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408Y1 - convertible table - Google Patents

convertible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408Y1
KR200481408Y1 KR2020140004468U KR20140004468U KR200481408Y1 KR 200481408 Y1 KR200481408 Y1 KR 200481408Y1 KR 2020140004468 U KR2020140004468 U KR 2020140004468U KR 20140004468 U KR20140004468 U KR 20140004468U KR 200481408 Y1 KR200481408 Y1 KR 2004814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upper panel
panel
support
fre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468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04559U (en
Inventor
박종원
Original Assignee
박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원 filed Critical 박종원
Priority to KR20201400044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408Y1/en
Publication of KR2015000455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55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4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408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8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legs pivoted to top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2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foldable cross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0Travelling or trunk tables

Landscapes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변환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X"로 교차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이 상하부연결바에 의해 접거나 펼치질 수 있게 결합되며, 상기 상하부연결바에 일단이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자유단인 상하부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패널의 전개시 상부패널을 지지면에 지지하는 받침바가 구비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선반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변환탁자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a pair of support frames intersecting with "X" are coupled to be folded or unfolded by upper and lower connecting bars, one end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ba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rsion table in which upper and lower panels are provided and a support bar for supporting the upper panel on a support surface is provided when the upper panel is deployed.

Description

변환탁자{convertible table}Conversion table {convertible table}

본 고안은 변환탁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X"로 교차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이 상하부연결바에 의해 접거나 펼치질 수 있게 결합되며, 상기 상하부연결바에 일단이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자유단인 상하부패널이 구비되며, 상기 상부패널의 전개시 상부패널을 지지면에 지지하는 받침바가 구비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선반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변환탁자에 관한 것이다.
More specifically, a pair of support frames intersecting with "X" are coupled to be folded or unfolded by upper and lower connecting bars, one end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bar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rsion table in which upper and lower panels are provided and a support bar for supporting the upper panel on a support surface is provided when the upper panel is deployed.

일반적으로 공간활용이 효과적이고 활용용도가 다양한 변형가능한 탁자는 실내외에서 두루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 변형의 정도가 복잡하거나 다양할수록 생산단가가 높아짐은 물론,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In general, tables that are effective in space utilization and can be used in various applications are widely used both indoors and outdoors. However, the more complex or diverse the degree of deformation, the higher the production cost and the lower the durability.

국내 등록실용 20-0263869(등록일자: 2002.01.28.)Domestic registration practice 20-0263869 (Registration date: January 28, 2002) 국내 공개특허 제10-1994-0025518(공개일자: 1994.12.08.)Korean Patent Laid-Open No. 10-1994-0025518 (Published date: December 08, 1994) 국내 공개실용 20-2008-0003634(공개일자: 2008.08.29.)Domestic public practice 20-2008-0003634 (public date: 2008.08.29.) 국내 등록실용 20-0449683(등록일자: 2010.07.23.)Domestic registration room 20-0449683 (Registration date: July 23, 2010) 국내 공개실용 20-1993-0019230(공개일자: 1993.09.23.)Domestic public office 20-1993-0019230 (public date: September 23, 1993) 국내 공개특허 10-2013-0121315(공개일자: 2012.11.05.)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3-0121315 (Publication date: 2011.05.05.) 국내 공개특허 10-2004-0053025(공개일자: 2004.06.23.)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4-0053025 (Publication date: June 23, 2004)

본 고안은 종래방식이나 선행기술의 장단점이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가장 효과적인 방식일 채택하되 보다 경제적이고 단순 간결한 구조의 변환탁자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version table of a more economical and simpler structure while adopting the most effective method in consideration of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conventional methods and prior arts.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2개의 지주 중간이 회전가능하게 "X"로 교차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이 서로 연결되도록 지지프레임 상하부 양쪽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부연결바와; 일단이 상기 어느 한쪽 상부연결바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자유단인 상부패널과; 일단이 상기 어느 한쪽 하부연결바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상기 다른 한쪽 하부연결바 상단에 선택적으로 안착될 경우 상기 다른 한쪽 하부연결바를 구속시키는 결속바를 갖는 하부패널과; 상기 상부패널의 자유단에 결합되며, 상기 자유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바깥방향으로 전개시 자유단을 바닥면에 지지하는 받침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traddle-type straddle-type straddle-type vehicle comprising a pair of supporting frames, An upper and lower connecting bar rotatably coupled to both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frame so that the pair of support fram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 upper panel fixedly coupled to one of the upper connecting bars at one end and having a free end at the other end; A lower panel having a coupling bar fixedly coupled to one of the lower connecting bars at one end thereof and restraining the other lower connecting bar when the other end is selectively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other lower connecting bar at a free end; And a support bar coupled to the free end of the upper panel and supporting the free end on the bottom surface when the free end is deployed outwardly of the support frame.

또한, 상기 받침바는 막대형상의 일단에 수나사부를 갖으며; 상기 상부패널은 일단이 상기 어느 한쪽 상부연결바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자유단은 이 자유단이 상기 다른 한쪽 상부연결바 상단에 선택적으로 안착될 경우 이 상부연결바를 구속시키는 결속바가 구비됨은 물론, 상기 자유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바깥방향으로 전개시 상기 받침바 수나사부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upport bar has a male thread portion at one end of the rod shape; Wherein the upper panel has one end fixedly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ng bar and the other end configured as a free end and the free end is configured to restrict the upper connecting bar when the free end is selectively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other upper connecting bar And a female threaded portion in which the support bar male threaded portion is screwed when the free end is deployed outwardly of the support frame.

또한, 상기 받침바는 막대형상의 일단에 수나사부를 갖으며; 상기 상부패널은 일단이 상기 어느 한쪽 상부연결바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상기 다른 한쪽 상부연결바 상단에 선택적으로 안착될 경우 이 상부연결바를 구속시키는 결속바가 구비된 제1상부패널과, 일단이 상기 다른 한쪽 상부연결바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자유단으로 상기 한쪽 상부연결바 하측 상기 지지프레임에 구비된 안착돌부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제2상부패널,로 이루어지되 상기 자유단에는 이 자유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바깥방향으로 전개시 상기 받침바 수나사부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upport bar has a male thread portion at one end of the rod shape; The upper panel includes a first upper panel having one end fixedly coupled to one of the upper connecting bars and a binding bar restricting the upper connecting bar when the other end is selectively positioned at the upper end of the other upper connecting bar, And a second upper panel having one end fixedly coupled to the other upper connection bar and the other end selectively secured to a seating protrusion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below the upper connection bar at a free end, And a female threaded portion to which the support bar male threaded portion is screwed when the support frame is deployed in an outward direction of the support frame.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은 상하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이 교차하는 곳에는 상기 지지프레임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연결하는 한 쌍의 상부연결바가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어느 한쪽 상부연결바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자유단인 상부패널이 구비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air of support frames are continuously formed up and down; Wherein a pair of upper connection bars are provided at positions where the support frames continuously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tersect so that the support frames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And an upper panel having one end fixedly connected to one of the upper connection bars and the other end being a free end.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상부패널이 상기 지지프레임의 바깥방향으로 전개시 상기 양쪽의 상부연결바 사이 안착공간에 안착결합되도록 판체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판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이 구비되는 설치판이 더 포함되며, 이 설치판에는 가스용기와 가스기기를 연결결합시키는 가스어댑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upper panel is formed in a plate-like shape so as to be seated in the seating space between the upper connecting bars on both sides when the upper panel is deployed outwardly of the supporting frame, and the mounting plate having at least one through- Wherein the mounting plate is provided with a gas adapter for connecting the gas container and the gas appliance.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그 구조가 간단하고 단순하여 경제적일 뿐만아니라, 여러가지 변환이 가능하여 실내외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not only simple, simple and economical in structure, but also can be variously used,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used indoors and outdoors.

또한, 본 고안의 지지프레임은 X자형으로 절첩가능하므로, 편리하게 설치와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Further, since the support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lded into an X-shap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install, carry and store easily.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변환탁자의 접혀진 상태 사시도.
도 2는 도 1이 펼쳐진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일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4 상부패널의 다른 사용상태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용상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lded state of a conversion t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tate perspective view of Fig. 1 unfolded; Fig.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present inventive embodiment.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se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nother example of use of the top panel of Figure 4;
6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use state perspective view of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 중 동일기능을 하는 구성의 명칭은 동일하게 칭하되, 그 위치에 따라 도면부호는 달리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scription, the names of the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ll be referred to as the same, but the reference numerals will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positions.

본 고안 변환탁자는 "X"로 교차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0)과,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접히거나 탁자형태로 펼쳐질수 있게 연결하는 상하부연결바(21,22)와, 상기 상하부연결바(21,22)에 일단이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자유단인 상하부패널(30,40)과, 상기 상부패널(30)의 전개시 상부패널(30)을 지지하는 받침바(50)를 기본으로, 도 4와 같이 상기 상부패널(30)이 지지프레임(10)의 바깥쪽으로 전개시 상기 양쪽 상부연결바(21)의 사이 안착공간(12)에 설치되는 설치판(60) 및 이 설치판(60) 상에 구비되는 가스어댑터(70)를 포함한다.The design changing table includes a pair of support frames 10 crossing with "X ", upper and lower connecting bars 21 and 22 connecting the support frame 10 so as to be folded or spread like a table, Upper and lower panels 30 and 40 having one end fixed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bars 21 and 22 and free ends of the other end and a support bar 50 supporting the upper panel 30 when the upper panel 30 is extended A mounting plate 60 installed in the seating space 12 of the upper connecting bars 21 when the upper panel 30 is deploy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ing frame 10 as shown in FIG. And a gas adapter (70) provided on the plate (60).

상기 지지프레임(10)은 막대형태의 지주가 앞뒤로 배치되며, 앞뒤로 배치된 지주의 중간이 회전가능하게 "X"로 교차결합되는 것으로써, 상기 상하부연결바(21,22)를 사이에 두고 양쪽에 대칭으로 한 쌍이 구비된다.The supporting frame 10 is formed by arranging rod-like struts forward and backward, and a midway of the front and rear struts is rotatably crossed with "X ", so that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bars 21, As shown in Fig.

또한, 도 5와 같이 한 쌍으로 구비되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부 어느 한 쪽에는 안쪽방향을 향하여 서로 대칭으로 돌출형성된 안착돌부(11)가 상기 한쪽 상부연결바(21)의 하측으로 구비된다. 이 안착돌부(11)는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프레임(10)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며, 탈착방법은 공지된 탈착방법이 사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공(11a)에 끼움결합된다.As shown in FIG. 5, the supporting frame 10 is provided with a pair of seating projections 11 protruding symmetrically toward the inner side on the upper side of the supporting frame 10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onnecting bar 21 do. The attaching protrusion 11 is preferably detachably mounted on the support frame 10 and a known detachment method is used. Preferably, the attaching protrusion 1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11a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10, Respectively.

상기 상부연결바(21)는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0)이 서로 연결되도록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10)의 사이 상부 양쪽에 각각 설치되되, 한 쌍의 지지프레임(10)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게 상기 지지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설치된다.The upper connection bar 21 is installed at both upper portions between the support frame 10 and the support frame 10 so that the pair of support frames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0 so as to be folded or unfolded.

상기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단부에 상부연결바(21)가 한 쌍으로 설치됨으로써, 한쪽 상부연결바(21)와 다른 한쪽 상부연결바(21)의 사이에는 안착공간(12)이 형성된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pper connection bars 21 are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10, the seating space 12 is formed between the upper connection bar 21 and the upper connection bar 21, .

상기 하부연결바(22)는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0)이 서로 연결되도록 지지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10)의 사이 하부 양쪽에 각각 설치되되, 한 쌍의 지지프레임(10)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게 상기 지지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설치된다.The lower connection bar 22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frame between the support frame 10 and the support frame 10 so that the pair of support frames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0 so as to be folded or unfolded.

상기 상부패널(30)은 일단이 상기 어느 한쪽의 상부연결바(21)에 고정결합되는데, 상기 한쪽 상부연결바(21)가 상기 지지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상부패널(30)의 타단은 상기 한쪽 상부연결바(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안밖으로 전개가 가능하도록 자유단(31)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상부패널(30)의 일단이 고정결합되는 상기 한쪽 상부연결바(21)는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0)을 연결하면서 지지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패널(30)은 상기 한쪽 상부연결바(21)를 회전축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상단부 안쪽 공간과 바깥쪽 공간으로 회전하면서 전개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되는 상기 상부패널(3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어느 한쪽 상부연결바(21)에만 결합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제1상부패널(30a)과 제2상부패널(30b)이 각각 양쪽 상부연결바(21,21)에 결합설치될 수도 있다.One end of the upper panel 30 is fixedly coupled to one of the upper connecting bars 21. Since the upper connecting bar 21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ing frame 10, And the other end of the upper link bar 21 is configured as a free end 31 so as to be deployed inward of the support frame 10 by rotation of the upper link bar 21. [ That is, the upper connection bar 21, to which one end of the upper panel 30 is fixedly couple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support frame 10 while connecting the pair of support frames 10. Therefore, the upper panel 30 can be deployed while rotating the upper connecting bar 21 to the inner space and the outer space of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frame 10 with the rotation axis. The upper panel 30 may be coupled to only one of the upper connecting bars 21 as shown in FIGS. 2 and 3. 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 to 6, 2 upper panel 30b may be coupled to the upper connecting bars 21 and 21, respectively.

이중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상부패널(30)이 하나만 설치될 경우, 상부패널(30)의 일단은 한쪽 상부연결바(21)에 고정되어 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상부패널(30)의 타단은 자유단(31)으로, 이 자유단(31)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안쪽으로 전개될 경우에는 자유단(31)이 다른 한쪽 상부연결바(21) 상단에 걸쳐져 지지되게 되는데, 이때 자유단(31)은 상기 다른 한쪽 상부연결바(21) 상단과 맞닿는 면의 단부에 상기 다른 한쪽 상부연결바(21)를 구속시키는 결속바(32)가 바람직하게 구비된다. 이 결속바(32)를 통해 본 고안 변환탁자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자유단(31)이 지지프레임(10)의 바깥쪽으로 전개될 경우에는 자유단(31)이 막대형태의 받침바(50)에 의해 바닥면에 지지설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자유단(31)의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나사부(33)가 구비되는데, 이 암나사부(33)는 바람직하게 상기 결속바(32)에 구비된다. 그리고 이 암나사부(33)에 상기 받침바(50) 일단에 구비된 수나사부(51)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암나사부(33)는 자유단(31)이 지지프레임(10)의 바깥방향으로 전개될 때 상부패널(30)의 자유단(31)을 바닥면에 지지하기 위해 받침바(50)의 수나사부(51)가 결합되는 곳이므로, 상기 상부패널(30)이 바닥면에 효과적으로 지지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되, 마땅히 바닥면과 마주보는 결속바(32)의 면상에 구비된다.2 and 3, when only one upper panel 30 is installed, one end of the upper panel 30 is fixed to one upper connecting bar 21 and rotated. The other end of the upper panel 30 is a free end 31. When the free end 31 is extended toward the inside of the support frame 10, the free end 31 is connected to the other upper connection bar 21, The free end 31 preferably has a binding bar 32 for restricting the other upper connecting bar 21 at an end portion of a surface of the free end 31 abutting against the upper end of the other upper connecting bar 21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unfolded state of the design changing table viewed through the binding bar 32. [ When the free end 31 is deploy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frame 10, the free end 31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by the bar-shaped support bar 50. At least one female screw portion 33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free end 31. The female screw portion 33 is preferably provided to the binding bar 32. [ The male screw portion (51) provided at one end of the support bar (50) is screwed to the female screw portion (33). The female screw portion 33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frame 10 to support the free end 31 of the upper panel 30 on the bottom surface when the free end 31 is deployed outwardly of the support frame 10. [ The upper panel 30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oupling bar 32 facing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upper panel 30 is effectively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또한,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상기 상부패널(30)이 상기 2개의 상부연결바(21,21)에 각각 설치될 경우, 상기 제1상부패널(30a)과 제2상부패널(30b)의 일단은 각각의 상부연결바(21)에 고정되어 회전되게 되며, 타단은 각각 자유단(31a,31b)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안쪽과 바깥쪽으로 전개되게 된다.4 to 6, when the upper panel 30 is installed on the upper connecting bars 21 and 21, the first upper panel 30a and the second upper panel 30b, respectively, And the other ends are extended toward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support frame 10 by the free ends 31a and 31b, respectively.

즉, 상기 제1상부패널(30a)은 일단이 상기 어느 한쪽 상부연결바(21)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자유단(31a)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안쪽으로 전개될 경우에는 자유단(31a)이 다른 한쪽 상부연결바(21) 상단에 걸쳐져 지지되게 되는데, 이때 자유단(31a)은 상기 다른 한쪽 상부연결바(21) 상단과 맞닿는 면의 단부에 상기 상부연결바(21)를 구속시키는 결속바(32)가 바람직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자유단(31a)이 지지프레임(10)의 바깥쪽으로 전개될 경우에는 자유단(31a)이 막대형태의 받침바(50)에 의해 바닥면에 지지설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자유단(31a)의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나사부(33)가 구비되는데, 이 암나사부(33)는 바람직하게 상기 결속바(32)에 구비된다. 그리고 이 암나사부(33)에 상기 받침바(50) 일단에 구비된 수나사부(51)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암나사부(33)는 자유단(31a)이 지지프레임(10)의 바깥방향으로 전개될 때 제1상부패널(30a)의 자유단(31a)을 바닥면에 지지하기 위해 받침바(50)의 수나사부(51)가 결합되는 곳이므로, 상기 제1상부패널(30a)이 바닥면에 효과적으로 지지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되, 마땅히 결속바(32)의 면 중 바닥면과 마주보는 결속바(32)의 면에 구비된다.That is, when the first upper panel 30a is fixed to one of the upper connecting bars 21 at one end and is extended toward the inside of the supporting frame 10 at the other end at the free end 31a,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necting bar 21 is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necting bar 21 at the free end 31a at the end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necting bar 21, A binding bar 32 is preferably provided. When the free end 31a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frame 10, the free end 31a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by the bar-shaped support bar 50. [ At least one female screw portion 33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free end 31a. The female screw portion 33 is preferably provided on the binding bar 32. [ The male screw portion (51) provided at one end of the support bar (50) is screwed to the female screw portion (33). The female screw portion 33 is formed on the support bar 50 to support the free end 31a of the first upper panel 30a on the bottom surface when the free end 31a is deployed outwardly of the support frame 10. [ The first upper panel 30a can be effectively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bar 51. Since the first upper panel 30a can be effectively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coupling bar 32, 32).

그리고 상기 제2상부패널(30b)은 일단이 상기 다른 한쪽 상부연결바(21)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자유단(31b)으로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안쪽으로 전개될 경우에 자유단(31b)이 상기 한쪽 상부연결바(21) 하측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된 안착돌부(11) 상단에 걸쳐져 지지되게 된다.One end of the second upper panel 30b is fixedly coupled to the other upper connection bar 21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upper panel 30b is fixed to the free end 31b 31b are supported on the upper end of the seating protrusion 11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10 below the upper connection bar 21.

여기서 본 고안에서는 상부패널(30) 및 제1,2상부패널(30a,30b)이 하나의 판체로 형성된 것이 아닌 여러 개의 판재가 결합되어 있는 형태를 예시하고 있으므로, 여러 개의 판재가 결합되기 위해서 상기 자유단(31,31a,31b)의 단부에는 마감바(34)가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마감바(34)는 도 3의 상부패널(30)의 경우 및 도 4 내지 도 6의 제1상부패널(30a)의 경우에서와 같을 때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결속바(32)로 대체된다.In this embodiment, since the upper panel 30 and the first and second upper panels 30a and 30b are not formed as a single plate but a plurality of plates are coupled together, End bars 34 ar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free ends 31, 31a, 31b. Such a finishing bar 34 is replaced with the binding bar 32 described above when it is the same as in the case of the upper panel 30 of Fig. 3 and the case of the first upper panel 30a of Figs.

그리고 상기 제2상부패널(30b)의 자유단(31b)이 지지프레임(10)의 바깥쪽으로 전개될 경우에는 이 자유단(31b)이 막대형태의 받침바(50)에 의해 바닥면에 지지설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자유단(31b)의 단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나사부(33)가 구비되며, 이 암나사부(33)에 상기 받침바(50) 일단에 구비된 수나사부(51)가 나사결합된다. 상기 암나사부(33)는 자유단(31b)이 지지프레임(10)의 바깥방향으로 전개될 때 제2상부패널(30b)의 자유단(31b)을 바닥면에 지지하기 위해 받침바(50)의 수나사부(51)가 결합되는 곳이므로, 상기 제2상부패널(30b)이 바닥면에 효과적으로 지지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되, 마땅히 마감바(34)의 면 중 바닥면과 마주보는 마감바(34)의 면에 구비된다.When the free end 31b of the second upper panel 30b is deploy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frame 10, the free end 31b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by the bar- . At this time, at least one female screw portion 33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free end 31b, and a male screw portion 51 provided at one end of the receiving bar 50 is screwed to the female screw portion 33. [ The female screw portion 33 is fixed to the support bar 50 to support the free end 31b of the second upper panel 30b on the bottom surface when the free end 31b is deployed outwardly of the support frame 10. [ The second upper panel 30b can be effectively supported by the bottom surface of the second upper panel 30b so that the second upper panel 30b can be effectively supported by the end bar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finish bar 34 34).

상기 하부패널(40)은 일단이 상기 어느 한쪽 하부연결바(22)에 고정결합되며, 이 하부연결바(22)를 축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타단은 자유단(41)으로 상기 다른 한쪽 하부연결바(22) 상단에 선택적으로 안찰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자유단(41)은 상기 지지프레임(10)의 안쪽과 바깥쪽으로 회전 전개되되, 상기 자유단(41)이 지지프레임(10)의 안쪽으로 전개되어 다른 한쪽 하부연결바(22) 상단에 안착되게 되는데, 이때 자유단(41)에는 다른 한쪽 하부연결바(22) 상단과 맞닿는 면의 단부에 다른 한쪽 하부연결바(22)를 구속시키는 결속바(42)가 구비된다.The lower panel 40 is fixed at one end to the lower connecting bar 22 and is rotatable about the lower connecting bar 22 and has the other end at a free end 41, And is selectively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nnecting bar 22. The free end 41 is extended toward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supporting frame 10 so that the free end 41 is extended toward the inside of the supporting frame 10 and the other end of the lower connecting bar 22 The free end 41 is provided with a binding bar 42 for restricting the other lower connecting bar 22 at the end of the surface contacting the upper end of the other lower connecting bar 22.

이렇게 상기 한쪽 하부연결바(22)에 상기 하부패널(40)의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한쪽 하부연결바(22)의 회전에 의해 자유단(41)인 하부패널(40)의 타단에 구비된 상기 결속바(42)가 상기 다른 한쪽 하부연결바(22)를 구속시키면서 안착결합되어 있어 상기 지지프레임(10)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 other end of the lower panel 40 is fixed to the lower connecting bar 22 at the other end of the lower panel 40 by the rotation of the lower connecting bar 22 So that the support frame 10 can be maintained in an unfolded state. [0053] As shown in FIG.

상기 받침바(50)는 막대형태로 일단에 수나사부(51)가 구비된다. 이 받침바(50)의 수나사부(51)는 상기 상부패널(30) 및 제1,2상부패널(30a,30b)의 자유단(31,31a,31b) 암나사부(33)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일단에 상기 수나사부(51)가 구비되는 받침바(50)의 타단에는 암나사부(5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받침바(50)는 받침바(50) 끼리 서로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길이연장을 위해 하나의 받침바(50) 타단에 구비된 암나사부(52)에 다른 하나의 받침바(50) 일단에 구비된 수나사부(51)가 나사결합되어 사용됨으로써 길이연장이 가능하게 된다.The support bar (50) is provided with a male screw portion (51) at one end in a rod shape. The male screw portion 51 of the support bar 50 is screwed to the female screw portion 33 of the free end 31, 31a, 31b of the upper panel 30 and the first and second upper panels 30a, 30b . Further, a female screw portion 52 may b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bar 50 provided with the male screw portion 51 at one end. In order to extend the length of the support bars 50, the support bars 5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o extend the length of the support bars 50. In order to extend the length of the support bars 50, The male screw portion 51 provided at one end of the bar 50 is screwed and used to extend the length.

본 고안 변환탁자는 도 7과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한 쌍으로 배치되는 지지프레임(10)은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나의 "X"자로 교차하는 지지프레임(10)은 앞뒤로 배치되는 막대형태의 지주 중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의 "X"자로 교차하는 지지프레임(10)을 기준으로 다른 지지프레임(10)이 상하로 배치될 경우에는 기준 지지프레임(10)의 앞쪽에 배치된 지주에는 다른 지지프레임(10)의 뒷쪽에 배치된 지주가, 기준 지지프레임(10)의 뒷쪽에 배치된 지주에는 다른 지지프레임(10)의 앞쪽에 배치된 지주가 교차로 배치된다. 이러한 배열로 인해 상하연속되는 지지프레임(10)은 일직선상에 일렬로 배치되게 된다.This inventive conversion table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As described above, the support frames 10 arranged in pairs can be arranged continuously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upporting frame 10 crossing with the single "X" character is rotatably coupled with a rod-shaped support post arranged forward and backward. Therefore, when the other support frame 10 is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with respect to the support frame 10 crossing with one "X" character, another support frame 10 is provided on the support disposed in front of the reference support frame 10, A support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support frame 10 and a support disposed on the rear side of the reference support frame 10 are arranged at intersections. Due to this arrangement, the support frames 10, which are vertically continuous, are arranged in a line on a straight line.

그리고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는 지지프레임(10)이 교차하는 곳에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연결하는 한 쌍의 상부연결바(21',21')가 구비된다. 더불어 일단이 상기 어느 한쪽 상부연결바(21')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자유단(31)인 상부패널(3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패널(30')의 자유단(31)에는 이 자유단(31)이 다른 한쪽 상부연결바(21')에 안착될 경우 상기 다른 한쪽 상부연결바(21')를 구속하는 결속바(32)가 바람직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패널(30')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2상부패널(30a,30b)과 같은 구조로 구비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 pair of upper connection bars 21 'and 21' are provid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support frames 10 arranged continuously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support frames 10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 And an upper panel 30 ', one end of which is fixedly coupled to one of the upper connecting bars 21' and the other end is a free end 31. When the free end 31 is seated on the other upper connecting bar 21 ', the free end 31 of the upper panel 30' is fastened to the other connecting bar 21 ' (32) are preferably provided. Here, the upper panel 30 'may have the same structure as the first and second upper panels 30a and 30b.

상기 설치판(60)은 판체형상이며, 이 판체형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61)이 형성된다. 이러한 설치판(60)은 상기 상부패널(30)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바깥방향으로 전개시 상기 양쪽의 상부연결바(21) 상단면 사이에 형성된 상기 안착공간(12)에 선택적으로 안착결합되게 된다.The mounting plate 60 is plate-shaped, and at least one through-hole 61 is formed on the plate-like shape. The mounting plate 60 selectively seats the seating space 12 formed between the top surfaces of the upper connecting bars 21 of both the upper panels 30 when the upper panel 30 is deployed outwardly of the supporting frame 10 Lt; / RTI >

상기 가스어댑터(70)는 상기 설치판(60)의 통공(61)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스용기(1)에서 공급되는 가스를 가스기기(2)로 전달하는 접속부재(71)와, 이 접속부재(71)를 상기 통공(61)에 고정결합시키는 체결부재(72)로 구성된다.The gas adapter 70 is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61 of the mounting plate 60 and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71 for transmitting the gas supplied from the gas container 1 to the gas appliance 2, And a fastening member (72) for fixing the member (71) to the through hole (61).

이중 상기 접속부재(71)는 하단에 가스용기(1)가 결합되는 결합부(71a)와, 이 결합부(71a)의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통공(61)을 관통하여 상부에 가스기기(2)가 결합되는 노즐(71b)로 구성되되, 상기 결합부(71a)에는 가스용기(1)에서 가스기기(2)로 이동되는 가스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구(71c)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71a)는 상기 접속부재(71)가 상기 설치판(60)의 저면에서 결합될 때, 상부가 설치판(60)의 통공(61) 주변부에 걸려 설치판(60)의 저면에 걸려 접속부재(71)가 걸려 지지되게 된다.The connecting member 71 has an engaging portion 71a to which the gas container 1 is coupled at the lower end and a connecting portion 71a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engaging portion 71a and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61, And a nozzle 71b to which the gas container 1 is connected. The coupling portion 71a may be provided with a flow rate regulator 71c for regulating the amount of gas moving from the gas container 1 to the gas appliance 2. When the connecting member 71 is engag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60,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71a is caught by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through hole 61 of the mounting plate 60,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71 is engaged.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72)는 상기 접속부재(71)가 상치 설치판(60)에 결합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설치판(60)의 저면에서 통공(61)을 통과하여 설치판(60) 상면으로 노출된 상기 노즐(71b)에 나사체결됨으로써, 접속부재(71)를 설치판(60)에 고정결합시키게 된다.
The connecting member 71 is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60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71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61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60, And the connecting member 71 is fixedly coupled to the mounting plate 60 by being screwed to the nozzle 71b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 변환탁자의 사용방법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inventive conversion table having the above structure will be described.

먼저, 도 1과 같이 접혀져 있던 본 고안을 상하단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된 상하부연결바(21,22)를 이용하여 한쌍의 지지프레임(10)을 펼친다. 이후 일측 하부연결바(22)에 일단이 고정결합되어 회전되는 하부패널(40)의 타단 자유단(41)을 타측 하부연결바(22) 상단에 안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하부패널(40) 자유단(41)에 구비된 결속바(42)에 의해 타측 하부연결바(22)가 구속되어 상기 한쌍의 지지프레임(10)이 펼쳐진 상태에서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부패널(30)은 도 2와 같이, 상기 하부패널(40)처럼 상부패널(30)의 자유단(31)을 일측 상부연결바(21) 상단에 안착시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렇게 하면 상기 상부패널(30)의 자유단(31)에 구비된 결속바(32)가 맞닿은 상기 상부연결바(21)를 구속결합하여 보다 안정적인 상태에서 선반사용이 가능하게 된다.First, a pair of support frames 10 are folded by using upper and lower connecting bars 21 and 22, which are rotatably provid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present invention folded as shown in FIG. The other end free end 41 of the lower panel 40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other lower connection bar 22 by being fixedly coupled to one lower connection bar 22. The other lower connection bar 22 is restrained by the binding bar 42 provided at the free end 41 of the lower panel 40 so that the pair of support frames 10 are fixed in the unfolded state. 2, the upper panel 30 can be used by placing the free end 31 of the upper panel 30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connecting bar 21 on one side like the lower panel 40, The upper connecting bar 21 abutted by the binding bar 32 provided at the free end 31 of the upper panel 30 is restrained and coupled to be able to use the shelf in a more stable state.

그리고, 도 3과 같이 일측의 상부연결바(21)를 회전축으로 하여 지지프레임(10)의 바깥쪽으로 전개된 상부패널(30)의 자유단(31) 암나사부(33)에는 받침바(50)의 수나사부(51)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상부패널(30)이 바닥면에 지지되어 선반으로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부패널(30)의 전개로 인해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연결바(21) 사이 공간, 즉 안착공간(12)은 빈공간이 되게 된다. 이 안착공간(12)에 설치판(60)이 양쪽의 상부연결바(21) 상단면에 지지되어 설치되게 되고, 상기 설치판(60)의 통공(61)에는 가스어댑터(70)를 이용하여 가스기기(2)와 가스용기(1)가 설치되어 조리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3, the support bar 50 is fixed to the free end 31 female threaded portion 33 of the upper panel 30 which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frame 10 with one side upper connection bar 21 as a rotation axis, So that the upper panel 30 is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so that it can be used as a shelf. In additio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connection bars 21 of the support frame 10, that is, the seating space 12, becomes an empty space due to the expansion of the upper panel 30. [ The mounting plate 60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connecting bar 21 in the seating space 12. A gas adapter 70 is installed in the through hole 61 of the mounting plate 60 The gas appliance 2 and the gas container 1 are provided and cooked.

또한, 도 4 및 도 6과 같이 상부패널(30)은 지지프레임(10)의 양쪽에 설치된 상부연결바(21)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도 제1상부패널(30a)과 제2상부패널(30b)이 모두 지지프레임(10)의 바깥쪽으로 전개되어 받침바(50)에 의해 바닥면에 지지되게 되면, 안착공간(12)에 설치판(60)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제1상부패널(30a)은 지지프레임(10)의 바깥쪽으로 전개시켜 받침대(50)를 이용하여 바닥에 지지시키고, 제2상부패널(30b)은 지지프레임(10)의 안착돌부(11)에 안착시켜 안착공간(12)을 폐쇄시키면, 물건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확장되게 된다.4 and 6, the upper panel 30 may be mounted on the upper connecting bar 21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ing frame 10, The upper panel 30b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frame 10 and is supported on the floor by the support bar 50. The mounting plate 60 can be installed in the seating space 12. [ 5, the first upper panel 30a is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frame 10 to be supported on the floor using the pedestal 50, and the second upper panel 30b is supported on the bottom of the support frame 10 When the seating space 12 is seated on the projecting portion 11, th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object is expanded.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본 고안 지지프레임(10)이 상하로 적층되는 구조를 갖을 경우에는 하단에 배치되는 하부패널(40)과 최상단에 배치되는 제1,2상부패널(30a,30b)의 사이에 상부패널(30')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어 보다 다양하고 효과적인 공간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중간에 배치되는 상부패널(30')의 자유단(31)에 구비된 결속바(32)가 상부연결바(21')를 구속시킴으로써, 안정적으로 본 고안의 펼쳐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7, when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ing frame 10 has a structure in which upper and lower layers are stacked, the lower panel 40 disposed at the lower end and the first and second upper panels 30a and 30b disposed at the uppermost end, The upper panel 30 'can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upper panel 30' and the upper panel 30 '. And the binding bar 32 provided at the free end 31 of the upper panel 30 'disposed in the middle restrains the upper connecting bar 21', so that the unfolded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tably maintained.

10: 지지프레임 11: 안착돌부
12: 안착공간 21: 상부연결바
22: 하부연결바 30, 30': 상부패널
30a: 제1상부패널 30b: 제2상부패널
31, 41: 자유단 32,42: 결속바
33, 52: 암나사부 40: 하부패널
50: 받침바 51: 수나사부
60: 설치판 62: 통공
70: 가스어댑터 71: 접속부재
72: 체결부재
10: support frame 11:
12: seating space 21: upper connection bar
22: Lower connection bar 30, 30 ': upper panel
30a: first upper panel 30b: second upper panel
31, 41: free end 32, 42: binding bar
33, 52: Female thread portion 40: Lower panel
50: Support bar 51: Male thread
60: mounting plate 62: through hole
70: gas adapter 71: connecting member
72: fastening member

Claims (7)

2개의 지주 중간이 회전가능하게 "X"로 교차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0)과;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0)이 서로 연결되도록 이 지지프레임(10)의 상하부 양쪽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하부연결바(21, 22)와;
일단이 상기 한쪽 상부연결바(21)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자유단(31a)으로 상기 다른 한쪽 상부연결바(21)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제1상부패널(30a)과, 일단이 상기 다른 한쪽 상부연결바(21)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자유단(31b)으로 상기 한쪽 상부연결바(21)의 하측 상기 지지프레임(10)에 구비된 안착돌부(11)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제2상부패널(30b)을 갖는 상부패널(30)과;
일단이 상기 한쪽 하부연결바(22)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자유단(41)으로 상기 다른 한쪽 하부연결바(22)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안착 될 경우 상기 다른 한쪽 하부연결바(22)를 구속시키는 결속바(42)를 갖는 하부패널(40)과;
상기 상부패널(30)의 각 자유단(31a,31b)에 결합되며, 상기 자유단(31a,31b)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바깥방향으로 전개시 각 자유단(31a,31b)을 바닥면에 지지시키는 받침바(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탁자.
A pair of support frames (10) in which two post supports are rotatably cross-coupled to "X ";
Upper and lower connecting bars (21, 22) rotatably coupled to both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upporting frame (10) so that the pair of supporting frames (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first upper panel 30a whose one end is fixedly coupled to the upper connecting bar 21 and the other end is selectively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other upper connecting bar 21 with a free end 31a,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upper connecting bar 21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selectively seated on the seating projections 11 provided on the lower support frame 10 of the upper connecting bar 21 by free ends 31b. An upper panel 30 having two upper panels 30b;
When one end is fixedly coupled to the lower connecting bar 22 and the other end is selectively seated on the upper end of the other lower connecting bar 22 by the free end 41, A lower panel (40) having a binding bar (42) for restricting engagement;
The free ends 31a and 31b are engaged with the free ends 31a and 31b of the upper panel 30 so that the free ends 31a and 31b are bent when the free ends 31a and 31b are deployed outwardly of the support frame 10. [ And a support bar (50) for supporting the support table (50) on the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바(50)는 막대형상의 일단에 수나사부(51)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패널(30)의 자유단(31a,31b)에는 상기 받침바(50)의 수나사부(51)가 결합되는 암나사부(3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탁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bar 50 is provided with a male screw portion 51 at one end of a rod shape and the male screw portion 51 of the receiving bar 50 is engaged with the free ends 31a and 31b of the upper panel 30 And a female screw portion (33) is form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10)은 상하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하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지지프레임(10)이 교차하는 곳에는 상기 지지프레임(10)이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연결하는 한 쌍의 상부연결바(21')가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어느 한쪽 상부연결바(21')에 고정결합되고, 타단이 자유단(31)인 상부패널(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탁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ir of support frames 10 are continuously formed up and down;
A pair of upper connection bars 21 'are provided at positions where the support frames 10 formed continuousl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terse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support frames 10 are rotatably engaged with each other;
Is provided with an upper panel (30 '), one end of which is fixedly coupled to one of the upper connecting bars (21') and the other end is a free end (3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패널(30)이 상기 지지프레임(10)의 바깥방향으로 전개시 상기 양쪽의 상부연결바(21) 사이 안착공간(12)에 안착결합되도록 판체형상으로 형성되며, 이 판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공(61)이 구비되는 설치판(6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탁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panel 30 is formed in a plate shape so as to be seated in the seating space 12 between the upper connecting bars 21 when the upper panel 30 is deployed outwardly of the supporting frame 10, And a mounting plate (60) provided with the through holes (6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판(60)에는 하부에 가스용기(1)가 결합되며 상부가 상기 설치판(60) 저면 통공(61) 주변부에 걸림지지되되 상단부가 상기 통공(61)을 관통하여 상기 가스용기(1)에서 가스를 공급받는 가스기기(2)가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접속부재(71)와, 상기 설치판(60)의 상면에 설치되며 상기 접속부재(71)를 설치판(60)에 고정결합시키는 체결부재(72)로 이루어지는 가스어댑터(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탁자.
6. The method of claim 5,
The gasket 1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mounting plate 6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gasket 1 is hooked on the periphery of the bottom hole 61 of the mounting plate 60. The upper portion of the gasket 1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61, A connecting member 71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plate 60 and fixedly connecting the connecting member 71 to the mounting plate 60; And a gas adapter (70) comprising a fastening member (72).
제1항에 있이서,
상기 제1상부패널(30a)의 타단인 자유단(31a)에는 상기 다른 한쪽 상부연결바(21)의 상단에 선택적으로 안착 될 경우 상기 다른 한쪽 상부연결바(21)를 구속시키는 결속바(3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환탁자.
In paragraph 1,
A free end 31a of the first upper panel 30a is provided with a coupling bar 32 for restricting the other upper coupling bar 21 when it is selectively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other upper coupling bar 21 ) Is provided.
KR2020140004468U 2014-06-13 2014-06-13 convertible table KR200481408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468U KR200481408Y1 (en) 2014-06-13 2014-06-13 convertible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468U KR200481408Y1 (en) 2014-06-13 2014-06-13 convertible tab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559U KR20150004559U (en) 2015-12-23
KR200481408Y1 true KR200481408Y1 (en) 2016-09-27

Family

ID=55170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468U KR200481408Y1 (en) 2014-06-13 2014-06-13 convertible tab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408Y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513Y1 (en) * 2016-10-18 2019-10-01 두원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multipurpose table for camping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2390A (en) * 2007-03-05 2008-09-18 Takuro Ikeda Folding table
US20090200437A1 (en) * 2008-02-11 2009-08-13 Ole Falk Smed Adjustable Height Keyboard Suppor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11439B1 (en) 1992-03-30 1994-12-15 기준성 Method of manufacturing infra-red ray irradiable cupping glass
KR200263869Y1 (en) 2001-11-22 2002-02-19 주식회사 우진프라스코 fabricated table
KR20040053025A (en) 2004-05-29 2004-06-23 황의형 Attachable shelf for glovebox
KR20080003634U (en) 2007-02-26 2008-08-29 (주)버팔로 Folding structure of the folding table
KR200449683Y1 (en) 2009-11-06 2010-07-30 정채영 A folding type outdoor table
KR101292104B1 (en) * 2011-03-04 2013-08-08 한병기 Desk having hinge
KR101338370B1 (en) 2012-04-27 2013-12-10 주식회사 컴퍼니원헌드레드 Batch rendering method using graphic processing unit of two dimension vector graphic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2390A (en) * 2007-03-05 2008-09-18 Takuro Ikeda Folding table
US20090200437A1 (en) * 2008-02-11 2009-08-13 Ole Falk Smed Adjustable Height Keyboard Suppo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559U (en)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64487B2 (en) Connector for modular rack assembly
US20140353271A1 (en) Modular storage unit
TWM496959U (en) Combination shelf rack
US10094407B2 (en) Modular frame for making seats and furnishing elements in general provided with a supporting surface
KR200481408Y1 (en) convertible table
KR20180087650A (en) Skeleton structure for furniture
KR20180003606U (en) A extendable shelf for kitchen
JP6399646B2 (en) System desk
KR20200089531A (en) Boltless frame furniture
KR20180027097A (en) Multifunctional furniture
JP7320916B2 (en) sofa system
KR101614834B1 (en) Foldable panel for decoration furniture
KR101835701B1 (en) Frame shelves and racks for multi purposes
KR200476195Y1 (en) Module Type Display Stand for Goods
KR200451957Y1 (en) Prefab shelves
JP7321508B2 (en) combination desk
WO2012063737A1 (en) Room divider structure
KR200470355Y1 (en) Table
KR20170122600A (en) Display Cupboard
KR20180044716A (en) Outdoor prefab kitchen table
KR200484188Y1 (en) Prefabricated Bookcase
JP2015006237A (en) Built-up shelf
KR200476194Y1 (en) Module Type Display Stand for Goods
JP2016202518A (en) System desk
WO2014130818A1 (en) Interlocking extensible shelv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