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781Y1 - Container for Merchandise - Google Patents

Container for Merchandi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781Y1
KR200474781Y1 KR2020120004093U KR20120004093U KR200474781Y1 KR 200474781 Y1 KR200474781 Y1 KR 200474781Y1 KR 2020120004093 U KR2020120004093 U KR 2020120004093U KR 20120004093 U KR20120004093 U KR 20120004093U KR 200474781 Y1 KR200474781 Y1 KR 200474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portions
storage container
storag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4093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6774U (en
Inventor
유경희
이만규
이진환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2020120004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781Y1/en
Publication of KR201300067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6774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78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2Wrapped articles enclosed in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방된 일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각자의 하면부가 서로 연결되어, 개폐 가능한 한 쌍의 수납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각 수납부는, 상기 하면부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며 연장 형성되는 경사면부를 포함하는 상품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별다른 힘을 들이지 않고도 쉽게 개방 가능하며, 상품 진열이 용이한 상품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ir of receiving portion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one side thereof is opposed to the other, And each of the receiving portions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por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oduct storage container which can be easily opened without requiring any extra effort and which is easy to display.

Description

상품 수납 용기{Container for Merchandise}Container for Merchandise

본 고안은 상품 수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다른 힘을 들이지 않아도 쉽게 개방 가능하며, 상품 진열이 용이한 상품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duct storage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duct storage container which can be easily opened without requiring extra effort and which is easy to display.

일반적으로 상품 수납 용기는 상품을 내부에 수납한 상태로, 운반이나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상품 수납 용기는 운송이나 보관 중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에 보관된 상품을 보호하는 역할도 수행한다.In general, a product storage container is used to store goods inside and to facilitate transportation or storage. In addition, the product storage container also protects the products stored therein from external impact during transportation or storage.

종래에는 상품 수납 용기에 보관된 상품을 꺼내어 진열대에 별도로 진열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최근에는 상품의 별도 진열을 생략하고 수납 용기를 직접 진열하는 경우가 잦아졌다. Conventionally,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goods stored in a product storage container are taken out and placed on a shelf separately, but 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frequent cases of displaying the storage container directly without omitting separate displays of products.

이렇게 수납 용기를 직접 진열하는 경우, 종래의 수납 용기는 몇가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면, 종래의 수납 용기는 운반 및 보관에는 용이하지만, 상품을 진열하는 용도로는 적합하지 않다. 왜냐하면, 종래의 수납 용기는 4각형의 저면을 기초로 4개의 측판이 배치되어 측벽을 형성하고, 4개의 측판에 각각 연결된 상판들이 상면을 덮는 구조를 갖는다. 그래서 종래의 수납 용기는 상판 및 측판들이 상자의 내부를 가리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수납된 제품의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다.When the storage container is directly laid out, the conventional storage container causes some problems. For example, conventional storage containers are easy to transport and store, but are not suitable for display of merchandise. This is because the conventional storage container has a structure in which four side plates are disposed on the basis of a bottom surface of a quadrangle to form side walls and top plates connected to the four side plates respectively cover the top surface. Therefore, the conventional storage container can not easily grasp the state of the product stored by the consumers because the top plate and the side plates cover the inside of the box.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도 1과 같이 진열하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즉, 종래의 수납 용기(100)의 뚜껑(120)을 바닥에 놓고 하부상자(110)의 뒷부분이 뚜껑(120)의 뒷부분에 걸쳐지게 하여 내용물이 경사지게 됨으로써, 안의 내용물이 잘 보이게 하는 방법이다.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 method of displaying a display as shown in FIG. 1 may be used. That is, the conventional lid 120 of the storage container 100 is placed on the floor, and the rear part of the lower box 110 is laid over the rear part of the lid 120, so that the contents are inclined.

그러나 이러한 진열 방법으로는 궁극적인 문제점이 해결되지 못하며, 진열할 때마다 뚜껑을 열어서 받치고 물건을 비스듬히 올려놓고, 다시 닫는 등 불편함이 뒤따르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However, such a display method does not solve the ultimate problem,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open and close the lid every time the display is done, to place the object at an angle, and to close it agai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다른 힘을 들이지 않고도 쉽게 개방 가능하며, 상품 진열이 용이한 상품 수납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s to provide a product storage container which can be easily opened without requiring extra effort and which is easy to display.

또한, 본 고안은 다른 목적은 양 수납부가 정해진 각도를 가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어 내부에 수납된 상품이 소비자들에게 보다 잘 시인될 수 있고, 내부에 수납된 상품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상품 수납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mage display device and a display device which can be fixed in a state in which the both receiving parts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angles so that the products housed therein can be more clearly recognized by consumers, So as to provide a storage contain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개방된 일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각자의 하면부가 서로 연결되어, 개폐 가능한 한 쌍의 수납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각 수납부는, 상기 하면부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며 연장 형성되는 경사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ir of receiving portions, each of which is openable and closable, Each of the receivers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at a predetermined angle.

또한, 상기 양 수납부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양 수납부의 하면부가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both-side storage portion is in the closed state, the lower surface of the positive storage portion is supported by the ground.

또한, 상기 양 수납부가 개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양 수납부의 경사면부가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both-side storage portion is in the open state, the inclined side of the positive storage portion is supported by the ground.

또한, 상기 양 수납부는, 상기 개방 상태에서 30도 내지 120도의 내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th accommodating portions form an internal angle of 30 to 120 degrees in the open state.

또한,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양 수납부의 하면부는 상기 지면에서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open state, the bottom surface of the positive storage part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surface.

또한, 상기 양 수납부는, 각각 상기 하면부와 대향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와 상기 경사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면부 및 상기 수납부의 측면을 폐쇄하는 측면부를 포함한다.The both accommodating portions include a top surface portion facing the bottom surface portion, a front surface portion connecting between the top surface portion and the sloping surface portion, and a side surface portion closing the side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또한, 상기 양 수납부에 각각 연결되는 손잡이끈을 더 포함한다.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handle strap connected to the positive storage portion.

또한, 상기 하면부와 상기 경사면부는, 120도 내지 165도의 내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the sloped surface portion form an internal angle of 120 to 165 degrees.

또한, 상기 양 수납부는, 종이,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th receiving portions are formed of paper, plastic, or metal.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별다른 힘을 들이지 않고도 쉽게 개방 가능하며, 상품 진열이 용이한 상품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roduct storage container which can be opened easily without requiring any extra effort and which is easy to display.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양 수납부가 정해진 각도를 가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어 내부에 수납된 상품이 소비자들에게 보다 잘 시인될 수 있고, 내부에 수납된 상품의 디스플레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상품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oth accommodating portions can be fixed with a predetermined angle, the commodity stored in the inside can be more clearly recognized by the consumers, and the commodity storage A container can be provided.

도 1은 종래의 상품 수납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폐쇄 상태의 상품 수납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개방 상태의 상품 수납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수납 용기의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를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손잡이끈을 구비한 상품 수납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하면부와 경사면부가 이루는 내각에 따라 변화되는 상품 수납 용기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적용된 다양한 형상의 상품 수납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erchandise storage container.
Figs. 2 and 3 are views showing a product storage container in a clos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 view showing a goods storage container in an open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and a closed state of the goods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goods storage container provided with a pull st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product storage container changed along the internal angle formed by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FIG. 8 is a view showing a product storage container of various shapes to which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The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To the person having the invention, and this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들 및 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수납 용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폐쇄 상태의 상품 수납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3은 하면부(12, 22)와 경사면부(13, 23)가 잘 보이도록 상품 수납 용기(1)가 눕혀진 상태를 도시하였다. Figs. 2 and 3 are views showing a product storage container in a clos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Particularly, Fig. 3 shows a state in which the merchandise storage container 1 is laid down so that the lower surface portions 12, 22 and the inclined surface portions 13, 23 can be seen clearly.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수납 용기(1)는 한 쌍의 수납부(10, 20)를 포함한다. 2 and 3, the product storage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storage portions 10 and 20. As shown in Fig.

이 때,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수납부(10, 20)를 제1 수납부(10)와 제2 수납부(20)로 지칭하기로 한다. In this cas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each of the receiving portions 10, 20 will be referred to as a first receiving portion 10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20.

제1 수납부(10)와 제2 수납부(20)는 일측이 개방된 내부 공간(60, 도 4 참조)을 형성하여, 상품들이 상기 내부 공간(60)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 form an internal space 60 (see FIG. 4) having one side opened so that commodities can be accommodated in the internal space 60.

또한, 제1 수납부(10)와 제2 수납부(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대칭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housing part 10 and the second housing part 20 have the same shape as shown in FIG. 2 and may be symmetrically located.

그리고, 상품 수납 용기(1)를 구성하는 양 수납부(10, 20)는 친환경 펄프 소재 등을 비롯한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 외 플라스틱, 알루미늄, 철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도 형성될 수 있다. The positive storage portions 10 and 20 constituting the product storage container 1 may be made of a paper material includ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pulp material or the like and may be made of a metal such as plastic, .

제1 수납부(10)는 제1 수납부(10)의 하면을 이루는 제1 하면부(12), 제1 수납부(10)의 상면을 이루며 제1 하면부(12)와 대향하는 제1 상면부(15), 제1 하면부(12)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며 연장 형성되는 제1 경사면부(13), 제1 수납부(10)의 전면을 이루며 제1 상면부(15)와 제1 경사면부(13)를 연결하는 제1 전면부(14) 및 제1 수납부(10)의 양 측면을 이루며 다른 면들(12, 13, 14, 15)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제1 측면부(16)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housing part 10 includes a first bottom part 12 constituting the lower face of the first housing part 10 and a second housing part 12 constituting the upper face of the first housing part 10, A first inclined face portion 13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bottom face portion 12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first inclined face portion 13 extending upward from the first bottom face portion 12 and forming a front face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 A first front surface portion 14 connecting the first inclined surface portion 13 and a pair of first side surfaces 14 connected to the other surfaces 12, 13, 14, 15, (16).

따라서, 제1 수납부(10)의 제1 하면부(12), 제1 경사면부(13), 제1 전면부(14), 제1 상면부(15), 제1 측면부(16)는 제2 수납부(20) 측으로 개방된 내부 공간(60)을 형성할 수 있다. Therefore, the first bottom surface portion 12, the first inclined surface portion 13, the first front surface portion 14, the first top surface portion 15, and the first side surface portion 16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 The inner space 60 opened to the side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 can be formed.

또한, 제2 수납부(20)는 제1 수납부(10)와 동일하게 제2 수납부(20)의 하면을 이루는 제2 하면부(22), 제2 수납부(20)의 상면을 이루며 제2 하면부(22)와 대향하는 제2 상면부(25), 제2 하면부(22)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며 연장 형성되는 제2 경사면부(23), 제2 수납부(20)의 전면을 이루며 제2 상면부(25)와 제2 경사면부(23)를 연결하는 제2 전면부(24) 및 제2 수납부(20)의 양 측면을 이루며 다른 면들(22, 23, 24, 25)과 연결되는 한 쌍의 제2 측면부(26)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part 20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bottom part 22 and the second housing part 20 which form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part 20 in the same manner as the first housing part 10 A second upper surface portion 25 opposed to the second lower surface portion 22, a second inclined surface portion 23 extending upward from the second lower surface portion 22 at a predetermined angle,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 A second front surface portion 24 connecting the second upper surface portion 25 and the second sloping surface portion 23 and both sides of the second storage portion 20 and forming other surfaces 22, And a pair of second side portions 26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ide portions 26 and 25.

따라서, 제2 수납부(20)의 제2 하면부(22), 제2 경사면부(23), 제2 전면부(24), 제2 상면부(25), 제2 측면부(26)는 제1 수납부(10) 측으로 개방된 내부 공간(60)을 형성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econd bottom surface 22, the second inclined surface 23, the second front surface 24, the second top surface 25, and the second side surface 26 of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 The inner space 60 opened to the first housing part 10 can be formed.

제1 수납부(10)와 제2 수납부(20)는 일측이 개방된 내부 공간이 서로 마주보도록 각자의 하면부(12, 22)가 서로 연결된다. The first and second storage compartments 10 and 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their lower portions 12 and 22 so that the inner spaces of the first compartment 10 and the second compartment 20 are opposed to each other.

즉, 제1 하면부(12)의 일단과 제2 하면부(22)의 일단이 상호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하면부(12)의 타단과 제2 하면부(22)의 타단에는 각각 제1 경사면부(13)와 제2 경사면부(23)가 연결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first bottom surface portion 12 and one end of the second bottom surface portion 2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bottom surface portion 12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portion 2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13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portion 23 can be connected.

이 때, 제1 수납부(10)와 제2 수납부(20)는 제1 하면부(12)와 제2 하면부(22) 사이에 형성되는 축을 기준으로 하여 양측으로 개방 또는 폐쇄가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 can be opened or closed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an axis formed between the first bottom surface portion 12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portion 22 .

도 2에서는 제1 수납부(10)와 제2 수납부(20)가 닫혀있는 상태, 즉 폐쇄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수납 용기(1)는 양 수납부(10, 20)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양 수납부(10, 20)의 하면부(12, 22)가 지면(5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storage portion 10 and the second storage portion 20 are closed, that is, a closed state. The product storage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sitive storage portion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portions 12 and 22 of the positive storage portions 10 and 20 are supported by the paper surface 50 when the first and second storage portions 20 and 20 are in a closed state.

이에 따라, 제1 수납부(10)와 제2 수납부(20)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하면부(12)와 제2 하면부(22)가 모두 지면(50)에 밀착하게 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수납 용기(1)는 폐쇄된 상태에서 기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first housing portion 10 and the second housing portion 20 are in the closed state, both the first bottom surface portion 12 and the second bottom surface portion 22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50 , The merchandise storage container 1 can be kept standing in the closed state as shown in Fig.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개방 상태의 상품 수납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a goods storage container in an open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4에서는 제1 수납부(10)와 제2 수납부(20)가 열려있는 상태, 즉 개방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수납 용기(1)는 양 수납부(10, 20)가 개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양 수납부(10, 20)의 경사면부(13, 23)가 지면(5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shows a state in which the first storage portion 10 and the second storage portion 20 are opened, that is, the opened state. The product storage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ositive storage portion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ed surface portions 13 and 23 of the positive storage portion 10 and 20 are supported by the paper surface 50 when the first and second storage portions 20 and 20 are in the open state.

이에 따라, 제1 수납부(10)와 제2 수납부(20)가 개방 상태에 있는 경우, 제1 경사면부(13)와 제2 경사면부(23)가 모두 지면(50)에 밀착하게 되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품 수납 용기(1)는 개방된 상태에서도 기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he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0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20 are in the open state, the first inclined surface portion 13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portion 23 ar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50 , The merchandise storage container 1 can be kept standing even in the opened state as shown in Fig.

각 수납부(10, 20)에 경사면부(13, 23)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가정하면, 각 수납부(10, 20)는 기립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전면부(14, 24)가 지면(50)에 닿도록 쓰러지게 된다. Each of the receiving portions 10 and 20 can not maintain the standing state and the front portions 14 and 24 are positioned on the ground surface 50).

이에 비해, 경사면부(13, 23)를 구비한 상품 수납 용기(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부(13, 23)가 지면(50)에 닿음으로써, 더 이상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개방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기립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내부 공간(60)에 수납된 상품들이 보다 구매자들에게 잘 시인될 수 있게 된다.In contrast, in the product storage container 1 having the inclined surface portions 13 and 23, the inclined surface portions 13 and 23 touch the ground surface 50 as shown in FIG. 4, do. As a result, since the product can stand up while maintaining the open state, the products stored in the internal space 60 can be viewed more clearly by the buyers.

또한, 내부에 수납된 상품들의 무게에 의하여 양 수납부(10, 20)가 쉽게 열릴 수 있으므로, 수납부(10, 20)의 개방을 위하여 큰 힘이 소요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Also, since the positive storage portions 10 and 20 can be easily opened by the weight of the products stored therein,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large force is not required for opening the storage portions 10 and 20.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수납 용기의 개방 상태와 폐쇄 상태를 함께 나타낸 도면이다. Fig. 5 is a view showing an open state and a closed state of the goods storage con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수납부(10, 20)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각 수납부(10, 20)의 하면부(12, 22)가 지면(5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5, the bottom portions 12 and 22 of the respective receiving portions 10 and 20 can be supported by the paper surface 50 in a state in which the positive storage portions 10 and 20 are closed.

또한, 양 수납부(10, 2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각 수납부(10, 20)의 경사면부(13, 23)가 지면(50)에 의해 지지되며, 하면부(12, 22)는 지면(50)에서 떨어지게 된다. The inclined surface portions 13 and 23 of the respective accommodating portions 10 and 20 are supported by the paper surface 50 while the positive and negative accommodating portions 10 and 20 are opened, (50).

양 수납부(10, 2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제1 수납부(10)와 제2 수납부(20)가 이루는 내각(y)이 30도 내지 120도를 이루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nal angle y formed by the first storage portion 10 and the second storage portion 20 is set to be between 30 degrees and 120 degrees when the positive storage portions 10 and 20 are opened.

양 수납부(10, 20)가 이루는 내각(y)이 20도 보다 작은 경우에는 양 수납부(10, 20) 사이의 틈이 좁아 수납된 상품들이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게 되고, 양 수납부(10, 20)가 이루는 내각(y)이 120도 보다 큰 경우에는 수납부(10, 20)가 너무 눕혀진 상태가 되어 이 역시 수납된 상품들이 외부에서 잘 보이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When the internal angle y formed by the positive storage parts 10 and 20 is less than 20 degrees, the gap between the positive storage parts 10 and 20 is narrow and the products stored therein are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20 are larger than 120 degrees, the receiving portions 10, 20 are in a state in which the receiving portions 10, 20 are laid down too much, so that the received goods are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손잡이끈을 구비한 상품 수납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 goods storage container provided with a pull str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상품 수납 용기(1)는 양 수납부(10, 20)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손잡이끈(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6, the product storage contain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knob straps 70 connected to the positive storage parts 10 and 20, respectively.

도 6에서는 손잡이끈(70)이 제1 수납부(10)의 전면부(14)에 연결된 경우가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당연히 제2 수납부(20)의 전면부(24)에도 연결될 수 있으며, 손잡이끈(70)은 전면부(14, 24)뿐만 아니라 상면부(15, 25), 측면부(16, 26) 등에도 연결될 수 있다. 6, the handle strap 70 is typically connected to the front portion 14 of the first housing portion 10, but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front portion 24 of the second housing portion 20 The handle strap 70 can be connected not only to the front portions 14 and 24 but also to the upper face portions 15 and 25 and the side portions 16 and 26 and the like.

도 7은 하면부와 경사면부가 이루는 내각에 따라 변화되는 상품 수납 용기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7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product storage container changed along the internal angle formed by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양 수납부(10, 20)에 각각 포함되는 하면부(12)와 경사면부(13)가 이루는 내각(x)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The internal angle x formed by the lower surface portion 12 and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13 included in the positive storage portions 10 and 20 can be variously set as shown in FIG.

특히, 하면부(12)와 경사면부(13)가 이루는 내각(x)은 120도 내지 165도로 설정될 수 있다. In particular, the internal angle x formed by the lower surface portion 12 and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13 may be set to 120 to 165 degrees.

도 8은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이 적용된 다양한 형상의 상품 수납 용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8 is a view showing a product storage container of various shapes to which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수납부(10, 20)에 포함된 전면부(14, 24)를 평면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나, 그 외에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4, 24)에 굴곡을 주어 다양한 형상을 갖는 상품 수납 용기(1)를 제작할 수 있다. The front portions 14 and 24 included in the positive storage portions 10 and 20 may be formed in a planar shape as shown in FIG. 7, but the front portions 14 and 24 may be formed as shown in FIG. The product storage container 1 having various shapes can be manufactured.

또한, 상면부(15, 25), 측면부(16, 26)도 평면 또는 굴곡을 갖는 면으로 형성하여 심미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Further, the upper face portions 15, 25 and the side face portions 16, 26 may also be formed as planar or curved faces to increase the esthetics.

그러나, 하면부(12, 22)와 경사면부(13, 23)는 지면(5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되어야 하므로,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owever, the bottom portions 12 and 22 and the inclined surface portions 13 and 23 should be supported by the ground surface 50 in a stable manner, so that they are preferably formed in a planar shape.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quest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modifications or vari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claim and equivalents thereof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1: 상품 수납 용기
10: 제1 수납부 12: 제1 하면부
13: 제1 경사면부 14: 제1 전면부
15: 제1 상면부 16: 제1 측면부
20: 제 2수납부 22: 제2 하면부
23: 제2 경사면부 24: 제2 전면부
25: 제2 상면부 26: 제2 측면부
1: Goods storage container
10: first receiving portion 12: first bottom surface portion
13: first inclined face portion 14: first front face portion
15: first upper surface portion 16: first side surface portion
20: second receiving portion 22: second bottom surface portion
23: second inclined surface portion 24: second front surface portion
25: second upper surface portion 26: second side surface

Claims (9)

개방된 일측이 서로 마주보도록 각자의 하면부가 서로 연결되어, 개폐 가능한 한 쌍의 수납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각 수납부는, 상기 하면부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며 연장 형성되는 경사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수납부는, 각각 상기 하면부와 대향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와 상기 경사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전면부 및 상기 수납부의 측면을 폐쇄하는 측면부를 더 포함하는 상품 수납 용기.
A pair of openable and closable storage compartments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one side thereof faces each other; Lt; / RTI >
Wherein each of the receiving portions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portion at a predetermined angle,
Wherein each of the accommodating portions further includes a top surface portion that faces the bottom surface portion, a front surface portion that connects the top surface portion and the inclined surface portion, and a side surface portion that closes the side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수납부가 폐쇄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양 수납부의 하면부가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수납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ositive storage portion is supported by the paper surface when the both storage portion is in the clos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수납부가 개방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양 수납부의 경사면부가 지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수납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inclined surface of the positive storage part is supported by the paper surface when the both storage part is in the open st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 수납부는,
상기 개방 상태에서 30도 내지 120도의 내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수납 용기.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both-
And an interior angle of 30 to 120 degrees in the open stat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상태에서 상기 양 수납부의 하면부는 상기 지면에서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수납 용기.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positive storage part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surface in the open sta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수납부에 각각 연결되는 손잡이끈; 을 더 포함하는 상품 수납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andle strap connected to the positive storage part, respectively;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와 상기 경사면부는,
120도 내지 165도의 내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수납 용기.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inner container has an interior angle of 120 to 165 degre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수납부는,
종이,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수납 용기.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th-
And is formed of paper, plastic or metal.
KR2020120004093U 2012-05-16 2012-05-16 Container for Merchandise KR20047478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093U KR200474781Y1 (en) 2012-05-16 2012-05-16 Container for Merchandi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4093U KR200474781Y1 (en) 2012-05-16 2012-05-16 Container for Merchandi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774U KR20130006774U (en) 2013-11-26
KR200474781Y1 true KR200474781Y1 (en) 2014-10-14

Family

ID=51999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4093U KR200474781Y1 (en) 2012-05-16 2012-05-16 Container for Merchandi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4781Y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039U (en) * 1993-04-07 1994-10-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Tubular paper container
KR20010027984A (en) * 1999-09-17 2001-04-06 유재원 A box of portab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039U (en) * 1993-04-07 1994-10-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Tubular paper container
KR20010027984A (en) * 1999-09-17 2001-04-06 유재원 A box of portab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6774U (en) 2013-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41863A1 (en) Auxiliary support and trash bag bin for trash receptacle
US8011502B2 (en) Reusable underwear storage container box
US20130206784A1 (en) Container with recessed handle cavities
US9505523B2 (en) Food package
US8899434B2 (en) Three-dimensionally hinged clamshell packaging system having a standing feature
KR101218035B1 (en) Multipurpose Packing box and Supporter in one
KR200474781Y1 (en) Container for Merchandise
US20120024850A1 (en) Zipper configuration and embodiments thereof
KR101994868B1 (en) Packing box
KR200485367Y1 (en) Combine dressing table packing boxes
KR200472476Y1 (en) Container for Merchandise
KR20120117303A (en) Multipurpose collocted paper box
KR20190009922A (en) Packing box having display function
KR20140078803A (en) Packing box for goods
KR100978460B1 (en) A packing box for bottle
KR200469737Y1 (en) A packing case and supporter in one
JP5912284B2 (en) Packaging container with finger hook
JP3179701U (en) Foldable cold storage container
KR200417987Y1 (en) Goods package box
CN215362323U (en) Display packaging box
KR101182946B1 (en) A packaging box
CN217674032U (en) Pull jack-up packing carton
TWI722837B (en) Portable box structure with a standable information display cover
CN214397645U (en) High-strength corrugated carton
CN215156498U (en) Packing carton with keep apart buffer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6