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852Y1 - 구들용 조립식 아궁이 - Google Patents

구들용 조립식 아궁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852Y1
KR200476852Y1 KR20130010661U KR20130010661U KR200476852Y1 KR 200476852 Y1 KR200476852 Y1 KR 200476852Y1 KR 20130010661 U KR20130010661 U KR 20130010661U KR 20130010661 U KR20130010661 U KR 20130010661U KR 200476852 Y1 KR200476852 Y1 KR 2004768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wall
resistant concrete
ceiling
ai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106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욱
Original Assignee
김종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욱 filed Critical 김종욱
Priority to KR201300106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8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8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8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28Combined installations of stoves or ranges, e.g. back-to-back stoves with a common fire-box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6Arrangements for cleaning, e.g. soot removal; Ash removal
    • F24B13/008Ash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6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24D5/1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out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with hot air led through heat-exchange ducts in the walls, floor or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들장으로부터 아궁이를 분리하여 제작하고 아궁이에서 발생되는 열이 건축물의 외벽 등에 전달되지 않도록 충분한 단열 구조를 구비하여 아궁이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한 건축물의 화재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이와 같은 단열 구조를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운반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은 조립식 구조를 갖춤으로 인하여 건축물의 외부 마감 작업과 구들의 청소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조립식 아궁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들용 조립식 아궁이{Prefabricated Furnace For Hypocast}
본 고안은 구들용 조립식 아궁이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건축물의 일부 구조인 구들에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아궁이에 관한 것이다.
한국 전통의 구들은 아궁이에서 장작이나 짚 등을 연소시켜, 그 연소공기를 바닥 밑으로 보내 연도와 굴뚝을 통하여 외기로 배출시켜서 바닥 전체를 따뜻하게 하는 복사난방방식이다.
구들은 아침, 저녁에 아궁이에 불을 지펴 구들을 데워두고 그 축열에 의하여 일정시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전통 방식의 구들은 바닥을 황토 바닥으로 함으로써 전통 토속의 정서를 물씬 풍겨 휴식의 편안함을 제공하고, 또한 보통 황토, 숯 등의 자연에서 얻어지는 기운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많은 사람들이 선호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통 방식의 구들은 종전부터 존재하던 오래된 집에서만 사용되고 있을 뿐이며 이제는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자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42693호 "이동식 황토 장작 구들방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건축물"(2008.11.26)을 제안한 바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황토 구들방을 이동식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현장에서 직접 건축되는 전통 구들방에 비하여 하나의 제조업체에서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여러가지 황토 구들방을 제작하고 이를 필요한 곳으로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 기술은, 전통 구들의 문제점인 그 건축이 매우 어렵고 값비쌀 뿐만 아니라 자산 가치가 현저히 낮다는 점을 극복할 수 있으며, 또한 이동식 황토 장작 구들방은 매매계약에 따라 다른 지역으로 쉽게 이동되고 다시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매매대상으로서의 자산가치가 매우 높아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구들방과 아궁이가 일체화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아궁이가 구들방의 직하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아궁이로부터 발생하는 열로 인하여 건축물의 외벽에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 있으며, 아울러 아궁이에서 발생하는 열을 구들방을 데우는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2693호 "이동식 황토 장작 구들방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건축물"(2008.11.26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46973호 "구들장 벽난로" (2007.8.1 등록)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아궁이와 구들장을 분리하고 아궁이에서 발생되는 열이 건축물의 외벽 등에 전달되지 않도록 충분한 단열 구조를 구비하여 아궁이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한 건축물의 화재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이와 같은 단열 구조를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운반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은 조립식 구조를 갖춤으로 인하여 건축물의 외부 마감 작업과 구들의 청소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조립식 아궁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구들방에 연결되기 위한 조립식 아궁이에 있어서 : 상하가 개방된 통 형태로 형성되는 금속재의 아궁이 외측벽 ; 상기 외측벽의 하부에 마련되되, 평면 구조가 전방 중앙부에 형성되는 메인 공기 공급실과 상기 메인 공기 공급실의 양측과 후방측에 형성되는 단열용 바닥 공간부로 구분되며, 상기 메인 공기 공급실은 전방측 벽에 제1공기조절부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 공기 공급실의 하부에는 바닥 개구부가 형성되는 금속재의 바닥 틀 형성부 ; 상기 메인 공기 공급실의 상부에 마련되는 로스톨 ; 상기 메인 공기 공급실의 하부에 마련되는 재 수집부 ; 상기 아궁이 외측벽의 전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금속재의 장작 투입구용 연장관 ; 장작을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장작 투입구용 연장관의 전방에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장작 투입구 ; 상기 아궁이 외측벽의 후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금속재의 부넘이용 연장관 ; 상기 부넘이용 연장관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부넘이용 내화단열재 ; 상기 부넘이용 내화단열재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부넘이용 내화단열재를 보호하는 금속재의 부넘이용 내피 ; 상기 아궁이 외측벽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측벽용 단열재 ; 상기 측벽용 단열재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금속재의 메쉬망 ; 상기 메쉬망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측벽용 내열콘크리트와, 상기 측벽용 내열콘크리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측벽용 내열콘크리트와 일체화되는 천장 지지용 내열콘크리트와, 상기 단열용 바닥 공간부에 형성되어 상기 측벽용 내열콘크리트와 일체화되는 바닥용 내열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벽용 내열콘크리트에 의하여 감싸인 공간이 화실을 형성하는 화실용 내열콘크리트 ; 금속재의 내측 틀과 상기 내측 틀과 이격되되 상기 아궁이 외측벽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금속재의 외측 틀과, 상기 내측 틀과 상기 외측 틀 사이에 마련되는 천장용 내열콘크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천장 지지용 내열콘크리트의 상부에 안치되는 화실용 천장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화실용 천장에 상부에, 상기 화실용 천장의 상부를 커버하는 덮개 본체와, 상기 덮개 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아궁이 외측벽이 삽입되는 크기를 가진 덮개 가장자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부 덮개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구들장을 아궁이로부터 분리하고 아궁이에서 발생되는 열이 건축물의 외벽 등에 전달되지 않도록 충분한 단열 구조를 구비하여 아궁이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한 건축물의 화재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이와 같은 단열 구조를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운반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으며, 또한 이와 같은 조립식 구조를 갖춤으로 인하여 건축물의 외부 마감 작업과 구들의 청소 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조립식 아궁이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아궁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A-A 기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 기준 단면도,
도 5는 도 3의 화실용 천장의 사시도,
도 6은 도 3의 재 수집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재 수집부에 바닥 틀 형성부를 설치한 후 바닥 틀 형성부에 보강용 수직 프레임이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장작 투입구용 연장관과 부넘이용 연장관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도 8에 아궁이 외측벽이 설치된 후 측벽용 단열재와 메쉬망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화실용 내열콘크리트가 마련된 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이 건축물과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아궁이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기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B-B 기준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화실용 천장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의 재 수집부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재 수집부에 바닥 틀 형성부를 설치한 후 바닥 틀 형성부에 보강용 수직 프레임이 설치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장작 투입구용 연장관과 부넘이용 연장관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아궁이 외측벽이 설치된 후 측벽용 단열재와 메쉬망이 설치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에 화실용 내열콘크리트가 마련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고안이 건축물과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조립식 아궁이가 제작되는 순서를 기초로 각 구성을 설명한다.
본 조립식 아궁이의 최하단에 재 수집부(110)가 마련된다(도 6 참조).
금속재의 재 수집부(110)의 상부는 개방되어 있으며, 아울러 재 수집부(110)의 전방 또한 개방되어 있다.
재 수집부(110)의 개방되어 있는 상부로는 재가 낙하되며, 재 수집부(110)의 개방되어 있는 전방으로는 재받이용 서랍(111)이 탈착 가능하게 삽입된다.
재받이용 서랍(111)의 전면에는 손잡이(111a)와 함께 제2공기조절부(111b)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에서 낙하되는 재는 재받이용 서랍(111)에 모이게 되며, 사용자는 손잡이(111a)에 의하여 재받이용 서랍(111)을 재 수집부(110)로부터 꺼내 재를 청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재받이용 서랍(111)은 재 처리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아울러 재받이용 서랍(111)의 제2공기조절부(111b)에서는 화실(130)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재 수집부(110)의 상부에 금속재의 바닥 틀 형성부(120)가 마련된다(도 7 참조).
바닥 틀 형성부(120)의 전방 중앙부에 메인 공기 공급실(121)이 형성된다. 메인 공기 공급실(121)의 전방측 벽에는 공기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제1공기조절부(121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공기조절부(121a)에 의하여 화실(130)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메인 공기 공급실(121)의 하부에는 바닥 개구부(121b)가 형성되어 재 수집부(110)의 상부와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 공기 공급실(121)로 낙하되는 재는 바닥 개구부(121b)를 통하여 재 수집부(110)로 낙하하며, 아울러 재 수집부(110)에서 공급되는 바닥 개구부(121b)를 통하여 메인 공기 공급실(121)로 공급된다.
메인 공기 공급실(121)에는 로스톨(121c)이 마련된다(도 8 참조).
로스톨(121c)은 다수의 공기통과공이 형성된 상판과 상기 상판의 양단에 하부로 절곡지게 형성된 지지다리로 이루어지며, 로스톨(121c)의 지지다리가 메인 공기 공급실(121)의 바닥에 지지되며, 따라서 로스톨(121c)의 상판의 메인 공기 공급실(121)의 바닥과 이격된다.
따라서 로스톨(121c)을 통하여 재가 하부로 낙하하여 메인 공기 공급실(121)을 거쳐 재 수집부(110)의 재받이용 서랍(111)으로 낙하한다.
또한 로스톨(121c)을 통하여 메인 공기 공급실(121)의 공기가 로스톨(121c) 상부의 화실(130)로 공급된다.
바닥 틀 형성부(120)의 평면 구조에서 메인 공기 공급실(121)을 제외한 나머지는 단열용 바닥 공간부(122)를 이룬다. 단열재 바닥 공간부(122)는 메인 공기 공급실(121)을 ㄷ자 형태로 감싸고 있다. 즉 단열용 바닥 공간부(122)는 메인 공기 공급실(121)의 양측과 후방측에 형성된다.
단열용 바닥 공간부(122)에 복수의 보강용 수직 프레임(122a)이 수직 방향으로 입설된다(도 7 참조). 보강용 수직 프레임(122a)은 금속재이다.
전방에 위치한 한 쌍의 보강용 수직 프레임(122a)에 지지되어 장작 투입구용 연장관(141)이 마련되며, 후방에 위치한 한 쌍의 보강용 수직 프레임(122a)에 지지되어 부넘이용 연장관(151)이 마련된다(도 8 참조).
본 실시예에서 장작 투입구용 연장관(141)과 부넘이용 연장관(151)은 모두 금속재의 사각관 형태이다.
이와 같이 장작 투입구용 연장관(141)과 부넘이용 연장관(151)이 설치된 후 금속재의 아궁이 외측벽(160)이 설치된다.
아궁이 외측벽(160)은 상하가 개방된 사각통 형태로 형성된다.
따라서 아궁이 외측벽(160)에 의하여 화실(130)은 그 측면 공간 중 장작 투입구용 연장관(141)과 부넘이용 연장관(151)을 제외한 부위는 모두 막히게 된다.
또한 장작 투입구용 연장관(141)은 아궁이 외측벽(160)의 전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마련되며, 부넘이용 연장관(151)은 아궁이 외측벽(160)의 후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마련된다.
장작 투입구용 연장관(141)의 전방에는 장작을 투입하기 위하여 개폐 가능하게 장작 투입구(142)가 마련된다. 아울러 장작 투입구(142)에는 장작 투입구(142)를 닫은 상태에서 화실(130)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투시창(142a)이 마련되어 있다.
아궁이 외측벽(160)의 내측면에 미네랄울(mineral wool)과 같은 측벽용 단열재(161)가 설치되며, 또한 측벽용 단열재(161)의 내측면에 금속재의 메쉬망(162)이 마련된다(도 9 참조).
또한 아궁이 외측벽(160), 측벽용 단열재(161), 메쉬망(162), 바닥 틀 형성부(120)의 단열용 바닥 공간부(122), 장작 투입구용 연장관(141), 부넘이용 연장관(151)을 형틀로 삼아 화실용 내열콘크리트(163)가 타설된다(도 10 참조).
화실용 내열콘크리트(163)는, 메쉬망(162)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측벽용 내열콘크리트(163a)와, 측벽용 내열콘크리트(163a)의 상부에서 측벽용 내열콘크리트(163a)와 일체로 형성되는 천장 지지용 내열콘크리트(163b)와, 단열용 바닥 공간부(122)에 형성되어 측벽용 내열콘크리트(163a)와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용 내열콘크리트(163c)로 이루어진다.
또한 측벽용 내열콘크리트(163a)에 의하여 감싸인 공간이 화실(130)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화실용 내열콘크리트(163)에 의하여 메쉬망(162) 및 측벽용 단열재(161)는 화실(130)로부터 격리된다.
상기와 같은 천장 지지용 내열콘크리트(163b)의 상부에 화실용 천장(170)이 안치된다.
화실용 천장(170)은 상하로 개방된 원통 형태로서 금속재의 내측 틀(171)과, 상하로 개방된 사각통 형태로서 내부에 내측 틀(171)이 이격되어 배치되는 금속재의 외측 틀(172)과, 내측 틀(171)과 외측 틀(172) 사이에 마련되는 천장용 내열콘크리트(173)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외측 틀(172)은 아궁이 외측벽(160)의 형태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며, 특히 본 실시예는 아궁이 외측벽(160)의 내측면에 외측 틀(172)이 배치된다.
이와 같은 화실용 천장(170)은 별개로 제작된 후 천장 지지용 내열콘크리트(163b)의 상부, 혹은 아궁이 외측벽(160)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화실용 천장(170)을 별개로 제작하는 것은 본 조립식 아궁이의 무게를 경량화하도록 하여 조립 및 이동의 용이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화실용 천장(170)은 조리기구(10)에 따라 그 사이즈(구체적으로는 내측 틀(171)의 사이즈)가 변경되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화실용 천장(170)의 상부에 상부 덮개(180)가 마련된다. 상부 덮개(180)는 화실용 천장(170)의 상부를 커버하는 덮개 본체(181)와 상기 덮개 본체(181)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형성되는 덮개 가장자리(182)로 이루어진다.
상부 덮개(180)의 덮개 가장자리(182)는 아궁이 외측벽(160)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진다.
한편 부넘이용 연장관(151)의 내측면에는 부넘이용 내화단열재(152)가 마련되며, 아울러 부넘이용 내화단열재(152)의 내측면에는 부넘이용 내화단열재(152)를 보호하기 위한 금속재의 부넘이용 내피(153)가 마련된다.
부넘이용 내화단열재(152)와 부넘이용 내피(153)는 별도로 제작된 후 부넘이용 연장관(151)에 장착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공장 등에서 미리 제작된 조립식 아궁이는 구들을 가진 건축물(200)이 설치된 현장으로 이동된 후 건축물(200)에 조립된다.
이와 같은 이동 과정에서 상당한 중량을 가지는 화실용 천장(170)은 분리된 후 이동되어 건축물(200)에의 조립과정에서 안치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인 조립식 아궁이와 건축물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념 단면도이다.
도 11에서 건축물(200)은 이동식 건축물이거나 고정 건축물일 수 있다.
건축물(200)에는, 금속재의 부넘이용 외피(211)와 금속내의 부넘이용 내피(213) 사이에 내화단열재(212)가 마련된 건물용 부넘이(210)가 마련되며, 아울러 건물용 부넘이(210)의 내부에는 금속재의 보조 부넘이 내피(221)과 상기 보조 부넘이 내피(221)의 외측면을 감싸면서 마련되는 보조 부넘이 내화단열재(222)로 이루어진 보조 부넘이(220)가 미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부넘이용 연장관(151) 등이 건물용 부넘이(210) 내부로 삽입되면서 본 조립식 아궁이가 건축물(200)에 조립된다.
상기와 같이 본 조립식 아궁이는 건축물(200)의 외벽은 물론이며 건물용 부넘이(210) 등이 시공된 후 조립되므로, 건축물(200)의 외벽에 대한 마감 작업에 장애을 일으키기 않는다.
또한 본 조립식 아궁이로부터 발생되는 열은 2중의 단열 경로를 거쳐 건축물(200)의 외벽에 전달될 수 있으므로 건축물(200)의 화재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 재 수집부 111 : 재받이용 서랍
111a : 손잡이 111b : 제2공기조절부
120 : 바닥 틀 형성부 121 : 메인 공기 공급실
121a : 제1공기조절부 121b : 바닥 개구부
121c : 로스톨 122 : 단열용 바닥 공간부
122a : 보강용 수직 프레임
130 : 화실
141 : 장작 투입구용 연장관 142 : 장작 투입구
142a : 투시창 151 : 부넘이용 연장관
152 : 부넘이용 내화단열재 153 : 부넘이용 내피
160 : 아궁이 외측벽 161 : 측벽용 단열재
162 : 메쉬망 163 : 화실용 내열콘크리트
163a : 측벽용 내열콘크리트 163b : 천장 지지용 내열콘크리트
163c : 바닥용 내열콘크리트
170 : 화실용 천장 171 : 내측 틀
172 : 외측 틀 173 : 천장용 내열콘크리트
180 : 상부 덮개 181 : 덮개 본체
182 : 덮개 가장자리

Claims (2)

  1. 구들방에 연결되기 위한 조립식 아궁이에 있어서 :
    상하가 개방된 통 형태로 형성되는 금속재의 아궁이 외측벽 ;
    상기 외측벽의 하부에 마련되되, 평면 구조가 전방 중앙부에 형성되는 메인 공기 공급실과 상기 메인 공기 공급실의 양측과 후방측에 형성되는 단열용 바닥 공간부로 구분되며, 상기 메인 공기 공급실은 전방측 벽에 제1공기조절부가 형성되며, 상기 메인 공기 공급실의 하부에는 바닥 개구부가 형성되는 금속재의 바닥 틀 형성부 ;
    상기 메인 공기 공급실의 상부에 마련되는 로스톨 ;
    상기 메인 공기 공급실의 하부에 마련되는 재 수집부 ;
    상기 아궁이 외측벽의 전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금속재의 장작 투입구용 연장관 ;
    장작을 투입하기 위하여 상기 장작 투입구용 연장관의 전방에 개폐가능하게 마련되는 장작 투입구 ;
    상기 아궁이 외측벽의 후면을 관통하는 형태로 마련되는 금속재의 부넘이용 연장관 ;
    상기 부넘이용 연장관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부넘이용 내화단열재 ;
    상기 부넘이용 내화단열재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부넘이용 내화단열재를 보호하는 금속재의 부넘이용 내피 ;
    상기 아궁이 외측벽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측벽용 단열재 ;
    상기 측벽용 단열재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금속재의 메쉬망 ;
    상기 메쉬망의 내측면에 마련되는 측벽용 내열콘크리트와, 상기 측벽용 내열콘크리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측벽용 내열콘크리트와 일체화되는 천장 지지용 내열콘크리트와, 상기 단열용 바닥 공간부에 형성되어 상기 측벽용 내열콘크리트와 일체화되는 바닥용 내열콘크리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벽용 내열콘크리트에 의하여 감싸인 공간이 화실을 형성하는 화실용 내열콘크리트 ;
    금속재의 내측 틀과 상기 내측 틀과 이격되되 상기 아궁이 외측벽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를 가진 금속재의 외측 틀과, 상기 내측 틀과 상기 외측 틀 사이에 마련되는 천장용 내열콘크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천장 지지용 내열콘크리트의 상부에 안치되는 화실용 천장 ;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들용 조립식 아궁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실용 천장에 상부에, 상기 화실용 천장의 상부를 커버하는 덮개 본체와, 상기 덮개 본체의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아궁이 외측벽이 삽입되는 크기를 가진 덮개 가장자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부 덮개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들용 조립식 아궁이.
KR20130010661U 2013-12-23 2013-12-23 구들용 조립식 아궁이 KR2004768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0661U KR200476852Y1 (ko) 2013-12-23 2013-12-23 구들용 조립식 아궁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0661U KR200476852Y1 (ko) 2013-12-23 2013-12-23 구들용 조립식 아궁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852Y1 true KR200476852Y1 (ko) 2015-04-08

Family

ID=5303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0661U KR200476852Y1 (ko) 2013-12-23 2013-12-23 구들용 조립식 아궁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8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066A (ko) * 2015-04-15 2016-10-25 김보름 실내 벽난로용 내화판 보강구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1356Y1 (ko) * 1978-09-05 1979-08-23 윤왕수 수평연소식 아궁이용 온수보일러
KR100560378B1 (ko) 2003-06-12 2006-03-16 이춘봉 나무보일러
KR100682239B1 (ko) 2005-02-14 2007-02-15 송인관 아궁이 소각로를 이용한 축열 및 난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790001356Y1 (ko) * 1978-09-05 1979-08-23 윤왕수 수평연소식 아궁이용 온수보일러
KR100560378B1 (ko) 2003-06-12 2006-03-16 이춘봉 나무보일러
KR100682239B1 (ko) 2005-02-14 2007-02-15 송인관 아궁이 소각로를 이용한 축열 및 난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3066A (ko) * 2015-04-15 2016-10-25 김보름 실내 벽난로용 내화판 보강구조
KR101722832B1 (ko) * 2015-04-15 2017-04-11 김보름 실내 벽난로용 내화판 보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1078401A (ja) 組み立て式多面体ドーム形状の食品焼成窯
RU2291999C1 (ru) Русская парная баня курина и банная печь с воздуховодом под подовой поверхностью
KR200476852Y1 (ko) 구들용 조립식 아궁이
RU79166U1 (ru) Печь для бани (варианты) и газоход для нее (варианты)
KR101899144B1 (ko) 화덕
US12013124B2 (en) Combination outdoor ventless fireplace and brick oven
US3999535A (en) Prefabricated fireplace
KR20160134420A (ko) 조립 및 이동식 가옥을 구비한 온돌식 난방구조
RU66012U1 (ru) Печь теплоаккумулирующая
RU2725714C1 (ru) Печь банная дровяная прямого нагрева камня
US5351672A (en) Masonry heater with replaceable throat construction
US20240035664A1 (en) Heating stove with surface for cooking
US20240191878A1 (en) Stone-lining for oven
GB2504201A (en) Oven with support structure
JP2013127342A (ja) 熱供給窯
RU2669088C1 (ru) Банная печь-каменка периодического действия
RU2818956C2 (ru) Отоп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GB469250A (en) Improvements in the arrangement and construction of electric ovens
RU2694660C1 (ru) Теплоаккумулирующая печь для бани
RU175362U1 (ru) Банная печь-каменка периодического действия
US2337847A (en) Revertible draft stove
JP3111932U (ja) 石窯
JP4026115B2 (ja) 移動式薪窯
FI63160B (fi) Bakugn
FI129096B (fi) Saunan kiua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