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260Y1 -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 - Google Patents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260Y1
KR200482260Y1 KR2020150003278U KR20150003278U KR200482260Y1 KR 200482260 Y1 KR200482260 Y1 KR 200482260Y1 KR 2020150003278 U KR2020150003278 U KR 2020150003278U KR 20150003278 U KR20150003278 U KR 20150003278U KR 200482260 Y1 KR200482260 Y1 KR 2004822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g
medicine
medicament
selectivel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32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098U (ko
Inventor
김성민
박지민
임홍석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20150003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260Y1/ko
Publication of KR201600040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0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2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2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028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61M15/003Inhalators using prepacked dosages, one for each application, e.g. capsules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using capsules, e.g. to be perforated or broken-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1/00Sprayers or atomisers specially adapted for therapeutic purpo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를 사용하면, 사용자는 약제의 재투입 없이 첫 번째 약제를 호흡함과 동시에 두 번째 약물을 호흡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하나의 약제가 배출될 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CONTAINER FOR SELECTIVELY EXHAUSTING MEDICINE}
본 고안은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6세 미만 소아의 65.3 %가 호흡계통의 질병으로 의료기관을 이용한다. 하지만 소아의 경우 기관지가 약해 호흡계통 질병의 치료에 있어서, 부모와 의료진의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또한, 급성기관지염에 걸린 소아의 경우 의료진은 항생제 처방을 하지 않고, 네블라이저(Nebulizer)로 기도에 약물을 투입시키는 치료를 한다.
네블라이저 치료는 호흡기 질환(예로 호흡기 염증, 호흡기 관련 알러지 등)을 치료하기 위해 약제가 직접 콧속, 목구멍, 기관, 기관지에 닿게 하여 치료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네블라이저는 약제가 직접 호흡기에 닿게 하기 위해 약제를 에어로졸로 만드는 기구이다. 약제의 에어로졸은 지름 1 내지 3 마이크로미터의 크기의 입자이기 때문에 약제의 빠른 흡수를 도와주고, 환자의 고통 없이 치료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네블라이저 치료는 환자들이 30분 동안 2가지의 약물을 호흡해야 하기 때문에, 의료진이 첫 번째 약제 호흡이 끝나면 다시 두 번째 약물로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KR10-2011-0107328A (2011. 09. 30일 공개)
본 고안의 목적은 2 이상의 약제를 한번에 저장한 후 선택적으로 하나의 약제를 배출할 수 있는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는 2 이상의 약제가 저장되는 약제저장부, 및 상기 약제저장부를 덮고 있으며, 상기 2 이상의 약제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약제를 배출시키는 덮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약제저장부는 2 이상의 약제를 분리하는 2 이상의 분리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는 상기 약제저장부와 탈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는 상기 2 이상의 약제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약제를 배출시키기 위한 가림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는 상기 2 이상의 약제 중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하나의 약제를 표시하는 약제표시부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약제표시부는 상기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하나의 약제를 표시하기 위해 2 이상의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덮개부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는 상기 약제저장부와 연통되며, 상기 덮개부와 연통되는 공기 유동 통로가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장치는 동시에 2 이상의 약제의 저장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약제의 재투입 없이 첫 번째 약제를 호흡함과 동시에 두 번째 약물을 호흡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하나의 약제가 배출될 때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저장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의 구현예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고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고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고안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써,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100)가 제공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2 이상의 약제가 저장되는 약제저장부(200), 및 약제저장부(200)를 덮고 있으며, 2 이상의 약제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약제를 배출시키는 덮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저장부(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약제저장부(200)는 2 이상의 약제를 분리하는 2 이상의 분리판(2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가지 약제를 분리하여 저장하기 위해서는 약제저장부(200)에 2개의 분리판(210)이 포함될 수 있으며, 3가지 약제를 분리하여 저장하기 위해서는 약제저장부(200)에 3개의 분리판(210)이 포함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덮개부(300)는 약제저장부(200)와 탈착 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약제저장부(200)와 덮개부(300)를 분리 또는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약제저장부(200)와 덮개부(300)를 분리하고, 2 이상의 약제를 약제저장부(200)에 투입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약제저장부(200)에 덮개부(300)를 결합할 수 있고, 선택적 약재배출 용기(100)는 약제저장부(200)에 저장되어 있는 2 이상의 약제 중에서 선택적으로 하나의 약제를 배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덮개부(300)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덮개부(300)는 2 이상의 약제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약제를 배출시키기 위한 가림판(3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덮개부(300)를 소정의 방향으로 돌리면 가림판(310)이 하나의 약제가 저장되는 부분을 제외한 약제저장부(200)의 상부를 가리게 된다. 이로 인해 가림판(310)에 의해 가려지지 않은 약제저장부(200)에서 선택적으로 하나의 약제가 배출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덮개부(300)는 2 이상의 약제 중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하나의 약제를 표시하는 약제표시부(3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약제표시부(330)는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하나의 약제를 표시하기 위해 2 이상의 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가림판(310)이 선택적으로 하나의 약제를 제외하고 약제저장부(200) 상부를 가리게 된다면, 가려지는 부분에 해당하는 약제표시부(330)는 하나의 색이 표시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하나의 약제가 배출되는 부분에 해당하는 약제표시부(330)에도 하나의 색이 표시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하나의 약제가 배출되고 있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덮개부(300)는 하나 이상의 돌기(3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하나의 약제를 배출하기 위해 사용자가 소정의 방향으로 끝까지 돌릴 때 하나 이상의 돌기와 약제저장부(200)와의 마찰에 의해 딸깍(clack)음이 발생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자신이 선택한 하나의 약제가 배출되고 있다는 것을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100)의 구현예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100)는 약제저장부(200)와 연통되며, 덮개부(300)와 연통되는 공기 유동 통로가 구비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100)는 약제저장부와 연결되며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주입부(400) 또는 덮개부(300)와 연결되며 유입된 공기와 함께 하나의 약제를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약제배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르면, 공기 유동 통로는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주입부(400)와 연결되고, 공기주입부(400)에 의해 유입된 공기와 함께 2 이상의 약제가 저장된 약제저장부(200)와 연통되는 제 1 구간, 가림판(310)에 의해 선택적으로 하나의 약제가 배출되는 약제저장부(200)의 일부와 연통되며, 유입된 공기와 함께 하나의 약제가 배출되는 덮개부(300)와 연통되는 제 2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100)를 이용한 네블라이저의 구동과정은 다음과 같다.
공기주입부(400)로부터 외부의 공기가 약제저장부(200)에 유입된다. 약제저장부(200)에 유입된 공기는 약제저장부(200)에 있는 2 이상의 약제 각각과 혼합되어 제 1 구간을 통과하게 되지만 가림판(310)에 의해 선택적으로 하나의 약제와 유입된 공기의 혼합물만이 제 2 구간을 통과하게 된다. 이후 덮개부(300)와 연결된 약제배출부(미도시)를 통해 하나의 약제가 사용자의 호흡기로 흡입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
200: 약제저장부
210: 분리판
300: 덮개부
310: 가림판
330: 약제표시부
350: 돌기
400: 공기주입부

Claims (8)

  1. 2 이상의 약제가 저장되는 약제저장부; 및 상기 약제저장부를 덮고 있으며, 상기 2 이상의 약제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약제를 배출시키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는 상기 약제저장부와 연통되며, 상기 덮개부와 연통되는 공기 유동 통로가 구비되어 있는 것인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저장부는 2 이상의 약제를 분리하는 2 이상의 분리판을 포함하는 것인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약제저장부와 탈착되는 것인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2 이상의 약제 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약제를 배출시키기 위한 가림판을 포함하는 것인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2 이상의 약제 중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하나의 약제를 표시하는 약제표시부을 포함하는 것인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표시부는 상기 선택적으로 배출되는 하나의 약제를 표시하기 위해 2 이상의 색으로 표시되는 것인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인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
  8. 삭제
KR2020150003278U 2015-05-22 2015-05-22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 KR2004822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278U KR200482260Y1 (ko) 2015-05-22 2015-05-22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3278U KR200482260Y1 (ko) 2015-05-22 2015-05-22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098U KR20160004098U (ko) 2016-11-30
KR200482260Y1 true KR200482260Y1 (ko) 2017-01-04

Family

ID=5770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3278U KR200482260Y1 (ko) 2015-05-22 2015-05-22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260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6157A1 (en) 1999-12-01 2003-06-26 Philip Braithwaite Inhaler
US20070119450A1 (en) 2003-09-24 2007-05-31 Wharton David P Medication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0947A (en) * 1996-05-13 1998-04-21 Chesebrough-Pond's Usa Co., Division Of Conopco, Inc. Dual compartment pump dispenser
KR100980768B1 (ko) * 2008-04-29 2010-09-10 문재성 이중용기
PT2373373E (pt) 2008-12-15 2014-03-04 Profibrix Bv Dispositivo de distribuição de pó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16157A1 (en) 1999-12-01 2003-06-26 Philip Braithwaite Inhaler
US20070119450A1 (en) 2003-09-24 2007-05-31 Wharton David P Medication hol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098U (ko) 201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18338B2 (ja) キャップ機能を有する薬剤送達システムおよび装置
DK2595685T3 (en) Nasal Spray Device
KR102557768B1 (ko) 재구성 가능 작용제로 미리 충진된 일회용 전달 장치
US20240055114A1 (en) Drug administration device and system for establishing a dosage regimen and compatibility of components
CA2826410A1 (en) Medicated module for an inhaler
JP2017529221A (ja) 吸入装置
KR101513465B1 (ko) 일회용 주사기의 안전 필터
US20220379009A1 (en) Drug administration system configured to determine a drug dosing scheme
WO2022079512A1 (en) Controlling operation of drug administration devices using surgical hubs
KR200482260Y1 (ko) 선택적 약제배출 용기
US20220331529A1 (en) Drug delivery device incorporating electrical system contamination protection, power source management, power source monitoring, and/or power source operation
US20210350895A1 (en) Drug administration devices that communicate with surgical hubs
MX2022006959A (es) Dispositivos inhaladores, formulaciones de medicacion usadas con los mismos y metodos de manufactura.
CN208905885U (zh) 一种多胶囊干粉给药器及多胶囊干粉给药器药盒
JP2005508234A (ja) 色分けされた治療ユニット
RU168963U1 (ru) Многокартриджный многодозовый ингалятор
IT201900006368A1 (it) Inalatore di sostanze medicinali
Duffin Top five tips on inhaler use and technique
US20150328149A1 (en) Method for Administering an Antibiotic Dosage
CN107213541A (zh) 一种医疗雾化器
UA119252U (uk) Насадка для дозованого введення лікарського препарату в носову порожнин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