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862Y1 - 분해조립이 용이한 운반용 수레 - Google Patents

분해조립이 용이한 운반용 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862Y1
KR200476862Y1 KR20140008294U KR20140008294U KR200476862Y1 KR 200476862 Y1 KR200476862 Y1 KR 200476862Y1 KR 20140008294 U KR20140008294 U KR 20140008294U KR 20140008294 U KR20140008294 U KR 20140008294U KR 200476862 Y1 KR200476862 Y1 KR 2004768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frame
handle
fixing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082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국
Original Assignee
서정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국 filed Critical 서정국
Priority to KR201400082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8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8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8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8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axis and the handles, e.g. wheelbarrows
    • B62B1/2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disposed between the wheel axis and the handles, e.g. wheelbarrows involving parts being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03Adaptations for loading in or on a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06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dismoun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물이 적재되는 사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 양단에 수직하게 돌출되는 연결대와,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하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를 구비하는 적재부; 상기 프레임에 이동력을 전달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연결대의 상하면과 맞물리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 상에 연결대로부터 탈·장착시키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조작부; 및 상기 프레임을 이동되게 구름 운동하는 바퀴와, 상기 바퀴의 중앙에 삽입되어 공회전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삽입되어 지지대로부터 탈·장착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구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전반적인 수레의 구조를 3가지로 구분하고 각 구조를 단일로 객체화하여 분해와 조립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가 있고, 실시 도중 부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해조립이 용이한 운반용 수레{Disassembly and assembly for easy carriage cart}
본 고안은 화물을 운반하는 수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반적인 수레의 구조를 3가지로 객체화하여 분해와 조립이 간편한 것은 물론, 부피의 최소화로 거리나 운송수단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시킬 수가 있는 분해조립이 용이한 운반용 수레에 관한 것이다.
수레는 바퀴의 구름 운동으로 화물을 운반하는 기구로서, 각종 산업과 서비스업은 물론 농·수산업에서 필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레는 불리 우는 의미는 같으나 용도에 따라 산업용 대차, 마트용 카트, 농·수산업용 손수레 또는 구루마로 구분된다.
대차와 카트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48107호에 개시된 것처럼 전체 크기에 비해 많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지면이 포장된 건물 내에서만 이동이 가능한 소형 캐스터가 장착되어져 있다. 반대로 손수레나 구루마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82051호, 제0227843호, 제0338541호, 제0451374호에 개시된 것처럼 많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크기가 크고, 비 포장된 지면에서 이동이 가능한 타이어와 휠로 구성된 바퀴가 장착되어져 있다.
한편, 산업의 발달로 나날이 도시화되고 있는 실정 속에서도 자연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귀농의 열풍이 불고 있다. 또한, 건강에 관심이 증가되어 농산물을 직접 기르기 위해 휴일마다 농촌을 찾는 도시인들이 늘어나고 있다. 여기서 농업을 위해서는 언급한 손수레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하지만 이들은 농촌에 정착하지 않아서 손수레나 농기구들을 보관하는 창고 따위의 공간을 갖추고 있지 않다. 더욱이 도시인들은 대다수 승용차를 보유하고 있어서 손수레를 탑재할 수가 없다.
따라서 손수레를 운송할 수가 없으므로 별도의 비용을 지불해서 구매 및 운송하거나 창고를 임대하여 보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위에서 개시된 것처럼 기존에 수레는 적재판, 바퀴, 손잡이가 모두 일체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운송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조적 개선이 시급하게 필요한 실정에 이르렀다.
[문헌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82051호"손수레" [문헌2]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27843호"전방편심형 농업용 수레" [문헌3]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38541호"개량된 외바퀴 손수레" [문헌4]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51374호"농업용 손수레"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반적인 수레의 구조를 3가지로 구분하고 각 구조를 단일로 객체화하여 분해와 조립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가 있는 것은 물론, 각각의 객체를 공간에 따라 독립 또는 서로 포개지게 적층할 수가 있어 박스나 가방에 포장은 물론, 승용차에도 탑재할 수가 있어 거리나 운송수단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가 있는 분해조립이 용이한 운반용 수레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화물이 적재되는 사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 양단에 수직하게 돌출되는 연결대와,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하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를 구비하는 적재부; 상기 프레임에 이동력을 전달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연결대의 상하면과 맞물리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 상에 연결대로부터 탈·장착시키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는 조작부; 및 상기 프레임을 이동되게 구름 운동하는 바퀴와, 상기 바퀴의 중앙에 삽입되어 공회전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삽입되어 지지대로부터 탈·장착시키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구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적재부의 프레임은 상면에 화물을 수용되게 적재하는 공간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경첩을 따라 절첩되는 벽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적재부의 연결대는 일면에 손잡이의 단면과 대응하는 형상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지지대는 하면에 수용구가 형성된 지지판을 더 구비하되, 상기 수용구는 폐쇄형, 개방형, 복합형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작부는 손잡이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에 탈·장착되어 손잡이의 유동을 방지하는 보강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조작부의 연결부재는 거치대의 후방에 복수의 고정구가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구에 삽입되어 연결대에 둘러지는 U형의 조임대와, 상기 조임대에 체결되어 연결대를 구속하는 나비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구름부의 고정부재는 베어링에 삽입되고 양단에 나선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회전축과, 상기 나선에 체결되어 회전축을 베어링 내에 고정하는 육각너트와,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바퀴를 수용구에 구속하는 육각볼트와 나비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전반적인 수레의 구조를 3가지로 구분하고 각 구조를 단일로 객체화하여 분해와 조립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가 있고, 실시 도중 부품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각각의 객체를 공간에 따라 독립 또는 서로 포개지게 적층할 수가 있어 박스나 가방에 포장은 물론, 승용차에도 탑재할 수가 있어 거리나 운송수단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셋째, 강성이 요구되는 부위를 이중구조로 채택하여 안정성과 수명을 확보할 수가 있고, 분해와 조립에 중요한 체결요소를 나비너트로 구성하여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누구나 쉽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레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레의 정면과 측면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적재부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일실시예에 따른 적재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변형예에 따른 적재부의 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조작부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구름부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분해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고안에 따른 수레를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조립도.
도 12는 본 고안에 따른 분해된 수레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은 화물을 운반하는 수레에 관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처럼 적재부(10)와 조작부(20) 및 구름부(30)를 주요 구성으로 하는 분해조립이 용이한 운반용 수레이다. 본 고안의 수레는 용도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이 가능하나 비교적 많은 화물을 운반하면서 비 포장된 지면에 이동이 가능한 농업용에 적합하다. 어느 용도에나 박스나 가방 따위에 포장되어 저렴한 비용의 택배 또는 자가 승용차에 탑재할 수 있도록 하여 거리나 운송조건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로운 이동이 요구되는 사용자에게 적합하다.
본 고안에 따른 적재부(10)는 도 3처럼 화물이 적재되는 사각의 프레임(11)과, 프레임(11)의 일측 양단에 수직하게 돌출되는 연결대(12)와, 프레임(11)의 중앙에 하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13)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1)은 수레를 이루는 뼈대에 해당하는 것으로 화물을 충분히 적재할 수 있는 너비의 사각판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프레임(11)은 중량이 가볍고 강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프레임(11)은 도 4처럼 상면에 화물을 수용되게 적재하는 공간(S)이 선택적으로 형성되도록 경첩(H)을 따라 절첩되는 벽판(11a)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벽판(11a)은 적재되는 화물을 공간(S)에 수용시켜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러나 벽판(11a)은 화물의 부피에 따라 적재를 제한시키기도 한다. 즉, 화물의 부피가 프레임(11)보다 클 경우에는 도 4a처럼 벽판(11a)을 포개진 상태에서 적재하고, 화물의 부피가 프레임(11)보다 작거나 미세한 경우에는 도 4b처럼 벽판(11a)을 펼쳐진 상태에서 공간(S)에 적재하면 된다. 이때, 벽판(11a)이 상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벽판(11a)끼리 고정되게 매미고리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대(12)는 후술하는 손잡이(21)를 정 위치에서 장착되게 유도하는 것으로, 프레임(11)의 일측에 일체로 용접된다. 여기서 연결대(12)는 일측으로 노출되는 일면에 손잡이(21)의 단면과 대응하는 형상의 수용홈(12a)이 형성된다. 즉, 손잡이(21)의 단면이 원형일 경우 도 3a처럼 반원으로 형성되고, 각형일 경우 도 3b처럼 사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홈(12a)은 손잡이(21)의 외면을 수용하여 고정력을 배가시켜 준다.
지지대(13)는 후술하는 바퀴(31)의 장착을 유도하면서 화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프레임(11)의 하부에 일체로 용접된다. 이러한 지지대(13)는 하면 중앙에 수용구(14a)가 형성된 지지판(14)이 형성된다. 지지판(14)은 바퀴(31)를 구름 운동시키는 고정부재(35)를 수용구(14a)에 삽입시켜 고정해 준다. 여기서 수용구(14a)는 폐쇄형 또는 개방형 또는 복합형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폐쇄형은 도 5a처럼 수용구(14a)가 지지판(14)상에 단순 천공된 구멍으로, 고정부재(35)를 동심선상으로만 삽입되게 한다. 이러한 폐쇄형은 고정부재(35)를 일부 분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나 수용구(14a) 자체가 구속하므로 고정성이 좋다. 반대로 개방형은 도 5b처럼 수용구(14a)가 지지판(14)상에 절단된 홈으로, 고정부재(35)를 끼움으로 삽입되게 한다. 이러한 개방형은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고정부재(35)가 이탈될 우려는 있으나 고정부재(35)를 분리하지 않고도 탈·장착할 수가 있어 분해조립성이 좋다. 복합형은 폐쇄형과 개방형의 장점을 혼합한 것으로 도 5c처럼 수용구(14a)가 지지판(14)상에 절단된 홈으로 형성하되, 고정부재(35)의 끼움되는 경로를 지그재그로 형성된다. 따라서 고정부재(35)를 분리하지 않고도 탈·장착할 수가 있으면서도 복잡한 경로에 의해 이탈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조작부(20)는 도 6 및 도 7처럼 프레임(11)에 이동력을 전달하는 손잡이(21)와, 손잡이(21)에 연결대(12)의 상하면과 맞물리는 거치대(22)와, 거치대(22)상에 연결대(12)로부터 탈·장착시키는 연결부재(25)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손잡이(21)는 연결대(12)의 수용홈(12a)에 장착되어 수레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되게 조작하는 것으로, 원형 또는 각형의 파이프가 ㄱ형으로 절곡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21)는 중량이 가볍고 강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사용자가 파지하는 상부 일단에 그립감을 향상되도록 고무그립(21a)이 삽입되고, 하부 끝단에는 수레를 지면에 안정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고정판(21b)이 일체로 용접된다. 그리고 손잡이(21)의 절곡된 형상에 따른 자체 강도를 보완할 수 있도록 보강살대(21c)가 일체로 용접된다.
거치대(22)는 연결대(12)에 정 위치에서 장착되게 유도하는 것으로, 손잡이(21)의 수직하는 일면에 일체로 용접된다. 이러한 거치대(22)는 연결대(12)의 상하면과 맞물려 손잡이(21)의 상하유동을 구속해 준다. 그리고 연결부재(25)는 거치대(22)의 후방에 복수의 고정구(26a)가 형성된 고정판(26)과, 고정구(26a)에 삽입되어 연결대(12)에 둘러지는 U형의 조임대(27)와, 조임대(27)에 체결되어 연결대(12)를 구속하는 나비너트(28)로 이루어진다.
고정판(26)은 조임대(27)를 수용하는 복수의 고정구(26a)가 형성되고, 거치대(22)와 인접하는 손잡이(21)의 후면에 일체로 용접된다. 그리고 조임대(27)는 연결대(12)가 둘러져 감싸도록 U형으로 절곡되고, 일단 외주면에 나비너트(28)와 체결되는 나사가 형성된다. 즉, 나비너트(28)를 조이면 고정판(26)에 의해 조임대(27)가 손잡이(21)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본 고안에 의한 조작부(20)는 손잡이(21)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연결편(23)과, 연결편(23)에 탈·장착되어 손잡이(21)의 유동을 방지하는 보강대(24)를 더 구비한다. 손잡이(21)는 비교적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조작 시 내·외측으로 유동될 수가 있다. 즉, 연결편(23)에 보강대(24)를 장착해 두면, 한 쌍의 손잡이(21)를 단일로 객체화되어 강한 내구성을 지닐 수가 있다. 이러한 연결편(23)에는 고정홀(23a)이 형성되고, 보강대(24)의 양단에는 고정홀(23a)에 삽입되는 볼트(24a)가 용접되며, 볼트(24a)에 체결되어 연결편(23)에 보강대(24)를 탈·장착하는 나비너트(24b)가 구비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구름부(30)는 도 8처럼 프레임(11)을 이동되게 구름 운동하는 바퀴(31)와, 바퀴(31)의 중앙에 삽입되어 공회전하는 베어링(32)과, 베어링(32)에 삽입되어 지지대(13)로부터 탈·장착시키는 고정부재(35)로 이루어진다.
바퀴(31)는 외주면에 트레이드가 형성된 고무타이어와, 타이어의 내주면에 장착되어 경질의 수지나 금속으로 형성된 휠로 구성되어 지면에서 구름 운동한다. 여기서 휠의 중앙에는 다단으로 천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관통홀에 억지끼움으로 삽입되어 회전을 유도하는 레이디얼 베어링(32)을 지닌다. 이러한 베어링(32)내에는 지지대(13)상에 하중을 지지하면서 구름 운동을 유도하는 고정부재(35)가 삽입된다.
고정부재(35)는 베어링(32)에 삽입되고 양단에 나선(36a)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회전축(36)과, 나선(36a)에 체결되어 회전축(36)을 베어링(32)내에 고정하는 육각너트(37)와, 회전축(37)에 삽입되어 바퀴(31)를 수용구(14a)에 구속하는 육각볼트(38)와 나비너트(39)로 이루어진다. 회전축(36)은 다양한 구조를 지닌 바퀴(31)에 구애받지 않고 수레에 적용할 수 있도록 호환되게 한다. 이러한 회전축(36)은 육각너트(37)에 의해 베어링(32)내에 상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육각볼트(38)와 나비너트(39)가 바퀴(31)를 직접적으로 탈·장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육각볼트(38)와 나비너트(39)에 죔과 풀림에 관련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의 수레를 조립하는 과정에 있어서, 먼저 도 9처럼 프레임(11)을 정 위치시킨 상태에서 일측 손잡이(21)를 장착한다. 즉, 손잡이(21)의 상·하측 거치대(22)를 연결대(12)의 상·하면에 순차 밀착하면서 조임대(27)를 거치대(22)에 둘러지게 걸어둔다. 그리고 나비너트(28)를 죄어서 손잡이(21)를 연결대(12)에 고정한 다음, 타측 손잡이(21)도 동일한 순서대로 장착한다. 이어서 도 10처럼 손잡이(21)에 내측에 위치하는 연결편(23)에 보강대(24)를 장착한다. 즉, 보강대(24)의 볼트(24a)를 연결편(23)의 고정홀(23a)에 삽입한 다음, 나비너트(24b)를 죄어서 고정한다. 이어서 도 11처럼 프레임(11)을 뒤집어 놓고, 바퀴(31)를 장착한다. 즉, 바퀴(31)로부터 육각볼트(38)와 나비너트(39)만을 분리한 다음, 바퀴(31)를 수용구(14a)의 동심과 맞추어 둔다. 그리고 육각볼트(38)를 수용구(14a)와 회전축(36)에 삽입 관통시킨 다음, 나비너트(39)로 죄어 고정하면 수레가 완성된다.
여기서 수용구(14a)가 개방형이거나 복합형일 경우에는 바퀴(31)로부터 육각볼트(38)와 나비너트(39)를 풀어 소정의 간격을 마련해 둔 다음, 간격 내에 지지판(14)을 수용하면서 수용구(14a)를 경유해 준 뒤에 나비너트(39)로 죄어 고정하면 수레가 완성된다.
완성된 수레를 분해하는 과정은 조립의 역순으로 수행하면 된다. 분해된 수레는 도 12처럼 적재부(10)상에 조작부(20)와 구름부(30)를 포개두면 박스나 가방에 포장하거나 승용차에 탑재할 수 있는 크기로 축소된다. 물론, 공간이 여의치 않을 경우 적재부(10)와 조작부(20) 및 구름부(30)를 독립적으로 포장 및 탑재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각각의 객체를 공간에 따라 독립 또는 서로 포개지게 적층할 수가 있어 박스나 가방에 포장은 물론, 승용차에도 탑재할 수가 있어 거리나 운송수단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H: 경첩 10: 적재부
11: 프레임 11a: 벽판
12: 연결대 12a: 수용홈
13: 지지대 14: 지지판
14a: 수용구 20: 조작부
21: 손잡이 21a: 고무그립
21b: 고정판 21c: 보강살대
22: 거치대 23: 연결편
23a: 고정홀 24: 보강대
24a: 볼트 24b, 28, 39: 나비너트
25: 연결부재 26: 고정판
26a: 고정구 27: 조임대
30: 구름부 31: 바퀴
32: 베어링 35: 고정부재
36: 회전축 36a: 나선
37: 육각너트 38: 육각볼트

Claims (6)

  1. 화물이 적재되는 사각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 양단에 수직하게 돌출되는 연결대와,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하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면에 수용구가 형성된 지지판을 구비하는 적재부;
    상기 프레임에 이동력을 전달하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에 연결대의 상하면과 맞물리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 상에 연결대로부터 탈·장착시키도록 상기 거치대의 후방에 복수의 고정구가 형성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구에 삽입되어 연결대에 둘러지는 U형의 조임대와, 상기 조임대에 체결되어 연결대를 구속하는 나비너트를 구비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되, 손잡이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연결편과, 상기 연결편에 탈·장착되어 손잡이의 유동을 방지하는 보강대를 구비하는 조작부; 및
    상기 프레임을 이동되게 구름 운동하는 바퀴와, 상기 바퀴의 중앙에 삽입되어 공회전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에 삽입되어 지지대로부터 탈·장착시키도록 상기 베어링에 삽입되고 양단에 나선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회전축과, 상기 나선에 체결되어 회전축을 베어링 내에 고정하는 육각너트와, 상기 회전축에 삽입되어 바퀴를 수용구에 구속하는 육각볼트와 나비너트를 구비하는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구름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적재부의 연결대는 일면에 손잡이의 단면과 대응하는 형상의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구는 고정부재의 끼움되는 경로가 지그재그로 형성된 복합형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해조립이 용이한 운반용 수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140008294U 2014-11-12 2014-11-12 분해조립이 용이한 운반용 수레 KR2004768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8294U KR200476862Y1 (ko) 2014-11-12 2014-11-12 분해조립이 용이한 운반용 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08294U KR200476862Y1 (ko) 2014-11-12 2014-11-12 분해조립이 용이한 운반용 수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862Y1 true KR200476862Y1 (ko) 2015-04-09

Family

ID=53034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08294U KR200476862Y1 (ko) 2014-11-12 2014-11-12 분해조립이 용이한 운반용 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8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16601A (zh) * 2019-12-11 2020-02-21 防灾科技学院 一种可拆卸智能推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797U (ko) * 1998-02-17 1998-04-30 정종진 절첩식 다리를 부설한 외바퀴 수레
JP2001328536A (ja) 2000-05-22 2001-11-27 Hiroe Tsunoda 作業用運搬車
JP2006027332A (ja) 2004-07-13 2006-02-02 Hk Partners:Kk 移動補助具
JP2014136499A (ja) 2013-01-17 2014-07-28 Arumisu:Kk 組立式手押し台車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7797U (ko) * 1998-02-17 1998-04-30 정종진 절첩식 다리를 부설한 외바퀴 수레
JP2001328536A (ja) 2000-05-22 2001-11-27 Hiroe Tsunoda 作業用運搬車
JP2006027332A (ja) 2004-07-13 2006-02-02 Hk Partners:Kk 移動補助具
JP2014136499A (ja) 2013-01-17 2014-07-28 Arumisu:Kk 組立式手押し台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16601A (zh) * 2019-12-11 2020-02-21 防灾科技学院 一种可拆卸智能推车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2796C2 (ru) Транспортная тележка и сборка рамы для нее
US20070039129A1 (en) Caster assembly & shelf system for use on a collapsible cart
US9272740B1 (en) Modular utility truck bed
US8985418B1 (en) Convertible cargo carrier cart system
US10214229B2 (en) Ultimate cart dolly systems
US7762417B2 (en) Modular reusable vehicle shipping crate
US20150344053A1 (en) Modular Cart
US9623924B2 (en) Cart
US8162329B1 (en) Material transporter
US20080197592A1 (en) Hand truck
JP6309288B2 (ja) ブックトラック
US2901261A (en) Collapsible cart
US20110259931A1 (en) Auxiliary rack for an ATV
KR200476862Y1 (ko) 분해조립이 용이한 운반용 수레
KR102023083B1 (ko) 원터치 분해/조립 가능한 외바퀴 손수레
US10479387B2 (en) Transporting device that can be moved by hand
JP2008143458A (ja) 折り畳み式リヤカー
US11046342B2 (en) Utility cart
JP2007297028A (ja) 折り畳み可能な運搬用棚台車。
JP2015083410A (ja) ブックトラック
RU67536U1 (ru) Тележка
JP2017081386A (ja) 運搬台車
JP3204279U (ja) 手押し運搬車の連結具及び該連結具で連結された連結手押し運搬車
US9394017B2 (en) Cart with folding support
CN205168580U (zh) 一种斜撑式折叠手推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