새가 외부로 퍼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no components that use electricity such as a motor, a roller, a drive belt, a sensor, and the like in the process of disposing of companion animals, so that noise is not generated during use, The hygiene can be maintained by not being directly exposed, and the space for communicating the excretory space and the excrement moving path with the outside can be minimized, so that the odor of the excrement can be minimized.

또한, 사용이 간편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사용할 수 있으며,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세척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유지보수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In addition, it is easy to use, and can be used by anyone, both young and old. It is easy to be assembled and disassembled to be easily washed, and the cost for maintenance can be reduced.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the like,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such equivalents, or equivalents thereof, a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claims set forth below.

1 : 반려동물용 화장실
10 : 외측몸체
11 : 바닥판 12 : 측벽
13 : 측판 14 : 배변배출구
15 : 안내판 16 : 배변처리함삽입부
17 : 안내구 18 : 수집판삽입부
19 : 모래수집판 111 : 수납공간
151 : 배변이동통로 152 : 출구
20 : 내측몸체
21 : 하부프레임 22 : 상부커버
213 : 제1절개홈 223 : 제2절개홈
214 : 지지벽체
30 : 배변수거부
31 : 수거체 32 : 안내부
311 : 수거판 312 : 축봉
321 : 제1안내홈
40 : 배변처리부
41 : 배변처리함 41 : 수거봉투 안치홈
42 : 수거봉투 고정구
1: companion toilet
10: outer body
11: bottom plate 12: side wall
13: side plate 14: bowel outlet
15: guide plate 16: defecation treatment insertion part
17: guide member 18: collection plate insertion portion
19: sand collecting plate 111: storage space
151: Bowel movement passage 152:
20: inner body
21: lower frame 22: upper cover
213: first incision groove 223: second incision groove
214: support wall
30: refusal of bowel movements
31: Collection body 32:
311: collection plate 312: shaft
321: first guide groove
40:
41: defecated 41: collection bag
42: collection bag fastener

Claims (5)

종단면의 형상이 호(弧)형으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바닥판(11)과,
상기 바닥판(11)의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한 쌍의 측벽(12)과,
상기 바닥판(11)의 전후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상기 바닥판(11)의 종단면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절개된 개구부(131)가 구비되어 상기 바닥판(11)과 상기 측벽(12)과의 사이에 수납공간(111)을 형성하는 한 쌍의 측판(13)과,
상기 바닥판(11)의 일측에 관통 형성된 배변배출구(14)와,
상기 측벽(12) 중 어느 일측의 측벽(12)과 상기 바닥판(11)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배변배출구(14)와 연통되어 배설물(W)이 이동하는 배변이동통로(151)를 형성하는 안내판(15)과,
상기 배변이동통로(151)의 출구(152)와 연통된 배변처리함삽입부(16)와,
상기 측판(13) 중 어느 일측의 측판(13)의 전방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의 출입을 안내하는 안내구(17)와,
상기 안내구(17)에 출입 가능하게 결합하는 모래수집판(1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외측몸체(10);와,
상기 외측몸체(10)의 수납공간(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며 반려동물이 배변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내측몸체(20);와,
다수개의 봉이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수거판(311)과,
상기 수거판(311)의 일측에 고정되며 원형의 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축봉(312)을 포함한 수거체(31)와,
상기 내측몸체(20)에 형성된 제1안내홈(321)을 포함한 안내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변수거부(30); 및
상기 외측몸체(10)의 일측에 서랍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변처리함(41)과,
상기 배변처리함(41)의 상면에 형성되어 배설물(W)을 담는 수거봉투(B)가 안치되는 수거봉투 안치홈(42)이 구비된 배변처리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거체(31)에는,
상방으로 선회 후 하방으로 복귀를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축봉(312)에 결합된 복귀용중량체(314)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화장실.
A bottom plate 11 having a shape of a vertical cross section formed in an arc shape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air of side walls 12 provid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ttom plate 11,
Openings 131 are provided at both front and rear sides of the bottom plate 11 and are cut out in the same shape as the vertical plane of the bottom plate 11 to define a gap between the bottom plate 11 and the side wall 12 A pair of side plates 13 forming a storage space 111 between the side plates 13,
A defecation outlet 14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plate 11,
A guide plate disposed between one of the side walls 12 of the side wall 12 and the bottom plate 11 and communicating with the bowel outlet 14 to form a bowel movement passage 151 through which the bowel movement W moves, (15)
A defecation cage insertion portion 16 communicating with the outlet 152 of the defecation shifting passage 151,
A guide hole 17 disposed in front of the side plate 13 on one side of the side plate 13 to guide the entry and exit of the companion animal,
An outer body 10 including a sand collecting plate 19 that is coupled to the guide hole 17 so as to be able to move in and out,
An inner body 20 detachably coupled to the storage space 111 of the outer body 10 to form a space for the companion animal to defecate,
A collection plate 311 having a plurality of rod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 collection body 31 fixed to one side of the collection plate 311 and having a circular rod shape and including a shaft rod 312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30) including a guide part (32) including a first guide groove (321) formed in the inner body (20); And
A defecation processing box 41 detach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outer body 10 in a drawer manner,
And a defecation processing unit (4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fecation processing chamber (41) and provided with a collection bag placement groove (42) in which a collection bag (B)
In the collection body 31,
Further comprising a returning weight (314) coupled to the shaft rod (312) to facilitate returning downward after turning to the upper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몸체(20)는,
상기 외측몸체(10)의 바닥판(11)의 종단면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외측몸체(10)의 수납공간(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반려동물이 배변할 수 있는 제1배변공간(211)과,
반려동물이 출입할 수 있는 제1반려동물출입구(212)와,
상기 외측몸체(10)에 형성된 배변배출구(14)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절개홈(213)과,
제1반려동물출입구(212)의 반대 방향에 형성되며 상기 제1안내홈(321)이 형성된 지지벽체(214)를 포함한 하부프레임(21);과,
상기 외측몸체(10)의 바닥판(11)의 종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단이 폐쇄되고 하단이 개구된 반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하부프레임(21)의 상부에 배치되며,
반려동물이 배변할 수 있는 제2배변공간(221)과,
반려동물이 출입할 수 있는 제2반려동물출입구(222)와,
상기 외측몸체(10)에 형성된 배변배출구(14)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절개홈(223)을 포함한 상부커버(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화장실.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nner body (20)
An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ongitudinal section of the bottom plate 11 of the outer body 10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space 111 of the outer body 10,
A first defecation space 211 in which the companion animal can defecate,
A first companion animal entrance 212 through which a companion animal can enter,
A first incision groove (213)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a bowel outlet (14) formed in the outer body (10)
A lower frame 21 form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companion animal entrance 212 and including a supporting wall 214 formed with the first guide groove 321,
A semi-circular shape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a longitudinal shape of the bottom plate 11 of the outer body 10 and having an upper end closed and a lower end opened and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frame 21,
A second void space 221 in which the companion animal can defecate,
A second companion animal entrance 222 through which the companion animal can enter,
And an upper cover (22) including a second incision groove (223)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osition of a bowel outlet (14) formed in the outer body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15)은,
상기 배변이동통로(151)의 출구(152)측에 상기 배변처리함(41)의 일측단부가 삽입되는 끼움홈(153)이 더 형성되어 상기 배변처리함(41)에 형성된 수거봉투 안치홈(42)이 상기 출구(152)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화장실.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ide plate (15)
A fitting groove 153 into which the one end of the defecation processing chamber 41 is inserted is further formed at the outlet 152 side of the defecation moving passage 151 so that the collection bag built- 42) is positioned directly below the outlet (152).
삭제delet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처리함(41)에는,
수거봉투(B)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외주면 중 마주보는 한 쌍의 외주면에 상호 대칭되게 형성된 한 쌍의 수거봉투 고정구(4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용 화장실.
4. The apparatus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defecation processing box (41)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collection bag fasteners (43) symmetrically formed on a pair of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o fix the position of the collection bag (B).
KR2020170003068U 2017-06-15 2017-06-15 Toilet for Companion animal KR20048463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068U KR200484639Y1 (en) 2017-06-15 2017-06-15 Toilet for Companion anim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70003068U KR200484639Y1 (en) 2017-06-15 2017-06-15 Toilet for Companion anima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4639Y1 true KR200484639Y1 (en) 2017-10-10

Family

ID=60407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70003068U KR200484639Y1 (en) 2017-06-15 2017-06-15 Toilet for Companion anim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639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122B1 (en) * 2019-12-05 2020-04-21 이형수 Defecation device for pets
CN112189569A (en) * 2020-08-20 2021-01-08 深圳市小萌宠物科技有限公司 Multifunctional upper cover for intelligent pet toilet
US11457604B1 (en) * 2021-09-18 2022-10-04 Perky Creations (Shenzhen) Technology Co., Ltd. Animal waste handling device and method
KR20220163216A (en) * 2021-06-02 2022-12-09 김성훈 pet house that can be cleane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7379A1 (en) * 2009-11-10 2011-05-19 Design Group Canuk Cat litter box with 3-fold rotational symmetrical cleaning mechanism
KR101353093B1 (en) 2013-06-19 2014-01-23 박문수 A toilet for a pet with automatic removing excretion
KR20140138532A (en) * 2013-05-24 2014-12-04 김순자 Toilet for cats
JP2015519888A (en) * 2012-04-26 2015-07-16 シャミール グローバル リミテッドShamir Global Ltd. Animal toilet box
KR20160148420A (en) * 2015-06-16 2016-12-26 엄준호 Toilet for pet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7379A1 (en) * 2009-11-10 2011-05-19 Design Group Canuk Cat litter box with 3-fold rotational symmetrical cleaning mechanism
JP2015519888A (en) * 2012-04-26 2015-07-16 シャミール グローバル リミテッドShamir Global Ltd. Animal toilet box
KR20140138532A (en) * 2013-05-24 2014-12-04 김순자 Toilet for cats
KR101353093B1 (en) 2013-06-19 2014-01-23 박문수 A toilet for a pet with automatic removing excretion
KR20160148420A (en) * 2015-06-16 2016-12-26 엄준호 Toilet for pet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3122B1 (en) * 2019-12-05 2020-04-21 이형수 Defecation device for pets
CN112189569A (en) * 2020-08-20 2021-01-08 深圳市小萌宠物科技有限公司 Multifunctional upper cover for intelligent pet toilet
KR20220163216A (en) * 2021-06-02 2022-12-09 김성훈 pet house that can be cleaned
KR102629062B1 (en) 2021-06-02 2024-01-23 김성훈 pet house that can be cleaned
US11457604B1 (en) * 2021-09-18 2022-10-04 Perky Creations (Shenzhen) Technology Co., Ltd. Animal waste handling device and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4639Y1 (en) Toilet for Companion animal
KR101090604B1 (en) Toilet for pet
KR102004482B1 (en) A device that automatically cleans cat excretion
US7584717B2 (en) Portable toilet
KR101903674B1 (en) Excretion cleaner for pet
KR100770600B1 (en) Cage for monkey
KR20060136312A (en) Toilet for pet
KR101961381B1 (en) A device that automatically cleans cat excretion
US10398124B2 (en) Cat litter process
KR101584610B1 (en) Defecation plate for animal companion with pee container
KR102103122B1 (en) Defecation device for pets
KR20190018859A (en) Bowel Movement Device For a Pet
JP2006204230A (en) Toilet for pet
KR101903677B1 (en) Excretion cleaner for pet
US6354243B1 (en) Animal litter container
US3688741A (en) Portable animal toilet
US10849309B2 (en) Combined pet litter box and cleaning sieve
CN203120660U (en) Hog house with toilets
KR20170060295A (en) Defecation training and disposal apparatus for companion animal
KR102349801B1 (en) Indoor Pet Potty Tray
KR200406289Y1 (en) Cage for dog
KR100576603B1 (en) foraging and evacuation gathering of pet
KR102308187B1 (en) Poop disposal apparatus for pets
KR20050103112A (en) Pet feeding and feces collection device
KR20230082763A (en) cat toi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