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856Y1 - 콘센트장치 - Google Patents

콘센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856Y1
KR200483856Y1 KR2020160005541U KR20160005541U KR200483856Y1 KR 200483856 Y1 KR200483856 Y1 KR 200483856Y1 KR 2020160005541 U KR2020160005541 U KR 2020160005541U KR 20160005541 U KR20160005541 U KR 20160005541U KR 200483856 Y1 KR200483856 Y1 KR 2004838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plug
base module
terminal insert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55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3452U (ko
Inventor
이현민
Original Assignee
이현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민 filed Critical 이현민
Priority to KR20201600055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856Y1/ko
Publication of KR201600034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34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8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8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49Junction box with busbar for plug-socket type interconnection with receptacl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기제품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센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플러그의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접속단자삽입홀이 상면에 형성되는 베이스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모듈은 상기 접속단자삽입홀을 향해 하방경사를 갖도록 상면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접속단자유도홀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콘센트장치{SOCKET APPARATUS}
본 고안은 콘센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제품 플러그의 삽입 위치를 유도할 수 있는 콘센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상적으로 늘 사용되는 다양한 전기기기들은 플러그를 통해 전기를 공급받아서 작동하며, 이러한 플러그는 전기공급을 위한 콘센트장치와 연결되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장치를 가장 흔하게 볼 수 있으며, 흔히, 필요한 위치까지 콘센트장치를 연장하거나, 보다 많은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콘센트장치가 포함된 멀티탭과 같은 장치를 연결하기도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콘센트장치(10)는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어 있는데, 벽면에 설치되는 콘센트장치 및 다양한 멀티탭의 종류마다 하나의 콘센트장치에 형성된 접속단자 삽입홀의 배치가 제각각 다른 형태로 구성된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콘센트장치에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해서 각각의 콘센트장치에 형성된 삽입홀의 배치를 확인해야 하는데, 콘센트장치가 가구의 뒤쪽에 배치되어 있거나 어두운 장소에 있는 경우, 육안으로 확인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고 손을 더듬어 콘센트장치의 위치 및 삽입홀의 배치를 확인하는 경우, 사용자가 감전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감에 의존하여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해, 사용자의 노력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85381호, 2000년03월31일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배경기술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제품 플러그의 삽입 위치를 유도할 수 있는 콘센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는 전기제품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센트장치로서, 상기 플러그의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접속단자삽입홀이 상면에 형성되는 베이스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모듈은, 상기 접속단자삽입홀을 향해 하방경사를 갖도록 상면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접속단자유도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모듈은 상기 베이스모듈의 상면에서 상기 접속단자삽입홀을 모두 연결하는 가상의 원형에 해당하는 회전유도영역에 상기 접속단자삽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단자유도홈은 상기 회전유도영역 상에서 인접한 두 접속단자 삽입홀 중 일측의 접속단자삽입홀로부터 타측의 접속단자삽입홀까지 일방향의 하방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단자유도홈은 상기 회전유도영역 상에서 인접한 두 접속단자삽입홀 사이의 중앙부로부터 양측의 접속단자삽입홀까지 양방향의 하방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는 상기 베이스모듈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모듈이 상기 접속단자삽입홀을 모두 연결하는 가상의 원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베이스모듈과 결합하는 하우징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우징모듈은 상기 베이스모듈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까지 상기 베이스모듈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에 의하면 전기제품 플러그의 삽입 위치를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콘센트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전방/후방 또는 상측/하측과 같이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당업자가 본 고안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재된 것들로서, 상대적인 방향을 지시하는 것이므로,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않는다고 할 것이다.
<제1 실시예 >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의 제1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의 제1 실시예는 전기제품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센트 장치로,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의 본체가 되는 베이스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모듈(100)은 상면에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접속단자삽입홀(11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모듈(100)의 내부에는 접속단자삽입홀(110)을 통해 삽입되는 플러그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모듈(100)에는 접속단자삽입홀(110)을 향해 하방경사를 갖도록 베이스모듈(100)의 상면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접속단자유도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접속단자유도홈(120)은 플러그의 접속단자를 접속단자삽입홀(110)까지 유도할 수 있는 구성으로,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접속단자유도홈(12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플러그 접속단자의 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단자삽입홀(110)을 연결하는 원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모듈(100)의 상면에서 접속단자삽입홀(110)의 폭으로 접속단자삽입홀(110)을 모두 연결하는 가상의 원형을 설정하고, 그 영역을 회전유도영역이라고 할 때, 접속단자유도홈(120)은 회전유도영역이 일부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형성된 접속단자유도홈(120)은 전술한 회전유도영역 상에서, 인접한 두 접속단자삽입홀(110) 중 일측의 접속단자삽입홀(110)로부터 타측의 접속단자삽입홀(110)까지 일방향의 하방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접속단자삽입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각 접속단자삽입홀(110)을 향해 하방경사를 갖는 형태로 접속단자유도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사용자가 콘센트에 형성되어 있는 접속단자삽입홀(110)의 배치 위치를 정확히 모르는 상태에서도, 플러그를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의 접속단자유도홈(120)에 삽입하고, 플러그를 회전시켜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접속단자유도홈(120)을 따라 접속단자삽입홀(110)까지 도달하게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센트장치가 가구의 뒤쪽에 배치되는 경우, 또는 어두운 장소에서 콘센트장치에 플러그를 꼽을 때, 콘센트장치의 접속단자삽입홀(110)의 배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손으로 더듬으며 플러그 삽입위치를 찾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도 크게 낮출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220V의 플러그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로 한 쌍의 원형 접속단자삽입홀(110)이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형태 및 개수의 플러그 접속단자에 적용되는 등, 베이스모듈(100) 및 접속단자삽입홀(110)의 형태 및 배치는 본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
이어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의 제2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의 제2 실시예는 전기제품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센트 장치로,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의 본체가 되는 베이스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모듈(100) 및 접속단자삽입홀(110)의 구성은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접속단자유도홈(120)의 구성도 베이스모듈(100)의 상면 일부가 접속단자삽입홀(110)을 향해 하방경사를 갖도록 함몰되어 형성되고, 접속단자삽입홀(110)을 모두 연결하는 회전유도영역 일부가 함몰되는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접속단자유도홈(120)은 전술한 회전유도영역 상에서, 인접한 두 접속단자삽입홀(110) 사이의 중앙부로부터 양측의 접속단자삽입홀(110)까지 양방향의 하방경사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각 접속단자삽입홀(110)의 양측이 모두 경사지는 형태로 접속단자유도홈(120)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에 플러그를 연결할 때, 플러그를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의 접속단자유도홈(120)에 삽입하고, 최대 180도까지 플러그를 회전시킬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최대 90도 이내에서 회전하여 플러그의 접속단자를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의 접속단자삽입홀(110)에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플러그를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에 연결할 수 있으며, 플러그 삽입위치를 찾는 시간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예 >
이어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의 제3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의 제2 실시예는 전기제품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센트 장치로,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의 본체가 되는 베이스모듈(1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모듈(100), 접속단자삽입홀(110) 및 접속단자유도홈(120)의 구성은 전술한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는 베이스모듈(100)을 감싸도록 구성되는 하우징모듈(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모듈(200)은 베이스모듈(1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면서 베이스모듈(100)과 결합할 수 있으며, 이때 베이스모듈(100)이 전술한 회전유도영역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우징모듈(200)과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에 플러그가 연결되었을 때, 베이스모듈(100)이 회전하는 동안, 베이스모듈(100)의 내부에서 플러그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의 연결이 끊어지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모듈(100) 내부의 단자는 각 접속단자삽입홀(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고, 베이스모듈(100)의 회전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베이스모듈(100) 내부의 단자에 연결된 전선이 꼬일 수 있으므로 베이스모듈(100)의 회전반경을 제한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또는, 베이스모듈(100)에 삽입된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회전하는 궤도에 걸쳐서 단자가 구비되되, 복수개의 접속단자가 하나의 단자와 연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스모듈(100)의 내부에 접속단자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나눠진 형태로 단자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는, 복수개의 플러그 접속단자가 하나의 원 상에 구비되고, 각각의 접속단자는 상호 동일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베이스모듈(100)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에 플러그를 삽입하고자 할 때, 플러그를 콘센트장치의 위치에 맞춰놓고 삽입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플러그의 접속단자가 접속단자유도홈(120) 내부로 삽입되고, 플러그가 삽입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에 의해 접속단자유도홈(120)의 경사를 따라 베이스모듈(100)이 회전하면서 접속단자삽입홀(110)이 플러그의 접속단자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콘센트장치의 접속단자삽입홀(110) 배치를 신경 쓰지 않고 콘센트장치에 플러그를 삽입할 수 있어, 사용자의 노력 및 시간을 보다 더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하우징모듈(200)은 베이스모듈(100)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까지 베이스모듈(100)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에 플러그를 삽입하기 위하여 플러그를 콘센트장치에 접근시킬 때, 접속단자삽입홀(110)의 배치를 신경 쓰지 않아도 되지만, 접속단자유도홈(120)과 접속단자의 배치를 맞추기 위해서 콘센트장치의 위치를 파악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하우징모듈(200)이 베이스모듈(100)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까지 형성되면 플러그를 삽입하는 위치를 가이드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보다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의 제1 실시예에 하우징모듈(200)이 포함된 경우를 설명하고 있지만, 전술한 제2 실시예에 하우징모듈(200)이 포함되는 구성이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접속단자삽입홀(110)을 향해 하방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콘센트장치가 회전가능 하도록 결합되는 하우징(200)모듈에 대한 권리범위는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전술한 모든 구성에 의한 본 고안에 따른 콘센트장치는 전기제품 플러그의 삽입 위치를 유도할 수 있어, 시각적으로 확인이 어려운 상태의 콘센트장치에 플러그를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플러그를 콘센트장치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으며, 플러그를 삽입하는데 소요되는 사용자의 시간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베이스모듈
110 : 접속단자삽입홀 120 : 접속단자유도홈
200 : 하우징모듈

Claims (3)

  1. 전기제품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플러그의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센트장치로서,
    상기 플러그의 상기 접속단자가 삽입되는 접속단자삽입홀이 상면에 형성되고, 상면에서 상기 접속단자삽입홀을 모두 연결하는 가상의 원형에 해당하는 회전유도영역에 상기 접속단자삽입홀을 향해 하방경사를 갖도록 접속단자유도홈이 형성되는 베이스모듈; 및
    상기 베이스모듈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까지 상기 베이스모듈의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모듈이 상기 접속단자 삽입홀을 모두 연결하는 가상의 원형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베이스모듈과 결합하는 하우징모듈;
    을 포함하여,
    상기 플러그를 상기 콘센트장치의 위치에 맞춰, 삽입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상기 플러그의 상기 접속단자가 이동하는 힘에 의해 항시 접속단자유도홈의 경사를 따라 상기 베이스모듈이 회전하면서 상기 접속단자삽입홀이 상기 접속단자의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접속단자유도홈은,
    상기 회전유도영역 상에서 인접한 두 접속단자삽입홀 사이의 중앙부로부터 양측의 접속단자삽입홀까지 양방향의 하방경사를 갖도록 형성되는 콘센트장치.
  2. 삭제
  3. 삭제
KR2020160005541U 2016-09-23 2016-09-23 콘센트장치 KR2004838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541U KR200483856Y1 (ko) 2016-09-23 2016-09-23 콘센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5541U KR200483856Y1 (ko) 2016-09-23 2016-09-23 콘센트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7242A Division KR20160063683A (ko) 2014-11-27 2014-11-27 콘센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52U KR20160003452U (ko) 2016-10-07
KR200483856Y1 true KR200483856Y1 (ko) 2017-07-04

Family

ID=57139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5541U KR200483856Y1 (ko) 2016-09-23 2016-09-23 콘센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85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0854B1 (ko) * 2021-11-25 2022-04-26 조창호 회전형 안전 콘센트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300Y1 (ko) * 1991-03-12 1993-07-10 김경호 콘센트 안전장치
KR20000016261U (ko) * 1999-01-28 2000-08-25 정용석 삽입이 용이한 전원 콘센트
KR200185381Y1 (ko) 1999-12-30 2000-06-15 이성두 플러그 회전 접속형 콘센트
KR20020091971A (ko) * 2001-06-01 2002-12-11 봉오전자공업 주식회사 콘센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3452U (ko) 2016-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53258B2 (ja) 双方向エレクトリックコネクトソケット及び双方向エレクトリックコネクトプラグ
US8734168B2 (en) Safety plug adapter
CN109565129A (zh) 电力连接器***
US9276366B1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US8052441B2 (en) Plug module
EP2587597A1 (en) Socket and power adapter employing same
US6227883B1 (en) Electric combination socket
CN103682749A (zh) 插头插座
US20150038019A1 (en) Triple extension adaptor
CN104993267A (zh) 一种伸缩插片式移动插座
CN106410537A (zh) 用于在开关柜内部进行安装的电气设备
KR200483856Y1 (ko) 콘센트장치
KR20080058567A (ko) 가변형 멀티콘센트
KR102642307B1 (ko) 어댑터
KR101411288B1 (ko) 전기플러그
EP3203593B1 (en) Adapter
US20090081895A1 (en) Universal adapter
CN205790546U (zh) 一种电源耦合器
KR20160063683A (ko) 콘센트장치
KR20080004818U (ko) 다방향의 플러그 삽입이 가능한 콘센트
JP3197970U (ja) モバイルデバイスを充電できるテーブルタップ
JP3196443U (ja) 電源アダプターの構造
CN202068019U (zh) 多功能隐形电源插座
CN106450899A (zh) 一种多控结构的安全插座
US20200366036A1 (en) Wall retractable char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