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3266Y1 - 싱크대 배수구커버 - Google Patents

싱크대 배수구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3266Y1
KR200483266Y1 KR2020150005521U KR20150005521U KR200483266Y1 KR 200483266 Y1 KR200483266 Y1 KR 200483266Y1 KR 2020150005521 U KR2020150005521 U KR 2020150005521U KR 20150005521 U KR20150005521 U KR 20150005521U KR 200483266 Y1 KR200483266 Y1 KR 2004832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lid
hole
discharge
s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55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0741U (ko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이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호 filed Critical 이영호
Priority to KR20201500055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3266Y1/ko
Publication of KR201700007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07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32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32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2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combined with outlet stop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6Installations for disinfecting or deodorising waste-water plumbing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싱크대 세정을 위한 약품이 수용된 채 배수구 입구에 설치되어 싱크대의 악취와 세균을 억제하는 싱크대 배수구 커버에 관한 것으로,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설치되는 배수구 커버에 있어서, 배수구 입구를 덮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약품이 수용된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외부 하측에 환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배수공이 관통 형성된 거치부; 복수 개의 지점에서 상기 덮개부와 거치부를 연결하되, 상기 덮개부로부터 유출된 약품용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배출부; 상기 덮개부와 배출부를 덮도록 결합되고,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다수의 유입홀들이 관통 형성된 뚜껑부; 및 상기 유입홀을 개폐시키는 마개부;를 포함하는 싱크대 배수구 커버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마개부를 구비하여 뚜껑부 위에 뚫려 있는 유입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배수구와 배수관을 통해 역류되는 악취나 세균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내부에 부직포를 구비하여 약품용액이 스며들면서 배출부를 통해 원활히 배수가 이루어지며, 덮개부의 하부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여 내부에 수용된 약품만을 간단히 교체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싱크대 배수구커버 {SINK DRAINS COVER}
본 고안은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설치되는 배수구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싱크대 세정을 위한 약품이 수용된 채 배수구 입구에 설치되어 싱크대의 악취와 세균을 억제하는 싱크대 배수구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는 조리할 음식 재료를 씻거나 다듬고, 조리 후에 남은 음식 찌거기를 처리하거나 음식 찌거기가 묻은 그릇 등을 씻어서 설겆이를 할 수 있도록 만든 부엌의 공간을 말한다.
이러한 싱크대는 배수구 및 배수관을 통하여 외부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싱크대로부터 배출되는 각종 생활하수는 배수구 및 배수관을 거쳐서 외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즉, 도 1을 참조하여 싱크대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싱크대(1)의 하단으로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2)가 연결되고, 상기 배수구(2)는 외부와 연결된 배수관(3)과 결합되어 싱크대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싱크대(1)로부터 배출되어 배수구(2)와 배수관(3) 내부를 흐르는 물은 중력에 의해 자연히 아래로 흘러 외부로 배출되므로, 싱크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아 관의 내부는 비어 있게 되기 때문에 하수관의 악취가 역류되어 관의 내부를 따라서 실내로 들어오게 된다.
또한, 싱크대와 연결된 배수구와 배수관에 틈새가 발생하여 이러한 틈새를 통해서도 악취가 역류되어 실내로 유입될 수 있다.
종래에 배수구와 배수관의 틈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틈새를 테잎으로 감거나, 천 등으로 메워서 해결하였으나, 배수구와 배수관의 내부를 통하여 역류되는 악취는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는 배스트랩 내부에 일정 시간마다 청결한 물을 자동으로 보충시켜 주어 내부에 고여있는 물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억제하는 옥내용 배수트랩의 자동급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악취의 제거 효율이 낮은데다가, 배수트랩의 내부와 거름망체가 오수에 의해 항상 젖은 습한 상태로 유지되고 빛이 잘 들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각종 세균들이 서식하기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고, 이로 인하여 싱크대에서 조리할 음식 재료를 준비하거나 식기를 설거지하는 과정에서 음식 재료나 식기가 세균에 오염되어 쉽게 질병에 걸릴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물을 사용하여 세척하기 때문에 세균이 잘 억제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구성이 복잡하여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기술로 특허문헌 2에는 고형의 약품이 들어 있는 트랩과, 이것을 싱크대 배수구에 설치되어 있는 음식물 찌꺼기 수집망에 걸 수 있도록 하는 끈 및 훅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싱크대 배수구 청소재에 있어서, 훅의 한쪽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플라스틱끈을 일체로 형성하는 동시에 플라스틱끈의 선단에는 화살촉 고리를 형성하고, 화살촉 고리를 이용하여 트랩의 고리에 원터치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싱크대 배수구 청소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상부에 구멍이 뚫려 있어 배수구의 악취가 올라올 수 있고, 물의 배수가 용이하지 않으며, 내부에 수용된 약품의 교체가 불편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39901호(2006.11.01. 공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6890호(2001.06.15. 공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들을 모두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내부에 싱크대 세정을 위한 약품이 구비된 배수구 커버를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설치하여, 물이 유입될 때마다 약품이 용해되어 배수구와 배수관이 수시로 세정 및 살균되므로, 배수관 내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거나 구조를 변경하지 않아도 배수구와 배수관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악취와 세균이 제거되고, 약품용액이 사방으로 고르게 배출되어 배수구와 배수관의 내부 전체를 세정 및 살균할 수 있기 때문에 제거 효율이 높은 싱크대 배수구 커버의 제공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마개부를 구비하여 뚜껑부 위에 뚫려 있는 유입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배수구와 배수관을 통해 역류되는 악취나 세균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내부에 부직포를 구비하여 약품용액이 스며들면서 배출부를 통해 원활히 배수가 이루어지며, 덮개부의 하부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여 내부에 수용된 약품만을 간단히 교체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것에도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설치되는 배수구 커버에 있어서, 배수구 입구를 덮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약품이 수용된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외부 하측에 환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배수공이 관통 형성된 거치부; 복수 개의 지점에서 상기 덮개부와 거치부를 연결하되, 상기 덮개부로부터 유출된 약품용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배출부; 상기 덮개부와 배출부를 덮도록 결합되고,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다수의 유입홀들이 관통 형성된 뚜껑부; 및 상기 유입홀을 개폐시키는 마개부;를 포함하는 싱크대 배수구 커버를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은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설치되는 배수구 커버에 있어서, 배수구 입구를 덮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약품이 수용된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약품용액이 유출되고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된 복수 개의 유출판과, 상기 복수 개의 유출판의 선단을 연결하여 환상으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의 배출홀이 형성되어 상기 약품용액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로를 포함하는 배출부; 상기 덮개부와 배출부 상에 결합되고,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복수 개의 유입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의 외측에 복수 개의 배수공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뚜껑부; 및 상기 유입홀을 개폐시키는 마개부;를 포함하는 싱크대 배수구 커버를 제공한다.
게다가, 상기 뚜껑부는 상기 유입홀들이 복수 개의 지점에 형성되고, 상기 마개부는, 상기 유입홀들을 덮도록 날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면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덮개부는, 내부의 중앙판 위에 싱크대 세정을 위한 약품이 수용되고 상기 약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이 구비된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약품이 용해된 약품용액이 흐르도록 구비된 환상의 유로와, 상기 유로 상에 형성된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이때, 상기 유로 및 부직포는 서로 연통된 바닥공이 관통 형성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더불어, 상기 중앙판은 하측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약품 교체가 용이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나아가, 상기 거치부는, 상기 덮개부의 외부 하측에 환상으로 형성되되, 끝단이 배수구 입구의 가장자리에 거치되는 거치판과, 상기 거치판의 내측에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과 상기 덮개부 사이에 형성된 배수공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유로로부터 약품용액이 유출되고 유출로가 구획 형성된 복수 개의 유출판과, 상기 유출판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약품용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공을 포함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아울러, 상기 뚜껑부는 일측면에 끼움돌기나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의 일측면에 대응 형성된 끼움홈이나 끼움돌기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내부에 싱크대 세정을 위한 약품이 구비된 배수구 커버를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설치하여, 물이 유입될 때마다 약품이 용해되어 배수구와 배수관이 수시로 세정 및 살균되므로, 배수관 내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거나 구조를 변경하지 않아도 배수구와 배수관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악취와 세균이 제거되고, 약품용액이 사방으로 고르게 배출되어 배수구와 배수관의 내부 전체를 세정 및 살균할 수 있기 때문에 제거 효율이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마개부를 구비하여 뚜껑부 위에 뚫려 있는 유입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배수구와 배수관을 통해 역류되는 악취나 세균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배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방지할 수 있고, 내부에 부직포를 구비하여 약품용액이 스며들면서 배출부를 통해 원활히 배수가 이루어지며, 덮개부의 하부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여 내부에 수용된 약품만을 간단히 교체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저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고, 설치 및 사용이 쉽고 편리한 효과도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싱크대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 커버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 커버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 커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 커버의 마개부를 포함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 커버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 커버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 커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 커버의 마개부를 포함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 커버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구성에 대하여 실시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고안은 내부에 싱크대 세정을 위한 약품(C)을 수용하여 배수구 입구(I)에 설치하여 싱크대(S)의 악취와 세균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싱크대 배수구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 커버(100)는 덮개부(110), 거치부(120), 배출부(130), 뚜껑부(140) 및 마개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부(110)는 싱크대(S)의 배수구 입구(I) 상에 덮어져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의 중앙판(110a) 위에 수용공간(111)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111)의 내부에 싱크대의 세정을 위한 약품(C)이 수용되며, 상기 수용공간(111)의 가장자리에는 일정한 간격을 갖고 복수 개의 고정편(112)이 상측으로 결합 설치되어 상기 약품(C)이 상기 수용공간(111)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중앙판(110a)은 바닥면 하측으로 다소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측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바, 예컨대 상기 중앙판은 상기 덮개부(110)와 나사 결합되어 하측에서 돌출된 상기 중앙판(110a)을 회전시켜 분리가 용이하게 구비될 수 있고, 이로써, 내부에 수용된 약품만을 간단히 교체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약품(C)은 배수구와 배수관을 통해 역류되는 악취뿐만 아니라 세균을 함께 제거할 수 있는 살균 효과가 있는 것을 사용하며, 상기 수용공간(111)의 크기에 맞게 고정될 수 있는 형상으로 제조하여 사용한다.
상기 수용공간(111)의 외측에는 환상의 형태를 갖는 유로(113)가 형성되어, 유입된 물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111)에 수용된 약품(C)이 용해되고, 상기 약품(C)이 용해된 약품용액은 복수 개의 상기 고정편(112)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유로(113)로 유입되며, 유입된 약품용액은 환상의 유로(113)의 공간을 따라 흐르다가 하측의 상기 배출부(130)로 자연스럽게 유출된다.
이때, 상기 유로(113) 상에 부직포(114)가 형성되어 물에 의해 용해된 약품용액이 상기 부직포(114)에 스며들면서 상기 배출부(130)를 통해 원활히 배수가 이루어지고, 상기 유로(113) 및 부직포(114)는 서로 연통된 바닥공(115)이 관통 형성되어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거치부(120)는 상기 덮개부(110)의 외부 하측에 환상으로 형성되어 배수구 입구(I)에 거치되는 것으로, 상기 거치부(120)의 외곽에 형성된 거치판(121)의 끝단이 배수구 입구(I)의 가장자리에 거치되고, 상기 거치판(121)의 내측에 경사판(122)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경사판(122)과 덮개부(110)의 사이에 배수공(123)이 관통 형성되어, 상기 거치판(121)을 통해 배수구 입구(I)에 거치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덮개부(110)로 유입되지 못한 물이 상기 경사판(122)에 의해 하측으로 가이드되어 상기 배수공(123)을 통해 배수구로 배수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부(130)는 상기 유로(113)와 연통되도록 사기 유로(113)와 연결되어 상기 거치부(120) 상에 형성된다.
상기 배출부(130)는 상기 유로(113)로부터 약품용액이 유출되어 흘러 나가는 유출판(131)과, 상기 유출판(131)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약품용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공(13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유출판(131)은 일정한 간격을 갖고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고, 3개 이상이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약품용액이 사방으로 고르게 배출되어 배수구와 배수관의 내부 전체를 세정 및 살균할 수 있기 때문에 제거 효율이 높다.
더불어, 상기 유출판(131)은 상부에 1개 이상의 구획돌기(131b)가 형성되어 복수 개의 유출로(131a)가 구획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로(113)로부터 유출되는 약품용액이 상기 복수 개의 유출로(131a)를 통하여 분지되어 흐르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유출로(131a)의 선단 마다 배출공(132)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 개의 유출로(131a)에 형성된 배출공(132) 중 일부는 다른 배출공(132)에 비하여 내측에 형성됨으로써, 배수구 입구(I)의 직경이 작아서 상기 유출로(131a)의 제일 선단에 형성된 배출공(132)이 배수구 입구(I)의 가장자리에 의해 막히더라도 그 내측에 형성된 다른 배출공(132)을 통해 약품용액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직경을 갖는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I)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뚜껑부(140)는 상기 덮개부(110)와 배출부(130) 상에 결합되어 역류되는 악취를 차단하는 뚜껑의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복수 개의 유입홀(141)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뚜껑부(140)는 상기 유입홀(141)들의 그룹들이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의 지점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유입홀(141)들 중 일부는 상기 수용공간(111)의 상측에 형성되고, 나머지는 상기 유로(113)의 상측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로(113)에서 유출되지 못하고 남아 있는 잔류 약품(C)까지 세척하여 약품용액과 함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뚜껑부(140)는 일측면에 끼움돌기(P)나 끼움홈(G)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130)의 일측면에 대응 형성된 끼움홈(G)이나 끼움돌기(P)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상기 마개부(150)는 상기 유입홀(14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것으로, 상기 유입홀(141)들을 덮도록 날개(151a)가 형성된 본체(151)와, 상기 본체(15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부면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152)과, 상기 본체(15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1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날개(151a)는 상기 유입홀(141)들의 그룹의 수에 따라 2개나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마개부(150)는 배수구와 배수관을 통해 역류되는 악취나 세균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6 내지 도 8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 커버(200)는 덮개부(210), 배출부(220), 뚜껑부(230) 및 마개부(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부(210)는 싱크대(S)의 배수구 입구(I) 상에 덮어져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 중앙에 수용공간(211)이 구비되고, 상기 수용공간(211)의 내부에 싱크대의 세정을 위한 약품(C)이 수용되며, 상기 수용공간(211)의 가장자리에는 일정한 간격을 갖고 복수 개의 고정편(212)이 상측으로 결합 설치되어 상기 약품(C)이 상기 수용공간(211)의 내부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중앙판(210a)은 바닥면 하측으로 다소 돌출되게 형성되고, 하측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바, 예컨대 상기 중앙판은 상기 덮개부(210)와 나사 결합되어 하측에서 돌출된 상기 중앙판(210a)을 회전시켜 분리가 용이하게 구비될 수 있고, 이로써, 내부에 수용된 약품만을 간단히 교체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상기 약품(C)은 배수구와 배수관을 통해 역류되는 악취뿐만 아니라 세균을 함께 제거할 수 있는 살균 효과가 있는 것을 사용하며, 상기 수용공간(211)의 크기에 맞게 고정될 수 있는 형상으로 제조하여 사용한다.
상기 수용공간(211)의 외측에는 환상의 형태를 갖는 유로(213)가 형성되어, 유입된 물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211)에 수용된 약품(C)이 용해되고, 상기 약품(C)이 용해된 약품용액은 복수 개의 상기 고정편(212)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유로(213)로 유입되며, 유입된 약품용액은 환상의 유로(113)의 공간을 따라 흐르다가 하측의 상기 배출부(220)로 자연스럽게 유출된다.
이때, 상기 유로(213) 상에 부직포(214)가 형성되어 물에 의해 용해된 약품용액이 상기 부직포(214)에 스며들면서 상기 배출부(220)를 통해 원활히 배수가 이루어지고, 상기 유로(213) 및 부직포(214)는 서로 연통된 바닥공(215)이 관통 형성되어 배수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출부(220)는 상기 유로(213)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유로(213)로부터 약품용액이 유출되고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된 복수 개의 유출판(221)과, 상기 복수 개의 유출판(221)의 선단을 연결하여 환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벽 또는 바닥면에 복수 개의 배출홀(222a)이 형성되어 상기 약품용액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로(222)를 구비한다.
더불어, 상기 유출판(221)은 상부에 1개 이상의 구획돌기(221b)가 형성되어 복수 개의 유출로(221a)가 구획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로(213)로부터 유출되는 약품용액이 상기 복수 개의 유출로(221a)를 통하여 분지되어 흐르게 된다.
이와 함께, 일부 유출로(221a)의 선단에는 배출공(221c)이 더 형성되고, 여기서, 상기 배출공(221c)은 상기 배출홀(222a)에 비하여 내측에 형성됨으로써, 배수구 입구(I)의 직경이 작아서 상기 배출로(222)에 형성된 배출홀(222a)이 배수구 입구(I)의 가장자리에 의해 막히더라도, 그 내측에 형성된 배출공(221c)을 통해 약품용액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직경을 갖는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I)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뚜껑부(230)는 상기 덮개부(210)와 배출부(220) 상에 결합되고,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복수 개의 유입홀(231)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231)의 외측에 복수 개의 배수공(232)이 서로 이격되어 관통 형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부(230)는 상기 유입홀(231)들의 그룹들이 서로 이격되어 복수 개의 지점에 형성된다.
상기 뚜껑부(230)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배출부(220)의 배출로(222)를 덮는 외연판(233)이 구비되고, 상기 외연판(233)의 내측에는 상기 배수공(232)을 향해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판(234)이 구비되며, 상기 유출판(221)을 덮는 복수 개의 연결판(235)이 연결 구비된다.
도 9a 및 도 9b를 참고하면, 상기 마개부(240)는 상기 유입홀(23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것으로, 상기 유입홀(231)들을 덮도록 날개(241a)가 형성된 본체(241)와, 상기 본체(241)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부면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242)과, 상기 본체(24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2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날개(241a)는 상기 유입홀(231)들의 그룹의 수에 따라 2개나 3개 또는 그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마개부(240)는 배수구와 배수관을 통해 역류되는 악취나 세균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국, 본 고안에 따른 싱크대 배수구 커버는 도 10과 같이 내부에 싱크대 세정을 위한 약품이 구비된 배수구 커버를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설치하여, 물이 유입될 때마다 약품이 용해되어 배수구와 배수관이 수시로 세정 및 살균되므로, 배수관 내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거나 구조를 변경하지 않아도 배수구와 배수관을 통하여 실내로 유입되는 악취와 세균이 제거되고, 약품용액이 사방으로 고르게 배출되어 배수구와 배수관의 내부 전체를 세정 및 살균할 수 있기 때문에 제거 효율이 높으며, 또한 마개부를 구비하여 뚜껑부 위에 뚫려 있는 유입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킴으로써 배수구와 배수관을 통해 역류되는 악취나 세균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배수구로부터 올라오는 악취를 방지할 수 있고, 내부에 부직포를 구비하여 약품용액이 스며들면서 배출부를 통해 원활히 배수가 이루어지며, 덮개부의 하부를 착탈 가능하게 구비하여 내부에 수용된 약품만을 간단히 교체하여 계속 사용할 수 있고, 구성이 간단하여 저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고, 설치 및 사용이 쉽고 편리한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상, 본 고안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 싱크대 2. 배수구 3. 배수관
100. 싱크대 배수구 커버 110. 덮개부
110a. 중앙판 111. 수용공간
112. 고정편 113. 유로
114. 부직포 115. 바닥공
120. 거치부 121. 거치판
122. 경사판 123. 배수공
130. 배출부 131. 유출판
131a. 유출로 131b. 구획돌기
132. 배출공 140. 뚜껑부
141. 유입홀 150. 마개부
151. 본체 151a. 날개
152. 회전축 153. 손잡이
200. 싱크대 배수구 커버 210. 덮개부
210a. 중앙판 211. 수용공간
212. 고정편 213. 유로
214. 부직포 215. 바닥공
220. 배출부 221. 유출판
221a. 유출로 221b. 구획돌기
221c. 배출공 222. 배출로
222a. 배출홀 230. 뚜껑부
231. 유입홀 232. 배수공
233. 외연판 234. 경사판
235. 연결판 240. 마개부
241. 본체 241a. 날개
242. 회전축 243. 손잡이
C. 약품 G. 끼움홈
I. 배수구 입구 P. 끼움돌기
S. 싱크대

Claims (9)

  1.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설치되는 배수구 커버에 있어서,
    배수구 입구를 덮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약품이 수용된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외부 하측에 환상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배수공이 관통 형성된 거치부; 복수 개의 지점에서 상기 덮개부와 거치부를 연결하되 상기 덮개부로부터 유출된 약품용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공이 형성된 배출부; 상기 덮개부와 배출부를 덮도록 결합되고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복수 개의 유입홀들이 복수 개의 지점에 관통 형성된 뚜껑부; 및 상기 유입홀들을 덮도록 날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상기 유입홀들을 개폐시키는 마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는, 바닥면 하측으로 다소 돌출되게 형성된 중앙판과, 상기 중앙판 위에 싱크대 세정을 위한 약품이 수용되고 상기 약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이 구비된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약품이 용해된 약품용액이 흐르도록 구비된 환상의 유로와, 상기 유로 상에 형성된 부직포와, 상기 유로 및 부직포에 서로 연통되어 관통 형성된 바닥공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판은 하측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약품 교체가 용이하고, 물에 의해 용해된 약품용액이 상기 부직포에 스며들면서 상기 배출부와 바닥공을 통하여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배수구 커버.
  2. 싱크대의 배수구 입구에 설치되는 배수구 커버에 있어서,
    배수구 입구를 덮도록 설치되고, 내부에 약품이 수용된 덮개부; 상기 덮개부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되어 약품용액이 유출되고 일정한 간격을 갖고 형성된 복수 개의 유출판과, 상기 복수 개의 유출판의 선단을 연결하여 환상으로 이루어지고 복수 개의 배출홀이 형성되어 상기 약품용액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는 배출로를 포함하는 배출부; 상기 덮개부와 배출부 상에 결합되고 상부에 물이 유입되는 복수 개의 유입홀들이 복수 개의 지점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의 외측에 복수 개의 배수공이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 뚜껑부; 및 상기 유입홀들을 덮도록 날개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면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과, 상기 본체의 상부에 돌출 형성된 손잡이를 포함하여 상기 유입홀들을 개폐시키는 마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는, 바닥면 하측으로 다소 돌출되게 형성된 중앙판과, 상기 중앙판 위에 싱크대 세정을 위한 약품이 수용되고 상기 약품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이 구비된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의 외측에 형성되고 상기 약품이 용해된 약품용액이 흐르도록 구비된 환상의 유로와, 상기 유로 상에 형성된 부직포와, 상기 유로 및 부직포에 서로 연통되어 관통 형성된 바닥공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판은 하측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약품 교체가 용이하고, 물에 의해 용해된 약품용액이 상기 부직포에 스며들면서 상기 배출부와 바닥공을 통하여 원활한 배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배수구 커버.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덮개부의 외부 하측에 환상으로 형성되되, 끝단이 배수구 입구의 가장자리에 거치되는 거치판과, 상기 거치판의 내측에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과 상기 덮개부 사이에 형성된 배수공을 포함하는 싱크대 배수구 커버.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유로로부터 약품용액이 유출되고 유출로가 구획 형성된 복수 개의 유출판과, 상기 유출판의 선단에 형성되어 상기 약품용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공을 포함하는 싱크대 배수구 커버.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는 일측면에 끼움돌기나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의 일측면에 대응 형성된 끼움홈이나 끼움돌기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 배수구 커버.
KR2020150005521U 2015-08-19 2015-08-19 싱크대 배수구커버 KR2004832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521U KR200483266Y1 (ko) 2015-08-19 2015-08-19 싱크대 배수구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5521U KR200483266Y1 (ko) 2015-08-19 2015-08-19 싱크대 배수구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741U KR20170000741U (ko) 2017-03-02
KR200483266Y1 true KR200483266Y1 (ko) 2017-04-20

Family

ID=58412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5521U KR200483266Y1 (ko) 2015-08-19 2015-08-19 싱크대 배수구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326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819B1 (ko) * 2017-04-26 2018-11-29 김용배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KR20190043187A (ko) 2017-10-17 2019-04-26 정명호 싱크대 자동개폐 배수통 커버
KR20210085656A (ko) 2019-12-31 2021-07-08 김영곤 원터치 배수구 마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427B1 (ko) * 2019-07-25 2020-03-17 최창수 다수개의 저수조를 포함하는 중수도설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934Y1 (ko) * 2000-10-26 2001-03-15 홍석기 식약품용기용 제습통
JP2002256605A (ja) * 2001-02-28 2002-09-11 Nippon Soda Co Ltd ぬめり取り器
KR200321139Y1 (ko) * 2003-04-25 2003-07-23 이주영 배수구 여과장치
KR200476742Y1 (ko) * 2013-11-19 2015-04-07 이영호 싱크대 배수구커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6890Y1 (ko) 2000-12-13 2001-06-15 주식회사엘지화학 싱크대 배수구 청소재
KR100639901B1 (ko) 2006-06-01 2006-11-01 주식회사 봉영 옥내용 배수트랩의 자동 급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16934Y1 (ko) * 2000-10-26 2001-03-15 홍석기 식약품용기용 제습통
JP2002256605A (ja) * 2001-02-28 2002-09-11 Nippon Soda Co Ltd ぬめり取り器
KR200321139Y1 (ko) * 2003-04-25 2003-07-23 이주영 배수구 여과장치
KR200476742Y1 (ko) * 2013-11-19 2015-04-07 이영호 싱크대 배수구커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3819B1 (ko) * 2017-04-26 2018-11-29 김용배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KR20190043187A (ko) 2017-10-17 2019-04-26 정명호 싱크대 자동개폐 배수통 커버
KR20210085656A (ko) 2019-12-31 2021-07-08 김영곤 원터치 배수구 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0741U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3266Y1 (ko) 싱크대 배수구커버
RU2596015C2 (ru) Вставка для сливного отверстия писсуара
KR20040006153A (ko) 식기세척기
KR200476742Y1 (ko) 싱크대 배수구커버
CN107249419B (zh) 洗涤电器的洗涤***
KR200489327Y1 (ko) 냄새차단 트랩
KR200473545Y1 (ko) 싱크대 세정이 용이한 배수구커버
KR100705299B1 (ko) 배수구용 배수전
KR20190000590U (ko) 2중 배수구가 구비된 배수 조립체
JP2007126895A (ja) シンクの排水口用蓋
KR20190043187A (ko) 싱크대 자동개폐 배수통 커버
KR101923819B1 (ko) 세정블록 소모량 조절이 가능한 싱크대용 이중 배수컵
KR20150138682A (ko) 세정액 분사 기능을 갖는 배수 마개
JP3967975B2 (ja)
KR101640596B1 (ko) 살균 소독제가 설치된 싱크볼용 배수커버
KR20130066716A (ko) 음식물찌거기 탈수기
JP2012237153A (ja) 排水トラップ
KR100779045B1 (ko) 세척수 분사구조를 갖는 배수트랩
JP5597845B2 (ja) サイフォン式トラップおよび家具
JP6514450B2 (ja) 排水口用ぬめり取り器
KR102688665B1 (ko) 거름장치가 구비된 세면대
JP6370764B2 (ja) 観賞用水槽の流路切替装置
CN212974694U (zh) 一种箱体下水管道的除臭结构
KR101368088B1 (ko) 화장실 좌변기 악취제거장치
KR102399847B1 (ko) 싱크대 설치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