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0175Y1 - Stand for mobile - Google Patents

Stand for mobi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0175Y1
KR200480175Y1 KR2020140007263U KR20140007263U KR200480175Y1 KR 200480175 Y1 KR200480175 Y1 KR 200480175Y1 KR 2020140007263 U KR2020140007263 U KR 2020140007263U KR 20140007263 U KR20140007263 U KR 20140007263U KR 200480175 Y1 KR200480175 Y1 KR 2004801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obile device
powder
present
cla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26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01238U (en
Inventor
임동인
Original Assignee
(주)정인일렉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정인일렉텍 filed Critical (주)정인일렉텍
Priority to KR20201400072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0175Y1/en
Publication of KR201600012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238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01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0175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1Supports for sets, e.g. incorporating arm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바일기기의 양측 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집게 타입의 고정체를 포함하는 집게 타입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집게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 거치부를 갖는 조절 분체가 해당 집게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되어, 조절 분체의 길이 조절됨으로써, 모바일기기가 견고하게 거치됨과 동시에, 모바일기기의 거치 각도가 조절되어, 사용자에게 적절한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모바일기기의 양측 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집게 타입의 고정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체의 집게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는 거치부를 갖는 조절 분체가 해당 집게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조절 분체의 길이 조절에 따라 거치되는 모바일기기의 거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mp type cradle including clamping type clamps for pressing and fixing both ends of a mobile device, wherein the clamping force of the clamping claws on either or both of the clamps of the clamping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p type cradle for a mobile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proper viewing angle to a user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adjustable powder to thereby firmly mount the mobile device and adjust the mounting angle of the mobile device.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law type cradle for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base; And a clamping type fixture coupled to the base and pressing and fixing both ends of the mobile device, wherein either or both of the clamps of the fixture are provided with a regulating powder having a fixture, And the sliding angle of the mobile devic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length of the adjustment powder.

Description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STAND FOR MOBILE}{STAND FOR MOBILE}

본 고안은 모바일기기의 양측 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집게 타입의 고정체를 포함하는 집게 타입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의 집게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 거치부를 갖는 조절 분체가 해당 집게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되어, 조절 분체의 길이 조절됨으로써, 모바일기기가 견고하게 거치됨과 동시에, 모바일기기의 거치 각도가 조절되어, 사용자에게 적절한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는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mp type cradle including clamping type clamps for pressing and fixing both ends of a mobile device, wherein the clamping force of the clamping claws on either or both of the clamps of the clamping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ip type cradle for a mobile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proper viewing angle to a user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adjustable powder to thereby firmly mount the mobile device and adjust the mounting angle of the mobile device.

현대인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기타 내비게이션 등의 다양한 모바일기기를 시간 및 장소에 무관하게 사용하고 있으며, 업무용, 오락용, 정보습득용, 학습용, 지리 안내용 등으로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Hyundai is using various mobile devices such as smart phone, tablet PC and other navigation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It is used variously for business, entertainment, information acquisition, learning, and geographical contents.

책상이나 테이블 비치 시, 이동 시, 차량 고정 시 편리성을 얻기 위하여 다양한 모바일기기용 거치대 또는 마운트(mount)가 제시된 바 있다.A variety of mounts or mounts for mobile devices have been proposed to provide convenience in fixing the vehicle when moving on a desk, table, or moving.

예를 들어 공개특허 제10-2013-0080201호(2013.07.12.)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거치장치"가 있는데, 이 공개특허는 차량 핸들(Steering wheel)의 원형 림(rim)과 허브 사이에 체결되고, 핸들의 회전 방향에 감응하는 차량 내비게이션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폰을 거치시켜 운전 중 내비게이션을 안정적으로 주시할 수 있는 스마트폰 내비게이션 거치장치를 제공하고 있다.There is, for example, a "smartphone navigation mounting device ", which is fastened between a round rim of a steering wheel and a hub,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martphone navigation device for stably observing navigation during driving by mounting a smartphone equipped with a car navigation application that is sensitive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handle.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는 차량 핸들에 장착하는 점에서 특이한 반면에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가 장착되는 거치패널(거치대)에 대한 것은 종래 다양한 기술과 차이점이 없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patents are unique in that they are mounted on a vehicle handle, while there is no difference from a conventional technology for a mounting panel (mount) on which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is mounted.

즉, 상기 공개특허의 거치패널(거치대)은 실용신안등록 제20-0163819호(1999.10.04.) "폴더타입 휴대용단말기의 홀스터"와 대동소이한 것이어서, 다양한 크기의 모바일기기를 범용적으로 거치하는 기술과는 거리가 있다.That is, the mounting panel of the above-mentioned patent is similar to the "Holster of Foldable Type Portable Terminal" in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63819 (Oct. 4, 1999) It is far from the technology to do.

다른 선행기술로써, 공개특허 제10-2012-0114526호(2012.10.17.) "집게식 단말기 거치대"(이하 종래기술이라 함.)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집게 타입으로 간단하게 단말기(모바일기기)를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말기(모바일기기)의 크기나 종류 등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이 가능해 경제적인 집게식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As another prior art, there is a " clamping-type terminal hold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nventional techniqu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012-0114526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economical pull-up type terminal holder which can be used universally regardless of the size or kind of a terminal (mobile device).

상기 종래기술의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프레임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일단에 각도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누름 여부에 따라 단말기(이하 모바일기기로 통칭함.)가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집게부재와, 상기 프레임부재의 타단에 구비되며 회동 여부에 따라 상기 집게부재가 연결된 상기 프레임부재를 탈착 가능하게 부착시키는 부착수단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frame member, a clamp memb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rame member in an angle-adjustable manner and detachably fixed to a terminal depending on whether the frame member is pushed, And attaching mean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frame member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frame member connected to the clamping member depending on whether the frame member is pivoted or not.

상기 종래기술은 모바일기기의 크기에 따라 집게부재가 벌어지는 각도가 달라지면서 모바일기기를 고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모바일기기의 크기나 종류가 달라지면, 집게부재의 회동 집게판이 회동되는 각도 역시 달라지기 때문에, 모바일기기가 고정되는 각도가 변위되므로,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적절한 각도로 볼 수 있는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해선 상기 집게부재의 각도 조절 및 방향 전환이 필요하다.The angle of the pivot member of the pivot member is changed when the size or type of the mobile unit is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pivot member. Since the angle at which the mobile device is fixed is displaced,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angle and change the direction of the gripper member in order to secure a viewing angle at which the user can view the mobile device at an appropriate angle.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집게부재와 프레임부재의 연결부제 구체관절돌기를 도입하여 집게부재를 프레임부재 상에서 각도 조절 및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conventional art introduces the articulated joint protrusion of the coupling member and the frame member to adjust the angle and direction of the clamping member on the frame member.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기술은 구체관절돌기 및 이를 수용하는 수용홈 등의 구성이 추가됨에 따라 거치대의 구조가 복잡해져 제조 단가의 상승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거치대를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구체관절돌기를 통한 각도 조절 및 방향 전환 상태를 유지시키는 고정력이 저하되어, 사용자가 적절한 시야각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art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since the structure of the articular joint protrusion and the receiving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articular joint protrusion are added, the structure of the cradle becomes complicated, resulting in an increase in the manufacturing cost. Further, when the cradle is used for a long time, The fixation force for maintaining the angle adjustment and the direction switching state is decreased, and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secure an appropriate viewing angle.

특히, 현대의 모바일기기가 예전과 달리, 다양한 콘텐츠의 활용을 위해 대형화되고 있는 추세를 감안할 때, 소형의 모바일기기에 비하여 그 무게를 경량화하는데 한계가 있고,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조의 거치대는 모바일기기의 하중에 의하여 각도 조절(특히, 상하 각도 조절)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In particular, considering the tendency of modern mobile devices to be enlarged to utilize various contents unlike the past, there is a limitation in weight reduction compared to a small mobile device.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angle adjustment (particularly, the vertical angle adjustment) by the load of the screw.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집게 타입 모바일기기용 거치대의 제조 편의성 확보 및 제조 단가 절감에 유리하며, 모바일기기의 크기나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거치 각도를 쉽게 조절함과 동시에, 거치대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거치 각도 조절에 따른 고정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정체의 집게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길이 조절이 되는 거치부를 구비한 조절 분체를 포함하는 집게 타입 모바일기기용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dvantageous in manufacturing convenience of the claw type mobile cradle and reduction of manufacturing cost, and the user can easily adjust the cradle angle regardless of the size or type of the mobile device, and at the same time, Which is slidably coupled to one or both of the clamps of the clamping body so as to prevent the clamping member from being deteriorated.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조절 분체가 해당 집게발에서 길이 조절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여, 모바일기기를 안정적으로 고정, 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조절 분체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clamping device for a mobile device, comprising: a clamping device for clamping the clamping powder so that the clamping force is firmly maintained in a length-controlled state of the clamping device, And to provide the above-mentioned objects.

또한 본 고안은 상기 고정체의 집게발들이 상시적으로 오므려지도록 함으로써, 모바일기기가 가압되면서 거치될 수 있도록 집게발들이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relates to a mobile device clamping type cradle further comprising a resilient member that exert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rips are pinched so that the mobile device can be held while being pressed by allowing the clamps of the fixture to be always pinched, And to provide the above-mentioned object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는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aw-

베이스; 및Base; And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며, 모바일기기의 양측 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집게 타입의 고정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And a clamping type fixture coupled to the base and pressing and fixing both end portions of the mobile device,

상기 고정체의 집게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는 거치부를 갖는 조절 분체가 해당 집게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조절 분체의 길이 조절에 따라 거치되는 모바일기기의 거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adjustment powder having a mounting portion is slidably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ippers so that the mounting angle of the mobile devic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adjustment of the length of the adjustment powder. do.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에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조절 분체의 길이 조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fixture further comprises fix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length of the adjustable powder in the clamping type hold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에서 상기 고정체는 집게발들이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lamp type cradle for a mobile device, the clamping body further includes an elastic member exhibit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lamps are pinched.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에서 상기 고정체는 상기 베이스에 회동축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회동축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case of the clamp type crad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ture is coupled to the base through a pivot shaft so as to rotate about the pivot shaft.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는 집게 타입의 고정체를 도입하여,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잡고 집게발을 벌리면서 거치부에 모바일기기를 위치시켜 모바일기기의 거치 시 안전성 및 편리성을 확보하고, 동시에, 집게발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 길이 조절되도록 결합된 조절 분체를 도입하여, 거치될 모바일기기의 크기나 종류 등에 따라 고정체가 벌어지는 각도에 맞게 조절 분체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모바일기기가 거치되는 각도가 조절되므로, 베이스와 고정체의 연결구조에 별도의 각도 조절 또는 방향 전환 수단을 도입할 필요가 없어, 집게 타입 거치대의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으므로, 가격 경쟁력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고안이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mp type cradle for a mobile device introduces a clamp type fixture to secure the safety and convenience in placing the mobile device by positioning the mobile device in the cradle while the user holds the mobile device and spreads the claws At the same time,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adjustable powder to adjust the length of the fixture according to the size or kind of the mobile device to be mounted, It is not necessary to introduce a separate angle adjusting or direction changing means into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base and the fixing body,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the clamping type holder and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Is a very advantageous design.

특히 종래의 거치대와 같이, 구체관절돌기를 도입할 경우 고정체를 이용해 모바일기기의 상, 하측 단부를 거치하여 고정시키면, 장기간 사용 시 모바일기기의 하중 등에 의하여 각도 조절 후 고정체가 하측으로 쏠려 거치 각도가 변위되는데 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는 상기한 문제점이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거치 각도로 모바일기기가 상시적으로 유지, 고정되기 때문에 모바일기기의 크기나 종류, 사용자의 키 등에 상관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시야각을 제공함으로써,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므로 범용성 및 효용성이 매우 뛰어나다.
Particularly, when the bony joint protrusion is introduced, as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mounting platform, whe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obile device are fixed by using the fixing device, when the mobile device is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angle of the mobile device is displaced. However, since the mobile device is constantly held and fixed at a desired holding angle without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size and type of the mobile device, Providing the viewing angle desired by the user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it is safe, it is excellent in versatility and utility.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는 조절 분체의 길이 조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 수단을 도입하여, 모바일기기를 거치한 상태에서 조절 분체의 길이 변위를 방지함으로써, 진동 등에 의하여 길이 조절 상태가 상실되거나, 모바일기기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amp type cradle for a mobile device is provided with fix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length of the adjusted powder to be maintained, thereby preventing displacement of the adjusted powder while the mobile device is mounted, Or the mobile devic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or separated.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는 탄성부재를 통해 고정체의 집게발들이 항상 오므려지는 상태가 유지되므로 모바일기기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고정력이 증대되어 보다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lamping members of the clamping type for a mobile device are kept in a state where the clamps of the clamping body are constantly held through the elastic member, the clamping force for pressing and fixing the mobile device is increased,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에서 조절 분체를 통해 모바일기기의 거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law type crad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law type crad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3 and 4 are side views for explaining that the mounting angle of the mobile device is adjusted through the adjustment powder in the clamp type hold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embodiments) which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can take various form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is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considering simplicity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sinc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second, third, etc.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re merely referred to in order to distinguish the different components from one another, and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y are manufactured, It may not match.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제1, 제2 거치부(22)(25)가 위치한 방향을 정면으로 하고,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전후 및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고안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clamp type holder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specified with reference to FIG. 1 that the direction is not strictly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lamp portions 22, Front and rear directions and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re set as they are in the visible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s specified according to this standard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esign related to the other drawings and in the claims .

또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모바일기기로써, 차량에 스마트폰을 가로 방향으로 거치시키는 실시예를 대표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태블릿 PC, 내비게이션 등 차량이나 테이블 등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목적의 모바일기기를 본 고안을 사용하여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의 권리 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 embodiment of mounting a smart phone in a lateral direction is described as a mobile devi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tablet PC, a navigation device, Mobile devices of various purposes can be mounted us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interpretation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restricted.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grip type crad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는 크게 거치대를 설치 대상물에 설치하기 위한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되어 모바일기기의 양측 단부를 집게 타입으로 가압, 고정하는 고정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1 and 2, the claw-type cradle for a mobil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10 for mounting a cradle on an object to be installed, a base 10 coupled to the base 10, And a fixing body 20 for pressing and fixing the pressing member 20 in a clamping type.

먼저 상기 베이스(10)는 설치수단의 형태, 방식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본 명세서의 도면과 같이, 차량 내의 대시보드 상면에 거치대를 부착, 고정하여 설치하는 경우에 베이스(10)는 판상의 부재로써, 하면에 양면테이프 또는 흡착판과 같은 장착부(12)가 구비되며,In the case where the base 10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ashboard in the vehicle as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10 is a plate- A mounting portion 12 such as a double-sided tape or a suction plate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차량 내의 전면 유리에 부착, 고정하여 거치대를 장착하는 경우에 베이스(10)는 별도의 흡착판을 구비한 설치부재(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base 10 may be combined with an installation member (not shown) provided with a separate suction plate when the base is attached and fixed to the windshield in the vehicle.

이때 본 고안에서 흡착판을 구비한 설치부재를 채용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10)와 설치부재 사이에 종래의 구체관절돌기 등과 같은 추가 구성이 필요 없으며,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흡착판을 구비한 설치부재는 고정체(20) 및 베이스(10)를 차량의 전면 유리에 고정하는 기능이면 족하므로, 종래의 다양한 설치수단을 본 고안에 적용하더라도, 거치 각도 조절을 위한 추가 구성이 불필요(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함.)하기 때문에 거치대의 전반적인 구조가 단순화되므로, 거치대의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 단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종래기술에 비해 큰 장점이 있다.In this case, when the mounting member having the suction plate is employ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no need for additional structure such as the conventional articulated joint protrusion between the base 10 and the mounting member.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It is sufficient to fix the fixing member 20 and the base 10 to the windshield of the vehicle. Therefore, even if the conventional various mounting means are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 configuration for adjusting the mounting angle is not necessary (in this connection, ),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cradle is simplified, so that the cradle can be easily manufactur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이밖에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에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설치수단(또는 설치부재)은 도면 및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구조나 구성 외에 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이러한 설치 구조는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징과는 연관성이 적을 뿐만 아니라, 이러한 수정, 변형, 치환 등은 본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이하 당업자라 함.)라면 충분히 예측하여 재현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권리 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means (or mounting member) that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base 10 may be variously known in addition to the structures and configurations described in the drawings and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se modifications, variations, and substitutions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invention, and that they may be reproduced and / or reproduc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This should not be limited.

다시 상기 베이스(10)는 볼트 등의 회동축(11)이 축설되어, 상기 고정체(20)를 구성하는 집게발(21)의 축결합부(21A)가 항기 회동축(11)에 결합되어 회동축(11)을 축으로 좌우(설치 방식 또는 위치 등에 따라 상하로도 가능함.) 방향으로 고정체(20)가 회전하여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base 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rotary shaft 11 such as a bolt and the shaft coupling portion 21A of the claw 21 constituting the fixing body 20 is coupled to the cage rotary shaft 11, So that the fixing body 2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coaxial shaft 11 in the left-and-right direction (which may be up or down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method or the position).

이어서 상기 고정체(20)는 모바일기기의 양측 단부(도면에서는 모바일기기의 상, 하측 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집게 타입의 부재로써, 집게발(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제2 집게발(21)(23)로 구분하여 설명함.)이 힌지 결합부(26)를 통해 결합되어 집게발들이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fixing body 20 is a clamping type member for pressing and fixing both ends of the mobile device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obile device in the figure), and the clamping device 20 is provided with a gripp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rst and second grippers (21) and (23)) are coupled through the hinge coupling portion 26 so that the claws can be opened or broken.

상기 고정체(20)를 구성하는 제1, 제2 집게발(21)(23)은 전방에 각각의 제1, 제2 거치부(22)(25)가 구비되어, 상기 거치부들 사이에 모바일기기의 상, 하측 단부가 끼워지면서 거치된다.The first and second claws 21 and 23 constituting the fixture 20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first and second fixtures 22 and 25 in front of the fixture 20,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plates are inserted and fixed.

이를 위해 상기 고정체(20)의 힌지 결합부(26)에는 상기 집게발들이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탄성부재(27;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 등)가 구비된다.For this, an elastic member 27 (for example, a coil spring or the like) which exert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laws are pinched is provided on the hinge engaging portion 26 of the fixture 20.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고정체(20)의 집게발을 벌린 상태에서 각각의 거치부에 모바일기기의 상, 하측 단부를 위치시킨 후 손을 놓게 되면, 집게발들이 오므라지면서 모바일기기를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places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mobile device on the respective mounting portions in a state in which the grips of the fixing device 20 are opened, when the hands are released, the grippers are pressed and fixed by pushing the grippers.

이때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할 모바일기기의 상하 높이가 다를 경우, 집게 타입의 고정체(20)는 벌어지는 각도가 커질수록 제2 집게발(23)의 제2 거치부(25)는 후방을 향하게 되므로, 이 상태에서 도 4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모바일기기(M)를 거치시키게 되면, 모바일기기의 상측 단부가 후방을 향해 눕게 되어, 모바일기기의 전면이 향하는 각도가 상측을 향하게 되므로 운전자 입장에서 적절한 시야각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종래의 거치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10) 또는 고정체(20)에 각도 조절 및 방향 전환 수단 등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밖에 없었다.3 and 4, when the vertical height of the mobile device to be mounted is different, the greater the angle at which the clamping type fixture 20 becomes larger, the more the second clamping portion 25 of the second clamping device 23 4, when the mobile device M having a relatively high height is mounted, the upper end of the mobile device is laid down to the rear side, It is difficult to secure an appropriate viewing angle in view of the driver because the angle of the front surface is directed toward the upper side. Therefore, the conventional mounting table is provided with an angle adjusting and direction changing means, etc., additionally to the base 10 or the fixing body 20 It had to be equipped.

반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간단한 구조를 통해 해소하여, 거치대의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체(20)의 제1, 제2 집게발(21)(23)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 길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되는 조절 분체(24)를 도입하였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rough a simple structur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laws 21 and 23 of the fixture 20 can be easily assembled, Adjustable powder 24, which is longitudinally adjustable in length, is introduced into either or both of them.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이러한 구조의 고정체(2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the fixture 20 having such a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되는 제1 집게발(21)은 전방 단부에 하측으로 오목한 홈 형태의 제1 거치부(22)가 구비되고, 후방 중앙에 축결합부(21A)가 마련되어 베이스(10)의 회동축(11)이 축 결합되면서 베이스(10)에 대하여 제1 집게발(21), 즉, 고정체(20)가 좌우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The first claw 21 coupled to the base 10 is provided with a groove-shaped first mounting portion 22 recessed downward at the front end thereof and a shaft coupling portion 21A at the rear center thereof, The first claw 21, that is, the fixture 20, is coupled to the base 10 so that the claw 21 can rotate left and right.

그리고 상기 제1 집게발(21) 후방 상측에 힌지 결합부(26)를 축으로 힌지 결합되는 제2 집게발(23)은 후방에 상측으로 절곡된 누름부(23a)가 마련되어 거치대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누름부(23a)를 가압하여 제2 집게발(23)이 제1 집게발(21)에 대하여 벌어질 수 있도록 한다.The second claw 23 hinged to the rear of the first claw 21 on the axis of the hinge coupling part 26 is provided with a pushing part 23a bent upward, So that the second claw 23 can be opened with respect to the first claw 21 by pressing the pressing portion 23a.

그리고 상기 제2 집게발(23)의 전방에는 상측으로 오목한 홈 형태의 제2 거치부(25)가 구비된 조절 분체(24)가 슬라이딩 결합되어, 제2 집게발(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조절 분체(24)의 위치가 변위되어 조절 분체(24)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설치된다.An adjustable powder 24 having an upwardly recessed groove-shaped second mounting portion 25 is slidingly coupled to the front side of the second claw 23 so as to be slidably coupled with the regulating powder 24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law 23, (24) is displac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adjustment powder (24).

상기 제1 집게발(21)과, 상기 조절 분체(24)에 구비된 거치부, 즉, 제1, 제2 거치부(22)(25) 내측면에는 탄성완충부(22a)(25a)가 구비되어 있어, 모바일기기를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보호함은 물론 소재 특유의 마찰력으로 거치된 모바일기기가 임의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Elastic cushioning portions 22a and 25a ar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claws 21 and 22, that is, the first and second cage portions 22 and 25, So as to protect the mobile device from shock or vibration, and also to prevent the mobile device, which is stuck with the friction force unique to the material, from being separated arbitrarily.

도 2의 상측 원내 A-A'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절 분체(24)는 양측단에 하측으로 절곡된 벽체들로 형성된 가이드홈(24A)이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홈(24A)에 상기 제2 집게발(23)의 양측단이 삽입되면서 슬라이딩 결합된다.As shown in the sectional view of the upper chamber AA 'of FIG. 2, the adjustment powder 24 is provided with guide grooves 24A formed by walls bent downward at both ends thereof, 2 Both ends of the nipple 23 are inserted and slidingly engaged.

따라서 도 3과 같이,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은 모바일기기(M)를 거치하는 경우, 상기 조절 분체(24)가 상기 제2 집게발(23)의 후방을 향해 길이가 짧아지도록 위치가 변위된 상태에서 제1, 제2 거치부(22)(25) 사이에 모바일기기가 고정되고, 이러한 경우, 제2 집게발(23)의 벌림 각도가 작으므로 모바일기기가 후방을 향해 눕혀지지 않고, 전방 상측을 향해 적절한 각도로 거치되므로 사용자는 별도의 각도 조절이 필요 없이 적절한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3, when the mobile device M having a relatively low height is mounted, the position of the adjustable powder 24 is shifted toward the rear of the second claw 23, The mobile device is fix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ortions 22 and 25. In this case, since the opening angle of the second claw 23 is small, the mobile device is not laid down toward the rear, Since it is mounted at an angle, the user can secure an appropriate viewing angle without any additional angle adjustment.

물론, 거치대의 장착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고정체(20)를 회동축(11)을 축으로 좌우 회전시켜, 모바일기기를 사용자가 가장 식별하기 쉬운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Of course, the fixing unit 20 can be rotated right and left about the pivot shaft 11 in accordance with the mounting position of the cradle, and the mobile device can be adjusted in a direction that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한편 도 4와 같이,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은 모바일기기(M)를 거치하는 경우, 상기 조절 분체(24)가 상기 제2 집게발(23)의 전방을 향해 길이가 길어지도록 위치가 변위된 상태에서 제1, 제2 거치부(22)(25) 사이에 모바일기기가 고정되고, 이러한 경우, 제2 집게발(23)의 벌림 각도가 커짐에도 불구하고, 조절 분체(24), 즉 제2 거치부(25)가 전방을 향해 돌출되므로, 결국 모바일기기가 도 3에 상응하는 적절한 각도(제1, 제2 거치부(22)(25)를 잇는 가상의 연장선)로 거치됨에 따라, 이 역시도 사용자는 별도의 각도 조절이 필요 없이 적절한 시야각을 확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4, when the mobile device M having a relatively high height is mounted, the position of the adjustable powder 24 is displaced toward the front of the second claw 23, The mobile device is fix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ortions 22 and 25. In this case, the adjustment powder 24, that is, the second mounting portion 23 25 are forwardly protruded, the mobile device is eventually mounted at an appropriate angle (a virtual extension line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ortions 22, 25) corresponding to Fig. 3, It is possible to secure an appropriate viewing angle without the need of adjusting the angle of the lens.

한편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베이스(10)에 결합되지 않은 제2 집게발(23)에만 상기 조절 분체(24)가 결합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 반대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In the drawings, the adjustment powder 24 is shown to be coupled only to the second nail 23 that is not coupled to the base 10, but the opposite configuration is also possible.

즉, 상기 베이스(10)의 하면에 흡착판(미도시) 등의 설치수단이 구비되어 베이스(10)를 차량의 전면 유리 등에 부착하여 장착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구조의 조절 분체(24)가 제2 집게발(23)이 아닌 제1 집게발(21)에 구비됨으로써, 조절 분체(24)의 길이 조절에 따른 모바일기기의 거치 각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mounting means such as a suction plate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10 so that the base 10 can be attached to the front glass of the vehicle or the like. In this embodiment, 24 are provided on the first nipple 21 rather than the second nipple 23 so that the angle of the mobile device with respect to the adjustment of the length of the adjustable powder 24 can be adjusted.

뿐만 아니라, 상기한 구조의 조절 분체(24)를 제1, 제2 집게발(21)(23) 모두에 적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설치수단의 형태, 장착 위치 등에 구애받지 않고, 거치부가 구비된 조절 분체(24)들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모바일기기를 범용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측면에서는 제1, 제2 집게발(21)(23) 모두에 상기 조절 분체(24)가 적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the regulated powder 24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o both the first and second claws 21 and 23.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reely change the positions of the adjustable powders 24 provided to the first and second claws 21 and 23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laws 21 and 23 can be used with various kinds of mobile devices, (24) may be applied.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조절 분체(24)의 길이를 조절하는 단순한 동작만으로도 모바일기기의 크기나 종류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시야각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특히 종래의 거치대와 달리 별도의 각도 조절 수단을 적용할 필요가 없어 제작이 쉽고, 제조 단가를 절감(단순 구조의 조절 분체(24)를 제작하여 조립하는 것은 종래의 구체관절돌기 등을 추가로 구비하여 별도의 설치부재 등에 조립, 결합하는 것보다 제조 용이성 및 제조 단가 절감의 측면에서 유리함은 자명함.)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stant viewing angle regardless of the size or type of the mobile device by a simple operation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adjustable powder body 24, so that it is convenient to use. Especially, (The adjustment powder 24 having a simple structure is manufactured and assembled by additionally providing conventional spherical joint protrusions or the like and assembled to a separate mounting member or the like) It is obvious that it is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ease of manufacture and reduction of manufacturing cost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method).

특히, 종래의 집게 타입 거치대의 경우, 집게발의 길이가 일정하므로 거치부 사이에 고정되는 모바일기기의 높이는 집게발들이 벌어지는 각도에 한정될 수밖에 없으므로, 스마트폰과 태블릿 PC와 같이 완전 상이한 높이를 갖는 모바일기기를 하나의 거치대만으로 거치하는데 한계가 있으나,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clamp type cradle, since the length of the claw is constant, the height of the mobile device fixed between the cradles is limited to the angle at which the claws are opened. Therefore, To a single cradle,

본 고안과 같이 조절 분체(24)를 도입하게 되면, 집게발들이 벌어지는 각도에 상관없이 제1, 제2 거치부(22)(25)들 사이의 너비를 보다 넓은 범위로 변경할 수 있으므로, 모바일기기의 크기나 종류에 상관없이 거치대를 범용적으로 사용하는데 보다 유리한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Since the width of the first and second mounting portions 22 and 25 can be changed to a wider range regardless of the angle at which the grippers are opened by introducing the adjustment powder 24 as in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is there a more beneficial effect in using the cradle universally, regardless of size or type,

모바일기기의 높이가 높아져 집게발들이 벌어짐 각도가 커지더라도, 집게발들이 오므려지도록 힘이 작용하는 방향과, 모바일기기가 직립된 방향이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모바일기기가 홈 형태의 거치부 중앙에 정확하게 거치될 수 있기 때문에 탄성부재(27)의 탄성력에 의한 견고한 거치가 가능하다.Even when the height of the mobile device is increased and the angles of the claws increase,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ce acts to close the claws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bile device stands up are formed to be the same, It is possible to securely fix the elastic member 27 due to the elastic force thereof.

참고로, 미설명 부호 21B는 제1 집게발(21)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리브이다.
Reference numeral 21B denotes a rib for securing the rigidity of the first nipple 21.

다음으로 본 고안은 상기 조절 분체(24)의 길이 조절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 수단(28)을 포함한다.Nex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means 28 for maintaining the length of the adjustment powder 24.

상기 고정 수단(28)은 부재들의 길이 조절을 고정할 수 있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는데, 본 고안은 특히 암수 체결 방식을 통해 조절 분체(24)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fixing means 28 can apply various known methods for fixing the length of the members.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fix the adjusting powder 24, in particular, through the male and female coupling methods.

이를 위하여, 상기 조절 분체(24)와 제2 집게발(23)이 접하는 양면(도면에서는 조절 분체(24)의 하면과, 제2 집게발(23)의 상면)에는 각각 제2 집게발(23)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23b)과, 하나의 고정 돌기(24a)가 구비되어, 조절 분체(24)의 위치 변위에 따라 상기 고정 돌기(24a)가 고정홈(23b)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조절 분체(24)의 길이 조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The length of the second nipple 23 is set on both sides of the control powder 24 and the second nipple 23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lower surface of the powdered powder 24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nipple 23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23b and a fixing protrusion 24a are formed in the fixing grooves 23b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s 24a are displaced by one of the fixing grooves 23b So that the controllable powder 24 is maintained in its length-controlled state.

도면에서는 상기 제2 집게발(23)의 상면에 복수개의 고정홈(23b)이 일렬 배열되어 있고, 조절 분체(24)의 하면에 고정 돌기(24a)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그 반대의 구성 역시 가능하다.In the figure,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23b are arranged in a row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law 23, and fixing protrusions 24a are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rol powder 24, Configuration is also possible.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홈(23b)들과 고정 돌기(24a)로 구성된 고정 수단(28)을 도입하는 경우, 고정 돌기(24a)를 고정홈(23b)에서 이탈시켜 조절 분체(24)의 길이를 조절할 때 상당한 힘이 필요로 하므로, 본 고안은 상기 고정 돌기(24a)가 고정홈(23b)에 삽입 및 이탈이 쉽게 이루어지도록, 고정 돌기(24a)를 고정홈(23b)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가압부(24B)에 구비함으로써, 고정 돌기(24a)를 고정홈(23b)에서 보다 쉽게 이탈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고정 돌기(24a)가 고정홈(23b)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그 상태가 보다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Meanwhile, when the fixing means 28 composed of the fixing grooves 23b and the fixing protrusions 24a are introduced, the fixing protrusions 24a are released from the fixing grooves 23b, The fixing protrusion 24a is elastically supported in the direction of the fixing groove 23b so that the fixing protrusion 24a can be easily inserted into and removed from the fixing groove 23b The fixing protrusion 24a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fixing groove 23b and the fixing protrusion 24a can be detached from the fixing groove 23b when the fixing protrusion 24a is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23b.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firmly.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고정 돌기(24a)는 상기 조절 분체(24)의 일부가 절개된 절개부(24b)로 둘러싸인 가압부(24B)의 하면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23b)들은 상기 제2 집게발(23)의 상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오목 형성된다.2, the fixing protrusions 24a are protrude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portion 24B surrounded by the cutout portions 24b of the adjusting powder 24, and the fixing grooves 23b And is recess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law 23.

상기 가압부(24B)는 3면이 조절 분체(24)와 단절된 절개부(24b)로 둘러싸여 일부만이 조절 분체(24)와 연결된 상태로, 가압부(24B)는 조절 분체(24)의 소재 특성의 탄성력에 의하여 하측을 향하도록 탄성 지지되므로, 조절 분체(24)를 전방이나 후방을 향해 밀게 되면, 가압부(24B)가 들리면서 고정 돌기(24a)가 고정홈(23b)에서 이탈되어 조절 분체(24)의 위치 조절이 용이하고, 이 상태에서 고정 돌기(24a)가 다른 고정홈(23b)에 도달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고정 돌기(24a)가 다른 고정홈(23b)에 삽입되어 조절 분체(24)가 고정된다.The pressing portion 24B is surrounded by the cutting powder 24 and the cut portion 24b of which three sides are surrounded by the cutting powder 24 and the pressing portion 24B is connected to the powder powder 24, When the adjustment powder 24 is pushed forward or backward, the pressing portion 24B is lifted and the fixing protrusion 24a is released from the fixing groove 23b, When the fixing protrusion 24a reaches the other fixing groove 23b in this state, the fixing protrusion 24a is naturally inserted into the other fixing groove 23b so that the adjustment powder 24 24 are fixed.

이러한 구조의 가압부(24B) 및 고정 돌기(24a)는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절 분체(24)가 아닌 제2 집게발(23)에도 적용 가능하고, 이 경우 고정홈(23b)은 조절 분체(24)의 하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sing portion 24B and the fixing protrusion 24a having such a structure are applicable to the second nipple 23 instead of the adjusting powder 24. In this case, the fixing groove 23b is formed by the adjusting powder 24 )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따라서 본 고안은 조절 분체(24)의 길이를 조절하여 거치부들 사이에 모바일기기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상태가 고정 수단(28)을 통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충격이나 진동에 의하여 조절 분체(24)가 본래의 위치에서 벗어나, 모바일기기가 거치대에서 분리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mounting a mobile device between the mounting portions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adjustment powder 24, and this state can be firmly maintained through the fixing means 28,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wder 24 from deviating from its original position and to prevent the mobile device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radle.

이상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precise embodiments, and it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 arrangements, And substitutions are to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M, M : 모바일기기
10 : 베이스 11 : 회동축
20 : 고정체 21 : 제1 집게발
21A : 축결합부 22 : 제1 거치부
22a : 탄성완충부 23 : 제2 집게발
23a : 누름부 23b : 고정홈
24 : 조절 분체 24A : 가이드홈
24B : 가압부 24a : 고정 돌기
24b : 절개부 25 : 제2 거치부
25a : 탄성완충부 26 : 힌지 결합부
27 : 탄성부재 28 : 고정 수단
M, M: Mobile devices
10: Base 11: Pivot shaft
20: Fixture 21: 1st nipple
21A: shaft coupling portion 22: first mounting portion
22a: elastic buffering portion 23: second nipple
23a: pressing portion 23b: fixing groove
24: Adjustable powder 24A: Guide groove
24B: Pressurizing portion 24a: Fixing projection
24b: incision part 25: second mounting part
25a: elastic buffering part 26: hinge coupling part
27: elastic member 28: fixing means

Claims (4)

베이스(10); 및
상기 베이스(10)에 결합되며, 모바일기기(M)의 양측 단부를 가압하여 고정하는 집게 타입의 고정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체(20)의 집게발(21)(23)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 모두에는 거치부를 갖는 조절 분체(24)가 해당 집게발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조절 분체(24)의 길이 조절에 따라 거치되는 모바일기기(M)의 거치 각도가 조절되고,
상기 고정체(20)는 상기 조절 분체(24)의 길이 조절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 수단(28)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 수단(28)은
상기 조절 분체(24)와, 해당 집게발이 접하는 양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고정홈(23b)과, 하나의 고정 돌기(24a)로 구성되어, 상기 조절 분체(24)의 위치 변위에 따라 상기 고정 돌기(24a)가 고정홈(23b)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조절 분체(24)의 길이 조절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고정 돌기(24a)는, 3면이 단절되어 형성된 절개부(24b)로 둘러싸인 가압부(24B)에 형성되어, 고정홈(23b)을 향하도록 탄성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
A base 10; And
And a clamping type fixing device 20 coupled to the base 10 for pressing and fixing both ends of the mobile device M,
The adjustment powder 24 having a mounting portion is slidingly coup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nippers to any one or both of the nibs 21 and 23 of the fixing member 20 to adjust the length of the adjustment powder 24. [ The mounting angle of the mobile device (M)
The fixture (20) further includes fixing means (28) for maintaining the length of the adjustment powder (24)
The fixing means (28)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23b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fixing protrusion 24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regulated powder 24 and the nippers to contact the regulating powder 24, The fixing protrusions 24a are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fixing grooves 23b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al displacement of the adjusting powder 24,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protrusion 24a is formed in a pressing portion 24B surrounded by a cutout portion 24b formed by cutting off three surfaces and is elastically supported so as to face the fixing groove 23b. hold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분체(24)는 양측단에 하측으로 절곡된 벽체들로 형성된 가이드홈(24A)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홈(24A)에 해당 집게발의 양측단이 삽입되면서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djustable powder 24 has guide grooves 24A formed at the opposite ends of the wall and formed with walls bent downward and both ends of the nippers ar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s 24A to be slidingly coupled. Tongs for equipm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20)는 집게발(21)(23)들이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휘되는 탄성부재(27)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ing body (20) further comprises an elastic member (27) which exerts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nippers (21) (23) are unclamped.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20)는 상기 베이스(10)에 회동축(11)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회동축(11)을 축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용 집게 타입 거치대.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fixture body (20) is coupled to the base (10) through a rotation shaft (11) and is coupled to rotate about the rotation axis (11).
KR2020140007263U 2014-10-06 2014-10-06 Stand for mobile KR20048017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263U KR200480175Y1 (en) 2014-10-06 2014-10-06 Stand for mobi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263U KR200480175Y1 (en) 2014-10-06 2014-10-06 Stand for 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238U KR20160001238U (en) 2016-04-15
KR200480175Y1 true KR200480175Y1 (en) 2016-04-29

Family

ID=55790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263U KR200480175Y1 (en) 2014-10-06 2014-10-06 Stand for mobi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0175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6545A1 (en) * 2017-04-03 2018-10-11 국동훈 Object grasp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741B1 (en) 2006-12-01 2008-04-01 주식회사세림코텍 Supporter for vehicle with built-in dmb antenn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741B1 (en) 2006-12-01 2008-04-01 주식회사세림코텍 Supporter for vehicle with built-in dmb antenn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86545A1 (en) * 2017-04-03 2018-10-11 국동훈 Object grasp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238U (en) 2016-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7665B2 (en) Stand of electronic device
KR101986914B1 (en) Accessory of a mobile device
CN108700251B (en) Cloud platform
US8240628B2 (en) Holding apparatus
EP2381155B1 (en) Locking assembly,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holder
KR101563058B1 (en) Smartphone holder
US20120276962A1 (en) Holding device for a mobile telephone
US20120326003A1 (en) Multi-function tablet computer grip with 360-degree rotating finger ringlet
US20140183238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for car
KR101000038B1 (en) A support for electronic equipment in car
US20130277520A1 (en) Tablet Mounting Systems and Methods
US20160014243A1 (en) Carrier apparatus for mobile devices
US10284754B2 (en) Camera assembly configured to be detachably mounted on a mobile terminal
US8672282B2 (en) Fixing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screen
KR200473759Y1 (en) Mount for mobile
CN113226117A (en) Multifunctional bracket
US20120056061A1 (en) Connecting element and associated connection assembly
WO2013066786A1 (en) Holder mechanism for a multi-function electronic device
KR200480175Y1 (en) Stand for mobile
KR20120136475A (en) Rest for hang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20200326749A1 (en) Holde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967449B1 (en) Accessory for portable device
KR101925080B1 (en) Functional mobile holder
US9333437B2 (en) Modular transmit controller
CN203948890U (en) Hold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