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613Y1 - Food container - Google Patents

Food contai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613Y1
KR200476613Y1 KR2020130008961U KR20130008961U KR200476613Y1 KR 200476613 Y1 KR200476613 Y1 KR 200476613Y1 KR 2020130008961 U KR2020130008961 U KR 2020130008961U KR 20130008961 U KR20130008961 U KR 20130008961U KR 200476613 Y1 KR200476613 Y1 KR 2004766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food
seating
contain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96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성학
Original Assignee
현진제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진제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진제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89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61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6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61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4Nestable or stackable container parts forming a receptacle when one part is inverted upon the oth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용기를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된 식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서로 다른 형태의 용기들을 일체감 있게 적층할 수 있도록 된 식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식품용기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된 수용부와, 수용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식품용기에 있어서, 뚜껑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부에 다른 용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안착 테두리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안착 테두리의 일부분은 다른 부분 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상부에 안착되는 다른 용기를 감싸도록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container capable of stably stacking a plurality of container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ontainer capable of stacking different types of containers in an integrated mann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ontainer comprising a receptacle for containing food and a lid for covering the receptacle, wherein the top edge of the lid is provided with a seating edge for forming a seating space for allowing other containers to be seated thereon And a part of the seat frame is formed so as to be higher in height than the other parts so as to enclose another container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part.

Description

식품용기{FOOD CONTAINER}FOOD CONTAINER

본 고안은 식품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용기를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된 식품용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서로 다른 형태의 용기들을 일체감 있게 적층할 수 있도록 된 식품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od container capable of stably stacking a plurality of containers.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ontainer capable of stacking different types of containers in an integrated manner.

요식업소에서는 실제로 업소를 방문하여 음식을 주문한 후 업소 내에서 주문된 음식물을 먹는 고객들도 많지만, 업소를 방문하지 않고 전화를 이용해 음식을 주문한 후 집이나 사무실 등에서 배달된 음식물을 먹는 고객들도 많다.There are many customers in the catering business who actually visit the establishment and order the food and then eat the food ordered in the establishment. However, many customers do not visit the establishment but order the food by phone and then eat the food delivered at the home or office.

음식물 배달을 위한 배달음식용 용기의 일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8092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다.An example of a delivery food container for food delivery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9-012809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1").

선행문헌 1에 따른 배달음식용 용기의 경우, 손님이 주문한 음식물을 용기에 담은 후, 배달 중에 용기 내에서 음식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통상적으로 비닐랩을 씌워 용기의 개방부위를 밀폐시키는 형태로 사용된다. 이러한 배달음식용 용기는 주로 중화요리전문점 등에서 주로 사용된다.In the case of the delivery foo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1, after putting the food ordered by the customer into the container, the container is usually covered with a plastic wrap so that the food is not released to the outside during delivery do. Such delivery food containers are mainly used in Chinese food restaurants.

음식물 배달을 위한 용기의 다른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80195호(이하, ‘선행문헌 2’라 한다)에 ‘일회용 도시락 용기’라는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Another example of a container for food delivery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08019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2") under the name of "disposable lunch box container".

선행문헌 2에 따른 용기의 경우, 밥이나 반찬 등의 내용물을 담을 수 있도록 다수의 구획공간부가 형성된 음식물 수용부와, 음식물 수용부의 상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덮개부는 도시락 용기를 적층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된다.In case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2, it comprises a food storage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mpartment spaces so as to contain contents such as rice or side dishes, and a lid portion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ood storage portion. The lid part is formed in a form capable of stacking a lunch box container.

선행문헌 1에 따른 용기의 경우 여러 개의 용기를 적층하지 못하고 용기를 낱개로 운반해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선행문헌 2에 따른 용기의 경우 여러 개의 용기를 적층할 수는 있으나 동일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용기만을 적층할 수 있고 다른 크기와 형태를 갖는 용기는 적층하여 운반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동일한 크기와 형태를 갖는 용기들을 적층하더라도 운반과정에서 유동이 발생하여 내용물이 새어나오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1,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tainers can not be stacked and the containers must be transported individually. In the case of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document 2, several containers can be stacked, It is difficult to stack containers having different sizes and shapes. In addition, even if containers having the same size and shape are stacked, there is a problem that a flow occurs in the transportation process and the contents leak out.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서로 다른 크기와 형태를 갖는 용기들을 일체감 있게 안정적으로 적층할 수 있는 식품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od container capable of stably stacking containers having different sizes and shapes in an integrated manner.

본 고안 식품용기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된 수용부와, 수용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식품용기에 있어서, 뚜껑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부에 다른 용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안착 테두리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안착 테두리의 일부분은 다른 부분 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상부에 안착되는 다른 용기를 감싸도록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od container comprising a receptacle for containing food and a lid for covering the receptacle, wherein the top edge of the lid is provided with a seating edge for forming a seating space for allowing other containers to be seated thereon And a part of the seat frame is formed so as to be higher in height than the other parts so as to enclose another container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part.

안착 테두리의 내측 바닥에는 상부에 안착되는 다른 용기의 하부 전체가 삽입 안착되어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안착홈이 형성된다.An inner bottom of the seat frame is formed with a seating groove for receiving the entire lower portion of the other container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to prevent the flow of the seat.

안착 테두리에 의해 형성되는 안착공간의 바닥면에는 상부에 안착되는 다른 용기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가장자리 돌출부가 삽입되어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유동방지홈이 형성된다.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space formed by the seat frame is formed with a flow preventing groove for preventing the flow of the seat by inserting an edge projecting portion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another container seated on the top.

유동방지홈은 복수 개가 형성되되 상부에 안착되는 용기의 크기와 형태, 안착위치에 따라 그 모양, 크기 및 위치가 달리 형성된다.A plurality of the flow preventive grooves are formed, and the shapes, sizes, and positions of the flow preventive grooves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ze, shape, and seating position of the container that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뚜껑에는 두 개의 용기가 동시에 안착되며, 어느 하나의 용기에는 다른 용기가 관통되는 용기 관통부가 형성된다.Two containers are simultaneously mounted on the lid, and one of the containers is provided with a container through portion through which the other container passes.

본 고안 식품용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ar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서로 다른 크기와 형태를 갖으며 각기 다른 음식을 담을 수 있는 용기들을 유동없이 안정적이면서도 패키지 형태로 적층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소비자에게 다양한 종류의 음식을 하나의 패키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어 소비자의 구매욕구를 증대시킬 수 있다.First, since containers capable of storing different foods having different sizes and shapes are laminated in a stable and packaged manner without flowing, various types of foods can be provided to consumers in the form of one package, You can increase your desire.

둘째, 용기의 뚜껑에 형성되는 안착 테두리로 상부에 안착되는 용기를 감싸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적층되는 용기들 간에 안정감과 일체감을 줄 수 있다.Secondly, since the container is seated on the upper part by the seating edge formed on the lid of the container, stability and unity can be provided between the stacked containers.

셋째, 용기의 뚜껑에 형성되는 안착홈 또는 유동방지홈을 통해 상부에 안착되는 용기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운반시 용기로부터 내용물이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ird, since the container is prevented from flowing through the seating groove or the flow preventing groove formed in the lid of th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ents from leaking out of the container during transportation.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는 제1 용기의 뚜껑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제2 용기의 뚜껑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제3 용기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Figure 3 is a front view of Figure 1;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lid of the first container;
5 is a plan view of the lid of the second container;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hird container.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는 본 고안 식품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od contain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제1 용기의 뚜껑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제2 용기의 뚜껑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제3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front view of Fig. 1, Fig. 4 is a plan view of a lid of a first container,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lid of the second container,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hird container.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는, 제1 용기(10), 제2 용기(20), 및 제3 용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들 용기들은 상하로 적층되어 운반된다.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mprises a first container 10, a second container 20, and a third container 30, which are stacked and transported up and down.

제1 용기(10)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컵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수용부(11), 제1 수용부(11)의 상부를 덮는 제1 뚜껑(12)을 포함한다. 제1 수용부(11)는 종이재로 제작되며, 제1 뚜껑(12)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The first container 10 includes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 formed in a cup shape so as to accommodate food and a first lid 12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 [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 is made of a paper material, and the first lid 12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owever,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제1 뚜껑(12)은 제1 수용부(11)를 덮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그 상부에 적층되는 용기들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제1 뚜껑(12)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부에 다른 용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안착 테두리(12a)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안착 테두리(12a)의 일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상부에 안착되는 다른 용기와의 접촉면적을 확장하여 용기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유동을 방지하고, 상부에 안착되는 용기를 감싸는 형태이므로 시각적으로 안정감과 일체감을 주게 된다.The first lid 12 serves not only to cover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 but also to stably support the containers stacked thereon. The upper edge of the first lid 12 is formed with a seating edge 12a protruding upward to form a seating space so that another container can be seated thereon. A portion of the seat frame 12a is formed to be higher in height than other portions of the seat frame 12a so as to enlarge a contact area with another container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to stably seat the container so as to prevent the flow, This gives a sense of stability and unity visually.

제1 뚜껑(12)의 상면 중 안착 테두리(12a)의 내측 바닥에는 상부에 다른 용기의 하부 전체가 삽입되면서 안착되는 안착홈(12b)이 형성된다. 상부에 안착되는 용기의 하부가 안착홈(12b)에 맞게 끼워져 안착되는 경우에는 안착홈(12b)에 의해 상부의 용기가 유동하지 않게 된다. 그런데, 상부에 안착되는 용기의 하부가 안착홈(12b)에 맞지 않고 단면적이 작을 경우에는 유동될 염려가 있다. 이 경우에는 안착홈(12b)의 내측 바닥에 형성된 유동방지홈(12c)을 통해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 유동방지홈(12c)은 상부에 안착되는 용기의 하부 전체가 삽입되는 형태가 아니라, 용기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가장자리만 삽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유동방지홈(12c)은 용기의 저면 가장자리 돌출부의 형태와 대응되게 원형으로 길게 형성된다. 유동방지홈(12c)은 크기가 다른 용기를 선택적으로 끼울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를 갖는 원형 고리 형태의 홈이다. 일부 유동방지홈은 그 중심이 제1 뚜껑(12)의 상면 중심과 일치하고, 다른 유동방지홈은 그 중심이 제1 뚜껑(12)의 상면 중심과 어긋나게 형성된다. 또한, 유동방지홈은 정원의 형태일 수도 있고, 타원의 형태일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유동방지홈은 안착되는 용기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즉, 상부에 안착되는 용기의 크기와 형태, 안착위치에 따라 그 모양, 크기 및 위치가 달리 형성된다.I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id 12, a seating groove 12b is formed on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frame 12a.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is fitted to the seating groove 12b and is seated, the upper container does not flow by the seating groove 12b. However, whe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portion does not fit into the seating groove 12b and the cross-sectional area thereof is small, there is a fear of flow. In this case, the flow is prevented through the flow preventing groove 12c formed on the inner bottom of the seating groove 12b. The flow preventing groove 12c is formed not in a shape in which the entir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to be seated on the top is inserted but only in the edge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That is, the flow preventing groove 12c is formed long in a circ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bottom edge protrusion of the container. The flow-preventing groove 12c is a circular ring-shaped groove having various sizes so as to selectively fit different sizes of containers. Some of the flow preventing grooves are centered o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id 12 and the other flow preventing grooves are formed so that the center thereof is shifte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id 12. Further, the flow-preventing groove may be in the form of a garden or an ellipse. In addition, the flow preventing grooves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container to be seated. That is, the shape, size, and position are differently formed depending on the size, shape, and seating position of the container that is seated on the top.

제2 용기(20)는 제1 용기(10)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컵 형태로 형성되는 제2 수용부(21), 제2 수용부(21)의 상부를 덮는 제2 뚜껑(22)을 포함한다. 제2 수용부(21)는 종이재로 제작되며, 제2 뚜껑(22)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The second container 20 is stack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tainer 10 and includes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1 formed in a cup shape so as to contain foods therein, 2 lids 22 as shown in Fig. The second receptacle 21 is made of a paper material and the second lid 22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owever, the second receptacle 22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제2 수용부(21) 및 제2 뚜껑(22)은 제1 수용부(11) 및 제1 뚜껑(12)에 비해 크기가 작게 형성되나, 모양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제2 뚜껑(22)에 형성되는 유동방지홈(22a)의 형태는 제1 뚜껑(12)에 형성되는 유동방지홈의 형태와 동일하거나 달리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부에 안착되는 용기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 뚜껑(22)에도 제1 뚜껑(12)과 마찬가지로 안착 테두리(22b)의 일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부에 안착되는 용기를 감싸게 된다.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lid 22 are formed to be smaller in size tha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1 and the first lid 12, but are generally the same in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flow prevention groove 22a formed in the second lid 22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flow prevention groove formed in the first lid 12. This can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container being seated on the top. The second lid 22 is formed with a part of the seat frame 22b higher than the other part of the second lid 22 as in the case of the first lid 12 so as to cover the container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part.

본 실시예에서 제2 용기(20)는 두 개가 구비되어 상하로 적층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 또는 세 개 이상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용기(20)의 경우에도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wo second containers 20 are stacked vertically, but not limited thereto, and one or three or more second containers 20 may be provided. A plurality of first containers 20 may also be provided.

제3 용기(30)는 제2 용기(20)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내부공간이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제3 수용부(31)와, 제3 수용부(31)를 덮는 제3 뚜껑(32)을 포함한다. 제3 용기(30)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며, 제3 뚜껑(32)은 제3 수용부(31)에 담겨진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The third container 30 is stack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ntainer 20 and includes a third accommodating portion 31 and a third accommodating portion 31. The third accommodating portion 31 includes an inner spac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31 of the first lid 32. The third container 3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third lid 32 is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so that contents contained in the third accommodating portion 31 can be identified. .

제3 수용부(31)는 제2 용기(20)의 제2 뚜껑(22)에 형성된 유동방지홈(22a)에 끼워지는 형태가 아니라, 저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제2 용기(20)의 제2 뚜껑(22)에 형성된 안착 테두리(22b)에 끼워져 감싸지는 형태로 적층된다.
The third accommodating portion 31 is not formed in a shape to be fitted in the flow preventing groove 22a formed in the second lid 22 of the second container 20, 2 lid 22, and is wrapped in a form to be wrapped.

도 7은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이다.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는 제2 용기(20) 및 제3 용기(30)를 포함한다.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econd container 20 and a third container 30.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식품용기는 제1 실시예를 구성하는 용기들 중 제2 용기(20)와 제3 용기(30)만을 구비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제2 용기(20)와 제3 용기(30)의 구체적인 구성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ood container may be constituted by only the second container 20 and the third container 30 among the containers constituting the first embodiment.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ontainer 20 and the third container 3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us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9는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분해사시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는 제2 용기(20) 및 제4 용기(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용기(20)는 제1 실시예의 제2 용기(20)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second container 20 and a fourth container 40. Here, since the second container 20 is the same as the second container 20 of the first embodiment, the description is omitted.

제4 용기(40)는 제2 용기(20)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내부공간이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제4 수용부(41)와, 제4 수용부(41)를 덮는 제4 뚜껑(42)을 포함한다. 제4 수용부(41)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며, 제4 뚜껑(42)은 제4 수용부(41)에 담겨진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제4 수용부(41)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가로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양측부가 라운딩되어 제2 용기(20)의 안착 테두리(22b) 내측에 끼워져 감싸지는 형태로 적층된다.
The fourth container 40 is stack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ntainer 20 and includes a fourth accommodating portion 41 and a fourth accommodating portion 41. The fourth accommodating portion 41 is configured to contain food and the inner spac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And a fourth lid 42 covering the first lid 42 and the second lid 42. The fourth lid 42 is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so that the content contained in the fourth accommodating portion 41 can be identified. However, the fourth lid 42 is not limited to this, . The fourth accommodating portion 4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elong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when viewed in a plan view, and is rounded at both sides thereof so as to be inserted and wrapped inside the seating edge 22b of the second container 20.

도 11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분해사시도이다.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는 제5 용기(50), 제6 용기(60) 및 제7 용기(70)를 포함한다.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fth container 50, a sixth container 60, and a seventh container 70.

제5 용기(50)는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컵 형태로 형성되는 제5 수용부(51), 제5 수용부(51)의 상부를 덮는 제5 뚜껑(52)을 포함한다. 제5 수용부(51)는 종이재로 제작되며, 제5 뚜껑(52)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The fifth container 50 includes a fifth accommodating portion 51 formed in a cup shape so as to contain food and a fifth lid 52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ifth accommodating portion 51. The fifth storage portion 51 is made of a paper material, and the fifth lid 52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owever, the fifth storage portion 51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제5 뚜껑(52)은 제5 수용부(51)를 덮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그 상부에 적층되는 용기들을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제5 뚜껑(52)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부에 다른 용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안착 테두리(52a)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안착 테두리(52a)의 일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상부에 안착되는 다른 용기와의 접촉면적을 확장하여 용기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유동을 방지하고, 상부에 안착되는 용기를 감싸는 형태이므로 시각적으로 안정감과 일체감을 주게 된다. 안착 테두리(52a) 내측 바닥면 중 중심으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는 제7 용기(70)의 하부 전체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52b)이 형성된다.The fifth lid 52 serves not only to cover the fifth accommodating portion 51 but also to support the containers stacked on the fifth accommodating portion 51. The top edge of the fifth lid 52 is formed with a seating edge 52a protruding upward to form a seating space so that another container can be seated thereon. A portion of the seat frame 52a is formed to have a height higher than other portions of the seating frame 52a so as to enlarge a contact area with another container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to stably seat the container so as to prevent the flow, This gives a sense of stability and unity visually. A seating groove 52b is formed in 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eat frame 52a at a position offset from the center of the seat bottom 52a.

제6 용기(60)는 제5 용기(50)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내부가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제6 수용부(61)와, 제6 수용부(61)를 덮는 제6 뚜껑(62)을 포함한다. 제6 수용부(61)는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며, 제6 뚜껑(62)은 제6 수용부(61)에 담겨진 내용물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제6 용기(60)의 중심으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는 중심에서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 제7 용기(70)가 관통되는 용기 관통부(63)가 초승달 모양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6 수용부(61)는 제5 용기(50)의 안착 테두리(52a) 내측에 끼워지며 안착 테두리(52a)에 의해 감싸지는 형태로 적층된다.The sixth container 60 is stack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fth container 50 and includes a sixth receiving portion 61 and a sixth receiving portion 61 which are formed to contain food and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Not shown). The sixth receptacle 61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the sixth lid 62 is made of a transparent synthetic resin material so that contents contained in the sixth receptacle 61 can be identified, . A container passing portion 63 through which the seventh container 70 is passed is formed at a position shifted to one side from the center of the sixth container 60 in a crescent-shaped manner. On the other hand, the sixth accommodating portion 61 is sandwiched inside the seating edge 52a of the fifth container 50, and is stacked in a manner wrapped by the seating edge 52a.

제7 용기(70)는 제5 용기(50)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으로,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제6 용기(60)의 용기 관통부(63)를 관통하고 하단부 가장자리가 제5 용기(50)의 제5 뚜껑(52)에 형성된 안착홈(52b)에 끼워지는 제7 수용부(71), 및 제7 수용부(71)를 덮는 제7 뚜껑(72)을 포함한다. 제7 수용부(71)는 종이재로 제작되고 제7 뚜껑(72)은 합성수지재로 제작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7 수용부(71)는 제5 용기(50)의 안착 테두리(52a)와 제6 용기(60)에 의해 감싸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The seventh container 70 is stack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fth container 50 and is configured to contain food and pass through the container penetration portion 63 of the sixth container 60, And a seventh lid 72 covering the seventh receiving portion 71. The seventh receiving portion 71 is formed in the fifth lid 52 of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portions 50 and 50, The seventh housing part 71 is made of a paper material and the seventh lid 72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eventh housing part 71 is formed by being wrapped by the seating edge 52a of the fifth container 50 and the sixth container 60. [

도 13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의 사시도이다.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od contain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는 전체적인 구성에 있어서 제4 실시예에 따른 식품용기와 동일하되, 제6용기(60)의 용기 관통부(63) 형상에 있어서 차이를 보인다. 즉, 제4 실시예의 용기 관통부(63)는 초승달 모양으로 형성되나,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food contain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 its overall configuration, but shows a difference in the shape of the container penetration portion 63 of the sixth container 60. [ That is, the container penetration portion 63 of the fourth embodiment is formed in a crescent shape, but is circular in the present embodimen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식품용기를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ve food container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 the basis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10 : 제1 용기 11 : 제1 수용부
12 : 제1 뚜껑 12a : 안착 테두리
12b : 안착홈 12c : 유동방지홈
20 : 제2 용기 21 : 제2 수용부
22 : 제2 뚜껑 22a : 유동방지홈
22b : 안착 테두리 30 : 제3 용기
31 : 제3 수용부 32 : 제3 뚜껑
40 : 제4 용기 41 : 제4 수용부
42 : 제4 뚜껑 50 : 제5 용기
51 : 제5 수용부 52 : 제5 뚜껑
52a : 안착 테두리 52b : 안착홈
60 : 제6 용기 61 : 제6 수용부
62 : 제6 뚜껑 63 : 용기 관통부
70 : 제7 용기 71 : 제7 수용부
72 : 제7 뚜껑
10: first container 11: first accommodation portion
12: first lid 12a: seating edge
12b: seating groove 12c:
20: second container 21: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2: second lid 22a: flow preventing groove
22b: seat frame 30: third container
31: third receptacle 32: third lid
40: fourth container 41: fourth accommodating portion
42: fourth lid 50: fifth container
51: fifth receptacle 52: fifth lid
52a: seat frame 52b: seat groove
60: sixth container 61: sixth accommodating portion
62: sixth lid 63: container penetration part
70: seventh container 71: seventh accommodating portion
72: 7th lid

Claims (5)

음식물을 담을 수 있도록 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식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부에 다른 용기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공간을 형성하는 안착 테두리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부에 안착되는 다른 용기와의 접촉면적을 확장하여 용기가 안정적으로 안착되도록 하고 시각적인 안정감과 일체감을 부여해주도록 상기 안착 테두리의 일부분은 다른 부분 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상부에 안착되는 다른 용기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안착 테두리에 의해 형성되는 안착공간의 바닥면에는 상부에 안착되는 다른 용기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가장자리 돌출부가 삽입되어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복수 개의 유동방지홈이 형성되되, 상기 유동방지홈은 상부에 안착되는 용기의 크기와 형태, 안착위치에 따라 그 모양, 크기 및 위치가 달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1. A food container comprising a receptacle for containing food and a lid for covering the receptacle,
The top edge of the lid is formed with a seat frame protruding upward to form a seating space so that another container can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The container is stably positioned by expanding a contact area with another container seated on the top A part of the seat frame is formed so as to be higher in height than the other parts so as to provide a visual sense of stability and a sense of unity,
Wherein a plurality of flow preventing grooves are formed in a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space formed by the seating edges so as to prevent flow by inserting an edge protruding downward from a bottom surface of another container seated on the upper surface, Wherein the shape, size, and position of the container a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size, shape, and seating position of the contai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테두리의 내측 바닥에는 상부에 안착되는 다른 용기의 하부 전체가 삽입 안착되어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안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eating groove is formed in an inner bottom of the seating frame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other container seated on the upper portion is inserted and prevented from flow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에는 두 개의 용기가 동시에 안착되며, 어느 하나의 용기에는 다른 용기가 관통되는 용기 관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용기.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wo containers are simultaneously mounted on the lid, and one of the containers is formed with a container through portion through which the other container passes.
KR2020130008961U 2013-10-31 2013-10-31 Food container KR20047661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961U KR200476613Y1 (en) 2013-10-31 2013-10-31 Food cont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8961U KR200476613Y1 (en) 2013-10-31 2013-10-31 Food contai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613Y1 true KR200476613Y1 (en) 2015-03-18

Family

ID=53051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961U KR200476613Y1 (en) 2013-10-31 2013-10-31 Food contain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613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954Y1 (en) * 2001-11-16 2002-02-19 오홍균 A ceramic bowls freely moving prevention apparatus for food container using pile up
KR200328902Y1 (en) * 2003-07-14 2003-10-01 주식회사 윤창 A charge vessel for fo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954Y1 (en) * 2001-11-16 2002-02-19 오홍균 A ceramic bowls freely moving prevention apparatus for food container using pile up
KR200328902Y1 (en) * 2003-07-14 2003-10-01 주식회사 윤창 A charge vessel for fo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9767B1 (en) Multi-layered heat for Lunch Box
AU2022200427B2 (en) A Produce Container
US10974868B2 (en) Containers featuring improved food integrity and takeout experience
KR200424470Y1 (en) Multi-purpose package case
KR200481085Y1 (en) Packing box of multilayer type with inner support
NL2016336B1 (en) Device for packing cut flowers, and bucket and plate for use in such device.
KR200476613Y1 (en) Food container
KR200480558Y1 (en) Beverage container splitting the spaces
JP2007269349A (en) Container
KR101636752B1 (en) Disposable lunch package
JP2007062818A (en) Cover and container
KR102099946B1 (en) Packing container having function of table
KR200489571Y1 (en) Packaging container
KR200485349Y1 (en) A food packaging container
JP3176482U (en) Food container for lunch
KR200481814Y1 (en) Integrated package for food
KR102278888B1 (en) Lunch box that maintains confidentiality and is easy to store and transport
US8689977B2 (en) Product and method for dispensing and packaging items having complementary components
EP2492215A1 (en) Egg package
KR101439743B1 (en) Liquor Bottle Packing Case using Ice Bucket
KR20180086885A (en) Divided beverage cup
KR200359459Y1 (en) A packing case assembly
JP2017088202A (en) Container body with lid body
KR101552574B1 (en) Stackable food storage containers
KR102657740B1 (en) Carrier structure for food packaging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