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1121Y1 - 단자 캡 - Google Patents

단자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1121Y1
KR200481121Y1 KR2020140007645U KR20140007645U KR200481121Y1 KR 200481121 Y1 KR200481121 Y1 KR 200481121Y1 KR 2020140007645 U KR2020140007645 U KR 2020140007645U KR 20140007645 U KR20140007645 U KR 20140007645U KR 200481121 Y1 KR200481121 Y1 KR 2004811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hield
barrel
cabl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6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1396U (ko
Inventor
이진국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76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121Y1/ko
Publication of KR201600013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3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1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12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6Means for holding or embracing insulating body, e.g. casing, hoo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단자 캡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단자 캡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단자차폐부(10), 연결목부(20), 바렐차폐부(30) 및 케이블차폐부(40)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목부(20)는 상기 단자차폐부(10)와 바렐차폐부(30)가 소정의 경사를 가지고 연결되게 형성된다. 상기 단자차폐부(10)의 내부에 형성된 단자공간(12)에는 봉형단자(52)의 선단이 압입되는 단자고정부(14)가 형성된다. 상기 바렐차폐부(30)의 내부에는 바렐부공간(32)이 형성되어 링단자(60)의 바렐부(64)가 위치된다. 상기 바렐차폐부(30)의 일단부 중앙에서 시작해서 제1변형슬릿(34)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변형슬릿(34)의 내측 단부는 라운드형상으로 되고 슬릿단턱(36)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차폐부(40)에는 제2변형슬릿(44)이 케이블차폐부(4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서는 링단자(60)와 봉형단자(58)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차폐할 수 있으며, 링단자(60)의 바렐부(64)에 결합된 케이블(66)의 심선까지도 외부와 차폐할 수 있어 절연성능이 좋아지며, 상기 바렐차폐부(30)가 단자차폐부(10)에 대해 경사지게 연장되므로 차량의 주행중에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단자 캡{Terminal cap}
본 고안은 단자 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링단자와 케이블을 감싸도록 되어 링단자가 봉형단자와 결합되었을 때 단자들을 차폐하는 단자 캡에 관한 것이다.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자 사이의 결합공간은 외부와는 차폐되어 절연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커넥터에서는 하우징이 외관을 구성하면서 내부에 단자가 설치되어 외부와 차폐되고 외부와의 절연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단자를 통해서 고전압이 흘러가는 경우에는 단자들을 외부와 차폐하고 절연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최근에 차량에서 주행을 위한 동력을 모터로부터 얻으면서 고전압이 사용되고 있는데, 따라서, 고전압을 제공하는 배터리나 발전기 등에서 모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연결부인 단자들을 외부와 차폐하여 절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1-0066685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139709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를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링단자와 봉형단자가 결합된 부분을 외부와 차폐함과 동시에 링단자에 연결된 케이블의 선단 일부를 차폐하여 절연을 충분히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링단자가 연결된 케이블이 봉형단자가 설치된 부분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장착부에 설치된 봉형단자와 결합되는 링단자를 둘러싸는 탄성재질로 만들어진 단자 캡에 있어서, 상기 링단자의 링형상부와 상기 봉형단자가 위치되는 단자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봉형단자가 압입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된 단자고정부가 상기 단자공간 내에 형성되는 단자차폐부와, 상기 단자차폐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내부에 연결공간이 형성되는 연결목부와, 상기 연결목부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일체로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연결공간과 연통되는 바렐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링단자의 바렐부가 케이블과 연결된 상태로 위치되는 바렐차폐부와, 상기 바렐차폐부에서 상기 연결목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상기 케이블의 외면에 내면이 밀착되어 차폐하도록 형성되는 케이블차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단자고정부의 안착공간의 횡단면 형상은 다수개의 원이 서로 인접한 것끼리 겹치도록 열을 지어 형성되고 각각의 원의 직경은 상기 봉형단자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단자차폐부와 연결목부의 사이에는 변형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단자차폐부가 연결목부에 대해 탄성변형되면서 젖혀 질 수 있게 한다.
상기 바렐차폐부의 일단부 중간부에서 시작해서 제1변형슬릿이 바렐차폐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제1변형슬릿의 내측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제1변형슬릿의 내측 단부를 따라서는 슬릿단턱이 형성된다.
상기 바렐차폐부의 일단 단부를 따라서는 단턱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차폐부에는 제2변형슬릿이 상기 케이블차폐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제2변형슬릿은 상기 케이블차폐부에 한쌍이 형성된다.
상기 제2변형슬릿의 길이는 상기 케이블차폐부의 길이의 절반보다 길게 형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단자 캡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단자 캡은 링단자 전체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있어 링단자 및 링단자와 결합되는 봉형단자를 모두 차폐할 수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을 보다 확실하게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단자 캡은 단자차폐부와 바렐 차폐부가 소정의 경사를 가지는 연결목부에 의해 연결되므로 단자차폐부가 봉형단자를 차폐하도록 설치되면 바렐차폐부가 봉형단자가 설치된 부분에서 분리되어 차량의 주행중에 소음 발생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소음문제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단자 캡에서 바렐차폐부에 케이블차폐부를 연결하여 두게 되면 케이블의 일부까지 차폐할 수 있어 절연 성능이 더욱 좋아지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자 캡은 고무와 같이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지므로 단자 및 케이블에 밀착될 수 있도록 치수설계가 가능하여 단자 캡의 설치에 소요되는 공간을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단자 캡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례의 단자 캡을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례의 단자 캡을 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례의 단자 캡을 구성하는 단자차폐부의 단자고정부를 보인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례의 단자 캡이 사용되는 것을 보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례의 단자 캡이 장착부에 장착된 상태와 케이블이 연장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의 단자 캡은 탄성이 있는 고무나 합성수지와 같은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실시례의 경우 단자 캡 전체가 일체로 된다.
본 고안의 단자 캡에는 단자차폐부(10)가 있다. 상기 단자차폐부(10)는 내부에 단자공간(12)이 형성된다. 상기 단자차폐부(10)는 본 실시례에서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하지만,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단자가 서로 결합되는 공간에서 차지하는 영역이 최소화되는 형상이면 된다.
상기 단자공간(12)은 상기 단자차폐부(10)의 일면으로 개방된다. 상기 단자공간(12)의 내부에는 단자고정부(14)가 형성된다. 상기 단자고정부(14)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그 내부에는 안착공간(16)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공간(16)의 횡단면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원의 일부가 겹쳐진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여기서 상기 원은 봉형단자(52)(도 5 참고)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지도록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공간(16)의 내면에 상기 봉형단자(52)의 외면이 밀착된다. 이와 같은 단자고정부(14)에 의해 상기 단자차폐부(10)가 봉형단자(52)에 결합되어 임의로 유동되지 않게 된다.
상기 단자차폐부(10)와 연결되어 연결목부(20)가 있다. 상기 연결목부(20)는 아래에서 설명될 바렐차폐부(30)와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연결목부(20)는 바렐차폐부(30)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단자차폐부(10)와 일체로 된다. 상기 연결목부(20)의 내부에는 연결공간(22)이 있는데, 여기에는 링단자(60)에서 봉형단자(52)에 결합되는 링형상부(62)와 바렐부(64) 사이 부분이 위치된다.
상기 연결목부(20)의 내부에 있는 연결공간(22)은 상기 단자차폐부(10)의 단자공간(12)과 같은 방향으로 개방된다. 이와 같이 개방된 연결공간(22)의 입구에 대응되는 양측에는 변형절개부(24)가 있다. 상기 변형절개부(24)는 상기 단자차폐부(10)와 연결목부(20)가 연결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변형절개부(24)는 상기 연결목부(20)에 대해 상기 단자차폐부(10)가 탄성변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변형절개부(24)가 있음으로 해서 상기 단자차폐부(10)가 상기 연결목부(20)에 대해 탄성변형되는 정도를 더 크게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목부(20)에 연결되어서는 바렐차폐부(30)가 있다. 상기 바렐차폐부(30)의 내부에는 바렐부공간(3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바렐부공간(32)에는 링단자(60)의 바렐부(64)가 위치된다. 상기 바렐부공간(32)은 상기 연결공간(22)과 연통되고 반대쪽은 아래에서 설명될 케이블차폐부(40)의 케이블공간(42)과 연통된다.상기 바렐차폐부(30)에는 상기 연결공간(22)에 인접한 단부 중앙에서 시작해서 상기 바렐차폐부(3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1변형슬릿(34)이 있다. 상기 제1변형슬릿(34)이 있음으로 해서 상기 바렐차폐부(30)의 탄성변형이 보다 자유롭게 될 수 있다. 즉, 상기 바렐차폐부(30)의 바렐부공간(32)에 위치되는 링단자(60)의 부분에 의해 상기 바렐차폐부(30)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상기 바렐차폐부(30) 내를 링단자(60)의 링형상부(62)가 통과할 때 또는 바렐차폐부(30)에 대해 링단자(60)가 유동될 때 작용하는 힘에 의해 바렐차폐부(30)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제1변형슬릿(34)의 내측 단부는 반원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이는 제1변형슬릿(34)의 내측 단부에 응력집중에 의한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변형슬릿(34)의 내측 단부를 보다 보강하기 위해서 반형형상으로 만들어진 내측 단부를 따라 슬릿단턱(36)이 형성된다. 상기 슬릿단턱(36)은 상기 바렐차폐부(30)의 외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변형슬릿(34)이 시작되는 상기 바렐차폐부(30)의 단부에는 단턱(3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턱(38)은 상기 바렐차폐부(30)의 단부를 따라 돌출되어 형성된 것으로, 상기 바렐차폐부(30)의 해당 부분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렐차폐부(30)에서 연장되어서는 케이블차폐부(40)가 있다. 상기 케이블차폐부(40)은 상기 바렐차폐부(30)에서 상기 연결목부(20)의 반대쪽에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차폐부(40)는 링단자(60)의 바렐부(64)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66)의 단부를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블차폐부(40)는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져 원기둥형상의 케이블(66)의 외면에 내면이 밀착되게 한다.
상기 케이블차폐부(40)의 내부에는 케이블공간(42)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공간(42)에는 케이블(66)이 위치된다. 상기 케이블공간(42)은 상기 바렐부공간(32)과 일측이 연통되고 타측이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케이블차폐부(40)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바렐부(64)에 인접한 케이블(66)의 단부를 차폐함에 의해 바렐부(64)에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노출된 심선과 외부의 절연을 위해 유용하다.
상기 케이블차폐부(40)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길게 제2변형슬릿(44)이 형성된다. 상기 제2변형슬릿(44)은 케이블차폐부(40)의 탄성변형이 보다 쉽게 일어나도록 한다. 상기 제2변형슬릿(44)은 상기 케이블차폐부(40)의 길이의 절반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이는 케이블(66)이 링단자(60)의 바렐부(64)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변형슬릿(44)은 또한 케이블차폐부(40)에 한쌍이 180도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즉, 상기 케이블차폐부(40)의 중심선에 대해 대칭이 되게 제2변형슬릿(4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케이블(66)의 연장방향이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제2변형슬릿(44)의 내측 단부에는 응력집중을 방지하기 위한 라운드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라운드부(46)는 본 실시례에서 원형으로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0은 봉형단자(52)가 구비되는 장착부이고, 54는 고정너트, 56은 버스바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단자 캡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단자 캡은 링단자(60)와 케이블(66)의 선단을 외부와 차폐하면서 동시에 상기 링단자(60)와 결합되는 봉형단자(52)를 차폐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상기 링단자(60)와 케이블(66)을 차폐하게 된다. 상기 케이블(66)에 링단자(60)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차폐부(40)를 통해 상기 링단부(60)의 링형상부(62)를 삽입하여 상기 바렐차폐부(30)를 통과하여 상기 링형상부(62)가 상기 단자차폐부(10)의 단자공간(12)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케이블(66)에 상기 링단자(60)를 결합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케이블(66)을 상기 케이블차폐부(40)와 바렐차폐부(30)를 통과시켜 상기 단자차폐부(10)의 단자공간(12)을 통해 연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링단자(60)를 케이블(66)에 결합하고, 상기 링단자(60)의 바렐부(64)를 상기 바렐차폐부(30)에 위치되도록 케이블(66)을 역방향으로 이동시킴에 의해 단자 캡으로 링단자(60)와 케이블(66)을 둘러싸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단자 캡이 씌워진 링단자(60)를 상기 장착부(50)의 봉형단자(52)에 결합한다. 즉, 상기 봉형단자(52)가 상기 링단자(60)의 링형상부(62)를 관통하도록 하고, 상기 고정너트(54)를 상기 봉형단자(52)에 체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단자차폐부(10)를 상기 연결목부(20)를 중심으로 젖혀서 상기 링단자(60)와 봉형단자(52)가 노출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변형절개부(24)가 있음으로 해서 상기 단자차폐부(10)가 충분히 젖혀져 상기 링단자(60)와 봉형단자(52) 등을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너트(54)를 상기 봉형단자(52)에 체결하여 상기 링단자(60)의 링형상부(62)가 상기 버스바(56)에 밀착되면 상기 단자차폐부(10)를 원형으로 복원시킨다. 이때, 상기 단자차폐부(10)의 단자고정부(14)에 상기 봉형단자(52)의 선단이 압입되어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단자차폐부(10)가 상기 봉형단자(52)에 대해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일정 이하의 외력에 의해서는 상기 단자차폐부(10)가 상기 봉형단자(52)를 차폐하고 있는 상태가 훼손되지 않고, 단자차폐부(10)에 외력이 작용하여 어느 정도 탄성변형되었다가도 원래의 상태로 쉽게 복원될 수 있어 봉형단자(52)와 링단자(60)를 차폐하는 상태가 그대로 잘 유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자차폐부(10)와 봉형단자(52)가 항상 정확한 상대 위치에 있을 수는 없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단자차폐부(10)의 단자고정부(14)가 완전한 정원이 아니고 2개의 원의 일부가 겹쳐지게 했으므로 단자차폐부(10)와 단자고정부(14) 사이의 상대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되지 않았더라도 상기 단자고정부(14)에 봉형단자(52)가 삽입될 수 있고, 특히 상기 단자고정부(14)가 일체로 형성된 단자차폐부(10)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재질이므로 어느 정도의 오차에 상관없이 상기 봉형단자(52)가 상기 단자고정부(14)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링단자(60)에 연결되어 있는 케이블(66)은 상기 케이블차폐부(40)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지 않고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들이 많다. 이때, 상기 케이블차폐부(40)에 형성된 상기 제2변형슬릿(44)들은 상기 케이블차폐부(40)의 일부가 탄성변형되어 케이블(66)이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케이블(66)에서 상기 링단자(60)의 바렐부(64)에 연결된 부분에 인접한 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상기 케이블차폐부(40) 중에서 상기 제2변형슬릿(44)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 때문이다. 이와 같이 케이블차폐부(40)에 의해 케이블(66)이 차폐됨에 의해 절연성능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바렐부(64)에는 케이블(66)의 심선이 노출된 상태로 있게 되는데, 이 부분들이 외부와 절연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블차폐부(40)와 바렐차폐부(30)가 역할을 한다.
그리고, 도 5를 보면, 본 고안의 단자 캡에서 상기 바렐차폐부(30)가 상기 장착부(5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바렐차폐부(30)가 상기 장착부(50)에 접촉되거나 인접하여 있지 않으므로 차량의 주행중에 발생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상기 바렐차폐부(30)가 상기 장착부(50)에 접촉되면서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상기 단자고정부(14)의 안착공간(16)의 횡단면은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2개의 원의 일부가 겹쳐져 형성되나, 상기 단자고정부(14)의 안착공간(16)의 횡단면은 다수개의 원이 서로 인접한 것끼리 일부가 겹치도록 열을 지어 배치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10: 단자차폐부 12: 단자공간
14: 단자고정부 16: 안착공간
20: 연결목부 22: 연결공간
24: 변형절개부 30: 바렐차폐부
32: 바렐부공간 34: 제1변형슬릿
36: 슬릿단턱 38: 단턱
40: 케이블차폐부 42: 케이블공간
44: 제2변형슬릿 46: 라운드부
50: 장착부 52: 봉형단자
54: 고정너트 56: 버스바
60: 링단자 62: 링형상부
64: 바렐부 66: 케이블

Claims (9)

  1. 장착부에 설치된 봉형단자와 결합되는 링단자를 둘러싸는 탄성재질로 만들어진 단자 캡에 있어서,
    상기 링단자의 링형상부와 상기 봉형단자가 위치되는 단자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봉형단자가 압입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된 단자고정부가 상기 단자공간 내에 형성되는 단자차폐부와,
    상기 단자차폐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내부에 연결공간이 형성되는 연결목부와,
    상기 연결목부와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일체로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연결공간과 연통되는 바렐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링단자의 바렐부가 케이블과 연결된 상태로 위치되는 바렐차폐부와,
    상기 바렐차폐부에서 상기 연결목부의 반대쪽 단부에는 상기 케이블의 외면에 내면이 밀착되어 차폐하도록 형성되는 케이블차폐부를 포함하는 단자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고정부의 안착공간의 횡단면 형상은 다수개의 원이 서로 인접한 것끼리 겹치도록 열을 지어 형성되고 각각의 원의 직경은 상기 봉형단자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단자 캡.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차폐부와 연결목부의 사이에는 변형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단자차폐부가 연결목부에 대해 탄성변형되면서 젖혀 질 수 있게 하는 단자 캡.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렐차폐부의 일단부 중간부에서 시작해서 제1변형슬릿이 바렐차폐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제1변형슬릿의 내측 단부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단자 캡.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변형슬릿의 내측 단부를 따라서는 슬릿단턱이 형성되는 단자 캡.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바렐차폐부의 일단 단부를 따라서는 단턱이 형성되는 단자 캡.


  7. 삭제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차폐부에는 제2변형슬릿이 상기 케이블차폐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상기 제2변형슬릿은 상기 케이블차폐부에 한쌍이 형성되는 단자 캡.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변형슬릿의 길이는 상기 케이블차폐부의 길이의 절반보다 길게 형성되는 단자 캡.
KR2020140007645U 2014-10-21 2014-10-21 단자 캡 KR2004811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645U KR200481121Y1 (ko) 2014-10-21 2014-10-21 단자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645U KR200481121Y1 (ko) 2014-10-21 2014-10-21 단자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396U KR20160001396U (ko) 2016-04-29
KR200481121Y1 true KR200481121Y1 (ko) 2016-08-17

Family

ID=55916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645U KR200481121Y1 (ko) 2014-10-21 2014-10-21 단자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121Y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9886A (ja) * 2012-10-30 2014-05-15 Yazaki Corp バッテリターミナル用カバ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66569B2 (ja) * 1993-12-27 1999-03-08 矢崎総業株式会社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ブロック
KR0139709Y1 (ko) 1995-10-13 1999-05-15 한승준 차량의 배터리 캡
JP3489719B2 (ja) * 1998-03-02 2004-01-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ターミナルキャップのロック構造
KR20010066685A (ko) 1999-12-31 2001-07-11 이계안 배터리 케이블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89886A (ja) * 2012-10-30 2014-05-15 Yazaki Corp バッテリターミナル用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396U (ko) 2016-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48542A1 (en) Wire harness, electrical wire protector, and electrical wire holder
KR102298899B1 (ko) 전기 장치
US8253021B2 (en) Motor cable device
US8790137B2 (en) Fitting structure for inner holder and shield shell
US10411370B2 (en) High-voltage cable set
JP2016526267A (ja) 接触部品
KR20190051060A (ko) 보호 플러그
US20150207258A1 (en) Connecting cable
JP6334359B2 (ja) シールドコネクタの固定構造
KR102118030B1 (ko) 모터의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WO2014194997A1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for a shock absorber rod
US10008784B2 (en) Terminal fitting fixing structure and wire harness
KR200481121Y1 (ko) 단자 캡
JP6040056B2 (ja) コネクタの防水構造
WO2018186338A1 (ja) コネクタ
US11335476B2 (en) Wire harness
KR20180049848A (ko) 고전압 퓨즈 제조 공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고전압 퓨즈
JP6487765B2 (ja) コネクタ付き電線
KR20160002379U (ko) 고전압 커넥터용 접지장치
JP6540449B2 (ja) 接続構造及び接続部保護部材
KR101754873B1 (ko) 쉴드 도전체
JP6729136B2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794698B2 (ja) 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101692815B1 (ko) 커넥터 리어커버
KR20110005758U (ko) 접지용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