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7431Y1 - 전자저울 - Google Patents

전자저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7431Y1
KR200477431Y1 KR2020130005902U KR20130005902U KR200477431Y1 KR 200477431 Y1 KR200477431 Y1 KR 200477431Y1 KR 2020130005902 U KR2020130005902 U KR 2020130005902U KR 20130005902 U KR20130005902 U KR 20130005902U KR 200477431 Y1 KR200477431 Y1 KR 2004774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ase
extending
unit
measurement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59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383U (ko
Inventor
오충일
Original Assignee
(주)일양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일양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주)일양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20201300059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431Y1/ko
Publication of KR201500003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3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4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4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7/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 G01G17/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weighing material of special form or property for weighing fluids, e.g. gases, pas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1/00Details of weighing apparatus
    • G01G21/22Weigh pans or other weighing receptacles; Weighing platfo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4Devices for determining tare weight or for cancelling out the tare by zeroising, e.g. mechanically operated
    • G01G23/16Devices for determining tare weight or for cancelling out the tare by zeroising, e.g. mechanically operated electrically or magnetically opera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20Indicating weight by mechanical means
    • G01G23/206Indicating weight by mechanical means special graduated scale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23/00Auxiliary devices for weighing apparatus
    • G01G23/18Indicating devices, e.g. for remote indication; Recording devices; Scales, e.g. graduated
    • G01G23/36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 G01G23/37Indicating the weight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photoelectric cells involving digital coun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전자저울이 개시된다. 전자저울은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 형태의 외관을 갖고 상기 내부공간에 계량센서가 내장되어 있는 계량부 및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의 일측에서 상기 케이스의 상측 방향을 향해 소정의 높이로 연장된 용기거치부를 포함하는 저울본체; 상기 계량부 상에 놓이는 용기로서, 상기 용기의 측면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결합부를 갖는 용기; 및 상기 용기거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계량센서의 측정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용기거치부의 상단부에 대응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결합부가 상기 용기거치부의 상단부에 탈착가능하고, 상기 용기는 분말 및 액상 형태의 측정대상물의 저장이 가능하고,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에 저장된 분말 및 액상의 측정대상물 및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계량부 상에 놓이는 고형의 측정대상물의 계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저울{ELECTRONIC SCALES}
본 고안은 전자저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형, 액상 및 분말 형태의 측정대상물의 계량이 용이한 전자저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울은 물체의 무게를 측정하는 기계로서, 아날로그 방식과 디지털방식이 있으며, 최근에는 디지털방식의 전자저울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전자저울의 구성을 살펴보면, 무게를 측정하는 측정부, 측정된 무게를 표시하는 표시기 및 전원 온(ON)/오프(OFF) 등의 설정을 위한 조작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측정부는 접시 형태의 측량 접시일 수 있고, 표시기는 액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자저울은 측량 접시에 놓일 수 있는 고형의 측정대상물을 측정하는데 주로 이용된다. 고형의 측정대상물 이외에 액상 및 분말 형태의 측정대상물의 중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액상 및 분말 형태의 측정대상물을 비닐 봉투 또는 별도의 용기 등에 담고, 이를 측량 접시에 올려놓고 액상 및 분말 형태의 측정대상물의 중량을 측정한다.
이러한 종래의 전자저울은 언급된 바와 같이 액상 및 분말 형태의 측정대상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비닐 봉투 또는 용기를 이용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고, 또한 이러한 경우 상기 비닐 봉투 또는 상기 용기의 무게를 먼저 측정하여 그 측정된 무게를 마이너스 값으로 전자저울에 입력한 후 액상 및 분말 형태의 측정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하여야 하는 번거러움도 있다.
한편 전자저울은 음식의 조리시 조리할 음식에 사용되는 재료의 양을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음식 재료 중 고형의 재료의 무게 측정은 쉽게 측정이 가능하지만,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액상 및 분말 형태의 음식 재료는 별도의 비닐 봉투 또는 용기에 담아서 중량을 측정하여야 하는 번거러움이 있으므로 액상 및 분말 형태의 음식 재료는 그 양을 짐작하여 다른 음식 재료들과 혼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전자저울은 음식의 조리시 사용되는 회수가 현저히 적다.
이에, 본 고안자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 끝에, 아래와 같은 구성을 도입하여, 고형, 액상 및 분말 형태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측정대상물의 계량이 가능하고, 음식의 조리시 고형, 액상 및 분말 형태의 다양한 음식 재료의 계량이 간편하므로 음식 조리시에 음식재료들의 첨가양을 측정하는 것에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고, 음식 조리시의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한, 전자저울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은,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 형태의 외관을 갖고 상기 내부공간에 계량센서가 내장되어 있는 계량부 및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의 일측에서 상기 케이스의 상측 방향을 향해 소정의 높이로 연장된 용기거치부를 포함하는 저울본체; 상기 계량부 상에 놓이는 용기로서, 상기 용기의 측면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결합부를 갖는 용기; 및 상기 용기거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계량센서의 측정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용기거치부의 상단부에 대응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결합부가 상기 용기거치부의 상단부에 탈착가능하고, 상기 용기는 분말 및 액상 형태의 측정대상물의 저장이 가능하고,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에 저장된 분말 및 액상의 측정대상물 및 상기 용기가 상기 본체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계량부 상에 놓이는 고형의 측정대상물의 계량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저울을 제공한다.
상기 용기거치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상측 방향을 향해 소정의 높이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연장부에 평행하고 상기 제2 연장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2 연장부에 탈착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2 연장부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 제2 연장부로부터 상기 제2 연장부의 하측 방향을 향해 연장된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고, 상기 측정대상물의 종류에 따른 계량 단위의 설정 및 상기 계량부의 영점 설정을 위한 설정버튼들을 더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저울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저울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손잡이부에 설치되는 설정버튼들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저울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고안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저울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저울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저울은 저울본체(100); 용기(200); 및 표시부(300)를 포함한다.
저울본체(100)는 측정대상물의 계량을 위한 구성품들로 이루어진 전자저울의 본체이다. 상기 구성품들을 내장하기 위하여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울본체(100)는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는 서로 결합하여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저울본체(100)는 계량부(110) 및 용기거치부(120)를 포함한다.
계량부(110)는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 형태의 외관을 갖는다. 이러한 계량부(110)의 형태는 상기 제1 케이스(101) 및 상기 제2 케이스(102)에 의해 형성된다. 즉,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는 각각 바닥면(101a, 102a) 및 바닥면(101a, 102a)에 수직하는 측면부(101b, 102b)를 갖는다.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가 결합될 때 제1 케이스(101)의 바닥면(101a) 및 측면부(101b)는 제2 케이스(102)의 측면부(102b)에 결합되어 제2 케이스(102)의 바닥면(102a) 및 측면부(102b)의 내측을 밀폐한다. 이때, 제2 케이스(102)의 측면부(102b)에 의해 제1 케이스(101)의 바닥면(101a) 및 제2 케이스(102)의 바닥면(102a)은 서로 이격되어, 제1 케이스(101)의 바닥면(101a)은 계량부(110)의 상면을 형성하고 제2 케이스(102)의 바닥면(102a)은 계량부(11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의 결합 형태에 의해 계량부(110)의 케이스 형태가 형성된다. 계량부(110)의 케이스 내에는 계량센서가 내장된다. 이러한 계량부(110)는 측정대상물의 무게를 측정한다. 측정대상물은 계량부(110)의 상면에 놓이고 이때 계량센서에 의해 측정대상물의 무게가 측정된다. 또한 평상시 계량부(110)에는 용기(200)가 위치한다.
일 예로,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고, 특별히 이에 제한은 없으며, 알루미늄 또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메탈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용기거치부(120)는 계량부(110)에 위치하는 용기(200)를 거치하기 위한 부분이다. 용기거치부(120)는 계량부(110)의 상단부의 일측에서 계량부(110)의 상측 방향을 향해 소정의 높이로 연장된다. 용기거치부(120)는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에 의해 형성된다. 즉,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는 각각의 측면부(101b, 102b)로부터 각각의 케이스(101, 102)의 상측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제1 연장부(101c, 102c) 및 제1 연장부(101c, 102c)의 상단부에서 제1 연장부(101c, 102c)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 제2 연장부(101d, 102d)를 형성한다. 각각의 제1 연장부(101c, 102c) 및 제2 연장부(101d, 102d)는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가 결합할 때 서로 결합된다. 결합된 각각의 제1 연장부(101c, 102c) 및 제2 연장부(101d, 102d)는 용기거치부(120)를 형성하게 된다.
제1 연장부(101c, 102c)는 용기(200)가 계량부(110) 상에 위치할 때 용기(200)의 측면부(202)를 지지하며, 제2 연장부(101d, 102d)는 용기(200)의 일측과 결합된다. 제2 연장부(101d, 102d) 및 용기(200)의 결합 구조는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저울본체(100)는 손잡이부(130)를 포함한다. 손잡이부(130)는 저울본체(100)를 들어 위치를 옮길 수 있도록 한다. 손잡이부(130)는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에 의해 형성된다. 즉,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는 각각의 제2 연장부(101d, 102d)의 말단으로부터 제2 연장부(101d, 102d)의 하측 방향을 향해 연장된 제3 연장부(101e, 102e)를 형성한다. 각각의 제3 연장부(101e, 102e)는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가 결합할 때 서로 결합된다. 결합된 각각의 제3 연장부(101e, 102e)는 손잡이부(130)를 형성한다.
용기(200)는 분말 및 액상의 측정대상물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는다. 수용공간의 형성을 위해, 용기(200)는 바닥면(201) 및 상기 바닥면(201)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측면부(202)를 포함한다. 이러한 용기(200)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평상시 저울본체(100)의 계량부(110)에 위치하며, 저울본체(100)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위치한다.
용기(200)가 저울본체(100)에 탈착되기 위해 용기(200)는 측면부(202)의 일측으로 결합부(210)가 형성된다. 결합부(210)는 용기거치부(120)의 상단부, 즉 용기거치부(120)를 구성하는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의 제2 연장부(101d, 102d)들에 탈착된다. 이러한 결합부(210)는 제2 연장부들(101d, 102d)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예를 들면, 제2 연장부들(101d, 102d)의 결합된 형태가 바 형상인 경우, 결합부(210)는 평면부(211) 및 평면부(211)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측면부(212)를 포함하고, 평면부(211)에 대향하는 저면부는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210)의 형태는 평면부(211)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단하였을 때 단면형상이 'ㄷ'자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결합부(210)는 제2 연장부들()에 결합될 때 제2 연장부들(101d, 102d)을 내측으로 수용하여 제2 연장부들(101d, 102d)을 덮도록 제2 연장부들(101d, 102d)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용기(200)는 수용공간에 수용되는 분말 및 액상 형태의 측정대상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용기(200)는 투명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200)의 재질은 특별히 이에 제한은 없으며, 스테인레스와 같은 메탈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기(200)가 메탈 재질인 경우 용기(20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투명창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200)의 측면부(202)의 표면에는 용기(200) 내에 수용되는 분말 및 액상의 측정대상물의 중량을 측량할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된다. 상기 눈금은 밀리리터(ml)의 단위 및 1컵(CUP)의 단위을 기준으로 한 중량을 측량할 수 있는 눈금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1컵(CUP)의 단위는 200ml로 설정될 수 있다.
표시부(300)는 저울본체(100)의 계량부(110)에 내장된 계량센서의 측정값을 표시한다. 표시부(300)는 용기거치부(120)에 설치되어 계량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를 위해, 표시부(300)는 용기거치부(120)를 형성하는 제1 케이스(101) 및 제2 케이스(102)의 제2 연장부들(101d, 102d) 내에 수용되고 제2 연장부들(101d, 102d) 외부로 노출되고, 용기거치부(120)의 내부 공간에서 케이블을 통해 계량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300)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손잡이부에 설치되는 설정버튼들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한편, 손잡이부(130)에는 도 3과 같이 설정버튼들(400) 및 배터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설정버튼들(400)은 손잡이부(130)의 내측 공간에 위치하여 손잡이부(130)의 외부로 노출된다. 예를 들면, 설정버튼들(400)은 전원버튼, 측정대상물 종류 전환버튼, 측정단위 전환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버튼은 영점 조절 버튼의 기능을 겸할 수 있다. 전원버튼은 표시부(300)를 전원을 온(ON)/오프(OFF) 시킬 수 있다. 측정대상물 종류 전환버튼은 계량부(110)를 통해 측정하는 측정대상물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측정단위 전환버튼은 측정대상물의 측정값 단위를 전환하는 버튼일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표시부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이러한 설정버튼들(400)이 설치되는 경우, 표시부(300)의 표시창 주변으로는 측정대상물의 종류, 예를 들면, 물, 우유, 식용유, 소맥분과 같은 종류가 색인되어 있을 수 있고, 측정대상물 종류 전환버튼을 반복하여 누르면 표시부(300)에는 화살표가 표시되고, 상기 화살표가 각각의 측정대상물의 종류를 색인한 부분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측정단위 전환버튼을 누르면 표시부(300)에는 밀리리터(ml), 컵(CUP), 그램(g)과 같은 측정단위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설정버튼들(400)은 예를 들면, 회로기판 상에 장착되어 손잡이부(130)의 내측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배터리는 상기 회로기판 및 표시부(30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배터리는 설정버튼들(400)과 함께 상기 회로기판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저울을 이용한 측정대상물의 계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손잡이부(130)에 설치된 설정버튼들(400) 중 전원버튼을 눌러서 표시부(300)의 전원을 켠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형의 측정대상물의 중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용기(200)를 저울본체(100)로부터 분리한 후, 설정버튼들(400) 중 측정단위 전환버튼을 눌러서 표시부(300)에 표시되는 측정단위가 그램(g) 단위가 되도록 설정한다. 이후 측정대상물을 저울본체(100)의 계량부(110)의 상면에 올리면 표시부(300)에는 측정대상물의 측정값이 표시된다.
이와 달리 액상의 측정대상물의 중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용기(200)를 저울본체(100)에 결합한다. 이때, 설정버튼들(400) 중 전원버튼을 짧게 눌러서 용기(200)가 결합된 상태의 계량부(110)가 영점으로 설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측정대상물 종류 전환버튼을 눌러서 액상의 측정대상물 종류, 예를 들면, 우유가 색인된 부분에 표시부(300)에 표시되는 화살표가 위치되도록 설정한다. 그리고 설정버튼들(400) 중 측정단위 전환버튼을 눌러서 표시부(300)에 밀리리터(ml) 또는 컵(CUP)의 측정단위가 표시되도록 설정한다. 이러한 설정 상태에서 용기(200) 내에 액상의 측정대상물을 채우면 표시부(300)에는 액상의 측정대상물의 측정값이 표시된다.
이와 같이 액상의 측정대상물의 측정값이 확인되면, 액상의 측정대상물을 사용하기 위해 액상의 측정대상물을 조리 또는 음용을 위한 별도의 용기에 덜게 되는데, 이때 용기(200)를 저울본체(100)로부터 분리하여 액상의 측정대상물을 별도의 용기에 덜 수도 있으나, 이보다 용기(200)를 저울본체(10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손잡이부(130)를 파지한 채로 액상의 측정대상물을 별도의 용기에 더는 것이 더욱 편리하다. 따라서 저울본체(100) 및 용기(200)를 이용하여 액상의 측정대상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상의 측정대상물을 다른 별도의 용기에 더는 과정도 매우 편리하다.
이와 또 달리 분말의 측정대상물의 중량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는, 설정버튼들(400) 중 측정대상물 종류 전환버튼을 눌러서 소맥분이 색인된 부분에 표시부(300)에 표시되는 화살표가 위치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앞서 설명된 액상의 측정대상물의 중량을 측정하는 경우와 동일하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전자저울을 이용하면, 고형의 측정대상물뿐만 아니라, 액상 및 분말의 측정대상물의 측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중량의 측정이 가능한 종류가 제한적이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측정대상물의 중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단위를 밀리리터(ml), 그램(g) 및 컵(CUP)의 단위로 다양한 측정이 가능하므로 음식의 조리시에 첨가되는 재료들의 양을 정확히 측정하여 할 수 있고, 따라서 음식의 조리시에 음식재료들의 첨가양을 측정하는 것에 매우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용기(200) 및 저울본체(100)가 결합되어 있는 전자저울 전체를 볼 때 주전자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중량의 측정을 위해 용기(200) 내에 채워진 액상 및 분말의 측정대상물을 다른 별도의 용기로 덜어내는 과정이 매우 용이하며, 이에 의해 음식조리시의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Claims (3)

  1. 내부공간을 갖는 케이스 형태의 외관을 갖고 상기 내부공간에 계량센서가 내장되어 있는 계량부 및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의 일측에서 상기 케이스의 상측 방향을 향해 소정의 높이로 연장된 용기거치부를 포함하는 저울본체;
    상기 계량부 상에 놓이는 용기로서, 상기 용기의 측면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결합부를 갖는 용기; 및
    상기 용기거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계량센서의 측정값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용기거치부의 상단부에 대응하도록 위치하여, 상기 결합부가 상기 용기거치부의 상단부에 탈착가능하고,
    상기 용기는 분말 및 액상 형태의 측정대상물의 저장이 가능하고,
    상기 용기가 상기 거울본체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용기에 저장된 분말 및 액상의 측정대상물 및 상기 용기가 상기 저울본체에서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계량부 상에 놓이는 고형의 측정대상물의 계량이 가능하며,
    상기 용기거치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상측 방향을 향해 소정의 높이로 연장되어 있는 제1 연장부; 및
    상기 제1 연장부의 상단부에서 상기 제1 연장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2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제2 연장부에 평행하고 상기 제2 연장부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가 상기 제2 연장부에 탈착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2 연장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저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장부로부터 상기 제2 연장부의 하측 방향을 향해 연장된 손잡이부; 및
    상기 손잡이부에 설치되고, 상기 측정대상물의 종류에 따른 계량 단위의 설정 및 상기 계량부의 영점 설정을 위한 설정버튼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저울.
KR2020130005902U 2013-07-16 2013-07-16 전자저울 KR2004774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902U KR200477431Y1 (ko) 2013-07-16 2013-07-16 전자저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5902U KR200477431Y1 (ko) 2013-07-16 2013-07-16 전자저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383U KR20150000383U (ko) 2015-01-26
KR200477431Y1 true KR200477431Y1 (ko) 2015-06-09

Family

ID=52572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5902U KR200477431Y1 (ko) 2013-07-16 2013-07-16 전자저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431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29U (ja) * 1992-05-14 1995-01-17 株式会社エンプラス 計量カップ
KR20050094607A (ko) * 2004-03-23 2005-09-28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음식점용 접시형 저울 및 이 저울을 이용한 시스템
KR200441814Y1 (ko) * 2007-06-15 2008-09-08 강은순 접시에 대해 탈,부착이 가능한 원산지 및 무게 표시구
KR101071536B1 (ko) * 2007-09-11 2011-10-14 정택규 계량수단이 구비된 전기믹서기와 이를 이용한 쥬스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29U (ja) * 1992-05-14 1995-01-17 株式会社エンプラス 計量カップ
KR20050094607A (ko) * 2004-03-23 2005-09-28 주식회사 지테크인터내셔날 음식점용 접시형 저울 및 이 저울을 이용한 시스템
KR200441814Y1 (ko) * 2007-06-15 2008-09-08 강은순 접시에 대해 탈,부착이 가능한 원산지 및 무게 표시구
KR101071536B1 (ko) * 2007-09-11 2011-10-14 정택규 계량수단이 구비된 전기믹서기와 이를 이용한 쥬스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383U (ko) 201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86135B (zh) 包括称量设备的食品处理器
WO2014179055A1 (en) Configurable electronic kitchen scale accessory
AU2016253709B2 (en) Coffee grinder with integrated scale
EP2243004A1 (en) Food product measuring vessel with integrated scale
US20090133940A1 (en) Weighing serving implement
CN104713627A (zh) 便携式多用途智能电子称
CN108344491B (zh) 烹饪设备的重量显示方法、称重装置、烹饪设备及其内锅
CN101354281A (zh) 一种厨房用的勺子秤
KR200477431Y1 (ko) 전자저울
KR20100088591A (ko) 계량 스푼
CN204133052U (zh) 一种多功能勺子
CN202604409U (zh) 一种测量勺
KR101961282B1 (ko) 센서를 이용한 조리용 계량장치
CN220525102U (zh) 一种勺子秤
KR200485252Y1 (ko) 집게형 전자 저울
CN204813470U (zh) 电加热器具
CN208350189U (zh) 一种子母组合式电子秤
CN204318575U (zh) 量米杯
CN218464305U (zh) 一种带称重功能的把手及容器
KR200416739Y1 (ko) 디지탈 계량 스푼
EP4386336A1 (en) Scale system
CN216524347U (zh) 一种具有去皮、多单位转换的led电子秤
CN211085445U (zh) 一种药物分析用称量装置
KR200364224Y1 (ko) 떡밥 용기
CN205433467U (zh) 一种量勺及组合式多用量勺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